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6155A -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6155A
KR20100076155A KR1020080134091A KR20080134091A KR20100076155A KR 20100076155 A KR20100076155 A KR 20100076155A KR 1020080134091 A KR1020080134091 A KR 1020080134091A KR 20080134091 A KR20080134091 A KR 20080134091A KR 20100076155 A KR20100076155 A KR 20100076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reading room
information
reservation
lib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실
Original Assignee
최승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실 filed Critical 최승실
Priority to KR1020080134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6155A/ko
Publication of KR20100076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1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회원으로 하여금 도서관의 열람실 좌석을 미리 통신망(1)을 통하여 예약하도록 하고 이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회원의 입실 및 퇴실을 관리하기 위하여, 좌석예약 환경을 제공하는 좌석예약 모듈(11)을 구비하는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는: 회원의 고유한 회원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회원 소유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단말기번호를 제공받아 저장한 회원DB(14)와; 좌석의 점유 상태를 그 점유한 회원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한 좌석현황DB(15)와; 좌석 예약 상황을 그 예약한 회원정보, 좌석번호, 이용날짜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한 예약정보DB(16); 및 시간의 경과에 따라, 예약한 회원의 좌석 예약정보, 입실 또는 퇴실 체크 정보에 기초하여 회원의 무선통신단말기로 메시지를 송출하기 위한 메시지 송출 서버(17)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좌석을 예약정보와 회원정보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회원에게 무선통신에 의한 메시지를 이용하여 안내 또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어, 열람실 좌석에 대한 인원통제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불량사용자 관리 중 발생되는 분쟁이 최소화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도서관, 열람실, 좌석, 관리, 예약, 광고, 쇼핑몰

Description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Seats in Library Reading Rooms}
본 발명은 도서관 열람실 내 좌석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회원들로 하여금 통신망을 통하여 열람실 좌석을 예약하도록 하고 예약된 특정 좌석과 연계하여 회원 아이디 및 회원소유의 무선통신단말기 번호를 파악함으로써, 각각의 열람실 좌석을 예약정보와 회원정보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무선통신에 의한 메시지를 이용하여 안내 또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어, 열람실 좌석에 대한 인원통제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불량사용자 관리 중 발생되는 분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공공 도서관의 열람실은 한정되어 있는 반면에 열람실을 이용하려는 이용자 수는 많기 때문에, 열람실은 항상 자리 부족현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열람실 좌석을 독점하려는 이용자들 사이 및 되도록이면 많은 이용자에게 열람실이 이용될 수 있게 하려는 열람실 운영자 사이에 분쟁이 있어 왔다.
예컨대 대학 도서관의 경우, 일단 열람실 좌석을 확보한 학생이 강의에 참석 하는 사이에도 빈 열람실 좌석을 독점하기 위하여 좌석을 비우지 않고 개인 사물을 그대로 둔다던가 아직 점유중이라는 메모를 남기는 등의 행위를 통하여 열람실 좌석을 독점하려는 경향이 심하였다. 이에 따라 열람실 좌석이 실제로 이용되지 않으면서도 여전히 점유상태가 계속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열람실 좌석의 관리를 위하여 도서관 측에서는 도서관 관리자들을 배치하고, 오랜시간동안 비어있는 좌석이 발견되면, 해당 좌석에 남아있는 개인 사물들 거둬들여 따로 보관하고 다른 이용자에게 해당 좌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 즉 강제퇴실조치를 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이 경우 개인 사물이 누구의 것인지 확인할 방법이 없고, 그러한 개인 사물에는 도서관에서 빌린 책이 포함될 수 있어 이를 분실하는 경우에는 여러가지 분쟁이 발생하는 실정이었다.
