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039Y1 - 세면대 배수구 - Google Patents

세면대 배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039Y1
KR200460039Y1 KR2020110008352U KR20110008352U KR200460039Y1 KR 200460039 Y1 KR200460039 Y1 KR 200460039Y1 KR 2020110008352 U KR2020110008352 U KR 2020110008352U KR 20110008352 U KR20110008352 U KR 20110008352U KR 200460039 Y1 KR200460039 Y1 KR 200460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body portion
drain plug
spr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춘
Original Assignee
이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춘 filed Critical 이재춘
Priority to KR2020110008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0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0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2001/2317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ransmission of actuation force involves a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의 저장 및 배수를 목적으로 세면대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세면대 배수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배수마개 사이에 배수마개의 개폐운동에 따른 기준축으로 작용하는 축부재를 더 포함시켜서 배수마개의 회동에 따른 개폐동작은 물론, 배수마개의 수평유지 동작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세면대 배수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배수구는, 외주면에 원호 형상의 접촉면이 구비된 배수마개와, 상기 배수마개가 삽입되는 몸체부와, 배수구 상부의 '닫힘' 표시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사각형의 돌기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한 곳 이상에 분리되어 형성되는 수평맞춤돌기를 포함하는 세면대 배수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상기 배수마개를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배수마개의 개폐운동에 따른 기준축으로 작용하는 축부재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세면대 배수구{Washstand waterway opening apparatus}
본 고안은 세면대 배수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의 저장 및 배수를 목적으로 세면대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세면대 배수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배수마개 사이에 배수마개의 개폐운동에 따른 기준축으로 작용하는 축부재를 더 포함시켜서 배수마개의 회동에 따른 개폐동작은 물론, 배수마개의 수평유지 동작 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세면대 배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의 배수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저장 및 배수를 목적으로 세면대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최근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배수구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마개(A), 작동부(a1), 마개패킹(a2), 스프링(a3), 걸림부(a4), 케이싱(a5), 고정나사(a6), 스냅링(a7) 등으로 구성되어, 배수마개(A)에 압력을 가하여 누를 경우, 배수마개(A) 하단에 형성된 작동부(a1)의 하부에 걸림부(a4)가 위치하게 되어 배수마개(A)가 개방되어지며, 개방된 상태의 배수마개(A)를 한번 더 누를 경우, 스프링(a3)력에 의해 작동부(a1)의 상부에, 걸림부(a4)가 위치하게 되어 배수마개(A)가 닫혀 지게 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세면대 배수구는 원터치 방식의 개폐수단을 제공한다는 장점은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에 의해 고장이 잦으며, 배수마개(A)의 폐쇄시, 스프링(a3)력 이상의 압력으로 눌러야하는 불편함 뿐만 아니라 각 구성부품들이 금형을 이용한 자동화 생산이 불가능하고 밀링기계를 이용한 개별 제작방식을 적용해야 함으로써, 생산공정 및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세면대 배수구를 도시한 것으로서, 오링(102)이 중앙에 결합된 디스크형상의 마개(100)와, 내부 마개(100)와의 접촉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된 배수관(200)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개(100)를 수평상태로 놓으면 마개(100)의 접촉면(101)이 배수관(200)의 오목부(201)에 밀착되어 폐쇄되며, 개방시 마개(100)의 접촉면(101)과 오목부(201)의 점접촉된 두지점이 축역할을 하여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세면 배수구는 개방위치를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과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세면 등의 시야가 흐려지는 상황에서 마개의 폐쇄시, 수평유지가 어려워 물이 저장되지 않고 자연 배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2006년 7월 13일자로 "세면대 배수구(등록번호 20-0427621호)"를 출원한 바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수평맞춤돌기(22)가 배수구 상부의 '닫힘'표시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몸체부(20) 내부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외주면에 원호 형상의 접촉면(11)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 몸체부(20)와의 견고한 밀폐를 위한 링패킹(12)이 결합된 배수마개(10)와, 내주면에 배수마개(10)의 접촉면(11)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수마개(10)가 기울어질 때 형성하는 원의 반지름과 대응되는 사이즈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오목부(21)를 형성하며 배수구 상부의 '닫힘'표시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평맞춤돌기(22)를 형성한 몸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세면 중 시야가 흐린 상태에서도 배수마개(10)를 가볍게 미는 한번의 동작으로 배수마개(10)의 정확한 수평상태가 맞춰지게 되며, 이로 인해 불필요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수평맞춤돌기(22)를 사각형의 돌기형태로 제작하여 배수구 상부의 '닫힘'표시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몸체부(20)의 내주면을 따라 세곳에 분리되어 형성하는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즉, 수평맞춤돌기(22)는 배수구 상부의 '닫힘'표시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몸체부(20) 내부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사각형의 돌기형태로 구성하여 한곳 혹은 내주면을 따라 두곳 이상에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세면대 배수구는 배수마개(10)를 가볍게 미는 한번의 동작으로 배수마개(10)의 수평상태가 맞춰지게 되며, 이로 인해 불필요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으나, 물의 배수나 저장시 단순히 배수마개(10)의 일단을 눌러서 수직으로 세우거나 수평으로 맞추어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배수마개(10)의 개폐운동에 따른 별도의 기준축이 없으므로 배수마개의 회동에 따른 개폐동작시 보다 효과적인 개폐동작을 기대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배수마개(10)의 수평유지 동작 또한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27621, 2006. 