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749B1 - 고로쇠나무의 생리활성 증진을 위한 이단 복합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고로쇠나무의 생리활성 증진을 위한 이단 복합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749B1
KR101138749B1 KR1020100019009A KR20100019009A KR101138749B1 KR 101138749 B1 KR101138749 B1 KR 101138749B1 KR 1020100019009 A KR1020100019009 A KR 1020100019009A KR 20100019009 A KR20100019009 A KR 20100019009A KR 101138749 B1 KR101138749 B1 KR 101138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extract
microwave
activity
b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9970A (ko
Inventor
이현용
정명훈
안주희
박성진
김승섭
하지혜
이준희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9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749B1/ko
Publication of KR20110099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0Aceraceae (Map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쇠나무의 이단 복합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고로쇠나무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을 효율적으로 뽑아내기 위해 고로쇠나무 수피를 대상으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과 저온 고압 추출의 이단 복합 추출을 순차적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추출물의 독성 감소와 함께 일반적인 추출 공정에서는 용출되지 않았던 다양한 생리활성성분의 용출을 유도할 수 있어 다양한 생리활성 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고로쇠나무의 생리활성 증진을 위한 이단 복합 추출방법{The extracting method of the ingredients with physiological activity from Acer mono}
본 발명은 고로쇠나무의 이단 복합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로쇠나무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을 효율적으로 뽑아내기 위해 고로쇠나무 수피를 대상으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과 저온 고압 추출의 이단 복합 추출을 순차적으로 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열수 추출 공정 등 기존 추출법의 단점을 극복하고 생리활성이 증진된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얻고자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공정과 저온 고압 추출 공정을 병행한 이단 복합 추출 공정을 통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고로쇠나무는 단풍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표고 100~1,800m에 자생하며 한국, 일본, 중국, 만주에까지 분포한다. 우리나라의 고로쇠나무는 내한성이 강하여 지리산, 백운산, 조계산 및 강원도 일대의 습한 고로쇠나무(Acer mono), 붉은고로쇠나무(A. mono for. rubrieps), 우산고로쇠나무(A. okamotoanum), 만주고로쇠(A. truncatum), 긴고로쇠나무(A. mono for. dissectum), 왕고로쇠나무(A. mono var. savatieri), 산고로쇠나무(A. mono var. horizontale), 집게고로쇠나무(A. mono for. connivens), 털고로쇠나무(A. mono var. ambiguum) 등 9종의 품종과 변종이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우산고로쇠는 울릉도 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수종이다.
고로쇠나무는 뼈에 이로운 나무라는 데서 유래되었다는 속설이 있는데, 전남 광양시 백운산 지역에서는 수액 음용자의 80% 이상이 고로쇠나무 수액의 효능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이 있었다고 보고된 바 있다.
현재 고로쇠나무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으며, 수액에 관한 연구로 국내에서는 무기물과 당류분석, 자작나무 수액 중에 칼슘, 마그네슘 분석, 수액 성분분석과 효능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일본의 경우는 국내에 비해 비교적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약리적 효과보다는 수액의 성분 분석에 관한 것으로 자작나무의 성분에 관한 연구 등이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고로쇠나무 수액에 대한 음용의 역사도 깊고 최근에는 수액 소비량도 증가하고 있어 수액을 이용한 산업화가 시도되고 있으나 이를 뒷받침할 과학적 연구가 많지 않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가 고로쇠 수액에 관한 것으로, 고로쇠나무 자체의 활성 연구는 분획을 통한 항산화물질 분리, 고로쇠와 우산고로쇠 나무의 항산화능 및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비교, 고로쇠와 우산고로쇠 나무의 부위별 항암 및 면역조절능 비교 등이 보고되어 있다.
