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568Y1 -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568Y1
KR200405568Y1 KR2020050030673U KR20050030673U KR200405568Y1 KR 200405568 Y1 KR200405568 Y1 KR 200405568Y1 KR 2020050030673 U KR2020050030673 U KR 2020050030673U KR 20050030673 U KR20050030673 U KR 20050030673U KR 200405568 Y1 KR200405568 Y1 KR 200405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drain
sink
pop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헌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진
주헌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진, 주헌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진
Priority to KR2020050030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5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5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actuation force being transmitted to the plug via rigi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면대의 배수구를 밀폐시키는 마개를 상하운동시켜 세면대상의 물이 배수관으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는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을 갖는 파이프로 형성되고, 배수관내에서 상하운동가능하도록 배수관내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슬라이더의 상부에 결합되고, 마개의 하부에 결합되어 마개가 슬라이더와 같이 상하운동되도록 하며, 마개가 배수구로부터 열렸을 때 세면대의 물이 슬라이더의 중공으로 흐르도록 하는 유입로가 형성되는 조인트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관의 외측에서 슬라이더와 접속되어 슬라이더가 상하운동되도록 하는 팝업 부재를 사용하여 마개를 상하운동시키므로써 세면대의 물이 조인트를 통해 슬라이더내로 유입되어 배수관으로 배수되도록 하므로써 용수의 배수가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조기에 걸리도록 하여 배수관의 막힘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WASHSTAND WATERWAY OPENING APPARATUS}
도 1은 통상적인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3 내지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세면대 2 : 배수구
3 : 밸브 10 :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20 : 배수관 20a : 제 1 배수관
20b : 제 1 배수관 21 : 연통로
22, 28, 48, 92, 94, 98, 102 : 나사
24 : 플랜지 26, 104, 142, 144 : 홀
30 : 마개 32 : 오링
34, 150 : 볼트 40 : 슬라이더
42 : 중공 44 : 사이드 홀
46 : 보스 50 : 조인트
52 : 유입로 54 : 상부 링
56 : 고정 바 58 : 하부 링
60, 62 : 고무링 70, 72 : 너트
80 : 팝업 부재 90 : 팝업 지지관
96 : 돌출부 100 : 스톱 하우징
110, 120 : 부싱 112, 122 : 경사면
124 : 삽입부 130 : 제 2 링크 바
132 : 구면부 134 : (제 2 링크 바) 끝단
140 : 고정 블록 152 : 판 스프링
160 : 제 1 링크 바 162 : 버튼
본 고안은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세면대의 배수구를 밀폐시키는 마개를 상하운동시켜 세면대상의 물이 배수관으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물을 받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세면대에는 배수구를 막도록 하는 마개가 제공되고 있으며, 사용의 편리를 위해 링크구조를 적용하여 마개의 상하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가 제안되어 있 다. 이와 같은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는 세면대에 용수 등을 저장할 때에는 마개가 배수구를 닫도록 하고, 용수를 배수시킬 때에는 마개가 배수구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용수가 배수관으로 배수되도록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0116685호 "세면대배구수 개폐장치의 개폐구", 제20-0159421호 "세면대의 배수구 개폐장치", 제20-0214727호 "세면기용 배수전" 및 제20-0215838호 "세면기의 배수밸브"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구성을 기본으로 하여 세면대에 설치되는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도 1를 참조하면, 통상 세면대(1)에 설치되는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500)는 세면대(1)의 배수구(2)를 밀폐시키도록 원반형으로 형성된 마개(510)와, 이 마개(510)를 일정한 구간 상하로 연동시켜 배수구(2)를 개폐하도록 마개(510)에 링크구조로 접속되는 버튼(520), 버튼 링크(522), 중간 링크(524), 스템(5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스템(530)은 배수관(540)내에서 마개(5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중간 링크(524)는 배수관(540)내에서 스템(530)과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통상의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500)는 세면대(1)의 일측{통상 밸브(3)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에 설치된 버튼(520)을 누르거나 당기면 마개(510), 스템(530)이 배수관(540)내에서 상하로 작동하여 배수구(2)를 열거나 닫도록 작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세면대(1)에 사용되는 통상의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500)는 배수관(540)내에 스템(530)과 이 스템(530)과 중간 링크(524)의 접속구성이 위치하게 되므로 배수되는 용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아니라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스템(530)과 중간 링크(524) 특히 스템(530)과 중간 링크(524)의 접속부에 걸려 배수관(540)이 막히거나 개폐장치의 작동 장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통상의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50204호 "세면대의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관부재 내부에 중공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 상면에 구멍을 형성하여 구멍을 통해 마개부재의 마개스템이 마개부재상하작동수단에 의해 상,하작동되어 세면대의 배수구를 개폐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배수구 개폐장치도 