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080B1 - 사출금형용 밀판 강제 후퇴장치 - Google Patents

사출금형용 밀판 강제 후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080B1
KR101137080B1 KR1020090109467A KR20090109467A KR101137080B1 KR 101137080 B1 KR101137080 B1 KR 101137080B1 KR 1020090109467 A KR1020090109467 A KR 1020090109467A KR 20090109467 A KR20090109467 A KR 20090109467A KR 101137080 B1 KR101137080 B1 KR 101137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usher
movable block
injection mold
spli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2798A (ko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김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호 filed Critical 김경호
Priority to KR1020090109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080B1/ko
Publication of KR20110052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B29C45/4225Take-off members or carriers for the moulded articles, e.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2045/4068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an auxiliary mould part carrying the moulded article and removing it from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2045/4094Ejectors located on the fixed mould ha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금형에 관련되는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품 취출을 위해 필요한 밀판의 강제 후퇴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받침판과 하원판 사이에 밀판이 설치되며, 상원판에 설치된 푸셔가 상기 상원판의 하강시 밀판을 밀어 후퇴되게 하는 사출금형용 밀판 후퇴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심부에 상기 푸셔가 관통되는 푸셔홀이 형성되며 상단 외주면은 테이퍼부가 구비되는 밀판 가이드와; 상기 밀판 가이드에 삽입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하부밀판과; 상기 하부밀판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밀판에 설치되는 것으로 좌우 한쌍을 이루되 외측단부에서 탄성체로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내측단면에는 오목하게 함몰된 곡면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저면부에는 상기 밀판 가이드의 테이퍼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된 테이퍼홈이 형성되는 분할형 가동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용 밀판 강제 후퇴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출금형, 밀판, 후퇴장치, 푸셔, 가동블럭, 탄성체, 테이퍼홈