종래의 고로쇠 추출물에 관한 특허로는 풀라반계화합물의 제조방법(출원번호 10-1998-0014693), 페놀성 화합물(출원번호 10-2003-0060351), 항산화용 화장품(출원번호 10-2003-0042254) 등이 있으나, 이들의 추출은 고로쇠나무 잎이나 줄기에 관한 것이고 용매 또한 메탄올 등과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한 것이다. 그리고 대부분 침지나 분획을 통한 추출을 이용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이단 복합 추출공정을 통한 추출물에 관련이 있는 기술은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고로쇠나무 수피의 일반적인 열수 추출 방법과 본 발명에서 개발한 이단 복합 추출공정의 생리 활성 비교를 통해 본 추출공정의 수율 증진 및 여러 생리 활성 증진과 같은 효율성을 확인하였는바, 이를 통해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의 소재화에 고로쇠나무 추출물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경제 성장과 국민소득 증대로 각종 성인병이 증가 추세인 상황에서, 약용 식물에 대한 항암효과 등 여러 생리활성 기능이 밝혀짐에 따라 이들을 추출 정제하여 기능성 식품 및 신의약품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하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연구가 미비한 고로쇠나무 수피 추출물의 생리활성 증진을 꾀할 수 있는 새로운 추출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로쇠나무의 생리활성 증진을 위한 이단 복합 추출방법은, 고로쇠나무의 수피를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과 저온 고압 추출을 병행하여 이단 복합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이단 복합 추출방법은,
(1) 고로쇠나무의 수피를 음건하여 분쇄하는 단계;
(2) 분쇄한 수피를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기에 넣고 2,450㎒의 주파수에 120~240W로 30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추출하는 단계; 및
(3)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이 끝난 추출물을 60℃에서 300~500MPa의 압력으로 저온 고압 추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이때,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단계는 240W에서 시행하고, 저온 고압 추출 단계는 300MPa의 압력으로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각 방법에 의해 추출되는 고로쇠나무의 생리활성 증진을 위한 이단 복합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고로쇠나무'는 '우산고로쇠'를 포함한다.
고로쇠나무 수피는 고로쇠나무 외부에 붙어 있는 껍질로서 비교적 쉽게 얻을 수 있으므로 상업적인 이용이 용이하다. 그럼에도 기존과 같이 이를 단순 열수 추출하는 경우, 열에 약하거나 휘발성이 강한 유효성분의 파괴나 소실을 피할 수 없어 천연 유효성분을 충분히 추출해내지 못하거나 그 반대로 불필요 내지 때로는 유해한 성분의 용출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하는 기술적 결함을 가지고 있었다. 저온으로 추출할 경우에도 고온 혹은 장시간 방치하여서만 얻을 수 있는 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없었으며, 그렇다고 공정 효율성을 무시하고 무조건 장기간 방치하는 것도 경제적으로 문제가 있다.
일반적인 식물 원료의 추출 기술은 대부분 정확한 용매의 선택과 열의 사용 또는 원료의 용해성을 증가시키는 교반 그리고 물질의 이동에 근거한다. 보통 일반적인 추출 기술은 긴 시간의 소비와 낮은 효율을 보인다. 그러나 많은 천연 자원은 낮은 열안정성에 의해 쉽게 변질되고 열을 이용한 추출과정에서 생리활성을 잃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일차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공정을 활용하는 방안을 시도해 볼 만하다. 식품 및 기능성소재 산업공정에서 고로쇠나무와 같은 목질계 시료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에서는 2,450㎒ 주파수와 120~240W(watts)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도 추출 시간에 대한 한계가 있어서, 일정한 추출 시간에 도달하면 그 이상 추출을 하여도 수율이 높아지지 않는다. 천연물의 상업적인 이용에 있어서, 일반 열수 추출에 비해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공정이 한 단계 진보된 공정이라 하여도 수율이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다면 가치가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공정과 함께 저온 고압 추출을 병행한 이단 복합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유기화합물 추출을 크게 증가시키고, 용매의 손실과 에너지, 공정시간을 줄이면서 높은 추출수율을 꾀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서 적용한 추출 방법은 낮은 온도에서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과정에서 온도에 의한 피해를 피할 수 있고 휘발성분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갑작스런 압력의 변화로 용매의 식물 원료로의 침투와 세포벽의 파괴로 인한 세포내 물질의 방출의 효과 또한 증대된다.
