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970B1 - 차량 관제 장치, 이를 이용한 경비 시스템 및 경비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관제 장치, 이를 이용한 경비 시스템 및 경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970B1
KR101136970B1 KR1020110016486A KR20110016486A KR101136970B1 KR 101136970 B1 KR101136970 B1 KR 101136970B1 KR 1020110016486 A KR1020110016486 A KR 1020110016486A KR 20110016486 A KR20110016486 A KR 20110016486A KR 101136970 B1 KR101136970 B1 KR 101136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abnormality
control device
signal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두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10016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에 설치된 차량 관제 장치는 경비 대상 설비에서의 이상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이상 감지 장치로부터 이상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직접 수신하고, 이상이 발생한 경우 경비 담당자가 바로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거나 경비 담당자의 단말로 이상 발생을 통보한다. 특히 해당 경비 담당자의 출동 처리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차량 관제 장치는 다른 차량 관제 장치와 통신하여 대체 출동이 가능한 최적의 경비 담당자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경비 담당자에 대응하는 차량 관제 장치로 이상 발생 정보를 전달하여, 대체 출동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 관제 장치, 이를 이용한 경비 시스템 및 경비 방법{vehicle control apparatus,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경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 관제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경비를 수행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비 대상이 되는 시설에 설치된 경비 장치들과 연계하여 경비 대상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 관제 시스템은, 각 경비 대상 시설에 위치된 경비 장치로부터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전송되면, 다양한 네트워크(예를 들어, 공중 회선망, 무선망, 전용 회선망 등)을 통하여 경비 업체의 중앙 관제 센터로 수신된 이상 신호를 전달한다. 경비 업체의 중앙 관제 센서는 이상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지역 담당자의 단말로 출동 지시를 전송하며, 출동 지시를 받은 지역 담당자는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시설로 출동한다.
그런데 경비 대상 시설에 이상이 발생한 시점부터 실질적으로 경비 업체의 담당자가 출동하기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특히 경비 대상 시설에서 이상 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각 지역 담당자가 출동 지시를 받게 되는 시점 사이에 얼마간의 시간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시간차에 의하여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재산, 인명 등의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경비 대상 시설에서 이상이 발생하는 시점에 대응하여 보다 빠르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경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경비 대상 시설로부터 발생되는 이상 신호를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하는 차량 관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경비 방법은 차량에 설치된 차량 관제 장치를 토대로 경비를 수행하는 방법이며, 이상 감지 장치로부터 소정 경비 대상 설비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이상 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관제 장치가 상기 이상 발생 신호를 토대로 어떤 경비 대상 설비에 어떤 종류의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이상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차량 관제 장치가 상기 생성된 이상 발생 정보를 출력하거나 해당 차량의 경비 담당자의 단말로 전송하여, 경비 담당자가 이상 발생을 인지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경비 담당자가 이상 발생 처리를 위한 출동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차량 관제 장치가 다른 차량 관제 장치들 중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 차량 관제 장치의 위치를 토대로, 대체 출동 처리를 요청할 적어도 하나의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관제 장치가 상기 이상 발생 정보를 포함하며 대체 출동 처리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선택된 차량 관제 장치나 상기 선택된 차량 관제 장치에 해당하는 경비 담당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경비 시스템은, 경비 대상 설비에 위치되어 이상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상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이상 감지 장치; 및 차량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상 감지 장치로부터 이상 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어떤 경비 대상 설비에 언제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이상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해당 차량의 경비 담당자가 이상 발생 처리를 위한 출동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차량 관제 장치가 다른 차량 관제 장치들 중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 차량 관제 장치의 위치를 토대로, 대체 출동 처리를 요청할 적어도 하나의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차량 관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관제 장치는 해당 차량의 경비 담당자의 단말과 통신하여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상기 단말로 통보하거나 상기 단말로부터 경비 담당자의 출동 가능 여부를 통보 받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장치는 경비 대상 설비에 위치된 이상 감지 장치들과 경비 담당자의 단말과 통신하여 경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 관제 장치이며, 상기 이상 감지 장치로부터 소정 경비 대상 설비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이상 발생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단말로부터 경비 담당자의 출동 가능 여부를 통보받는, 수신부; 상기 이상 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어떤 경비 대상 설비에 어떤 종류의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이상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처리부; 상기 제1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이상 발생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부재 모드를 설정하거나 경비 담당자의 출동 가능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부재 모드가 설정되어 있거나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출동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상기 수신부를 통하여 경비 담당자의 출동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 차량 관제 장치의 위치를 토대로, 대체 출동 처리를 요청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제2 처리부; 및 상기 제1 처리부에서 생성된 이상 발생 정보를 해당 경비 담당자의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제2 처리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상 발생 정보를 포함하고 대체 출동 처리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선택된 차량 관제 장치나 상기 선택된 차량 관제 장치에 해당하는 경비 담당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서, 대체 출동 처리를 위한 다른 차량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경우에, 출동 가능 여부를 문의하는 신호에 대하여 출동이 가능한 것으로 답변한 차량 관제 장치들을 후보 차량 관제 장치로 선택하고, 선택된 후보 차량 관제 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후보 차량 관제 장치들의 위치,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를 고려하고, 후보 차량 관제 장치들과 경비 대상 설비 사이의 교통 상황 정보, 후보 차량 관제 장치에서 경비 대상 설비까지의 도달 예상 시간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 상황 정보는 후보 차량 관제 장치가 설치된 후보 차량에서부터 경비 대상 설비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주행 경로, 각 주행 경로별 교통 정체 상태를 나타내는 교통 정체 정보, 각 주행 경로별 주행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경우, 각 후보 차량 관제 장치에 대하여, 후보 차량 관제 장치가 설치된 후보 차량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까지의 주행 경로별 도달 예상 신호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주행 경로별 도달 예상 신호에서 가장 짧은 도달 예상 신호를 해당 후보 차량에 대한 도달 예상 신호로 최종 선택한 다음, 각 후보 차량 관제 장치별로 최종 선택된 도달 예상 신호들 중에서, 가장 짧은 도달 예상 신호를 가지는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경우, 후보 차량 관제 장치별로 복수의 파라미터별로 그 값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부여된 가중치들의 값의 합을 토대로 최종 후보 차량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파라미터는 후보 차량 관제 장치의 위치,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를 토대로 하는 거리, 이러한 거리와 위치를 토대로 후보 차량 관제 장치가 설치된 후보 차량에서 경비 대상 설비까지의 도달 예상 시간, 교통 정체 정보, 이상 발생 시간, 경비 대상 설비의 경비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경비 대상 시설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이상 신호가 해당 지역의 경비 담당자의 차량 관제 장치로 바로 전송됨으로써, 차량 관제 장치를 통한 경비 담당자의 출동 처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이상이 발생한 시점과 해당 지역의 경비 담당자에게 이상이 통보되는 시점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시켜, 보다 신속한 경비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지역의 경비 담당자의 출동 처리가 불가한 경우에는 이상 신호를 전송받은 차량 관제 장치가 다른 차량 관제 장치와 통신하여 대체 출동 처리가 가능한 경비 담당자의 차량 관제 장치로 이상 신호를 전달하여, 여러 상황에서도 대체 출동 처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관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처리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비 방법에서 출동 상황 문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관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첨부한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비 시스템(1)은 복수의 이상 감지 장치(10), 복수의 차량 관제 장치(20)를 포함하며, 각 차량 관제 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30)과 통신 가능하다.
