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013B1 - 압연기의 오차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압연기의 오차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013B1
KR101141013B1 KR1020090026026A KR20090026026A KR101141013B1 KR 101141013 B1 KR101141013 B1 KR 101141013B1 KR 1020090026026 A KR1020090026026 A KR 1020090026026A KR 20090026026 A KR20090026026 A KR 20090026026A KR 101141013 B1 KR101141013 B1 KR 101141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error
image
rolling mill
ro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7766A (ko
Inventor
신현장
이중헌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6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013B1/ko
Publication of KR20100107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1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roll-gap, e.g. pass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51/00Measuring, gauging, indicating, counting, or mar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r manipulation of material in accordance with subclasses B21B - B21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1/00Mill stand parameters
    • B21B2271/02Roll gap, screw-down position, draft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기의 오차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연기의 각 압연롤에 대한 위치 오차를 측정하기 위한 압연기의 오차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의 오차측정 장치는 복수의 압연롤로 구성된 압연기의 압연재 배출방향에서 압연롤 전체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촬영 수단; 이미지 촬영 수단에서 출력된 촬영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 저장부에 기 설정된 기준 이미지를 비교하여 복수의 압연롤들 중 각각의 압연롤에 대한 위치 오차를 측정하는 오차 측정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형강, 압연롤, 오차, 보정

Description

압연기의 오차측정 장치{APPARATUS FOR ERROR MEASURING OF ROLLING MILL FOR SECTION SHAPE STEEL}
본 발명은 압연기의 오차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연기의 각 압연롤에 대한 위치 오차를 측정하기 위한 압연기의 오차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공정은 강편 또는 연주공정에서 제조된 빌렛과 같은 반제품을 압연기에 강제로 통과시켜 선재, 형강, 파이프 등과 같은 소정 형상의 압연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이다. 그리고 형강을 생산하는 압연공정에서는, 압연기를 통과하는 압연재의 압연율을 미리 산출하여 압연기의 상하 또는 좌우 압연롤의 위치를 배치하게 된다. 즉, 압연기를 통과할 때 압연롤에 의해서 수축되는 단면감소율을 예측하여 반제품으로부터 원하는 형상의 강재를 생산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압연공정, 특히 상하좌우 압연롤을 갖는 압연기에 의해서 압연을 수행할 때, 압연기의 압연롤을 통과하는 압연재의 압연율을 예측하여 압연롤이 배치되지만, 실제로 압연롤을 통과하는 압연재의 단면이 원하는 형상으로 압연되는 지 여부를 아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종래의 압연공정시 압연불량이 압연 도중에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지를 알 수 없으므로, 추후에 동일한 원인에 의하여 압연불량이 발생하여도 이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또한 압연불량이 발생하여 압연공정이 중단되는 사태가 추후에도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종래에도 압연롤의 위치를 센서로 감지할 수는 있었으나 각각의 압연롤에 대한 계략적인 위치만 알 수 있을 뿐 전체 압연롤의 배치를 파악하는 것이 어려웠고, 이로 인해 압연제품의 형상 정밀도를 저하시키고 오차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형강 압연중에 비전 시스템을 이용해서 압연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압연롤의 위치와 오차 성분을 통해 형상오차를 측정하는 압연기의 오차측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연롤의 위치에 따른 형상오차의 측정 결과에 따라 실시간으로 보정하도록 하는 압연기의 오차측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의 오차측정 장치는 복수의 압연롤로 구성된 압연기의 압연재 배출방향에서 압연롤 전체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촬영 수단; 이미지 촬영 수단에서 출력된 촬영 이미지와 기 준 이미지 저장부에 기 설정된 기준 이미지를 비교하여 복수의 압연롤들 중 각각의 압연롤에 대한 위치 오차를 측정하는 오차 측정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오차 측정 제어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차 측정 제어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근거로 복수의 압연롤들 각각에 대한 위치 보정값을 설정하고, 그 위치 보정값에 따라 해당 압연롤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동 제어하는 보정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미지 촬영 수단은, 압연재의 배출방향에서 촬영하도록, 이동부를 매개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 이상의 카메라는, 복수의 압연롤을 동시에 촬영하도록 이동부를 매개로 서로 