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734B1 -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734B1
KR101138734B1 KR1020090067174A KR20090067174A KR101138734B1 KR 101138734 B1 KR101138734 B1 KR 101138734B1 KR 1020090067174 A KR1020090067174 A KR 1020090067174A KR 20090067174 A KR20090067174 A KR 20090067174A KR 101138734 B1 KR101138734 B1 KR 101138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haft member
round
footrest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794A (ko
Inventor
서진호
문성곤
김지원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090067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734B1/ko
Publication of KR20110009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adjustmen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47C16/02Footstools; Foot-rests; Leg-rests
    • A47C16/025Footstools; Foot-rests; Leg-rests adjustable, swivelling, r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풋레스트 플레이트(50)의 동작이 시트백(1)에 설치된 스위치(21) 및 리미트스위치(60)에 의해 자동으로 진행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50)의 작동을 위해 사용되는 부품들이 충분한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큰 강도를 갖춘 결합구조를 갖고 있음으로 인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쉽게 고장나거나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갖추고 있도록 된 것이다.
풋레스트, 시트백, 모터, 스위치

Description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Foot rest apparatus}
본 발명은 뒷좌석 승객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 차량에 마련된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인 승용 차량의 경우, 후방시트에 착석한 뒷좌석 승객은 전방시트와의 공간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발을 편하게 뻗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발을 올려놓을 만한 별도의 거치대도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장거리 이동시 피로감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뒷좌석 승객이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풋레스트 장치를 전방시트에 설치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풋레스트 장치들이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이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어서 사용에 따른 불편함이 있고, 또한 충분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추고 있지 못하여 쉽게 고장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간단한 스위치의 조작으로 자동 작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장기 간 사용하더라도 쉽게 고장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내구성이 향상된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는, 스위치 조작시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정,역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시트백의 양측면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샤프트부재와; 상기 샤프트부재의 동력을 전달받아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샤프트부재의 동력을 전달받지 않는 비회전부로 구성되면서 상기 샤프트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관통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동력전달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동력전달브라켓 사이에 하단이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부재가 하단을 관통하며, 하단의 양측부가 상기 동력전달브라켓 중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시트백의 뒷면에 세워져서 보관되는 상태 및 후방시트를 향해 회전하여 펼쳐지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풋레스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풋레스트 플레이트의 동작이 시트백에 설치된 스위치 및 리미트스위치에 의해 자동으로 진행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의 작동을 위해 사용되는 부품들이 충분한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큰 강도를 갖춘 결합구조를 갖고 있음으로 인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쉽게 고장나거나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갖추고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1)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시트백(1)의 뒷면에는 시트백홈(1a)이 형성된다.
상기 시트백홈(1a)에는 뒷좌석 승객이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풋레스트 플레이트(50)가 설치되는데,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50)는 상기 시트백(1)의 뒷면으로 세워져서 상기 시트백홈(1a)으로 수납되어 보관되는 상태 및 후방시트를 향해 회전하여 펼쳐지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50)에 대해서는 이후에 다시 한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풋레스트 플레이트(50)는 도 2에 도시된 풋레스트 플레이트(50)에 커버를 씌워놓은 것으로 형상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시트백(1)의 양측부에는 힌지브라켓(10)이 각각 고정 설치되고, 어느 한 개의 상기 힌지브라켓(10) 측면에는 구동모터(20)가 설치된다.
보다 정확히 설명하면 상기 힌지브라켓(10)은 시트백(1)의 골격을 이루는 시트백프레임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힌지브라켓(10)과 상기 구동모터(20)는 상기 시트백(1)속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구동모터(20)는 상기 시트백(1)의 뒷면에 장착된 스위치(21)의 조작시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정방향(시계방향) 또는 역방향(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스트백홈(1a)을 가로질러서 양단이 상기 시트백(1)의 양쪽 측면에 위치하는 샤프트부재(30)는 그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20)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30)의 동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샤프트부재(30)는 바깥 둘레면이 상기 샤프트부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스플라인(31; spline)이 가공된 스플라인 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샤프트부재(30)의 양단부에는 상기 샤프트부재(30)에 의해 중심부가 관통된 한 쌍의 동력전달브라켓(40)이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동력전달브라켓(40)은 상기 샤프트부재(30)의 동력을 전달받아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샤프트부재(30)의 동력을 전달받지 않음으로 인해 회전하지 않는 비회전부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동력전달브라켓(40) 사이에는 풋레스트 플레이트(50)의 하단이 위치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50)의 하단으로는 상기 샤프트부재(30)가 관통하며,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50)의 하단의 양측부는 상기 동력전달브라켓(40) 중 상기 회전부와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브라켓(40)의 회전부가 상기 구동모터(20)의 동력으로 회전을 하면,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50)도 함께 회전을 하는 구성이다.
