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826B1 -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패드 - Google Patents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826B1
KR101139826B1 KR1020107015570A KR20107015570A KR101139826B1 KR 101139826 B1 KR101139826 B1 KR 101139826B1 KR 1020107015570 A KR1020107015570 A KR 1020107015570A KR 20107015570 A KR20107015570 A KR 20107015570A KR 101139826 B1 KR101139826 B1 KR 101139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support surface
abrasive article
openings
interfac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1659A (ko
Inventor
머빈 청-팻
또마 보흐드
Original Assignee
생-고벵 아브라시프
생-고뱅 어브레이시브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생-고벵 아브라시프, 생-고뱅 어브레이시브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생-고벵 아브라시프
Publication of KR20100101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9/00Wheels or drums supporting in exchangeable arrangement a layer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 e.g. sandpaper
    • B24D9/08Circular back-plates for carrying flexible material
    • B24D9/085Devices for mounting sheets on a backing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24B45/003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24B55/10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 B24B55/102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with rotating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1Circular sheet or circular blank
    • Y10T428/218Aperture co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 Y10T428/24017Hook or bar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149Honeycomb-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Abstract

본 발명은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패드에 관한 것이다. 특정의 일 구현예에서는, 천공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패드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본원에 기술된 인터페이스 패드는 복수의 개구들과 하나 이상의 통로를 포함하여, 특정 구성의 개구들을 가진 연마용품과 분진 집진 개구들로 된 상이한 구성을 가진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인터페이스 패드는 복수의 개구들과 하나 이상의 통로를 포함하여, 어떠한 천공 연마용품과 분진 배출 능력을 지닌 어떠한 지지공구 사이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 패드를 포함하는 연마공구, 및 인터페이스 패드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Description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패드{INTERFACE PAD FOR USE BETWEEN AN ABRASIVE ARTICLE AND A SUPPORT TOOL}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07년 12월 31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009,631호의 이점을 청구한다.
상기 출원(들)의 전체 설명을 본원에 참조로써 통합한다.
본 발명은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패드에 관한 것이다.
연마용품은 특히 목재 상에서 사용될 때 다량의 분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연마 부스러기(swarf)라고도 알려진 이러한 분진은 불편할 뿐 아니라, 연마대상 표면의 시야를 가리며 사용되는 연마용품에 쌓일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제조업자들은 분진이 형성되는 대로 빨아 들이도록 설계된 진공 배기 시스템과 일체형으로 되거나 또는 쉽게 탈부착될 수 있는 공구류를 시판하고 있다. 이는 분진이 발생되는 대로 배출하기 위해 공구와 연마용품 모두를 통과하는 복수의 홀들(holes)을 마련하고, 연마용품이 부착된 공구의 후면에 진공압을 인가함으로써 통상 행해진다.
그러나 공구에 형성된 분진 배출 홀들의 패턴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하나의 특정 공구와 함께 사용하고자 하는 연마용품들이 다른 공구의 분진 배출 홀들과 종종 정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최적의 분진 추출을 위해서는, 연마용품 상의 홀들과 연마용품 지지공구 상의 홀들이 동일하며 완벽히 정렬될 필요가 있다. 통상, 사용자는 성능의 손실 없이 기존의 공구를 유지하면서 연마용품 상의 홀 구조를 변경할 수는 없다. 대등한 성능을 유지하거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공구들을 완전히 바꾸어야 할 것이다.
현재, 서로 조화되지 않는 많은 홀 구조들이 시판 중이다. 이는 자체제작("DIY") 시장에 판매하는 소매업자가 그의 모든 고객들의 요구사항들을 들어줄 수 있으려면 모든 그릿 크기에 대해 적어도 2종의 상이한 연마용품들을 비축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소중한 선반 공간을 낭비하는 것으로, 교체용 연마재가 비축되어야 하는 다수 DIY 용품들의 숫자가 증가됨에 따라 매우 불편하게 된다.
본 발명은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패드에 관한 것이다.
특정의 일 구현예에서는, 천공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패드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본원에 기술된 인터페이스 패드는 복수의 개구들과 하나 이상의 통로를 포함하여, 특정 구성의 개구들을 가진 연마용품과 분진 집진 개구들로 된 상이한 구성을 가진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인터페이스 패드는 복수의 개구들과 하나 이상의 통로를 포함하여, 인터페이스 패드가 연마용품과, 연마용품에 형성된 개구들의 배향을 지지공구의 개구들의 배향에 대해 위치변경하는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인터페이스 패드는 복수의 개구들과 하나 이상의 통로를 포함하여, 어떠한 천공 연마용품과, 분진 배출 능력을 지닌 어떠한 지지공구 사이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연마용품(예컨대, 천공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패드는: 복수의 개구들을 한정하는 연마용품 지지면(backing surface);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한정하는, 복수의 섬들; 및 복수의 섬들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공구 지지면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연마용품(예컨대, 천공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패드는: 복수의 개구들을 한정하는 연마용품 지지면; 연마용품 지지면의 가장자리 하부에 위치되는 제1 지지 구조체;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되며 복수의 제1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한정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 지지 구조체; 및 복수의 제2 개구들을 한정하되 이들 중 둘 이상은 하나 이상의 통로와 또한 유체 소통을 이루며, 적어도 제1 지지 구조체에 고정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공구 지지면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연마용품(예컨대, 천공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패드는: 복수의 개구들을 한정하는 연마용품 지지면;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한정하는, 통로 보유층; 및 통로 보유층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공구 지지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연마용품, 본원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 패드, 및 지지공구를 포함하는 연마공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에서, 연마공구는 복수의 제1 개구들을 한정하는 천공 연마용품; (i) 복수의 제2 개구들을 한정하는 연마용품 지지면과, (ii)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2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한정하는 복수의 섬들과, (iii) 복수의 섬들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공구 지지면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패드; 및 복수의 제3 개구들을 한정하는 지지공구를 포함하며, 여기서 인터페이스 패드는 천공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연마공구는 복수의 제1 개구들을 한정하는 천공 연마용품; (i) 복수의 제2 개구들을 한정하는 연마용품 지지면과, (ii)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2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한정하는 통로 보유층과, (iii) 통로 보유층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공구 지지면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패드; 및 복수의 제3 개구들을 한정하는 지지공구를 포함하며, 여기서 인터페이스 패드는 천공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되는 인터페이스 패드를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연마용품에 형성된 천공들을 지지공구에 형성된 분진 집진 홀들과 충분히 정렬시키는 작업이 어렵거나 불가능하기 때문에 특정 지지공구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이전에는 효과적이지 않았던 연마용품들을 이제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패드는 가공면으로부터의 분진이 인터페이스 패드를 통과하여 지지공구에 의해 제공된 분진 집진 시스템 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기능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인터페이스 패드는 복수의 개구들과 하나 이상의 통로를 포함하여, 특정 구성의 개구들을 가진 연마용품과 분진 집진 개구들로 된 상이한 구성을 가진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인터페이스 패드는 어떠한 천공 연마용품과 분진 배출 능력을 지닌 어떠한 지지공구 사이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행함으로써, 기존 공구를 영구히 변경하지 않고도 향상된 분진 추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인터페이스 패드는, 그 자체의 개구들이 연마용품의 개구들 또는 지지공구의 개구들과 완벽히 정렬될 필요가 없도록 구성된다. 인터페이스 패드가 이와 같이 구성되면,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패드를 연마용품 또는 지지공구에 대해 적절히 배향시키는 것에 대해 염려할 필요가 없다. 개구들을 정확히 정렬시키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연마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오류의 심각성을 낮추는데 도움이 되며, 작업중단 시간을 줄이고 변함없는 연마 성능을 유지함으로써 상업적 공정들에서 효율성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일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스 패드는 특정의 평면, 취부면 또는 접착면을 갖는 지지공구 지지면과 연마용품 지지면을 포함함으로써, 평면, 취부면 또는 접착면을 가진 지지공구를 평면, 취부면 또는 접착면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에 의하면, 접착제가 도포된 지지공구 지지면과 후크 체결장치 연마용품 지지면을 가진 인터페이스 패드를 사용함으로써, 평면을 가진 지지공구를 루프 체결장치 구성요소가 구비된 연마용품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실행함으로써, 광범위한 연마용품 배열을 광범위한 지지공구 배열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하고 전술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개구를 한정하고 연마면 및 지지면을 가진 천공 연마용품을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키트는 또한 연마용품의 지지면에 고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패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 의하면, 천공 연마용품은 둘 이상의 개구를 한정한다. 선택적으로, 키트는 개구를 한정하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패드를 포함하며, 여기서 개구는, 인터페이스 패드가 지지면에 고정되는 경우에, 지지공구 지지면을 인터페이스 패드에 붙이면(apply) 연마용품의 천공들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유체 소통을 이루도록 한다. 다른 선택안으로서, 키트는 둘 이상의 인터페이스 패드들을 포함하며, 이들 인터페이스 패드가 지지면에 고정되고 지지공구가 인터페이스 패드들에 붙여지는 경우에, 인터페이스 패드들은 연마용품에 형성된 개구들 중 둘 이상의 개구들과 유체 소통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도관(conduit)을 한정한다.
