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188B1 - 영상정보를 이용한 승강기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정보를 이용한 승강기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188B1
KR101135188B1 KR1020100037036A KR20100037036A KR101135188B1 KR 101135188 B1 KR101135188 B1 KR 101135188B1 KR 1020100037036 A KR1020100037036 A KR 1020100037036A KR 20100037036 A KR20100037036 A KR 20100037036A KR 101135188 B1 KR101135188 B1 KR 101135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passenger
data
belonging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7529A (ko
Inventor
조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00037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188B1/ko
Publication of KR20110117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76Call registering systems for checking authorization of the passe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영상정보를 이용한 승강기 제어 장치는 영상 분석부 및 승강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영상 분석부는 실시간으로 승강기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 분석 데이터를 추출한다. 승강기 제어부는 영상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승강기를 이용하는 승객과 승객의 소지물의 이동 상태를 판단하며, 승객의 신원을 확인하여 승강기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영상정보를 이용한 승강기 제어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ING ELEVATOR USING IMAGE INFORMATION}
본 발명은 영상정보를 이용한 승강기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건물의 고층화에 따라 사용자가 손쉽게 고층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승강기가 설치된다. 이러한 승강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상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승강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설치되며, 승강기의 내부 및 외부를 촬영한 영상은 별도로 저장되어 비상상황 시 사용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승강기 내부 및 외부를 촬영한 영상으로는 대략적인 승강기 내부 및 외부 상황만을 알 수 있을 뿐, 실제 승강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불편해 하는 사항을 해소시켜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불편해하는 사항으로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소지물의 운반을 완료하지 않았는데 승강기의 문이 닫히는 경우, 소지물을 승강기에 두고 내려 분실하는 경우 및 이동하려는 층의 버튼을 누를 수 없는 상황 등과 같은 불편함을 해소시켜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승강기 사용자의 불편사항을 해소시켜 줄 수 있는 영상정보를 이용한 승강기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영상정보를 이용한 승강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승강기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는 영상 분석부, 그리고 상기 영상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를 이용하는 승객과 상기 승객의 소지물의 이동 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승객의 신원을 확인하여 상기 승강기를 제어하는 승강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영상정보를 이용한 승강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승강기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영상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를 이용하는 승객과 상기 승객의 소지물의 이동 상태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승강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승강기를 이용하는 승객과 소지물의 이동 상태에 따라 승강기의 문을 제어하므로 탑승/하차 시 소지물의 운반을 완료하지 않았는데 승강기의 문이 닫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기에 소지물을 두고 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승객의 신상정보를 인식함에 따라 승객이 이동하려는 층의 버튼을 터치할 수 없는 상황에서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자동으로 미리 저장된 해당 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승강기를 제어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제어 장치(100)는 영상 수신부(110), 영상 분석부(120), 승강기 제어부(130), 경고 발생부(140) 및 정보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승강기를 이용하는 승객이 소지물을 가지고 승강기에 탑승 및 하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영상 수신부(110)는 승강기의 내부 및 외부에 소정의 개수로 설치된 카메라(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영상 수신부(11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분석부(120)로 전달한다.
영상 분석부(120)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분석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때, 영상 분석 데이터에는 승강기를 이용하여 승객의 이동에 대한 데이터(이하, "승객 이동 데이터"라고 함), 승객이 소유한 소지물의 이동에 대한 데이터(이하, "화물 이동 데이터"라고 함) 및 승객의 얼굴을 확대한 영상에 대한 데이터(이하 "얼굴 형상 데이터"라고 함)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분석부(120)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승객 이동 데이터 및 화물 이동 데이터를 분류한다. 또한, 영상 분석부(120)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승객의 얼굴을 확대한 얼굴 형상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영상 분석부(120)는 승객 이동 데이터, 화물 이동 데이터 및 얼굴 형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분석 데이터를 승강기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상 분석 데이터에 승객 이동 데이터, 화물 이동 데이터 및 얼굴 형상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 되지 않으며, 승강기를 제어하려는 목적에 따라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다른 데이터들을 추출하여 영상 분석 데이터로 사용할 수도 있다.
승강기 제어부(130)는 영상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승강기를 제어한다.