이상 감지 장치(10)는 경비 시스템(1)이 경비하는 경비 대상 시설에 설치되어, 경비 대상 시설에 발생되는 이상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이상이란, 경비 대상 시설에 허가 받지 않은 침입자 발생, 경비 대상 시설에 설치된 장치들의 오동작, 파손 등, 경비 대상 시설에 대하여 감지하고자 하는 모든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경비 대상 시설은 경비 대상이 되는 지역, 경비 대상이 되는 설비나 시설 등 경비되는 대상을 포괄적으로 포함한다.
이상 감지 장치(10)는 해당 경비 대상 시설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이상 발생 신호를 차량 관제 장치(20)로 전송한다. 특히,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시설에 대응하는 지역을 관리하는 차량 관제 장치(20)로 이상 발생 신호를 전송한다. 이상 발생 신호는 경비 대상 설비를 나타내는 설비 식별 정보, 발생된 이상이 어떠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이상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이상이 검출된 시간을 나타내는 이상 발생 시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상 감지 장치(10)는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송신 수단을 이용하여 이상 발생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무선망 신호 변환기를 통하여 이상 발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상 감지 장치(10)가 자체적으로 보유한 송신 수단을 이용하여 이상 발생 신호를 무선망을 통하여 차량 관제 장치(20)로 전송하는 것을 예로 들었다.
차량 관제 장치(20)는 차량에 설치되어 이상 감지 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이상 발생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상 발생 신호에 따른 이상 발생 정보를 경비 담당자에게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관제 장치(20)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한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관제 장치(20)는 이상 감지 장치(10)로부터의 이상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1), 이상 발생 신호를 토대로 이상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처리부(22), 생성된 이상 발생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23), 생성된 이상 발생 정보를 경비 담당자의 단말(30)로 전달하는 전송부(24)를 포함한다. 경비 담당자의 단말(30)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한 기기이다.
수신부(21)는 이상 감지 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이상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여 제1처리부(22)로 전달한다. 이외에도, 수신부(21)는 다른 차량 관제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이상 발생 전달 신호를 수신하거나, 경비 담당자의 단말(3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처리부(22)는 이상 발생 신호를 토대로 소정 경비 대상 설비에 대하여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이상 발생 정보를 생성한다. 이상 발생 정보는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가 어떠한 것이고, 해당 경비 대상 설비에 발생된 이상이 어떠한 종류의 것이며, 언제 발생되었는지를 나타낸다. 이외에도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에 대한 위치 정보 및 경비 대상 설비까지의 경로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제1 처리부(22)는 수신되는 신호가 이웃하는 차량 관제 장치로부터 전송된 이상 발생 전달 신호인 경우에도 이상 발생 정보를 생성하며, 또한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에 대한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제1 처리부(22)는 이상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정보 생성 모듈(221),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정보 생성 모듈(222)을 포함한다.
제1 정보 생성 모듈(221)은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이상 발생 정보를 생성한다.
