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746B1 -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746B1
KR101137746B1 KR1020117009440A KR20117009440A KR101137746B1 KR 101137746 B1 KR101137746 B1 KR 101137746B1 KR 1020117009440 A KR1020117009440 A KR 1020117009440A KR 20117009440 A KR20117009440 A KR 20117009440A KR 101137746 B1 KR101137746 B1 KR 101137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phthyl
bis
group
methyl
optically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282A (ko
Inventor
마코토 이타가키
가츠히사 마스모토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38621A external-priority patent/JP4211484B2/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3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 C07D26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3/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63/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6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5/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5/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5/2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unsaturated
    • C07C215/28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unsaturated and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1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07C233/1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 C07C233/18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having the carbo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 hydrogen atom or to a carbon atom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3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 C07C67/333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 C07C67/343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by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67/347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by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by addition to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07Optical is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0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three-membered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식 (1):
Figure 112011030771037-pat00032

(식 중, R1 및 R2 는 동일하고, 각각 탄소수 1~6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아르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1 과 R2 가 서로 결합하여 이들이 결합하고 있는 옥사졸린 고리의 탄소 원자와 함께 고리를 형성한다.
R3 은 치환 또는 비치환 나프틸기를 나타낸다.
R4 및 R5 는 동일하고, 각각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 의 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4 와 R5 가 서로 결합하여 이들이 결합하고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탄소수 3~6 의 시클로알킬 고리를 형성한다. * 는 부제 중심을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하는 광학 활성 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OPTICALLY ACTIVE BISOXAZOLINE COMPOUNDS,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SAME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을 배위자로서 사용하는 부제(不齊) 합성반응으로서, 프로키랄인 올레핀으로부터 (+)-2,2-디메틸-3-(2-메틸-1-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으로 대표되는 합성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등의 농약, 의약 등의 합성 중간체로서 중요한 화합물인 광학 활성 시클로프로판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71874호, Tetrahedron Lett., 32, 7373(1991)).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부분입체이성질체 선택성 (트랜스체/시스체 비) 이나 거울상이성질체 선택성은 비교적 양호하지만, 공업적인 측면에서 목적하는 광학 활성 시클로프로판 화합물의 수율 개선이 요망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부제 합성의 촉매성분으로서 나프틸기를 가진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이 용이하게 얻어지고, 이 화합물과 구리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공업적으로 유용한 부제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광학 활성 화합물이 높은 수율로 얻어진다.
즉, 본 발명은, 식 (1):
Figure 112011030771037-pat00001
(식 중, R1 및 R2 는 동일하고, 각각 탄소수 1~6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아르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1 과 R2 가 서로 결합하여, 이들이 결합하고 있는 옥사졸린 고리의 탄소 원자와 함께 고리를 형성한다.
R3 은 치환 또는 비치환 나프틸기 (바람직하게는, 1-나프틸기 또는 2-나프틸기) 를 나타낸다.
R4 및 R5 는 동일하고, 각각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 의 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4 와 R5 가 탄소 원자와 함께 서로 결합하여 탄소수 3~6 의 시클로알킬 고리를 형성한다. * 는 부제 중심을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인 식 (1) 로 표시되는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이하,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1) 이라 약기함) 에 관하여 설명한다.
R1 및 R2 로 표시되는 탄소수 1~6 의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알킬기를 들 수 있다. 또는, R1 과 R2 가 서로 결합하여 이들이 결합하는 옥사졸린 고리의 탄소 원자와 함께 형성하는 고리의 예로는, 탄소수 3~7 의 시클로알킬 고리가 예시된다. 이러한 시클로알킬 고리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판 고리, 시클로부탄 고리, 시클로펜탄 고리, 시클로헥산 고리, 시클로헵탄 고리 등이 예시된다.
R1 및 R2 로 표시되는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기로는, 예를 들어 비치환 페닐기, 예를 들어 3-메틸페닐기, 4-메틸페닐기 등의 상기 탄소수 1~6 의 알킬기로 치환된 페닐기, 나아가서는 예를 들어, 2-메톡시페닐기, 3-메톡시페닐기, 4-메톡시페닐기 등의 탄소수 1~6 의 알콕시기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부톡시기, 펜틸옥시기, 헥실옥시기) 로 치환된 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비치환 아르알킬기로는,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 아릴기로 치환된 탄소수 1~6 의 알킬기가 예시되고, 구체적인 예로는, 예를 들어 벤질기, 2-메틸벤질기, 3-메틸벤질기, 4-메틸벤질기, 2-메톡시벤질기, 3-메톡시벤질기, 4-메톡시벤질기, 1-나프틸메틸기, 2-나프틸메틸기 등이 예시된다.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1) 의 식 중, R3 으로 표시되는 치환 또는 비치환 나프틸기로는, 비치환 1-나프틸기 또는 2-나프틸기 외에, 탄소수 1~6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6 의 알콕시기로 치환된 1-나프틸기 또는 2-나프틸기가 예시된다. 여기서 탄소수 1~6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6 의 알콕시기로는, 치환기 R1 또는 R2 에 관하여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이 예시된다. 구체적으로는, 4-플루오로-1-나프틸기, 2-메틸-1-나프틸기, 4-메틸-1-나프틸기, 2-메톡시-1-나프틸기, 2-에톡시-1-나프틸기, 4-메톡시-1-나프틸기, 2,4-디메톡시-1-나프틸기, 2-나프틸기, 7-메틸-2-나프틸기, 1-n-프로필-2-나프틸기, 6-메톡시-2-나프틸기, 3,8-디메톡시-2-나프틸기가 예시된다. 1-나프틸기 또는 2-나프틸기가 바람직하다.
R4 및 R5 로 표시되는 탄소수 1~6 의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등의 C1 - 3 의 알킬기 및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를 들 수 있다. 또한, R4 와 R5 가 서로 결합하여 이들이 결합하고 있는 옥사졸린 고리의 탄소 원자와 함께 형성하는 고리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 3~6 의 시클로알킬 고리가 예시된다. 이러한 시클로알킬 고리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판 고리, 시클로부탄 고리, 시클로펜탄 고리, 시클로헥산 고리 등이 예시된다. R4 및 R5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 의 알킬기를 나타내거나, R4 와 R5 는 서로 결합하여 이들이 결합하고 있는 옥사졸린 고리의 탄소 원자와 함께 탄소수 3~6 의 시클로알킬 고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식 (1) 의 비스옥사졸린 화합물에 있어서는, * 로 표시되는 두개의 부제 탄소 원자가 존재하는데, 그 입체배치가 둘다 (S) 또는 (R) 인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1) 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비스[2-[(4S)-(1-나프틸)-5,5-디메틸옥사졸린]]메탄, 비스[2-[(4S)-(1-나프틸)-5,5-디에틸옥사졸린]]메탄, 비스[2-[(4S)-(1-나프틸)-5,5-디-n-프로필옥사졸린]]메탄, 비스[2-[(4S)-(1-나프틸)-5,5-디-n-부틸옥사졸린]]메탄, 비스[2-[(4S)-(1-나프틸)-5,5-디이소부틸옥사졸린]]메탄, 비스[2-[(4S)-(1-나프틸)-5,5-디-n-펜틸옥사졸린]]메탄, 비스[2-[(4S)-(1-나프틸)-5,5-디-n-헥실옥사졸린]]메탄, 비스[2-[(4S)-(1-나프틸)-5,5-디벤질옥사졸린]]메탄, 비스[2-[(4S)-(1-나프틸)-5,5-디(2-메틸벤질)옥사졸린]]메탄, 비스[2-[(4S)-(1-나프틸)-5,5-디(3-메틸벤질)옥사졸린]]메탄, 비스[2-[(4S)-(1-나프틸)-5,5-디(4-메틸벤질)옥사졸린]]메탄, 비스[2-[(4S)-(1-나프틸)-5,5-디(2-메톡시벤질)옥사졸린]]메탄, 비스[2-[(4S)-(1-나프틸)-5,5-디(3-메톡시벤질)옥사졸린]]메탄, 비스[2-[(4S)-(1-나프틸)-5,5-디(4-메톡시벤질)옥사졸린]]메탄,
비스[2-[(4S)-(1-나프틸)-5,5-디(1-나프틸메틸)옥사졸린]]메탄, 비스[2-[(4S)-(1-나프틸)-5,5-디(2-나프틸메틸)옥사졸린]]메탄, 비스[2-[(4S)-(1-나프틸)-5,5-디페닐옥사졸린]]메탄, 비스[2-[(4S)-(1-나프틸)-5,5-디(3-메틸페닐)옥사졸린]]메탄,
비스[2-[(4S)-(1-나프틸)-5,5-디(4-메틸페닐)옥사졸린]]메탄, 비스[2-[(4S)-(1-나프틸)-5,5-디(2-메톡시페닐)옥사졸린]메탄, 비스[2-[(4S)-(1-나프틸)-5,5-디(3-메톡시페닐)옥사졸린]]메탄, 비스[2-[(4S)-(1-나프틸)-5,5-디(4-메톡시페닐)옥사졸린]]메탄, 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프로판]]]메탄, 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부탄]]]메탄, 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펜탄]]]메탄, 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헥산]]]메탄, 비스[2-[스피로[(4S)-메틸옥사졸린-5,1'-시클로헵탄]]]메탄,
2,2-비스[2-[(4S)-(1-나프틸)-5,5-디메틸옥사졸린]]프로판, 2,2-비스[2-[(4S)-(1-나프틸)-5,5-디에틸옥사졸린]]프로판, 2,2-비스[2-[(4S)-(1-나프틸)-5,5-디-n-프로필옥사졸린]]프로판, 2,2-비스[2-[(4S)-(1-나프틸)-5,5-디-n-부틸옥사졸린]]프로판, 2,2-비스[2-[(4S)-(1-나프틸)-5,5-디이소부틸옥사졸린]]프로판, 2,2-비스[2-[(4S)-(1-나프틸)-5,5-디-n-펜틸옥사졸린]]프로판, 2,2-비스[2-[(4S)-(1-나프틸)-5,5-디-n-헥실옥사졸린]]프로판, 2,2-[2-비스[2-[(4S)-(1-나프틸)-5,5-디벤질옥사졸린]]프로판, 2,2-[2-비스[2-비스[(4S)-(1-나프틸)-5,5-디(2-메틸벤질)옥사졸린]]프로판, 2,2-비스[2-[(4S)-(1-나프틸)-5,5-디(3-메틸벤질)옥사졸린]]프로판, 2,2-비스[2-[(4S)-(1-나프틸)-5,5-디(4-메틸벤질)옥사졸린]]프로판, 2,2-비스[2-[(4S)-(1-나프틸)-5,5-디(2-메톡시벤질)옥사졸린]]프로판, 2,2-비스[(4S)-(1-나프틸)-5,5-디(3-메톡시벤질)옥사졸린]]프로판, 2,2-비스[2-[(4S)-(1-나프틸)-5,5-디(4-메톡시벤질)옥사졸린]]프로판,
2,2-비스[2-[(4S)-(1-나프틸)-5,5-디(1-나프틸메틸)옥사졸린]]프로판, 2,2-비스[(4S)-(1-나프틸)-5,5-디(2-나프틸메틸)옥사졸린]]프로판, 2,2-비스[(4S)-(1-나프틸)-5,5-디페닐옥사졸린]]프로판, 2,2-비스[2-[(4S)-(1-나프틸)-5,5-디(3-메틸페닐)옥사졸린]]프로판, 2,2-비스[2-[(4S)-(1-나프틸)-5,5-디(4-메틸페닐)옥사졸린]]프로판, 2,2-비스[2-[(4S)-(1-나프틸)-5,5-디(2-메톡시페닐)옥사졸린]]프로판, 2,2-비스[2-[(4S)-(1-나프틸)-5,5-디(3-메톡시페닐)옥사졸린]]프로판, 2,2-비스[2-[(4S)-(1-나프틸)-5,5-디(4-메톡시페닐)옥사졸린]]프로판, 2,2-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프로판]]]프로판, 2,2-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부탄]]]프로판, 2,2-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펜탄]]]프로판, 2,2-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헥산]]]프로판, 2,2-비스[2-[스피로[(4S)-메틸옥사졸린-5,1'-시클로헵탄]]]프로판,
3,3-비스[2-[(4S)-(1-나프틸)-5,5-디메틸옥사졸린]]펜탄, 3,3-비스[2-[(4S)-(1-나프틸)-5,5-디에틸옥사졸린]]펜탄, 3,3-비스[2-[(4S)-(1-나프틸)-5,5-디-n-프로필-2-옥사졸린]]펜탄, 3,3-비스[2-[(4S)-(1-나프틸)-5,5-디-n-부틸옥사졸린]]펜탄, 3,3-비스[2-[(4S)-(1-나프틸)-5,5-디이소부틸옥사졸린]]펜탄, 3,3-비스[2-[(4S)-(1-나프틸)-5,5-디-n-펜틸옥사졸린]]펜탄, 3,3-비스[2-[(4S)-(1-나프틸)-5,5-디-n-헥실옥사졸린]]펜탄, 3,3-비스[2-[(4S)-(1-나프틸)-5,5-디벤질옥사졸린]]펜탄, 3,3-비스[2-비스[(4S)-(1-나프틸)-5,5-디(2-메틸벤질)옥사졸린]]펜탄, 3,3-비스[2-[(4S)-(1-나프틸)-5,5-디(3-메틸벤질)옥사졸린]]펜탄, 3,3-비스[2-[(4S)-(1-나프틸)-5,5-디(4-메틸벤질)옥사졸린]]펜탄, 3,3-비스[2-[(4S)-(1-나프틸)-5,5-디(2-메톡시벤질)옥사졸린]]펜탄, 3,3-비스[(4S)-(1-나프틸)-5,5-디(3-메톡시벤질)옥사졸린]]펜탄, 3,3-비스[2-[(4S)-(1-나프틸)-5,5-디(4-메톡시벤질)옥사졸린]]펜탄,
3,3-비스[2-[(4S)-(1-나프틸)-5,5-디(1-나프틸메틸)옥사졸린]]펜탄, 3,3-[2-비스[(4S)-(1-나프틸)-5,5-디(2-나프틸메틸)옥사졸린]]펜탄, 3,3-[2-비스[(4S)-(1-나프틸)-5,5-디페닐옥사졸린]]펜탄, 3,3-비스[2-[(4S)-(1-나프틸)-5,5-디(3-메틸페닐)옥사졸린]]펜탄, 3,3-비스[2-[(4S)-(1-나프틸)-5,5-디(4-메틸페닐)옥사졸린]]펜탄, 3,3-비스[2-[(4S)-(1-나프틸)-5,5-디(2-메톡시페닐)옥사졸린]]펜탄, 3,3-비스[2-[(4S)-(1-나프틸)-5,5-디(3-메톡시페닐)옥사졸린]]펜탄, 3,3-비스[2-[(4S)-(1-나프틸)-5,5-디(4-메톡시페닐)옥사졸린]]펜탄, 3,3-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프로판]]]펜탄, 3,3-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부탄]]]펜탄, 3,3-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펜탄]]]펜탄, 3,3-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헥산]]]펜탄, 3,3-비스[2-[스피로[(4S)-메틸옥사졸린-5,1'-시클로헵탄]]]펜탄,
4,4-비스[2-[(4S)-(1-나프틸)-5,5-디메틸옥사졸린]]헵탄, 4,4-비스[2-[(4S)-(1-나프틸)-5,5-디에틸-2-옥사졸린]]헵탄, 4,4-비스[2-[(4S)-(1-나프틸)-5,5-디-n-프로필옥사졸린]]헵탄, 4,4-비스[2-[(4S)-(1-나프틸)-5,5-디-n-부틸옥사졸린]]헵탄, 4,4-비스[2-[(4S)-(1-나프틸)-5,5-디이소부틸옥사졸린]]헵탄, 4,4-비스[2-[(4S)-(1-나프틸)-5,5-디-n-펜틸옥사졸린]]헵탄, 4,4-[2-비스[2-[(4S)-(1-나프틸)-5,5-디-n-헥실옥사졸린]]헵탄, 4,4-비스[2-[(4S)-(1-나프틸)-5,5-디벤질옥사졸린]]헵탄, 4,4-비스[2-비스[(4S)-(1-나프틸)-5,5-디(2-메틸벤질)옥사졸린]]헵탄, 4,4-비스[2-[(4S)-(1-나프틸)-5,5-디(3-메틸벤질)옥사졸린]]헵탄, 4,4-비스[2-[(4S)-(1-나프틸)-5,5-디(4-메틸벤질)옥사졸린]]헵탄, 4,4-비스[2-[(4S)-(1-나프틸)-5,5-디(2-메톡시벤질)옥사졸린]]헵탄, 4,4-[2-비스[(4S)-(1-나프틸)-5,5-디(3-메톡시벤질)옥사졸린]]헵탄, 4,4-비스[2-[(4S)-(1-나프틸)-5,5-디(4-메톡시벤질)옥사졸린]]헵탄,
4,4-비스[2-[(4S)-(1-나프틸)-5,5-디(1-나프틸메틸)옥사졸린]]헵탄, 4,4-[2-비스[(4S)-(1-나프틸)-5,5-디(2-나프틸메틸)옥사졸린]]헵탄, 4,4-비스[(4S)-(1-나프틸)-5,5-디페닐옥사졸린]]헵탄, 4,4-비스[2-[(4S)-(1-나프틸)-5,5-디(3-메틸페닐)옥사졸린]]헵탄, 4,4-비스[2-[(4S)-(1-나프틸)-5,5-디(4-메틸페닐)옥사졸린]]헵탄, 4,4-비스[2-[(4S)-(1-나프틸)-5,5-디(2-메톡시페닐)옥사졸린]]헵탄, 4,4-비스[2-[(4S)-(1-나프틸)-5,5-디(3-메톡시페닐)옥사졸린]]헵탄, 4,4-비스[2-[(4S)-(1-나프틸)-5,5-디(4-메톡시페닐)옥사졸린]]헵탄, 4,4-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프로판]]]헵탄, 4,4-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부탄]]]헵탄, 4,4-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펜탄]]]헵탄, 4,4-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헥산]]]헵탄, 4,4-비스[2-[스피로[(4S)-메틸옥사졸린-5,1'-시클로헵탄]]]헵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메틸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1-비스[2-[(4S)-(1-나프틸)-5,5-디에틸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1-비스[2-[(4S)-(1-나프틸)-5,5-디-n-프로필-2-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1-비스[2-[(4S)-(1-나프틸)-5,5-디-n-부틸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1-비스[2-[(4S)-(1-나프틸)-5,5-디이소부틸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1-비스[2-[(4S)-(1-나프틸)-5,5-디-n-펜틸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1-비스[2-[(4S)-(1-나프틸)-5,5-디-n-헥실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1-비스[2-[(4S)-(1-나프틸)-5,5-디벤질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1-비스[2-[(4S)-(1-나프틸)-5,5-디-(2-메틸벤질)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1-비스[2-[(4S)-(1-나프틸)-5,5-디(3-메틸벤질)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1-비스[2-[(4S)-(1-나프틸)-5,5-디(4-메틸벤질)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1-비스[2-[(4S)-(1-나프틸)-5,5-디(2-메톡시벤질)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1-비스[(4S)-(1-나프틸)-5,5-디(3-메톡시벤질)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1-비스[2-[(4S)-(1-나프틸)-5,5-디(4-메톡시벤질)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1-비스[2-[(4S)-(1-나프틸)-5,5-디(1-나프틸메틸)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1-비스[2-[(4S)-(1-나프틸)-5,5-디(2-나프틸메틸)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1-비스[2-[(4S)-(1-나프틸)-5,5-디페닐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1-비스[2-[(4S)-(1-나프틸)-5,5-디(3-메틸페닐)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1-비스[2-[(4S)-(1-나프틸)-5,5-디(4-메틸페닐)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1-비스[2-[(4S)-(1-나프틸)-5,5-디(2-메톡시페닐)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1-비스[2-[(4S)-(1-나프틸)-5,5-디(3-메톡시페닐)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1-비스[2-[(4S)-(1-나프틸)-5,5-디(4-메톡시페닐)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1-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프로판]]]시클로프로판, 1,1-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펜탄]]]시클로프로판, 1,1-비스[2-[스피로[(4S)-메틸옥사졸린-5,1'-시클로헵탄]]]시클로프로판,