상기 구동모터(20)가 결합된 상기 힌지브라켓(10)에는 스위치브라켓(61)이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브라켓(61)에는 상기 동력전달브라켓(40) 중 상기 회전부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2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리미트스위치(60)가 결합되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브라켓(40)의 비회전부는, 상기 힌지브라켓(10)에 한쪽 면이 용접 결합되고, 반대쪽 면에는 상기 샤프트부재(30)가 관통하는 중심으로부터 동일 반경을 따라 원형 삽입홈(41a)이 형성된 라운드 고정브라켓(4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라운드 고정브라켓(41)의 중심부에는 상기 샤프트부재(30)가 관통하는 구멍(41b)이 형성되는데, 상기 구멍(41b)의 직경은 상기 샤프트부재(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부재(30)와는 결합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상기 라운드 고정브라켓(41)은 상기 샤프트부재(30)가 회전하더라도 함께 회전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브라켓(40)의 회전부는, 상기 샤프트부재(30)가 관통하면서 스플라인 결합을 이루도록 중심부에 스프라인구멍(42a)이 형성되고 바깥 둘레면이 상기 고정브라켓(41)의 원형 삽입홈(41a)으로 삽입되어 상기 원형 삽입홈(41a)을 따라 회전하는 라운드 회전브라켓(42)과, 상기 라운드 회전브라켓(42)의 한쪽 면에 용접 결합되어 상기 라운드 회전브라켓(42)과 함께 회전하는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의 중심부에는 상기 샤프트부재(30)가 관통하는 구멍(43a)이 형성되는데, 상기 구멍(43a)의 직경은 상기 샤프트부재(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부재(30)와는 직접 결합되지 않는다.
상기 라운드 고정브라켓(41)과 상기 라운드 회전브라켓(42)의 측면에는 상기 샤프트부재(30)가 관통하는 중심으로부터 동일 반경을 따라 다수개의 결합돌기(41c,42b)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10)과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 라켓(43)에는 상기 결합돌기(41c,42b)가 관통한 후 용접 결합되는 돌기구멍(11,43b)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의 바깥 둘레면에는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의 회전시 상기 리미트스위치(60)와 접촉하는 제1스위치 작동돌기(43c) 및 제2스위치 작동돌기(43d)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제1스위치 작동돌기(43c)와 상기 제2스위치 작동돌기(43d)는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의 바깥 둘레면을 따라 128도(°)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라운드 회전브라켓(42)과 상기 샤프트부재(30)는 회전각도가 128도(°)로 제한된다.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의 회전각도는 상기 시트백홈(1a)속에 수납된 풋레스트 플레이트(50)가 후방시트를 향해 회전하는 각도이며, 이때의 회전각도가 128도(°)인 이유는 후방시트를 향해 회전한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50)상에 뒷좌석 승객이 발을 올려놓았을 때 가장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 회전각도가 모든 종류의 풋레스트 플레이트(50)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각도는 아니기 때문에, 다양한 각도로 실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50)의 하단은 풋레스트 파이프(70)를 매개로 상기 동력전달브라켓(40)의 회전부인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풋레스트 파이프(70)속으로 상기 샤프트부재(30)가 관통하고, 상기 풋레스트 파이프(70)의 양단은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의 측면에 각각 용 접 결합되며, 상기 풋레스트 파이프(70)의 바깥 둘레면에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50)의 하단이 용접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하지 않는 풋레스트 플레이트(50)는 도 1과 같이 시트백(1)의 뒷면에 세워진 상태로 시트백홈(1a)속에 수납되어 보관된다.
도 1의 상태에서 뒷좌석 승객이 풋레스트 플레이트(50)를 사용하고자 스위치(21)를 조작하면, 차량의 배터리 전원이 구동모터(20)로 인가되어 상기 구동모터(20)가 동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0)는 정방향 회전(시계방향 회전)을 하게 되며, 상기 구동모터(20)의 동력을 전달받는 샤프트부재(30)와 라운드 회전브라켓(42) 및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은 도 2 및 도 3의 상태에서 시계방향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이 시계방향 회전을 하면,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과 풋플레이트 파이프(70)를 매개로 결합된 풋레스트 플레이트(50)도 함께 회전을 하게 되며, 이때부터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50)는 시트백홈(1a)으로부터 빠져나와서 후방시트를 향하여 전개되는 동작이 시작된다.
한편,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이 시계방향 회전을 하다가 도 8과 같이 제2스위치 작동돌기(43d)가 리미트스위치(60)와 접촉을 하면, 상기 구동모터(20)로 인가되는 배터리의 전원이 차단되며, 이와 동시에 구동모터(20)의 동작과 상기 샤프트부재(30), 상기 라운드 회전브라켓(42),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의 시계방향 회전은 종료된다.