종래 이러한 도서관 열람실 좌석 관리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시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860233 "좌석관리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의 등록공보에는, 정회원으로 인증된 자에게 열람실 좌석표를 발급하여 입실게이트를 통과하여 입실토록 하고, 퇴실시에는 퇴실 게이트 상에 설치된 퇴실버튼 또는 외출버튼을 누르게 하여, 좌석의 효율적 관리를 도모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에 의하면 도서관 열람실 인원 통제는 가능하나 점유한 열람실 좌석과 연계된 회원의 개인정보 파악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이용자가 퇴실게이트를 통과하여 외부로 나갈 때, 이용자의 액션 즉 퇴실버튼 또는 외출버튼을 누르는 행위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이용자의 퇴실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실제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도서관의 경우, 일정시간마다 열람실 이용자에게 좌석번호표를 다시 발급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는 이용자에게나 도서관 관리자에게 있어서나 매우 번거로운 방식이다. 또한 도서관 열람실 이용자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통계 자료를 생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더 나아가 도서관 관리자가 불량사용자의 강제퇴실조치로서 개인사물을 거둬들이는 경우, 여전히 그 개인 사물의 정확한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으므로, 사물의 분실 및 분쟁의 여지는 여전히 존재하였다.
따라서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에 있어서, 각각의 열람실 좌석을 예약정보와 회원정보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무선통신에 의한 메시지를 이용하여 안내 또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게 구성하여, 열람실 좌석에 대한 인원통제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불량사용자 관리 중 발생되는 분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하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절실한 요구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에 존재하는 문제를 개선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열람실 이용자의 신원을 인증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회원카드를 발급하고, 각각의 회원이 통신망을 통하여 좌석을 예약토록 하며, 예약된 좌석과 연계하여 각각의 회원에 관한 개인정보 즉 예컨대 휴대폰과 같은 무선통신단말기 번호를 파악하고, 회원카드가 입실게이트 또는 퇴실게이트를 통과하는 순간을 체크할 수 있다면, 각각의 열람실 좌석을 예약정보와 회원정보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무선통신에 의한 메시지를 이용하여 안내 또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어, 열람실 좌석에 대한 인원통제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불량사용자 관리 중 발생되는 분쟁이 최소화될 수 있을 것이라는 발명자의 통찰에 기초하여 발명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회원들로 하여금 통신망을 통하여 열람실 좌석을 예약하도록 하고 예약된 특정 좌석과 연계하여 회원 아이디 및 회원소유의 무선통신단말기 번호를 파악함으로써, 각각의 열람실 좌석을 예약정보와 회원정보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무선통신에 의한 메시지를 이용하여 안내 또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어, 열람실 좌석에 대한 인원통제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불량사용자 관리 중 발생되는 분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람실 좌석 예약 환경을 인터넷의 웹 상에서 제공하고, 이 열람실 좌석 예약시 회원이 특정한 광고에 노출되거나 광고를 클릭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수익을 낼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열람실 좌석과 연계된 이용자 회원의 정보를 일자별, 월별, 시간대별 등으로 통계를 내어 추가적인 연구 또는 사업 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은, 회원 으로 하여금 도서관의 열람실 좌석을 미리 통신망을 통하여 예약하도록 하고 이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회원의 입실 및 퇴실을 관리하기 위하여, 복수의 단말기가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각각 열람실 좌석 예약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좌석예약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좌석예약 모듈을 구비하는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는: 상기 회원의 회원정보로서 고유한 회원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회원 소유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단말기번호를 제공받아 저장한 회원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열람실내 좌석의 점유 상태를 그 점유한 회원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한 좌석현황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회원이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예약한 좌석 예약 상황을 그 예약한 회원정보, 좌석번호, 이용날짜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한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시간의 경과에 따라, 예약한 회원의 좌석 예약정보, 입실 또는 퇴실 체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원의 무선통신단말기로 데이터 메시지를 송출하기 위한 메시지 송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망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이며, 상기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의 