1,1-비스[2-[(4S)-(1-나프틸)-5,5-디메틸옥사졸린]]시클로부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에틸옥사졸린]]시클로부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n-프로필-2-옥사졸린]]시클로부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n-부틸옥사졸린]]시클로부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이소부틸옥사졸린]]시클로부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n-펜틸옥사졸린]]시클로부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n-헥실옥사졸린]]시클로부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벤질옥사졸린]]시클로부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2-메틸벤질)옥사졸린]]시클로부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3-메틸벤질)옥사졸린]]시클로부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4-메틸벤질)옥사졸린]]시클로부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2-메톡시벤질)옥사졸린]]시클로부탄, 1,1-비스[(4S)-(1-나프틸)-5,5-디(3-메톡시벤질)옥사졸린]]시클로부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4-메톡시벤질)옥사졸린]]시클로부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1-나프틸메틸)옥사졸린]]시클로부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2-나프틸메틸)옥사졸린]]시클로부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페닐옥사졸린]]시클로부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3-메틸페닐)옥사졸린]]시클로부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4-메틸페닐)옥사졸린]]시클로부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2-메톡시페닐)옥사졸린]]시클로부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3-메톡시페닐)옥사졸린]]시클로부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4-메톡시페닐)옥사졸린]]시클로부탄, 1,1-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프로판]]]시클로부탄, 1,1-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부탄]]]시클로부탄, 1,1-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펜탄]]]시클로부탄, 1,1-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헥산]]]시클로부탄, 1,1-비스[2-[스피로[(4S)-메틸옥사졸린-5,1'-시클로헵탄]]]시클로부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메틸옥사졸린]]시클로펜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에틸옥사졸린]]시클로펜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n-프로필옥사졸린]]시클로펜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n-부틸옥사졸린]]시클로펜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이소부틸옥사졸린]]시클로펜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n-펜틸옥사졸린]]시클로펜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n-헥실옥사졸린]]시클로펜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벤질옥사졸린]]시클로펜탄, 1,1-비스[2-비스[(4S)-(1-나프틸)-5,5-디(2-메틸벤질)옥사졸린]]시클로펜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3-메틸벤질)옥사졸린]]시클로펜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4-메틸벤질)옥사졸린]]시클로펜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2-메톡시벤질)옥사졸린]]시클로펜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3-메톡시벤질)옥사졸린]]시클로펜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4-메톡시벤질)옥사졸린]]시클로펜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1-나프틸메틸)옥사졸린]]시클로펜탄, 1,1-비스[(4S)-(1-나프틸)-5,5-디(2-나프틸메틸)옥사졸린]]시클로펜탄, 1,1-비스[(4S)-(1-나프틸)-5,5-디페닐옥사졸린]]시클로펜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3-메틸페닐)옥사졸린]]시클로펜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4-메틸페닐)옥사졸린]]펜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2-메톡시페닐)옥사졸린]]시클로펜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3-메톡시페닐)옥사졸린]]시클로펜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4-메톡시페닐)옥사졸린]]시클로펜탄, 1,1-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프로판]]]시클로펜탄, 1,1-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부탄]]]시클로펜탄, 1,1-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펜탄]]]시클로펜탄, 1,1-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헥산]]]시클로펜탄, 1,1-비스[2-[스피로[(4S)-메틸옥사졸린-5,1'-시클로헵탄]]]시클로펜탄,
1,1-비스[2-[(4S)-(1-나프틸)-5,5-디메틸옥사졸린]]시클로헥산, 1,1-비스[2-[(4S)-(1-나프틸)-5,5-디에틸옥사졸린]]시클로헥산, 1,1-비스[2-[(4S)-(1-나프틸)-5,5-디-n-프로필옥사졸린]]시클로헥산, 1,1-비스[2-[(4S)-(1-나프틸)-5,5-디-n-부틸옥사졸린]]시클로헥산, 1,1-비스[2-[(4S)-(1-나프틸)-5,5-디이소부틸옥사졸린]]시클로헥산, 1,1-비스[2-[(4S)-(1-나프틸)-5,5-디-n-펜틸옥사졸린]]시클로헥산, 1,1-비스[2-[(4S)-(1-나프틸)-5,5-디-n-헥실옥사졸린]]시클로헥산, 1,1-비스[2-[(4S)-(1-나프틸)-5,5-디벤질옥사졸린]]시클로헥산, 1,1-비스[2-비스[(4S)-(1-나프틸)-5,5-디(2-메틸벤질)옥사졸린]]시클로헥산, 1,1-비스[2-[(4S)-(1-나프틸)-5,5-디(3-메틸벤질)옥사졸린]]시클로헥산, 1,1-비스[2-[(4S)-(1-나프틸)-5,5-디(4-메틸벤질)옥사졸린]]시클로헥산, 1,1-비스[2-[(4S)-(1-나프틸)-5,5-디(2-메톡시벤질)옥사졸린]]시클로헥산, 1,1-비스[2-[(4S)-(1-나프틸)-5,5-디(3-메톡시벤질)옥사졸린]]시클로헥산, 1,1-비스[2-[(4S)-(1-나프틸)-5,5-디(4-메톡시벤질)옥사졸린]]시클로헥산,
1,1-비스[2-[(4S)-(1-나프틸)-5,5-디(1-나프틸메틸)옥사졸린]]시클로헥산, 1,1-비스[(4S)-(1-나프틸)-5,5-디(2-나프틸메틸)옥사졸린]]시클로헥산, 1,1-비스[(4S)-(1-나프틸)-5,5-디페닐옥사졸린]]시클로헥산, 1,1-비스[2-[(4S)-(1-나프틸)-5,5-디(3-메틸페닐)옥사졸린]]시클로헥산, 1,1-비스[2-[(4S)-(1-나프틸)-5,5-디(4-메틸페닐)옥사졸린]]헥산, 1,1-비스[2-[(4S)-(1-나프틸)-5,5-디(2-메톡시페닐)옥사졸린]]시클로헥산, 1,1-비스[2-[(4S)-(1-나프틸)-5,5-디(3-메톡시페닐)옥사졸린]]시클로헥산, 1,1-비스[2-[(4S)-(1-나프틸)-5,5-디(4-메톡시페닐)옥사졸린]]시클로헥산, 1,1-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프로판]]]시클로헥산, 1,1-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부탄]]]시클로헥산, 1,1-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펜탄]]]시클로헥산, 1,1-비스[2-[스피로[(4S)-(1-나프틸)옥사졸린-5,1'-시클로헥산]]]시클로헥산, 1,1-비스[2-[스피로[(4S)-메틸옥사졸린-5,1'-시클로헵탄]]]시클로헥산 등, 및 상기한 각 화합물의 4 위치의 1-나프틸기가 2-나프틸기로 바뀐, 예를 들어 비스[2-[(4S)-(2-나프틸)-5,5-디메틸옥사졸린]]메탄 등의 화합물, 상기 각 화합물의 4 위치의 입체배치 (4S) 가 (4R) 로 바뀐, 예를 들어 비스[2-[(4R)-(1-나프틸)-5,5-디메틸옥사졸린]]메탄, 비스[2-[(4R)-(2-나프틸)-5,5-디메틸옥사졸린]]메탄 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1) 은 신규한 화합물인, 식 (2):
Figure 112011030771037-pat00002
(식 중, R1, R2, R3, R4, R5 및 *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광학 활성 디아미드 화합물 (이하, 광학 활성 디아미드 화합물 (2) 이라 약기한다) 에 루이스산을 작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활성 디아미드 화합물 (2) 로는, 예를 들어,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에틸부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프로필펜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부틸헥실]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이소부틸-4-메틸펜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펜틸헵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헥실옥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벤질-3-페닐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메틸벤질)-3-(2-메틸페닐)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3-메틸벤질)-3-(3-메틸페닐)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4-메틸벤질)-3-(4-메틸페닐)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메톡시벤질)-3-(2-메톡시페닐)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3-메톡시벤질)-3-(3-메톡시페닐)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4-메톡시벤질)-3-(4-메톡시페닐)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1-나프틸메틸)-3-(1-나프틸)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나프틸메틸)-3-(2-나프틸)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페닐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3-메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4-메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2-메톡시페닐)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3-메톡시페닐)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프로필)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부틸)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 (1-히드록시시클로헥실)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헵틸)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에틸부틸]-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프로필펜틸]-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부틸헥실]-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이소부틸-4-메틸펜틸]-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펜틸헵틸]-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헥실옥틸]-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벤질-3-페닐프로필]-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메틸벤질)-3-(2-메틸페닐)프로필]-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3-메틸벤질)-3-(3-메틸페닐)프로필]-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4-메틸벤질)-3-(4-메틸페닐)프로필]-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메톡시벤질)-3-(2-메톡시페닐)프로필]-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3-메톡시벤질)-3-(3-메톡시페닐)프로필]-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4-메톡시벤질)-3-(4-메톡시페닐)프로필]-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1-나프틸메틸)-3-(1-나프틸)프로필]-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나프틸메틸)-3-(2-나프틸)프로필]-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페닐에틸]-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3-메틸페닐)에틸]-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4-메틸페닐)에틸]-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2-메톡시페닐)에틸]-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3-메톡시페닐)에틸]-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프로필)메틸]-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부틸)메틸]-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헥실)메틸]-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헵틸)메틸]-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에틸부틸]-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프로필펜틸]-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부틸헥실]-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이소부틸-4-메틸펜틸]-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펜틸헵틸]-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헥실옥틸]-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벤질-3-페닐프로필]-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메틸벤질)-3-(2-메틸페닐)프로필]-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3-메틸벤질)-3-(3-메틸페닐)프로필]-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4-메틸벤질)-3-(4-메틸페닐)프로필]-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메톡시벤질)-3-(2-메톡시페닐)프로필]-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3-메톡시벤질)-3-(3-메톡시페닐)프로필]-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4-메톡시벤질)-3-(4-메톡시페닐)프로필]-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1-나프틸메틸)-3-(1-나프틸)프로필]-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나프틸메틸)-3-(2-나프틸)프로필]-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페닐에틸]-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3-메틸페닐)에틸]-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4-메틸페닐)에틸]-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2-메톡시페닐)에틸]-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3-메톡시페닐)에틸]-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프로필)메틸]-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로펜틸)메틸]-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헵틸)메틸]-2,2-디에틸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에틸부틸]-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프로필펜틸]-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부틸헥실]-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이소부틸-4-메틸펜틸]-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펜틸헵틸]-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헥실옥틸]-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벤질-3-페닐프로필]-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메틸벤질)-3-(2-메틸페닐)프로필]-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3-메틸벤질)-3-(3-메틸페닐)프로필]-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4-메틸벤질)-3-(4-메틸페닐)프로필]-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메톡시벤질)-3-(2-메톡시페닐)프로필]-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3-메톡시벤질)-3-(3-메톡시페닐)프로필]-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4-메톡시벤질)-3-(4-메톡시페닐)프로필]-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1-나프틸메틸)-3-(1-나프틸)프로필]-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나프틸메틸)-3-(2-나프틸)프로필]-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페닐에틸]-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3-메틸페닐)에틸]-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4-메틸페닐)에틸]-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2-메톡시페닐)에틸]-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3-메톡시페닐)에틸]-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프로필)메틸]-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부틸)메틸]-