이와 같이,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의 시계방향 회전이 종료되면, 후방시트를 향하여 전개되는 동작을 하던 풋레스트 플레이트(50)도 동작이 멈춰지게 된다.
동작이 멈춰진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50)는 도 8과 같이 후방시트를 향해 완전히 회전된 상태이며, 이때부터 뒷좌석 승객은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50)상에 발을 올려놓고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된다.
그리고, 도 8의 상태로 있던 풋레스트 플레이트(50)를 도 1의 상태와 같이 시트백홈(1a)속에 수납하여 보관하고자 할 때, 뒷좌석 승객은 스위치(21)를 다시 한번 조작하게 된다.
그러면, 차량의 배터리 전원이 구동모터(20)로 다시 인가되어 상기 구동모터(20)는 전술한 방향의 반대방향인 역방향 회전(반 시계방향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구동모터(20)의 동력을 전달받는 샤프트부재(30)와 라운드 회전브라켓(42) 및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도 전술한 방향의 반대방향인 반 시계방향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이 반 시계방향 회전을 하면 풋레스트 플레이트(50)도 함께 회전을 하게 되며, 이때부터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50)는 시트백(1)의 뒷면을 향하여 세워지는 동작이 시작된다.
한편,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이 반 시계방향 회전을 하다가 도 7과 같이 제1스위치 작동돌기(43c)가 리미트스위치(60)와 접촉을 하면, 상기 구동모터(20)로 인가되는 배터리의 전원이 차단되며, 이와 동시에 구동모터(20)의 동작과 상기 샤프트부재(30), 상기 라운드 회전브라켓(42),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의 반 시계방향 회전은 종료된다.
이와 같이,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의 반 시계방향 회전이 종료되면, 시트백(1)의 뒷면을 향하여 세워지는 동작을 하던 풋레스트 플레이트(50)도 동작이 멈춰지게 된다.
동작이 멈춰진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50)는 도 1과 같이 시트백(1)의 뒷면에 구비된 시트백홈(1a)속에 완전히 수납되어 보관된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는, 풋레스트 플레이트(50)의 동작이 시트백(1)에 설치된 스위치(21)의 간단한 동작으로 진행되는 구성이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풋레스트 플레이트(50)가 후방시트를 향해 전개된 후 정지하는 동작과 시트백홈(1a)속으로 수납된 후 정지하는 동작도 리미트스위치(60)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풋레스트 장치는 풋레스트 플레이트(50)의 작동을 위해 사용되는 부품들(힌지브라켓, 샤프트부재, 동력전달브라켓, 풋레스트 파이프 등)이 서로 스플라인 결합 또는 용접 결합되어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충분한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큰 강도를 갖춘 구성이고, 이로 인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쉽게 고장나거나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갖추고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가 구비된 시트백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의 결합상태 및 분해 사시도,
도 4는 동력전달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라운드 고정브라켓과 라운드 회전브라켓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과 도 7은 리미트스위치 및 라운드 베이스브라켓과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풋레스트 플레이트의 작동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시트백 1a - 스트백홈
20 - 구동모터 21 - 스위치
30 - 샤프트부재 40 - 동력전달브라켓
41 - 라운드 고정브라켓 42 - 라운드 회전브라켓
43 - 라운드 베이스브라켓 50 - 풋레스트 플레이트
60 - 리미트스위치 70 - 풋레스트 파이프

Claims (10)

  1. 시트백(1)의 골격을 이루는 시트백프레임의 양측부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힌지브라켓(10)과;
    상기 힌지브라켓(10) 중 어느 하나의 힌지브라켓(10)의 측면에 설치되고, 스위치(21) 조작시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정,역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20)와;
    시트백(1)의 양측면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구동모터(20)의 동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샤프트부재(30)와;
    상기 샤프트부재(30)의 동력을 전달받아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 및 일측면이 상기 힌지브라켓(10)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부재(30)의 동력을 전달받지 않는 비회전부로 구성되면서 상기 샤프트부재(30)의 양단부에 각각 관통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동력전달브라켓(40)과;
    상기 한 쌍의 동력전달브라켓(40) 사이에 하단이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부재(30)가 하단을 관통하며, 하단의 양측부가 상기 동력전달브라켓(40) 중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시트백(1)의 뒷면에 세워져서 보관되는 상태 및 후방시트를 향해 회전하여 펼쳐지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풋레스트 플레이트(50);
    를 포함하는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라켓(10)에 결합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60)는 상기 동력전달브라켓(40)의 회전부가 회전하여, 상기 회전부의 일측과 접촉하면 상기 구동모터(2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브라켓(40)의 비회전부는,
    상기 힌지브라켓(10)에 한쪽 면이 용접 결합되고, 반대쪽 면에는 상기 샤프트부재(30)가 관통하는 중심으로부터 동일 반경을 따라 원형 삽입홈(41a)이 형성된 라운드 고정브라켓(4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브라켓(40)의 회전부는,
