KR101141989B1 - 페로코크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페로코크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989B1
KR101141989B1 KR1020127001435A KR20127001435A KR101141989B1 KR 101141989 B1 KR101141989 B1 KR 101141989B1 KR 1020127001435 A KR1020127001435 A KR 1020127001435A KR 20127001435 A KR20127001435 A KR 20127001435A KR 101141989 B1 KR101141989 B1 KR 101141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errocoke
furnace
mixed
cir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1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4984A (ko
Inventor
도시아키 아마가사
다카시 안야시키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4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8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in the form of briquettes, lumps and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00Coke ovens with vertical cha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9/00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by direct heating with heat-carrying agents including the partial combustion of the solid material to be treated
    • C10B49/02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by direct heating with heat-carrying agents including the partial combustion of the solid material to be treated with hot gases or vapours, e.g. hot gases obtained by partial combustion of the charge
    • C10B49/04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by direct heating with heat-carrying agents including the partial combustion of the solid material to be treated with hot gases or vapours, e.g. hot gases obtained by partial combustion of the charge while moving the solid material to be treated
    • C10B49/06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by direct heating with heat-carrying agents including the partial combustion of the solid material to be treated with hot gases or vapours, e.g. hot gases obtained by partial combustion of the charge while moving the solid material to be treated according to the moving bed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7/00Other carbonising or coking processes; Features of destructive distillation processes in general
    • C10B57/04Other carbonising or coking processes; Features of destructive distillation processes in general using charges of special composition
    • C10B57/06Other carbonising or coking processes; Features of destructive distillation processes in general using charges of special composition contain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7Conditions of the cokes or characterised by the cokes u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29Energy recovery, e.g. by cogeneration, H2recovery or pressure recovery turb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Coke Industry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수직형 건류로를 사용하여 페로코크스를 제조할 때에, 페로코크스 내의 성분의 산화 반응의 진행을 방지하여, 페로코크스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페로코크스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탄소 함유 물질과 철 함유 물질의 성형물을 건류하여 페로코크스를 제조하기 위한 수직형 건류로에 건류 가스를 불어 넣을 때에, 건류로 (5) 의 노 정상부로부터 배출되는 노 정상 배출 가스의 적어도 일부를 순환 가스로 하여 건류 가스의 일부로서 사용하고, 순환 가스와 연료 가스를 연소하여 얻은 연소 가스를 혼합하여, 그 혼합한 혼합 가스를 건류 가스로서 불어 넣을 때에, 순환 가스와 연소 가스의 혼합량을 조정하여 혼합 가스의 조성을 환원 분위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코크스의 제조 방법을 사용한다. 연료 가스를 연소할 때에 연료 가스에 혼합하는 공기를 예열하는 것, 연료 가스를 연소할 때에 연료 가스에 혼합하는 공기에 산소를 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페로코크스의 제조 방법{PROCESS FOR PRODUCING FERRO COKE}
본 발명은, 수직형 건류로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페로코크스를 제조하는 페로코크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탄을 주원료로 하여 이것에 바인더 (점결제) 를 첨가하고, 가압?성형하여 성형탄을 만들고, 이것을 수직형 건류로에 장입하여 야금용 코크스인 성형 코크스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성형 코크스의 제조 방법으로서, 건류로의 노 정상 가스를 냉각용 가스로서 건류로의 건류실에 직결된 냉각실의 하부에 도입하고, 그 냉각실을 통과한 가스의 대부분을 냉각실 상부에서 배출하여 가열용 매체 가스로서 건류로 중간부의 도입구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방법에서 사용하는 건류로는, 3 지점의 가스 도입구 (건류실 중간부, 건류실 하부, 냉각실 하부) 와 1 지점의 가스 배출구 (냉각실 상부) 를 갖고 있다.