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헥실)메틸]-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헵틸)메틸]-2,2-디(n-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에틸부틸]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프로필펜틸]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부틸헥실]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이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이소부틸-4-메틸펜틸]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펜틸헵틸]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이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헥실옥틸]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벤질-3-페닐프로필]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메틸벤질)-3-(2-메틸페닐)프로필]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3-메틸벤질)-3-(3-메틸페닐)프로필]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4-메틸벤질)-3-(4-메틸페닐)프로필]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메톡시벤질)-3-(2-메톡시페닐)프로필]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3-메톡시벤질)-3-(3-메톡시페닐)프로필]시클로프로판-1, l-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4-메톡시벤질)-3-(4-메톡시페닐)프로필]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1-나프틸메틸)-3-(1-나프틸)프로필]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나프틸메틸)-3-(2-나프틸)프로필]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페닐에틸]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3-메틸페닐)에틸]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4-메틸페닐)에틸]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2-메톡시페닐)에틸]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3-메톡시페닐)에틸]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프로필)메틸]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부틸)메틸]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헥실)메틸]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헵틸)메틸]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에틸부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프로필펜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부틸헥실]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이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이소부틸-4-메틸펜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펜틸헵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이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헥실옥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벤질-3-페닐프로필]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메틸벤질)-3-(2-메틸페닐)프로필]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3-메틸벤질)-3-(3-메틸페닐)프로필]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4-메틸벤질)-3-(4-메틸페닐)프로필]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메톡시벤질)-3-(2-메톡시페닐)프로필]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3-메톡시벤질)-3-(3-메톡시페닐)프로필]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4-메톡시벤질)-3-(4-메톡시페닐)프로필]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1-나프틸메틸)-3-(1-나프틸)프로필]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나프틸메틸)-3-(2-나프틸)프로필]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페닐에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3-메틸페닐)에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4-메틸페닐)에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2-메톡시페닐)에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3-메톡시페닐)에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 (1-히드록시시클로프로필)메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부틸)메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헥실)메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헵틸)메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에틸부틸]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프로필펜틸]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부틸헥실]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이소부틸-4-메틸펜틸]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펜틸헵틸]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헥실옥틸]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벤질-3-페닐프로필]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메틸벤질)-3-(2-메틸페닐)프로필]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3-메틸벤질)-3-(3-메틸페닐)프로필]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4-메틸벤질)-3-(4-메틸페닐)프로필]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메톡시벤질)-3-(2-메톡시페닐)프로필]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3-메톡시벤질)-3-(3-메톡시페닐)프로필]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4-메톡시벤질)-3-(4-메톡시페닐)프로필]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1-나프틸메틸)-3-(1-나프틸)프로필]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나프틸메틸)-3-(2-나프틸)프로필]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페닐에틸]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3-메틸페닐)에틸]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4-메틸페닐)에틸]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2-메톡시페닐)에틸]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3-메톡시페닐)에틸]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프로필)메틸]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부틸)메틸]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헥실)메틸]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헵틸)메틸]시클로펜탄-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에틸부틸]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프로필펜틸]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부틸헥실]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이소부틸-4-메틸펜틸]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펜틸헵틸]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n-헥실옥틸]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벤질-3-페닐프로필]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메틸벤질)-3-(2-메틸페닐)프로필]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3-메틸벤질)-3-(3-메틸페닐)프로필]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4-메틸벤질)-3-(4-메틸페닐)프로필]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메톡시벤질)-3-(2-메톡시페닐)프로필]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3-메톡시벤질)-3-(3-메톡시페닐)프로필]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4-메톡시벤질)-3-(4-메톡시페닐)프로필]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1-나프틸메틸)-3-(1-나프틸)프로필]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나프틸메틸)-3-(2-나프틸)프로필]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페닐에틸]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3-메틸페닐)에틸]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4-메틸페닐)에틸]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2-메톡시페닐)에틸]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2-디(3-메톡시페닐)에틸]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 (1-히드록시시클로프로필)메틸]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부틸)메틸]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헥실)메틸]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1S)-(1-나프틸)(1-히드록시시클로헵틸)메틸]시클로헥산-1,1-디카르복사미드 등 및 상기 각 화합물의 아미드 질소원자에 결합하고 있는 기의 1 위치의 1-나프틸기가 2-나프틸기로 바뀐 화합물, 상기 각 화합물의 입체배치 (1S) 가 ( 1R) 로 바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루이스산으로는 통상, 비양성자산이 사용되고, 예를 들어 티탄테트라이소프로폭시드 등의 티탄테트라알콕시드, 예를 들어 염화티탄 등의 할로겐화티탄, 예를 들어 알루미늄테트라이소프로폭시드 등의 알루미늄테트라알콕시드, 예를 들어 염화알루미늄, 이염화에틸알루미늄, 디에틸염화알루미늄 등의 할로겐화알루미늄, 예를 들어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등의 트리알킬알루미늄, 예를 들어 이염화디메틸주석, 염화주석 등의 할로겐화주석, 예를 들어 염화아연 등의 할로겐화아연, 예를 들어 디이소프로폭시아연 등의 알콕시아연, 염화지르코늄 등의 할로겐화지르코늄, 예를 들어 염화하프늄 등의 할로겐화하프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루이스산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루이스산의 사용량은, 광학 활성 디아미드 화합물 (2) 1몰에 대하여, 통상 0.001~5몰 정도, 바람직하게는 0.01~1몰 정도이다.
광학 활성 디아미드 화합물 (2) 에 루이스산을 작용시킴으로써,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1) 이 얻어지는데, 이러한 조작은 통상 용매의 존재 하에 실시된다. 용매로는, 반응에 불활성인 용매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예를 들어 헵탄, 옥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 예를 들어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용매 등의 단독 또는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그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광학 활성 디아미드 화합물 (2) 1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2~200중량부 정도이다.
루이스산을 작용시키는 온도는 통상 50~250℃ 정도, 바람직하게는 60~180℃ 정도이다. 반응시간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통상의 수단에 의해 반응의 진행을 분석하여, 광학 활성 디아미드 화합물 (2) 이 소실된 시점, 또는 반응의 진행이 정지된 시점을 종점으로 하면 된다.
반응 종료후, 예를 들어 얻어진 반응액을 농축 처리함으로써,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1) 이 얻어진다. 얻어진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1) 은, 그대로 예를 들어 후술하는 부제 구리 착물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재결정 등 통상의 정제수단에 의해 정제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액과, 예를 들어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등의 알칼리 수용액을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불용물을 여과분리한 후, 추출 처리하여, 얻어진 유기층을 농축 처리함으로써,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1) 을 단리할 수도 있다.
상기 광학 활성 디아미드 화합물 (2) 는, 식 (3):
Figure 112011030771037-pat00003
(식 중, R1, R2, R3 및 *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으로 표시되는 광학 활성 아미노알코올 (이하, 광학 활성 아미노알코올 (3) 이라 약기한다) 과 식 (4):
Figure 112011030771037-pat00004
(식 중, R4 및 R5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Z 는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말론산 화합물 (이하, 말론산 화합물 (4) 라 약기한다) 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광학 활성 아미노알코올 (3) 로는, 예를 들어 (R)-1-아미노-1-(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R)-1-아미노-1-(1-나프틸)-2-에틸-2-부탄올, (R)-1-아미노-1-(1-나프틸)-2-n-프로필-2-펜탄올, (R)-1-아미노-1-(1-나프틸)-2-n-부틸-2-헥산올, (R)-1-아미노-1-(1-나프틸)-2-이소부틸-4-메틸-2-펜탄올, (R)-1-아미노-1-(1-나프틸)-2-n-펜틸-2-헵탄올, (R)-1-아미노-1-(1-나프틸)-2-n-헥실-2-옥탄올, (R)-1-아미노-1-(1-나프틸)-2-벤질-3-페닐-2-프로판올, (R)-1-아미노-1-(1-나프틸)-2-(3-메틸벤질)-3-(3-메틸페닐)-2-프로판올, (R)-1-아미노-1-(1-나프틸)-2-(2-메틸벤질)-3-(2-메틸페닐)-2-프로판올, (R)-1-아미노-1-(1-나프틸)-2-(4-메틸벤질)-3-(4-메틸페닐)-2-프로판올, (R)-1-아미노-1-(1-나프틸)-2-(2-메톡시벤질)-3-(2-메톡시페닐)-2-프로판올, (R)-1-아미노-1-(1-나프틸)-2-(3-메톡시벤질)-3-(3-메톡시페닐)-2-프로판올, (R)-1-아미노-1-(1-나프틸)-2-(4-메톡시벤질)-3-(4-메톡시페닐)-2-프로판올,
(R)-1-아미노-1-(1-나프틸)-2-(1-나프틸메틸)-3-(1-나프틸)-2-프로판올, (R)-1-아미노-1-(1-나프틸)-2-(2-나프틸메틸)-3-(2-나프틸)-2-프로판올, (R)-2-아미노-2-(1-나프틸)-1,1-디페닐에탄올, (R)-2-아미노-2-(1-나프틸)-1,1-디(3-메틸페닐)에탄올, (R)-2-아미노-2-(1-나프틸)-1,1-디(4-메틸페닐)에탄올, (R)-2-아미노-2-(1-나프틸)-1,1-디(2-메톡시페닐)에탄올, (R)-2-아미노-2-(1-나프틸)-1,1-디(3-메톡시페닐)에탄올, (R)-2-아미노-2-(1-나프틸)-1,1-디(4-메톡시페닐)에탄올, 1-[(R)-아미노-(1-나프틸)메틸]시클로프로판올, 1-[(R)-아미노-(1-나프틸)메틸]시클로부탄올, 1-[(R)-아미노-(1-나프틸)메틸]시클로펜탄올, 1-[(R)-아미노-(1-나프틸)메틸]시클로헥산올, 1-[(R)-아미노-(1-나프틸)메틸]시클로헵탄올,
(R)-1-아미노-1-(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R)-1-아미노-1-(2-나프틸)-2-에틸-2-부탄올, (R)-1-아미노-1-(2-나프틸)-2-n-프로필-2-펜탄올, (R)-1-아미노-1-(2-나프틸)-2-n-부틸-2-헥산올, (R)-1-아미노-1-(2-나프틸)-2-이소부틸-4-메틸-2-펜탄올, (R)-1-아미노-1-(2-나프틸)-2-n-펜틸-2-헵탄올, (R)-1-아미노-1-(2-나프틸)-2-n-헥실-2-옥탄올, (R)-1-아미노-1-(2-나프틸)-2-벤질-3-페닐-2-프로판올, (R)-1-아미노-1-(2-나프틸)-2-(3-메틸벤질)-3-(3-메틸페닐)-2-프로판올, (R)-1-아미노-1-(2-나프틸)-2-(2-메틸벤질)-3-(2-메틸페닐)-2-프로판올, (R)-1-아미노-1-(2-나프틸)-2-(4-메틸벤질)-3-(4-메틸페닐)-2-프로판올, (R)-1-아미노-1-(2-나프틸)-2-(2-메톡시벤질)-3-(2-메톡시페닐)-2-프로판올, (R)-1-아미노-1-(2-나프틸)-2-(3-메톡시벤질)-3-(3-메톡시페닐)-2-프로판올, (R)-1-아미노-1-(2-나프틸)-2-(4-메톡시벤질)-3-(4-메톡시페닐)-2-프로판올,
(R)-1-아미노-1-(2-나프틸)-2-(1-나프틸메틸)-3-(1-나프틸)-2-프로판올, (R)-1-아미노-1-(2-나프틸)-2-(2-나프틸메틸)-3-(2-나프틸)-2-프로판올, (R)-2-아미노-2-(2-나프틸)-1,1-디페닐에탄올, (R)-2-아미노-2-(2-나프틸)-1,1-디(3-메틸페닐)에탄올, (R)-2-아미노-2-(2-나프틸)-1,1-디(4-메틸페닐)에탄올, (R)-2-아미노-2-(2-나프틸)-1,1-디(2-메톡시페닐)에탄올, (R)-2-아미노-2-(2-나프틸)-1,1-디(3-메톡시페닐)에탄올, (R)-2-아미노-2-(2-나프틸)-1,1-디(4-메톡시페닐)에탄올, 1-[(R)-아미노-(2-나프틸)메틸]시클로프로판올, 1-[(R)-아미노-(2-나프틸)메틸]시클로부탄올, 1-[(R)-아미노-(2-나프틸)메틸]시클로펜탄올, 1-[(R)-아미노-(2-나프틸)메틸]시클로헥산올, 1-[(R)-아미노-(2-나프틸)메틸]시클로헵탄올 등 및 상기 각 화합물의 입체배치 (R) 이 (S) 로 바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광학 활성 아미노알코올 (3) 은, 예를 들어 염산염, 황산염, 아세트산염 등의 산 부가염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광학 활성 아미노알코올 (3) 은 하기와 같이 아미노알코올 화합물을 광학분해 (resolution) 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고, 대응하는 광학 활성 아미노산에스테르를 대응하는 그리냐드 시약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광학 활성 아미노산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Tetrahedron 55(1999) 11295-11308 에 기재된 방법으로 얻어지는 광학 활성 아미노산을 공지의 방법이나 하기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에스테르화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이 광학 활성 아미노산에스테르의 아미노기를 적당한 보호기로 보호하고, 그리냐드 시약과 반응시킨 후 탈보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말론산 화합물 (4) 의 식 중, Z 는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알콕시기로는,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펜틸옥시기, 헥실옥시기 등의 탄소수 1~6 의 알콕시기를 들 수 있고, 할로겐 원자로는, 예를 들어 염소원자, 브롬원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말론산 화합물 (4) 로는, 예를 들어 말론산디메틸, 말론산디에틸, 디메틸말론산디메틸, 디에틸말론산디메틸, 디(n-프로필)말론산디메틸, 1,1-시클로프로판디카르복실산디메틸, 1,1-시클로부탄디카르복실산디메틸, 1,1-시클로펜탄디카르복실산디메틸, 1,1-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디메틸 등의 말론산디에스테르, 예를 들어 말론산디클로리드, 디메틸말론산디클로리드, 디에틸말론산디클로리드, 디(n-프로필)말론산디클로리드, 1,1-시클로프로판디카르복실산디클로리드, 1,1-시클로부탄디카르복실산디클로리드, 1,1-시클로펜탄디카르복실산디클로리드, 1,1-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디클로리드, 말론산디브로미드 등의 말론산 할로겐화물을 들 수 있다.