동기되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차 측정 제어부는, 촬영이미지와 기준 이미지를 대응시켜 기준이미지에 배치된 압연롤과 촬영이미지에 배치된 압연롤 사이의 간격을 이용하여 오차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형강 압연중에 비전 시스템을 이용해서 압연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압연롤의 위치와 오차 성분을 통해 형상오차를 측정함으로써 압연제품의 불량 발생 여부 및 발생 원인을 도출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연롤의 위치에 따른 형상오차의 측정 결과에 따라 실시간으로 보정 하도록 함으로써 압연을 위한 압연롤 위치 선정에 따른 사전 준비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연롤의 정확한 위치 보정을 통해 형강의 형상 정밀도와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증가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 오차측정 장치의 설치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 오차측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기준 이미지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촬영 이미지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촬영이미지 및 기준이미지를 비교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압연기(1)는 압연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강편 또는 연주공정에서 제조된 빌렛과 같은 압연재(2)를 압연롤(10, 11)로 가압하여 선재, 형강, 파이프 등과 같은 소정 형상의 압연제품을 생산하도록 배치된다. 압연기(1)는 압연 라인을 따라 통과되는 압연재(2)의 압연율을 미리 산출하여 복수의 압연롤의 위치를 미리 산정하여 동작되게 된다. 이에 따라 압연기(1)를 통과할 때 복수의 압연롤(10, 11)에 의해서 수축되는 단면감소율을 예측하여 반제품으로부터 원하는 형상의 강재를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압연기(1)의 구성은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1) 오차측정 장치는 상술한 압연기(1)의 출측 압연라인 상에 배치되어, 압연기(1)의 복수의의 압연롤(10, 11)들을 촬영하여 촬영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촬영 수단(110)을 포함하게 된다.
이미지 촬영 수단(110)은 압연기(1)에서 압연 동작시 구동되는 압연롤들(10, 11)을 촬영하도록 이동부를 매개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미지 촬영 수단(110)은 압연기(1)의 복수의 압연롤(10, 11)들을 촬영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카메라(111)를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이미지 촬영 수단(110)은 압연시 발생하는 열 또는 분진 등을 차단하도록 방열 및 방진을 위한 하우징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동부는 모터 또는 밸트 풀리 등의 방식으로 카메라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압연기(1)를 통해 압연공정 진행시 복수의 압연롤(10, 11)로 통과하는 압연재(2)의 압연율을 예측하여 압연롤을 정해진 위치에 배치시키게 된다. 그러나 압연롤들은 압연진행시 내외부의 영향으로 정해진 위치에서 벗어나는 일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실제로 압연롤(10, 11)을 통과하는 압연재(2)의 단 면이 원하는 형상을 상실하여 불량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압연기(1) 오차측정 장치는 상술한 이미지 촬영 수단(110)에서 촬영된 압연롤(10, 11)에 대한 촬영이미지를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여 압연롤(10, 11)에 대한 위치 오차를 측정한다. 이러한 압연기(1)의 압연롤 오차를 통해 작업자는 실시간으로 압연재(2)에 대한 압연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압연공정시 압연불량이 압연 도중에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지를 알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압연기(1)의 전체 압연롤의 배치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연제품의 형상 정밀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1) 오차측정 장치는 이미지 촬영 수단(110), 기준 이미지 저장부(120), 오차 측정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미지 촬영 수단(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압연롤로 구성된 압연기(1)의 압연재 배출방향에서 압연롤 전체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여 촬영이미지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이미지 촬영 수단(110)은 압연기(1)를 통과하는 압연재를 가압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압연롤(10, 11)들 각각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여 하나의 촬영이미지로 출력하게 된다.
또, 이미지 촬영 수단(110)은 압연기(1)에서 압연 진행시 압연롤(10, 11)에 대한 촬영이미지를 촬영하고, 그 생성된 촬영이미지를 처리하여 압연롤(10, 11)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단순화한 이미지, 예컨대, 압연롤의 표면 윤곽 이미지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촬영 수단(110)은 압연재의 배출방향에서 촬영하도록 이동부를 매개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111), 카메라(111)를 통해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처리하는 영상 소프트웨어(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동부는 모터 또는 밸트 풀리 등의 방식으로 카메라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카메라(111)는 압연기(1)의 압연진행시 압연재의 배출방향에서 복수의 압연롤(10, 11)을 동시에 촬영하도록 이동부를 매개로 동기되어 전체 압연롤에 대한 촬영이미지를 획득한다.