상기 건류로에 있어서 건류실에 불어 넣는 가스를 가열하기 위해서, 1 차 가열한 순환 가스와 C 가스를 연소하여 얻은 연소 가스를 혼합하여, 소정 온도까지 2 차 가열하여 불어 넣는 가스 가열 방법 및 가스 가열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공보 소56-4723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6267호
그러나, 탄소 함유 물질과 철 함유 물질의 성형물을 수직형 건류로에서 건류하여, 코크스 중에 금속 철을 생성시킨 페로코크스를 제조하는 경우에, 상기와 같이 순환 가스를 1 차 가열한 후에 C 가스를 연소하여 얻은 연소 가스를 혼합하여, 소정 온도까지 2 차 가열하여 불어 넣는 방법을 사용하면, 연소 가스 혼합 후의 가스 조성이 변동되어, 페로코크스 내의 철광석이 환원되지 않거나, 환원된 금속 철이 재산화되거나, 또한 코크스 성분의 산화 반응이 진행되거나 하는 점에서, 페로코크스의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페로코크스의 강도가 저하되면, 고로 (高爐) 내에서 가루화되어 통기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고, 수직형 건류로를 사용하여 페로코크스를 제조할 때에, 페로코크스 내의 성분의 산화 반응의 진행을 방지하여, 페로코크스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페로코크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로 이루어지는 페로코크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탄소 함유 물질과 철 함유 물질의 성형물을 수직형 건류로에 장입하고, 상기 수직형 건류로에 건류 가스를 불어 넣는, 페로코크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류로의 노 정상부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건류 가스용으로 순환시켜 순환 가스로 하고,
연료 가스를 연소하여 연소 가스를 생성시키고,
생성된 연소 가스와 상기 순환 가스를 혼합하여, 혼합 가스를 생성하고,
상기 혼합 가스를 고온 건류 가스로서 상기 수직형 건류로 내에 불어 넣고,
상기 순환 가스와 상기 연소 가스의 혼합량을 조정하여 상기 혼합 가스의 조성을 환원 분위기로 하는, 페로코크스의 제조 방법.
상기 페로코크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이하와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공기를 예열하여 예열 공기로 하고, 연료 가스를 예열 공기로 연소시켜 연소 가스를 생성시킨다.
(b) 연료 가스를 산소가 부화된 공기로 연소시켜 연소 가스를 생성시킨다.
상기 페로코크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 가스는, CO/CO2 가 0.5 이상, 또한 H2/H2O 가 2.5 이상인 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CO/CO2 가 0.5 ~ 1.2, 또한, H2/H2O 가 2.5 ~ 5 인 조성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혼합 가스는, 800 ~ 1000 ℃ 의 온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로코크스의 제조 방법은, 추가로 상기 순환 가스를 예열하여, 예열된 순환 가스를 저온 건류 가스로서 상기 수직형 건류로 내에 불어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열된 순환 가스는, 600 ~ 750 ℃ 의 온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조하는 페로코크스란, 석탄과 철광석을 70 mass% 이상 함유하는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페로코크스이다. 페로코크스는, 철광석이 일부 환원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철광석의 촉매 효과에 의해 코크스의 반응성을 높일 수 있어, 고로 중에서의 가스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그것을 위해, 적어도 철광석의 배합 비율을 5 mass%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ass% 이상이다. 한편, 철광석의 배합 비율이 40 mass% 를 초과하면, 페로코크스의 강도가 급격하게 저하된다. 따라서, 철광석을, 철광석과 석탄의 합계량의 5 ~ 40 mass%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40 mass% 로 한다. 상기와 같이 배합된 원료는 성형기에서 성형되어, 괴 (塊) 성형물이 된다. 상기 괴 성형물은 샤프트로형 열처리로 등의 수직형 건류로에서 열풍을 사용한 직접 가열법에 의해 건류되어 페로코크스가 제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류로 분사 가스의 성분을 조정하여, 페로코크스 제조 시의 분위기를 페로코크스 성분의 환원 분위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페로코크스 성분의 철광석이 환원되고, 환원된 금속 철이 재산화되지도 않고, 또한 코크스 성분의 산화에 의한 강도 저하를 방지하여, 양질의 페로코크스의 제조가 가능해져, 고로에서의 페로코크스의 이용도 촉진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고온 건류 가스 분사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고온 건류 가스 분사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 는, 고온 건류 가스 성분과 페로코크스 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페로코크스의 제조에 사용하는 수직형 건류로로는,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건류로 (5) 를 사용할 수 있다. 