말론산 화합물 (4) 의 사용량은 광학 활성 아미노알코올 (3) 1몰에 대하여, 통상 0.3~2몰 정도, 바람직하게는 0.5~1몰 정도이다.
광학 활성 아미노알코올 (3) 과 말론산 화합물 (4) 의 반응은, 통상 그 둘을 용매의 존재 하에 서로 접촉, 혼합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사용되는 용매로는, 반응에 불활성인 용매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한 광학 활성 디아미드 화합물 (2) 에 루이스산을 작용시킬 때에 사용되는 용매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말론산 화합물 (4) 로서, Z 가 알콕시기인 말론산디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경우의 반응온도는 통상 50~250℃ 정도, 바람직하게는 60~180℃ 정도이다. 이 경우에는, 리튬 화합물 등의 촉매의 존재 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리튬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리튬메톡시드, 리튬에톡시드 등의 리튬알콕시드; 예를 들어 염화리튬 등의 할로겐화리튬; 예를 들어 수산화리튬; 등을 들 수 있다. 그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디아미드 화합물 (2) 1몰에 대하여 0.0005~0.5몰 정도이다.
말론산 화합물 (4) 로서, Z 가 할로겐 원자인 말론산 할로겐화물을 사용하는 경우의 반응온도는, 통상 -30~100℃ 정도, 바람직하게는 -10~50℃ 정도이다. 이 경우, 부산물인 할로겐화 수소를 포획하기 위해,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등의 염기의 존재 하에서 반응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활성 아미노알코올 (3) 과 말론산 화합물 (4) 를 반응시킴으로써, 광학 활성 디아미드 화합물 (2) 이 얻어지는데, 예를 들어 반응액에 물을 첨가하고, 추출 처리한 후, 얻어지는 유기층을 농축 처리함으로써, 광학 활성 디아미드 화합물 (2) 를 단리할 수 있다. 또한, 얻어진 광학 활성 디아미드 화합물 (2) 를 포함하는 반응액에 그대로 상기 루이스산을 작용시켜,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1) 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1) 과 구리 화합물로부터 제조되는 신규한 부제 구리 착물의 존재 하에, 식 (5):
Figure 112011030771037-pat00005
(식 중, R6, R7, R8 및 R9 는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 아릴 또는 아르알킬기를 나타낸다. 단, R6 과 R8 이 동일한 기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R6 과 R7 은 서로 다른 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프로키랄인 올레핀 (이하, 올레핀 (4) 가라 약기한다) 과,
식 (6):
N2CHCO2R10 (6)
(식 중, R10 은 탄소수 1~6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디아조아세트산에스테르 (이하, 디아조아세트산에스테르 (6) 라 약기한다) 를 반응시켜, 식 (7):
Figure 112011030771037-pat00006
(식 중, R6, R7, R8, R9 및 R10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광학 활성 시클로프로판 화합물 (이하, 광학 활성 시클로프로판 화합물 (7) 이라 약기한다) 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1) 은, 상기한 바와 같이, 2 개의 부제 탄소 원자를 가지며, 이들 부제 탄소 원자가 양쪽 모두 (S) 의 입체배치를 갖는 화합물, 또는 양쪽 모두 (R) 의 입체배치를 갖는 화합물이 통상 사용되고, 이들을 촉매 또는 촉매성분으로서 사용하는 부제 합성반응에 있어서 목적으로 하는 광학 활성 화합물에 의해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된다.
구리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1 가 또는 2 가의 구리 화합물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구리(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구리(Ⅱ), 아세트산구리(Ⅰ), 아세트산구리(Ⅱ), 브롬화구리(Ⅰ), 브롬화구리(Ⅱ), 염화구리(Ⅰ), 염화구리(Ⅱ), 테트라키스아세토니트릴구리(Ⅰ) 헥사플루오로인산염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구리(Ⅰ) 가 적합하다. 또한, 이러한 구리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1) 의 사용량은 구리 화합물 1몰에 대하여 통상 0.8~5몰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0.9~2몰 정도이다.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1) 과 구리 화합물을 통상, 용매의 존재 하에 접촉시킴으로써, 신규한 부제 구리 착물이 제조된다. 용매로는,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용매, 예를 들어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올레핀 (4) 가 액체인 경우에는, 이 올레핀 (5) 를 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매의 사용량은 구리 화합물 1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10~500중량부 정도이다.
또한, 부제 구리 착물을 제조하는 조작은, 통상 아르곤 가스,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의 분위기 하에서 실시되고, 그 제조온도는 통상 0~100℃ 정도이다.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1) 과 구리 화합물을 접촉시킴으로써, 부제 구리 착물이 제조되는데, 제조된 부제 구리 착물을 이 반응액으로부터 단리하여 올레핀 (5) 과 디아조아세트산에스테르 (6) 의 반응에 사용할 수 있고, 단리하지 않고 반응액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올레핀 (5) 의 식 중,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헥실기 등의 탄소수 1~6 의 알킬기, 이들 알킬기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예를 들어 클로로메틸기, 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클로로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알케닐기로는, 예를 들어 비닐기, 1-프로페닐기, 2-프로페닐기, 2-메틸-1-프로페닐기, 1-부테닐기, 2-부테닐기, 3-부테닐기, 2-펜테닐기, 2-헥세닐기 등의 탄소수 2~6 의 알케닐기, 이들 알케닐기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예를 들어 1-클로로-2-프로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비치환 아릴기로는, 예를 들어 페닐기, 1-나프틸기, 2-나프틸기, 2-메틸페닐기, 4-메틸페닐기, 3-메톡시페닐기 등의 비치환 아릴기 및 알킬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된 아릴기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 가 예시되고, 치환 또는 비치환 아르알킬기로는,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 아릴기로 치환된 알킬기가 예시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벤질기, 2-메틸벤질기, 4-메틸벤질기, 3-메톡시벤질기, 1-나프틸메틸기, 2-나프틸메틸기 등이 예시된다.
이러한 올레핀 (5) 으로는, 예를 들어 프로펜, 1-부텐, 이소부티렌, 1-펜텐, 1-헥센, 1-옥텐, 4-클로로-1-부텐, 2-펜텐, 2-헵텐, 2-메틸-2-부텐, 2,5-디메틸-2,4-헥사디엔, 2-클로로-5-메틸-2,4-헥사디엔, 2-플루오로-5-메틸-2,4-헥사디엔, 1,1,1-트리플루오로-5-메틸-2,4-헥사디엔, 2-메톡시카르보닐-5-메틸-2,4-헥사디엔, 1,1-디클로로-4-메틸-1,3-펜타디엔, 1,1-디클로로-4-메틸-1,3-펜타디엔, 1,1-디브로모-4-메틸-1,3-펜타디엔, 1-클로로-1-플루오로-4-메틸-1,3-펜타디엔, 1-플루오로-1-브로모-4-메틸-1,3-펜타디엔, 2-메틸-2,4-헥사디엔, 1-플루오로-1,1-디클로로-4-메틸-2-펜텐, 1,1,1-트리클로로-4-메틸-3-펜텐, 1,1,1-트리브로모-4-메틸-3-펜텐, 2,3-디메틸-2-펜텐, 2-메틸-3-페닐-2-부텐, 2-브로모-2,5-디메틸-4-헥센, 2-클로로-2,5-디메틸-4-헥센, 2,5-디메틸-6-클로로-2,4-헥사디엔 등을 들 수 있다.
디아조아세트산에스테르 (6) 의 식 중, 탄소수 1~6 의 알킬기로는, 상기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고, 디아조아세트산에스테르 (6) 로는, 예를 들어 디아조아세트산에틸, 디아조아세트산 n-프로필, 디아조아세트산이소프로필, 디아조아세트산 n-부틸, 디아조아세트산이소부틸, 디아조아세트산 tert-부틸, 디아조아세트산펜틸, 디아조아세트산헥실 등을 들 수 있다.
부제 구리 착물의 사용량은 디아조아세트산에스테르 (6) 에 대하여, 구리 금속으로 환산하면 (구리 1몰당), 통상 0.0001~0.05몰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0.0005~0.01몰 정도이다.
올레핀 (5) 의 사용량은 디아조아세트산에스테르 (6) 1몰에 대하여, 통상 약 1몰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2몰 이상이다. 그 상한은 특별히 없고, 예를 들어 올레핀 (4) 가 액체인 경우에는, 용매로서 매우 과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올레핀 (5) 과 디아조아세트산에스테르 (6) 의 반응은 통상, 부제 구리 착물, 올레핀 (5) 및 디아조아세트산에스테르 (6) 의 3 가지 성분을 접촉, 혼합시킴으로써 실시되고, 그 혼합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은 부제 구리 착물과 올레핀 (5) 의 혼합물에 디아조아세트산에스테르 (6) 가 첨가된다. 이러한 반응은, 통상 용매의 존재 하에 실시되고, 용매로는,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용매; 예를 들어 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 예를 들어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 용매; 등의 단독 또는 혼합 용매를 들 수 있고, 그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용적 효율이나 반응액의 특성 등을 고려하면, 디아조아세트산에스테르 (6) 1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약 2~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20중량부이다. 또한, 이러한 용매는 미리 올레핀 (5), 디아조아세트산에스테르 (6) 및/또는 부제 구리 착물과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올레핀 (4) 가 액체인 경우에는, 이러한 올레핀 (5) 를 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올레핀 (5) 과 디아조아세트산에스테르 (6) 의 반응은 통상 아르곤 가스,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의 분위기 하에서 실시된다. 또한, 물은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반응계내에 탈수제의 존재 하에 반응을 실시하고, 미리 탈수처리한 올레핀 (4) 가나 용매 등을 사용하는 등에 의해, 반응계내에 존재하는 수분량을 낮게 억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온도는 통상 약 -50~150℃, 바람직하게는 -20~80℃ 이다.
반응 종료후, 예를 들어 반응액을 농축 처리함으로써, 광학 활성 시클로프로판 화합물 (7) 을 단리할 수 있다. 단리된 광학 활성 시클로프로판 화합물 (7) 은, 예를 들어 증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통상의 정제수단에 의해 추가로 정제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활성 시클로프로판 화합물 (7) 로는, 예를 들어 광학 활성 2-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메틸, 광학 활성 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메틸, 광학 활성 2,2-디메틸-3-(2-메틸-1-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메틸, 광학 활성 2,2-디메틸-3-(2,2-디클로로-1-에테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메틸, 광학 활성 2,2-디메틸-3-(2,2,2-트리클로로에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메틸, 광학 활성 2,2-디메틸-3-(2,2,2-트리브로모에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메틸, 광학 활성 2,2-디메틸-3-(2,2-디브로모-1-에테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메틸, 광학 활성 2,2-디메틸-3-(2,2-디플루오로-1-에테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메틸, 광학 활성 2,2-디메틸-3-(2-플루오로-2-클로로-1-에테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메틸, 광학 활성 2,2-디메틸-3-(2-플루오로-2-브로모-1-에테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메틸, 광학 활성 2,2-디메틸-3-(2-플루오로-1-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메틸, 광학 활성 2,2-디메틸-3-(2-클로로-1-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메틸, 광학 활성 2,2-디메틸-3-(2-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메틸에테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메틸, 광학 활성 2,2-디메틸-3-(2-메톡시카르보닐-1-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메틸, 광학활성인 2,2-디메틸-3-(2-클로로-2-메틸)프로필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메틸, 광학 활성 2,2-디메틸-3-(2-브로모-2-메틸)프로필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메틸, 광학 활성 2,2-디메틸-3-(1-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메틸 등, 및 상기 메틸에스테르가, 예를 들어 에틸에스테르, n-프로필에스테르, 이소프로필에스테르, 이소부틸에스테르, tert-부틸에스테르 등으로 바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광학 활성 시클로프로판 화합물 (7) 은 공지의 가수분해방법에 준하여 가수분해함으로써, R10 이 수소 원자인 광학 활성 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류로 전환시킬 수도 있다.
식 (3) 의 광학 활성 아미노알코올은, 하기 식 (30):
Figure 112011030771037-pat00007
(식 중, R31, R32, R33 및 R34 는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탄소수 1~6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6 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35 는 탄소수 1~6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아르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동일한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두개의 R35 가 결합하고 이들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함께 고리를 형성한다. * 는 부제 탄소 원자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광학 활성 아미노알코올을 포함한다 (이하, 광학 활성 아미노알코올 (30) 이라 약기한다). 이하, 당해 화합물에 관하여 설명한다.
식 (30) 에 있어서, R31-R35 로 표시되는 탄소수 1~6 의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n-헥실기 등의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알킬기를 들 수 있다. R31-R34 로 표시되는 탄소수 1~6 의 알콕시기로는,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펜틸옥시기, n-헥실옥시기 등의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알콕시기를 들 수 있다.
R35 로 표시되는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기로는, 예를 들어 비치환 페닐기가 예시되고, 치환 페닐기로는, 예를 들어 3-메틸페닐기, 4-메틸페닐기 등의 상기 탄소수 1~6 의 알킬기로 치환된 페닐기, 예를 들어 2-메톡시페닐기, 3-메톡시페닐기, 4-메톡시페닐기 등의 상기 탄소수 1~6 의 알콕시기로 치환된 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비치환 아르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기나 나프틸기 등의 아릴기로 치환된 탄소수 1~6 의 알킬기가 예시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벤질기, 2-메틸벤질기, 3-메틸벤질기, 4-메틸벤질기, 2-메톡시벤질기, 3-메톡시벤질기, 4-메톡시벤질기, 1-나프틸메틸기, 2-나프틸메틸기 등이 예시된다.
또한, 동일한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두개의 R35 가 결합하고 그 탄소 원자와 함께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판 고리, 시클로펜탄 고리, 시클로헥실 고리, 시클로헵탄 고리 등의 탄소수 3~7 의 고리가 예시된다.