좌석예약 모듈의 동작은 웹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좌석예약 환경을 상기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시지 송출 서버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회원의 등록된 무선통신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는 단문메시지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원에게는 각각 회원임을 인증하기 위한 회원카드가 발급되며, 상기 회원카드가 체크됨으로써 해당 회원의 입실 또는 퇴실이 체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원카드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칩을 포함하며, 상기 회원카드의 체크는 열람실 입퇴실 게이트 장치 근처에 설치되며 RFID 리더기로 이루어진 입퇴실 체크기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는 체크된 회원과 관련된 예약정보 및 해당 회원의 시간에 따른 입실 또는 퇴실 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입퇴실 체크기에 의해서 상기 회원카드가 체크되면, 해당 회원이 예약된 정상적인 입실자인가, 예약된 정상적인 퇴실자인가, 또는 예약된 시간대 중간에 퇴실하거나 그렇게 퇴실하였다가 입실하는 외출자인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입퇴실 게이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는 예약된 회원과 관련된 예약정보 및 해당 회원의 시간에 따른 입실 또는 퇴실 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입퇴실 체크기에 의해서 상기 회원카드가 특정한 예약된 체크되어야할 시간에 체크되지 않을 때, 해당 회원의 무선통신단말기로 예약된 입실 시간, 예약된 퇴실 시간, 입실 또는 퇴실하지 않을 시 예약취소 또는 강제퇴실 조치를 안내하는 통지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는 상기 좌석예약 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좌석 예약 환경 내에 미리 저장된 광고 정보를 삽입하 여 제공하기 위한 광고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광고관리 모듈에 의하여 삽입되는 광고 정보는 광고 내용이 좌석예약을 하고자 하는 회원의 단말기에서 시각적으로 노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클릭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는 열람실 좌석의 일자별, 요일별, 사용자별 사용일 및 사용시간과 관련된 통계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통계정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열람실 좌석을 예약정보와 회원정보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무선통신에 의한 메시지를 이용하여 안내 또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어, 열람실 좌석에 대한 인원통제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불량사용자 관리 중 발생되는 분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람실 좌석 예약 환경을 인터넷의 웹 상에서 제공하고, 이 열람실 좌석 예약시 회원이 특정한 광고에 노출되거나 광고를 클릭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수익을 낼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열람실 좌석과 연계된 이용자 회원의 정보를 일자별, 월별, 시간대별 등으로 통계를 내어 추가적인 연구 또는 사업 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좌석 예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도 3은 열람실 예약 및 입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4는 퇴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5는 예약 시간에 따른 자동 입퇴실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또한 도 6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의 웹페이지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은, 회원으로 하여금 도서관의 열람실 좌석을 미리 통신망(1)을 통하여 예약하도록 하고 이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회원의 입실 및 퇴실을 관리하기 위한 예약관리 시스템을 근간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2, 3, 4)가 상기 통신망(1)을 통하여 접속하여 각각 열람실 좌석 예약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좌석예약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좌석예약 모듈(11)을 구비하는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는 좌석예약 환경을 제공하는 좌석예약 모듈(11)과 함께, 회원 데이터베이스(DB)(14), 좌석현황 데이터베이스(DB)(15),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DB)(16)를 포함하며, 더 나아가 메시지 송출 서버(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원 DB(14)는 회원의 회원정보로서 고유한 회원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회원 소유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단말기번호를 제공받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예컨대 대학 도서관의 경우, 해당 도서관의 회원은 그 대학의 학생 및 교직 원일 수 있으며, 각각의 회원은 회원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지정하고 회원 소유의 휴대폰과 같은 무선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좌석현황 DB(15)는 열람실내 좌석의 점유 상태를 그 점유한 회원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본 발명에서 점유된 상태로 표시되는 열람실 좌석은 항상 해당 좌석을 점유하고 있는 회원이 누구인지 그 회원의 무선통신단말기 번호는 무엇인지가 알려져 있다. 