수직형 건류로 (5) 는, 저온 건류실 (2) 과 고온 건류실 (3) 을 갖는 건류실 (30) 과, 냉각실 (4) 로 구성되어 있다. 이 수직형 건류로를 사용하여 페로코크스를 제조하는 경우, 페로코크스 원료인 석탄 등의 탄소 함유 물질과 철광석 등의 철 함유 물질의 성형물 (1) 은, 수직형 건류로 (5) 의 노 정상으로부터 노 내에 장입된다. 성형물 (1) 은, 노 내를 강하하는 과정에서 우구 (6, 7) 로부터 도입되는 가열용 열 매체 가스에 의해 건류되고, 또한 냉각용 가스에 의해 냉각되어 페로코크스 (10) 로서 건류로 하부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냉각 가스는, 냉각 가스 도입구 (8) 로부터 도입되어 냉각 가스 배출구 (9) 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노 정상으로부터 발출된 가스는 직접 쿨러 (11) 에서 냉각되고, 순환 블로어 (12) 에서 승압되어, 일부는 회수 가스로서 계 외로 유도되고, 나머지는 순환 가스로서 계 내를 순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직형 건류로의 고온 건류실 (3) 에 불어 넣는 고온 건류 가스로서, 순환 가스와 연료 가스를 연소하여 얻은 연소 가스를 고온 건류 가스 가열 장치 (14) 에서 혼합하고, 소정 온도까지 가열한 혼합 가스를 사용한다. 그리고, 이 혼합 가스를 생성할 때에, 순환 가스와 연소 가스의 혼합량을 혼합량 조정 수단 (도시 생략) 에 의해 조정하고, 혼합 후의 혼합 가스 조성을 환원 분위기로 한다. 혼합 가스 조성을 환원 분위기로 하기 위해서는, 연료 가스를 연소하는 공기를 예열 혹은 산소 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료 가스를 연소하는 공기를 예열함으로써, 예열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이하와 같은 이점이 있다.
(a) 연료 가스와 공기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연소 가스의 온도를 고온으로 할 수 있다.
(b) 건류로 내에 이송하는 연소 가스의 가스 볼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결과적으로 건류로 내에 이송되는 CO2 농도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연료 가스를 연소하는 공기를 산소 부화하는 것에 의해서도 연료 가스와 산소 부화 공기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연소 가스의 온도를 고온으로 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건류로 내에 이송하는 CO2 농도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법에 의해 순환 가스와 연소 가스의 혼합 후의 혼합 가스 조성을 환원 분위기로 함으로써, 성분의 산화에 의한 강도 저하를 일으키지 않고 페로코크스의 제조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 순환 가스와 연소 가스의 혼합 후의 혼합 가스는, 0.5 이상의 CO/CO2 또한 2.5 이상의 H2/H2O 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혼합 가스 조성으로 함으로써, 페로코크스 성분의 산화에 의한 강도 저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0.8 이상의 CO/CO2 또한 3.0 이상의 H2/H2O 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혼합 가스 조성 중 CO/CO2 및 H2/H2O 의 값은, 페로코크스 성분의 환원 분위기이면 되고, 특별히 상한을 설정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실제의 조업에 있어서는, 상기 혼합 가스 조성 중 CO/CO2 의 값은 1.2 이하, H2/H2O 의 값은 5.0 이하로 하는 것이 현실적인 범위가 된다. 또한, 상기 비율은 체적% 에서의 값이다.
혼합 가스의 조성은,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a) 순환 가스와 연소 가스의 혼합량을 조정한다. 순환 가스의 비율을 상승시키면, CO/CO2 의 값과 H2/H2O 의 값은 상승한다.
(b) 연료 가스를 연소하는 공기를 예열함으로써, 연소 가스의 가스 볼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혼합 가스의 CO2 농도를 억제할 수 있다.
(c) 연료 가스를 연소하는 공기에 산소를 부화함으로써, 연소 가스의 온도를 고온으로 할 수 있어, 혼합 가스의 CO2 농도를 억제할 수 있다.
(d) 혼합 가스 온도를 조정한다. 혼합 가스 온도를 800 ℃ 정도의 저온으로 함으로써, 연료 가스를 연소시키는 공기량을 저감시켜, 보다 환원 분위기로 할 수 있다.