이러한 광학 활성 아미노알코올 (30) 로는, 예를 들어 (R)-1-아미노-1-(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R)-1-아미노-1-(4-플루오로-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R)-1-아미노-1-(2-메틸-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R)-1-아미노-1-(4-메틸-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R)-1-아미노-1-(2-메톡시-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R)-1-아미노-1-(2-에톡시-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R)-1-아미노-1-(4-메톡시-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R)-1-아미노-1-(2,4-디메톡시-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R)-1-아미노-1-(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R)-1-아미노-1-(7-메틸-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R)-1-아미노-1-(1-n-프로필-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R)-1-아미노-1-(6-메톡시-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R)-1-아미노-1-(3,8-디메톡시-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등 및 상기 각 화합물의 2-메틸-2-프로판올 부분이, 2-에틸-2-부탄올, 2-n-프로필-2-펜탄올, 2-n-부틸-2-헥산올, 2-이소부틸-4-메틸-2-펜탄올, 2-n-펜틸-2-헵탄올, 2-벤질-3-페닐-2-프로판올, 2-(3-메틸벤질)-3-(3-메틸페닐)-2-프로판올, 2-(2-메틸벤질)-3-(2-메틸페닐)-2-프로판올, 2-(4-메틸벤질)-3-(4-메틸페닐)-2-프로판올, 2-(2-메톡시벤질)-3-(2-메톡시페닐)-2-프로판올, 2-(3-메톡시벤질)-3-(3-메톡시페닐)-2-프로판올, 2-(4-메톡시벤질)-3-(4-메톡시페닐)-2-프로판올, 2-(1-나프틸메틸)-3-(1-나프틸)-2-프로판올, 2-(2-나프틸메틸)-3-(2-나프틸)-2-프로판올 등으로 바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R)-2-아미노-2-(1-나프틸)-1,1-디페닐에탄올, (R)-2-아미노-2-(1-나프틸)-1,1-디(3-메틸페닐)에탄올, (R)-2-아미노-2-(1-나프틸)-1,1-디(4-메틸페닐)에탄올, (R)-2-아미노-2-(1-나프틸)-1,1-디(2-메톡시페닐)에탄올, (R)-2-아미노-2-(1-나프틸)-1,1-디(3-메톡시페닐)에탄올, (R)-2-아미노-2-(1-나프틸)-1,1-디(4-메톡시페닐)에탄올, 1-[(R)-아미노-(1-나프틸)메틸]시클로프로판올, 1-[(R)-아미노-(1-나프틸)메틸]시클로펜탄올, 1-[(R)-아미노-(1-나프틸)메틸]시클로헵탄올 등 및 상기 각 화합물의 아미노기가 결합한 탄소 원자에 결합하고 있는 1-나프틸기가, 예를 들어 4-플루오로-1-나프틸기, 2-메틸-1-나프틸기, 4-메틸-1-나프틸기, 2-메톡시-1-나프틸기, 2-에톡시-1-나프틸기, 4-메톡시-1-나프틸기, 2,4-디메톡시-1-나프틸기, 2-나프틸기, 7-메틸-2-나프틸기, 1-n-프로필-2-나프틸기, 6-메톡시-2-나프틸기, 3,8-디메톡시-2-나프틸기 등으로 바뀐 화합물 등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화합물의 입체배치 (R) 가 (S) 로 바뀐 화합물도 들 수 있다.
이러한 광학 활성 아미노알코올 (30) 은, 식 (40):
Figure 112011030771037-pat00008
(식 중, R31, R32, R33, R34 및 R35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나프틸알코올 (이하, 나프틸알코올 (40) 이라 약기한다) 을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으로 광학분해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아미노알코올 (40) 로는, 예를 들어 1-아미노-1-(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아미노-1-(4-플루오로-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아미노-1-(2-메틸-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아미노-1-(4-메틸-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아미노-1-(2-메톡시-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아미노-1-(2-에톡시-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아미노-1-(4-메톡시-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아미노-1-(2,4-디메톡시-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아미노-1-(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아미노-1-(7-메틸-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아미노-1-(1-n-프로필-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아미노-1-(6-메톡시-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아미노-1-(3,8-디메톡시-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등 및 상기 각 화합물의 2-메틸-2-프로판올 부분이 2-에틸-2-부탄올, 2-n-프로필-2-펜탄올, 2-n-부틸-2-헥산올, 2-이소부틸-4-메틸-2-펜탄올, 2-n-펜틸-2-헵탄올, 2-벤질-3-페닐-2-프로판올, 2-(3-메틸벤질)-3-(3-메틸페닐)-2-프로판올, 2-(2-메틸벤질)-3-(2-메틸페닐)-2-프로판올, 2-(4-메틸벤질)-3-(4-메틸페닐)-2-프로판올, 2-(2-메톡시벤질)-3-(2-메톡시페닐)-2-프로판올, 2-(3-메톡시벤질)-3-(3-메톡시페닐)-2-프로판올, 2-(4-메톡시벤질)-3-(4-메톡시페닐)-2-프로판올, 2-(1-나프틸메틸)-3-(1-나프틸)-2-프로판올, 2-(2-나프틸메틸)-3-(2-나프틸)-2-프로판올 등으로 바뀐 화합물이 예시된다.
또한, 예를 들어 2-아미노-2-(1-나프틸)-1,1-디페닐에탄올, 2-아미노-2-(1-나프틸)-1,1-디(3-메틸페닐)에탄올, 2-아미노-2-(1-나프틸)-1,1-디(4-메틸페닐)에탄올, 2-아미노-2-(1-나프틸)-1,1-디(2-메톡시페닐)에탄올, 2-아미노-2-(1-나프틸)-1,1-디(3-메톡시페닐)에탄올, 2-아미노-2-(1-나프틸)-1,1-디(4-메톡시페닐)에탄올, 1-[(아미노)-(1-나프틸)메틸]시클로프로판올, 1-[(아미노)-(1-나프틸)메틸]시클로펜탄올, 1-[(아미노)-(1-나프틸)메틸]시클로헵탄올 등 및 상기 각 화합물의 아미노기가 결합한 탄소 원자에 결합하고 있는 1-나프틸기가, 예를 들어 4-플루오로-1-나프틸기, 2-메틸-1-나프틸기, 4-메틸-1-나프틸기, 2-메톡시-1-나프틸기, 2-에톡시-1-나프틸기, 4-메톡시-1-나프틸기, 2, 4-디메톡시-1-나프틸기, 2-나프틸기, 7-메틸-2-나프틸기, 1-n-프로필-2-나프틸기, 6-메톡시-2-나프틸기, 3,8-디메톡시-2-나프틸기 등으로 바뀐 화합물 등도 예시된다.
이러한 아미노알코올 (40) 로는, 통상 라세미체가 사용되는데, 두개의 광학 이성질체 중의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비교적 과량으로 존재하는, 광학 순도가 낮은 광학 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은 R 체와 S 체의 2 종류의 광학 이성질체를 가지며, 목적으로 하는 광학 활성 아미노알코올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그 사용량은, 아미노알코올 (40) 1몰에 대하여, 통상 0.1~1몰이다.
아미노알코올 (40) 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의 반응은, 통상 용매 중에서 그 둘을 혼합시킴으로써 실시되고, 그 혼합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용매 중의 아미노알코올 (40) 용액에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은 연속적으로 첨가할 수 있고, 간헐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용매 중의 용액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용매로는, 예를 들어 톨루엔, 자일렌, 클로로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예를 들어 디에틸에테르, 메틸 tert-부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계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용매, 물 등의 단독 또는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용매 중에서도, 에테르계 용매, 알코올계 용매 및 이들과 물의 혼합 용매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매의 사용량은, 아미노알코올 (40) 1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5~1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0중량부이다. 용매는, 미리 나프틸알코올 (40) 또는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에 첨가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통상 0℃~반응액의 환류온도의 범위이다.
반응 종료후, 광학 활성 아미노알코올 (30) 및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 부분입체이성질체염 (이하,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이라 약기한다) 이 형성되고, 통상 하나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의 일부가 반응 매스 중에 정출되어 있다. 이것을 그대로 단리할 수 있으며, 이 반응 매스를 냉각시키거나 농축시킴으로써, 더욱 많은 이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정출시켜 단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에 따라서는, 이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이 반응 매스 중에 완전히 용해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반응 매스를 냉각시키거나, 또는 농축시킴으로써, 이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정출시켜 단리할 수 있다.
정출시킨 일방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은 통상의 여과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단리할 수 있다. 또한, 단리된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은, 예를 들어 재결정 처리하고, 다시 정제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부분입체이성질체염으로는, 예를 들어 광학 활성 1-아미노-1-(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광학 활성 1-아미노-1-(4-플루오로-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광학 활성 1-아미노-1-(2-메틸-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광학 활성 1-아미노-1-(4-메틸-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광학 활성 1-아미노-1-(2-메톡시-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광학 활성 1-아미노-1-(2-에톡시-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광학 활성 1-아미노-1-(4-메톡시-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광학 활성 1-아미노-1-(2,4-디메톡시-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광학 활성 1-아미노-1-(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광학 활성 1-아미노-1-(7-메틸-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광학 활성 1-아미노-1-(1-n-프로필-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광학 활성 1-아미노-1-(6-메톡시-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광학 활성 1-아미노-1-(3,8-디메톡시-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등 및 상기 각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의 2-메틸-2-프로판올 부분이, 2-에틸-2-부탄올, 2-n-프로필-2-펜탄올, 2-n-부틸-2-헥산올, 2-이소부틸-4-메틸-2-펜탄올, 2-n-펜틸-2-헵탄올, 2-벤질-3-페닐-2-프로판올, 2-(3-메틸벤질)-3-(3-메틸페닐)-2-프로판올, 2-(2-메틸벤질)-3-(2-메틸페닐)-2-프로판올, 2-(4-메틸벤질)-3-(4-메틸페닐)-2-프로판올, 2-(2-메톡시벤질)-3-(2-메톡시페닐)-2-프로판올, 2-(3-메톡시벤질)-3-(3-메톡시페닐)-2-프로판올, 2-(4-메톡시벤질)-3-(4-메톡시페닐)-2-프로판올, 2-(1-나프틸메틸)-3-(1-나프틸)-2-프로판올, 2-(2-나프틸메틸)-3-(2-나프틸)-2-프로판올 등으로 바뀐 각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이 예시된다.
또한, 예를 들어 광학 활성 2-아미노-2-(1-나프틸)-1,1-디페닐에탄올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광학 활성 2-아미노-2-(1-나프틸)-1,1-디(3-메틸페닐)에탄올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광학 활성 2-아미노-2-(1-나프틸)-1,1-디(4-메틸페닐)에탄올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광학 활성 2-아미노-2-(1-나프틸)-1,1-디(2-메톡시페닐)에탄올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광학 활성 2-아미노-2-(1-나프틸)-1,1-디(3-메톡시페닐)에탄올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광학 활성 2-아미노-2-(1-나프틸)-1,1-디(4-메톡시페닐)에탄올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광학 활성 1-[(아미노)-(1-나프틸)메틸]시클로프로판올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광학 활성 1-[(아미노)-(1-나프틸)메틸]시클로펜탄올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광학 활성 1-[(아미노)-(1-나프틸)메틸]시클로헵탄올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등 및 상기 각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구성하는 광학 활성 나프틸알코올류의 아미노기가 결합한 탄소 원자에 결합하고 있는 1-나프틸기가, 예를 들어 4-플루오로-1-나프틸기, 2-메틸-1-나프틸기, 4-메틸-1-나프틸기, 2-메톡시-1-나프틸기, 2-에톡시-1-나프틸기, 4-메톡시-1-나프틸기, 2,4-디메톡시-1-나프틸기, 2-나프틸기, 7-메틸-2-나프틸기, 1-n-프로필-2-나프틸기, 6-메톡시-2-나프틸기, 3,8-디메톡시-2-나프틸기 등으로 바뀐 화합물 등도 예시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은, 그대로 또는 예를 들어 세정, 재결정 등에 의해 다시 정제한 후, 알칼리 처리함으로써, 용이하게 광학 활성 아미노알코올 (30) 로 전환할 수 있다.
알칼리 처리는, 통상 부분입체이성질체염과 알칼리를 혼합함으로써 행해지고, 혼합온도는 통상 0~100℃ 의 범위이다. 사용되는 알칼리로는, 예를 들어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을 들 수 있고, 통상 수용액이 사용된다. 알칼리의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의 알칼리 농도는, 통상 1~50중량%, 바람직하게는 3~20중량% 의 범위이다. 알칼리의 사용량은 부분입체이성질체염 1몰에 대하여 통상 1~5몰 정도이다.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알칼리 처리하면, 통상 광학 활성 아미노알코올 (30) 은 이 알칼리 처리 매스로부터 유층으로서 층 분리 또는 고체 형태로 석출되고, 이것을 그대로 단리할 수 있거나, 또한 이 알칼리 처리 매스에 물에 불용성인 유기 용매를 첨가하고 추출 처리하여, 얻어진 유기층으로부터 유기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광학 활성 아미노알코올 (30) 을 단리할 수 있다. 물에 불용성인 유기 용매로는, 예를 들어 디에틸에테르, 메틸 tert-부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매,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예를 들어 톨루엔, 자일렌, 클로로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계 용매 등을 들 수 있고, 그 사용량은 사용한 부분입체이성질체염 1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5~50중량부의 범위이다. 이러한 물에 불용성인 유기 용매는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알칼리 처리할 때에 미리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미리 산 처리한 후, 알칼리 처리함으로써, 광학 활성 아미노알코올 (30) 을 단리할 수도 있다.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미리 산 처리하면,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이 유리되기 때문에, 유리된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을 분리한 후에 알칼리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 처리는 통상 부분입체이성질체염과 산의 수용액을 혼합함으로써 행해지고, 혼합온도는 통상 0~100℃ 이다. 사용되는 산으로는, 통상 염산, 황산, 인산 등의 미네랄산의 수용액을 들 수 있고, 그 농도는 통상 1~50중량%, 바람직하게는 5~40중량% 이다. 또한, 이러한 산의 사용량은 부분입체이성질체염 1몰에 대하여 통상 1~5몰, 바람직하게는 1~2몰이다.
유리된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의 분리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미리 산 처리한 매스에 물에 불용성인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추출 처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물에 불용성인 유기 용매로는, 상기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고, 그 사용량은 사용한 부분입체이성질체염 1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5~20중량부이다. 이러한 물에 불용성인 유기 용매는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산 처리할 때에 미리 첨가해 두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또한, 유리된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의 결정의 일부 또는 전부가 산 처리 매스 중에 석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그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 추가로 냉각시킨 후, 여과 처리함으로써, 유리된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을 분리할 수도 있다.
산 처리에 이어서 행하는 알칼리 처리에서는, 통상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수용액이 사용되고, 그 농도는 통상 1~50중량%, 바람직하게는 5~20중량% 이다. 이러한 알칼리는, 통상 처리 매스의 pH 의 값이 10 이상이 되는 양으로 사용된다. 또한, 처리온도는 통상 0~100℃ 이다.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미리 산 처리한 후에, 알칼리 처리하면, 통상 광학 활성 아미노알코올 (30) 이 유층으로 분리되거나 알칼리 처리 매스 중에 고체 형태로 석출되고, 이 유층 또는 이 고체를 그대로 단리할 수 있다. 또한, 이 알칼리 처리 매스에, 물에 불용성인 유기 용매를 첨가하고 추출 처리하여, 얻어지는 유기층으로부터 유기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광학 활성 아미노알코올 (30) 을 단리할 수 있다. 물에 불용성인 유기 용매로는, 상기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고, 그 사용량은 처리에 사용한 부분입체이성질체염 1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5~50중량부의 범위이다. 이러한 물에 불용성인 유기 용매는 알칼리 처리를 행할 때에 미리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한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은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고, 회수한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은 아미노알코올 (40) 과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과의 반응에 재이용할 수 있다.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미리 산 처리하지 않고 알칼리 처리한 경우에는, 광학 활성 아미노알코올 (30) 을 단리한 후의 처리 매스를 산 처리함으로써,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을 회수할 수 있다.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미리 산 처리한 후에 알칼리 처리한 경우에는, 통상 산 처리하여 얻어지는 산 처리 매스 중에,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정출되어 있고, 이 산 처리 매스를 그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 추가로 냉각시킨 후, 여과 처리함으로써,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을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이 산 처리 매스에 물에 불용성인 유기 용매를 첨가하고 추출 처리하여, 얻어지는 유기층으로부터 유기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광학 활성 N-포르밀페닐알라닌을 회수할 수도 있다. 물에 불용성인 유기 용매로는, 상기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고, 이러한 물에 불용성인 유기 용매는 산 처리시에 미리 첨가할 수 있다.
