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558B1 - 반도체 레이저 소자 - Google Patents

반도체 레이저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558B1
KR101137558B1 KR1020060018954A KR20060018954A KR101137558B1 KR 101137558 B1 KR101137558 B1 KR 101137558B1 KR 1020060018954 A KR1020060018954 A KR 1020060018954A KR 20060018954 A KR20060018954 A KR 20060018954A KR 101137558 B1 KR101137558 B1 KR 101137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dge
layer
width
region
semiconductor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8996A (ko
Inventor
전지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8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558B1/ko
Publication of KR20070088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20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 H01S5/22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having a ridge or stripe structure
    • H01S5/2205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having a ridge or stripe structure comprising special burying or current confinement layers
    • H01S5/2218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having a ridge or stripe structure comprising special burying or current confinement layers having special optical properties
    • H01S5/2219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having a ridge or stripe structure comprising special burying or current confinement layers having special optical properties absorb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2Mountings; Housings
    • H01S5/023Mount members, e.g. sub-mount members
    • H01S5/02325Mechanically integrated components on mount members or optical micro-ben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20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 H01S5/22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having a ridge or stripe structure
    • H01S5/223Buried stripe structure
    • H01S5/2231Buried stripe structure with inner confining structure only between the active layer and the upper electr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레이저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소자는 기판상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물질층; 제1 및 제2물질층의 사이에 개재되며, 광이 생성되는 활성층; 및 제1 및 제2물질층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층에 활성층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광 출사면(LS)이 형성된 일단의 폭(W1)이 광 출사방향(ED)의 타단의 폭(W2)보다 크게 형성된 리지;를 포함하여, 구동전압을 낮출 수 있고, 이에 의해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수명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
리지, 콘택층, 전극, 접촉면적, 구동전압, 수명, 신뢰성

Description

반도체 레이저 소자{SEMICONDUCTOR LASER DEVICE}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리지(Ridge)가 형성된 클래드층(Clad layer)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2클래드층 및 제2콘택층(Contact layer)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클래드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2클래드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2클래드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판 120; 제1물질층
122; 버퍼층 124; 제1콘택층
126; 제1클래드층 128; 제1도파층
140; 제2물질층 142; 전자차단층
144; 제2도파층 146; 제2클래드층
147, 247, 347, 447; 리지 148; 제2콘택층
160; 활성층 170, 180; 제1 및 제2전극
D1, D2; 제1 및 제2영역 SD; 경사영역
본 발명은 반도체 레이저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지의 구조가 개선된 반도체 레이저 소자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레이저 소자는 광의 주파수 폭이 좁고 지향성이 첨예하기 때문에 광통신, 다중통신, 우주통신과 같은 곳에서 실용화되어 가고 있으며, 더불어 고속 레이저 프린팅이나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P, Compact Disc Player) 또는 다기능 디스크 플레이어(DVDP, Digital versatile Disk Player)와 같은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수십 GB 이상의 저장 용량을 가지는 HD-DVD(High Density DVD)나 BD(Blu-ray Disc)와 같은 고밀도 광저장매체가 실용화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고밀도의 광저장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픽업 용 광원으로서, 410nm 파장대의 광을 출사하는 고출력 반도체 레이저 소자가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고출력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리지가 형성된 클래드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클래드층(47)에는 리지 도파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리지(47)가 활성층(미 도시)으로부터 수직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리지(47)는 단일 모드의 특성과, 낮은 문턱전류(Ith) 및 높은 킹크 레벨(Kink Level)을 유지하기 위해 2㎛ 미만의 미세한 폭(W)을 가지는 띠 형상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상기 리지(47)의 폭(W)이 좁아지므로 인해 콘택층과 전극과의 접촉면적이 감소하게 되어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구동 전압이 상승하게 된다. 구동 전압이 상승하면,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온도가 상승하여 수명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신뢰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일 모드 특성과 낮은 문턱전류 및 높은 킹크 레벨을 유지하면서도 구동 전압을 낮출 수 있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소자는, 기판상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물질층; 상기 제1 및 제2물질층의 사이에 개재되며, 광이 생성되는 활성층; 및 상기 제1 및 제2물질층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층에 상기 활성층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광 출사면(LS)이 형성된 일단의 폭(W1)이 광 출사방향의 타단의 폭(W2)보다 크게 형성된 리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물질층은, 상기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버퍼층과, 제1콘택층과, 제1클래드층과, 제1도파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물질층은, 상기 활성층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전자차단층과, 제2도파층과, 제2클래드층을 포함하며, 상기 리지는 상기 제2클래층에 형성된다. 상기 제1콘택층에는 제1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리지 상에는 제2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리지의 일면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는 상기 리지의 평면 형상과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지는 제2콘택층이 형성된다.