제2 정보 생성 모듈(222)은 관할하는 경비 대상 설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상 발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저장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2 정보 생성 모듈(222)은 전송부(24) 및 수신부(21)를 통하여 네트워크 상의 서버 또는 GPS 관련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해당 차량 관제 장치(20)가 설치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서, 현재 차량 관제 장치(20)의 위치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까지의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2 정보 생성 모듈(222)은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통하여 위의 경로 정보,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관제 장치(20)가 차량 관제 장치의 위치와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 그리고 이를 토대로 경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당업계에 알려진 기술을 토대로 구현할 수 있으며, 위에 기술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출력부(23)는 제1 처리부(22)에서 제공되는 정보(이상 발생 정보, 위치 정보, 경로 정보 등)를 경비 담당자가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상 발생 정보를 시각 정보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하거나, 또는 오디오 정보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담당자가 인지 가능하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 관제 장치(20)가 설치된 차량을 관리하는 경비 담당자가 해당 차량을 벗어나서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경비 담당자가 출력부(23)를 통하여 출력되는 이상 발생 정보를 인지할 수 없으므로, 이상 발생 정보를 전송부(24)를 통하여 경비 담당자의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경비 담당자의 단말(30)에 대한 정보가 미리 차량 관제 장치(20)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경비 담당자의 차량의 부재 여부를 나타내는 모드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부재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만 이상 발생 정보를 경비 담당자의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관제 장치(20)는 모드 설정을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5)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터치패드, 키패드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처리부(22)는 입력부(25)를 통하여 부재 모드 요청이 입력되면, 부재 모드를 설정하고 추후 이상 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전송부(24)를 통하여 경비 담당자의 단말(30)로 이상 발생 정보, 위치 정보, 경로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관제 장치(20)는 이상 발생 신호를 수신한 차량 관제 장치(20)의 경비 담당자가 출동이 불가능한 경우, 다른 경비 담당자가 대체 출동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제2 처리부(26)를 더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처리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제2 처리부(26)는 입력부(25)를 통하여 출동 불가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또는 수신부(21)를 통하여 경비 담당자의 단말(30)로부터 전송되는 출동 불가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되면, 대체 출동 처리를 수행한다. 대체 출동 처리는, 출동 불가 상태에 따라 다른 차량 관제 처리 장치로 이상 발생을 통보하여 다른 경비 담당자가 경비 대상 설비로 출동하도록 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출동이 불가한 상태가 발생한 경우 별도의 판단 과정 없이 대체 출동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또는 소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대체 출동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조건적으로 대체 출동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대체 출동 처리를 수행할지의 여부를 경비 대상 설비의 등급 토대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비 등급을 복수의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또한 각 등급별로 출동 처리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경비 등급은 경비 대상 설비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부여되거나 경비 대상 설비에 위치되어 있는 물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비 대상 설비가 금은방, 은행 등인 경우에는 경비 등급이 높게 설정될 수 있다. 경비 대상 설비별로 경비 등급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된 등급 이상의 경비 등급을 가지는 경비 대상 설비에 이상이 발생하고,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경비 담당자의 출동이 불가능한 경우에, 대체 출동 처리를 수행한다.
이외에도 이상이 발생한 시간을 고려하여 대체 출동 처리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비 대상 설비에 이상이 발생한 시간이 오후 7시-오후12시, 오후 12시-오전 7시에 해당하는 경우,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경비 담당자의 출동이 불가능하면 대체 출동 처리를 수행한다. 물론, 경비 대상 설비의 경비 등급, 이상이 발생한 시간을 모두 고려하여 대체 출동 처리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파라미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대체 출동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제2 처리부(26)는 전송부(24)를 통하여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다른 차량의 차량 관제 장치들로 출동 상황을 문의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상 발생 신호를 수신한 차량 관제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출동 상황 문의 신호를 수신한 다른 차량 관제 장치들을 '후보 차량 관제 장치'라고 명명하고, 후보 차량 관제 장치가 설치된 각 차량들을 '후보 차량', 각 후보 차량의 경비 담당자들을 '후보 경비 담당자' 라고 명명한다.
출동 상황 문의 신호에 대하여 응답으로 출동 상황을 나타내는 문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문의 응답 신호를 토대로 출동 가능한 것으로 답변한 후보 차량 관제 장치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후보 차량 관제 장치들의 위치,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를 토대로, 적어도 하나의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된 후보 차량 관제 장치로 이상 발생 신호를 전달하면서 대체 출동 처리를 요청한다. 이 때, 후보 차량 관제 장치로 이상 발생 신호를 전달하는 대신에, 선택된 후보 차량 관제 장치의 후보 경비 담당자의 단말(30)로 제1 처리부(22)에 의하여 생성된 이상 발생 정보를 바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현재 차량 관제 장치에서 선택된 후보 차량 관제 장치로 신호가 전달되고 이후 후보 차량 관제 장치에서 해당 경비 담당자의 단말로 이상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비하여, 보다 빨리 후보 경비 담당자에게 출동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후보 차량 관제 장치들의 위치는 각 후보 차량 관제 장치가 설치된 후보 차량의 위치일 수 있으며,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후보 차량 관제 장치가 설치된 후보 차량을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대체 출동할 수 있는 경비 담당자를 선택하는 것에 대응한다.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기 위하여, 제2 처리부(26)는 선택된 후보 차량 관제 장치들의 위치,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를 토대로 하면서, 보다 최적의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기 위하여, 후보 차량 관제 장치들과 경비 대상 설비 사이의 교통 상황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후보 차량 관제 장치에서 경비 대상 설비까지의 도달 예상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도달 예상 시간을 토대로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교통 상황 정보는 후보 차량 관제 장치가 설치된 후보 차량에서부터 경비 대상 설비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주행 경로, 각 주행 경로별 교통 정체 상태를 나타내는 교통 정체 정보, 각 주행 경로별 주행 거리를 포함한다. 교통 정체 정보는 해당 주행 경로 상의 교통 정체 상태를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정보일 수도 있으며, 주행 경로 상의 교통 정체 특성을 토대로 미리 설정된 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정체 상태가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복수의 레벨들 중에서 하나일 수 있으며, 교통 정체 상태에 따라 레벨 1-10 중에서 하나일 수 있다. 각 주행 도로의 특성에 따라 교통 정체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보다 높은 레벨을 부여하고 교통 정체가 발생하는 빈도가 낮은 지역에 대해서는 보다 낮은 레벨을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의 연계 없이, 각 주행 도로별로 부여되어 있는 교통 정체 레벨을 토대로 교통 정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처리부(26)는 이러한 교통 상황 정보를 토대로 각 후보 차량 관제 장치에 대하여, 후보 차량 관제 장치가 설치된 후보 차량에서 경비 대상 설비까지의 주행 경로별 도달 예상 신호를 산출하고, 산출된 주행 경로별 도달 예상 신호에서 가장 짧은 도달 예상 신호를 해당 후보 차량에 대한 도달 예상 신호로 최종 선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선택되는 각 후보 차량 관제 장치별로 최종 선택된 도달 예상 신호를 토대로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데, 가장 짧은 도달 예상 신호를 가지는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2 처리부(26)는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기 위하여, 후보 차량 관제 장치별로 복수의 파라미터별로 그 값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부여된 가중치들의 값의 합을 토대로 최종 후보 차량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차량 관제 장치의 위치,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를 토대로 하는 거리, 이러한 거리와 위치를 토대로 후보 차량 관제 장치가 설치된 후보 차량에서 경비 대상 설비까지의 도달 예상 시간, 교통 정체 정보를 각각 획득하고, 획득된 각 파라미터에 대하여 그 값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한 다음, 부여된 가중치들을 합하여 최종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산출된 각 후보 차량 관제 장치별 최종값들을 비교하여 가장 높거나 낮은 최종값을 가지는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로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중치를 부여하는 파라미터가 위에 기술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상 발생 시간, 경비 대상 설비의 경비 등급 등이 추가로 더 고려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표 1과 같이 각 후보 차량 관제 장치에 대하여 각 파라미터별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후보차량관제장치 1 후보차량관제장치2 후보차량관제장치3