Description

사출금형용 밀판 강제 후퇴장치{Pushing plate retracting apparatus for injection mold}
본 발명은 사출금형에 관련되는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품 취출을 위해 필요한 밀판의 강제 후퇴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통상적으로 사출금형의 경우 제품 취출을 위해 금형이 개방될 때 밀판이 상승되면서 이젝트핀에 의해 성형된 제품이 금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이처럼 상승되었던 밀판은 다음 제품성형을 위해서 다시 원위치로 하강되어야 한다. 즉, 금형이 다시 밀폐될 때에 밀판도 함께 하강되어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것이 밀판 후퇴장치이다.
이미 이와 관련된 다수의 기술들이 알려져 있으며,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 1988-16586호의 "사출금형의 밀판 후퇴장치"가 있었다.
첨부되는 도1은 종래기술의 사출금형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며, 도2는 도1의 사출금형이 닫힌 상태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고정판(4)과 하원판(6) 사이 공간에 밀판이 형성되는데, 1쌍의 가이드(11)가 상기 하고정판과 하원판에 평행하면서 이격되게 결합된다. 그 리고 1쌍의 슬라이드(9)가 밀판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푸셔(3)가 하강되면 상기 슬라이드에 상기 푸셔가 접촉된 상태로 밀판과 함께 하강되고 소정거리만큼 하강되면 상기 가이드(1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홈(12)으로 슬라이더가 들어감에 따라 더 이상 밀판은 하강되지 않고 푸셔만이 하강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우 1쌍의 가이드(11)들이 금형외측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슬라이더가 가이드 내측과 접촉되어 이동되기 때문에 마모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즉, 보다 콤팩트하며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밀판 후퇴장치의 필요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다 콤팩트하며 작동성도 우수한 구조의 밀판 강제후퇴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을 주요한 과제로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받침판과 하원판 및 상기 받침판과 하원판을 연결하는 한 쌍의 포스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밀판이 설치되며, 상원판에 설치된 푸셔가 상기 상원판의 하강시 밀판을 밀어 후퇴되게 하는 사출금형용 밀판 강제 후퇴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의 받침판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심부에 상기 푸셔가 관통되는 푸셔홀이 형성되며 상단 외주면은 테이퍼부가 구비되는 밀판 가이드와; 상기 밀판 가이드에 삽입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하부밀판과; 상기 하부밀판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밀판에 설치되는 것으로 서로 분리되어 좌우 한쌍을 이루되 외측단부에서 탄성체로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내측단면에는 오목하게 함몰된 곡면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저면부에는 상기 밀판 가이드의 테이퍼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된 테이퍼홈이 형성되는 분할형 가동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할형 가동블럭은 좌우 가동블럭이 서로 접촉되는 상태일 때 두 개의 대향하는 곡면홈들이 형성하는 개구홀의 형상이 상기 푸셔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용 밀판 강제 후퇴장치를 제안한다.
삭제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상원판이 하강되어 푸셔가 상기 분할형 가동블럭에 접촉되면 상부밀판과 하부밀판이 동시에 하강되며, 상기 분할형 가동블럭의 테이퍼홈 에 밀판 가이드의 테이퍼부가 접촉되기 시작하면 상기 분할형 가동블럭이 좌우로 벌어지면서 푸셔가 하강되어 상기 밀판 가이드의 푸셔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용 밀판 강제 후퇴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밀판 강제 후퇴장치는 받침판과 하원판 사이 공간에 밀판 후퇴장치가 형성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치 않게 되어 콤팩트한 구조를 이룰 수 있고 작동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오동작으로 인한 금형의 손상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용 밀판 강제 후퇴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수단으로 관련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인 바, 타인에 의한 단순한 구조적 변경과 같은 변형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 사출금형의 일반적인 기술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간략화 내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첨부되는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밀판 강제 후퇴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에 해당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금형(100)과 상부금형(200)으로 나누어지며, 고정된 하부금형(100)에 대해 상부금형(200)이 상승되어 개방되거나 다시 하강되어 하부금형과 결합됨으로써 닫히게 된다.
