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685B1 - 철근 연결구 - Google Patents
철근 연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2685B1 KR101132685B1 KR1020040063023A KR20040063023A KR101132685B1 KR 101132685 B1 KR101132685 B1 KR 101132685B1 KR 1020040063023 A KR1020040063023 A KR 1020040063023A KR 20040063023 A KR20040063023 A KR 20040063023A KR 101132685 B1 KR101132685 B1 KR 1011326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ve
- reinforcing bar
- wedge
- reinforcing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273930 Brevoortia tyrannu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8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NSPFAOULBTYBI-UHFFFAOYSA-N [O].C#C Chemical group [O].C#C LNSPFAOULBTY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2 fo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8 plum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00—Key-type connections; Keys
- F16B3/06—Key-type connections; Keys using taper slee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2—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a locking element, e.g. pin, ball or pushbutton, engaging in a hole in the wall of at least on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 골격을 이루는 철근의 연결작업 또는 건설공사에서 여러 가지 봉재의 연결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하여 작업성이 뛰어나고 이음부가 견고하여 안전성이 우수하며 철판 재료 등을 사용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경제성을 가진 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실린더 형상으로 된 관체의 일면이 전체가 개방되고 그 개방부의 횡방향의 양단은 낚시바늘 형태로 구부러져 걸림고리가 두 부분 형성되고 상기 걸림고리의 내부 저면이 축방향으로 하나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이 있는 슬리브와 긴 플레이트 형상으로 횡방향의 양단이 한 쪽 방향으로 낚시바늘 형태로 구부러져 걸림고리가 두 부분 형성되어 그 걸림고리가 상기 슬리브의 내부로 끼워지며 상기 걸림고리의 단부면이 축방향으로 상기 슬리브의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이 있는 쐐기로 구성되어, 두 철근을 슬리브의 내면에 설치하고 쐐기를 슬리브의 내면에 압입하되 슬리브의 걸림고리와 쐐기의 걸림고리가 상호 걸림작용을 하고 동시에 슬리브와 쐐기의 경사면에 의한 상호 압지작용을 함으로서 슬리브 내면에 설치된 철근을 쐐기가 압지하여 철근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철근 연결구는 일반적인 구조물은 물론이고 특히 안전성이 크게 요구되는 원자력 발전소, 군사시설의 탄약고와 벙커, 교량, 터널 등을 철근콘크리트 공법으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적용함으로서 기존의 결속선만으로 철근을 연결 하는 구조물의 취약성을 제거하여 견고한 구조를 제공하고, 개방형의 슬리브와 쐐기로써 두 철근을 평행하게 겹쳐서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두 철근이 교차하여 만나는 부분에 교차형 슬리브와 쐐기만으로 간편하고 견고하게 두 철근을 일체로 결속시켜 배근구조의 안전성 제고하고, 슬리브의 바닥면에 볼트와 같은 고임부재를 설치하여 철근을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띄워줌으로서 바닥의 콘크리트 피복두께를 유지하게 하며, 쐐기에도 너트를 부착하여 볼트를 체결하고 그 상단부에 또 하나의 슬리브를 설치하여 철근을 다층으로 배근할 수 있게 하고, 건설공사에서 가설재를 설치할 때와 특히 군에서의 야전막사 등과 같은 훈련시설 설치 등 신속을 요구하는 곳에 설치 및 해체 등에 바로 적용하여 조립과 해체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봉재의 연결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철판 재료를 사용하여 프레스로 소성가공하여 제조함으로서 단위 시간당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철근 연결구, 철근 이음쇠, 강관 연결용 클램프, 파이프 연결구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철근 연결구 두 개를 적용하여 철근을 겹쳐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4의 B-B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슬리브와 쐐기의 경사면에 톱니면을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슬리브에 마디홈과 마디를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슬리브의 두 철근삽입부의 반경을 다르게 형성하여 직경이 다른 두 철근을 연결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도 12의 C-C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슬리브의 철근삽입부의 내부공간을 외부로 갈수록 증대되게 형성하여 직경이 다른 두 철근을 연결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철근 연결구를 다층으로 결합하여 적용한 것을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a는 상기 도 30의 슬리브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b는 상기 도 30의 쐐기의 외면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c는 상기 도 30의 쐐기의 바닥면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d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쐐기의 형태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슬리브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6는 종래의 기술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7은 종래의 기술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8은 상기 도 47의 D-D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a: 철근(이형철근) 1b, 1c : 파이프(봉재)