본 발명에는 또한 하나 이상의 천공 연마용품(예컨대, 천공된 연마포지) 및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패드를 포함하는 키트가 포함될 수 있다. 키트는, 예를 들어, (a) 하나 이상의 천공 연마용품; 및 (b)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인터페이스 패드는: (i) 복수의 제2 개구들을 한정하는 연마용품 지지면; (ii)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2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한정하는, 복수의 섬들; 및 (iii) 복수의 섬들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공구 지지면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패드는 하나 이상의 천공 연마용품과, 복수의 제3 개구들을 한정하는 지지공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지지공구를 이용하여 천공 연마용품(예컨대, 천공된 연마포지 용품)을 사용하는 방법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2 개구들을 한정하는 지지공구를 이용하여 복수의 제1 개구들을 한정하는 천공 연마용품을 사용하는 방법은 본원에 기술된 인터페이스 패드를 천공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 기술되는 연마 공구들을 이용하여 표면을 연마하는 방법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가공면이 연마공구와 접촉되어 연마 부스러기가 생성된다. 이러한 부스러기는 연마용품과 인터페이스 패드를 통과하여 지지공구 내로 전달될 수 있다.
이전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화를 이룰 수 없었던 연마용품과 지지공구를 결합하는데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패드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인터페이스 패드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간직하고 있어야 하는 연마용품 또는 지지공구 비축품을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인터페이스 패드가 제공할 수 있는 보편적 상호 조화성 덕분에, 대체 연마용품들과 지지공구류를 공급하는 상점들은 연마용품들 또는 지지공구류 재고를 적게 보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내용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의 보다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고, 여기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상이한 도면 전반에서 동일한 부품들을 가리킨다. 이들 도면이 반드시 실제 크기에 비례하는 것은 아니며, 대신 본 발명의 구현예들을 예시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패드의 사시도들로서, 도 2a는 지지공구 지지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b는 연마용품 지지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패드의 도면들로서, 복수의 원호(arc)형 개구들을 가진 지지공구 지지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3a와 도 3b은 지지공구 지지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3c와 도 3d는 연마용품 지지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패드의 도면들로서, 도 4a와 도 4b는 지지공구 지지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4c와 도 4d는 연마용품 지지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패드의 도면들로서, 도 5a와 도 5b는 지지공구 지지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5c와 도 5d는 연마용품 지지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일 구현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패드 일부의 단면도들로서, 도 6a는 통로 보유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b와 도 6c는 연마용품 지지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패드 일부의 단면도들로서, 도 7a와 도 7b는 통로 보유층을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7c와 도 7d는 연마용품 지지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예비로 마련됨.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패드의 도면으로서, 복수의 원호형 개구들을 가진 지지공구 지지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일부 구성된 인터페이스 패드의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0a와 도 10b의 일부 구성된 인터페이스 패드를 포함하여 일부 구성된 다른 인터페이스 패드이다.
도 12a와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패드의 도면들이다.
도 13a와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패드의 도면들이다.
도 14a와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키트의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을 이하 설명한다.
일 구현예에서, 천공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패드는: (a) 복수의 개구들을 한정하는 연마용품 지지면; (b)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한정하는, 복수의 섬들(islands); 및 (c) 복수의 섬들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공구 지지면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연마용품 지지면"이란 어구는 연마용품이 고정될 수 있는 지지면을 가리킨다. 연마용품 지지면은, 예를 들어 평면, 후크-앤드-루프 시스템과 같은 취부면(gripping surface), 또는 접착면일 수 있다. 특정 유형의 연마용품에 고정되도록 연마용품 지지면을 적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 구현예에 의하면 연마용품은 후크 또는 루프 체결장치(fastenr)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연마용품 지지면은 이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후크 또는 루프 체결장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인터페이스 패드가 연마용품에 (예컨대, 중앙 너트 및 나사식 스핀들 시스템과 같은 체결장치를 통해) 물리적으로 고정되며, 연마용품 지지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 구현예에서는, 인터페이스 패드가 연마용품에 대해 움직이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마용품 지지면은 연마용품의 함몰부들 또는 돌출부들에 각각 대응하는 함몰부들 또는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연마용품 지지면은 연마용품 백업 패드용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소재들 중 임의의 것을 함유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연마용품 지지면은 예컨대 폴리우레탄과 같은 고분자 소재를 함유한다. 예를 들어, 연마용품 지지면은 예컨대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같은 고분자 발포체를 함유할 수 있다. 고분자 발포체는 밀폐셀(closed cell) 또는 개방셀(open cell) 고분자 발포체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연마용품 지지면은 고무(천연 또는 합성) 또는 고무와 유사한 소재를 함유한다.
일 구현예에서, 연마용품 지지면은 복수의 개구들을 한정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개구"란 용어는 홀(hole)과 같은 오프닝(opening)으로, 예를 들어 원형, 직사각형, 삼각형 또는 환형의 오프닝을 가리킨다. 세로로 긴 홀 또한 개구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연마용품 지지면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들 중 적어도 일부는 천공 연마용품에 형성된 천공들 중 적어도 일부와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연마용품 지지면은 또한 어떠한 천공 연마용품이든지 그 천공들의 적어도 일부와 정렬되도록 구성된 충분한 크기의 개구를 다수 가지고 있다.
연마용품 지지면에 의해 한정된 개구들은 연마용품 지지면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지지면은 또한 하나 이상의 대칭축에 대해 대체로 대칭을 이루는 개구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크형 연마용품 지지면은 대체로 방사형으로 대칭을 이루는 개구들(예컨대, 원형, 직사각형, 삼각형, 환형, 세로로 긴 개구들 또는 원호형 개구들)을 가질 수 있다. 직사각형 지지면은 예를 들어 세로(longitudinal) 대칭축에 대해 대체로 대칭을 이루는 개구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패드는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섬들을 가질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섬"이란 용어는 기타 구조와 측면 접촉이 거의 없거나 아예 없는 구조를 가리킨다. "섬"이란 용어에는 환형 구조들이 포함된다. 이들 섬은 연마용품 지지면에 의해 한정된 복수의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통로를 하나 이상 한정한다. 바람직하게, 개구들 및 통로들은, 연마 공정 도중에 생성된 부스러기가 연마용품 지지면의 개구들과, 통로들을 통해 효과적으로 이송되어 지지공구의 분진 추출 시스템에 이르도록 구성된다.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섬들에는 연마용품 지지면의 가장자리 아래에 위치되는 섬이 포함된다. 일례로, 연마용품 지지면은 디스크형이며,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섬들에는 대체로 환형이며 디스크형 연마용품 지지면의 가장자리(즉, 원주) 아래에 위치되는 섬이 포함된다. 연마용품 지지면의 가장자리 아래에 위치되는 섬은,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보통 인터페이스 패드의 가장자리로부터 인터페이스 패드의 중심부쪽으로 연장되는 반도형 돌기(peninsular)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연마용품 지지면 하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반도형 돌기들은 연마용품 지지면에 의해 한정된 복수의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통로들을 한정한다.
일 구현예에서, 복수의 섬들은 연마용품 지지면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들 각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복수의 통로들을 한정한다. 이들 통로는 상호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복수의 섬들은 다른 통로들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연결통로를 하나 이상 한정하기도 한다. 일부 경우에, 복수의 개구들은 단일 통로를 통하여 유체 소통을 이룬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는, 둘, 셋, 넷, 다섯 또는 그 이상의 개구들이 단일 통로를 통해 유체 소통을 이룬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통로가 연마용품 지지면에 의해 한정된 개구들 중 셋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연마용품 지지면에 의해 한정된 개구들의 대부분 또는 실질적으로 모두는 섬들에 의해 한정된 하나 이상의 통로를 통해 서로 유체 소통을 이룬다. 기타 구현예에서, 연마용품 지지면에 의해 한정된 개구들 모두는 섬들에 의해 한정된 하나 이상의 통로를 통해 서로 유체 소통을 이룬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통로는 구부러져 있지 않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통로는 대체로 직선형으로, 주목할 만하게 비틀어지거나, 휘거나 꺾여있지 않다. 일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통로는 구부러져 있지 않으며, 그 통로에는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는 비틀린 부분, 휜 부분 또는 꺾인 부분이 없다. 그러나,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구부러져 있지 않은"이란 용어를 통해서 대체로 직선 분지형인 통로들을 제외시키고자 함은 아니다. 특정의 일 구현예에서는, 복수의 섬들이 하나 이상의 분지형 통로를 한정한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복수의 섬들이 분지형 및 직선형 통로들을 한정한다.