먼저 승객이 승강기로 탑승하는 경우에 대하서 설명한다. 승강기 제어부(130)는 영상 분석 데이터 중 승객 이동 데이터와 화물 이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승객이 자신의 소지물을 모두 승강기의 내부로 이동시키고 탑승하였는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승객이 승강기의 내부로 모든 소지물을 이동시키고 탑승한 경우, 승강기 제어부(130)는 승강기의 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승강기 제어부(130)는 얼굴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승객의 신원정보를 확인하고, 미리 저장된 해당 층으로 승강기가 자동이동 되도록 한다.
한편, 승객이 승강기의 내부로 모든 소지물을 이동시키지 못한 경우, 승강기 제어부(130)는 승객이 승강기의 내부로 소지물을 이동시키는 동안 승강기의 문이 닫히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승강기 제어부(130)는 다시 한번 승객이 승강기의 내부로 모든 소지물을 이동시켰는지 판단한 후 승강기의 문이 닫히도록 제어한다.
다음은 승객이 승강기에서 하차하는 경우에 대하서 설명한다. 승강기 제어부(130)는 승객 이동 데이터와 화물 이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승객이 자신의 소지물을 모두 승강기의 외부로 이동시킨 후 하차하였는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승객이 승강기의 외부로 모든 소지물을 이동시키고 하차한 경우, 승강기 제어부(130)는 승강기의 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제어한다.
한편, 승객이 승강기의 외부로 모든 소지물을 이동시키지 못한 경우, 승강기 제어부(130)는 승객이 소지물을 승강기의 외부로 이동하고 있는 중인지 판단한다.
승객이 소지물을 승강기의 외부로 이동하고 있는 중인 경우, 승강기 제어부(130)는 소지물이 승강기의 외부로 이동되고 있는 동안 승강기의 문이 닫히지 않도록 제어한다. 승객이 소지물을 승강기의 외부로 이동하고 있는 중이 아닌 경우, 승강기 제어부(130)는 승객이 소지물을 승강기에 두고 하차하였는지 판단한다.
승객이 소지물을 승강기에 두고 하차한 경우, 승강기 제어부(130)는 경고 발생부(140)를 동작시켜 경고 방송을 발생시킨다.
경고 방송을 듣고 승강기에 소지물을 두고 하차한 승객이 승강기로 돌아오는 경우, 승강기 제어부(130)는 얼굴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지물의 주인이 맞는지 확인한 후 경고 방송을 종료시킨다. 한편, 경고 방송 후에도 승강기에 소지물을 두고 하차한 승객이 승강기로 돌아오지 않는 경우, 승강기 제어부(130)는 소지물을 두고 하차한 승강기에 탑승했던 승객에 대한 얼굴 형상 데이터와 현재 승강기의 영상 데이터를 중앙관제 센터(도시하지 않음)로 전달하여 유실물 접수를 수행한다.
경고 발생부(140)는 승강기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며, 승객이 승강기에 소지물을 두고 하차하는 경우 경고 방송을 생성하여 발생시킨다.
정보 저장부(150)는 실시간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며, 영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승객 이동 데이터, 화물 이동 데이터 및 얼굴 형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정보 저장부(150)는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에 출입이 허락된 승객에 대한 신상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신상정보에는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에 출입이 허락된 승객의 이름, 얼굴 형상 데이터, 승객이 주로 사용하는 건물 층 및 전화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승강기를 제어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제어 장치(100)의 영상 수신부(110)는 승강기의 내부 및 외부에 소정의 개수로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실시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영상 수신부(110)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 분석부(120)로 전달한다(S100).
영상 분석부(120)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승객 이동 데이터, 화물 이동 데이터 및 얼굴 형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분석 데이터를 추출한다(S101). 그리고, 영상 분석부(120)는 영상 분석 데이터를 승강기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먼저 승객이 승강기로 탑승하는 경우, 승강기 제어부(130)는 영상 분석 데이터 중 승객 이동 데이터와 화물 이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승객이 자신의 소지물을 모두 승강기의 내부로 이동시키고 탑승하였는지 판단한다(S102).
S102 단계의 판단결과 승객이 승강기의 내부로 모든 소지물을 이동시키지 못한 경우, 승강기 제어부(130)는 승객이 승강기의 내부로 소지물을 이동시키는 동안 승강기의 문이 닫히지 않도록 제어한다(S103). 그리고, 승강기 제어부(130)는 S102 단계로 돌아가 승객이 소지물을 모두 승강기의 내부로 이동시켰는지 다시 한번 판단하여 승강기를 제어한다.