    상기 샤프트부재(30)가 관통하면서 스플라인 결합을 이루도록 중심부에 스프라인구멍(42a)이 형성되고 바깥 둘레면이 상기 라운드 고정브라켓(41)의 원형 삽입홈(41a)으로 삽입되어 상기 원형 삽입홈(41a)을 따라 회전하는 라운드 회전브라켓(42)과;
    상기 라운드 회전브라켓(42)의 한쪽 면에 용접 결합되어 상기 라운드 회전브라켓(42)과 함께 회전하는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50)의 하단은 풋레스트 파이프(70)를 매개로 상기 동력전달브라켓(40)의 회전부인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풋레스트 파이프(70)속으로 상기 샤프트부재(30)가 관통하고 상기 풋레스트 파이프(70)의 양단은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의 측면에 각각 용접 결합되며;
    상기 풋레스트 파이프(70)의 바깥 둘레면에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50)의 하단이 용접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고정브라켓(41)과 상기 라운드 회전브라켓(42)의 측면에는 상기 샤프트부재(30)가 관통하는 중심으로부터 동일 반경을 따라 다수개의 결합돌기(41c,42b)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10)과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에는 상기 결합돌기(41c,42b)가 관통한 후 용접 결합되는 돌기구멍(11,43b)이 각각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의 바깥 둘레면에는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의 회전시 상기 리미트스위치(60)와 접촉하는 제1스위치 작동돌기(43c) 및 제2스위치 작동돌기(43d)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 작동돌기(43c)와 상기 제2스위치 작동돌기(43d)는 상기 라운드 베이스브라켓(43)의 바깥 둘레면을 따라 128도(°)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20)를 구동시키는 상기 스위치(21)는 상기 시트백(1)의 뒷면에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
KR1020090067174A 2009-07-23 2009-07-23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 KR101138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174A KR101138734B1 (ko) 2009-07-23 2009-07-23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174A KR101138734B1 (ko) 2009-07-23 2009-07-23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794A KR20110009794A (ko) 2011-01-31
KR101138734B1 true KR101138734B1 (ko) 2012-04-24

Family

ID=43615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174A KR101138734B1 (ko) 2009-07-23 2009-07-23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425B1 (ko) * 2014-07-25 2016-03-15 현대다이모스(주) 풋레스트 장치
CN111002888B (zh) * 2019-12-26 2021-08-13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一种电动脚蹬结构
GB2617822A (en) * 2022-04-11 2023-10-25 Bentley Motors Ltd A fully adjustable rear passenger foot and leg suppor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6398A (ja) * 2004-06-17 2006-02-02 Aisin Seiki Co Ltd オットマン装置
KR200437864Y1 (ko) * 2007-01-05 2008-01-02 윤삼걸 자동차용 보조 발판 장치
KR200440985Y1 (ko) * 2007-04-17 2008-07-16 윤삼걸 자동차용 보조 발판 장치
KR20090070291A (ko) * 2007-12-27 2009-07-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풋레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6398A (ja) * 2004-06-17 2006-02-02 Aisin Seiki Co Ltd オットマン装置
KR200437864Y1 (ko) * 2007-01-05 2008-01-02 윤삼걸 자동차용 보조 발판 장치
KR200440985Y1 (ko) * 2007-04-17 2008-07-16 윤삼걸 자동차용 보조 발판 장치
KR20090070291A (ko) * 2007-12-27 2009-07-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풋레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794A (ko) 2011-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6172B1 (ko)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KR101138734B1 (ko)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
JP4922627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CN100564922C (zh) 载荷扭矩闭锁装置
JP6284855B2 (ja) リクライナ
KR20110009797A (ko)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
KR102199618B1 (ko)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US6149560A (en) Exercise device
WO2018087936A1 (ja) 電気掃除機の延長管
US10882462B2 (en) Vehicle-mounted display screen device and vehicle
KR20200021243A (ko) 구동 모듈이 분리될 수 있는 폴딩 전동휠체어
KR101222688B1 (ko) 철도차량 시트 자동회전장치
KR101568046B1 (ko)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
KR101034308B1 (ko) 차량 시트용 올덤 커플링 타입 리클라이닝 장치
JP6115441B2 (ja) リクライナ
JP6282559B2 (ja) リクライナ
KR100996697B1 (ko) 차량용 풋레스트 장치
KR102411066B1 (ko) 무선 듀얼스핀 물걸레 청소기
JP5128850B2 (ja) 両側リクライニング機構及び両側リクライニング機構の組み付け方法
KR101031636B1 (ko) 차량용 풋레스트 장치
KR101107984B1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JP2834401B2 (ja) 座席装置
JP2010000900A (ja) 車両用シートの連結装置
JP5006721B2 (ja) 歩行型管理機
JP2004345463A (ja) ヘッドレスト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