(e) 연료 가스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연료 가스를 LNG 보다 고칼로리인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환원 분위기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을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에 있어서, 수직형 건류로 (5) 는, 저온 건류실 (2) 과 고온 건류실 (3) 을 갖는 건류실 (30) 과, 냉각실 (4) 로 구성되어 있다. 페로코크스 원료인 탄소 함유 물질과 철 함유 물질의 성형물 (1) 은, 수직형 건류로 (5) 의 노 정상으로부터 노 내에 장입되고, 노 내를 강하하는 과정에서 저온 가스 분사 우구 (6), 고온 가스 분사 우구 (7) 로부터 도입되는 가열용 열 매체 가스에 의해 건류되고, 또한 냉각 가스 도입구 (8) 로부터 도입되고, 냉각 가스 배출구 (9) 로부터 배출되는 냉각 가스에 의해 냉각되어, 페로코크스 (10) 로서 건류로 (5) 하부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노 정상으로부터 발출된 노 정상 배출 가스는 가스 쿨러 (11) 에서 냉각되고, 순환 블로어 (12) 에서 승압되어, 일부는 회수 가스로서 계 외로 유도되고, 나머지는 순환 가스로서 계 내를 순환한다. 노 정상 배출 가스 중 80 ~ 99 % 정도를 순환 가스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85 ~ 97 % 이다. 순환 가스의 일부는 블로어 (13) 에서 승압된 후, 열 교환 장치 (15) 에서 1 차 가열 (예열) 된다. 그리고, 이 1 차 가열 (예열) 된 순환 가스는, 연료 가스를 (후술하는 연소실 (16) 에서) 연소하여 얻은 연소 가스와 고온 건류 가스 가열 장치 (14) 에서 혼합되어, 소정 온도까지 2 차 가열된 혼합 가스인, 고온 건류 가스로서 고온 가스 분사 우구 (7) 로부터 건류로 (5) 내에 순환된다. 고온 건류 가스 가열 장치 (14) 부분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냉각용 가스는 냉각 가스 도입구 (8) 로부터 냉각실 (4) 에 도입되고, 냉각 배출 가스는 냉각 가스 배출구 (9) 로부터 흡인되어 배출된다. 냉각용 가스는, 순환 블로어 (12) 나 승압 블로어 (13) 를 통과하는 순환 가스와 동일한 가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용 가스의 온도는, 순환 블로어 (12) 에서의 순환 가스의 온도 ~ 순환 가스의 온도 +30 ℃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열 교환 장치 (15) 에서 예열된 순환 가스의 일부는 저온 건류 가스로서 저온 가스 분사 우구 (6) 로부터 건류로 (5) 내에 도입된다. 열 교환 장치 (15) 에서 예열된 순환 가스의 온도는, 600 ℃ 내지 75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20 ℃ 내지 730 ℃ 이다. 순환 가스 온도가 600 ℃ 이상인 경우, 건류로의 노 정상부의 온도는 300 ℃ 이상이 되어, 타르의 응집에 의한 조업 트러블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 순환 가스 온도가 750 ℃ 이하인 경우, 건류로의 노 정상부의 온도는 고온이 되지 않아, 가스 시일성에 의한 조업 트러블을 초래하지 않는다.
도 2 에, 도 1 의 수직형 건류로 (5) 의 고온 가스 분사 우구 (7) 에 고온 건류 가스를 불어 넣는, 고온 건류 가스 가열 장치 (14) 부분의 구성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열 교환 장치 (15) 에서 1 차 가열 (예열) 한 순환 가스 (22) 와 고온의 연소 가스 (23) 를 혼합실 (25) 에서 혼합함으로써 2 차 가열을 하고, 혼합 가스 (24) 로서 고온 가스 분사 우구 (7) 로부터 건류로 (5) 에 도입한다.
혼합 가스 (24) 의 온도는 800 ℃ 내지 100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20 ℃ 내지 980 ℃ 이다. 혼합 가스 (24) 의 온도가 800 ℃ 내지 1000 ℃ 이면, 철광석의 환원율은 충분하다. 또, 혼합 가스 (24) 의 온도가 1000 ℃ 이하이면, 환원에 의해 금속 철이 된 철 주변의 카본이 가스화에 의해 열화되어 강도가 떨어지지 않는다.