일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스 패드는 디스크형이며, 복수의 섬들은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동심형 리지들(ridges)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적어도 섬들의 일부는 대체로 환형이며 동심형으로 배열된다. 일부 디스크형 인터페이스 패드에서는, 복수의 섬들이 복수의 동심형 통로들을 한정한다. 예를 들어, 일례로, 복수의 섬들은 복수의 동심형 통로들을 한정하는 동심형 리지들을 포함한다. 디스크형 인터페이스 패드는 둘 이상의 동심형 통로들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연결통로를 한정하기도 하는 복수의 섬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크형 인터페이스 패드는에는 둘 이상의 동심형 통로들과 유체 소통을 이루며 대체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통로를 한정하는 섬들이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섬들에 의해 한정된 통로들은 인터페이스 패드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크형 인터페이스 패드는 패드의 중심부에 대해 대체로 대칭을 이루는 통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스 패드는 하나 이상의 대칭축에 대해 대체로 대칭을 이루는 통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 인터페이스 패드는 하나 이상의 세로 대칭축에 대해 대체로 대칭을 이루는 통로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 도중에 인터페이스 패드가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서, 통로들의 대칭성은 스핀용 인터페이스 패드들에게 특히 중요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섬들에 의해 한정된 하나 이상의 통로는 지지공구에 의해 한정된 하나 이상의 분진 집진 개구와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스 패드는 동심형 통로들을 포함하며, 그 중 하나 이상의 동심형 통로는 지지공구에 의해 한정된 분진 집진 개구들과 정렬되도록 방사상으로 위치된다.
복수의 섬들은 연마용품 백업 패드에 사용되는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소재들 중 임의의 것을 함유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들 섬은 예컨대 폴리우레탄과 같은 고분자 소재를 함유한다. 예를 들어, 섬들은 예컨대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같은 고분자 발포체를 함유할 수 있다. 고분자 발포체는 밀폐셀 또는 개방셀 고분자 발포체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섬들은 고무(천연 또는 합성) 또는 고무와 유사한 소재를 함유한다. 그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복수의 섬들은 종이, 목재, 금속 및 플라스틱 소재 중 1종 이상을 함유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연성 소재가 강성소재보다 선호된다. 일부 구현예에서는, 연마용품 지지면과 섬들 양쪽 모두가 동일 소재를 함유한다.
일부 경우에, 연마용품 지지면과 복수의 섬들은 서로에 직접 인접하여 있다. 연마용품 지지면/섬 일체형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연마용품 지지면과 복수의 섬들을 만들 수 있으며, 예컨대 1종 이상의 소재들을 성형함으로써 연마용품 지지면/섬 일체형 구조체를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연마용품 지지면과 복수의 섬들은 1종 이상의 블랭크(blank) 소재들을 기계가공하여 제조된다.
연마용품 지지면과 복수의 섬들은 별개로 성형한 후 함께 접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제를 이용하여 복수의 섬들을 연마용품 지지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 많은 접착제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적용에 적합하다. 바람직한 구현예들에서, 접착제는 내열성 또는 전단저항성을 띠거나, 둘 다이다. 또한 접착제는 섬 또는 지지면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소재들과 혼화될 수 있어야 한다. 적합한 접착제의 예로는 접촉 접착제, 아크릴 접착제(예컨대,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 및 에폭시 접착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스 패드는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섬들을 갖는 통로 보유층을 포함한다. 복수의 섬들은 하나 이상의 통로를 한정한다. 일부 경우에, 통로 보유층은 복수의 섬들이 고정되는 기저부(base)를 포함할 수 있다. 통로 보유층은 연마용품 지지면에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연마용품 지지면과 일체화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패드는 또한 지지공구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지지공구 지지면"이란 구절은 지지공구가 고정될 수 있는 지지면을 가리킨다. 지지공구 지지면은 예를 들어 평면, 취부면 또는 접착면일 수 있다. 특정 유형의 연마용품에 고정되도록 연마용품 지지면을 적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 구현예에 의하면 지지공구는 연마용품은 후크 또는 루프 체결장치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지지공구 지지면은 이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후크 또는 루프 체결장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인터페이스 패드가 지지공구에 (예컨대, 중앙 너트 및 나사식 스핀들 시스템과 같은 체결장치를 통해) 물리적으로 고정되며, 지지공구 지지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 구현예에서는, 인터페이스 패드가 지지공구에 대해 움직이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공구 지지면은 지지공구의 함몰부들 또는 돌출부들에 각각 대응하는 함몰부들 또는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지지공구 지지면은 연마용품 백업 패드용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소재들 중 임의의 것을 함유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지지공구 지지면은 예컨대 폴리우레탄과 같은 고분자 소재를 함유한다. 예를 들어, 지지공구 지지면은 예컨대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같은 고분자 발포체를 함유할 수 있다. 고분자 발포체는 밀폐셀 또는 개방셀 고분자 발포체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지지공구 지지면은 고무(천연 또는 합성) 또는 고무와 유사한 소재를 함유한다. 그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지지공구 지지면은 종이, 목재, 금속 및 플라스틱 소재 중 1종 이상을 함유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연성 소재가 강성소재보다 선호된다. 일부 구현예에서는, 지지공구 지지면과 섬들 양쪽 모두가 동일 소재를 함유한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는, 연마용품 지지면, 섬들 및 지지공구 지지면이 동일 소재를 함유한다.
일부 경우에, 지지공구 지지면과 복수의 섬들은 서로에 직접 인접하여 있다. 지지공구 지지면/섬 일체형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지지공구 지지면과 복수의 섬들을 만들 수 있으며, 예컨대 1종 이상의 소재들을 성형함으로써 지지공구 지지면/섬 일체형 구조체를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지지공구 지지면은 복수의 섬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진 표면으로 성형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후크 또는 루프 체결장치 구성요소를 복수의 섬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진 표면으로 성형하여 지지공구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으로는, 후크 또는 루프 체결장치 구성요소를 복수의 섬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진 표면에 적층하거나 접착시켜 지지공구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지지공구 지지면과 복수의 섬들은 1종 이상의 블랭크 소재들을 기계가공하여 제조된다. 지지공구 지지면과 복수의 섬들은 별개로 성형한 후 함께 접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제를 이용하여 복수의 섬들을 지지공구 지지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 많은 접착제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적용에 적합하다. 바람직한 구현예들에서, 접착제는 내열성 또는 전단저항성을 띠거나, 둘 다이다. 또한 접착제는 섬 또는 지지면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소재들과 혼화될 수 있어야 한다. 적합한 접착제의 예로는 접촉 접착제, 아크릴 접착제(예컨대,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 및 에폭시 접착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의하면, 연마용품 지지면/섬 구조체를 형성하고 이를 지지공구 지지면에 접착시켜 인터페이스 패드를 형성한다.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지지공구 지지면/섬 구조체를 형성하고 이를 연마용품 지지면에 접착시켜 인터페이스 패드를 형성한다.
일 구현예에서,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섬들 중 하나는 연마용품 지지면의 가장자리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지지공구 지지면은 하부에 위치하여 연마용품 지지면의 가장자리 아래에 위치된 섬에 적어도 고정된다.
지지공구 지지면은 하나의 개구를 한정할 수 있으며, 일부 구현예에서는 복수의 개구를 한정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지지공구 지지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는 지지공구에 의해 한정된 하나 이상의 개구(예컨대, 분진 집진 개구)와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지지공구 지지면은 또한 어떠한 지지공구든지 그 개구들의 적어도 일부와 정렬되도록 구성된 충분한 크기의 개구를 다수 가지고 있다.
지지공구 지지면에 의해 한정된 개구들은 지지공구 지지면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지지면은 또한 하나 이상의 대칭축에 대해 대체로 대칭을 이루는 개구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크형 지지공구 지지면은 대체로 방사형으로 대칭을 이루는 개구들(예컨대, 원형, 직사각형, 삼각형, 환형, 세로로 긴 개구들 또는 원호형 개구들)을 가질 수 있다. 직사각형 지지면은 예를 들어 세로 대칭축에 대해 대체로 대칭을 이루는 개구들을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복수의 섬들은 지지공구 지지면에 의해 한정된 복수의 개구들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한정한다. 복수의 섬들은 또한 지지공구 지지면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들 각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복수의 통로들을 한정하기도 한다. 일부 경우에, 복수의 개구들은 단일 통로를 통하여 유체 소통을 이룬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는, 둘, 셋, 넷, 다섯 또는 그 이상의 개구들이 단일 통로를 통해 유체 소통을 이룬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통로가 지지공구 지지면에 의해 한정된 개구들 중 셋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지지공구 지지면에 의해 한정된 개구들의 대부분 또는 실질적으로 모두는 섬들에 의해 한정된 하나 이상의 통로를 통해 서로 유체 소통을 이룬다. 기타 구현예에서, 지지공구 지지면에 의해 한정된 개구들 모두는 섬들에 의해 한정된 하나 이상의 통로를 통해 서로 유체 소통을 이룬다.