따라서 예컨대 강제퇴실조치에 따라 해당 열람실 좌석에 남겨져 있는 개인 사물을 보관할 때도, 예컨대 회원정보를 인쇄한 스티커를 그 개인 사물에 부착시켜 보관할 수 있으므로, 개인 사물의 분실에 따른 분쟁의 소지가 근본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예약정보 DB(16)는 회원이 통신망을 통하여 단말기(2, 3, 4)를 이용하여 예약한 좌석 예약 상황을 그 예약한 회원정보, 좌석번호, 이용날짜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회원은 열람실 좌석을 예약할 때, 일단 로그인을 하여 회원정보를 시스템에 통지한 상태에서, 열람실 좌석 현황을 열람하여 원하는 일자와 시간에 점유 또는 예약상태가 아닌 좌석을 살펴본 후, 이들 좌석들 중에서 원하는 좌석을 선택하고, 이용하고자하는 일자와 시간대를 지정함으로써 예약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약정보에는 회원정보와 열람실 좌석의 번호, 이용날짜 및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메시지 송출 서버(17)는 예컨대 휴대폰과 같은 무선통신단말기에 텍스트로 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SMS 서버일 수 있다. 이 서버(17)는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의 제어 하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예약한 회원의 좌석 예약정보, 입실 또는 퇴실 체크 정보에 기초하여 회원의 무선통신단말기로 데이터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망(1)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망이라면 다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통신망이 인터넷인 경우,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의 좌석예약 모듈(11)의 동작은 웹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좌석예약 환경을 단말기(2, 3, 4)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2, 3, 4)는 예컨대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인터넷의 웹환경하에서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라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 도시된 예에서 개인 휴대 무선 단말기(2), 데스크탑 컴퓨터(3), 및 키오스크 단말기(4) 등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단순히 예시에 불과하다는 것을 당업자는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회원은 예컨대 휴대하고 있는 휴대폰이나, 대학 강의실이나 구내 또는 거주지에 설치된 컴퓨터, 또는 도서관 입구에 설치될 수 있는 키오스크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에 접속함으로써, 열람실 좌석의 예약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메시지 송출 서버(17)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회원의 등록된 무선통신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는 단문메시지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서버(17)일 수 있다. 본 시스템에 따라, 회원의 무선통신단말기에 송출되는 메시지는, 예약이 완료된 직후에 예약된 좌석번호와 이용일자 및 이용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정보 메시지와, 예약된 이용시간에 따라 예컨대 입실시간 10분전에 전송될 수 있는 입실 안내 메시지, 외출시에 10분이내에 입실하지 않으면 강제퇴실될 수 있다는 강제퇴실 안내 메시지, 예약된 이용시간에 따라 예컨대 퇴실시간 10분전에 전송될 수 있는 퇴실 안내 메시지, 및/또는 강제퇴실조치가 수행된 후 개인 사물이 보관되어 있으므로 어디서 찾아갈 수 있다는 개인사물 보관 안내 메시지 등의 다양한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원에게는 각각 회원임을 인증하기 위한 회원카드가 발급되며, 회원카드가 체크됨으로써 해당 회원의 입실 또는 퇴실이 체크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회원은 예컨대 학교 도서관의 경우, 학생증, 또는 교원증과 같은 아이디 카드를 도서관 이용 회원카드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별도의 다른 회원카드가 발급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근래에는 휴대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무선통신단말기 내에 사용자 인증과 전자결제 등이 가능한 범용사용자식별모드 카드 즉 USIM 카드(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가 내장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회원은 자신의 휴대폰 내의 USIM카드를 회원카드로서 활용할 수 있고, 또한 자신의 휴대폰을 통하여 각종 열람실 좌석 이용과 관련된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으므로 편리할 수 있다.
아직 회원으로 가입하지 않아 회원카드가 없는 일반인의 경우, 예컨대 도1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도서관 관리 서버(20)에 회원가입을 하고, 회원카드 발급기(21)에서 발급되는 회원카드를 교부받을 수 있다. 여기서 도서관 관리 서버(20)는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와 연동되어 제어되며,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도서관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입퇴실 체크기(22)와 게이트장 치(23)를 관리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도서관 관리 서버(20)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도서관이 하나의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고, 이 경우 도서관 관리 서버(20) 및 이에 따라 제어되는 입퇴실 체크기(22)와 게이트 장치(23)도 마찬가지로 복수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회원카드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칩을 포함하며, 회원카드의 체크는 열람실 입퇴실 게이트 장치(23) 근처에 설치되며 RFID 리더기로 이루어진 입퇴실 체크기(22)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RFID 기술은 무선접촉식 체크 기술로서 해당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입퇴실 게이트 장치(23)는 예컨대 지하철 입퇴장 분야 등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근래에 도서관 입구에도 많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회원은 예컨대 학생증일 수 있는 회원카드를 입퇴실 게이트 장치(23) 근처에 또는 합체되어 있는 입퇴실 체크기(22) 즉 RFID 리더기에 근접시켜 회원인증을 할 수 있다.