본 발명은 고로쇠나무의 수액에 비해 연구 실정이 미비한 나무 자체의 기능성 식품 제조 및 소재화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열수 추출의 단점과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방법 및 이단 복합 추출 방법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추출물의 독성 감소와 함께 일반적인 추출 공정에서는 용출되지 않았던 다양한 생리활성성분의 용출을 유도할 수 있어 다양한 생리활성 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향후 이러한 성분의 분리?정제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의 소재화에 본 발명이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도 1은 열수 추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이단 복합 추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각 공정별 추출물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관찰한 것이다(A: 일반열수추출, B: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C: 이단 복합 추출).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수를 이용한 기존의 추출물과의 여러 생리활성 비교 실험을 통해 이단 복합 추출을 통한 고로쇠나무 수피 추출물의 생리 활성 증진을 확인하였다.
도 1은 이하에서 실험한 열수 추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이단 복합 추출에 따른 세부적인 실험군을 알기 쉽게 보인 모식도이다.
실시예 1. 고로쇠나무 수피를 이용한 일반적인 열수 추출
1) 원료 : 고로쇠나무(Acer mono) 수피를 실온에서 음건시킨 후 100 mesh 정도로 분쇄하였다.
2) 열수추출 : 분말화한 고로쇠나무 시료 100g을 수직 환류 냉각기가 부착된 추출 플라스크에 넣고 시료 중량의 10배수의 증류수를 용매로 넣고 100℃에서 12시간 동안 2회 반복 추출하였다.
3) 농축 : 얻어진 추출물은 감압 여과장치로 여과하여 70~80℃에서 감압 농축 하였다.
4) 동결건조 : 상기의 방법으로 얻어진 농축물들은 동결 건조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여 건조한 분말 상태로 제조하여 추출물로 하였다.
실시예 2. 고로쇠나무 수피를 이용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1) 원료 : 고로쇠나무 수피를 실온에서 음건시킨 후 100 mesh 정도로 분쇄하였다.
2)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 분말화 한 수피를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기에 넣고 2,450㎒의 주파수에 각각 120W, 240W로 30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추출한 추출물을 수직환류냉각기가 부착된 추출 flask에 시료 중량의 10배의 증류수를 사용하여 60℃에서 12시간 동안 2회 반복 추출하였다.
3) 농축 : 얻어진 추출물은 감압 여과장치로 여과하여 60℃에서 감압 농축 하였다.
4) 동결건조 : 상기의 방법으로 얻어진 농축물들은 동결 건조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여 건조한 분말 상태로 제조하여 추출물로 하였다.
실시예 3.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과 저온 고압 추출을 병행한 이단 복합 추출
1) 원료 : 고로쇠나무 수피를 실온에서 음건 시킨 후 100 mesh 정도로 분쇄하였다.
2) 1차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 분말화 한 수피를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기에 넣고 2,450㎒의 주파수에 각각 120W, 240W로 30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추출한 추출물을 수직환류냉각기가 부착된 추출 플라스크에 시료 중량의 10배의 증류수를 사용하여 60℃에서 12시간 동안 2회 반복 추출하였다.
3) 2차 이단 복합 추출 : 1차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이 끝난 추출물 100g을 비닐 팩에 증류수 200mL와 함께 넣어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잘 밀봉한 후, 저온 고압 추출 장치를 이용하여 60℃에서 각각 300MPa, 500MPa의 압력으로 15분간 저온 고압 추출을 시행하였다.
4) 농축 : 얻어진 추출물은 감압 여과장치로 여과하여 60℃에서 감압 농축 하였다.
5) 동결건조 : 상기의 방법으로 얻어진 농축물들은 동결 건조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여 건조한 분말 상태로 제조하여 추출물로 하였다.
실시예 4. 추출방법에 따른 고로쇠나무 수피 추출물의 생리활성 비교
실시예 1, 2, 3에서 얻어진 고로쇠나무 추출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여 수율 및 여러 생리활성을 비교하였다.
1) 수율
먼저 120W, 240W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을 했을 때 시간에 따른 수율의 결과를 그래프 1과 2에 나타내었다. 120W, 240W 각각의 추출 수율 결과 30분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그 후에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0013665714-pat00001
그래프 1. 120W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을 했을 때 시간에 따른 수율의 결과
Figure 112010013665714-pat00002
그래프 2. 240W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을 했을 때 시간에 따른 수율의 결과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30분간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을 진행한 후 저온 고압 추출을 병행한 이단 복합 추출을 실시하였다.
고로쇠나무 추출물의 수율은 표 1과 같다. 이단 복합 추출한 것 중 240W, 300MPa의 조건에서의 추출물이 13.45%로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13665714-pat00003