또한, 이미지 촬영 수단(110)은 압연기(1)의 압연롤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할 때 압연롤의 이동 방향과 수직으로 해당 압연롤을 촬영하여 촬영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연롤을 촬영한 촬영이미지는 촬영 각도에 따라 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왜곡량을 보상 처리할 수 있다.
기준 이미지 저장부(120)는 이미지 촬영 수단(110)에서 생성된 촬영이미지와 비교하기 위한 기준 이미지를 저장한다. 기준 이미지는 압연기(1)에서 원하는 형상의 압연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압연롤(10, 11)의 정해진 배치 상태를 미리 촬영하여 생성하게 된다. 즉, 기준 이미지는 상술한 압연재(2)의 압연율을 미리 산출하여 상하 또는 좌우 압연롤의 위치를 미리 산정하여 배치된 상태의 촬영이미지를 이용하게 된다.
오차 측정 제어부(130)는 이미지 촬영 수단(110)의 촬영이미지와 기준 이미지 저장부(120)의 기준 이미지를 비교하여 복수의 압연롤 각각에 대한 위치 오차를 측정한다. 오차 측정 제어부(130)는 이미지 촬영 수단(110)에서 생성된 촬영이미지를 수신하게 되면, 기준 이미지 저장부(120)에서 기준 이미지를 읽어들인다. 그리고 오차 측정 제어부(130)는 기준 이미지와 촬영이미지를 비교하게 된다. 이를 통해 오차 측정 제어부는 좌우 또는 상하 압연롤 각각에 대한 정해진 위치와 현재 위치와 차이를 산출하여 압연롤의 위치 오차를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압연롤의 위치 오차를 통해 압연기(1)에서 반제품을 압연시 발생하는 압연제품에 대한 압연 오차를 예상할 수 있게 된다.
또, 오차 측정 제어부(130)는 압연기(1)의 오차 측정 결과 데이터를 저장 수단(미도시) 등에 저장하고, 그 결과 데이터는 이후 압연된 압연재(2)의 오차 발생시 원인 규명에 이용하게 된다.
또한, 오차 측정 제어부(130)는 압연기(1)의 오차 측정 결과를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오차 측정 제어부(130)는 압연기(1)의 압연롤에 대한 현재 배치 위치를 표시하고, 측정된 압연롤의 위치 오차를 함께 표시하게 된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압연기(1)에서 진행되는 압연 상황을 인지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오차 측정 제어부(130)에서 측정된 오차 측정값을 근거로 해당 압연롤의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 제어부(150)를 추가로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보정 제어부(150)는 오차 측정 제어부(130)에서 생성된 측정결과를 근거로 압연기(1)의 압연롤들에 대한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을 설정하고, 그 설정된 보정값에 따라 해당 압연롤들의 위치를 보정하여 압연기(1)의 압연시 오차를 방지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오차 측정 제어부(130)에 의한 압연롤 위치 제어 방식은 당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공지된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기준이미지의 예를 설명하면, 기준이미지(30)는 촬영이미지(20)와 비교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되는데, 압연기(1)에서 원하는 형상의 압연제품(2)을 생산하기 위한 상하 압연롤(31, 32) 또는 좌우 압연롤(33, 34)의 정해진 위치를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제시된 기준이미지(30)는 형강을 제조하는 압연기(1), 예컨대 유니버셜 밀의 상하 및 좌우 압연롤의 경우를 예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촬영이미지의 예를 설명하면, 촬영이미지(20)는 압연기(1)에서 압연 진행시 현재 위치하는 상하 압연롤(21, 22) 또는 좌우 압연롤(23, 24)의 배치 위치를 촬영하여 생성된 이미지이다. 이처럼 압연기에서 압연 진행시 내외부의 영향으로 압연롤의 배치가 틀어지게 되면 원하는 형상의 압연제품을 제조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제시된 촬영이미지는 형강을 제조하는 압연기(1), 예컨대 유니버셜 밀의 상하 및 좌우 압연롤의 경우를 예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오차측정 예를 설명하면, 상술한 촬영이미지(20)와 기준 이미지(30)를 겹쳐서 기준이미지(30)에 배치된 상하 압연롤(21, 22) 또는 좌우 압연롤(23, 24)과 촬영이미지(20)에 배치된 상하 압연롤(31, 32) 또는 좌우 압 연롤(33, 34)과의 간격을 산출하여 오차를 측정하게 된다. 즉, 기준이미지(30)에 배치된 상하 압연롤(21, 22)과 촬영이미지(20)에 배치된 상하 압연롤(31, 32) 과의 간격(c, d)을 측정하여 상하 압연롤의 오차를 측정한다. 또 기준이미지(30)에 배치된 좌우 압연롤(23, 24)과 촬영이미지(20)에 배치된 좌우 압연롤(33, 34)과의 간격(a, b)을 측정하여 좌우 압연롤의 오차를 측정한다. 여기서, 제시된 촬영이미지(20)와 기준이미지(30)는 형강을 제조하는 압연기(1), 예컨대 유니버셜 밀의 상하 및 좌우 압연롤의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 오차측정 장치에 의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1) 오차측정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압연기(1)를 통과하는 압연재(2)를 복수의 압연롤을 통해 가압하여 압연을 개시함에 따라, 이미지 촬영 수단(110)은 압연기(1)의 일면에서 촬영하여 촬영이미지를 생성한다(S10). 이러한 촬영이미지(20)는 압연롤 전체에 대한 위치를 모두 포함하도록 촬영하게 된다.