입퇴실 체크기(22)에 의해서 회원카드가 체크되고, 이 체크된 회원카드 내의 회원정보가 도서관 관리 서버(20)를 경유하여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에 전달되면,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는 체크된 회원과 관련된 예약정보 및 해당 회원의 시간에 따른 입실 또는 퇴실 상황을 고려하여, 해당 회원이 예약된 정상적인 입실자인가, 예약된 정상적인 퇴실자인가, 또는 예약된 시간대 중간에 퇴실하거나 그렇 게 퇴실하였다가 입실하는 외출자인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입퇴실 게이트 장치(2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는 예약된 회원과 관련된 예약정보 및 해당 회원의 시간에 따른 입실 또는 퇴실 상황을 고려하여, 입퇴실 체크기(22)에 의해서 상기 회원카드가 특정한 예약된 체크되어야할 시간에 체크되지 않을 때, 해당 회원의 무선통신단말기로 예약된 입실 시간, 예약된 퇴실 시간, 입실 또는 퇴실하지 않을 시 예약취소 또는 강제퇴실 조치를 안내하는 통지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SMS 서버(17)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는 좌석예약 모듈(11)에 의해 제공되는 좌석 예약 환경 내에 미리 저장된 광고 정보를 삽입하여 제공하기 위한 광고관리 모듈(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는 광고 배너가 삽입되어 있는 웹페이지가 예시되어 있다. 이 광고관리 모듈(12)에 의하여 삽입되는 광고 정보는 광고 내용이 좌석예약을 하고자 하는 회원의 단말기(2, 3, 4)에서 시각적으로 노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클릭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광고에 노출되거나 광고 배너를 클릭한 회원에게는 사이버머니의 일종으로서 포인트가 지급될 수 있고, 이 지급된 포인트는 광고 중인 쇼핑몰 등에서 현금처럼 사용될 수 있는 인센티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는 열람실 좌석의 일자별, 요일별, 사용자별 사용일 및 사용시간과 관련된 통계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통계정보 모듈(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열람실 좌석을 이용한 회원의 개인정보와 이용일자 및 이용시간을 모두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일자 별, 요일 별, 사용자 별 사용 일자 및 시간에 대한 통계 자료를 작성하는게 가능하다. 따라서 이용자들의 이용도 분석이 용이하고, 일자 별, 종류 별, 사용자 별 사용통계를 통하여 열람실 좌석의 예측 관리가 가능하며, 열람실 좌석의 선호도 분석이 용이하게 되는 등의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서관 열람실 좌석 시스템의 이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예약(200) 과정을 살펴보면, 일단 이용자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2, 3, 4)를 이용하여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에 접속하여 좌석예약 모듈(11)에 의해 제공되는 좌석예약을 위한 웹페이지(도 6 참조)를 열 수 있다. 예컨대 회원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제공하여 로그인(210)할 수 있다. 이후 좌석예약 페이지(도 6 참조)에서 좌석조회 탭을 클릭하여 좌석현황을 열람(220)할 수 있다. 원하는 일자와 시간에 비어있는 좌석들 중 원하는 좌석번호를 선택함으로써 좌석예약(230)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그인하여 좌석현황을 살펴보고 좌석예약을 완료하는 동안에 회원은 광고에 노출될 수 있으며, 또는 적극적으로 배너 광고를 클릭(250) 함으로써 인센티브로서 사이머 머니일 수 있는 포인트를 지급받을 수 있다(260). 예약이 완료되면, 예약정보는 예컨대 SMS 문자 메시지의 형태로 회원의 휴대폰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에는 예약(200) 후, 도서관에 입실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회원은 입퇴실 게이트 장치(23) 중 입실게이트를 통과(310)하면서 회원카드를 체크(320)할 수 있다. 체크된 회원카드에 저장된 회원정보는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로 전송되고 예약정보DB(16)에 저장된 예약정보와 비교됨으로써, 해당 회원이 예약된 이용자인지 여부가 판단(330)될 수 있다. 예약된 이용자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열람실 입실(340)이 허용되고, 좌석현황 DB가 업데이트(350)되어 해당 회원이 예약된 열람실 좌석을 점유한 것으로 된다.
