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045Y1 - 세면대 배수구 - Google Patents

세면대 배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045Y1
KR200460045Y1 KR2020110008132U KR20110008132U KR200460045Y1 KR 200460045 Y1 KR200460045 Y1 KR 200460045Y1 KR 2020110008132 U KR2020110008132 U KR 2020110008132U KR 20110008132 U KR20110008132 U KR 20110008132U KR 200460045 Y1 KR200460045 Y1 KR 200460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 plug
sink
body portion
horizontal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춘
Original Assignee
이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춘 filed Critical 이재춘
Priority to KR2020110008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0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0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6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plug being operated by hand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의 저장 및 배수를 목적으로 세면대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세면대 배수구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 배수구의 몸체부와 배수마개 사이에 배수마개의 폐쇄 및 수평맞춤이 가능한 수평맞춤부재를 개재시켜서 별도의 조작이나 번거로움 없이 상기 배수마개의 수평을 맞추는 것이 가능하고, 황동 주물로서 상기 몸체부를 제작하더라도 몸체부 내주면에 대한 별도의 가공작업이 불필요한 세면대 배수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배수구는, 외주면에 원호 형상의 접촉면이 구비된 배수마개와, 상기 배수마개의 접촉면 에 결합된 링패킹(ring packing)과, 상기 배수마개가 삽입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세면대 배수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배수마개 사이에 구비되어 배수마개의 폐쇄 및 수평맞춤이 가능한 수평맞춤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세면대 배수구{Washstand waterway opening apparatus}
본 고안은 세면대 배수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의 저장 및 배수를 목적으로 세면대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세면대 배수구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 배수구의 몸체부와 배수마개 사이에 배수마개의 폐쇄 및 수평맞춤이 가능한 수평맞춤부재를 개재시켜서 별도의 조작이나 번거로움 없이 상기 배수마개의 수평을 맞추는 것이 가능하고, 황동 주물로서 상기 몸체부를 제작하더라도 몸체부 내주면에 대한 별도의 가공작업이 불필요한 세면대 배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의 배수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저장 및 배수를 목적으로 세면대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최근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배수구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마개(A), 작동부(a1), 마개패킹(a2), 스프링(a3), 걸림부(a4), 케이싱(a5), 고정나사(a6), 스냅링(a7) 등으로 구성되어, 배수마개(A)에 압력을 가하여 누를 경우, 배수마개(A) 하단에 형성된 작동부(a1)의 하부에 걸림부(a4)가 위치하게 되어 배수마개(A)가 개방되어지며, 개방된 상태의 배수마개(A)를 한번 더 누를 경우, 스프링(a3)력에 의해 작동부(a1)의 상부에, 걸림부(a4)가 위치하게 되어 배수마개(A)가 닫혀 지게 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세면대 배수구는 원터치 방식의 개폐수단을 제공한다는 장점은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에 의해 고장이 잦으며, 배수마개(A)의 폐쇄시, 스프링(a3)력 이상의 압력으로 눌러야하는 불편함 뿐만 아니라 각 구성부품들이 금형을 이용한 자동화 생산이 불가능하고 밀링기계를 이용한 개별 제작방식을 적용해야 함으로써, 생산공정 및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세면대 배수구를 도시한 것으로서, 오링(102)이 중앙에 결합된 디스크형상의 마개(100)와, 내부 마개(100)와의 접촉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된 배수관(200)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개(100)를 수평상태로 놓으면 마개(100)의 접촉면(101)이 배수관(200)의 오목부(201)에 밀착되어 폐쇄되며, 개방시 마개(100)의 접촉면(101)과 오목부(201)의 점접촉된 두지점이 축역할을 하여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세면 배수구는 개방위치를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과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세면 등의 시야가 흐려지는 상황에서 마개의 폐쇄시, 수평유지가 어려워 물이 저장되지 않고 자연 배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2006년 7월 13일자로 "세면대 배수구(등록번호 20-0427621호)"를 출원한 바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외주면에 원호 형상의 접촉면(11)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 몸체부(20)와의 견고한 밀폐를 위한 링패킹(12)이 결합된 배수마개(10)와, 내주면에 상기 배수마개(10)의 접촉면(11)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배수마개(10)가 기울어질 때 형성하는 원의 반지름과 대응되는 사이즈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오목부(21)를 형성하며 배수구 상부의 '닫힘'표시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평맞춤돌기(22)를 형성한 몸체부(20)를 포함하는 구성이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세면 중 시야가 흐린 상태에서도 배수마개를 가볍게 미는 한번의 동작으로 배수마개(10)의 정확한 수평상태가 맞춰지게 되며, 이로 인해 불필요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수평맞춤돌기(22)를 사각형의 돌기형태로 제작하여 배수구 상부의 '닫힘'표시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몸체부(20)의 내주면을 따라 세곳에 분리되어 형성하는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즉, 수평맞춤돌기(22)는 배수구 상부의 '닫힘'표시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몸체부(20) 내부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사각형의 돌기형태로 구성하여 한곳 혹은 내주면을 따라 두 곳 이상에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작용효과는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몸체부(20)의 수평맞춤돌기(22)는 정밀주조법인 아연(Zn) 다이캐스팅 작업에서는 형성이 가능하고, 수평맞춤돌기(22) 상단의 내주면(W, W'로 표시) 표면이 매끄러운 형태를 가지므로 별도의 다듬질과 같은 가공 작업이 불필요하다.
