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120B1 -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 및 입장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 및 입장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120B1
KR101135120B1 KR1020100052706A KR20100052706A KR101135120B1 KR 101135120 B1 KR101135120 B1 KR 101135120B1 KR 1020100052706 A KR1020100052706 A KR 1020100052706A KR 20100052706 A KR20100052706 A KR 20100052706A KR 101135120 B1 KR101135120 B1 KR 101135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ial number
user
rfid card
card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3142A (ko
Inventor
황명구
양해운
Original Assignee
양해운
황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해운, 황명구 filed Critical 양해운
Priority to KR1020100052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12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consisting of a wireless interrogation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device for optically marking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련번호가 기록되어 있는 이용자 RFID카드; 상기 이용자 RFID카드의 일련번호 및 이용자 예매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관리서버; 및 공공?문화체육시설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며, 모든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어 RFID카드로부터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일련번호를 취득하는 RF 인식기가 부착된 입장제어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입장제어장치의 RF 인식기는 상기 이용자 RFID카드로부터 일련번호를 취득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이용자 예매정보를 검토하여 상기 입장제어장치로 입장허용여부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발권이나 대기없이 무인으로 입장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일련번호를 부여받은 RFID카드를 적재하고,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RFID카드를 발급하는 카드발급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용자 RFID카드는 상기 카드발급기로부터 발급받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카드발급기는 모든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어, RFID카드에 기록된 일련번호를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취득하는 RF 인식기가 부착된 것으로서, 상기 이용자 RFID카드는 이용자가 기존에 소지하고 있던 것을 상기 카드발급기의 RF 인식기에 근접시켜 그 일련번호를 등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련번호가 기록되어 있는 이용자 RFID카드; 상기 이용자 RFID카드의 일련번호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으며, 공연 또는 상영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 및 공공?문화체육시설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며, RFID카드로부터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일련번호를 취득하는 RF 인식기가 부착된 입장제어장치; 를 이용하여 (a) 상기 관리서버가 유?무선통신망을 통한 이용자의 요청에 의해 공연 또는 상영 정보를 제공하고, 이용자로부터 예매접수를 받은 후 상기 이용자 RFID카드의 일련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이용자 예매정보를 삽입하는 단계; (b) 상기 입장제어장치의 RF 인식기가 상기 이용자 RFID카드로부터 일련번호를 획득하고 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일련번호에 따른 예매정보를 검색하여 당해 공연 또는 상영에 대한 예매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관리서버에서 일치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입장제어장치에게 입장을 허용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입장제어장치에게 입장을 금지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입장제어장치가 입장허용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입장허용알림을 표시하고, 입장금지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입장금지알림을 표시함과 동시에 입장을 제제하는 장치를 작동하여 입장을 관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일련번호를 부여받은 RFID카드를 적재하고,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RFID카드를 발급하는 카드발급기; 를 함께 이용하며, 상기 (a)단계는, (a-1)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카드발급기에서 RFID카드를 발급하는 단계; (a-2) 상기 카드발급기에서 RFID카드 발급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a-3) 상기 관리서버에서, 발급된 RFID카드의 일련번호를 이용자 RFID카드의 일련번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가 선행단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어 RFID카드에 기록된 일련번호를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취득하는 RF 인식기가 부착된 카드발급기; 를 함께 이용하며, 상기 (a)단계는, (a'-1) 이용자가 기존에 소지하고 있던 RRID카드를 상기 카드발급기의 RF 인식기에 근접시켜 그 일련번호를 등록하는 단계; (a'-2) 상기 카드발급기에서 RFID카드 등록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a'-3) 상기 관리서버에서, 등록된 RFID카드의 일련번호를 이용자 RFID카드의 일련번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가 선행단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 및 입장 관리 방법{Contactless Public Facilities and Culture & Sports Facilities Admission Management System and Admission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영화, 공연, 연극, 스포츠 등을 관람하기 위한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허가와 관련된 것으로서, 이용자가 우편, 택배 등을 통해 RFID카드를 이용자 주소로 배송받는 경우 또는 공공시설에 설치된 카드발급기로부터 RFID카드를 발급받거나 별도로 소지한 RF카드를 상기 카드발급기에 등록한 경우, 예매를 한 이용자가 시설에서 추가적인 발권 이나 직원에 의한 검표 절차없이 자동 입장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과 입장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망이 점차 활성화되면서 공연, 영화, 연극, 스포츠 등을 관람하고자 하는 경우의 예매 시스템에 대하여는 기술적인 변화가 있어왔다. 과거에는 창구예매나 ARS 시스템을 통한 예매가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인터넷상의 영화상영관 홈페이지나 티켓예매서비스 제공업자의 웹사이트를 통한 온라인 결제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시설에 도착한 이후, 이용자는 여전히 전송받은 예매번호나 주민등록번호, 성명 등을 통하여 본인인증절차를 거친 다음 종이 재질의 입장권인 페이퍼 티켓을 발급받아야 하며, 공연장과 같은 시설 입구에서는 직원에게 입장권 소지여부 및 입장권 정보를 확인받은 이후에야 비로소 시설에 입장할 수 있으므로, 미리 공연장과 같은 시설의 좌석을 선점한다는 것 외에 차이가 없고 여전히 일정시간의 대기절차를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다.