도달 예상 시간 20분 가중치 8 30분 가중치 6 10분 가중치 10
교통정체정보 레벨 8 가중치 8 레벨 4 가중치 4 레벨 3 가중치 3
이상 발생 시간 오전12시 가중치 5 오전12시 가중치 5 오전12시 가중치 5
경비대상설비등급 1등급 가중치 10 1등급 가중치 10 1등급 가중치 10
가중치 합 31 25 28
여기서는 교통 정체 정보에 대하여 레벨이 1-10이 주어지고, 레벨이 높아질수록 교통 정체가 낮은 것으로 하고, 교통 정체가 낮을수록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달 예상 시간은 1시간 이상이 되는 것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0을 부여하고, 1시간 이내에서 10분 단위로 가중치를 부여하면서 짧은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에 보다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이상 발생 시간에 대해서는 오후에 해당하는 시간에 보다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하며, 경비 대상 설비의 등급에 대해서는 1등급이 가장 높은 등급이며, 등급이 높을수록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위의 표 1에 따르면, 후보 차량 관제 장치 1에 대하여 각 파라미터별로 주어진 가중치의 합이 "31"로 가장 높으므로, 후보 차량 관제 장치 1을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로 선택한다.
한편 제2 처리부(26)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교통 정보 제공 서버(도시되지 않음)와 연계하여, 선택된 후보 차량들에 대한 교통 상황 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처리부(26)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에게 후보 차량 관제 장치가 설치된 후보 차량의 위치와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만을 제공하여,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교통 상황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제2 처리부(26)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에게 후보 차량의 위치와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를 제공한 다음에, 각 위치 사이에 해당하는 지도 데이터와 교통 정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데이터를 토대로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교통 상황 정보를 구성하는 정보들을 직접 생성할 수도 있다. 또는 제2 처리부(26)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와의 연계 없이, 자체적으로 지도 데이터와 교통 정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후보 차량의 위치와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를 토대로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교통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지도 데이터와 교통 정체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주기적 또는 필요시마다 제공받아 업데이이트 될 수 있다. 또한 제2 처리부(26)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교통 정보 제공 서버와 직접 통신하지 않고, 차량에 설치되는 네비게이션 장치와 같은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과 통신하여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교통 상황 정보를 제공받거나 교통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출동 상황 문의 신호를 송신하여 대체 출동 가능한 후보 경비 담당자에 대응하는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동작 이외에, 제2 처리부(26)는 다른 차량 관제 장치로부터 출동 상황 문의 신호가 입력되면 이에 대한 문의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처리부(26)는 출동 가능 여부를 문의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부(23)를 통하여 출력한 다음에 입력부(25)를 통하여 출동 가능함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또는 전송부(24)를 통하여 경비 담당자의 단말(30)로 출동 가능 여부를 문의하는 신호를 전송한 다음에, 수신부(21)를 통하여 휴대 단말(30)로부터의 출동 가능함을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 출동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문의 응답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물론 입력부(25)를 통하여 출동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또는 수신부(21)를 통하여 출동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제2 처리부(26)는 출동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문의 응답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문의 응답 신호에는 차량 관제 장치의 식별 정보, 출동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며, 이외에도 응답한 차량 관제 장치의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응답한 차량 관제 장치의 위치 정보는 문의 응답 신호에 포함되지 않고, 문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차량 관제 장치가 서버나 GPS 장치 등을 통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문의 응답 신호에는 해당 차량 관제 장치의 경비 담당자의 단말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이외에도 경비 담당자가 자신이 다른 상황을 처리하는 상태라서 출동 가능한 상황이 발생하여도 출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미리 입력부(25) 등을 통하여 출동 불가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처리부(26)는 출동 불가 모드를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출동 상황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경비 담당자에게 출동 가능 여부를 문의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바로 출동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문의 응답 신호에 포함시켜, 출동 상황 문의 신호를 전송한 차량 관제 장치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처리부(26)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처리를 위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출동 상황 문의 신호를 생성하여 다른 차량 관제 장치에 대체 출동 처리를 요청하는 대체 출동 처리 요청 모듈(261)과, 수신되는 문의 응답 신호를 토대로 후보 차량 관제 장치(또는 후보 차량)를 선택하는 선택 모듈(262), 그리고 선택된 후보 차량의 차량 관제 장치로 이상 발생 신호를 전달하는 전달 모듈(263)을 포함한다. 전달 모듈(263)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선택된 후보 차량의 차량 관제 장치로 이상 발생 신호를 전달하거나, 후보 차량의 경비 담당자의 단말로 이상 발생 정보, 위치 정보, 경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처리부(26)는 다른 차량 관제 장치로부터의 출동 상황 문의에 따라 문의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대체 출동 처리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행하는 대체 출동 처리 응답 모듈(264), 다른 차량 관제 장치로부터 이상 발생 신호와 함께 대체 출동 처리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1 처리부(22)로 이상 발생 신호를 전달하여 이상 발생 정보를 생성하도록 요청하는 대체 출동 처리 모듈(2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체 출동 처리 모듈(265)에 따라 제1 처리부(22)는 전달받은 이상 발생 신호에 대응하는 이상 발생 정보, 위치 정보,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들을 출력부(23)를 통하여 출력하거나 전송부(24)를 통하여 해당 경비 담당자의 단말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관제 장치(20)는 이상 감지 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이상 발생 신호에 포함된 설비 식별 정보를 토대로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가 차량 관제 장치(20)가 관할하는 지역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이상 발생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를 관할하는 지역에 해당하지 않는 차량 관제 장치가 이상 발생 신호를 처리함에 따라 실질적으로 자신이 관할하는 지역의 이상 감지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이상 발생 신호를 늦게 처리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의 차량 관제 장치와 경비 시스템을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비 방법의 흐름도이다. 특히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체 출동 처리를 포함하는 경비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첨부한 도 4에서와 같이, 소정 경비 대상 설비에 위치한 이상 감지 장치(10)가 경비 대상 설비에 위치한 다양한 센서들(도시하지 않음)과의 연계를 통하여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이상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차량 관제 장치(20)로 전송한다.