또한 본 발명은 천공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패드를 포함하며, 여기서 인터페이스 패드는: (a) 복수의 제1 개구들을 한정하는 연마용품 지지면; (b) 연마용품 지지면의 가장자리 아래에 위치되는 제1 지지 구조체; (c)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되며 복수의 제1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한정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 지지 구조체; 및 (d) 복수의 제2 개구들을 한정하되 이들 중 둘 이상은 하나 이상의 통로와 또한 유체 소통을 이루며, 적어도 제1 지지 구조체에 고정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공구 지지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패드는 연마용품 지지면의 가장자리 아래에 위치되는 제1 지지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1 지지 구조체로는 예를 들어 연마용품 지지면의 가장자리 아래에 위치되는 섬 또는 리지와 같은 환형 구조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연마용품 지지면은 디스크형이며,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지지 구조체에는 디스크형 연마용품 지지면의 가장자리(즉, 원주) 아래에 위치되는 대체로 환형의 구조체가 포함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패드는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 지지 구조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적 지지 구조체는 예를 들면 섬, 반도형 돌기 및 이들의 조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적 지지 구조체는 복수의 제1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동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정의한다.
추가적 지지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섬을 포함할 수 있다. 섬의 구성 및 구조는 전술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추가적 지지 구조체는,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보통 제1 지지 구조체로부터 인터페이스 패드의 중심부쪽으로 연장되는 반도형 돌기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반도형 돌기는 제1 지지 구조체에 직접 인접할 수 있거나, 또는 제1 지지 구조체와 일체화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지지 구조체에 직접 인접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지지 구조체와 일체화될 수 있다. 반도형 돌기는 전술된 바와 같이 섬들과 유사하게 구조 및 구성될 수 있다.
지지 구조체들(예컨대, 제1 구조체 및 하나 이상의 추가적 지지 구조체)은 인터페이스 패드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크형 인터페이스 패드는 패드의 중심부에 대해 대체로 대칭을 이루는 지지 구조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스 패드는 하나 이상의 대칭축에 대해 대체로 대칭을 이루는 지지 구조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사각형 인터페이스 패드는 하나 이상의 세로 대칭축에 대해 대체로 대칭을 이루는 지지 구조체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적 지지 구조체는 서로에 대해 대칭적으로 위치되는 복수의 추가적 지지 구조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추가적 지지 구조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복수의 제1 개구들 중 둘 이상과, 그리고 복수의 제2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한정한다. 바람직하게, 개구들 및 통로들은, 연마 공정 도중에 생성된 부스러기가 연마용품 지지면의 개구들, 통로들 및 지지공구 지지면의 개구들을 통해 효과적으로 이송되어 지지공구의 분진 추출 시스템에 이르도록 구성된다.
일 구현예에서, 지지 구조체들(예컨대, 제1 지지 구조체 및 하나 이상의 추가적 지지 구조체)은 복수의 제1 개구들 각각과, 그리고 복수의 제2 개구들 각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복수의 통로들을 한정한다. 이들 통로는 상호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지지 구조체들은 다른 통로들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연결통로를 하나 이상 한정하기도 한다. 일부 경우에, 복수의 제1 개구들 또는 복수의 제2 개구들 중 하나 이상은 단일 통로를 통하여 유체 소통을 이룬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는, 둘, 셋, 넷, 다섯 또는 그 이상의 개구들이 단일 통로를 통해 유체 소통을 이룬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통로는 복수의 제1 개구들 중 셋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룰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제2 개구들 중 셋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룰 수 있거나, 또는 제1 및 제2 개구들 모두 중 셋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일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개구들 모두는 지지 구조체들에 의해 한정된 하나 이상의 통로를 통해 서로 유체 소통을 이룬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통로는 구부러져 있지 않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통로는 대체로 직선형으로, 주목할 만하게 비틀어지거나, 휘거나 꺾여있지 않다. 일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통로는 구부러져 있지 않으며, 그 통로에는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는 비틀린 부분, 휜 부분 또는 꺾인 부분이 없다. 그러나,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구부러져 있지 않은"이란 용어를 통해서 대체로 직선 분지형인 통로들을 제외시키고자 함은 아니다. 특정의 일 구현예에서는, 지지 구조체들이 하나 이상의 분지형 통로를 한정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지지 구조체들은 분지형 및 직선형 통로들을 한정한다.
지지 구조체들에 의해 한정된 통로들은 인터페이스 패드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크형 인터페이스 패드는 패드의 중심부에 대해 대체로 대칭을 이루는 통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스 패드는 하나 이상의 대칭축에 대해 대체로 대칭을 이루는 통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사각형 인터페이스 패드는 하나 이상의 세로 대칭축에 대해 대체로 대칭을 이루는 통로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천공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패드는: (a) 복수의 개구들을 한정하는 연마용품 지지면; (b)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한정하는 통로 보유층; 및 (c) 통로 보유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공구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구현예에는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통로 보유층이 포함된다. 통로 보유층은 연마용품 지지면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한정한다. 바람직하게, 연마용품 지지면에 형성된 개구들과 하나 이상의 통로는, 연마 공정 도중에 생성된 부스러기가 연마용품 지지면의 개구들과 통로를 통해 효과적으로 이송되어 지지공구의 분진 추출 시스템에 이르도록 구성된다.
통로 보유층은 앞서 충분히 기술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로-보유층은 연마용품 지지면의 가장자리 아래에 위치되는 섬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연마용품 지지면은 디스크형이며, 통로 보유층은 디스크형 연마용품 지지면의 가장자리(즉, 원주) 아래에 위치되는 대체로 환형의 섬을 포함한다. 연마용품 지지면의 가장자리 아래에 위치되는 섬은,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보통 인터페이스 패드의 가장자리로부터 인터페이스 패드의 중심부쪽으로 연장되는 반도형 돌기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통로 보유층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반도형 돌기들은 연마용품 지지면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통로들을 한정한다.
일 구현예에서, 통로 보유층은 연마용품 지지면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들 각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복수의 통로들을 한정한다. 이들 통로는 상호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통로 보유층은 다른 통로들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연결통로를 하나 이상 한정하기도 한다. 일부 경우에, 복수의 개구들은 단일 통로를 통하여 유체 소통을 이룬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는, 둘, 셋, 넷, 다섯 또는 그 이상의 개구들이 단일 통로를 통해 유체 소통을 이룬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통로가 연마용품 지지면에 의해 한정된 개구들 중 셋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연마용품 지지면에 의해 한정된 개구들의 대부분 또는 실질적으로 모두는 통로 보유층에 의해 한정된 하나 이상의 통로를 통해 서로 유체 소통을 이룬다. 기타 구현예에서, 연마용품 지지면에 의해 한정된 개구들 모두는 통로 보유층에 의해 한정된 하나 이상의 통로를 통해 서로 유체 소통을 이룬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통로는 구부러져 있지 않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통로는 대체로 직선형으로, 주목할 만하게 비틀어지거나, 휘거나 꺾여있지 않다. 일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통로는 구부러져 있지 않으며, 그 통로에는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는 비틀린 부분, 휜 부분 또는 꺾인 부분이 없다. 그러나,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구부러져 있지 않은"이란 용어를 통해서 대체로 직선 분지형인 통로들을 제외시키고자 함은 아니다. 특정의 일 구현예에서는, 통로 보유층이 하나 이상의 분지형 통로를 한정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통로 보유층은 분지형 및 직선형 통로들을 한정한다.
일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스 패드는 디스크형이며, 통로 보유층은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동심형 섬들 또는 리지들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적어도 섬들 또는 리지들의 일부는 대체로 환형이며 동심형으로 배열된다. 일부 디스크형 인터페이스 패드에서는, 통로 보유층이 복수의 동심형 통로들을 한정한다. 예를 들어, 일례로, 통로 보유층은 복수의 동심형 통로들을 한정하는 동심형 리지들을 포함한다. 디스크형 인터페이스 패드는 둘 이상의 동심형 통로들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연결통로를 한정하기도 하는 통로 보유층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크형 인터페이스 패드에는 둘 이상의 동심형 통로들과 유체 소통을 이루며 대체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통로를 한정하는 통로 보유층이 포함될 수 있다.
통로 보유층에 의해 한정된 통로들은 인터페이스 패드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크형 인터페이스 패드는 패드의 중심부에 대해 대체로 대칭을 이루는 통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스 패드는 하나 이상의 대칭축에 대해 대체로 대칭을 이루는 통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 인터페이스 패드는 하나 이상의 세로 대칭축에 대해 대체로 대칭을 이루는 통로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통로 보유층에 의해 한정된 하나 이상의 통로는 지지공구에 의해 한정된 하나 이상의 분진 집진 개구와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에서, 통로 보유층은 동심형 통로들을 포함하며, 그 중 하나 이상의 동심형 통로는 지지공구에 의해 한정된 분진 집진 개구들과 정렬되도록 방사상으로 위치된다.