만약 체크된 회원카드에 저장된 회원정보가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에 의하여 해당 회원이 예약된 이용자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해당 이용자가 이전에 외출한 이용자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은 예컨대 좌석현황DB(15)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외출자도 아니라고 판단되면, 해당 회원의 입실은 거부(370)되고, 입실게이트가 열리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외출자라고 판단되면, 입실게이트가 개방되어 회원은 입실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은 퇴실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회원이 퇴실게이트를 통과(410)하면서 회원카드를 체크한다(420). 그러면,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는 퇴실통과 시간과 예약된 이용시간을 비교하고 예컨대 예약된 퇴실시간 전후 30분 이내라면 퇴실자로서 처리하고, 예약된 퇴실시간보다 한참 이전 시간이라면 외출자로서 처리하고 좌석현황 DB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450). 퇴실자 처리시에 해당 회원이 점유했던 좌석은 점유되지 않은 공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외출자 처리시에 해당 회원이 점유했던 좌석은 점유되어 있으나 외출중인 좌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예약정보에 따라 회원의 입실 및 퇴실을 관리하는 자동 관리 흐름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약(200)이 된 후, 예약한 회원이 입 실게이트를 통과하는지(300)가 체크되고, 이 입실게이트를 통과(300)한 시간이 체크(610)된다. 예정된 입실 시간에 입실게이트를 통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예약은 취소처리(620)될 수 있다. 취소처리되거나 또는 취소되기 전 예컨대 10분전에 회원의 휴대폰으로 예약취소를 안내하고 신속히 입실하라는 안내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이후 입실한 회원이 예약한 퇴실 시간이 다가오면(630), 예컨대 "10분후 퇴실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메시지가 회원에게 전송될 수 있다(640). 이후 이 회원이 입퇴실 게이트 장치(23)의 일부일 수 있는 퇴실게이트를 통과하였는지가 체크(400)되고, 긍정인 경우 해당 회원은 정상적으로 퇴실한 것으로 처리될 수 있다. 만약 예약된 시간 안에 퇴실게이트를 통과한 것으로 체크되지 않는 경우,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는 해당 도서관의 관리자에게 통지하여 예컨대 "강제퇴실조치"를 취할 것을 명령하고, 한편으로 해당 회원의 휴대폰에 강제퇴실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강제퇴실조치가 취해지면, 해당 회원이 남기고 갔을 수 있는 개인 사물은 회원의 정보가 인쇄된 스티커가 부착한 상태로 도서관 관리자에 의해 보관될 수 있고, 회원의 무선통신단말기로 개인사물 보관 여부를 통지하는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열람실 이용자는, 예컨대 번호표를 뽑기 위하여 줄서기를 하지 않아도 되며, 웹과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도서관 좌석의 이용상태를 파악하여 효율적으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좌석의 독점이 방지될 수 있어, 이용자들의 좌석 이용 기회가 확대될 수 있고, SMS 문자 메시지에 의한 안내를 받을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열람실을 이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열람실 관리자는 열람실 불량이용자를 근절하기 위한 노력이 저감될 수 있어 관리자의 업무기능이 간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인력이 축소될 수 있고 시간 및 경비가 절감될 수 있다. 도서관 시설 및 도서관 이용자를 체계적 및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계자료에 근거하여 효율적이고 예측가능한 도서관 관리가 가능하다는 등의 다양한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은, 학교나 공공건물의 도서관 열람실을 이용하는 회원을 관리하고 열람실 좌석의 독점을 방지하며 이용자의 좌석확보 기회를 증대시키기 위한 도서관 열람실 좌석 관리 분야 등에서 널리 이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에서 좌석 예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에서 열람실 예약 및 입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에서 퇴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에서 예약 시간에 따른 자동 입퇴실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에서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의 웹페이지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신망 2 : 회원 무선통신 단말기
3 : 회원 데스크탑 컴퓨터 4 : 키오스크 단말기
10 :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 11 : 좌석예약 모듈
12 : 광고관리 모듈 13 : 통계정보 모듈
14 : 회원 데이터베이스 15 : 좌석현황 데이터베이스
16 :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 20 : 도서관 관리 시스템
21 : 회원카드 발급기 22 : 입퇴실 체크기
23 : 게이트장치

Claims (10)

