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364B1 - 배수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364B1
KR101136364B1 KR1020090071778A KR20090071778A KR101136364B1 KR 101136364 B1 KR101136364 B1 KR 101136364B1 KR 1020090071778 A KR1020090071778 A KR 1020090071778A KR 20090071778 A KR20090071778 A KR 20090071778A KR 101136364 B1 KR101136364 B1 KR 101136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stem
drain pipe
link b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4028A (ko
Inventor
신이훈
Original Assignee
신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우 filed Critical 신성우
Priority to KR1020090071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364B1/ko
Publication of KR20110014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actuation force being transmitted to the plug via rigi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의 배수구를 개폐할 수 있는 배수구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막대형상의 스템이 배수구 내부에 형성된 지지체의 중심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한, 배수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배수구에 분리 가능토록 삽입 결합되는 배수관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날개가 배수관체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날개들이 만나는 중앙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체; 및 상단에는 배수구 마개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은 상기 지지체의 상기 홀을 관통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단에는 배수구마개 작동봉과 연결된 링크바가 연결되는 링크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막대형상의 스템을 포함한다.
배수구, 개폐장치, 세면대

Description

배수구 개폐장치{The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drain}
본 발명은 세면대의 배수구를 개폐할 수 있는 배수구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을 일시적으로 받아 사용한 후 배수하여야 하는 세면대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배수구를 손쉽게 개폐하기 위하여 세면대에는 배수구 개폐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배수구 개폐장치는, 저면 중앙부에 스템이 결합된 배수구마개가 세면대의 배수구 내에서 상/하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세면대의 상면 일측에는 배수구마개작동봉이 상/하 왕복이동이 가능토록 관통결합되어 있으며, 배수구마개작동봉의 하단부와 배수구마개의 스템은 직선형 링크바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배수구마개작동봉을 누르면, 배숙구마개작동봉과 연결되어 있는 링크바의 일측이 내려가며, 동시에 스템과 연결된 링크바의 또 다른 일측이 상승하면서, 스템을 세면대 위로 상승시키게 되며, 이로인해 배수구가 개방되어 세면대 위의 물들이 배수관을 따라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배수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스템은 배수구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십자형상의 날개가 스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스템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십자형상의 날개들은 배수구와의 마찰 등을 고려하여, 배수구의 표면과 어느 정도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템은 배수구의 내부 표면과 완벽하게 밀착될 수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스템이 배수구와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비틀어질 수도 있다. 이처럼, 스템이 배수구와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비틀어지면, 스템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 마개 역시 배수구와 비틀어지게 되고, 이로인해, 배수구를 완벽하게 밀폐시키지 못하게 되며, 결국, 배수구 마개와 배수구 간의 벌어진 공간을 통해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스템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십자형상의 날개로 인해, 배수구로 유입된 물들이 배수구 내부에서 회전을 하지 못하게 되며, 이로인해, 물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막대형상의 스템이 배수구 내부에 형성된 지지체의 중심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한, 배수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수구에 분리 가능토록 삽입 결합되는 배수관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날개가 배수관체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날개들이 만나는 중앙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체; 및 상단에는 배수구 마개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은 상기 지지체의 상기 홀을 관통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단에는 배수구마개 작동봉과 연결된 링크바가 연결되는 링크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막대형상의 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막대형상의 스템이 배수구 내부에 형성된 지지체의 중심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하여 보다 빨리 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템의 끝단에 형성된 배수구 마개가 스템과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구 개폐장치의 내주면에 나사선을 형성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보다 빨리 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가지 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200)의 배수구에 삽입되어 물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수관체(130),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날개가 배수관체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날개들이 만나는 중앙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체(140) 및 상단에는 배수구 마개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은 지지체의 홀을 관통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배수구마개 작동봉(210)과 연결된 링크바(160)가 연결되는 링크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막대형상의 스템(120)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세면대(200)의 상면 일측에는, 배수구마개 작동봉(210)이 상/하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관통결합되며, 배수구마개 작동봉의 하단부와 배수구마개가 연결된 스템은 직선형 링크바(16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즉, 링크바(160)는 배수관체에 관통되어 스템과 결합된 상태에서, 양측이 지렛대 운동을 하는 구조로서, 배수구마개 작동봉(210)을 누르면 스템과 결합되어 있는 링크바의 일측이 상향이동함에 따라, 배수구마개(110)가 상향 이동하여 배수구(D)가 개방되고, 배수구마개 작동봉(210)을 위로 잡아당기면 스템과 결합되어 있는 링크바의 일측이 하향이동함에 따라, 배수구마개(110)가 하향 이동하여 배수구 를 막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에 적용되는 배수관체의 평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관체(130), 지지체(140) 및 스템(120)을 포함하고 있다.