공공?문화체육시설에서의 예매 및 입장관리와 관련하여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산업상 이용가능한 종래 기술로는 다음과 같다.
1.국내공개특허공보 제 10-2001-512호에 기재된 발명으로 " 컴퓨터 또는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티켓 예매 방법과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는 인식장치를 통해 사용자임을 확인하고, 미리 입력된 정보에 따라 티켓을 발행하는 서버 컴퓨터를 제공하여 예매절차를 개선할 수 있게 하는 컴퓨터 또는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티켓 예매 방법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컴퓨터 또는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티켓 예매 방법은, 티켓 예매에 관련된 정보를 컴퓨터 또는 통신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고유번호 및 결재정보를 입력받아 티켓 예매를 수행하고, 예매 확인 상황을 저장하며, 사용자임을 확인할 수 있는 인식장치로부터 티켓 예매에 관련된 정보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정보와 예매 확인 상황을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 후 사용자에게 티켓을 발행하는 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이러한 기술은 티켓 예매 및 발행 절차를 전산화한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티켓발급을 불문하고 서비스제공 사업자의 관리서버에 등록된 RFID카드를 소지하기만 하면 별도로 직원의 검표 없이 시설에 도착하는 즉시 입장할 수 있는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는 본 발명의 개념과는 큰 차이가 있다.
2.국내공개특허공보 제 10-2002-0093200호에 기재된 발명으로 회원ID별로 문화행사장 또는 대중교통수단의 예매정보를 저장하고 회원ID별 휴대폰으로 모바일 티켓을 발송하며, 해당 회원이 문화행사장 또는 대중교통수단 출입구에 설치된 카드인식 단말기에 개인식별정보가 기록된 카드 또는 개인식별정보가 기록된 IC칩이 내장된 핸드폰을 근접시킬 때 판독된 회원ID별 개인식별정보에 따른 예매정보를 확인하여 출입가능여부를 확인시켜줌으로써, 페이퍼 티켓 발급 및 확인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예매시스템, 모바일 티켓,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문화/교통 패스카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기술은 티켓을 따로 발급받지 않고 비접촉식으로 문화시설의 입장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현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 일부 목적은 동일하나, 구성에 있어 큰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카드발급기에서 발급받거나 등록한 RFID카드를 소지하고 자동적으로 입장할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는 반면, 종래 발명은 그 구성에 있어서 모바일 티켓의 전송을 필요조건으로 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또한 RFID카드 이용자에 대한 간략한 언급은 있으나, 기존 RFID카드 소지자가 어떤 방식으로 예매정보나 RFID카드에 저장된 일련번호를 인식시키는지에 대한 프로세스가 이 기술에서는 명확하게 구현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도 해결되지 않았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공공?문화체육시설에서 RFID카드에 기록된 일련번호 하나만으로 입장허가 여부를 관리할 수 있고, 입장제어장치가 연동되어 있어 따로 직원을 배치하지 않고도 입장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을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RFID카드의 소지를 요하는데, 본 발명에 사용하는 RF 인식기에 모든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를 부착하여 시중에서 사용하는 RFID카드도 모두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RFID 카드는 서비스 제공업자가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용자의 주소로 배송하거나, 공공?문화체육시설 곳곳에 설치한 카드발급기로부터 상기 RFID카드를 발급받거나, 기존에 소지한 RFID카드를 상기 카드발급기에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일련번호가 기록되어 있는 이용자 RFID카드; 상기 이용자 RFID카드의 일련번호 및 이용자 예매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관리서버; 및 공공?문화체육시설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며, 모든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어 RFID카드로부터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일련번호를 취득하는 RF 인식기가 부착된 입장제어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입장제어장치의 RF 인식기는 상기 이용자 RFID카드로부터 일련번호를 취득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이용자 예매정보를 검토하여 상기 입장제어장치로 입장허용여부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발권이나 대기없이 무인으로 입장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일련번호를 부여받은 RFID카드를 적재하고,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RFID카드를 발급하는 카드발급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용자 RFID카드는 상기 카드발급기로부터 발급받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카드발급기는 모든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어, RFID카드에 기록된 일련번호를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취득하는 RF 인식기가 부착된 것으로서, 상기 이용자 RFID카드는 이용자가 기존에 소지하고 있던 것을 상기 카드발급기의 RF 인식기에 근접시켜 그 일련번호를 등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련번호가 기록되어 있는 이용자 RFID카드; 상기 이용자 RFID카드의 일련번호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으며, 공연 또는 상영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 및 공공?