차량 관제 장치(20)의 제1 처리부(22)는 수신부(21)를 통하여 이상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S100), 이상 발생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토대로 이상 발생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S110), 또한 차량 관제 장치(20)의 현재 위치와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를 토대로 경로 정보를 생성한다(S120). 경로 정보는 물론 차량 관제 장치(20)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빨리 경비 대상 설비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포함한다.
제1 처리부(22)는 생성된 이상 발생 정보와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 정보, 그리고 경로 정보를 출력부(23)를 통하여 출력하거나, 해당 경비 담당자의 단말(30)로 전송한다. 여기서는 제1 처리부(22)가 현재 부재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부재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S130), 경비 담당자의 단말(30)로 이상 발생 정보, 위치 정보, 경로 정보를 전송한다(S140). 부재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출력부(23)를 통하여 해당 정보를 출력한다(S150). 여기서 이상 발생 정보와 함께 위치 정보, 경로 정보를 전송하거나 출력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이상 발생 정보만을 출력 또는 전송하고 위치 정보, 경로 정보는 추후에 출력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비 담당자는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차량 관제 장치(20)의 출력부(23)를 통하여 소정 경비 대상 설비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이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자신이 휴대하고 있는 단말(30)을 통하여 소정 경비 대상 설비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이상 발생을 인지한 경비 담당자는 해당 경비 대상 설비로 출동하여 발생된 이상을 해소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상이 발생한 장소에 설치된 이상 감지 장치(10)에서 발생된 이상 발생 신호가 별도의 경로를 거치지 않고 해당 지역을 담당하는 경비 담당자의 차량에 설치된 차량 관제 장치(20)로 바로 전송됨으로써, 이상 발생에 대하여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이상 발생 정보를 출력한 이후에 입력부(25) 또는 수신부(21)로부터 경비 담당자가 출동이 불가함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2 처리부(26)는 다른 차량 관제 장치들로 이상 발생 신호를 전달하여 다른 경비 담당자가 출동할 수 있도록 하는 대체 출동 처리를 수행한다.
출동이 불가함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수신되면(S160), 제2 처리부(26)는 출동 상황 문의 신호를 생성하여 인접한 다른 차량 관제 장치들로 전송한다(S170). 이 경우 경비 대상 설비의 경비 등급, 이상이 발생한 시간 등을 고려하여 대체 출동 처리 여부를 수행하지를 추가적으로 고려하고, 대체 출동 처리를 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만 출동 상황 문의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출동이 불가함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경비 담당자가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로 출동한 것으로 판단한다(S180). 이 경우 경비 담당자는 입력부(25) 등을 통하여 출동함을 나타내는 출동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출동 상황 문의 신호를 전송한 다음에, 도 5에서와 같이, 다른 차량 관제 장치들로부터 문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S190), 수신된 문의 응답 신호를 토대로 출동이 가능한 것으로 응답한 차량 관제 장치들을 후보 차량 관제 장치로 선택한다(S200). 그리고 선택된 후보 차량 관제 장치들이 전송한 문의 응답 신호들을 토대로 각 후보 차량 관제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고(S210), 확인한 위치와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를 토대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차량 관제 장치들을 최종적으로 선택한다(S220).
여기서 제2 처리부(26)는 각 후보 차량 관제 장치들 중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최종적으로 선택한다. 또는 해당 위치에서 경비 대상 설비까지의 경로, 경로상의 교통 정보 등을 토대로, 경로 정보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로 가장 빠른 시간에 도착할 수 있는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최종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을 토대로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차량 관제 장치가 선택되면, 제2 처리부(26)는 제1 처리부(22)로부터 이상 발생 신호(또는 이상 발생 정보)를 전달받아 전송부(24)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선택된 후보 차량 관제 장치로 전송한다. 특히 이상 발생 신호에 대체 출동 처리 요청을 포함시켜 전송한다. 이때, 최종적으로 선택된 후보 차량 관제 장치로부터 전송된 문의 응답 신호에 경비 담당자의 단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S230), 제2 처리부(26)는 선택된 후보 차량 관제 장치로 이상 발생 신호를 전달하는 대신에, 최종적으로 선택된 후보 차량 관제 장치의 경비 담당자의 단말로 바로 이상 발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240). 이 경우에는 경비 담당자의 단말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의 이상 발생 정보,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 정보, 그리고 경로 정보를 이상 발생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여, 경비 담당자가 수신되는 정보를 확인하고 바로 경비 대상 설비로 출동하도록 할 수 있다.