배수관체(130)는 세면대의 배수구에 분리 가능토록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서, 배수관체의 상단면은 세면대의 하부면과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한편, 배수관체는 하나의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제조 및 조립 등의 편의를 위하여 다수개의 구성으로 구분될 수도 있으며,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배수관체(150)가 별도로 제작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히 하단 배수관체(150)를 독립적으로 설명해야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기에서 설명된 배수관체(130) 및 하단 배수관체(150)를 총칭하여 간단히 배수관체라 한다. 여기서, 배수관체의 하단부분의 측면에는 링크바(160)가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링크바 삽입관(15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링크바의 외주면에는 회전볼(161)이 연결되어 있으며, 링크바 삽입관 마개(162)는 회전볼을 링크바 삽입관(151)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링크바 삽입관 마개에 의해 링크바 삽입관에 고정되는 회전볼은, 배수관체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링크바 삽입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지체(140)는 배수관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스템의 이동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관체의 내부면 중 배수관체 상단의 개방면과 링크바 삽입관의 중 간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날개가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그 마주보는 중앙에는 스템이 삽입되어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체는 배수관체의 내주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날개(142) 및 그 중앙에 형성된 홈(141)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날개(142)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배수관체의 내주면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배수관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체는 날개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지지체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지지체 프레임은 배수관체의 내주면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배수관체 내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지지체(140)는 지지체 프레임, 지지체 프레임에 연결된 날개들 및 날개 중앙에 형성된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지지체는 배수관체와 독립적으로 제작된 후 배수관체 내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스템(120)은 지지체의 홈(141)에 삽입된 상태에서 링크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면서, 스템의 상단에 형성된 배수구마개가 배수구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스템의 굵기는 홈(141)의 내경보다 0.05~0.1mm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차는 스템의 길이 방향으로 십자형상의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종래의 스템과 배수관체와의 간격보다는 작은 것이다. 한편, 스템의 상단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배수구마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배수구마개는 스템과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볼트 및 너트 방식으로 스템의 상단에 체결될 수 있다. 배수구마개가 스템과 탈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배수관체 내부에 이물질이 끼어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는, 배수구마개를 스템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배수관체 내부를 확인하면서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배수관체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전향력(코리올리의 힘)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되는데, 스템이 막대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원활하게 회전을 하면서 배출될 수 있으며, 소음도 줄어들게 된다. 또한, 배수구마개(110)의 몸통은 상부, 중부 및 하부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 중, 중부(111)는 상부 및 하부와 단턱진 형상으로서, 상부 및 하부보다 움푹 파여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부(111)에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된 오링(170)이 삽입될 수 있다. 즉, 배수구마개(110)가 배수구 또는 배수관체의 개방된 입구를 막고 있는 경우, 오링(170)에 의해 배수구마개가 배수구 또는 배수관체의 내주면과 밀착됨으로, 세면대 위의 물이 배수구 또는 배수관체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 방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에 적용되는 배수관체의 사시도로서, 특히, 배수관체의 내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템이 막대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면대의 물을 배수할 경우, 스템과 배수관체 간의 공간이 넓어져 배수가 용이하며, 배수관체로 유입된 유체가 원활하게 회전을 하면서 보다 빨리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유체의 배출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체의 내주면에 나사선(131)을 형성하였다. 여기서, 나사선은 배수관체의 내주면 전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지지체의 아랫부분의 배수관체 내주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나사선이 없는 경우에도 유체는 전향력 등에 의하여 회전을 하겠으나, 나사선(131)에 의해 유체의 회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로인해 유체의 배출이 보다 빨라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체의 측면에는 사각형상의 관통창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창은 배수구마개가 배수구를 막고 있는 상태에서, 세면대에서 넘치는 물이 배수관체 내부로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세면대의 상단부분에는 세면대 내부를 통해 관통창으로 연결되는 관이 있어서, 세면대에서 넘치는 물이 욕실의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고 배수관체로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에 적용되는 배수관체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에 적용되는 배수관체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20 : 스템 130 : 배수관체
140 : 지지체 160 : 링크바
200 : 세면대 210 : 배수구마개 작동봉