통로 보유층은 연마용품 백업 패드에 사용되는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소재들 중 임의의 것을 함유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통로 보유층은 예컨대 폴리우레탄과 같은 고분자 소재를 함유한다. 예를 들어, 통로 보유층은 예컨대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같은 고분자 발포체를 함유할 수 있다. 고분자 발포체는 밀폐셀 또는 개방셀 고분자 발포체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통로-보유층은 고무(천연 또는 합성) 또는 고무와 유사한 소재를 함유한다. 그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통로 보유층은 종이, 목재, 금속 및 플라스틱 소재 중 1종 이상을 함유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연성 소재가 강성소재보다 선호된다. 일부 구현예에서는, 연마용품 지지면과 통로 보유층 양쪽 모두가 동일 소재를 함유한다.
일부 경우에, 통로 보유층은 통로-한정 구조체 또는 구조체들이 고정되는 기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로 보유층을 기계가공하여 블랭크 소재에 통로들을 만들 수 있다.
대안으로, 통로 보유층은 통로-한정 구조체들을 기저부 또는 기타 기재(예컨대 연마용품 지지면 또는 지지공구 지지면) 상에 형성함으로써 만들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연마용품 지지면과 통로 보유층은 서로에 직접 인접하여 있다. 연마용품 지지면/통로 보유층의 일체형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연마용품 지지면과 통로 보유층을 만들 수 있으며, 예컨대 1종 이상의 소재들을 성형함으로써 연마용품 지지면/통로 보유층의 일체형 구조체를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연마용품 지지면과 통로 보유층은 1종 이상의 블랭크 소재들을 기계가공하여 제조된다.
연마용품 지지면과 통로 보유층은 별개로 성형한 후 함께 접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제를 이용하여 통로 보유층을 연마용품 지지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 많은 접착제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적용에 적합하다. 바람직한 구현예들에서, 접착제는 내열성 또는 전단저항성을 띠거나, 둘 다이다. 또한 접착제는 통로 보유층 또는 지지면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소재들과 혼화될 수 있어야 한다. 적합한 접착제의 예로는 접촉 접착제, 아크릴 접착제(예컨대,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 및 에폭시 접착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지지공구 지지면과 통로 보유층은 서로에 직접 인접하여 있다. 지지공구 지지면/통로 보유층의 일체형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지지공구 지지면과 통로 보유층을 만들 수 있으며, 예컨대 1종 이상의 소재들을 성형함으로써 지지공구 지지면/통로 보유층의 일체형 구조체를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지지공구 지지면과 통로 보유층은 1종 이상의 블랭크 소재들을 기계가공하여 제조된다.
지지공구 지지면과 통로 보유층은 별개로 성형한 후 함께 접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제를 이용하여 통로 보유층을 지지공구 지지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 많은 접착제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적용에 적합하다. 바람직한 구현예들에서, 접착제는 내열성 또는 전단저항성을 띠거나, 둘 다이다. 또한 접착제는 통로 보유층 또는 지지면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소재들과 혼화될 수 있어야 한다. 적합한 접착제의 예로는 접촉 접착제, 아크릴 접착제(예컨대,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 및 에폭시 접착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통로 보유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공구 지지면은 복수의 개구들을 한정한다. 복수의 개구들을 한정하는 적합한 지지공구 지지면에 대해서는 앞서 기술하였다.
일부 구현예에서, 통로 보유층은 지지공구 지지면에 의해 한정된 복수의 개구들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한정한다. 통로 보유층은 또한 지지 공구 지지면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들 각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복수의 통로들을 한정하기도 한다. 일부 경우에, 복수의 개구들은 단일 통로를 통하여 유체 소통을 이룬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는, 둘, 셋, 넷, 다섯 또는 그 이상의 개구들이 단일 통로를 통해 유체 소통을 이룬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통로가 지지공구 지지면에 의해 한정된 개구들 중 셋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지지공구 지지면에 의해 한정된 개구들의 대부분 또는 실질적으로 모두는 통로 보유층에 의해 한정된 하나 이상의 통로를 통해 서로 유체 소통을 이룬다. 기타 구현예에서, 지지공구 지지면에 의해 한정된 개구들 모두는 통로 보유층에 의해 한정된 하나 이상의 통로를 통해 서로 유체 소통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본원에 기술된 인터페이스 패드의 형상은 지지공구 또는 연마용품의 형상과 조화를 이루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패드는 연마용품 또는 지지공구의 크기 또는 형상과 대략 동일한 크기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스 패드는 그 중에서도 디스크형, 삼변형, 사변형, 오변형, 다리미(iron)형 또는 잎사귀(leaf)형일 수 있다. 삼변형 인터페이스 패드는 직선형, 원호형 또는 불규칙 형상의 변들을 가질 수 있다. 사변형 인터페이스 패드는, 예를 들어, 직선형, 원호형 또는 불규칙한 변들을 가진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마름모형일 수 있다. 오변형 인터페이스 패드는 직선형, 원호형 또는 불규칙 형상의 변들을 가질 수 있다. 다리미형 인터페이스 패드로는 두 개 이상의 이웃변들이 서로를 향해 원호를 그리는 오변의 다각형이 포함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다리미형 인터페이스 패드는 의류용 증기 다리미의 받침대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잎사귀형 인터페이스 패드로는 길이방향으로 대체로 대칭을 이루고 두 개의 변에 연결된 두 개의 원호를 가지는 형상들이 포함된다.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에 개시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기타 형상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스 패드의 개구들 및 통로들은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있는 인터페이스 패드를 어떠한 특정 방식으로든 배향시킬 필요가 없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연마용품 지지면과 지지공구 지지면 모두에 충분한 크기의 개구들을 충분한 개수로 공급하고, 충분한 개수의 개구들을 통로들로 연결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연마용품과 지지공구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패드의 개구들 및 통로들의 구성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스 패드의 개구들은 그 각각이 몇몇 다른 인터페이스 패드의 개구들과 유사하도록 구성된다.
효과적인 작동을 위해, 연마용품과 지지공구에 형성된 개구들이 인터페이스 패드에 형성된 개구들과 반드시 100% 정렬될 필요는 없지만, 분진 배출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작동하게 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정렬되어야 한다. 대략 100% 정렬 상태가 바람직하지만, 덜 바람직하기는 하되 훨씬 적은 오버랩으로도 효율적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복수의 제1 개구들을 한정하는 천공 연마용품; (b) 전술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개구들을 한정하는 연마용품 지지면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패드; 및 (c) 복수의 제3 개구들을 한정하는 지지공구로 이루어진 연마공구를 포함하며, 여기서 인터페이스 패드는 천공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천공 연마용품은 천공형 연마포지로서, 연마용품은 제1 및 제2 주면(major surfaces)을 가질 수 있다. 제1 주면은 예를 들어 연마 입자들과 같은 연마 코팅 및 입자들을 표면에 접착시키는 결합제(binder)를 포함할 수 있다. 입자 및 결합제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들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며, 표면 상에서의 구성도 임의의 공지된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주면은 일반적으로 연마용품을 인터페이스 패드에 부착시키는 구성요소, 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후크 또는 루프 체결장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서는 이러한 연마용품 부착용 구성요소가 제2 주면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일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스 패드는 (i) 복수의 제2 개구들을 한정하는 연마용품 지지면; (ii)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2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한정하는, 복수의 섬들; 및 (iii) 복수의 섬들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공구 지지면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스 패드는 (i) 복수의 제2 개구들을 한정하는 연마용품 지지면; (ii)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2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한정하는, 통로 보유층; 및 (iii) 통로 보유층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공구 지지면을 포함한다.
연마공구의 다양한 구현예에서, 천공 연마용품, 연마용품 지지면, 지지공구 지지면 또는 지지공구에 후크 또는 루프 체결장치 구성요소가 포함된다. 일부 구현예에서는, 천공 연마용품, 연마용품 지지면, 지지공구 지지면 및 지지공구 각각에 후크 또는 루프 체결장치 구성요소가 포함된다.
연마공구로는 일반적으로 임의 유형의 연마 샌더 또는 기계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공구로는 궤도식(orbital), 회전식 또는 진동식 기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지지공구는 분진 집진 시스템과 소통되는 하나 이상의 분진 집진 개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지지공구는 복수의 제3 분진 집진 개구들을 포함한다. 연마공구의 일 구현예에서, 천공 연마용품과 지지공구가 함께 결합되면 복수의 제1 개구들은 복수의 제3 개구들과 일직선으로 정렬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1 개구들은 크기, 형상, 배향,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방식에서 복수의 제3 개구들과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페이스 패드가 천공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위치되면, 복수의 제1 개구들 중 둘 이상이 복수의 제2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된다.