문화체육시설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며, RFID카드로부터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일련번호를 취득하는 RF 인식기가 부착된 입장제어장치; 를 이용하여 (a) 상기 관리서버가 유?무선통신망을 통한 이용자의 요청에 의해 공연 또는 상영 정보를 제공하고, 이용자로부터 예매접수를 받은 후 상기 이용자 RFID카드의 일련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이용자 예매정보를 삽입하는 단계; (b) 상기 입장제어장치의 RF 인식기가 상기 이용자 RFID카드로부터 일련번호를 획득하고 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일련번호에 따른 예매정보를 검색하여 당해 공연 또는 상영에 대한 예매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관리서버에서 일치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입장제어장치에게 입장을 허용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입장제어장치에게 입장을 금지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입장제어장치가 입장허용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입장허용알림을 표시하고, 입장금지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입장금지알림을 표시함과 동시에 입장을 제제하는 장치를 작동하여 입장을 관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일련번호를 부여받은 RFID카드를 적재하고,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RFID카드를 발급하는 카드발급기; 를 함께 이용하며, 상기 (a)단계는, (a-1)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카드발급기에서 RFID카드를 발급하는 단계; (a-2) 상기 카드발급기에서 RFID카드 발급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a-3) 상기 관리서버에서, 발급된 RFID카드의 일련번호를 이용자 RFID카드의 일련번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가 선행단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어 RFID카드에 기록된 일련번호를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취득하는 RF 인식기가 부착된 카드발급기; 를 함께 이용하며, 상기 (a)단계는, (a'-1) 이용자가 기존에 소지하고 있던 RRID카드를 상기 카드발급기의 RF 인식기에 근접시켜 그 일련번호를 등록하는 단계; (a'-2) 상기 카드발급기에서 RFID카드 등록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a'-3) 상기 관리서버에서, 등록된 RFID카드의 일련번호를 이용자 RFID카드의 일련번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가 선행단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공?문화체육시설입구에 비접촉식 RF인식기가 부착된 입장제어장치를 설치하여 RFID카드 소지자에 대한 검표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RFID카드 소지자는 별도의 제재나 대기없이 문화시설에 입장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용자는 발권이나 입장대기할 필요가 없어 시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관리자는 별도의 직원을 배치하지 않아도 입장관리를 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며, 검표의 정확도가 높아져서 직원의 주의력에 의존하는 기존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장제어장치 이용에는 필수적으로 RFID카드의 소지를 요하는데, 본 발명에 사용하는 RF 인식기에 모든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를 부착하여 시중에서 사용하는 RFID카드도 모두 인식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더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중에서 사용하는 RFID카드를 모두 인식할 수 있는 RF 인식기를 부착한 카드발급기를 구성요소로 하는 점에서 기존의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관리방식을 자동화, 전산화시킨 것뿐만 아니라, 상기 카드발급기를 해당 공연등을 관람해야 하는 시설 외에 각종 공공?문화체육시설 곳곳에 설치해서 서비스 제공업자가 발급하는 RFID카드를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하는 새로운 영업방법을 구현했음에 주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F 인식기에 인식된 이용자의 입장시간을 관리서버가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관리자는 수집된 자료에 나타난 통계수치에 따라 시설 관람시간을 조절하거나, 광고시간대를 확정하는 등 다방면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의 흐름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을 이용함에 있어, 상기 RFID카드를 이용자가 소지하는 방법과,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 및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①이용자 : 공연, 스포츠 등의 관람을 위해 RFID 카드를 발급받고자 하는 자 또는 기존 소지하고 있던 RFID카드를 본 발명의 관리서버에 등록하고자 하는 자.