하부금형(100)은 다시 받침판(110)과 포스트(120) 및 하원판(130)으로 구분되며 상기 받침판(110) 위에 포스트(120)가 세워지고 상기 포스트(120) 위에 하원판(130)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받침판(110)과 하원판(130) 사이에는 빈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110)과 하원판(130) 사이 공간에 밀판(300)이 설치되며 상기 밀판(300)은 다시 하부밀판(310)과 상부밀판(3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부금형(200)을 구성하는 상원판(210)에 푸셔(220)가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며, 상부금형(200)의 하강시 푸셔(220)는 하원판(130)을 관통하여 밀판(300)을 하방으로 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받침판(110) 상면에 밀판 가이드(330)가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는데, 그 중심부는 상하방향으로 푸셔홀(33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푸셔(220)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밀판 가이드(330)의 상단부 외주면은 비스듬히 경사지게 테이퍼부(3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판 가이드(330)는 받침판(110) 상면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된다.
밀판(300) 중 하부밀판(310)에는 상기 밀판 가이드(3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심부가 뚫려있으며 밀판 가이드(330)에 삽입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하부밀판(310) 상면에 상부밀판(320)이 더 설치되는데 상기 상부밀판(320)의 중심부로는 한쌍을 이루는 분할형 가동블럭(340)이 설치된다. 상기 좌우측으로 배치되어 한쌍을 형성하게 되는 분할형 가동블럭(340) 각각은 그 외측단부에서 탄성 체(341)로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탄성체(341)로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것으로 충분하다. 그리고 분할형 가동블럭(340)의 각 내측단면에는 오목하게 함몰되는 곡면홈(342)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부에는 상기 밀판 가이드(330)의 테이퍼부(332)와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된 테이퍼홈(343)이 구비된다.
상기 분할형 가동블럭(340)은 탄성체(341)로 탄력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좌우 가동블럭들이 서로 접촉되는 상태를 이룬다. 특히, 상기 가동블럭(340) 각각의 내측단면에 형성되는 곡면홈(342)으로 인해 두 가동블럭이 접촉되는 상태에서는 소정의 개구홀(344)이 만들어지게 된다. 상기 개구홀(344)은 푸셔(220)가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되는데, 바람직하게 두 가동블럭(340)에 형성된 두개의 곡면홈(342)들이 만들게 되는 개구홀(344)은 푸셔(220)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즉, 두개의 곡면홈(342)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홀(344)은 완전히 원형이 아니며 장반경과 단반경을 갖게 된다.
반면에 푸셔(220)는 완전한 원형 단면을 갖추게 되며 이러한 관계로 인해 상기 푸셔(220)가 상부금형(200)과 함께 하강되어 가동블럭(340) 상면과 접촉이 되더라도 완전한 원형이 아닌 개구홀(344)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고 밀판(300) 전체를 하강되게 한다. 즉, 두개의 가동블럭(340)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 채 푸셔와 함께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가동블럭(340)들은 규정된 거리만큼 하강되면 좌우로 벌어지면서 푸셔(220)가 개구홀(344)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즉, 하강되는 푸셔(220)로 인해 가동블럭(340)에 소정의 힘 이상이 작용되면 탄성체(341)로 지지된 가동블 럭(340)들은 외측으로 이동되고 좁았던 개구홀(344)은 서서히 벌어지면서 곡면홈(342)들이 푸셔(220)의 외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형태가 된다.
푸셔(220)의 하강으로 인한 가동블럭(340)들의 변화는 아래와 같은 작용에 기인한다. 받침판(110) 상면에 고정되는 밀판 가이드(330)의 상단부에 테이퍼부(332)가 형성되고 가동블럭(340)의 하부면에는 테이퍼부(332)에 상응하는 테이퍼홈(343)이 형성되기 때문에 푸셔(220)가 가동블럭(340) 상면에 접촉된 채 점차 하강하여 테이퍼부(332)에 테이퍼홈(343)이 맞닿게 되면 가동블럭(340)에 부가적인 하중이 걸리게 되어 가동블럭(340)들이 조금씩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테이퍼부(332)에 테이퍼홈(343)이 완전히 결합되면 더 이상 밀판(300)은 하강되지 못하게 되나, 푸셔(220)는 밀판 가이드(330)의 중심부로 형성되는 푸셔홀(331)을 따라 하사점까지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관계로 인해 금형의 닫힘 동작시 밀판이 강제적으로 후퇴될 수 있어 금형을 보호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출금형에는 슬라이드코어와 밀핀이 구비되는데, 슬라이드 밑부분에 밀핀이 설치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들은 서로 시간차를 두고서 작동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한 것이 밀판 강제 후퇴장치이며, 이와 같은 관계는 당업자에게 익혀 알려져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밀판 강제 후퇴장치는 종래기술에 비교하여 작동성이 우수하고 콤팩트한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기존방식을 대체하여 널 리 이용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1은 종래기술의 사출금형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2는 도1의 사출금형이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밀판 강제 후퇴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하부금형 110 : 받침판
120 : 포스트 130 : 하원판
200 : 상부금형 210 : 상원판
220 : 푸셔 300 : 밀판
310 : 하부밀판 320 : 상부밀판
330 : 밀판가이드 331 : 푸셔홀
332 : 테이퍼부 340 : 분할형 가동블럭
341 : 탄성체 342 : 곡면홈
343 : 테이퍼홈 344 : 개구홀