위의 단계(S230)에서, 문의 응답 신호에 경비 담당자의 단말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선택된 후보 차량 관제 장치로 이상 발생 신호를 전송한다(S250).
한편, 이후 대체 출동 처리 요청을 수신한 차량 관제 장치 또는 해당 차량 관제 장치의 경비 담당자의 단말(30)을 통하여 출동을 나타내는 신호가 전송되면, 이상 감지 장치(10)로 출동함을 통보할 수도 있다.
다음에는 도 6을 토대로,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대체 출동 처리에 따라 다른 차량 관제 장치로부터 출동 상황 문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비 방법에서 출동 상황 문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첨부한 도 6에서와 같이, 다른 차량 관제 장치로부터 출동 상황을 문의하는 출동 상황 문의 신호가 수신되면(S300), 해당 차량 관제 장치의 제2 처리부(26)는 출력부(23)를 통하여 출동 가능 여부를 문의하거나, 전송부(24)를 통하여 해당 경비 담당자의 단말(30)로 출동 가능 여부를 문의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310).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출동 상황 문의 신호를 전송한 차량 관제 장치를 제1 차량 관제 장치라고 명명하고, 출동 상황 문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후의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 관제 장치를 제2 차량 관제 장치라고 명명한다.
이후, 입력부(25)를 통하여 출동 가능함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수신부(21)를 통하여 출동 가능함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출동 불가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제2 처리부(26)는 전송부(24)를 통하여 경비 담당자가 출동 가능한 상태로 판단하여 출동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문의 응답 신호를 제1 차량 관제 장치로 전송한다(S320, S330).
한편 입력부(25)를 통하여 출동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수신부(21)를 통하여 출동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출동 불가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제2 처리부(26)는 전송부(24)를 통하여 경비 담당자가 출동 불가능한 상태로 판단하여 출동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문의 응답 신호를 제1 차량 관제 장치로 전송한다(S340).
제2 차량 관제 장치는 출동 가능함을 나타내는 문의 응답 신호를 제1 차량 관제 장치로 전송한 다음에, 제1 차량 관제 장치로부터 대체 출동 처리 요청과 함께 이상 발생 신호가 수신되면(S350), 제2 차량 관제 장치의 제2 처리부(26)는 대체 출동 처리를 수행한다.
즉, 제2 처리부(26)는 제1 처리부(22)로 이상 발생 신호를 전달하여 이상 발생 정보,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를 생성하도록 요청한다. 이후 제1 처리부(22)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상 발생 신호를 토대로 이상 발생 정보를 생성하고(S360),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 정보, 현재 위치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까지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S370), 생성된 정보들을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출력부(23)를 통하여 출력하거나 전송부(24)를 통하여 해당 경비 담당자의 단말(30)로 전송한다(S380).
한편 대체 출동 처리 요청과 함께 수신된 이상 발생 신호에 이상 발생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처리부(22)를 통한 별도의 처리 과정 없이, 제2 처리부(26)가 이상 발생 정보를 출력부(23)를 통하여 출력하거나 전송부(24)를 통하여 경비 담당자의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위의 단계(S350)에서, 제1 차량 관제 장치로부터 출동 대체 처리 요청을 포함하는 이상 발생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2 차량 관제 장치는 이상 감지 장치(1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등의 신호 수신 대기 모드로 동작한다(S390).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이상 감지 장치(10)로부터 자신이 관할하는 경비 대상 설비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출동 처리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차량 관제 장치가 다른 차량 관제 장치들과 연동하여 출동 가능한 경비 담당자를 선택하여 이후의 출동 대체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경비 담당자들간의 업무 협조가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져서 경비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 및 그 시스템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7)

  1. 차량에 설치된 차량 관제 장치를 토대로 경비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소정 경비 대상 설비에 이상이 발생하여 이상 감지 장치가 상기 경비 대상 설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이상 발생 신호를 상기 소정 경비 대상 설비가 위치된 지역을 관할하는 경비 담당자가 운행하는 차량에 설치된 차량 관제 장치로 전송하면, 상기 차량 관제 장치가 상기 이상 발생 신호를 토대로 어떤 경비 대상 설비에 어떤 종류의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이상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차량 관제 장치가 상기 생성된 이상 발생 정보를 출력하거나 해당 차량의 경비 담당자의 단말로 전송하여, 해당 차량의 경비 담당자가 이상 발생을 인지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경비 담당자가 이상 발생 처리를 위한 출동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차량 관제 장치가 다른 차량 관제 장치들 중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 차량 관제 장치의 위치를 토대로, 대체 출동 처리를 요청할 적어도 하나의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관제 장치가 상기 이상 발생 정보를 포함하며 대체 출동 처리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선택된 차량 관제 장치나 상기 선택된 차량 관제 장치에 해당하는 경비 담당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경비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출동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신호가 전송된 경우, 상기 차량 관제 장치의 입력부를 통하여 출동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상기 경비 담당자의 출동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부재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중 하나의 경우,상기 경비 담당자가 이상 발생 처리를 위한 출동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경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관제 장치가 다른 차량 관제 장치로 출동 가능 여부를 문의하는 출동 상황 문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다른 차량 관제 장치로부터 상기 출동 상황 문의 신호에 대한 문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문의 응답 신호를 토대로 다른 차량 관제 장치들 중에서 출동이 가능한 것으로 답변한 차량 관제 장치들을 후보 차량 관제 장치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후보 차량 관제 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경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선택된 후보 차량 관제 장치들의 위치,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를 고려하고, 후보 차량 관제 장치들과 경비 대상 설비 사이의 교통 상황 정보, 후보 차량 관제 장치에서 경비 대상 설비까지의 도달 예상 시간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교통 상황 정보는 후보 차량 관제 장치가 설치된 후보 차량에서부터 경비 대상 설비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주행 경로, 각 주행 경로별 교통 정체 상태를 나타내는 교통 정체 정보, 각 주행 경로별 주행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비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각 후보 차량 관제 장치에 대하여, 후보 차량 관제 장치가 설치된 후보 차량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까지의 주행 경로별 도달 예상 신호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주행 경로별 도달 예상 신호에서 가장 짧은 도달 예상 신호를 해당 후보 차량에 대한 도달 예상 신호로 최종 선택하는 단계; 및
    각 후보 차량 관제 장치별로 최종 선택된 도달 예상 신호들 중에서, 가장 짧은 도달 예상 신호를 가지는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로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경비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각 후보 차량 관제 장치별로 복수의 파라미터 값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부여된 가중치들의 값의 합을 토대로 최종 후보 차량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파라미터는 후보 차량 관제 장치의 위치,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를 토대로 하는 거리, 이러한 거리와 위치를 토대로 후보 차량 관제 장치가 설치된 후보 차량에서 경비 대상 설비까지의 도달 예상 시간, 교통 정체 정보, 이상 발생 시간, 경비 대상 설비의 경비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비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에 부여되어 있는 경비 등급, 상기 이상이 발생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토대로 대체 출동 처리를 수행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체 출동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대체 출동 처리를 요청할 적어도 하나의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경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에 부여되어 있는 경비 등급이 미리 설정된 등급 이상이고, 상기 이상이 발생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대체 출동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비 방법.