S102 단계의 판단결과 승객이 승강기의 내부로 모든 소지물을 이동시키고 탑승한 경우, 승강기 제어부(130)는 승강기의 문이 닫히도록 제어한다(S104). 그리고, 승강기 제어부(130)는 얼굴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탑승한 승객에 대해 일치하는 신상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105).
S105 단계의 판단결과 얼굴 형상 데이터와 일치하는 신상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승강기 제어부(130)는 얼굴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승객의 신원을 확인하고, 미리 저장된 해당 층으로 승강기가 자동이동 되도록 한다(S106).
S105 단계의 판단결과 얼굴 형상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신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승강기 제어부(130)는 탑승한 승객이 이동하려는 층의 버튼을 입력할 때까지 대기하여 해당 층으로 이동한다(S107).
다음은 승객이 승강기에서 하차하는 경우, 승강기 제어부(130)는 승객 이동 데이터와 화물 이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승객이 자신의 소지물을 모두 승강기의 외부로 이동시키고 하차하였는지 판단한다(S108).
S108 단계의 판단결과 승객이 승강기의 외부로 모든 소지물을 이동시키지 못한 경우, 승강기 제어부(130)는 소지물이 승강기의 외부로 이동 중인지 판단한다(S109). 소지물이 승강기의 외부로 이동 중인 경우, 승강기 제어부(130)는 승강기 문이 닫히지 않도록 제어한다(S110). 소지물이 승강기의 외부로 이동되는 중이 아닌 경우, 승강기 제어부(130)는 승객이 소지물을 승강기에 두고 하차하였는지 판단한다(S111).
승객이 소지물을 승강기에 두고 하차한 경우, 승강기 제어부(130)는 경고 발생부(140)를 제어하여 경고 방송이 발생되도록 한다(S112).
승강기 제어부(130)는 경고 방송을 듣고 소지물을 두고 하차한 승객이 돌아왔는지 판단한다(S113). 경고 방송을 듣고 소지물을 두고 하차한 승객이 돌아온 경우, 승강기 제어부(130)는 얼굴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지물의 주인이 맞는지 확인한 후 경고 방송을 종료시킨다(S114). 경고 방송을 듣고 소지물을 두고 하차한 승객이 돌아오지 않는 경우, 승강기 제어부(130)는 소지물을 두고 하차한 승강기에 탑승했던 승객에 대한 얼굴 형상 데이터와 현재 승강기의 영상 데이터를 중앙관제 센터(도시하지 않음)로 전달하여 유실물 접수를 수행한다(S115).
한편, S108 단계의 판단결과 승객이 승강기의 외부로 모든 소지물을 이동시키고 하차 경우, 승강기 제어부(130)는 승강기의 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제어한다(S116).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제어 장치(100)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승강기를 이용하는 승객과 소지물의 이동 상태에 따라 승강기의 문을 제어하므로 탑승/하차 시 소지물의 운반을 완료하지 않았는데 승강기의 문이 닫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하차 시 승객이 승강기에 소지물을 두고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승객의 신상정보를 인식함에 따라 승객이 이동하려는 층의 버튼을 터치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이동하려는 층을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미리 저장된 해당 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서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영상정보를 이용한 승강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승강기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영상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를 이용하는 승객과 상기 승객의 소지물의 이동 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승객의 신원을 확인하여 상기 승강기를 제어하는 승강기 제어부; 및
    상기 승강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승객이 상기 승강기에 소지물을 두고 하차하는 경우 경고 방송을 발생시키는 경고 발생부
    를 포함하는 승강기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영상 분석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에 출입이 허락된 상기 승객의 신상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승강기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 방송을 발생시킨 후 상기 승객이 상기 승강기로 돌아왔는지의 여부에 따라 중앙관제 센터로 유실물 접수를 수행하는 승강기 제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 데이터는 상기 승객의 이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승객 이동 데이터, 상기 소지물의 이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물 이동 데이터 및 상기 승객의 얼굴을 확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얼굴 형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승강기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승객 이동 데이터, 상기 화물 이동 데이터 및 상기 얼굴 형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승강기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제어부는,
    상기 승객 이동 데이터와 상기 화물 이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승객과 상기 소지물의 이동 상태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승강기의 문을 제어하는 승강기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제어부는,
    상기 승객의 탑승 시, 상기 승객이 상기 승강기의 내부로 상기 소지물을 이동할 때까지 상기 승강기의 문이 닫히지 않도록 제어하는 승강기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제어부는,
    상기 승객이 탑승한 경우, 상기 얼굴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승객의 신원정보를 확인하여 미리 저장된 해당 층으로 상기 승강기가 자동이동 되도록 제어하는 승강기 제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제어부는,
    상기 승객의 하차 시, 상기 승객이 상기 승강기의 외부로 상기 소지물을 이동할 때까지 상기 승강기의 문이 닫히지 않도록 제어하는 승강기 제어 장치.