인터페이스 패드는 자신의 통로(들)를 통해 가공면으로부터의 분진이 지지공구에 의해 제공된 분진 집진 시스템 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기능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인터페이스 패드는 복수의 개구들과 하나 이상의 통로를 포함하여, 특정 구성의 개구들을 가진 연마용품과 분진 집진 개구들로 된 상이한 구성을 가진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연마공구의 효과적인 작동을 위해, 연마용품과 지지공구에 형성된 개구들이 인터페이스 패드에 형성된 개구들과 반드시 100% 정렬될 필요는 없지만, 분진 배출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작동하게 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정렬되어야 한다. 대략 100% 정렬 상태가 바람직하지만, 덜 바람직하기는 하되 훨씬 적은 오버랩으로도 효율적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대한 도면들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도면의 기재사항에 "연마용품 지지면" 및 "지지공구 지지면"으로 표시된 표면들은 상호 교환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패드의 사시도이다. 인터페이스 패드(100)는 개구들(106)을 포함하는 연마용품 지지면(104)의 하부에 위치하는 동심형 섬들(102)을 포함한다. 동심형 섬들(102)은 동심형 통로들(108)을 한정한다. 동심형 통로들(108)은 개구들(106)의 일부와 유체 소통을 이룬다. 인터페이스 패드(100)에는 또한 중앙홀(110)이 포함되어 있어 인터페이스 패드를 지지공구 스핀들 상부에 장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동심형 섬들(102)은 또한 그 섬들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공구 지지면(112)을 포함한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패드의 사시도들이다. 인터페이스 패드(200)는 지지공구 지지면(202)과 연마용품 지지면(204)을 포함한다. 지지공구 지지면(202)과 연마용품 지지면(204) 사이에는 통로 보유층(206)이 있다. 통로 보유층(206)은 연마용품 지지면(204)에 의해 한정된 개구들(208)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통로들을 포함한다. 지지공구 지지면(202)은 개구들(210)을 포함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패드의 도면들이다. 인터페이스 패드(300)는 원호형 개구들(304)을 한정하는 지지공구 지지면(302)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패드(300)는 또한 연마용품 지지면(306)과 중앙홀(308)을 포함한다. 지지공구 지지면(302)과 연마용품 지지면(306) 사이에는 통로 보유층(314)이 있다. 통로 보유층(314)은, 지지공구 지지면(302)에 의해 한정된 원호형 개구들(304) 및 연마용품 지지면(306)에 의해 한정된 개구들(312)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통로들(310)을 포함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패드의 도면들이다. 인터페이스 패드(400)는 다양한 크기의 개구들(404)을 한정하는 지지공구 지지면(402)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패드(400)는 또한 연마용품 지지면(406)과 중앙홀(408)을 포함한다. 지지공구 지지면(402)과 연마용품 지지면(406) 사이에는 통로 보유층이 있다. 통로 보유층은, 지지공구 지지면(402)에 의해 한정된 개구들(404) 및 연마용품 지지면(406)에 의해 한정된 개구들(412)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통로들(410)을 포함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패드의 도면들이다. 인터페이스 패드(500)는 개구들(504)을 한정하는 지지공구 지지면(502)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패드(500)는 또한 연마용품 지지면(506)과 중앙홀(508)을 포함한다. 지지공구 지지면(502)과 연마용품 지지면(506) 사이에는 통로 보유층이 있다. 통로 보유층은, 지지공구 지지면(502)에 의해 한정된 개구들(504) 및 연마용품 지지면(506)에 의해 한정된 개구들(512)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통로들을 포함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패드의 단면도들이다. 단면의 인터페이스 패드(600)는 지지 구조체들(604)을 구비한 통로 보유층(602)을 포함한다. 단면의 인터페이스 패드(600)는 또한 연마용품 지지면(606)을 포함한다. 통로 보유층(602)은 직선형 통로들(608)과 분지형 통로들(610)을 포함한다. 연마용품 지지면(606)은 통로들(608 및 610)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개구들(612)을 포함한다. 단면의 인터페이스 패드(600)는 또한 중앙홀(614)을 포함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패드의 단면도들이다. 단면의 인터페이스 패드(700)는 지지 구조체들(704)을 구비한 통로 보유층(702)을 포함한다. 단면의 인터페이스 패드(700)는 또한 연마용품 지지면(706)을 포함한다. 통로 보유층(702)은 직선형 통로들(708)과 분지형 통로들(710)을 포함한다. 연마용품 지지면(706)은 통로들(708 및 710)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개구들(712)을 포함한다. 단면의 인터페이스 패드(700)는 또한 중앙홀(714)을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지지공구 지지면의 도면이다. 지지공구 지지면(900)은 원호형 개구들(902)과, 중앙홀(904)을 한정한다.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일부 구성된 인터페이스 패드의 단면도들이다. 단면의 인터페이스 패드(1000)는 통로 보유층(1002)을 포함한다. 통로 보유층(1002)는 연마용품 지지면(1006)의 가장자리(즉, 외주) 아래에 위치된 고리형 섬(1004)과, 반도형 돌기들(1008) 및 섬들(1010)을 포함한다. 통로 보유층(1002)은 고리형 섬(1004), 반도형 돌기들(1008) 및 섬들(1010)에 의해 한정된 통로들(1012)을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0a와 도 10b의 일부 구성된 인터페이스 패드를 포함하여 일부 구성된 다른 인터페이스 패드이다. 일부 구성된 인터페이스 패드(1100)는 지지공구 지지면(1102)을 포함한다. 지지공구 지지면(1102)은 루프 체결장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지지공구 지지면(1102)은 개구들(1104)을 한정한다.
도 12a와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패드의 도면들이다. 인터페이스 패드(1200)는 후크 체결장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연마용품 지지면(1202) 및 루프 체결장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지지공구 지지면(1204)을 포함한다. 연마용품 지지면(1202)은 개구들(1206)과 중앙홀(1208)을 포함한다. 지지공구 지지면(1204)은 개구들(1210)과 중앙홀(1208)을 포함한다. 연마용품 지지면(1202)과 지지공구 지지면(1204) 사이에는 통로 보유층이 개재된다.
도 13a와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패드의 도면들이다. 인터페이스 패드(1300)는 후크 체결장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연마용품 지지면(1302) 및 루프 체결장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지지공구 지지면(1304)을 포함한다. 연마용품 지지면(1302)은 개구들(1306)과 중앙홀(1308)을 한정한다. 지지공구 지지면(1204)은 고리형 개구들(1310)을 한정한다. 연마용품 지지면(1302)과 지지공구 지지면(1304) 사이에는 통로 보유층(1312)이 개재된다. 통로 보유층(1312)은 지지 구조체들(1314)을 포함하며, 통로들(1316)을 한정한다. 통로들(1316)은 개구(1316) 및 고리형 개구(1310)와 유체 소통을 이룬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한정하고 연마면 및 지지면을 포함하는 천공 연마용품을 포함하는 키트(kit)에 관한 것이다. 키트는 또한 연마용품의 지지면에 고정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패드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 의하면, 천공 연마용품은 둘 이상의 개구들을 한정한다. 선택적으로, 키트는 개구를 한정하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패드를 포함하며, 여기서 개구는, 인터페이스 패드가 지지면에 고정되는 경우에, 평면형 지지공구 지지면을 인터페이스 패드에 붙이면 연마용품의 천공들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유체 소통을 이루도록 한다. 다른 선택안으로서, 키트는 둘 이상의 인터페이스 패드들을 포함하며, 이들 인터페이스 패드가 지지면에 고정되고 지지공구 지지면을 인터페이스 패드들에 붙이는 경우에, 인터페이스 패드들은 연마용품에 형성된 개구들 중 둘 이상의 개구들과 유체 소통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도관을 한정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스 패드 및 연마용품 중 하나 이상의 표면에는 인터페이스 패드를 연마용품에 고정시키는 접착제가 포함된다. 대안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인터페이스 패드는 연마용품의 지지면에 착탈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패드는 인터페이스 패드와 연마용품의 지지면에 마련된 후크-앤드-루프 표면들을 통해 착탈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키트의 인터페이스 패드들은, 지지공구를 이들 인터페이스 패드들에 붙이는 경우에, 연마용품의 천공들 사이의 유체 소통을 위한 별개(distinct)의 통로들을 한정하는 교호식 패턴들로 연마 패드의 지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이들 교호식 패턴들은 연마용품에 형성된 천공들의 여러 상이한 조합들 간에 별개의 통로들을 한정한다. 예를 들면, 도 14a와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트(1400)는 연마용품의 지지면(1406)에 여러 상이한 패턴들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패드들(1402 및 1404)을 포함함으로써, 지지공구를 이들 인터페이스 패드들에 붙이는 경우, 중앙홀(1412) 둘레의 여러 상이한 개구 조합들(1408 및 1410) 사이에 유체 소통을 제공하도록 한다. 본 구현예는 여러 상이한 유량으로 연마용품을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경우에 유용하며, 예를 들어, 개구들(1408)이 개구들(1410)과는 상이한 총 개구면적을 가지는 경우에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천공 연마용품(예컨대, 천공된 연마포지 용품) 및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패드를 구비한 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러한 키트는 다양한 응용분야에 사용되거나 다양한 천공 구성을 가진 다양한 천공 연마용품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키트는,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다양한 천공 연마용품들과 사용되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패드들을 구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키트는 복수의 천공 연마용품들 및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추가적 구현예들에서, 키트는 복수의 천공 연마용품들 및 복수의 인터페이스 패드들을 포함한다.