  8. 경비 대상 설비에 위치되어 이상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경비 대상 설비가 위치된 지역을 관할하는 경비 담당자가 운행하는 차량에 설치된 차량 관제 장치로 이상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이상 감지 장치; 및
    차량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상 감지 장치로부터 이상 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어떤 경비 대상 설비에 언제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이상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해당 차량의 경비 담당자가 이상 발생 처리를 위한 출동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차량 관제 장치가 다른 차량 관제 장치들 중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 차량 관제 장치의 위치를 토대로, 대체 출동 처리를 요청할 적어도 하나의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차량 관제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관제 장치는 상기 경비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출동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신호가 전송된 경우, 상기 차량 관제 장치의 입력부를 통하여 출동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상기 경비 담당자의 출동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부재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중 하나의 경우, 상기 경비 담당자가 이상 발생 처리를 위한 출동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제 장치는
    상기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에 부여되어 있는 경비 등급, 상기 이상이 발생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토대로 대체 출동 처리를 수행할지를 결정하고, 대체 출동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대체 출동 처리를 요청할 적어도 하나의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경비 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제 장치는
    후보 차량 관제 장치들의 위치,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를 고려하고, 후보 차량 관제 장치들과 경비 대상 설비 사이의 교통 상황 정보, 후보 차량 관제 장치에서 경비 대상 설비까지의 도달 예상 시간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대체 출동 처리를 요청할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경비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상황 정보는
    후보 차량 관제 장치가 설치된 후보 차량에서부터 경비 대상 설비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주행 경로, 각 주행 경로별 교통 정체 상태를 나타내는 교통 정체 정보, 각 주행 경로별 주행 거리를 포함하는, 경비 시스템.
  12. 경비 대상 설비에 위치된 이상 감지 장치들과 경비 담당자의 단말과 통신하여 경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 관제 장치에서,
    소정 경비 대상 설비에 이상이 발생하여 이상 감지 장치가 상기 경비 대상 설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이상 발생 신호를 상기 소정 경비 대상 설비가 위치된 지역을 관할하는 경비 담당자가 운행하는 차량에 설치된 차량 관제 장치로 전송하면, 상기 이상 발생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차량 관제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경비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경비 담당자의 출동 가능 여부를 통보받는 수신부;
    상기 이상 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어떤 경비 대상 설비에 어떤 종류의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이상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처리부;
    상기 제1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이상 발생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부재 모드를 설정하거나 경비 담당자의 출동 가능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부재 모드가 설정되어 있거나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출동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상기 수신부를 통하여 경비 담당자의 출동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 차량 관제 장치의 위치를 토대로, 대체 출동 처리를 요청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제2 처리부; 및
    상기 제1 처리부에서 생성된 이상 발생 정보를 해당 경비 담당자의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제2 처리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상 발생 정보를 포함하고 대체 출동 처리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선택된 차량 관제 장치나 상기 선택된 차량 관제 장치에 해당하는 경비 담당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차량 관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부는
    상기 차량 관제 장치가 다른 차량 관제 장치로 출동 가능 여부를 문의하는 출동 상황 문의 신호를 전송하는 대체 출동 처리 요청 모듈;
    상기 다른 차량 관제 장치로부터 상기 출동 상황 문의 신호에 대한 문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문의 응답 신호를 토대로 다른 차량 관제 장치들 중에서 출동이 가능한 것으로 답변한 차량 관제 장치들을 후보 차량 관제 장치로 선택하고, 선택된 후보 차량 관제 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선택 모듈; 및
    상기 전송부와 연계하여 선택된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로 이상 발생 정보를 포함하고 대체 출동 처리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전달 모듈
    을 포함하는, 차량 관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부는
    각 후보 차량 관제 장치에 대하여, 후보 차량 관제 장치가 설치된 후보 차량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까지의 주행 경로별 도달 예상 신호 중에서 가장 짧은 도달 예상 신호를 해당 후보 차량에 대한 도달 예상 신호로 최종 선택하고, 각 후보 차량 관제 장치별로 최종 선택된 도달 예상 신호들 중에서, 가장 짧은 도달 예상 신호를 가지는 후보 차량 관제 장치를 최종 후보 차량 관제 장치로 선택하는, 차량 관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부는
    후보 차량 관제 장치별로 복수의 파라미터별로 그 값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부여된 가중치들의 값의 합을 토대로 최종 후보 차량을 선택하며,
    상기 파라미터는
    후보 차량 관제 장치의 위치,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를 토대로 하는 거리, 이러한 거리와 위치를 토대로 후보 차량 관제 장치가 설치된 후보 차량에서 경비 대상 설비까지의 도달 예상 시간, 교통 정체 정보, 이상 발생 시간, 경비 대상 설비의 경비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관제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부는
    상기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에 부여되어 있는 경비 등급이 미리 설정된 등급 이상이고, 상기 이상이 발생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대체 출동 처리를 요청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차량 관제 장치를 선택하는, 차량 관제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선택된 차량 관제 장치나 상기 선택된 차량 관제 장치에 해당하는 경비 담당자의 단말로 전송하며,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의 위치 정보, 해당 차량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비 대상 설비까지의 경로 정보를 추가로 전송하는, 차량 관제 장치.