Claims (6)

  1. 배수구에 분리 가능토록 삽입 결합되는 배수관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날개가 배수관체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날개들이 만나는 중앙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체; 및
    상단에는 배수구 마개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은 상기 지지체의 상기 홀을 관통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단에는 배수구마개 작동봉과 연결된 링크바가 연결되는 링크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막대형상의 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의 상기 날개는, 상기 배수관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체의 내주면에는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체의 하단부분의 측면에는 상기 링크바가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링크바 삽입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배수구 마개는, 상기 스템과 탈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배수구 마개에는 오링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KR1020090071778A 2009-08-04 2009-08-04 배수구 개폐장치 KR101136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778A KR101136364B1 (ko) 2009-08-04 2009-08-04 배수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778A KR101136364B1 (ko) 2009-08-04 2009-08-04 배수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028A KR20110014028A (ko) 2011-02-10
KR101136364B1 true KR101136364B1 (ko) 2012-04-18

Family

ID=43773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778A KR101136364B1 (ko) 2009-08-04 2009-08-04 배수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3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045Y1 (ko) * 2011-09-07 2012-04-27 이재춘 세면대 배수구
KR101274143B1 (ko) * 2012-03-28 2013-06-18 추상훈 세면기의 팝업 밸브
KR101666971B1 (ko) * 2015-07-08 2016-10-17 김정호 세면대용 팝업식 개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6957A (ja) * 1996-05-30 1997-12-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ホップアップ式排水栓
KR20050076339A (ko) * 2004-01-20 2005-07-26 장충삼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
KR100697329B1 (ko) 2006-08-07 2007-03-20 (주)호안건축사사무소 탈착식 세면대용 배수장치
JP2008025277A (ja) 2006-07-24 2008-02-07 Inax Corp 排水栓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6957A (ja) * 1996-05-30 1997-12-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ホップアップ式排水栓
KR20050076339A (ko) * 2004-01-20 2005-07-26 장충삼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
JP2008025277A (ja) 2006-07-24 2008-02-07 Inax Corp 排水栓装置
KR100697329B1 (ko) 2006-08-07 2007-03-20 (주)호안건축사사무소 탈착식 세면대용 배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028A (ko)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3195Y1 (ko) 세면대의 팝업밸브 구조
BR112015002165B1 (pt) chuveiro
RU2008109729A (ru) Устройство слива для раковины
US20170073948A1 (en) Drain Stopper With Detachable Solid Matter Receptacle
KR101136364B1 (ko) 배수구 개폐장치
US9593473B2 (en) Plumbing fixture and system
JP4352368B2 (ja) 透析液サンプリングポート
KR101293641B1 (ko) 팝업 밸브 모듈
KR101241107B1 (ko) 세면대용 팝업식 개폐장치
KR200463052Y1 (ko) 착탈식 걸름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레버식 배수장치
JP4938629B2 (ja) フロート式スチームトラップ
KR101371894B1 (ko) 세면대용 배수관장치
KR101162029B1 (ko) 머리카락 수거용 필터를 구비한 배수장치
KR20070045652A (ko)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KR101496285B1 (ko) 배수구의 마개 장치
JP2009030330A (ja) 排水構造
CN209353446U (zh) 一种防溢流型hdpe排水管
KR200257142Y1 (ko)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KR20160081050A (ko) 플로우트 볼을 갖는 일자형 배수트랩 및 이를 구비한 싱크대
KR20110007997U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250204Y1 (ko) 세면대의 배수구 개폐장치
KR200405568Y1 (ko)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JP2015145563A (ja) 捕集部材を備えた排水口構造
JP6225300B1 (ja) 排水栓装置
KR101690534B1 (ko) 오염 및 낙수방지기능을 갖는 노출형 샤워기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