이어, 오차 측정 제어부(130)는 기준 이미지 저장부(120)에 저장된 해당 기준이미지(30)를 읽어들여서 이미지 촬영 수단(110)의 촬영이미지(20)와 비교한다. 오차 측정 제어부(130)는 촬영이미지(20)와 기준이미지(30)를 비교시 서로 대비시켜 비교하게 된다. 이러한 이미지간의 비교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오차 측정 제어부(130)는 촬영이미지(20)와 기준이미지(30)를 비교한 결과 서로 상이한 경우 압연기(1)에서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오차를 측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술한 촬영이미지(20)와 기준 이미지(30)를 겹쳐서 기준이미지(30)에 배치된 상하 압연롤(21, 22) 또는 좌우 압연롤(23, 24)과 촬영이미지(20)에 배치된 상하 압연롤(31, 32) 또는 좌우 압연롤(33, 34)과의 간격을 산출하여 오차를 측정하게 된다. 즉, 기준이미지(30)에 배치된 상하 압연롤(21, 22)과 촬영이미지(20)에 배치된 상하 압연롤(31, 32) 과의 간격(c, d)을 측정하여 상하 압연롤의 오차를 측정한다. 또 기준이미지에 배치된 좌우 압연롤(23, 24)과 촬영이미지에 배치된 좌우 압연롤(33, 34)과의 간격(a, b)을 측정하여 좌우 압연롤의 오차를 측정한다.
여기서, 오차 측정 제어부(130)는 오차 측정결과를 표시부(140)의 화면상에 표시하여 압연기(1)의 압연 상황을 제공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보정 제어부(150)는 오차 측정 제어부(130)에서 생성된 측정결과를 근거로 압연기(1)의 압연롤들에 대한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을 설정하고, 그 설정된 보정값에 따라 해당 압연롤들의 위치를 보정하여 압연기(1)의 압연시 오차를 방지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형강 압연중에 비전 시스템을 이용해서 압연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압연롤의 위치와 오차 성분을 통해 형상오차를 측정함으로써 압연제품의 불량 발생 여부 및 발생 원인을 도출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연롤의 위치에 따른 형상오차의 측정 결과에 따라 실시간으로 보정하도록 함으로써 압연을 위한 압연롤 위치 선정에 따른 사전 준비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연롤의 정확한 위치 보정을 통해 형강의 형상 정밀도와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증가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 오차측정 장치의 설치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 오차측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기준 이미지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촬영 이미지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촬영이미지 및 기준이미지를 비교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 오차측정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 압연기 2 : 압연재
10, 11: 압연롤 20 : 촬영이미지
30 : 기준이미지 110 : 이미지 생성수단
111 : 카메라 120 : 기준 이미지 저장부
130 : 오차 측정 제어부 140 : 표시부
150 : 보정 제어부

Claims (6)

  1. 복수의 압연롤로 구성된 압연기의 압연재 배출방향에서 상기 압연롤 전체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촬영 수단;
    상기 이미지 촬영 수단에서 출력된 촬영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 저장부에 기 설정된 기준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압연롤들 중 각각의 압연롤에 대한 위치 오차를 측정하는 오차 측정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는 압연 진행시 현재 위치하는 상하 압연롤 또는 좌우 압연롤의 배치 위치를 측정하여 생성된 이미지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오차측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차 측정 제어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오차측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차 측정 제어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압연롤들 각각에 대한 위치 보정값을 설정하고, 그 위치 보정값에 따라 해당 압연롤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동 제어하는 보정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오차측정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촬영 수단은,
    상기 압연재의 배출방향에서 촬영하도록, 이동부를 매개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오차측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는,
    상기 복수의 압연롤을 동시에 촬영하도록 상기 이동부를 매개로 서로 동기되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오차측정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측정 제어부는,
    촬영이미지와 기준 이미지를 대응시켜 상기 기준이미지에 배치된 압연롤과 상기 촬영이미지에 배치된 압연롤 사이의 간격을 이용하여 오차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오차측정 장치.