키트는 예를 들어 (a) 하나 이상의 천공 연마용품 및 (b)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인터페이스 패드는 (i) 복수의 제2 개구들을 한정하는 연마용품 지지면; (ii)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2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한정하는, 복수의 섬들; 및 (iii) 복수의 섬들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공구 지지면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천공 연마제품과, 복수의 제3 개구들을 한정하는 지지공구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패드가 위치될 수 있다. 통상, 천공 연마용품과 지지공구가 함께 결합되면 복수의 제1 개구들은 복수의 제3 개구들과 일직선으로 정렬되지 않는다. 일부 경우에, 복수의 제1 개구들은 크기, 형상, 배향,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방식에서 복수의 제3 개구들과는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들에서는, 인터페이스 패드가 천공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위치되면, 복수의 제1 개구들 중 둘 이상이 복수의 제2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된다.
본 발명은 또한 지지공구를 이용하여 천공 연마용품(예컨대, 천공된 연마포지 용품)을 사용하는 방법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개구들을 한정하는 지지공구를 이용하여 복수의 제1 개구들을 한정하는 천공 연마용품을 사용하는 방법은 본원에 기술된 인터페이스 패드를 천공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스 패드는 (a) 복수의 제3 개구들을 한정하는 연마용품 지지면; (b)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3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한정하는, 복수의 섬들; 및 (c) 복수의 섬들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공구 지지면을 포함한다.
통상, 천공 연마용품과 지지공구가 함께 결합되면 복수의 제1 개구들은 복수의 제2 개구들과 일직선으로 정렬되지 않는다. 일부 경우에, 복수의 제1 개구들은 크기, 형상, 배향,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방식에서 복수의 제2 개구들과는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터페이스 패드가 천공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위치되면, 복수의 제1 개구들 중 둘 이상이 복수의 제3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 기술된 연마공구를 사용하여 표면을 연마하는 방법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는, 가공면이 연마공구에 접촉되어 연마 부스러기가 생성된다. 이러한 연마 부스러기는 연마용품 및 인터페이스 패드를 통과하여, 그리고 지지공구 내부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에서, 연마공구는 (a) 복수의 제1 개구들을 한정하는 천공 연마용품; (b) 복수의 제2 개구들을 한정하는 연마용품 지지면 및 복수의 제2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패드; 및 (c) 복수의 제3 개구들을 한정하는 지지공구를 포함하며, 여기서 연마 부스러기는 복수의 제1 개구들, 복수의 제2 개구들, 통로들 및 복수의 제3 개구들을 통해 전달된다. 바람직하게, 인터페이스 패드에 형성된 개구들과 통로들은 연마 공정 도중에 생성된 부스러기가 연마용품 지지면의 개구들과, 통로들을 통해 효과적으로 이송되어 지지공구의 분진 추출 시스템에 이르도록 구성된다.
본원에 기술된 인터페이스 패드와 연마공구는 도장재, 코팅재, 충전재, 복합재(예컨대,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 목재, 금속, 플라스틱, 플라스터 및 기타 이러한 재료들의 연마작업과 같은 수많은 응용분야에 사용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기술된 인터페이스 패드와 연마공구는 건축, 제조, 자동차, 항공우주, 해양, 가구 제조 및 마감과 같은 분야 및 산업들, 그리고 서비스 및 정비 산업에 사용되기에 적합할 수 있으며, 또한 공예 및 취미, 소비자 용도로 사용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현예들을 참조로 구체적으로 예시하고 기술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포함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형태 및 상세사항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93)

  1. a) 복수의 개구들을 한정하는 연마용품 지지면;
    b)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한정하는, 복수의 섬들; 및
    c) 복수의 섬들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공구 지지면을 포함하여, 천공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연마용품 지지면은 후크 또는 루프 체결장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인터페이스 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섬들은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동심형 리지들인 것인 인터페이스 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섬들은 복수의 동심형 통로들을 한정하는 것인 인터페이스 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통로는 구부러져 있지 않는 인터페이스 패드.
  6. 제1항에 있어서, 연마용품 지지면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들 중 적어도 일부는 천공 연마용품에 형성된 천공들 중 적어도 일부와 정렬되도록 위치되는 것인 인터페이스 패드.
  7. 제1항에 있어서, 섬들에 의해 한정된 하나 이상의 통로는 지지공구에 의해 한정된 하나 이상의 분진 집진 개구와 정렬되도록 위치되는 것인 인터페이스 패드.
  8. 제1항에 있어서, 지지공구 지지면은 후크 또는 루프 체결장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인터페이스 패드.
  9.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통로는 연마용품 지지면에 의해 한정된 개구들 중 셋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것인 인터페이스 패드.
  10.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통로는 지지공구 지지면에 의해 한정된 복수의 개구들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것인 인터페이스 패드.
  11. 제1항에 있어서, 지지공구 지지면에 의해 한정된 복수의 개구들 중 적어도 일부는 지지공구에 의해 한정된 하나 이상의 분진 집진 개구와 정렬되도록 위치되는 것인 인터페이스 패드.
  12. a) 복수의 제1 개구들을 한정하는 연마용품 지지면;
    b) 연마용품 지지면의 가장자리 아래에 위치되는 제1 지지 구조체;
    c)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되며 복수의 제1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한정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 지지 구조체; 및
    d) 복수의 제2 개구들을 한정하되 이들 중 둘 이상은 하나 이상의 통로와 또한 유체 소통을 이루며, 적어도 제1 지지 구조체에 고정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공구 지지면을 포함하여,
    천공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패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연마용품 지지면의 가장자리 아래에 위치되는 제1 지지 구조체는 대체로 고리형상을 갖는 것인 인터페이스 패드.
  14. a) 복수의 개구들을 한정하는 연마용품 지지면;
    b) 연마용품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개구들 중 둘 이상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한정하는, 통로 보유층; 및
    c) 통로 보유층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공구 지지면을 포함하여, 천공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패드.