②일련번호 : RFID 태그에 저장된 식별번호.
③RFID카드 : 시중에서 상용되고 있는 모든 종류의 카드로서 RFID 태그를 내장한 것.
④이용자 RFID카드 : 이용자가 상기 카드발급기로부터 발급받거나 등록받은 RFID카드.
⑤입장허용신호 : 관리서버로부터 입장제어장치로 해당 RFID카드의 예매정보가 존재함을 알리는 신호.
⑥입장금지신호 : 관리서버로부터 입장제어장치로 해당 RFID카드의 예매정보가 부존재함을 알리는 신호.
⑦입장허용 알람표시 : 입장제어장치가 잠금장치를 해제하면서 이용자에게 입장을 유도하는 표시.
⑧입장금지 알람표시 : 입장제어장치가 잠금장치를 작동시키면서 이용자에게 입장을 제재하는 표시.
⑨통과 게이트 : RF 인식기와 입장제어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시설물.
⑩발급정보 : 이용자가 카드발급기에서 신규 RFID카드를 발급받다는 신호와 함께 상기 카드발급기의 설치장소 및 그 RFID카드의 일련번호를 포함한 정보
⑪등록정보 : 이용자가 기존의 RFID카드를 인식시켜 등록시켰다는 정보와 상기 카드발급기의 설치장소정보 및 그 일련번호를 포함한 정보
⑫공공?문화체육시설 : 학교ㆍ운동장ㆍ공공청사ㆍ문화시설ㆍ체육시설ㆍ도서관ㆍ연구시설ㆍ사회복지시설ㆍ공공직업훈련시설ㆍ청소년수련시설 등의 기반시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2조 제1항 제4호 참조)
Ⅰ.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일련번호가 기록되어 있는 RFID카드; 상기 RFID카드의 일련번호 및 이용자 예매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일련번호를 부여받은 RFID카드가 발급되거나, 이용자의 기보유 RFID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RF 인식기가 구비되어 있는 카드발급기; 및 공공?문화체육시설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며, 모든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어 RFID카드로부터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일련번호를 취득하는 RF 인식기가 부착된 입장제어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카드발급기에서 이용자에 의해 공공?문화체육시설이용에 관한 예매가 완료되면 이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일련번호 및 이용자예매정보가 저장된 RFID카드가 발급되거나, 상기 카드발급기의 RF 인식기에 인식된 이용자의 기보유 RFID카드의 일련번호 및 이용자예매정보가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입장제어장치의 RF 인식기는 상기 이용자 RFID카드로부터 일련번호를 취득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이용자 예매정보를 검토하여 상기 입장제어장치로 입장허용여부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발권이나 대기없이 무인으로 입장을 관리하는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도 1]의 모식도는 상기 관리서버와 상기 RFID카드, 상기 RF 인식기가 부착된 입장제어장치, 상기 카드발급기간의 정보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과 함게 본 발명을 각 구성요소별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1.RFID카드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이란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을 말한다. 여기에는 RFID 태그와 RF 인식기가 필요한데 상기 RFID카드는 RFID 태그를 내장하고 있는 유형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RFID 카드는 일반 신용카드 형태 및 각종 크기와 모양의 카드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RFID 태그는 안테나와 집적회로로 이루어지는데, 집적회로 안에 정보를 기록하고 안테나를 통해 인식기에게 정보를 송신한다. 이 정보는 상기 RFID태그가 부착된 대상을 식별하는 데 이용된다.
상기 RFID카드를 이용자가 보유하는 방법은 3가지가 있다. [도 2]는 이용자가 상기 RFID 카드를 소지하는 방법과 상기 관리서버에 상기 RFID카드에 수록된 일련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첫번째는 먼저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용자의 주소로 상기 RFID 카드를 우편,택배 등으로 배송받는 방법이다. 이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공정라인의 순번대로 일련번호를 부여하므로 일련번호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간편하다.
두번째로 이용자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카드발급기로부터 새로운 RFID카드를 발급받는 방법이다. 이 경우에도 첫번째와 마찬가지로 관리서버에서 부여한 일련번호를 사용하므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간편하다.