아미노알코올 (40) 은, 이하의 (A)~(D)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즉, (A) 식 (41):
Figure 112011030771037-pat00009
(식 중, R31, R32, R33 및 R34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나프틸글리신 화합물 (이하, 나프틸글리신 화합물 (41) 이라 약기한다) 을 염소화제 및 식 (42):
R9OH (42)
(식 중, R9 는 탄소수 1~6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알코올 (이하, 알코올 (42) 이라 약기한다) 을 반응시켜, 식 (43):
Figure 112011030771037-pat00010
(식 중, R31, R32, R33, R34 및 R9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아미노산에스테르염산염 (이하, 아미노산에스테르염산염 (43) 이라 약기한다) 을 얻는 공정,
(B) 상기 공정 (A) 에서 얻어진 아미노산에스테르염산염 (43) 과, 식 (44):
(CnF2n +1CO)2O (44)
(식 중, n 은 1, 2 또는 3 을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44) 이라 약기한다) 또는 식 (45):
CnF2n +1COX (45)
(식 중, n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X 는 염소원자, 브롬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45) 이라 약기한다) 을 3 급 아민의 존재 하에 반응시켜, 식 (46):
Figure 112011030771037-pat00011
(식 중, R31, R32, R33, R34, R9 및 n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46) 이라 약기한다) 을 얻는 공정.
(C) 상기 공정 (B) 에서 얻어진 화합물 (46) 과 식 (47)
R35MgX' (47)
(식 중, R35 는 탄소수 1~6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아르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기를 나타내고, X' 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47) 이라 약기한다) 또는 식 (48):
X'-Mg-R35'-Mg-X' (48)
(식 중, R35' 는 탄소수 2~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48) 이라 약기한다) 을 반응시켜, 식 (49):
Figure 112011030771037-pat00012
(식 중, R31, R32, R33, R34, R35 및 n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49) 이라 약기한다) 을 얻는 공정.
(D) 상기 공정 (C) 에서 얻어진 화합물 (49) 에 염기를 작용시켜, 나프틸알코올 (40) 을 얻는 공정.
우선, 공정 (A) 에 관하여 설명한다. 공정 (A) 는 나프틸글리신 화합물 (41) 과 염소화제를 알코올 (42) 의 존재 하에 반응시켜, 아미노산에스테르염산염 (5) 를 얻는 공정이다.
나프틸글리신 화합물 (3) 로는, 예를 들어 1-나프틸글리신, 2-메틸-1-나프틸글리신, 4-메틸-1-나프틸글리신, 2-메톡시-1-나프틸글리신, 2-에톡시-1-나프틸글리신, 4-메톡시-1-나프틸글리신, 2,4-디메톡시-1-나프틸글리신, 2-나프틸글리신, 7-메틸-2-나프틸글리신, 1-n-프로필-2-나프틸글리신, 6-메톡시-2-나프틸글리신, 3,8-디메톡시-2-나프틸글리신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나프틸글리신 화합물 (3) 은, 예를 들어 시판 중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나프틸알데히드류와 시안화나트륨 등의 시아노 화합물과 탄산암모늄을 반응시키고, 이어서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로 처리하는 방법 (예를 들어 일본화학회편실험화학강좌 제 4 판 22권 195페이지 등) 에 의해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염소화제로는, 예를 들어 염화티오닐, 염화카르보닐 등을 들 수 있고, 그 사용량은 나프틸글리신 화합물 (41) 1몰에 대하여, 통상 1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1.1몰 이상이고, 그 상한은 특별히 없으나, 너무 많으면 경제적으로 불리해질 수 있으므로, 실용적으로는 2몰배 이하이다.
알코올 (42) 의 식 중, R6 은 탄소수 1~6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알코올 (42) 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sec-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 (42) 의 사용량은 나프틸글리신 화합물 (41) 1몰에 대하여, 통상 1몰 이상이며, 그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용매로서 매우 과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나프틸글리신 화합물 (41) 과 염소화제와 알코올 (42) 의 반응은 통상 이 세가지 반응물을 혼합시킴으로써 실시되고, 그 혼합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반응은 통상 용매 중에서 실시되고, 용매로는 예를 들어 헥산,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매, 예를 들어 톨루엔, 자일렌, 클로로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계 용매, 예를 들어 디에틸에테르, 메틸 tert-부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계 용매,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용매 등의 단독 또는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알코올 (42) 을 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은 반응 매스를 교반하기에 적합한 양일 수 있고, 나프틸글리신 화합물 (41) 1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1중량부 이상이고, 그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반응온도는 통상 0℃~반응액의 환류온도, 바람직하게는 10~60℃ 이다.
반응 종료후, 예를 들어 반응액을, 예를 들어 농축 처리, 정출 처리 등 함으로써, 아미노산에스테르염산염 (43) 을 단리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생성된 아미노산에스테르염산염 (43) 의 전부 또는 일부가 반응액 중에 석출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이 반응액을 그대로 또는 일부 농축 처리하고, 필요에 따라 냉각 처리한 후, 여과 처리함으로써, 아미노산에스테르염산염 (43) 을 단리할 수도 있다. 단리된 아미노산에스테르염산염 (43) 은 그대로 다음 공정 (B) 에 사용해도 되지만, 미반응의 알코올 (42) 이나 미반응의 염소화제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예를 들어 상기 에테르계 용매 등의 아미노산에스테르염산염 (43) 을 용해시키기 어려운 용매로 세정 처리한 후, 다음 공정 (B) 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아미노산에스테르염산염 (43) 으로는, 예를 들어 1-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염산염, 2-메틸-1-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염산염, 4-메틸-1-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염산염, 2-메톡시-1-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염산염, 2-에톡시-1-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염산염, 4-메톡시-1-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염산염, 2,4-디메톡시-1-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염산염, 2-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염산염, 7-메틸-2-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염산염, 1-n-프로필-2-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염산염, 6-메톡시-2-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염산염, 3,8-디메톡시-2-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염산염 등 및 상기 각 화합물의 메틸에스테르가, 예를 들어 에틸에스테르, n-프로필에스테르, 이소프로필에스테르, n-부틸에스테르, 이소부틸에스테르, sec-부틸에스테르 등으로 바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계속해서 공정 (B) 에 관하여 설명한다. 공정 (B) 는 상기 공정 (A) 에서 얻어진 아미노산에스테르염산염 (43) 과, 화합물 (44) 또는 화합물 (45) 을 3 급 아민의 존재 하에 반응시켜, 화합물 (46) 을 얻는 공정이다.
화합물 (44) 의 식 중, n 은 1, 2 또는 3 을 나타낸다. 이러한 화합물 (6) 로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무수물,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피온산무수물, 2,2,3,3,4,4,4-헵타플루오로부탄산무수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화합물 (45) 의 식 중, X 는 염소원자, 브롬원자 또는 요오드원자를 나타내고, 이러한 화합물 (45) 로는, 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화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브롬화물,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피온산염화물, 2,2,3,3,4,4,4-헵타플루오로부탄산염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 (44) 또는 화합물 (45) 로는, 예를 들어 시판 중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 (44) 또는 화합물 (45) 의 사용량은 아미노산에스테르염산염 (43) 1몰에 대하여, 통상 0.8~2몰, 바람직하게는 1~1.5몰이다.
3 급 아민으로는,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트리 n-프로필아민, 트리 n-부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N,N-디메틸아닐린, N,N-디에틸아닐린, 피리딘,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을 들 수 있다. 그 사용량은 아미노산에스테르염산염 (43) 1몰에 대하여, 통상 1.5~3몰, 바람직하게는 1.8~2.5몰이다.
아미노산에스테르염산염 (43) 과 화합물 (44) 또는 화합물 (45) 의 반응은 통상 그 둘을 혼합시킴으로써 실시되고, 그 혼합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반응은, 통상 용매 중에서 행해지고, 용매로는 예를 들어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매,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상기 할로겐화탄화수소계 용매, 상기 에테르계 용매, 상기 에스테르계 용매, 상기 니트릴계 용매 등의 단독 또는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그 사용량은 반응액을 교반하기에 적합한 양일 수 있고, 아미노산에스테르염산염 (43) 1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1중량부 이상이다.
반응온도는 통상 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50℃ 이다.
반응 종료후, 예를 들어 반응액과 물을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물에 불용성인 유기 용매를 첨가하고, 추출 처리하여, 얻어지는 유기층을 농축 처리함으로써, 화합물 (46) 을 단리할 수 있다. 단리된 화합물 (46) 은 그대로 다음 공정 (C) 에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재결정,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통상의 정제수단에 의해 추가로 정제한 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화합물 (46) 로는, 예를 들어 N-(트리플루오로아세틸)-1-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 N-(트리플루오로아세틸)-2-메틸-1-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 N-(트리플루오로아세틸)-4-메틸-1-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 N-(트리플루오로아세틸)-2-메톡시-1-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 N-(트리플루오로아세틸)-2-에톡시-1-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 N-(트리플루오로아세틸)-4-메톡시-1-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 N-(트리플루오로아세틸)-2,4-디메톡시-1-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 N-(트리플루오로아세틸)-2-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 N-(트리플루오로아세틸)-7-메틸-2-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 N-(트리플루오로아세틸)-1-n-프로필-2-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 N-(트리플루오로아세틸)-6-메톡시-2-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 N-(트리플루오로아세틸)-3,8-디메톡시-2-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 등 및 상기 각 화합물의 메틸에스테르가 예를 들어 에틸에스테르, n-프로필에스테르, 이소프로필에스테르, n-부틸에스테르, 이소부틸에스테르, sec-부틸에스테르 등으로 바뀐 화합물, 상기 각 화합물의 아미노기상의 치환기인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가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피오닐기, 2,2,3,3,4,4,4-헵타플루오로부티릴기로 대체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계속해서 공정 (C) 에 관하여 설명한다. 공정 (C) 는 상기 공정 (B) 에서 얻어진 화합물 (46) 과 화합물 (47) 또는 화합물 (48) 을 반응시켜, 화합물 (49) 을 얻는 공정이다.
화합물 (48) 의 식 중, R35' 는 탄소수 2~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예를 들어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테트라메틸렌기, 펜타메틸렌기, 헥사메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 (47) 또는 화합물 (48) 로는, 예를 들어 메틸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에틸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n-프로필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n-부틸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이소부틸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n-펜틸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n-헥실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벤질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2-메틸벤질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4-메틸벤질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2-메톡시벤질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3-메톡시벤질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4-메톡시벤질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1-나프틸메틸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2-나프틸메틸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페닐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3-메틸페닐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4-메틸페닐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2-메톡시페닐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3-메톡시페닐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4-메톡시페닐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에틸렌디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테트라메틸렌디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헥사메틸렌디마그네슘클로리드 (또는 브로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 (47) 또는 화합물 (48) 은 시판 중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대응하는 할로겐화물과 금속 마그네슘을 반응시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합물 (48) 을 사용하는 경우의 그 사용량은 화합물 (46) 1몰에 대하여, 통상 2~3몰, 바람직하게는 2.1~2.7몰이다. 화합물 (48) 을 사용하는 경우의 그 사용량은 화합물 (46) 1몰에 대하여, 통상 1~1.5몰, 바람직하게는 1.1~1.4몰이다.
화합물 (46) 과 화합물 (47) 또는 화합물 (48) 의 반응은, 통상 용매 중에서 그 둘을 혼합함으로써 실시되고, 혼합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용매로는, 예를 들어 디에틸에테르 등의 상기 에테르계 용매 등을 들 수 있고, 그 사용량은 화합물 (46) 1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1~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20중량부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톨루엔 등의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등을 혼합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통상 -20℃~반응액의 환류온도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0~30℃ 의 범위이다.
반응 종료후, 예를 들어 반응액과,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인산 등의 미네랄산의 수용액을 혼합하고, 추출 처리하여, 얻어지는 유기층을 농축 처리함으로써, 화합물 (49) 을 단리할 수 있다. 단리된 화합물 (49) 은 그대로 다음 공정 (D) 에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재결정,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통상의 정제수단에 의해 추가로 정제한 후, 다음 공정 (D) 에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화합물 (49) 로는, 예를 들어 1-(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1-(4-플루오로-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1-(2-메틸-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1-(4-메틸-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1-(2-메톡시-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1-(2-에톡시-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1-(4-메톡시-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1-(2,4-디메톡시-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1-(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1-(7-메틸-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1-(1-n-프로필-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1-(6-메톡시-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1-(3,8-디메톡시-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등 및 상기 각 화합물의 2-메틸-2-프로판올 부분이, 예를 들어 2-에틸-2-부탄올, 2-n-프로필-2-펜탄올, 2-n-부틸-2-헥산올, 2-이소부틸-4-메틸-2-펜탄올, 2-n-펜틸-2-헵탄올, 2-벤질-3-페닐-2-프로판올, 2-(3-메틸벤질)-3-(3-메틸페닐)-2-프로판올, 2-(2-메틸벤질)-3-(2-메틸페닐)-2-프로판올, 2-(4-메틸벤질)-3-(4-메틸페닐)-2-프로판올, 2-(2-메톡시벤질)-3-(2-메톡시페닐)-2-프로판올, 2-(3-메톡시벤질)-3-(3-메톡시페닐)-2-프로판올, 2-(4-메톡시벤질)-3-(4-메톡시페닐)-2-프로판올, 2-(1-나프틸메틸)-3-(1-나프틸)-2-프로판올, 2-(2-나프틸메틸)-3-(2-나프틸)-2-프로판올 등을 대신한 화합물, 상기 각 화합물의 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기가,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피오닐아미노기, 2,2,3,3,4,4,4-헵타플루오로부티릴아미노로 바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2-(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2-(1-나프틸)-1,1-디페닐에탄올, 2-(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2-(1-나프틸)-1,1-디(3-메틸페닐)에탄올, 2-(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2-(1-나프틸)-1,1-디(4-메틸페닐)에탄올, 2-(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2-(1-나프틸)-1,1-디(2-메톡시페닐)에탄올, 2-(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2-(1-나프틸)-1,1-디(3-메톡시페닐)에탄올, 2-(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2-(1-나프틸)-1,1-디(4-메톡시페닐)에탄올, 1-[(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1-나프틸)메틸]시클로프로판올, 1-[(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1-나프틸)메틸]시클로펜탄올, 1-[(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1-나프틸)메틸]시클로헵탄올 등 및 상기 각 화합물의 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기가 결합한 탄소 원자에 결합하고 있는 1-나프틸기가, 예를 들어 4-플루오로-1-나프틸기, 2-메틸-1-나프틸기, 4-메틸-1-나프틸기, 2-메톡시-1-나프틸기, 2-에톡시-1-나프틸기, 4-메톡시-1-나프틸기, 2,4-디메톡시-1-나프틸기, 2-나프틸기, 7-메틸-2-나프틸기, 1-n-프로필-2-나프틸기, 6-메톡시-2-나프틸기, 3,8-디메톡시-2-나프틸기 등으로 바뀐 화합물 등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공정 (C) 에서 얻어진 화합물 (49) 에 염기를 작용시켜, 아미노알코올 (40) 을 얻는 공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염기로는,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예를 들어 수산화칼슘, 수산화바륨 등의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등을 들 수 있고, 통상 그 수용액이 사용된다. 이러한 염기의 사용량은, 화합물 (49) 1몰에 대하여 통상 1~3몰이고, 바람직하게는 1.2~2.5몰이다. 화합물 (49) 와 염기의 반응은 통상 용매 중에서 행해지고, 용매로는 예를 들어 상기 알코올계 용매, 물, 상기 알코올계 용매와 물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그 사용량은 화합물 (49) 1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2~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15중량부이다.