  1. 회원으로 하여금 도서관의 열람실 좌석을 미리 통신망(1)을 통하여 예약하도록 하고 이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회원의 입실 및 퇴실을 관리하기 위하여, 복수의 단말기(2, 3, 4)가 상기 통신망(1)을 통하여 접속하여 각각 열람실 좌석 예약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좌석예약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좌석예약 모듈(11)을 구비하는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를 포함하는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는:
    상기 회원의 회원정보로서 고유한 회원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회원 소유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단말기번호를 제공받아 저장한 회원 데이터베이스(14)와;
    상기 열람실내 좌석의 점유 상태를 그 점유한 회원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한 좌석현황 데이터베이스(15)와;
    상기 회원이 상기 단말기(2, 3, 4)를 이용하여 예약한 좌석 예약 상황을 그 예약한 회원정보, 좌석번호, 이용날짜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한 예약정보 데이터베이스(16); 및
    시간의 경과에 따라, 예약한 회원의 좌석 예약정보, 입실 또는 퇴실 체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원의 무선통신단말기로 데이터 메시지를 송출하기 위한 메시지 송출 서버(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1)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이며, 상기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의 좌석예약 모듈(11)의 동작은 웹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좌석예약 환경을 상기 단말기(2, 3, 4)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송출 서버(17)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회원의 등록된 무선통신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는 단문메시지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서버(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원에게는 각각 회원임을 인증하기 위한 회원카드가 발급되며, 상기 회원카드가 체크됨으로써 해당 회원의 입실 또는 퇴실이 체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원카드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칩을 포함하며, 상기 회원카드의 체크는 열람실 입퇴실 게이트 장치(23) 근처에 설치되며 RFID 리더기로 이루어진 입퇴실 체크기(22)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는 체크된 회원과 관련된 예약정보 및 해당 회원의 시간에 따른 입실 또는 퇴실 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입퇴실 체크기(22)에 의해서 상기 회원카드가 체크되면, 해당 회원이 예약된 정상적인 입실자인가, 예약된 정상적인 퇴실자인가, 또는 예약된 시간대 중간에 퇴실하거나 그렇게 퇴실하였다가 입실하는 외출자인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입퇴실 게이트 장치(23)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는 예약된 회원과 관련된 예약정보 및 해당 회원의 시간에 따른 입실 또는 퇴실 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입퇴실 체크기(22)에 의해서 상기 회원카드가 특정한 예약된 체크되어야할 시간에 체크되지 않을 때, 해당 회원의 무선통신단말기로 예약된 입실 시간, 예약된 퇴실 시간, 입실 또는 퇴실하지 않을 시 예약취소 또는 강제퇴실 조치를 안내하는 통지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는 상기 좌석예약 모듈(11)에 의해 제공되는 좌석 예약 환경 내에 미리 저장된 광고 정보를 삽입하여 제공하기 위한 광고관리 모듈(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광고관리 모듈(12)에 의하여 삽입되는 광고 정보는 광고 내용이 좌석예약을 하고자 하는 회원의 단말기(2, 3, 4)에서 시각적으로 노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클릭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람실 좌석관리 서버(10)는 열람실 좌석의 일자별, 요일별, 사용자별 사용일 및 사용시간과 관련된 통계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통계정보 모듈(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
KR1020080134091A 2008-12-26 2008-12-26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 KR20100076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091A KR20100076155A (ko) 2008-12-26 2008-12-26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091A KR20100076155A (ko) 2008-12-26 2008-12-26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155A true KR20100076155A (ko) 2010-07-06

Family

ID=4263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091A KR20100076155A (ko) 2008-12-26 2008-12-26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6155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1008A (zh) * 2014-03-19 2014-06-18 南京农业大学 读者座位管理装置
KR101424189B1 (ko) * 2014-01-21 2014-07-28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도서관 열람실 좌석 예약 시스템