09. 22, 고안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도면 제 1도~제 4도, 제 6도, 제 8도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수마개와, 몸체부 그리고 수평맞춤돌기를 포함하는 세면대 배수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배수마개의 회동에 따른 개폐동작은 물론, 배수마개의 수평유지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세면대 배수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외주면에 원호 형상의 접촉면이 구비된 배수마개와, 상기 배수마개가 삽입되는 몸체부와, 배수구 상부의 '닫힘' 표시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사각형의 돌기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한 곳 이상에 분리되어 형성되는 수평맞춤돌기를 포함하는 세면대 배수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상기 배수마개를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배수마개의 개폐운동에 따른 기준축으로 작용하는 축부재를 더 포함하는 세면대 배수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축부재는, 봉(棒) 형태로서 상기 몸체부에 나사체결, 용접 또는 본드접착을 통해 고정된다.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외주면에 원호 형상의 접촉면이 구비된 배수마개와, 상기 배수마개가 삽입되는 몸체부와, 배수구 상부의 '닫힘' 표시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사각형의 돌기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한 곳 이상에 분리되어 형성되는 수평맞춤돌기를 포함하는 세면대 배수구에 있어서, 상기 배수마개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배수마개의 개폐운동에 따른 기준축으로 작용하는 기준축부를 더 포함하는 세면대 배수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기준축부는, 상기 배수마개에 구비된 'T'자형 가공부내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압축 또는 신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몰(出沒)되는 바(bar)를 포함한다.
또는,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기준축부는, 상기 배수마개에 구비된 'T'자형 가공부내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압축 또는 신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몰(出沒)되는 볼(ball)을 포함한다.
또는,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기준축부는, 상기 배수마개에 구비된 관통공내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설치되어 스프링의 압축 또는 신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몰(出沒)되는 바(bar)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세면대 배수구에 따르면, 배수마개와, 몸체부 그리고 수평맞춤돌기를 포함하는 세면대 배수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별도로 구비되는 축부재 또는 기준축부가 배수마개의 개폐운동시 기준축으로 작용하므로써, 배수마개의 회동에 따른 개폐동작은 물론, 배수마개의 수평유지 동작이 보다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세면대 배수구가 세면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세면대 배수구의 구성도,
도 3은 종래 다른 세면대 배수구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세면대 배수구의 단면도,
도 5는 종래 또 다른 세면대 배수구의 단면도,
도 6은 종래 또 다른 세면대 배수구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배수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배수구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배수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실시예 1)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배수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배수마개(10)의 외주면에 원호 형상의 접촉면(10a)이 형성되고, 일측 접촉면 중앙부에서 타측 접촉면 중앙부 방향으로 관통공(10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부(12)의 일측에 관통공(12a)이 형성되고, 몸체부의 타측에 후술하는 축부재(16)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12b)이 형성되며, 배수마개(10)가 효율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기 위해 몸체부(12)의 내주면에 접촉면(10a)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부(도면부호 미부여, 도 5의 21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수평맞춤돌기(14)가 배수구 상부의 '닫힘' 표시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몸체부(12)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사각형의 돌기 형태로 구성하여 몸체부(12)의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한 곳 이상에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축부재(16)가 몸체부(12)의 관통공(12a)과 배수마개(10)의 관통공(10b)을 차례로 관통하여 몸체부(12)의 삽입공(12b)에 고정 설치되어 배수마개(10)의 개폐운동에 따른 기준축으로 작용한다.
이때, 축부재(16)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棒) 형태를 구비하며, 단부의 외주면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삽입공(12b) 내주면에 암나사를 구비하여 서로 나사체결하거나, 축부재(16)의 삽입 후 용접 또는 본드(bond) 접착을 통해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축부재(16)가 몸체부(12)의 일측과 배수마개(10)를 차례로 관통하여 몸체부(12)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어서 배수마개(10)의 개폐운동시 기준축으로 작용하므로써, 배수마개(10)의 회동에 따른 개폐동작이나 배수마개(10)의 수평유지 동작이 보다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 실시예 2)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배수구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배수마개(20,30,40)의 외주면에 원호 형상의 접촉면(20a,30a,40a)이 형성되고, 배수마개(20,30)의 양측에 'T'자형 가공부(20b,30b)가 형성되며, 배수마개(40)의 일측 접촉면(40a) 중앙부에서 타측 접촉면 중앙부 방향으로 관통공(40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부(22)의 내주면 양측에는 후술하는 바(21b) 또는 볼(31b)이 부분 삽입되도록 'ㄷ'자 단면의 요홈(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되며, 배수마개(20,30,40)가 효율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기 위해 몸체부(22)의 내주면에 접촉면(20a,30a,40a)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부(도면부호 미부여, 도 5의 21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평맞춤돌기(24)가 배수구 상부의 '닫힘' 표시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몸체부(22)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사각형의 돌기 형태로 구성하여 몸체부(22)의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한 곳 이상에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축부가 배수마개(20,30,4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배수마개(20,30,40)의 개폐운동에 따른 기준축으로 작용한다.