반응온도는 통상 0℃~반응액의 환류온도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0~60℃ 의 범위이다.
반응 종료후, 예를 들어 반응액을 농축 처리한 후, 물에 불용성인 유기 용매를 첨가하고 추출 처리하여, 얻어지는 유기층을 농축 처리함으로써, 아미노알코올 (40) 을 단리할 수 있다. 물에 불용성인 유기 용매로는, 상기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단리된 아미노알코올 (40) 은, 예를 들어 재결정,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통상의 정제수단에 의해 추가로 정제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부제 합성의 촉매성분으로서 나프틸기를 가진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이 용이하게 얻어지고, 이 화합물과 구리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공업적으로 유용한 부제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광학 활성 화합물이 높은 수율로 얻어진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질소 분위기 하, (S)-1-아미노-1-(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2g 및 말론산디메틸 0.37g 을 자일렌 70㎖ 와 혼합하고, 내부 온도 130℃ 에서 5 시간 교반, 반응시켜,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프로판-1,3-디아미드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얻었다. 이 반응액에 티탄테트라이소프로폭시드 79㎎ 을 첨가하여, 내부 온도 130℃ 에서 48 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후, 반응액을 농축 처리하여, 농축 잔사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중성 알루미나, 클로로포름) 에 의해 정제 처리하여, 백색 분말의 비스[2-[(4S)-(1-나프틸)-5,5-디메틸옥사졸린]]메탄 0.7g 을 얻었다 (수율: 54%).
비스[2-[(4S)-(1-나프틸)-5,5-디메틸옥사졸린]]메탄의 1H-NMR 데이터 (δ:ppm, CDCl3 용매, TMS 기준)
Figure 112011030771037-pat00013
실시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S)-1-아미노-1-(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2g 대신 (S)-1-아미노-1-(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2g 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담황색 분말의 비스[2-[(4S)-(2-나프틸)-5,5-디메틸옥사졸린]]메탄 0.79g 을 얻었다 (수율: 61%).
비스[2-[(4S)-(2-나프틸)-5,5-디메틸옥사졸린]]메탄의 1H-NMR 데이터 (δ:ppm, CDCl3 용매, TMS 기준)
Figure 112011030771037-pat00014
실시예 3
질소 분위기 하, (S)-1-아미노-1-(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2g, 트리에틸아민 (탈수품) 1.1g 및 디클로로메탄 (탈수품) 17㎖ 를 혼합한 후, 내부 온도 -10℃ 로 냉각시켰다. 디메틸말론산디클로리드 0.8g 을 3 분에 걸쳐 적가하고, 실온까지 승온시켜, 그대로 6 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20㎖ 을 첨가하고, 층 분리하여, 얻어진 유기층을 물 25㎖ 으로 3 회 세정한 후, 농축 처리하였다. 얻어진 농축 잔사를 내부 온도 40℃ 에서 감압 조건 하에 건조 처리하여,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2.5g 를 얻었다 (수율: 100%).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의 1H-NMR 데이터 (δ:ppm, CD3OD 용매, TMS 기준)
Figure 112011030771037-pat00015
Figure 112011030771037-pat00016
얻어진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1.8g 과 자일렌 90㎖ 를 혼합하여, 내부 온도 130℃ 에서 1 시간 교반한 후, 티탄테트라이소프로폭시드 97㎎ 을 첨가하고, 동일 온도에서 48 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후, 반응액을 농축 처리하여, 얻어진 농축 잔사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중성 알루미나, 헥산/아세트산에틸=10/1(부피비)) 에 의해 정제 처리하여, 백색 분말의 2,2-비스[2-[(4S)-(1-나프틸)-5,5-디메틸옥사졸린]]프로판 1.4g 을 얻었다 (수율: 83%).
2,2-비스[2-[(4S)-(1-나프틸)-5,5-디메틸옥사졸린]]프로판의 1H-NMR 데이터 (δ:ppm, CDCl3 용매, TMS 기준)
Figure 112011030771037-pat00017
실시예 4
질소 분위기 하, (S)-1-아미노-1-(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5g, 트리에틸아민 (탈수품) 0.84g 및 디클로로메탄 (탈수품) 13㎖ 를 혼합한 후, 내부 온도 -10℃ 로 냉각시켰다. 디메틸말론산디클로리드 0.6g 을 3 분에 걸쳐 적가하고, 실온까지 승온시켜, 그대로 7 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20㎖ 를 첨가한 후, 층 분리하여, 얻어진 유기층을 물 25㎖ 로 3 회 세정한 후, 농축 처리하였다. 얻어진 농축 잔사를 내부 온도 40℃ 에서 감압 조건 하에 건조 처리하여, N,N'-비스[(1S)-(2-나프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1.8g 을 얻었다 (수율: 100%).
N,N'-비스[(1S)-(2-나프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의 1H-NMR 데이터 (δ:ppm, CD3OD 용매, TMS 기준)
Figure 112011030771037-pat00018
얻어진 N,N'-비스[(1S)-(2-나프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2,2-디메틸프로판-1,3-디아미드 1.8g 과 자일렌 90㎖ 를 혼합하여, 내부 온도 130℃ 에서 1 시간 교반한 후, 티탄테트라이소프로폭시드 97㎎ 을 첨가하여, 동일 온도에서 48 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후, 반응액을 농축 처리하여, 얻어진 농축 잔사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중성 알루미나, 헥산/아세트산에틸=5/1(부피비)) 에 의해 정제 처리하여, 백색 분말의 2,2-비스[2-[(4S)-(2-나프틸)-5,5-디메틸옥사졸린]]프로판 1.3g 을 얻었다 (수율: 77%).
2,2-비스[2-[(4S)-(2-나프틸)-5,5-디메틸옥사졸린]]프로판의 1H-NMR 데이터 (δ:ppm, CDCl3 용매, TMS 기준)
Figure 112011030771037-pat00019
실시예 5
질소 분위기 하, (S)-1-아미노-1-(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1.5g, 트리에틸아민 (탈수품) 0.84g 및 디클로로메탄 (탈수품) 13㎖ 를 혼합한 후, 내부 온도 -10℃ 로 냉각시켰다. 1,1-시클로프로판디카르복실산디클로리드 0.58g 을 3 분에 걸쳐 적가하고, 실온까지 승온시켜, 그대로 7 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20㎖ 를 첨가한 후, 층 분리하여, 얻어진 유기층을 물25㎖ 로 3 회 세정한 후, 농축 처리하였다. 얻어진 농축 잔사를 내부 온도 40℃ 에서 감압 조건 하에 건조 처리하여,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1.9g 을 얻었다 (수율: 100%).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의 1H-NMR 데이터 (δ:ppm, CD3OD 용매, TMS 기준)
Figure 112011030771037-pat00020
얻어진 N,N'-비스[(1S)-(1-나프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사미드 1.83g 과 자일렌 100㎖ 를 혼합하여, 내부 온도 130℃ 에서 1 시간 교반한 후, 티탄테트라이소프로폭시드 99㎎ 을 첨가하여, 동일 온도에서 40 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후, 반응액을 농축 처리하여, 얻어진 잔사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헥산/아세트산에틸=4/1(부피비)) 에 의해 정제 처리하여, 담황색 분말의 1,1-비스[2-[(4S)-(1-나프틸)-5,5-디메틸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 1.23g 을 얻었다 (수율: 72%).
1,1-비스[2-[(4S)-(1-나프틸)-5,5-디메틸옥사졸린]]시클로프로판의 1H-NMR 데이터 (δ:ppm, CDCl3 용매, TMS 기준)
Figure 112011030771037-pat00021
실시예 6
질소 퍼징 (purging) 된 50㎖ 슈렝크관 (Schlenk tube) 에,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구리(Ⅰ) 18㎎ 및 디클로로에탄 5㎖ 를 함유하는 백색 현탁액에, 실시예 3 에서 얻은 2,2-비스[2-[(4S)-(1-나프틸)-5,5-디메틸옥사졸린]]프로판 27㎎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0 분간 교반하여, 부제 구리 착물의 청색 균일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후, 2,5-디메틸-2,4-헥사디엔 7.8g 을 첨가하여, 내부 온도 40℃ 로 조정하고, 디아조아세트산에틸 1.1g 을 2 시간에 걸쳐 적가하고, 다시 동일 온도에서 30 분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한 결과, 2,2-디메틸-3-(2-메틸-1-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에틸의 수율은 93% 이고 (디아조아세트산에틸 기준), 트랜스체/시스체 비=69/31 이었다. 또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광학 순도를 분석한 결과, 트랜스체의 광학 순도는 82% e.e., 시스체의 광학 순도는 8% e.e. 였다. 또한, 트랜스체란, 시클로프로판 고리 평면에 대하여 1 위치의 에스테르기와 3 위치의 2-메틸-1-프로페닐기가 반대측에 있는 것을 말하고, 시스체란, 시클로프로판 고리 평면에 대하여 1 위치의 에스테르기와 3 위치의 2-메틸-1-프로페닐기가 동일측에 있는 것을 말한다 (이하의 실시예도 동일하다).
실시예 7
실시예 6 에 있어서, 디아조아세트산에틸 1.1g 대신 디아조아세트산 tert-부틸 1.4g 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2,2-디메틸-3-(2-메틸-1-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tert-부틸을 수율 92% 로 얻었다 (디아조아세트산 tert-부틸 기준). 트랜스체/시스체 비=87/13 이었다. 반응액을 농축 처리하여, 얻어진 농축 잔사 중 1g 을 분취하고,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0.1㎖ 및 톨루엔 5㎖ 를 첨가하고, 내부 온도 100℃ 에서 3 시간 교반, 반응시켜, 2,2-디메틸-3-(2-메틸-1-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을 얻었다. 얻어진 2,2-디메틸-3-(2-메틸-1-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을 1-멘톨과 반응시켜, 생성된 1-멘틸에스테르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한 결과, 트랜스체의 광학 순도는 95% e.e., 시스체의 광학 순도는 69% e.e. 였다.
실험예 1
질소 치환한 50㎖ 슈렝크관에,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구리 (Ⅰ) 18㎎ 및 디클로로에탄 5㎖ 를 함유하는 백색 현탁액에, 2,2-비스[2-[(4S)-1-나프틸옥사졸린]]프로판 22㎎ 및 디클로로에탄 5㎖ 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10 분간 교반하여, 부제 구리 착물의 청색 균일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후, 2,5-디메틸-2,4-헥사디엔 7.8g 을 첨가하여, 내부 온도 40℃ 로 조정하고, 디아조아세트산 tert-부틸 1.4g 을 2 시간에 걸쳐 적가하고, 다시 동일 온도에서 30 분간 교반, 반응시켜, 2,2-디메틸-3-(2-메틸-1-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tert-부틸을 수율 89% 로 얻었다 (디아조아세트산 tert-부틸 기준). 트랜스체/시스체 비=81/19, 트랜스체의 광학 순도는 86% e.e., 시스체의 광학 순도는 60% e.e. 였다.
실시예 8
1-아미노-1-(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23.3g 을 이소프로판올 410㎖ 에 용해하고, 내부 온도 60~70℃ 로 승온시켰다. 이것에, N-포르밀-1-페닐알라닌 8.4g 을 이소프로판올 410㎖ 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였다. 그 후, 실온에서 하룻밤 정치하여, 석출된 광학 활성 1-아미노-1-(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과 N-포르밀-1-페닐알라닌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여과하여 취하였다. 여과하여 취한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냉이소프로판올 50㎖ 로 세정하여,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얻었다. 이 부분입체이성질체염에 이소프로판올 750㎖ 와 물 40㎖ 를 첨가하여, 환류할 때까지 승온시키고,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용해시켰다. 그 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석출된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여과하여 취하였다. 여과하여 취한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냉이소프로판올 50㎖ 로 세정하여, 백색 결정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14.2g 을 얻었다.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의 융점 186~188℃. 원소 분석치 C:69.8%, H:7.0%, N:6.7% (이론치 C:70.6%, H:6.9%, N:6.9%).
얻어진 부분입체이성질체염 13.8g 에, 1몰/ℓ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60㎖, 물 80㎖ 및 클로로포름 300㎖ 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추출 처리하여, 유기층과 수층으로 분리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물로 세정한 후, 농축 처리하여, (S)-1-아미노-1-(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5.6g 을 얻었다 (수율: 24%). 광학 순도: S 체 비=99.95%.
(S)-1-아미노-1-(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의 분석 결과
Figure 112011030771037-pat00022
실시예 9
1-아미노-1-(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24.0g 을 이소프로판올 410㎖ 에 용해시켜, 내부 온도 40℃ 로 승온시켰다. 이것에 N-포르밀-1-페닐알라닌 8.3g 을 이소프로판올 410㎖ 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였다. 그 후, 실온에서 하룻밤 정치하여, 석출된 광학 활성 1-아미노-1-(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과 N-포르밀-1-페닐알라닌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여과하여 취하였다. 여과하여 취한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냉이소프로판올 50㎖ 로 세정하여,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얻었다. 이 부분입체이성질체염에 이소프로판올 750㎖ 와 물 45㎖ 를 첨가하여, 환류 온도로 가열하고,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용해시켰다. 그 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석출된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여과하여 취하였다. 여과하여 취한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을 냉이소프로판올 50㎖ 로 세정하여, 백색 결정의 부분입체이성질체염 12.4g 을 얻었다.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의 융점 193~195℃. 원소분석치 C:70.4%, H:6.9%, N:6.8% (이론치 C:70.6%, H:6.9%, N:6.9%).
얻어진 부분입체이성질체염 11.9g 에 1몰/ℓ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5㎖, 물 100㎖ 및 클로로포름 300㎖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추출 처리하여, 유기층과 수층으로 분리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물로 세정한 후, 농축 처리하여, (S)-1-아미노-1-(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6.2g 을 얻었다 (수율: 26%). 광학 순도:S 체 비=99.89%.
(S)-1-아미노-1-(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의 데이터 분석
[α]D (c0.5, CH3OH) +14.1°. 융점 77~78℃.
Figure 112011030771037-pat00023
실시예 10
1-나프틸글리신 (라세미체) 50.3g 과 메탄올 (탈수품) 200㎖ 의 혼합물 중에 염화티오닐 33㎖ 를 내부 온도 35℃ 에서 1 시간에 걸쳐 적가하고, 다시 동일 온도에서 3 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농축 처리하여, 얻어진 농축 잔사에 디에틸에테르 200㎖ 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결정을 여과하여 취하여, 디에틸에테르 50㎖ 로 세정 처리하였다. 여과하여 취한 결정을 감압 조건 하, 내부 온도 50℃ 에서 건조시켜, 황토색의 1-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염산염 61.9g 을 얻었다 (수율: 98%).