KR1020110016486A 2011-02-24 2011-02-24 차량 관제 장치, 이를 이용한 경비 시스템 및 경비 방법 KR101136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486A KR101136970B1 (ko) 2011-02-24 2011-02-24 차량 관제 장치, 이를 이용한 경비 시스템 및 경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486A KR101136970B1 (ko) 2011-02-24 2011-02-24 차량 관제 장치, 이를 이용한 경비 시스템 및 경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6970B1 true KR101136970B1 (ko) 2012-04-19

Family

ID=46143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486A KR101136970B1 (ko) 2011-02-24 2011-02-24 차량 관제 장치, 이를 이용한 경비 시스템 및 경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9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524B1 (ko) * 2013-03-11 2014-06-03 렉스젠(주) 순찰 단말기, 순찰 운영서버 및 그 제어방법
JP2017504847A (ja) * 2013-10-14 2017-02-09 コンコルド アジア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Concorde Asia Pte.Ltd. モバイル制御ユニット、ファシリティ管理システム、モバイルユニット制御システム、ファシリティ管理方法、およびモバイルユニット制御方法
JP2019091467A (ja) * 2018-12-21 2019-06-13 コンコルド アジア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Concorde Asia Pte.Ltd. モバイル制御ユニットおよびファシリティ管理方法
JP2021047908A (ja) * 2020-12-18 2021-03-25 コンコルド アジア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Concorde Asia Pte.Ltd. モバイル制御ユニットおよびファシリティ管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196A (ko) * 2001-11-27 2003-06-02 김기원 자동차보험료 산출 및 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KR20040042216A (ko) * 2002-11-13 2004-05-20 에스케이 주식회사 차량의 경로 탐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09880A (ko) * 2006-07-25 2008-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정보 전달 시스템
KR20090000225A (ko) * 2007-02-05 2009-01-07 엘지엔시스(주) 콜 서비스 방법 및 그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196A (ko) * 2001-11-27 2003-06-02 김기원 자동차보험료 산출 및 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KR20040042216A (ko) * 2002-11-13 2004-05-20 에스케이 주식회사 차량의 경로 탐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09880A (ko) * 2006-07-25 2008-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정보 전달 시스템
KR20090000225A (ko) * 2007-02-05 2009-01-07 엘지엔시스(주) 콜 서비스 방법 및 그의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524B1 (ko) * 2013-03-11 2014-06-03 렉스젠(주) 순찰 단말기, 순찰 운영서버 및 그 제어방법
JP2017504847A (ja) * 2013-10-14 2017-02-09 コンコルド アジア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Concorde Asia Pte.Ltd. モバイル制御ユニット、ファシリティ管理システム、モバイルユニット制御システム、ファシリティ管理方法、およびモバイルユニット制御方法
JP2019091467A (ja) * 2018-12-21 2019-06-13 コンコルド アジア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Concorde Asia Pte.Ltd. モバイル制御ユニットおよびファシリティ管理方法
JP2021047908A (ja) * 2020-12-18 2021-03-25 コンコルド アジア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Concorde Asia Pte.Ltd. モバイル制御ユニットおよびファシリティ管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76253B (zh) 一种机器人路线规划方法、装置、机器人及安全管理
JP524471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JP2009055138A (ja) トレーニングデータの収集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移動体通信端末の位置検出方法
KR101136970B1 (ko) 차량 관제 장치, 이를 이용한 경비 시스템 및 경비 방법
US20200086939A1 (en) Motorized scooter system
KR20150112049A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긴급구난 시스템
Sattar et al. Recent advances on context-awareness and data/information fusion in ITS
JP2020144955A (ja) 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
WO2018116493A1 (ja) 配置サーバ、警備システム、警備員配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8926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false alarms using the GPS location of a mobile device
KR101147371B1 (ko) 지하철 성추행발생 신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12867B1 (ko) 돌발상황발생 차량정보 인식을 통한 돌발상황 감시시스템 및 방법
US8912926B2 (en) Identifying a potential vehicle incident within a communication black spot
KR20160044662A (ko) 엔에프시 통신 기능을 가진 모바일 및 안전승차 서비스 시스템
JP2005332247A (ja) 警報通知システム
JP2015041933A (ja) 分散アンテナシステムの保守管理システム
JP6376891B2 (ja) プラント監視システム、プラント監視装置、およびプラント監視方法
JP5331351B2 (ja) 貨物搭載用端末および拠点出入判定方法
KR101907445B1 (ko) 원격 자산 관리시스템
US20210261137A1 (en) Notifying device and notifying method
KR100734875B1 (ko) 단말의 위치를 실시간 트래킹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JP6428490B2 (ja) 安否情報管理装置、携帯端末及び安否確認システム
KR102244629B1 (ko) 도로정비 시스템
KR20160114959A (ko) Lbs 기반의 지능형 안전 시스템 및 그 방법
EP3151210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telligent system trouble notifications using loca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