2) DPPH radical에 대한 전자공여능 측정
추출물의 전자공여작용(electron donating abilities, EDA)은 각각의 추출물에 대한 DPPH(a,a-diphenyl-picrylhydrazyl)의 전자공여효과로 각 시료의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즉 에탄올 1 ㎖, 시료 10 ㎕, 100 mM sodium acetate buffer(pH 5.5) 990 ㎕를 분주한 시험관에 0.5 mM DPPH 용액(Abs. EtOH soln.) 0.5 ㎖를 넣어 교반하고, 암실에서 5분간 반응을 유도한 후, 잔존 radical의 농도를 UV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517 nm에서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1-As/Ac) × 100]으로 나타내었고, As와 Ac에 실험군과 대조군의 흡광도 값을 각각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그리고 항산화제인 butylated hydroxy anisole (BHA)의 활성을 조사하여 본 실험의 추출물과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Figure 112010013665714-pat00004

Figure 112010013665714-pat00005
그래프 3. 고로쇠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그래프 3은 고로쇠나무의 각 추출 공정별 전자공여능을 나타낸 그림이다. 모든 추출물이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같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60℃, 240W, 300MPa 조건의 이단 복합 추출에 의한 고로쇠나무 추출물이 1.0 mg/mL의 농도에서 94.56%로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이는 일반 열수 추출물보다 약 10%,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물보다 약 4% 높은 수치이다.
3) SOD 유사활성 측정
SOD 유사활성은 과산화수소(H2O2)로 전환 반응을 촉매하는 pyrogallol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SOD 유사활성으로 나타내었다. 즉, 일정 농도의 시료 0.2 ㎖에 pH 8.5로 보정한 tris-HCl buffer (50 mM tris [hydroxymethyl] amino-methane + 10 mM EDTA, pH 8.5) 2.6 ㎖와 7.2 mM pyrogallol 0.2 ㎖를 첨가하고 25℃에서 10분간 반응 후 1N HCl 0.1 ㎖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액 중 산화된 pyrogallol의 양은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시료 첨가 및 무첨가구 간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13665714-pat00006