세번째로 이용자가 기존에 소지한 RFID카드를 카드발급기의 RF 인식기에 등록시켜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이다. 현재 RFID 기술에 대한 표준화가 논의중에 있기 때문에 회사별로 각기 다른 식별번호 부여방식을 정하고 각기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경우 RFID카드의 일련번호는 회사마다 방식이 다르므로, 기존의 RFID카드 이용자에 대비하여 관리자는 각 회사별로 번호부여방식을 미리 조사하여 서로 다른 방식의 일련번호를 해석할 수 있도록 상기 관리서버에 프로그램해 두거나 회사마다 가맹을 맺어두는 것이 필요하다.
2.관리서버
관리서버는 본 발명의 입장제어장치, 카드발급기와 유?무선 통신수단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 이는 상기 카드발급기의 RF 인식기로부터 RFID카드의 일련번호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르 구축하고 상기 입장제어장치의 RF 인식기로부터 인식한 일련번호를 전송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예매정보를 검색한 다음 입장제어장치로 입장허용신호 또는 입장금지신호를 전송하는 등 공연 예매 및 시설 입장을 전반적으로 관리, 통제 ,갱신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관리서버에는 각종 공연정보와 예매시스템을 별도로 포함하고 있고, 상기 관리서버가 운영하는 웹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이 이루어지면 회원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회원일련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회원일련번호가 저장된 RFID 태그가 내장된 회원카드를 회원주소로 발급한다.
또한 회원가입절차를 거치지 않고 비회원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는 이용자의 주소만을 입력받아 추가적인 회원가입 없이 상기 RFID카드를 우편이나, 택배로 배송할 수 있고, 이용자는 상기 RFID 카드의 일련번호만으로 공연을예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상기 카드발급기를 추가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회원가입이 없을뿐만 아니라 배송절차도 없이 직접 발급받을 수 있어 간편하게 일련번호만으로 공연예매가 가능하다.
상기 관리서버는 다수의 공연, 스포츠 등의 컨텐츠와 공공?문화체육시설을 관리, 통제, 갱신 하여야 하므로 대용량의 정보처리가 신속히 이루어질수 있도록 충분한 스펙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대용량의 관리서버라도 과부하의 위험은 언제나 존재하므로 RF인식기에 별도의 캐쉬박스를 부착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3.입장제어장치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입장금지신호 또는 입장허용신호에 따라 이용자의 입장을 관리하는 장치로서, 통과 게이트의 측면, 상단,하단 중 일부분에 장착되어 이용자 각각을 신속하게 제어한다. 상기 입장제어장치는 기본적으로 근거리에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RF 인식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입장관련신호를 전송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진입금지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진입금지장치는 유연성이 있는 바(bar)형상이나 자동개폐문 형상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통과게이트 측면 또는 상단에 전광판으로 이용자에게 입장허부의 안내문을 띄울 수 있게 한다.
상기 입장제어장치의 RF 인식기는 RFID카드의 주파수를 일정거리에서 비접촉식으로 읽어내는 장치로서 이용자가 기존에 소지하고 있던 RFID카드를 이용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안테나를 내장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입장제어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관리서버의 과부하 방지를 위해, 별도의 캐쉬 서버를 설치하여 상기 RFID카드의 일련번호를 캐쉬서버에서 저장,갱신,관리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카드발급기의 RF 인식기는 오직 RF인식기의 동력만으로 RFID카드의 정보를 읽는 수동형 RFID, RFID태그에 건전지가 내장되어 있어 RFID카드의 정보를 읽는데는 그 동력을 사용하고, 통신에는 인식기의 동력을 사용하는 것을 반수동형 RFID, 모든 동력을 RFID태그의 건전지에서 사용하는 능동형 RFID를 모두 포함하며, 향후에 개발되는 RF 기술 및 카드발급 자동화기술의 발전에 따라 개선된 장치까지 포함한다.