  10. 영상정보를 이용한 승강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승강기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영상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를 이용하는 승객과 상기 승객의 소지물의 이동 상태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승강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승객이 상기 승강기에 상기 소지물을 두고 하차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승객이 상기 소지물을 두고 하차한 경우, 경고 방송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승강기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승객의 이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승객 이동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소지물의 이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물 이동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승객의 얼굴을 확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얼굴 형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승강기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승객의 탑승 시 상기 승객 이동 데이터와 상기 화물 이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승객과 상기 소지물이 모두 이동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승강기의 내부로 상기 소지물이 이동되지 못한 경우, 상기 소지물이 상기 승강기의 내부로 이동될 때까지 상기 승강기의 문이 닫히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승강기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물이 모두 이동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승객이 탑승한 경우 상기 얼굴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승객의 신원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승객의 신원정보가 확인되면, 미리 저장된 해당 층으로 상기 승강기가 자동이동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승강기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승객의 하차 시 상기 승객 이동 데이터와 상기 화물 이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승객과 상기 소지물이 모두 이동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승강기의 외부로 상기 소지물이 이동되지 못한 경우, 상기 소지물이 상기 승강기의 외부로 이동될 때까지 상기 승강기의 문이 닫히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승강기 제어 방법.
  15. 삭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방송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경고 방송을 듣고 상기 승객이 돌아온 경우, 상기 승강기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획득되는 얼굴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소지물의 주인을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경고 방송 후에도 상기 승객이 돌아오지 않은 경우, 중앙관제 센터로 유실물 접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승강기 제어 방법.
KR1020100037036A 2010-04-21 2010-04-21 영상정보를 이용한 승강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135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036A KR101135188B1 (ko) 2010-04-21 2010-04-21 영상정보를 이용한 승강기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036A KR101135188B1 (ko) 2010-04-21 2010-04-21 영상정보를 이용한 승강기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529A KR20110117529A (ko) 2011-10-27
KR101135188B1 true KR101135188B1 (ko) 2012-04-16

Family

ID=4503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036A KR101135188B1 (ko) 2010-04-21 2010-04-21 영상정보를 이용한 승강기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1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1473B2 (en) 2016-02-11 2021-05-11 Otis Elevator Company Traffic analysis system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726A (ko) * 2003-03-20 2004-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으로 이동층을 결정하는 엘리베이터 및 그 방법
JP2005089095A (ja) 2003-09-17 2005-04-0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6137572A (ja) 2004-11-12 2006-06-0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行先階登録装置
KR20080078711A (ko) * 2006-01-12 2008-08-27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제어를 위한 비디오 지원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726A (ko) * 2003-03-20 2004-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으로 이동층을 결정하는 엘리베이터 및 그 방법
JP2005089095A (ja) 2003-09-17 2005-04-0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6137572A (ja) 2004-11-12 2006-06-0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行先階登録装置
KR20080078711A (ko) * 2006-01-12 2008-08-27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제어를 위한 비디오 지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529A (ko)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7984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JP6145210B1 (ja) 乗客管理装置、及び乗客管理方法
JP4357247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5642797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KR100922636B1 (ko)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
JP2005280882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10167170B2 (en) Smart elevator system
JP2015037988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09476448A (zh) 安全门和电梯系统
KR101135188B1 (ko) 영상정보를 이용한 승강기 제어 장치 및 방법
CN207671480U (zh) 一种基于人脸识别的电梯控制系统
WO2009116129A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エレベータ装置、エレベータ制御装置のエレベータ制御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プログラム
JP6571126B2 (ja) 機械式駐車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4855180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
KR20160010009A (ko) 원격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532796B2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1243054A (ja) 犯罪防止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1414052B2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WO2019106756A1 (ja) エレベータの利用者検知装置
KR101557156B1 (ko) 알에프아이디 시스템을 이용한 게이트 관리 방법
CN113955600A (zh) 非机动车监测方法、电梯监测系统及存储介质
JP2005272088A (ja) ドア制御装置及び方法
JP5460462B2 (ja) 犯罪防止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264258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2242270B1 (ko) 탑승자를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