반면, 황동 주물로서 몸체부(20)를 제작할 경우, 주물사등을 사용하는 공법의 특성상 제품의 내주면이 필연적으로 거칠게 되며, 이에 따라 가공을 필요로 한다.
즉, 수평맞춤돌기(22) 상단의 내주면(W, W'로 표시)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거친 표면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수평맞춤돌기(22) 부근에 대한 별도의 가공작업이 필요하나, 수평맞춤돌기(22)에 의해 몸체부(20)의 상,하부를 통해 수평맞춤돌기(22) 상단의 내주면(W, W'로 표시)의 표면을 가공하기 불가하며, 이에 따라 작업성 내지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별도의 가공작업을 피하기 위해서는 황동 주물로서 몸체부(20)를 제작한 후, 몸체부 내부에 수평맞춤돌기(22)를 인서트 삽입하는 방식을 채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27621, 2006. 09. 22, 고안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도면 제 1도~제 5도, 제 7도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조작이나 번거로움 없이 배수마개의 수평을 맞추는 것이 가능한 세면대 배수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황동 주물로서 몸체부를 제작하더라도 몸체부 내주면에 대한 별도의 가공작업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작업성 내지 생산성 향상이 가능한 세면대 배수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외주면에 원호 형상의 접촉면이 구비된 배수마개와, 상기 배수마개의 접촉면 에 결합된 링패킹(ring packing)과, 상기 배수마개가 삽입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세면대 배수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배수마개 사이에 구비되어 배수마개의 폐쇄 및 수평맞춤이 가능한 수평맞춤부재를 더 포함하는 세면대 배수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수평맞춤부재는, 수직부와; 이 수직부에서 연장 형성된 수평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부는, 내주면 중앙부에 상기 배수마개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제 1지지턱이 일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 1지지턱 양측에 배수마개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제 2지지턱이 일체로서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수직부의 외주면 상단 둘레를 따라 상기 몸체부의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세면대 배수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몸체부내에 구비된 수평맞춤부재에 의해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이나 번거로움 없이 배수마개의 수평을 맞출 수 있다.
둘째, 정밀주조법인 아연(Zn) 다이캐스팅 작업을 통하지 않고 황동 주물로서 몸체부를 제작하더라도 별도의 구조물인 수평맞춤부재가 몸체부내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몸체부 내주면에 대한 별도의 가공작업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작업성 내지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세면대 배수구가 세면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세면대 배수구의 구성도,
도 3은 종래 다른 세면대 배수구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세면대 배수구의 단면도,
도 5는 종래 또 다른 세면대 배수구의 사시도,
도 6은 종래 또 다른 세면대 배수구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배수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세면대 배수구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배수구에 있어서의 분리 구조를 갖는 몸체부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배수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배수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세면대 배수구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배수구는 몸체부(70)와 배수마개(50) 사이에 구비되어 배수마개의 폐쇄 및 수평맞춤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평맞춤부재(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수마개(50)는 수직 및 수평상태로의 변화를 통해 세면대에 물을 배수 및 저장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구의 상부 '열림'(미도시, 도 5 참조) 표시부분에 위치해 있는 배수마개(50)의 일단을 누를 경우 배수마개가 수직상태로 되어 개방되며, 개방된 상태에서 배수구 상부의 '닫힘'(미도시, 도 5 참조) 표시부분에 위치해 있는 배수마개(50)의 일단을 가볍게 밀게 될 경우 배수마개가 수평상태로 되어 폐쇄되게 된다.