상기 리지의 일단의 폭(W1)은 2㎛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리지부의 타단의 폭(W2)은, 상기 리지의 일단의 폭(W1)보다 크고 10㎛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지는, 상기 리지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기 위한 경사영역(SD)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영역(SD)의 광 출사방향으로의 길이는 10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리지는, 상기 리지의 일단의 폭(W1)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제1영역(D1); 및 상기 제1영역(D1)과 상기 리지의 타단을 연결하기 위한 경사영역(SD);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리지는, 상기 리지의 일단의 폭(W1)과 동일 한 폭을 가지는 제1영역(D1); 상기 리지의 타단의 폭(W2)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제2영역(D2); 및 상기 제1영역(D1)과 상기 제2영역(D2)를 연결하기 위한 경사영역(SD);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하면, 리지는, 상기 리지의 타단의 폭(W2)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제2영역(D2); 및 상기 리지의 일단과 상기 제2영역(D1)을 연결하기 위한 경사영역(SD);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소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반도체 레이저 소자는, 기판(100) 상에 형성된 제1 및 제2물질층(120)(140)과, 활성층(160)과, 제1 및 제2전극(170)(180)을 포함한다.
기판(100)은 사파이어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기판(100)은 GaN 또는 SiC 등의 Ⅲ-Ⅳ족 화합물 반도체 층 기판일 수도 있다.
제1물질층(120)은 상기 기판(10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버퍼층(122)과, 제1콘택층(124)과, 제1클래드층(126) 및 제1도파층(128)을 포함한다.
버퍼층(122)은 상기 기판(100) 상에 형성되며, 도핑이 안된 GaN층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버퍼층(122)은 N계열의 Ⅲ-Ⅴ족 질화물 화합물 반도체로 이루어진 n형 물질층일 수도 있다.
제1콘택층(124)은 상기 버퍼층(122) 상에 형성되며, n-GaN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콘택층(124)의 일부 식각된 부분에는 상기 제1콘택층(124)으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1전극(170)이 형성된다.
제1클래드층(126)은 상기 제1콘택층(124) 상에 형성되며, n-AlGaN층으로 이루어지나, n-GaN층일 수도 있다.
제1도파층(128)은 상기 제1클래드층(126) 상에 형성되며, GaN계열의 Ⅲ-Ⅴ족 질화물 화합물 반도체층으로서 n-GaN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도파층(128)은 활성층(160)에 비해 굴절률이 낮고, 제1클래드층(126)보다 굴절률이 높다.
제2물질층(140)은 상기 활성층(16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전자차단층(EBL, Electron Blocking Layer, 142)과, 제2도파층(144)과, 제2클래드층(146) 및 제2콘택층(148)을 포함한다.
전자차단층(142)은 다른 층에 비해 에너지 갭을 가장 크게 하여 전자가 제2도파층(144) 및 제2클래드층(146)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활성층(160)과 제2도파층(144)의 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전자차단층(142)은 p-AlGaN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도파층(144)은 상기 전자차단층(142) 상에 형성되며, GaN계열의 Ⅲ-Ⅴ족 질화물 화합물 반도체층으로서 p-GaN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파층(144)은 활성층(160)에 비해 굴절률이 낮고, 제2클래드층(146)보다 굴절률이 높다.