4.카드발급기
본 발명을 실시하는 서비스 사업자는 회원가입한 이용자들의 요청이 있으면 우편이나 택배로 RFID카드를 발송할 수 있지만 이 경우 배송시간의 지연, 별도의 요금부과로 불편이 초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공시설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기업, 관공서, 학교, 병원, 운동장, 공원, 터미널, 유원지, 극장 등 각종 공공?문화체육시설 곳곳에 카드발급기를 설치하여 누구든지 어느때나 RFID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즉 해당 공연장 등의 시설에 가지 않아도 근처의 공공?문화체육시설 중 상기 카드발급기가 설치된 곳이라면 어느 곳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카드발급기는 버튼 및 신호전달장치, 전력공급장치, 물건공급 장치가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유료판매인 경우 동전감식과 저장장치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별도로 상기 카드발급기는 이용자가 발급요청한 RFID카드의 일련번호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상기 카드발급기는 이용자가 기존에 소지한 RFID 카드로 시설 입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RF 인식기를 부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상기 카드발급기에 부착된 RF 인식기는 상기 입장제어장치의 RF 인식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카드발급기의 RF 인식기에 인식된 설치장소별 이용자의 이용형태,이용시간 등에 대해 관리서버가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관리자는 수집된 자료를 통계수치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카드발급기에 부착된 RF 인식기에 이용자가 RFID카드를 근접시킬 수 있도록 상기 카드발급기 외부에 RFID카드 인식지점을 표시해 둔다.
또한 상기 카드발급기에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예매시스템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카드발급기에서 RFID 카드를 발급함과 동시에 예매도 할 수 있도록 유.무선통신망을 구축해 두는 경우 이용자는 다른 장소나 다른 사이트를 이용하여 예매결제하는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다.
Ⅱ.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방법
본 발명은 일련번호가 기록되어 있는 RFID카드; 상기 RFID카드의 일련번호 및 이용자 예매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일련번호를 부여받은 RFID카드가 발급되거나, 이용자의 기보유 RFID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RF 인식기가 구비되어 있는 카드발급기; 및 공공?문화체육시설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며, 모든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어 RFID카드로부터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일련번호를 취득하는 RF 인식기가 부착된 입장제어장치;를 이용하여 (a) 상기 카드발급기에서 이용자에 의해 공공?문화체육시설이용에 관한 예매가 완료되면 이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카드발급기가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일련번호 및 이용자예매정보가 저장된 RFID카드를 발급하거나, 상기 카드발급기의 RF 인식기에 인식된 이용자의 기보유 RFID카드의 일련번호 및 이용자예매정보가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 (b) 상기 입장제어장치의 RF 인식기가 상기 이용자 RFID카드로부터 일련번호를 획득하고 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일련번호에 따른 예매정보를 검색하여 당해 공연 또는 상영에 대한 예매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관리서버에서 일치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입장제어장치에게 입장을 허용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입장제어장치에게 입장을 금지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입장제어장치가 입장허용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입장허용알림을 표시하고, 입장금지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입장금지알림을 표시함과 동시에 입장을 제재하는 장치를 작동하여 입장을 관리하는 단계로 시행되는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이하에서는 [도 3]의 순서도와 함께 각 단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카드발급기에서 이용자에 의해 공공?문화체육시설이용에 관한 예매가 완료되면 이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카드발급기가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일련번호 및 이용자예매정보가 저장된 RFID카드를 발급하거나, 상기 카드발급기의 RF 인식기에 인식된 이용자의 기보유 RFID카드의 일련번호 및 이용자예매정보가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이다.
상기 관리서버는 직접 예매사이트를 운영하거나, 간접적으로 타 예매사이트와 가맹을 맺어 예매정보를 전송받는 방법으로 RFID카드의 일련번호의 데이터베이스에 예매정보를 삽입시킬 수 있다. 이용자는 회원, 비회원을 불문하며 이용자의 주소로 상기 관리서버가 일련번호를 부여한 RFID카드를 우편이나 택배로 이용자에게 배송하는데, 이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지장이 없는 한에서는 예매와 카드발급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시스템에서 상기 카드발급기를 추가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a) 단계의 선행단계로서 우편이나 택배배송 등을 대체하는 2가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이 경우 이용방법에 따른 절차상의 차이가 존재하므로, 이하 세분화된 단계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첫번째 방법은 이용자가 상기 카드발급기에서 RFID카드를 신규로 발급받는 경우이다. 공공?문화체육시설 곳곳에 설치된 카드발급기에서 이용자가 카드발급버튼을 눌러 신규로 RFID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카드발급기의 제어부는 RFID카드 발급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RFID 카드의 일련번호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여 이에 상기 발급정보의 일련번호를 기록한다.