KR20160098786A (ko) 2015-02-11 2016-08-1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좌석관리시스템
KR20160144859A (ko) 2015-06-09 2016-12-19 주식회사 에스지코리아 비콘을 이용한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6423A (ko) 2018-11-16 2018-11-27 주식회사 프리카페 스터디카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23656A (ko) * 2017-08-29 2019-03-08 주식회사 프리카페 스터디 카페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10020637A (ko) * 2019-08-16 2021-02-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공 시설의 좌석 점유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7627A (ko) * 2020-04-13 2021-10-22 (주) 오래 무인 매장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3627636A (zh) * 2021-08-16 2021-11-09 广州振越钢制办公设备有限公司 一种图书馆智能化的预约阅览桌
KR102404008B1 (ko) * 2021-07-12 2022-05-31 이창직 도서관 출입 통제 및 좌석 관리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189B1 (ko) * 2014-01-21 2014-07-28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도서관 열람실 좌석 예약 시스템
WO2015111899A1 (ko) * 2014-01-21 2015-07-30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도서관 열람실 좌석 예약 시스템
CN103871008A (zh) * 2014-03-19 2014-06-18 南京农业大学 读者座位管理装置
KR20160098786A (ko) 2015-02-11 2016-08-1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좌석관리시스템
KR20160144859A (ko) 2015-06-09 2016-12-19 주식회사 에스지코리아 비콘을 이용한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23656A (ko) * 2017-08-29 2019-03-08 주식회사 프리카페 스터디 카페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80126423A (ko) 2018-11-16 2018-11-27 주식회사 프리카페 스터디카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0637A (ko) * 2019-08-16 2021-02-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공 시설의 좌석 점유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7627A (ko) * 2020-04-13 2021-10-22 (주) 오래 무인 매장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2220544A1 (ko) * 2020-04-13 2022-10-20 주식회사 오래 무인 매장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04008B1 (ko) * 2021-07-12 2022-05-31 이창직 도서관 출입 통제 및 좌석 관리 시스템
CN113627636A (zh) * 2021-08-16 2021-11-09 广州振越钢制办公设备有限公司 一种图书馆智能化的预约阅览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76155A (ko) 도서관 열람실 좌석관리 시스템
US8056802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ccelerated recognition and processing of personal privilege operative for controlling large closed group environments
WO2018074504A1 (ja) プログラム
KR102114508B1 (ko) 대기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7377426B1 (en) Interactive visitor announcement/access control system
CN1591452B (zh) 便携式装置,ic模块,ic卡,和用于使用业务的方法
JP3828901B2 (ja) 個人認証システム
US20130124236A1 (en) Electronic ticket system
US20040117219A1 (en) Facility reserving method, facility reserving system, reserving terminal unit installed on site, and reservation program
JP2001236459A (ja) チケット情報管理装置
JP2011134112A (ja) 電子鍵を使用したマンションの総合管理システム
KR20110086303A (ko) 도서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85106A (ko) 좌석관리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JP5455464B2 (ja) 駅務システム、発行機、管理サーバ、入札機及び自動改札機
JP2006236357A (ja) 個人認証システム
US20130066690A1 (en) Car park control system using a third-party system
JP6229094B1 (ja) 立入制限区域の入退場管理システム
JP2003109045A (ja) 乗車券発行管理システム、乗車券発行改札処理システム、及び乗車券発行方法
KR20000054445A (ko) 통신을 이용한 티켓팅시스템
KR100850841B1 (ko) 전시 및 참관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6318328A (ja) 航空機搭乗システムにおける搭乗券のセキュリティ管理
JP2002245194A (ja) インターネットによる予約システム
KR20200070051A (ko) 선결제 스터디공간 예약 및 대여 시스템
KR101135120B1 (ko) 비접촉식 공공?문화체육시설 입장 관리 시스템 및 입장 관리 방법
US20040034644A1 (en) Information recorded medium and system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