연소 가스 (23) 는 1000 ℃ 이상의 고온 연소 가스이기 때문에, 프레임 온도는 더욱 고온이 된다. 그 때문에 탄화수소계 가스를 함유하는 순환 가스를 프레임에 직접 접촉시켜 혼합하면 탄화수소계 가스의 분해에 의해 카본이 발생한다. 발생한 카본은 그을음으로서 석출되어 이송 가스관 내에 체적되어, 폐색 등의 트러블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그래서, 이 순환 가스 (22) 와 연소 가스 (23) 의 혼합은 연소 가스 프레임이 없는 혼합실 (25) 에 있어서, 건류로 (5) 에 도입하기 직전에 행해지고 있다. 이 경우, 이송 가스관 내에 있어서의 카본 석출은 거의 생기지 않는다.
여기서, 연소 가스 (23) 는 연소실 (16) 내에서 연소기 (17 ; 버너) 에 의해 연료 가스 (18) 를 연소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이 연소를 실시하는 연소용 공기는 연소 공기용 블로어 (19) 에 의해 공급되어, 연소용 공기 가열 장치 (20 ; 공기 예열기) 에 의해 예열된다. 또한, 상기 연료 가스 (18) 로는, 노 정상으로부터 발출된 가스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도 3 은, 연소용 공기에 산소를 부화하는 경우의 일 실시형태이고, 연소 공기용 블로어 (19) 에 의해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에 산소 (21) 를 부화하여 공급하고, 연소 가스 (23) 의 온도를 고온으로 하여, 순환 가스 (22) 에 대한 연소 가스 (23) 의 비율을 줄이고 있다. 연소용 공기의 산소 부화는 24 체적% 내지 50 체적%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7 체적% 내지 45 체적% 이다. 산소 부화가 24 체적% 보다 적은 공급에서는, 연소 가스 (23) 의 온도가 낮아져, 온도를 올리기 위해 연소량을 늘릴 필요가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건류로 내로 이송되는 CO2 농도를 억제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고, 산소 부화가 50 체적% 보다 많아지면 프레임 온도가 고온이 되어, 혼합 가스 (24) 의 온도를 목표 온도로 낮추기 위한 순환 가스 (22) 의 볼륨이 증가하는 등 효율적인 혼합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산소 부화란 연소 공기에 산소를 첨가했을 때의, 혼합 기체 전체에 대한 산소 농도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표 1 에, 도 2, 도 3 의 장치를 사용하여 건류로 (5) 내에 공급하는 혼합 가스 온도 (고온 가스 분사 우구 (7) 로부터 분사되는 고온 건류 가스 온도) 를 950 ℃ 로 했을 때의 혼합 가스 (24) 중의 성분 농도의 비교를 나타낸다.
Figure 112012004698273-pct00001
표 1 에 있어서, 「혼합 가스」, 「공기 예열 있음」과 「산소 부화 있음」은 이하를 나타내고 있다.
「혼합 가스」:공기 예열이나 산소 부화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의 혼합 가스 (24) 의 조성.
「공기 예열 있음」:도 2 의 장치를 사용하여 연소용 공기를 800 ℃ 로 예열했을 경우의 혼합 가스 (24) 의 조성.
「산소 부화 있음」:도 3 의 장치를 사용하여 연소용 공기에 산소를 40 체적% 부화했을 경우의 혼합 가스 (24) 의 조성.
연소용 공기를 예열하거나, 혹은 연소용 공기에 산소를 부화함으로써, 혼합 가스 (24) 중의 산화성 가스 성분 (CO2, H2O) 에 대한 환원성 가스 성분 (CO, H2) 이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 및 도 3 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에서는, 공기 예열과 산소 부화를 개별적으로 실시하고 있지만, 양자를 동시에 실시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페로코크스 성분의 산화에 의한 강도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건류로 바로 근처에서 고온 가스를 혼합한다는 점에서 이송 가스관이 카본에 의해 폐색되지 않아, 그을음 제거 공정을 형성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고온 건류 가스는 연속적으로 건류로에 도입되어 조업이 안정된다. 또한, 장치 자체도 종래에 비해 간단한 것이 되어, 설비비, 운전비에 대한 부담도 경감된다.
실시예 1
도 1 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한 수직형 건류로를 사용하고, 도 2, 도 3 의 설비를 사용하여 연소용 공기의 예열과 산소 부화를 실시하고, 공기 예열과 산소 부화의 조건을 변경하여 페로코크스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페로코크스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를 도 4 에 나타낸다.