표 2는 고로쇠나무 추출물의 각 공정별 SOD 유사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일반 열수 추출물이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물에 비해 이단 복합 추출물의 활성이 높았다.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낸 60℃, 240W, 300MPa 조건의 이단 복합 고로쇠 추출물의 경우 1.0 mg/mL의 농도에서 38.66%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13665714-pat00007

4) 세포 독성 및 항암활성 측정
SRB (sulforhodamine B) assay 는 세포 단백질을 염색하여 세포의 증식이나 독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실험에 사용된 세포주로는 인간 정상 폐 세포인 HEL299를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하였고, 항암활성은 폐암 세포 (A549), 위암세포 (AGS), 간암세포(Hep3B), 유방암 세포(MCF-7)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대상 세포의 농도를 4~5×104 cells/mL 으로 96 well plate의 각 well에 100 ㎕씩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 (37℃ 5% CO2)한 후, 각각의 시료를 최종농도 0.2, 0.4, 0.6, 0.8 그리고 1.0 mg/mL로 100 ㎕씩 첨가하여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에 상등액을 제거하고 차가운 10% (w/v) TCA (trichloroacetic acid) 100 ㎕를 가하여 4℃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증류수로 5회 세척하여 TCA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plate를 건조한 뒤 각 well에 1% (v/v) acetic acid에 녹인 0.4% (w/v) SRB용액을 100 ㎕씩 첨가하고 상온에서 30분 동안 염색시켰다. 결합되지 않은 SRB 염색액은 1% acetic acid로 4~5회 정도 세척, 건조시킨 후에 100 ㎕의 10 mM Tris buffer를 첨가하여 염색액을 녹여낸 후 540 nm에서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THERMO max, USA)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electivity 측정은 SRB assay를 이용하여 정상세포 (HEL299)에 대한 각 sample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측정하고, SRB assay를 이용하여 각 암세포주의 생육 억제 활성을 측정한 후 각 농도에서의 세포 독성에 대한 암세포 생육 억제 활성의 비로 selectivity를 계산하였다.
Figure 112010013665714-pat00008

Figure 112010013665714-pat00009

그래프 4는 고로쇠나무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인간 정상 폐 세포인 HEL299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낸 그림이다. 고로쇠나무 추출물 모두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세포독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모든 추출물이 1.0 mg/mL의 농도에서 26% 이하의 비교적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고로쇠나무 추출물이 세포수준에서 안전성을 가지며 항암소재로서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일반 열수 추출물 보다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물과 이단 복합 추출물의 세포독성이 약 6% 정도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고로쇠나무가 가지고 있던 독성물질이 저온 고압 공정 및 마이크로웨이브 공정에 의해 파괴되거나 그 구조가 변성되어 독성이 낮아지는 데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다음으로 표 3은 인간 위암세포인 AGS와 인간 폐암세포인 A549에 대한 고로쇠나무 추출물의 암세포 억제 활성 및 선택적 사멸도를 나타낸 것이다. 모든 추출물이 1.0 mg/mL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모든 추출물에서 이단 복합 처리한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는데 일반 열수 추출물과 비교하여 10% 이상 활성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AGS에서는 60℃, 240W, 300MPa의 조건에서 이단 복합 추출한 것이 84.62%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A549에 대해서도 60℃, 240W, 300MPa 의 조건에서 79.54%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단 복합 처리에 따른 고로쇠나무의 독성성분의 감소와 함께 활성의 증가로 인한 높은 선택적 사멸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높은 압력과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독성성분의 파괴 및 변성으로 인한 효과와 함께 고로쇠나무가 가지고 있던 활성성분의 용출이 더 많아져 나타난 결과라 사료된다.
Figure 112010013665714-pat00010

5) 각 공정별 추출물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도 2는 각 공정별 추출물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관찰을 한 것이다.
A는 일반열수 추출물의 표면, B는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물의 표면, C는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과 고압 추출을 병행한 이단 복합 추출물의 표면을 찍은 사진이다. B는 240W의 강도로 추출한 것이고, C는 240W의 마이크로웨이브 강도와 300MPa의 압력조건하에서 추출한 것이다.
3가지의 사진을 비교해 보았을 때 B와 C는 A에 비해서 추출물 표면이 찢어지거나 조직의 변형이 일어나 유용생리활성 성분의 추출이 용이할 것으로 사료되며 실제로 생리활성 실험결과 일반열수 추출물보다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이나 이단 복합 추출물의 활성이 더 좋은 것을 앞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B와 C를 비교해보면,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서 찢어진 조직이 높은 압력(300MPa)의 처리를 통해 조직과 세포막의 변형이 일어난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향으로 용매들이 세포 안으로 쉽게 들어감으로써 기존 물질들의 용출량이 증가하고 새로운 물질이 용출되어 이단 복합 추출물이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낸 결과라 사료된다.