KR1020090026026A 2009-03-26 2009-03-26 압연기의 오차측정 장치 KR101141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026A KR101141013B1 (ko) 2009-03-26 2009-03-26 압연기의 오차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026A KR101141013B1 (ko) 2009-03-26 2009-03-26 압연기의 오차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766A KR20100107766A (ko) 2010-10-06
KR101141013B1 true KR101141013B1 (ko) 2012-05-02

Family

ID=4312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026A KR101141013B1 (ko) 2009-03-26 2009-03-26 압연기의 오차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0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599B1 (ko) * 2010-12-22 2013-01-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선재 롤 진입각도 산출이 가능한 선재 롤 자동 교체 시스템 및 자동 교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030A (ja) * 1982-07-26 1984-01-31 Hitachi Ltd 穴型ずれ測定装置
JP2000237808A (ja) * 1999-02-19 2000-09-05 Kawasaki Steel Corp 条鋼用圧延ロールのロール位置調整方法及びロール位置調整用ガイダンス装置
JP2008126244A (ja) * 2006-11-17 2008-06-05 Jfe Steel Kk 芯ズレ検出方法、検出設備、及び圧延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030A (ja) * 1982-07-26 1984-01-31 Hitachi Ltd 穴型ずれ測定装置
JP2000237808A (ja) * 1999-02-19 2000-09-05 Kawasaki Steel Corp 条鋼用圧延ロールのロール位置調整方法及びロール位置調整用ガイダンス装置
JP2008126244A (ja) * 2006-11-17 2008-06-05 Jfe Steel Kk 芯ズレ検出方法、検出設備、及び圧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766A (ko)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1908B2 (ja) データ解析装置
JP5257998B2 (ja) シートロールの形状検査装置
JP5828817B2 (ja) 条鋼材の形状検査方法
KR101141013B1 (ko) 압연기의 오차측정 장치
KR100711408B1 (ko) 강판의 폭 온라인 측정 장치
KR101605004B1 (ko) 강판두께 및 스카핑 량 측정장치
JP2010145558A (ja) 液晶表示装置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KR102231141B1 (ko) 후판 압연판의 외관 검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후판 압연판의 외관 검사방법
CN112461143A (zh) 一种角钢检测装置和方法
KR101018124B1 (ko) 열간 압연 공정에서의 스트립의 사행 및 편파 레벨링 제어장치
KR101290424B1 (ko) 열화상을 이용한 압연소재의 변형량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53152B1 (ko)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측정 장치 및 방법
CN101377576A (zh) 液晶面板瑕疵点精确定位方法
KR100433256B1 (ko) 압연소재 단면형상 측정장치
JP4877734B2 (ja) 曲げ加工装置
CN112858329A (zh) 一种轴承异型环的影像检测方法
KR20110010501A (ko) 압연기의 판 속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74317A (ko) 슬라브의 형상 및 표면 측정장치 및 방법
JP6863449B2 (ja) 鋳造設備の作動方法及び作動装置
JP6889049B2 (ja) プレスブレーキ、および曲げ加工方法
JP2002066627A (ja) チューブミルライン及びロールフォーミングライン
JP2003207322A (ja) 画像検査システム
KR101204466B1 (ko) 주편 에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001065A (ja) 鋼材非圧下部幅検出装置及びその検出方法
KR100523099B1 (ko) 선재압연소재의 단면형상 측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