이때, 기준축부는 스프링(21a,31a)이 배수마개(20,30)의 'T'자형 가공부(20b,30b)내에 삽입되고, 이 스프링(21a,31a)에는 바(bar)(21b)와 볼(ball)(31b)이 각각 연접(連接)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바(21b) 또는 볼(31b)을 가압하면, 스프링(21a,31a)이 압축 또는 신장되면서 바(21b) 또는 볼(31b)이 배수마개(20,30)의 접촉면(20a,30a)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출몰(出沒)된다.
한편, 기준축부는 스프링(41a)이 배수마개(40)에 구비된 관통공(40b)내에 삽입되어 관통공(40b) 중앙부에 위치하고, 바(bar)(41b)가 스프링(41a)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설치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바(41b)를 가압하면, 스프링(41a)이 압축 또는 신장되면서 바(41b)가 배수마개(40)의 접촉면(40a)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출몰(出沒)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기준축부가 배수마개(20,30,40)의 개폐운동시 기준축으로 작용하므로써, 종래 기술 대비 배수마개(20,30,40)의 회동에 따른 개폐동작이나 배수마개(20,30,40)의 수평유지 동작이 보다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배수구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20,30,40 : 배수마개 10a,20a,30a,40a : 접촉면
10b,40b: 관통공 12,22 : 몸체부
14,24 : 수평맞춤돌기 16 : 축부재
20b,30b : 가공부 21a,31a,41a : 스프링
21b,41b : 바 31b : 볼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외주면에 원호 형상의 접촉면이 구비된 배수마개와, 상기 배수마개가 삽입되는 몸체부와, 배수구 상부의 '닫힘' 표시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사각형의 돌기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한 곳 이상에 분리되어 형성되는 수평맞춤돌기를 포함하는 세면대 배수구에 있어서,
    상기 배수마개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배수마개의 개폐운동에 따른 기준축으로 작용하는 기준축부를 더 포함하는 세면대 배수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부는,
    상기 배수마개에 구비된 'T'자형 가공부내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압축 또는 신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몰(出沒)되는 바(bar)를 포함하는 세면대 배수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부는,
    상기 배수마개에 구비된 'T'자형 가공부내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압축 또는 신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몰(出沒)되는 볼(ball)을 포함하는 세면대 배수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부는,
    상기 배수마개에 구비된 관통공내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설치되어 스프링의 압축 또는 신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몰(出沒)되는 바(bar)를 포함하는 세면대 배수구.
KR2020110008352U 2011-09-16 2011-09-16 세면대 배수구 KR200460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352U KR200460039Y1 (ko) 2011-09-16 2011-09-16 세면대 배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352U KR200460039Y1 (ko) 2011-09-16 2011-09-16 세면대 배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039Y1 true KR200460039Y1 (ko) 2012-04-27

Family

ID=4660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352U KR200460039Y1 (ko) 2011-09-16 2011-09-16 세면대 배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03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892U (ko) * 1996-03-21 1997-10-13 서강복 배수 트랩
KR200427621Y1 (ko) * 2006-07-13 2006-09-28 이재춘 세면대 배수구
KR100896121B1 (ko) * 2007-03-02 2009-05-07 신승우 배수관용 개,폐 마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892U (ko) * 1996-03-21 1997-10-13 서강복 배수 트랩
KR200427621Y1 (ko) * 2006-07-13 2006-09-28 이재춘 세면대 배수구
KR100896121B1 (ko) * 2007-03-02 2009-05-07 신승우 배수관용 개,폐 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2602B2 (en) Single push button multi-function water output switching structure
USD873972S1 (en) Drain hair filter
CN201531661U (zh) 恒流阀
KR200460039Y1 (ko) 세면대 배수구
CN2836694Y (zh) 按压式保温瓶瓶塞
KR20100004545A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보온병
KR100978682B1 (ko) 배수구 개폐장치
CN202698989U (zh) 一种壁挂式给皂器出液结构
KR200460045Y1 (ko) 세면대 배수구
CN102032371A (zh) 恒流阀
KR200427621Y1 (ko) 세면대 배수구
CN108518514B (zh) 一种螺旋水龙头盖
WO2016073307A1 (en) Press
CN210095343U (zh) 一种可拆卸保温壶盖
CN209781849U (zh) 一种加热自闭水龙头
JP5268251B2 (ja) 排水栓装置
JP4805420B1 (ja) 抽出器
JP6225300B1 (ja) 排水栓装置
CN204021509U (zh) 一种圈式薄壁密封结构二件式洗衣液瓶盖
CN205475528U (zh) 一种侧压开起式下水器封盖
CN210947029U (zh) 一种厨房水槽
CN216787326U (zh) 一种下水器弹跳阀
CN203393800U (zh) 弹跳式下水阀芯
CN203627818U (zh) 旋转阀
JPS5942953Y2 (ja) 洗面器、浴槽等の止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