상기에서 얻은 1-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염산염 61.9g 과 디클로로메탄 390㎖ 의 혼합물에 내부 온도 -40~-50℃ 에서 트리에틸아민 72㎖ 를 적가한 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 38㎖ 를 내부 온도 -45~-50℃ 에서 1 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다시 동일 온도에서 1 시간 교반, 반응시킨 후, 0℃ 까지 자연승온시켰다. 반응액에 냉수 280㎖ 와 진한 염산 10㎖ 의 혼합액을 첨가하여, 디클로로메탄 1100㎖ 으로 추출 처리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냉수 280㎖ 로 세정 처리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처리한 후, 농축 처리하여,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였다. 결정을 냉디클로로메탄으로 세정한 후, 감압 조건 하, 내부 온도 60℃ 에서 건조 처리하여, 백색의 N-(트리플루오로아세틸)-1-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 51.7g 을 얻었다 (수율: 68%).
N-(트리플루오로아세틸)-1-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의 융점 183~184℃.
1H-NMR (300㎒, CDCl3, TMS 기준) 스펙트럼
δ(ppm); 3.76 (3H, s), 6.31 (1H, d), 7.30~7.40 (1H, br), 7.46~8.10 (7H, m)
메틸마그네슘브로미드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3몰/ℓ) 180㎖ 에 테트라히드로푸란 (탈수품) 360㎖ 를 첨가한 용액을 내부 온도 0~5℃ 로 냉각시키고, 동일 온도에서, 상기에서 얻은 N-(트리플루오로아세틸)-1-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 33.7g 과 테트라히드로푸란 (탈수품) 170㎖ 의 혼합 용액을 30 분간에 걸쳐 적가한 후, 실온까지 자연승온시키고, 동일 온도에서 2.5 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얼음 900g 과 진한 염산 200㎖ 의 혼합물 중에 내부 온도를 5℃ 이하로 유지하면서 첨가한 후, 냉톨루엔 800㎖ 으로 추출 처리하였다. 얻어진 수층을 냉톨루엔 800㎖ 로 추출 처리하여, 얻어진 유기층을, 먼저 얻어진 유기층과 합쳐, 냉수 400㎖ 로 세정 처리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처리한 후, 농축 처리하여, 얻어진 농축 잔사를 감압 조건 하, 실온에서 건조 처리하여, 담황색 점성유상의 1-(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1-(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36.0g 을 얻었다.
1-(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1-(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의 1H-NMR (300㎒, CDCl3, TMS 기준) 스펙트럼
Figure 112011030771037-pat00024
상기에서 얻은 1-(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1-(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36.0g 에 이소프로판올 180㎖ 와 에탄올 180㎖ 를 첨가하고, 추가로 22중량% 수산화칼륨 수용액 63g 을 실온에서 30 분간에 걸쳐 적가한 후, 내부 온도 50℃ 까지 승온시켜, 동일 온도에서 2 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농축 처리하여, 얻어진 농축 잔사에 클로로포름 500㎖ 와 물 180㎖ 를 첨가하여, 추출 처리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물 100㎖ 로 세정 처리하여,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처리한 후, 농축 처리하여, 얻어진 농축 잔사를 감압 조건 하, 내부 온도 30℃ 에서 건조 처리하여, 갈색 점성유상의 1-아미노-1-(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28.0g 을 얻었다.
1-아미노-1-(1-나프틸)-2-메틸-2-프로판올의 1H-NMR (300㎒, CDCl3, TMS 기준) 스펙트럼
Figure 112011030771037-pat00025
실시예 11
2-나프틸글리신 (라세미체) 50.3g 과 메탄올 (탈수품) 200㎖ 의 혼합물 중에 염화티오닐 33㎖ 를 내부 온도 35℃ 에서 1 시간에 걸쳐 적가하고, 다시 동일 온도에서 3 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농축 처리하여, 얻어진 농축 잔사에 디에틸에테르 200㎖ 를 첨가한 후, 결정을 여과하여 취하였다. 여과하여 취한 결정을 디에틸에테르 50㎖ 로 세정한 후, 감압 조건 하, 내부 온도 50℃ 에서 건조 처리하여 백색의 2-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염산염 59.0g 을 얻었다 (수율: 94%).
상기에서 얻은 2-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염산염 59.0g 과 디클로로메탄 1180㎖ 의 혼합물을 냉각시켜, 내부 온도 -35~-38℃ 에서 트리에틸아민 69㎖ 를 적가한 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무수물 38㎖ 를 내부 온도 -40~-42℃ 에서 70 분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다시 동일 온도에서 1 시간 교반, 반응시킨 후, 0℃ 까지 자연승온시켰다. 반응액에 냉수 280㎖ 와 진한 염산 4㎖ 의 혼합액을 첨가하여, 냉디클로로메탄 500㎖ 로 추출 처리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냉수 280㎖ 로 세정 처리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처리한 후, 농축 처리하여,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여 취하였다. 여과하여 취한 결정을 냉디클로로메탄/n-헥산=1/1 (부피비) 혼합액으로 세정한 후, 감압 조건 하, 내부 온도 60℃ 에서 건조 처리하여, 백색의 N-(트리플루오로아세틸)-2-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 55.5g 을 얻었다 (수율: 76%).
N-(트리플루오로아세틸)-2-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의 1H-NMR (300㎒, CDCl3, TMS 기준) 스펙트럼
Figure 112011030771037-pat00026
메틸마그네슘브로미드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3몰/ℓ) 200㎖ 에 테트라히드로푸란 (탈수품) 390㎖ 를 첨가한 용액을, 내부 온도 0~5℃ 로 냉각시키고, 동일 온도에서, 상기에서 얻은 N-(트리플루오로아세틸)-2-나프틸글리신메틸에스테르 37.0g 과 테트라히드로푸란 (탈수품) 190㎖ 의 혼합 용액을 30 분간에 걸쳐 적가한 후, 실온까지 자연승온시키고, 동일 온도에서 2.5 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얼음 900g 과 진한 염산 220㎖ 의 혼합액 중에 내부 온도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한 후, 냉톨루엔 800㎖ 로 추출 처리하였다. 얻어진 수층을 냉톨루엔 800㎖ 로 추출 처리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먼저 얻어진 유기층과 합쳐, 냉수 400㎖ 로 세정 처리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처리한 후, 농축 처리하여, 얻어진 농축 잔사를 감압 조건 하, 내부 온도 35℃ 에서 건조 처리하여, 1-(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1-(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의 황백색 고체 36.0g 을 얻었다.
1-(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1-(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의 1H-NMR (300㎒, CDCl3, TMS 기준) 스펙트럼
Figure 112011030771037-pat00027
상기에서 얻은 1-(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1-(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 36.0g 에 이소프로판올 170㎖ 와 에탄올 170㎖ 를 첨가한 후, 22중량% 수산화칼륨 수용액 56g 을 실온에서 30 분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그 후, 내부 온도 50℃ 까지 승온시키고, 동일 온도에서 2 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농축 처리하여, 얻어진 농축 잔사에 클로로포름 320㎖ 와 물 160㎖ 를 첨가하여, 추출 처리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물 80㎖ 로 세정 처리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처리한 후, 농축 처리하여, 얻어진 농축 잔사를 감압 조건 하, 내부 온도 30℃ 에서 건조 처리하여, 1-아미노-1-(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의 갈색 고체 24.3g 을 얻었다 (수율 97%).
1-아미노-1-(2-나프틸)-2-메틸-2-프로판올의 1H-NMR (300㎒, CDCl3, TMS 기준) 스펙트럼
Figure 112011030771037-pat00028
본 발명의 신규한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과 구리 화합물로부터 제조되는 부제 구리 착물을 사용함으로써, 양호한 부분입체이성질체 선택성 및 거울상이성질체 선택성을 갖는 광학 활성 시클로프로판 화합물을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공업적으로 보다 유리하다.

Claims (3)

  1. 구리 화합물과 식 (1):
    Figure 112011068050960-pat00029

    (식 중, R1 및 R2 는 동일하고, 각각 탄소수 1~6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 은 비치환의 1-나프틸기 또는 2-나프틸기, 또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로 치환된 1-나프틸기 또는 2-나프틸기를 나타내고,
    R4 및 R5 는 동일하고, 각각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 의 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4 와 R5 가 서로 결합하여 이들이 결합하고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탄소수 3~6 의 시클로알킬 고리를 형성한다. * 는 부제 중심을 나타낸다)
    의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로부터 제조되는 부제 구리 착물의 존재 하에, 식 (5):
    Figure 112011068050960-pat00030

    (식 중, R6, R7, R8 및 R9 는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하고,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 ~ 6 의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단, R6 과 R8 이 동일한 기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R6 과 R7 은 서로 다른 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프로키랄인 올레핀과 식 (6):
    N2CHCO2R10 (6)
    (식 중, R10 은 탄소수 1~6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디아조아세트산에스테르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 (7):
    Figure 112011068050960-pat00031

    (식 중, R6, R7, R8, R9 및 R10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광학 활성 시클로프로판 화합물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부제 구리 착물 중의 R1 및 R2 는 동일하고, 각각 탄소수 1~6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 은 1-나프틸기 또는 2-나프틸기를 나타내고, R4 및 R5 는 동일하고, 각각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 의 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4 와 R5 가 서로 결합하여 이들이 결합하고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탄소수 3~6 의 시클로알킬 고리를 형성하는 광학 활성 시클로프로판 화합물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부제 구리 착물 중의 * 로 표시되는 두개의 부제 탄소 원자의 입체배치가 둘 다 (S) 또는 (R) 인 광학 활성 시클로프로판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1020117009440A 2003-02-07 2004-02-04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KR101137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30547 2003-02-07
JP2003030547 2003-02-07
JPJP-P-2003-138621 2003-05-16
JP2003138621A JP4211484B2 (ja) 2003-05-16 2003-05-16 光学活性ナフチルアルコール類、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中間体
PCT/JP2004/001133 WO2004069815A1 (ja) 2003-02-07 2004-02-04 光学活性なビスオキサゾリン化合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4545A Division KR101097080B1 (ko) 2003-02-07 2004-02-04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282A KR20110053282A (ko) 2011-05-19
KR101137746B1 true KR101137746B1 (ko) 2012-04-24

Family

ID=3285268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441A KR101159568B1 (ko) 2003-02-07 2004-02-04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KR1020117009440A KR101137746B1 (ko) 2003-02-07 2004-02-04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KR1020057014545A KR101097080B1 (ko) 2003-02-07 2004-02-04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441A KR101159568B1 (ko) 2003-02-07 2004-02-04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4545A KR101097080B1 (ko) 2003-02-07 2004-02-04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7288674B2 (ko)
EP (1) EP1593674B1 (ko)
KR (3) KR101159568B1 (ko)
BR (1) BRPI0406955A (ko)
IL (1) IL170094A (ko)
PL (1) PL210934B1 (ko)
RU (1) RU2326874C2 (ko)
WO (1) WO20040698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41211A1 (it) * 2004-06-16 2004-09-16 Endura Spa Catalizzatori a base di complessi metallici per la sintesi di acido crisantemico otticamente attivo
JP5002916B2 (ja) 2004-07-01 2012-08-15 住友化学株式会社 不斉銅錯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活性なシクロプロパンカルボン酸エステル化合物の製造方法
WO2014193915A1 (en) * 2013-05-28 2014-12-04 Sigma-Aldrich Co. Llc Manganese complexes and use thereof for preparing thin fil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1874A (ja) * 1997-08-05 1999-06-29 Sumitomo Chem Co Ltd 光学活性なビスオキサゾリン化合物、その製造法およびその用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4970A (ja) * 1985-11-15 1987-05-26 Toray Ind Inc 光学活性α−アミノ−ε−カプロラクタムの製造法
JPH023628A (ja) * 1988-06-13 1990-01-09 Toray Ind Inc 光学活性1−メチル−3−フェニルプロピルアミンの製法
CA2244417C (en) 1997-08-05 2006-07-18 Sumitomo Chemical Co., Ltd. Optically active bisoxazoline compounds, production and use thereof
ES2354685T3 (es) 2001-04-27 2011-03-17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Complejo de cobre asimétrico y reacción de ciclopropano que utiliza el mismo.
JP2003012675A (ja) 2001-04-27 2003-01-15 Sumitomo Chem Co Ltd 不斉銅錯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不斉銅錯体を用いる光学活性シクロプロパン化合物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1874A (ja) * 1997-08-05 1999-06-29 Sumitomo Chem Co Ltd 光学活性なビスオキサゾリン化合物、その製造法およびその用途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Am. Chem. Soc., Vol. 121, pp. 7559~7573 (1999.). *
J. Am. Chem. Soc., Vol. 121, pp. 7559~7573 (199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406955A (pt) 2006-01-03
WO2004069815A1 (ja) 2004-08-19
US7671213B2 (en) 2010-03-02
US7288674B2 (en) 2007-10-30
KR20110053389A (ko) 2011-05-20
US20080076931A1 (en) 2008-03-27
KR101159568B1 (ko) 2012-06-25
US20060149077A1 (en) 2006-07-06
EP1593674B1 (en) 2011-07-20
KR20110053282A (ko) 2011-05-19
US7683215B2 (en) 2010-03-23
KR101097080B1 (ko) 2011-12-22
RU2005127872A (ru) 2006-03-10
EP1593674A4 (en) 2008-05-14
US20080076941A1 (en) 2008-03-27
KR20050098902A (ko) 2005-10-12
EP1593674A1 (en) 2005-11-09
IL170094A (en) 2011-09-27
PL378059A1 (pl) 2006-02-20
PL210934B1 (pl) 2012-03-30
RU2326874C2 (ru) 200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327958B1 (no) Pregabalin og metode for fremstilling av slike forbindelser
KR101137746B1 (ko) 광학 활성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US6410741B1 (en) Optically active bisoxazoline compounds, production and use thereof
JP2012512136A (ja) アルミニウム錯体と分子内閉環反応における触媒としてのその使用
JP4321153B2 (ja) 光学活性なシクロプロパン化合物の製造方法
AU2009292470B2 (en) Method for producing optically active cyclopropane carboxylic acid ester compound, asymmetric copper complex, and optically active salicylideneaminoalcohol compound
WO2013073596A1 (ja) 光学活性ビスオキサゾリン化合物、不斉触媒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活性シクロプロパン化合物の製造方法
JP4492130B2 (ja) 光学活性なビスオキサゾリン化合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JP4126763B2 (ja) 光学活性なビスオキサゾリン化合物、その製造法およびその用途
EP1683783B1 (en) Chiral copper complex and production processes thereof and using the same
KR20010074548A (ko) 키랄 구리 착물 촉매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비대칭 제조방법
US7943799B2 (en) Method for producing optically active cycloalkylidenebisoxazoline compound and intermediate thereof
JP4211484B2 (ja) 光学活性ナフチルアルコール類、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中間体
JP4742423B2 (ja) 不斉銅錯体の製造法およびそれを用いる光学活性シクロプロパン化合物の製造法
JP4779343B2 (ja) 光学活性なシクロアルキリデンビスオキサゾリン化合物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中間体
EP1385814A1 (en) Enantiomerically selective cyclopropanation
JP4839528B2 (ja) 不斉コバルト錯体およびそれを触媒とする光学活性シクロプロパン化合物の製造方法
KR100441137B1 (ko) 키랄 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의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9143172A (ja) オキサゾリン類、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る不斉シクロプロパンカルボン酸類の製造方法
AU2002244524A1 (en) Enantiomerically selective cyclopropa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