  15. 제14항에 있어서, 통로 보유층에 의해 한정된 하나 이상의 통로는 지지공구에 의해 한정된 하나 이상의 분진 집진 개구와 정렬되도록 위치되는 것인 인터페이스 패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KR1020107015570A 2007-12-31 2008-12-23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패드 KR101139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63107P 2007-12-31 2007-12-31
US61/009,631 2007-12-31
PCT/US2008/088160 WO2009088772A2 (en) 2007-12-31 2008-12-23 Interface pad for use between an abrasive article and a support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659A KR20100101659A (ko) 2010-09-17
KR101139826B1 true KR101139826B1 (ko) 2012-04-30

Family

ID=4085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570A KR101139826B1 (ko) 2007-12-31 2008-12-23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패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444454B2 (ko)
EP (1) EP2231364A4 (ko)
JP (1) JP5394393B2 (ko)
KR (1) KR101139826B1 (ko)
CN (1) CN101909822B (ko)
AU (1) AU2008346787B2 (ko)
BR (1) BRPI0821673A2 (ko)
CA (2) CA2869944A1 (ko)
IL (1) IL206694A0 (ko)
NZ (1) NZ586833A (ko)
RU (1) RU2449879C2 (ko)
WO (1) WO200908877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3616A1 (de) 2010-04-01 2011-10-06 Robert Bosch Gmbh Haltekörper für flexibles Schleifmittel und Schleifsystem
WO2012020275A1 (en) * 2010-08-10 2012-02-16 Miksa Marton Sanding apparatus
EP2422931A1 (de) * 2010-08-31 2012-02-29 Jöst GmbH Universelle Schleiftellereinheit mit Absaughaube für eine Rotationsschleifmaschine
DE202010018005U1 (de) 2010-08-31 2013-07-08 Jöst Gmbh Schleiftellereinheit für eine Rotationsschleifmaschine
DE202010012502U1 (de) * 2010-09-13 2010-11-18 Robert Bosch Gmbh Schleifscheibe
US20130237130A1 (en) * 2010-11-18 2013-09-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for imparting an image to a surface and kits for use therewith
US10029349B2 (en) 2011-09-20 2018-07-24 Robert Bosch Gmbh Retaining body for flexible grinding means, grinding system and grinding tool
CN104125876B (zh) 2011-12-31 2018-07-20 圣戈班磨料磨具有限公司 具有开口的不均匀分布的研磨制品
ITFI20120012A1 (it) * 2012-01-20 2013-07-21 Corcos S R L Platorello per carteggiatura
DE102012201329A1 (de) * 2012-01-31 2013-08-01 Robert Bosch Gmbh Baueinheit
DE202012008297U1 (de) * 2012-08-30 2012-09-11 Robert Bosch Gmbh Schleifeinheit
DE102013212598A1 (de) * 2013-06-28 2014-12-31 Robert Bosch Gmbh Haltevorrichtung für ein Schleifmittel
GB2515764A (en) * 2013-07-02 2015-01-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brasive article and adapter therefore
DE102013225223A1 (de) * 2013-12-09 2015-06-11 Robert Bosch Gmbh Halterung zum Halten eines Schleifmittels,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Halterung, Schleifsystem und Verwendung einer Halterung
PT107454A (pt) * 2014-02-06 2015-08-06 Indasa Indústria De Abrasivos S A Prato com rasgos para discos de lixagem multifuros
CN103878697B (zh) * 2014-03-06 2016-05-18 浙江工业大学 一种多级研抛盘的磨料导流机构
DE112015002769T5 (de) * 2014-06-10 2017-03-23 Olympus Corporation Polierwerkzeug, Polierverfahren und Poliervorrichtung
EP2957387A1 (de) * 2014-06-18 2015-12-23 Hermes Schleifmittel GmbH & Co. KG Adapter zum Anbringen einer Schleifscheibe auf einem Stützteller
DE102016100072A1 (de) * 2016-01-04 2017-07-06 Festool Gmbh Schleifteller und Schleifmittel
DE102017216175A1 (de) * 2017-09-13 2019-03-14 Robert Bosch Gmbh Schleifartikel
DE202018102045U1 (de) * 2018-04-16 2018-04-23 Thorsten Klotz Schleifscheibenanordnung
USD925623S1 (en) * 2019-02-28 2021-07-20 Guido Valentini Protective cap
GB2590707A (en) * 2019-12-23 2021-07-07 Black & Decker Inc Pole sander
US20210205946A1 (en) * 2020-01-02 2021-07-08 Andrew Trebino Sanding Tool Attachment
USD1012657S1 (en) * 2021-09-13 2024-01-30 Mirka Ltd Sanding disk
WO2024073562A1 (en) * 2022-09-30 2024-04-04 Jason Brouk Sander flex pad for rotary floor sand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6801A1 (en) * 2002-01-10 2003-07-10 Sumant Kamboj Homogeneous fixed abrasive polishing pad
US20060258276A1 (en) * 2005-05-16 2006-11-16 Chien-Min Sung Superhard cutters and associated methods
US7252694B2 (en) * 2005-08-05 2007-08-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rasive article and methods of mak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9681A (en) 1952-12-31 1956-06-12 Stephen U Sohne A Grinding disc
FR1085962A (fr) 1952-12-31 1955-02-08 Stephan & Soehne Meule
CA1027761A (en) * 1975-11-26 1978-03-14 Miksa Marton Vacuum sander
SU814635A1 (ru) * 1977-04-15 1981-03-23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по Технологии Машиностроения/Цниитмаш/ Способ электроабразивной обработки
US4759155A (en) 1987-03-06 1988-07-26 Shaw Christopher J Particle collecting sander
DE8802927U1 (ko) 1987-12-15 1988-05-05 Braasch, Gerd, 4475 Soegel, De
SU1627388A1 (ru) * 1988-10-25 1991-02-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М-5588 Шлифовальна головка
US5007206A (en) 1989-10-05 1991-04-16 Paterson Patrick J Dustless drywall sander
DE69200860T2 (de) 1991-01-23 1995-04-27 Black & Decker Inc Schleifblätter.
JPH07237131A (ja) * 1994-03-01 1995-09-12 Hiroaki Yasuda 研磨材装着用パッド
US5674122A (en) 1994-10-27 1997-10-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brasive 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DE29520566U1 (de) 1995-12-29 1996-02-22 Joest Peter Direkt oder indirekt mit einer Maschine oder einem manuell betreibbaren Schleifmittelhalter adaptierbarer Schleifkörper sowie ein hierfür geeigneter Adapter
US5807161A (en) * 1996-03-15 1998-09-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versible back-up pad
IT1298432B1 (it) * 1997-02-28 2000-01-10 Bosch Gmbh Robert Piastra di levigatura per un elettroutensile portatile con aspirazione della polvere
US5989112A (en) 1998-05-11 1999-11-23 Norton Company Universal abrasive disc
US6059644A (en) * 1998-11-18 2000-05-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ack-up pad for abrasive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ITBO20000520A1 (it) 2000-09-07 2002-03-07 Bruno Oliosi Dispositivo per la smerigliatura e/o abrasione di superfici tramite macchine roto orbitali
US6413157B1 (en) 2000-12-15 2002-07-02 Miksa Marton Double action orbital sander
US7108594B2 (en) 2001-03-16 2006-09-19 Saint-Gobain Abrasives Technology Company Perforated sanding disc
US6743086B2 (en) 2001-08-10 2004-06-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rasive article with universal hole pattern
US6833014B2 (en) * 2002-07-26 2004-12-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rasive product,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US6942549B2 (en) 2003-10-29 2005-09-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wo-sided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ad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US7144313B1 (en) 2003-12-19 2006-12-05 Greenwood Tim R Abrasive sheet alignment dispenser
CN2701589Y (zh) * 2004-04-06 2005-05-25 陈信宇 改进结构的研磨盘
DE102004018727A1 (de) * 2004-04-17 2005-11-10 Jöst, Peter Schleifteller mit Eigenabsaug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fernen von Schleifpatikeln
FI121653B (sv) 2005-06-13 2011-02-28 Kwh Mirka Ab Oy Flexibel slipprodukt och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densamma
US7393269B2 (en) 2005-09-16 2008-07-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rasive filter assembly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7244170B2 (en) 2005-09-16 2007-07-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brasive article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7390244B2 (en) 2005-09-16 2008-06-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rasive article mounting assembly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2007283426A (ja) * 2006-04-14 2007-11-01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吸塵用研磨具
US7338355B2 (en) * 2006-06-13 2008-03-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rasive articl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6801A1 (en) * 2002-01-10 2003-07-10 Sumant Kamboj Homogeneous fixed abrasive polishing pad
US20060258276A1 (en) * 2005-05-16 2006-11-16 Chien-Min Sung Superhard cutters and associated methods
US7252694B2 (en) * 2005-08-05 2007-08-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rasive article and methods of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659A (ko) 2010-09-17
RU2449879C2 (ru) 2012-05-10
CN101909822B (zh) 2016-02-17
AU2008346787B2 (en) 2011-04-28
BRPI0821673A2 (pt) 2015-06-16
WO2009088772A3 (en) 2009-10-08
EP2231364A4 (en) 2013-11-06
CA2710999A1 (en) 2009-07-16
EP2231364A2 (en) 2010-09-29
RU2010131688A (ru) 2012-02-10
CN101909822A (zh) 2010-12-08
US20090233527A1 (en) 2009-09-17
NZ586833A (en) 2013-04-26
JP5394393B2 (ja) 2014-01-22
AU2008346787A1 (en) 2009-07-16
CA2869944A1 (en) 2009-07-16
JP2011507713A (ja) 2011-03-10
US8444454B2 (en) 2013-05-21
WO2009088772A2 (en) 2009-07-16
IL206694A0 (en)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826B1 (ko) 연마용품과 지지공구 사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패드
US6743086B2 (en) Abrasive article with universal hole pattern
US10092159B2 (en) Polishing or grinding pad assembly
CN101636243B (zh) 磨料制品及其制备和使用方法
US20070028526A1 (en) Abrasive article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5989112A (en) Universal abrasive disc
US7828633B1 (en) Sanding element
JP2008087082A (ja) 吸塵用研磨具
US10207392B2 (en) Abrasive article and related methods
US9919407B2 (en) Flexible abrasive for polishing surfaces
JP2008213126A (ja) 研削ホイール
CN216991473U (zh) 新型抛光磨具
JP2001038611A (ja) 研磨用被加工物保持具及びこれを用いた研磨方法
JP3074543U (ja) 両面を使用できる回転研磨工具
JP2021185006A (ja) 平面研磨体
US20210347012A1 (en) Abrasive rotary tool
JPH0727748U (ja) 被研磨体保持具
JPS608937Y2 (ja) 研磨ホイ−ル
IT202100031865A1 (it) Disco abrasivo applicabile su utensili od elettroutensili di levigatura
JPH06246643A (ja) 研磨体
JP2002219653A (ja) リサイクルできる回転研磨工具
JP2002178269A (ja) 研磨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