또한, 후술하는 몸체부(70) 내부의 내주면을 따라 걸림턱(74)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이 걸림턱(74)에 후술하는 수평맞춤부재(80)의 걸림돌기(82c)가 걸리며, 이 걸림돌기(82c)상에 배수마개(50)가 안착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는 세면 중 시야가 흐린 상태에서도 배수마개(50)를 가볍게 미는 한번의 동작으로 배수마개(50)의 정확한 수평상태가 맞춰지게 되며, 이로 인해 불필요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수마개(50)의 외주면은 곡률반경의 원호 형상을 갖는 접촉면(52)이 가공되고, 이 접촉면(52) 중앙부에 고무 재질의 링 패킹(ring packing)(60)이 결합되어 몸체부(70)와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몸체부(70)는 세면대의 물이 배수되는 공간으로서, 상부에 배수마개(50)가 결합되며, 배수마개(50)가 효율적으로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배수마개(50)의 접촉면(52)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부(72)가 형성되어진다. 이 오목부(72)는 배수마개(50)가 기울어질 때 형성하는 원의 반지름과 대응되는 사이즈의 곡률반경을 가진다.
또한, 접촉면(52)은 링패킹(60)을 통해 몸체부(70)와 견고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배수마개(50)와 몸체부(70)의 오목부(72)와의 공간을 빈틈없이 밀폐하게 된다.
상기 수평맞춤부재(80)는 합성수지 또는 주물제로서 수직부(82)와, 이 수직부(82)에서 연장 형성된 수평부(84)를 포함한다.
수직부(82)는 평면에서 보아 소정의 곡률로서 만곡진 원호 형태의 단면을 갖고, 내주면 중앙부에 전술한 배수마개(50)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 1지지턱(82a)이 수직부(82)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서 형성되며, 제 1지지턱 양측에 배수마개(50)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삼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 2지지턱(82b)이 수직부(82)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직부(82)의 외주면 상단 둘레를 따라 전술한 몸체부(70)의 걸림턱(74)에 걸리는 걸림돌기(82c)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수평부(84)는 수직부(82)의 하단부 양측에서 일체로서 연장 형성되어 수직부(82)와 함께 전체적으로 링(ring) 형상을 구비하고 있어서 내부를 통해 물이 배수된다.
상기한 수평맞춤부재(80)를 몸체부(70)의 상부로부터 삽입하면, 수직부(82)는 걸림돌기(82c)를 통해 몸체부(70)의 걸림턱(74)에 걸려서 지지되고, 수평부(84)는 몸체부(70)의 양 개구부(76)와 겹치지 않게끔 몸체부(70) 내면에 밀착되며, 필요에 따라 수평맞춤부재(80)를 접착제와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몸체부(70) 내측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배수마개(50)와 몸체부(70)의 결합은, 배수마개(50)에 링패킹(60)을 결착시키고, 오목부(72)의 상측 입구에서 배수마개(50)를 수평상태로 배치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배치시킨 배수마개(50)는 링패킹(60)이 오목부(72)의 상측 입구에 걸리게 되므로, 수작업에 의한 압력 혹은 자동화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배수마개(50)를 강제로 삽입하면, 링패킹(60)이 탄성변형되면서 삽입되어, 오목부(72)에 배수마개(50)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세면대 배수구의 작동순서는, 사용자가 세면대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마개(50)의 개방시, 배수구 상부의 '열림'표시 부분에 위치해 있는 배수마개(50) 일단을 가볍게 밀어 배수마개를 몸체부(70)와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 물을 배수하게 된다.
한편, 물의 저장을 위한 배수마개(50)의 폐쇄시, 개방된 상태에서 배수구 상부의 '닫힘'표시 부분에 위치해 있는 배수마개(50) 일단을 가볍게 밀어 배수마개(50)를 수평으로 맞춰 물을 저장하게 된다.
이때, 배수마개(50)를 수평으로 맞추는데 있어서, 전술한 수평맞춤부재(80)에 구비된 제 1 및 제 2지지턱(82a)(82b)에 의해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이나 번거로움 없이 배수마개(50)의 수평을 맞출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황동 주물로서 몸체부(70)를 제작할 경우, 주물사등을 사용하는 공법의 특성상 제품의 내주면이 거칠게 되더라도 별도의 구조물인 수평맞춤부재(80)가 몸체부(70)내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몸체부 내주면에 대한 별도의 가공작업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작업성 내지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배수구에 있어서의 분리 구조를 갖는 몸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즉, 전술한 몸체부(70)가 분리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몸체부(70-1), 제 2몸체부(70-2)로 구성되며, 제 1몸체부(70-1) 하단 외주면과, 제 2몸체부(70-2) 상단 내주면에 각각 나사부(도면부호 미부여됨)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 1몸체부(70-1)와 제 2몸체부(70-2)가 서로 나사결합된다.