두번째 방법은 이용자가 기존에 소지하고 있던 RFID카드를 등록하여 이용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상기 카드발급기에는 모든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가 내장된 RF 인식기를 내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용자는 RFID 태그가 내장되어 있는 타용도 신용카드, 멤버쉽카드 등을 상기 카드발급기에 부착된 RF인식기에 근접시킨다. 상기 카드발급기의 제어부는 인식된 RFID카드를 등록하고 동시에 그 등록정보를 유,무선통신으로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등록정보에는 제어부에서 인식된 RFID카드의 일련번호와 상기카드발급기의 위치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등록된 RFID카드의 일련번호를 이용자 RFID카드의 일련번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입장제어장치의 RF 인식기가 상기 RFID카드로부터 일련번호를 획득하고 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이다. 이용자가 시설 입구에 설치된 통과게이트를 지나갈 때 상기 입장제어장치의 RF 인식기는 이용자가 소지한 RFID카드의 일련번호를 획득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다수의 RFID카드를 소지한 이용자의 경우, 상기 RF 인식기는 상기 관리서버로 다수의 RFID카드로부터 인식된 일련번호를 모두 보내는 방법과 이용자에게 한장의 RFID카드로 재인식시키도록 경고 메세지를 보내는 방법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c)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일련번호에 따른 예매정보를 검색하여 당해 공연 또는 상영에 대한 예매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입장제어장치의 RF 인식기로부터 상기 일련번호만을 전송받으므로 신속하게 상기 (a) 단계에서 구축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매칭되는 예매정보를 찾아낼 수 있다.
이 경우 이용자가 2 이상의 시설에 2 이상의 공연 등을 예매한 경우도 고려할수 있는 바, 상기 입장제어장치의 RF 인식기가 상기 관리서버로 상기 일련번호와는 별도로 상기 입장제어장치의 RF 인식기 위치를 나타내는 식별번호를 함께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가 시설 위치별로 예매정보를 매칭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에서 일치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입장제어장치에게 입장을 허용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입장제어장치에게 입장을 금지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상기 관리서버는 사전에 구축한 일련번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일련번호와 예매정보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를 매칭시켜 일치하는 정보가 있으면 입장허용신호를, 불일치하면 입장금지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시설 정보와 상기 입장제어장치의 RF 인식기 식별번호를 전송하여 다수의 공연 예매에 대비하여 검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e) 단계는 상기 입장제어장치가 입장허용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입장허용알림을 표시하고, 입장금지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입장금지알림을 표시함과 동시에 입장을 제제하는 장치를 작동하여 입장을 관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관리서버에서 입장허용 신호가 전송된 경우에는 상기 입장제어장치는 별도의 제재 없는 이용자를 통과시킨다. 통과 게이트의 측면 또는 상단에 설치한 전광판을 통해 "PASS"나 "입장" 등의 입장허용 알람표시를 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입장제어장치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입장금지 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 통과 게이트 양 측면에 설치된 진입 방지 장치가 돌출되면서 이용자의 진입을 막는다. 통과 게이트의 측면 또는 상단에 설치한 전광판을 통해 "STOP" 이나 "입장금지" "직원에게 문의하세요" 등의 입장금지 알람표시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없음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일련번호가 기록되어 있는 RFID카드;
    상기 RFID카드의 일련번호 및 이용자 예매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일련번호를 부여받은 RFID카드가 발급되거나, 이용자의 기보유 RFID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RF 인식기가 구비되어 있는 카드발급기; 및
    공공?문화체육시설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며, 모든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어 RFID카드로부터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일련번호를 취득하는 RF 인식기가 부착된 입장제어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카드발급기에서 이용자에 의해 공공?문화체육시설이용에 관한 예매가 완료되면 이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일련번호 및 이용자예매정보가 저장된 RFID카드가 발급되거나, 상기 카드발급기의 RF 인식기에 인식된 이용자의 기보유 RFID카드의 일련번호 및 이용자예매정보가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입장제어장치의 RF 인식기는 상기 이용자 RFID카드로부터 일련번호를 취득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이용자 예매정보를 검토하여 상기 입장제어장치로 입장허용여부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발권이나 대기없이 무인으로 입장을 관리하는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일련번호가 기록되어 있는 RFID카드; 상기 RFID카드의 일련번호 및 이용자 예매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일련번호를 부여받은 RFID카드가 발급되거나, 이용자의 기보유 RFID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RF 인식기가 구비되어 있는 카드발급기; 및 공공?문화체육시설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며, 모든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어 RFID카드로부터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일련번호를 취득하는 RF 인식기가 부착된 입장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하기 각 단계로 시행되는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방법
    (a) 상기 카드발급기에서 이용자에 의해 공공?문화체육시설이용에 관한 예매가 완료되면 이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카드발급기가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일련번호 및 이용자예매정보가 저장된 RFID카드를 발급하거나, 상기 카드발급기의 RF 인식기에 인식된 이용자의 기보유 RFID카드의 일련번호 및 이용자예매정보가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
    (b) 상기 입장제어장치의 RF 인식기가 상기 이용자 RFID카드로부터 일련번호를 획득하고 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일련번호에 따른 예매정보를 검색하여 당해 공연 또는 상영에 대한 예매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관리서버에서 일치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입장제어장치에게 입장을 허용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입장제어장치에게 입장을 금지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입장제어장치가 입장허용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입장허용알림을 표시하고, 입장금지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입장금지알림을 표시함과 동시에 입장을 제재하는 장치를 작동하여 입장을 관리하는 단계.