도 4 에 있어서, 기호 ○, △, × 는 이하를 나타내고 있다.
기호 ○:강도가 통상적인 코크스에 비해 90 % 초과하는 페로코크스.
기호 △:강도가 통상적인 코크스에 비해 80 ~ 90 % 인 페로코크스.
기호 ×:강도가 통상적인 코크스에 비해 80 % 미만인 페로코크스.
혼합 가스 (24 ; 고온 가스 분사 우구 (7) 로부터 분사되는 고온 건류 가스) 의 가스 조성이 CO/CO2 가 0.5 이상, 또한 H2/H2O 가 2.5 이상인 경우에 고강도의 페로코크스가 얻어져, 혼합 가스를 CO/CO2 가 0.5 이상, 또한 H2/H2O 가 2.5 이상인 분위기로 제어함으로써, 페로코크스 성분의 산화에 의한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혼합 가스를 CO/CO2 가 0.8 이상, 또한 H2/H2O 가 3.0 이상인 분위기로 한 경우에는, 통상적인 코크스와 거의 동일한 정도의 강도를 갖는 페로코크스를 얻을 수 있었다.
1 … 성형물
2 … 저온 건류실
3 … 고온 건류실
4 … 냉각실
5… 수직형 건류로
6 … 저온 가스 분사 우구
7 … 고온 가스 분사 우구
8 … 냉각 가스 도입구
9 … 냉각 가스 배출구
10 … 페로코크스
11 … 가스 쿨러
12 … 순환 블로어
13 … 승압 블로어
14 … 고온 건류 가스 가열 장치
15 … 열 교환 장치
16 … 연소실
17 … 연소기
18 … 연료 가스
19 … 연소용 공기 블로어
20 … 연소용 공기 가열 장치
21 … 산소
22 … 순환 가스
23 … 연소 가스
24 … 혼합 가스
25 … 혼합실
30 … 건류실

Claims (8)

  1. 탄소 함유 물질과 철 함유 물질의 성형물을 건류하여 페로코크스를 제조하기 위한 수직형 건류로에 건류 가스를 불어 넣을 때에, 상기 건류로의 노 정상부로부터 배출되는 노 정상 배출 가스의 적어도 일부를 순환 가스로 하여 상기 건류 가스의 일부로서 사용하고, 상기 순환 가스와 연료 가스를 연소하여 얻은 연소 가스를 혼합하고, 그 혼합한 혼합 가스를 상기 건류 가스로서 불어 넣는 페로코크스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순환 가스와 상기 연소 가스의 혼합량을 조정하여 상기 혼합 가스의 조성을 페로코크스 성분의 환원 분위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코크스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연료 가스를 연소할 때에 상기 연료 가스에 혼합하는 공기를 예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코크스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연료 가스를 연소할 때에 상기 연료 가스에 혼합하는 공기에 산소를 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코크스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혼합 가스의 조성을, CO/CO2 가 0.5 이상, 또한 H2/H2O 가 2.5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코크스의 제조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27001435A 2009-07-29 2010-07-28 페로코크스의 제조 방법 KR1011419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75983 2009-07-29
JPJP-P-2009-175983 2009-07-29
JP2010160272A JP4666112B2 (ja) 2009-07-29 2010-07-15 フェロコークスの製造方法
JPJP-P-2010-160272 2010-07-15
PCT/JP2010/063141 WO2011013848A1 (ja) 2009-07-29 2010-07-28 フェロコークス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984A KR20120024984A (ko) 2012-03-14
KR101141989B1 true KR101141989B1 (ko) 2012-05-17

Family

ID=43529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1435A KR101141989B1 (ko) 2009-07-29 2010-07-28 페로코크스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460869B1 (ko)
JP (1) JP4666112B2 (ko)
KR (1) KR101141989B1 (ko)
CN (1) CN102471692B (ko)
BR (1) BRPI1011549A2 (ko)
WO (1) WO20110138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0003B2 (ja) * 2010-03-29 2012-01-2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竪型シャフト炉、及び該竪型シャフト炉を備えたフェロコークス製造設備、該フェロコークス製造設備を用いたフェロコークスの製造方法
CN110129500B (zh) * 2019-06-05 2020-09-15 东北大学 一种铁焦的制备方法和制备系统
CN110093503B (zh) * 2019-06-05 2020-11-24 东北大学 一种防止冷压铁焦炭化粘结的方法