이와 같이 몸체부(70)를 제 1몸체부(70-1), 제 2몸체부(70-2)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할 경우, 황동 주물로서 몸체부(70)를 제작하더라도 몸체부를 제 1몸체부(70-1), 제 2몸체부(70-2)로 분리 가능하므로 전술한 수평맞춤돌기(22) 부근에 대한 가공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배수구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50 : 배수마개 52 : 접촉면
60 : 링패킹 70 : 몸체부
72 : 오목부 74 : 걸림턱
76 : 개구부 80 : 수평맞춤부재
82 : 수직부 84 : 수평부

Claims (3)

  1. 외주면에 원호 형상의 접촉면이 구비된 배수마개와, 상기 배수마개의 접촉면 에 결합된 링패킹(ring packing)과, 상기 배수마개가 삽입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세면대 배수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배수마개 사이에 구비되어 배수마개의 폐쇄 및 수평맞춤이 가능한 수평맞춤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수평맞춤부재는,
    수직부와;
    이 수직부에서 연장 형성된 수평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부는,
    내주면 중앙부에 상기 배수마개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제 1지지턱이 일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 1지지턱 양측에 배수마개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제 2지지턱이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의 외주면 상단 둘레를 따라 상기 몸체부의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세면대 배수구.
  2. 삭제
  3. 삭제
KR2020110008132U 2011-09-07 2011-09-07 세면대 배수구 KR2004600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132U KR200460045Y1 (ko) 2011-09-07 2011-09-07 세면대 배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132U KR200460045Y1 (ko) 2011-09-07 2011-09-07 세면대 배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045Y1 true KR200460045Y1 (ko) 2012-04-27

Family

ID=46607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132U KR200460045Y1 (ko) 2011-09-07 2011-09-07 세면대 배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04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621Y1 (ko) * 2006-07-13 2006-09-28 이재춘 세면대 배수구
KR20080097124A (ko) * 2008-02-25 2008-11-04 송영철 로터리식 마개장치
KR100978682B1 (ko) 2008-07-18 2010-08-30 이재춘 배수구 개폐장치
KR20110014028A (ko) * 2009-08-04 2011-02-10 신이훈 배수구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621Y1 (ko) * 2006-07-13 2006-09-28 이재춘 세면대 배수구
KR20080097124A (ko) * 2008-02-25 2008-11-04 송영철 로터리식 마개장치
KR100978682B1 (ko) 2008-07-18 2010-08-30 이재춘 배수구 개폐장치
KR20110014028A (ko) * 2009-08-04 2011-02-10 신이훈 배수구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28210B (zh) 具有盖子的容器
US20190309504A1 (en) Wash basin
CN106458382A (zh) 具有自闭阀的水瓶
USD873972S1 (en) Drain hair filter
US20100122411A1 (en) Slide-on groove and flange faceplate- tieplate overflow sub-assembly of a sink or bath drain assembly
USD837929S1 (en) Scope mount
KR200460045Y1 (ko) 세면대 배수구
KR20100004545A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보온병
KR200427621Y1 (ko) 세면대 배수구
JP2017007710A (ja) 保温容器
US20230111926A1 (en) Pop-up sink drain assembly with overflow knock-out blank band
JP5453212B2 (ja) 排水構造
KR200460039Y1 (ko) 세면대 배수구
US10704242B2 (en) Sink plug arrangement
JP6225300B1 (ja) 排水栓装置
JP6200205B2 (ja) 排水栓
TWI448260B (zh) 一種液體容器
KR200384834Y1 (ko) 싱크대용 배수전
JP5268251B2 (ja) 排水栓装置
CN220644476U (zh) 弹跳过滤组件及下水塞
JP3881979B2 (ja) 浴室排水口用蓋
KR200388681Y1 (ko) 맨홀의 고정장치
JP3219746U (ja) 人工大理石等からなるシンク
JP3957301B2 (ja) 浴室排水口用蓋
KR200413501Y1 (ko) 디자인된 배수구멍을 갖춘 세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