제2클래드층(146)은 제1클래드층(126)에 대응되는 층으로서, 상기 제2도파층(144) 상에 형성된다. 이 제2클래드층(146)은 p-AlGaN층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제2클래드층(146)은 p-GaN층일 수도 있다. 상기 제2클래드층(146)에는 리지 도파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리지(147)가 활성층(160)으로부터 수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리지(147)는 광 출사면(LS)이 형성된 일단의 폭(W1)이 광 출사방향(ED) 타단의 폭(W2)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리지(147)의 평면 형상이 사다리꼴을 가지게 된다. 단일 모드의 특성과 낮은 문턱전류 및 높은 킹크 레벨은 리지(147)의 광 출사면(LS)이 형성된 상기 리지(147)의 일단의 폭(W1)에만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지(147) 일단의 폭(W1)을 종래의 크기, 즉 2㎛ 미만의 크기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단일 모드의 특성과 낮은 문턱 전류 및 높은 킹크 레벨을 유지할 수 있으며, 리지(147)의 타단의 폭(W2)을 증가시킴으로써 제2콘택층(148)과 제2전극(18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구동 전압을 낮출 수 있게 된다. 구동전압이 낮아지면, 반도체 레이저 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낮출 수 있고 이에 의해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수명을 연장시켜 결국,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리지(147) 타단의 폭(W2)은 리지(147) 일단의 폭(W1) 보다는 크나 1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콘택층(148)은, 상기 리지(147)의 일면에 리지(147)와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p-GaN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층(160)은 제1 및 제2물질층(140)으로부터 공급된 전자-정공 등의 캐리어 재결합에 의해 광이 생성되는 물질층으로서, 다중 양자우물(MQW, Multi Quantum Well)구조를 갖는 GaN계열의 Ⅲ-Ⅴ족 질화물 화합물 반도체층이 바람직하나, GaN계열의 Ⅲ-Ⅴ족 질화물 화합물 반도체층에 인듐(In)을 소정의 비율로 함유하는 물질 층, 예컨대 InGaN층일 수도 있다.
제1전극(170)은 상기 제1콘택층(124)에는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n-전극으로서, 제1콘택층(124)의 메사 구조로 식각된 부분에 형성된다.
제2전극(180)은, 상기 제2콘택층(148)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p-전극으로서, 제2콘택층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리지(147)의 평면 구조가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2콘택층(148)의 평면 형상도 사다리꼴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전극(180)과 상기 제2콘택층의 접촉면적은 상기 사다리꼴 평면의 면적과 동일하게 된다.
한편, 리지(147)를 중심으로 좌우 제2클래드층(146)의 표면과 돌출된 리지(147)의 측면에는 표면 누설 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전막(190)이 형성된다. 이러한 유전막(190)은, Si, Al, zr, Ta 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조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기판(100) 상에 버퍼층(122)과, 제1콘택층(124)과, 제1클래드층(126)과, 제1도파층(128)과, 활성층(160)과, 전자차단층(142)과, 제2도파층(144)과, 제2클래드층(146)과, 제2콘택층(148)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다음으로, 제2콘택층(148)과 제2클래드층(146)이 식각되어 리지(147)를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콘택층(148) 상에 포토 레지스터(Photo Resistor)를 도 5에 도시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패터닝한 후 건식 식각 또는 습식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제2클래드층(146)으로부터 돌출된 리지(147) 및 상기 리지(147)의 상면에 제2콘택층(148)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콘택층(124)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메사 구조로 식각한다.
다음으로, 제2콘택층(148)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유전막(190)을 형성한 후에 제2콘택층(148)의 상면을 감싸도록 제1전극(170)을 형성하며, 상기 제1콘택층(124)에 제2전극(18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리지(147) 및 제2콘택층(148)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제2전극(180)과 제2콘택층(148)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구동전압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지(247)의 평면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서, 광 출사면(LS)이 형성된 일단의 폭(W1)이 유지되는 제1영역(D1)과, 상기 제1영역(D1)과 리지(247)의 타단을 연결하기 위한 경사영역(SD)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상기 경사영역(SD)은 출사광이 간섭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완만한 경사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경사영역(SD)의 광 출사방향(ED)의 길이는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리지(347)의 평면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서, 광 출사면(LS)이 형성된 일단의 폭(W1)이 유지되는 제1영역(D1)과, 타단의 폭(W2)이 유지되는 제2영역(D2) 및 상기 제1영역(D1)과 제2영역(D2)을 연결하는 경사영역(SD)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영역(SD)의 길이는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 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리지(447)의 평면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서, 리지(447)의 타단의 폭(W2)이 소정 길이 유지되는 제2영역(D2)과 광 출사면(LS)이 형성된 일단을 연결시키기 위한 경사영역(SD)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영역(SD)의 길이도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광 출사면(LS)이 형성된 리지의 일단의 폭을 종전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리지의 타단의 폭을 증가시킴으로써, 제2전극과 제2콘택층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어, 단일 모드의 특성과 낮은 문턱 전류(Ith) 및 높은 킹크 레벨(Kink Level)을 유지하면서도 구동전압을 낮출 수 있다.