Claims (3)

  1. 받침판과 하원판 및 상기 받침판과 하원판을 연결하는 한 쌍의 포스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밀판이 설치되며, 상원판에 설치된 푸셔가 상기 상원판의 하강시 밀판을 밀어 후퇴되게 하는 사출금형용 밀판 강제 후퇴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의 받침판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심부에 상기 푸셔가 관통되는 푸셔홀이 형성되며 상단 외주면은 테이퍼부가 구비되는 밀판 가이드와;
    상기 밀판 가이드에 삽입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하부밀판과;
    상기 하부밀판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밀판에 설치되는 것으로 서로 분리되어 좌우 한쌍을 이루되 외측단부에서 탄성체로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내측단면에는 오목하게 함몰된 곡면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저면부에는 상기 밀판 가이드의 테이퍼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된 테이퍼홈이 형성되는 분할형 가동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할형 가동블럭은 좌우 가동블럭이 서로 접촉되는 상태일 때 두 개의 대향하는 곡면홈들이 형성하는 개구홀의 형상이 상기 푸셔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용 밀판 강제 후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원판이 하강되어 푸셔가 상기 분할형 가동블럭에 접촉되면 상부밀판과 하부밀판이 동시에 하강되며, 상기 분할형 가동블럭의 테이퍼홈에 밀판 가이드의 테이퍼부가 접촉되기 시작하면 상기 분할형 가동블럭이 좌우로 벌어지면서 푸셔가 하강되어 상기 밀판 가이드의 푸셔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용 밀판 강제 후퇴장치.
KR1020090109467A 2009-11-13 2009-11-13 사출금형용 밀판 강제 후퇴장치 KR101137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467A KR101137080B1 (ko) 2009-11-13 2009-11-13 사출금형용 밀판 강제 후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467A KR101137080B1 (ko) 2009-11-13 2009-11-13 사출금형용 밀판 강제 후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798A KR20110052798A (ko) 2011-05-19
KR101137080B1 true KR101137080B1 (ko) 2012-04-20

Family

ID=44362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467A KR101137080B1 (ko) 2009-11-13 2009-11-13 사출금형용 밀판 강제 후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0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44645A (zh) * 2020-05-18 2020-10-30 安徽红专包装制品科技有限公司 一种注塑用模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721U (ko) * 1997-12-08 1999-07-05 김영환 사출금형용 밀판의 복귀장치
KR20090073851A (ko) * 2007-12-31 2009-07-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721U (ko) * 1997-12-08 1999-07-05 김영환 사출금형용 밀판의 복귀장치
KR20090073851A (ko) * 2007-12-31 2009-07-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798A (ko)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15902B (zh) 成型模具的顶出机构、具备该顶出机构的成型模具
CN104759546B (zh) 斜楔模具
CN201720972U (zh) 开闭器及具有开闭器的模具
US11273586B2 (en) Undercut processing mechanism, mold for molding, and molded article
KR101137080B1 (ko) 사출금형용 밀판 강제 후퇴장치
KR101059269B1 (ko) 리턴핀을 이용한 사출금형용 밀판 강제 후퇴장치
CN103950164A (zh) 汽车车灯注塑模具的内卡槽脱模机构
CN107443686B (zh) 四面同时抽芯模具
CN215095334U (zh) 多方向滑块抽芯机构及注塑模具
CN211440987U (zh) 一种组合抽芯机构以及注塑模具
CN102513447A (zh) 一种u形件侧向收口模具
CN208980575U (zh) U型件折弯装置
KR100787196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US20120100239A1 (en) Switching ware
KR100934616B1 (ko) 냉장고 케이스의 발포 금형
CN107839175B (zh) 一种防止顶出过程中发生碰撞的安全机构
CN110948799A (zh) 一种组合抽芯机构以及注塑模具
CN111231234A (zh) 注塑模具
JP4259280B2 (ja) 成形機
KR200445760Y1 (ko) 사출금형의 언더컷 취출장치
CN104668374B (zh) 一种斜楔模具
CN203831735U (zh) 汽车车灯注塑模具的内卡槽脱模机构
CN218004690U (zh) 一种便于拆卸的键盘按键
CN211363334U (zh) 一种折叠叉子注塑模具的滑块弹出机构
CN219006879U (zh) 一种具有斜抽机构的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