배수관내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마개에 연결되는 레버연결부가 배수관내에 위치되므로 근본적으로 용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없고, 머리카락 등에 의한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92785호 "세면대용 팝업 밸브 구조"는 배수관 내에 위치하는 회동 로드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밸브 로드를 수거구를 연결 설치할 수 있는 별도의 봉형태로 별도 제작하되, 이 밸브 로드의 상부와 이에 연결되는 팝업 밸브의 하부 중앙에 상호간의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암,수나사부를 일체로 구성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수구 개폐장치는 수거구를 통해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하고 있지만, 이 역시 배수관내에 수거구와 밸브로드가 설치되고, 회동로드가 배수관내에서 밸브로드와 접속되므로 인해 용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56367호 "세면기용 분리형 팝업발브의 링패드"는 세면기의 내부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의 상, 하단에 팩킹을 삽입하여 슬리브를 끼우고 너트로 단단히 조인 후 그 하단에 금속성의 링패드를 원주에 삽입하여 트랩배관을 결합하고 걸림장치인 트랩고리가 중앙에 결합되고 영구자석이 구비된 팝업발브를 슬리브 내부에 삽입한 후 트랩배관 원주에 삽입된 링패드에 연결봉을 결합하고 죠인트로 발브의 후면에 삽입된 팝업레바를 직각으로 결합하여 팝업레바를 눌리거나 들어올려서 물을 저장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형성시키므로써 팝업레바를 눌리거나 들어올리게 되면 트랩배관 내부의 영구자석과 트랩배관 외부의 링패드가 상호 360도 전방향에서 자력으로 종속되어 팝업발브를 개, 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배수구 개폐장치도 배수관내에 슬리브, 영구자석 및 트랩고리가 구성되므로 용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기술의 문 제점을 개선하여 세면대에서 사용된 물을 배수시킬 때 물이 더욱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하고, 머리카락 등에 의한 배수관의 막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고안은 배수관내에서 상하운동가능하도록 배수관내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에 마개를 고정하고 마개가 배수구로부터 열렸을 때 세면대의 물이 슬라이더의 중공으로 흐르도록 하는 유입로가 형성되는 조인트를 구비하므로써 배수관내로 배수되는 물의 흐름이 차단되는 요소를 가능한 배제시키므로써 배수가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조인트의 유입로 부분에 머리카락 등이 걸리도록 하므로써 배수관의 막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후 제 1 배수관(20a)과 팝업 지지관(90)을 결합시키고, 버튼(162)과 제 1 링크 바(160)를 제 2 링크 바(130)와 접속시켜 슬라이더(40)를 위로 올려 마개(30)를 조인트(50)에 고정시키므로써 조립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에 의하면, 배수관내에서 상하운동가능하도록 배수관내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에 마개를 고정하고 마개가 배수구로부터 열렸을 때 세면대의 물이 슬라이더의 중공으로 흐르도록 하는 유입로가 형성되는 조인트를 구비하므로써 배수관내로 배수되는 물의 흐름이 차단되는 요소를 가능한 배제시키므로써 배수가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진다. 또한 조인트의 유입로 부분에 머리카락 등이 걸리도록 구성되므로 배수관의 막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세면대의 배수구를 밀폐시키는 마개를 상하운동시켜 세면대상의 물이 배수관으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을 갖는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내에서 상하운동가능하도록 상기 배수관내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마개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마개가 상기 슬라이더와 같이 상하운동되도록 하며, 상기 마개가 상기 배수구로부터 열렸을 때 상기 세면대의 물이 상기 슬라이더의 중공으로 흐르도록 하는 유입로가 형성되는 조인트 및;
    상기 배수관의 외측에서 상기 슬라이더와 접속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하운동되도록 하는 팝업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세면대의 물이 상기 조인트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내로 유입되어 상기 배수관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부재는 상기 배수관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배수관의 측면에 형성된 연통로와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팝업 지지관과,
    상기 세면대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세면대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버튼의 눌림과 당김에 의해 상기 세면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송되는 제 1 링크 바 및,
    일측이 상기 제 1 링크 바에 접속되고, 타측이 상기 팝업 지지관의 돌출부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에 형성된 사이드 홀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내에서 지지되어 구면운동되는 구면부를 가지므로써 상기 구면부를 중심으로 각운동되는 제 2 링크 바를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버튼의 눌림과 당김에 의해 작동되는 링크구조에 의해 상하작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내측으로 상기 사이드 홀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하는 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측 내부에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마개는 하부에 볼트가 결합되며,
    상기 조인트는 중심상에 상기 유입로가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슬라이더 상측 내부의 나사에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되는 하부 링과,
    상기 하부 링의 상부에 위치되어 중심에 상기 마개의 볼트가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되는 상부 링 및,
    상기 유입로가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봉재가 정해진 간격으로 상기 상부 링과 하부링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되는 고정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5. 세면대의 배수구상에 결합되어 상기 세면대의 하부로 연장되고, 하측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는 제 1 배수관과;
    상측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는 제 2 배수관과;