구동전압이 낮아짐으로써, 온도에 민감한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열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기판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버퍼층과, 제1콘택층과, 제1 클래드층 및 제1 도파층을 포함하는 제1 물질층과;
    상기 제1 물질층 상에 형성되고, 광이 생성되는 활성층과;
    상기 활성층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전자차단층과, 제2도파층 및 제2 클래드층을 포함하는 제2 물질층과;
    상기 활성층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2 클래드층에 형성되며, 광 출사면이 형성된 일단의 폭(W1)이 광 출사방향의 타단의 폭(W2)보다 작게 형성된 리지와;
    상기 제1콘택층에 형성된 제1전극과;
    상기 리지 상에 형성된 제2전극과;
    상기 리지의 일면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리지의 평면 형상과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지는 제2콘택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지의 일단의 폭(W1)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지의 타단의 폭(W2)은 상기 리지의 일단의 폭(W1)보다 크고 10㎛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지는 상기 리지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기 위한 경사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영역의 광 출사방향으로의 길이는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지는,
    상기 리지의 일단의 폭(W1)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상기 리지의 타단을 연결하기 위한 경사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지는,
    상기 리지의 일단의 폭(W1)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제1영역;
    상기 리지의 타단의 폭(W2)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제2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연결하기 위한 경사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10.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지는,
    상기 리지의 타단의 폭(W2)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제2영역; 및
    상기 리지의 일단과 상기 제2영역을 연결하기 위한 경사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KR1020060018954A 2006-02-27 2006-02-27 반도체 레이저 소자 KR101137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954A KR101137558B1 (ko) 2006-02-27 2006-02-27 반도체 레이저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954A KR101137558B1 (ko) 2006-02-27 2006-02-27 반도체 레이저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996A KR20070088996A (ko) 2007-08-30
KR101137558B1 true KR101137558B1 (ko) 2012-04-19

Family

ID=38614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954A KR101137558B1 (ko) 2006-02-27 2006-02-27 반도체 레이저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5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6291A1 (en) * 2019-10-16 2021-04-22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High-power, single-spatial-mode quantum cascade las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3605A (ja) * 2008-05-21 2009-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レー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2744A (ko) * 1996-07-15 1998-04-30 김광호 레이저 다이오드
KR20020081237A (ko) * 1999-12-27 2002-10-26 코닝 오.티.아이. 에스피에이 발산영역을 가진 반도체 레이저 엘리먼트
JP2003152280A (ja) * 2001-11-14 2003-05-23 Sony Corp 半導体レーザ素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2744A (ko) * 1996-07-15 1998-04-30 김광호 레이저 다이오드
KR20020081237A (ko) * 1999-12-27 2002-10-26 코닝 오.티.아이. 에스피에이 발산영역을 가진 반도체 레이저 엘리먼트
JP2003152280A (ja) * 2001-11-14 2003-05-23 Sony Corp 半導体レーザ素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6291A1 (en) * 2019-10-16 2021-04-22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High-power, single-spatial-mode quantum cascade las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996A (ko) 200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6503B2 (ja) 半導体レーザ
KR101100425B1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JP2007250650A (ja) 窒化物半導体レーザ素子とその製造方法
US7586966B2 (en) Semiconductor laser diode formed with window at cleavage facet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2007294732A (ja) 半導体レー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519990B2 (ja) 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180475A1 (en) Semiconductor laser device
JP2007035854A (ja) 半導体レーザアレイ及び半導体レーザ装置
KR101137558B1 (ko) 반도체 레이저 소자
KR20080037847A (ko) 광차단판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및 반도체 레이저소자 패키지
KR20080037848A (ko) 광차단막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74474A (ko) 반도체 레이저 및 그 제조방법
JP2006128558A (ja) 半導体レーザ、半導体レーザの実装方法、半導体レーザ実装構造体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5633670B2 (ja) 発光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装置
JP2006253235A (ja) レーザダイオードチップ、レーザダイオード及びレーザダイオードチップの製造方法
KR100774458B1 (ko) 반도체 레이저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4296017B2 (ja) 半導体レー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6332600A (ja) 窒化物系半導体レーザダイオ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36161B1 (ko) 레이저 다이오드
JP2006148032A (ja) 半導体レーザ装置
JP2007142227A (ja) 半導体レーザ装置
JP2005175450A (ja) 化合物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化合物半導体装置を備えた光ディスク装置
JP4127394B2 (ja)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表示装置並びに光学式情報再生装置
US20050058170A1 (en) Semiconductor laser element and semiconductor laser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JP2004158666A (ja) 半導体レーザ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再生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