CN110093467B (zh) * 2019-06-05 2020-07-17 东北大学 一种铁焦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2534A (en) * 1971-08-20 1977-01-11 Metallgesellschaft Aktiengesellschaft Continuous coking process
JP2005015701A (ja) 2003-06-27 2005-01-20 Jfe Steel Kk フェロコークス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41876C3 (de) * 1971-08-20 1982-01-21 Metallgesellschaf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Verkokung stückiger Brennstoffe mit Spülgasen
JPS5223102A (en) 1975-08-18 1977-02-21 Nippon Steel Corp Process for manufacturing formed coke
JPH0665579A (ja) * 1992-08-19 1994-03-08 Nippon Steel Corp 冶金用成型コークス製造のための成型炭の原料配合方法
JP2774923B2 (ja) 1993-07-12 1998-07-09 川崎製鉄株式会社 竪型連続成形コークス製造装置における高温乾留ガス加熱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157766A (ja) * 1993-12-06 1995-06-20 Kawasaki Steel Corp 竪型成形コークス乾留炉の高温乾留熱ガス供給方法
CN1040131C (zh) * 1995-12-19 1998-10-07 祝朝晖 一种激活碳镁型炼铁球团
CN1158903A (zh) * 1996-12-03 1997-09-10 吕美竺 一种直接炼钢和炼铁用冷固球团的工业生产方法
CN1077602C (zh) * 1999-08-20 2002-01-09 方新贵 中温快速固结铁焦团矿的制造方法及干燥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2534A (en) * 1971-08-20 1977-01-11 Metallgesellschaft Aktiengesellschaft Continuous coking process
JP2005015701A (ja) 2003-06-27 2005-01-20 Jfe Steel Kk フェロコークス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60869A1 (en) 2012-06-06
BRPI1011549A2 (pt) 2016-03-29
EP2460869A4 (en) 2014-06-11
EP2460869B1 (en) 2017-09-06
WO2011013848A1 (ja) 2011-02-03
CN102471692B (zh) 2013-12-25
CN102471692A (zh) 2012-05-23
JP4666112B2 (ja) 2011-04-06
JP2011046927A (ja) 2011-03-10
KR20120024984A (ko)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05107A1 (ja) 高炉の操業方法
KR101857790B1 (ko) 코크스 오븐가스와 산소 제강로가스를 이용하여 산화철을 금속철로 환원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JP3766553B2 (ja) 高温酸素高炉イン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US20100313711A1 (en) Method for the melting of pig iron with the recirculation of blast furnace gas and with the addition of hydrocarbons
KR101141989B1 (ko) 페로코크스의 제조 방법
US3033673A (en) Process of reducing iron oxides
JP5717754B2 (ja) 高炉熱風炉を加熱する方法
JP6354962B2 (ja) 酸素高炉の操業方法
JP2002060254A (ja) シャフト式石灰焼成炉および生石灰の製造方法
DE60332914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melzflüssigem eisen
JP6777894B2 (ja) 酸素高炉設備およびその酸素高炉設備を用いた銑鉄の製造方法
JP2018070952A (ja) 高炉操業方法及び高炉設備
JP6922864B2 (ja) 銑鉄製造設備およびそれを用いた銑鉄製造方法
JP5504654B2 (ja) 成型コークスの製造方法
US2146625A (en) Method for reducing metal oxides
JP6919632B2 (ja) 銑鉄製造設備およびそれを用いた銑鉄製造方法
US156243A (en) Improvement in reducing ores
WO2022209013A1 (ja) 還元鉄の製造方法および還元鉄の製造装置
EP2527772B1 (en) Heating apparatus
US816973A (en) Gas producing and consuming apparatus.
GB2437958A (en) Operating ferrous and non-ferrous bast furnaces
JP2012167156A (ja) フェロコーク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H04110405A (ja) 高炉操業方法
CN115135781A (zh) 烧结矿的制造方法
JP2015157979A (ja) 焼結鉱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