KR1020100052706A 2010-06-04 2010-06-04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 및 입장 관리 방법 KR101135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706A KR101135120B1 (ko) 2010-06-04 2010-06-04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 및 입장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706A KR101135120B1 (ko) 2010-06-04 2010-06-04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 및 입장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142A KR20110133142A (ko) 2011-12-12
KR101135120B1 true KR101135120B1 (ko) 2012-04-16

Family

ID=45500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706A KR101135120B1 (ko) 2010-06-04 2010-06-04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 및 입장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984B1 (ko) * 2021-05-18 2024-01-30 주식회사 카카오 액세스 카드 체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200A (ko) * 2001-06-07 2002-12-16 주식회사 퍼스텍인터내셔날 예매시스템, 모바일 티켓,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문화/교통패스카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70079599A (ko) * 2007-07-18 2007-08-07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공기이송식 재활용가능자원 및 폐기물 수집설비의 위치추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80002269U (ko) * 2006-12-26 2008-07-01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인쇄 가능한 알에프아이디 카드 발행장치
KR20090017362A (ko) * 2007-08-14 2009-02-18 배철환 도서관 열람석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200A (ko) * 2001-06-07 2002-12-16 주식회사 퍼스텍인터내셔날 예매시스템, 모바일 티켓,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문화/교통패스카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80002269U (ko) * 2006-12-26 2008-07-01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인쇄 가능한 알에프아이디 카드 발행장치
KR20070079599A (ko) * 2007-07-18 2007-08-07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공기이송식 재활용가능자원 및 폐기물 수집설비의 위치추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90017362A (ko) * 2007-08-14 2009-02-18 배철환 도서관 열람석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142A (ko) 201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7872B2 (en) Passenger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tickets in such a system
US890342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places
US8416064B2 (en) Univers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wireless and wire line sensor network
CN1591452B (zh) 便携式装置,ic模块,ic卡,和用于使用业务的方法
US20040117219A1 (en) Facility reserving method, facility reserving system, reserving terminal unit installed on site, and reservation program
CN106097504A (zh) 一种酒店自行入住的实现方法
US201300632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providing an access authorization
KR20100076155A (ko)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
WO2006112140A1 (ja) チケット利用システム及びチケット利用方法
CN102005117A (zh) 停车场管理系统
KR100606287B1 (ko) Rfid를 이용한 놀이기구의 탑승예약 시스템 및 방법
CA30477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access
KR100711105B1 (ko)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장착된 휴대폰을 이용한 원스톱 탑승방법
US8792911B2 (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US9489811B2 (en) 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the integrity of physical objects
KR101135120B1 (ko)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 및 입장 관리 방법
KR101260041B1 (ko) 사용자 맞춤형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약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
JP4236124B1 (ja) 小口金清算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20093200A (ko) 예매시스템, 모바일 티켓,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문화/교통패스카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03006578A (ja) 非接触型icカード、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JP5589568B2 (ja) 遺失物管理システム及び遺失物管理方法
KR102453775B1 (ko) 출입 관리 방법 및 출입 관리 시스템
JP3612488B2 (ja) 発券管理方法、発券管理システム及び発券管理プログラム
KR20090001792A (ko) 오프라인 티켓 발권 없이 입장 가능한 예약 발권 시스템 및방법
NO347789B1 (en) System for various services and functions including payments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