    상하측 내부에 각각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배수관과 제 2 배수관이 상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팝업 지지관을 갖고, 상기 세면대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버튼의 눌림과 당김에 의해 상기 팝업 지지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링크바의 끝단이 상하로 각운동되도록 하는 팝업 부재와;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을 갖는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배수관, 팝업 지지관 및 제 2 배수관내에서 상하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배수관, 팝업 지지관 및 제 2 배수관내에 삽입되어 위치되고, 상기 팝업 부재의 제 2 링크의 끝단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사이드 홀이 형성되는 슬라이더 및;
    상측에 상기 세면대의 배수구를 막는 마개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같이 상하운동되며, 상기 마개가 상기 배수구로부 터 열렸을 때 상기 세면대의 물이 상기 슬라이더의 중공으로 흐르도록 하는 유입로가 형성되는 조인트를 포함하여, 상기 세면대의 물이 상기 조인트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내로 유입되어 상기 제 2 배수관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내측으로 상기 사이드 홀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하는 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하부에 볼트가 결합되며,
    상기 조인트는 중심상에 상기 유입로가 형성되는 하부 링과,
    상기 하부 링의 상부에 위치되어 중심에 상기 마개의 볼트가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되는 상부 링 및,
    상기 유입로가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봉재가 정해진 간격으로 상기 상부 링과 하부링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되는 고정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부재의 팝업 지지관은 측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2 링크 바가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팝업 부재는 상기 버튼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세면대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버튼의 눌림과 당김에 의해 상기 세면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송되는 제 1 링크 바를 구비하고,
    상기 팝업 부재의 제 2 링크 바는 일측이 상기 제 1 링크 바에 접속되고, 타측이 상기 팝업 지지관의 돌출부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에 형성된 사이드 홀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내에서 수용되어 지지되어 구면운동되는 구면부를 가지므로써 상기 구면부를 중심으로 각운동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버튼의 눌림과 당김에 의해 작동되는 링크구조에 의해 상하작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KR2020050030673U 2005-10-28 2005-10-28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KR2004055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673U KR200405568Y1 (ko) 2005-10-28 2005-10-28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673U KR200405568Y1 (ko) 2005-10-28 2005-10-28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161A Division KR20070045652A (ko) 2005-10-28 2005-10-28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568Y1 true KR200405568Y1 (ko) 2006-01-11

Family

ID=4175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673U KR200405568Y1 (ko) 2005-10-28 2005-10-28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5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897B1 (ko) 2011-03-17 2013-02-15 설이수 세면기 배수밸브
KR20160125101A (ko) 2015-04-21 2016-10-31 제이엔티(주) 전자석을 이용한 세면대 배수밸브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897B1 (ko) 2011-03-17 2013-02-15 설이수 세면기 배수밸브
KR20160125101A (ko) 2015-04-21 2016-10-31 제이엔티(주) 전자석을 이용한 세면대 배수밸브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8558B2 (en) Drai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20170073948A1 (en) Drain Stopper With Detachable Solid Matter Receptacle
JP2015507113A (ja) 洗面器用ポップアップ装置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US2807806A (en) Pop-up valve
KR200405568Y1 (ko)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KR20070045652A (ko)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KR101241107B1 (ko) 세면대용 팝업식 개폐장치
US20230148123A1 (en) Pop-up drain stopper and actuator assembly
KR100678385B1 (ko)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밸브 개폐장치
KR101674159B1 (ko) 욕조 배수장치
KR200460004Y1 (ko) 이물질 여과기능을 가진 세면대용 배수밸브
KR200250204Y1 (ko) 세면대의 배수구 개폐장치
KR20100012980U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TWI691634B (zh) 多功能地板排水器
KR20170028819A (ko) 세면대용 배수 개폐장치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JP4748632B2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の配管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目皿部材
CN207959396U (zh) 坐便器进水直通管
KR101791851B1 (ko) 세면기용 팝업 밸브
CN107386388B (zh) 一种下水管密封配件及其专用接头
JP6649339B2 (ja) 水の噴き出し防止構造を備える不凍水栓柱
CN207776047U (zh) 一种坐便器的桶体
CN207740543U (zh) 一种坐便器水箱进水阀的减震降噪机构
KR200241060Y1 (ko) 세면기용 배수밸브
KR200159421Y1 (ko) 세면대의 배수구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