Claims (4)

  1. 삭제
  2. (1) 고로쇠나무의 수피를 음건하여 분쇄하는 단계;
    (2) 분쇄한 수피를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기에 넣고 2,450㎒의 주파수에 120~240W로 30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추출하는 단계; 및
    (3)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이 끝난 추출물을 60℃에서 300~500MPa의 압력으로 저온 고압 추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쇠나무의 생리활성 증진을 위한 이단 복합 추출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단계는 240W에서 시행하고,
    저온 고압 추출 단계는 300MPa의 압력으로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쇠나무의 생리활성 증진을 위한 이단 복합 추출방법.
  4. 삭제
KR1020100019009A 2010-03-03 2010-03-03 고로쇠나무의 생리활성 증진을 위한 이단 복합 추출방법 KR101138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009A KR101138749B1 (ko) 2010-03-03 2010-03-03 고로쇠나무의 생리활성 증진을 위한 이단 복합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009A KR101138749B1 (ko) 2010-03-03 2010-03-03 고로쇠나무의 생리활성 증진을 위한 이단 복합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970A KR20110099970A (ko) 2011-09-09
KR101138749B1 true KR101138749B1 (ko) 2012-04-24

Family

ID=44952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009A KR101138749B1 (ko) 2010-03-03 2010-03-03 고로쇠나무의 생리활성 증진을 위한 이단 복합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7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453B1 (ko) * 2010-10-27 2013-01-2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초고압 처리된 고로쇠 수액 함유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7(6), 2009.12., pp.407-414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7(6), 2009.12., pp.407-4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970A (ko) 201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1912B2 (ja) ナツシロギク(タナセタム・パルテニウム(tanacetumparthenium))からのパルテノライドを含有しない生物活性成分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69410B1 (ko) 버섯배지를 이용한 차가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꽃송이버섯 및 동충하초의 복합배양방법
KR100922311B1 (ko) 활성화된 당 관련 화합물을 함유하는 물질을 생성하는 차가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꽃송이버섯 및 동충하초의 복식 배양 방법
JP7471393B2 (ja) 呼吸器疾患の予防、改善又は効果がある茶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薬学組成物
CN103223018A (zh) 桂花多酚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603294B1 (ko) 파상된 산양산삼으로부터 최대함량 진세노사이드 추출방법
KR101404286B1 (ko) 신선초 녹즙 부산물로부터 칼콘 고함유 추출물 제조방법
KR101377586B1 (ko) 고상 발효에 의한 항산화 활성 및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차가버섯 발효물의 제조방법
Amarowicz et al. Antioxidative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phenolics from Vicia sativum
KR101978336B1 (ko) 아로니아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944014B1 (ko) 진달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0817876B1 (ko) 소나무 수피로부터 프로안토시아니딘의 분리방법
KR101138749B1 (ko) 고로쇠나무의 생리활성 증진을 위한 이단 복합 추출방법
KR101745718B1 (ko) 밀몽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백혈병 치료용 조성물
KR101944082B1 (ko) 아가위 열매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또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1766662B (zh) 一种高效浓缩虫草菌丝体的工艺
KR20150036882A (ko) 곤드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97664B1 (ko) 삼의 흑삼화 제조방법
KR20200098991A (ko) 버섯을 이용한 엽산의 추출 방법
KR100668260B1 (ko) 참나무로부터 페루릭산을 추출하는 방법
KR101431868B1 (ko) 신선초 뿌리로부터 칼콘 고함유 추출물 제조방법
TWI618540B (zh) Composition for preventing renal toxicity caused by drug toxicity,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Its use
KR101770257B1 (ko) 생리활성이 증진된 여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주 에탄올 추출물
WO2020042250A1 (zh) 一种查尔酮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
CN115737664B (zh) 一种具有抗炎活性的元宝枫叶提取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