11 : 리브 12 : 마디
2, 2a, 2b, 2c, 2d, 2e, 2f, 2g, 2h, 2i : 슬리브
21 : 리브 21a : 마디
22 : 철근삽입부 22a : 제2철근삽입부
22b : 연결부 22c : 철근걸림톱니면
22d : 연결판
23 : 걸림고리 23a : 경사면
23b : 톱니면
24 : 개방부 25 : 통공
26 : 힌지가이드 26a : 힌지가이드구멍
27 : 마디홈 27a : 중심홈
27b : 내부종축홈
28 : 화살표시 29 : 용접부
3 : 마디편체
31 : 철근삽입부
32 : 마디홈 32a : 중심홈
33 : 쐐기접촉면 33a : 톱니면
4, 4a, 4b, 4c, 4d, 4e, 4f, 4g, 4h, 4i : 쐐기
41 : 선단부 42 : 타격부
42a : 타격돌출부
43 : 바닥면 43a : 철근걸림톱니면
44 : 바닥돌출부
45 : 걸림고리 45a : 경사면
45b : 톱니면 45c : 절개부
46 : 힌지가이드 46a : 힌지가이드구멍
47 : 통공 48 : 화살표시
49 : 눈금자
5 : 볼트 5a : 스터드볼트
5b : 고정레버 5c : 힌지결합볼트
6 : 너트 6a : 소켓
6b : 마개 6c : 힌지체결너트
6d : 고정레버체결너트
7 : 리벳
8 : 거푸집
본 발명은 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 골격을 이루는 철근의 연결작업 또는 건설공사에서 여러 가지 봉재의 연결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하여 작업성이 뛰어나고 이음부가 견고하여 안전성이 우수하며 철판 재료 등을 사용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경제성을 가진 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먼저, 철근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지금까지 사용되는 대표적인 몇 가지 방법으로는 겹침이음, 가스압접이음, 나사식이음 방식 등이 있는데, 이중에서 가장 보편적인 방식은 철근을 평행하게 겹쳐서 결속선으로 잇는 겹침이음 방식으로서 이 방식은 인장하중에 매우 취약한 구조이고, 가스압접이음은 철근의 단부를 맞대고 산소 아세틸렌 가스불꽃으로 가열하면서 가압하여 접합하는 방식으로서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며 연결부분에 열이 가해져 강도가 저하되고 연결부위를 초음파탐상법으로 검사를 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나사식이음은 철근의 단부에 수나사를 형성하여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커플러로 연결하는 방식이나 철근의 단부에 나사를 가공하는 작업이 어렵고 이미 배근된 철근에는 나사를 가공할 수 없으며 긴 철근을 일직선으로 맞추면서 나사 연결하는 작업이 어렵고 철근의 나 사부가 원래의 철근보다 나사산 높이 만큼 가늘어져 철근 본래의 인장강도보다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철근 연결방법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실용신안번호 제308578호(고안의 명칭 : 철근 연결구)로 등록된 철근 연결 방식은, 일면이 축방향으로 완전히 제거된 개방형 슬리브와 마디편체 그리고 쐐기로 구성되어 두 철근을 연결하는 방식으로서, 슬리브의 일면을 걸림고리만을 남겨 놓고 축방향으로 전부 제거하여 개방형으로 제작함으로서 철근을 연결할 때 슬리브의 내부를 육안으로 보면서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철판 재료를 이용하여 프레스 등에 의한 양산작업이 가능해져 생산 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고, 또한 철근의 겹침이음이 필요한 곳에 두 가닥의 철근을 나란히 겹쳐서 잇도록 함으로서 철근의 연결부위가 결속선에 의한 겹침이음보다 견고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도 46 내지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철근 연결구에 있어서 두 철근(1, 1a)을 나란히 겹쳐서 슬리브(2)에 설치하고 쐐기(4)를 압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은 쐐기(4)의 바닥이 평면으로 되어 있어 두 철근(1, 1a)의 직경이 동일 규격이라 하더라도 약간의 편차가 있거나 하나의 철근이 휘어져 있을 경우 두 철근을 동시에 압지하지 못해 유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슬리브(2)의 내부 저면에 철근(1, 1a)의 마디(12)가 끼워지는 마디홈(27)이 두 철근삽입부(22)의 내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나 두 철근이 각각 반대방향에서 순차적으로 철근 연결구로 이어져 나오다가 서로 만나는 부분에서는 이 고정된 철근을 길이 방향으로 조절할 수 없어 슬리브(2)의 마디홈(27)에 두 철근(1, 1a)의 마디(12)를 동시에 끼울 수 없게 될 때도 있다. 또한 두 철근(1, 1a)이 일직선으로 만나지 않고 교차하여 만날 경우에는 교차부분을 결합할 수 없는 구조이며 두 철근(1, 1a)의 리브(11)가 슬리브(2)의 내부의 저면을 향해 돌려져 있을 때에도 슬리브(2)의 마디홈(27)에 철근의 마디가 끼워지지 않아 쐐기(4)를 박아도 미끄러져 이탈될 수도 있다.
특히 지금까지는 두 철근이 직교로 만나는 부분을 결속선으로 묶어 고정하기 때문에 연결부위가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철근의 배근 자체로써 강한 구조를 이루어 콘크리트 타설 이전의 구조물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아니라 서포트에 의한 지지방법으로만 콘크리트가 완전히 경화되는 양생기간 동안 구조물의 안전을 확보하였다.
다음으로, 봉재의 연결방식으로서 특히 건설공사에 필요한 가설재 중에서 강관비계를 설치할 때 두 강관을 평행하게 또는 교차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고정클램프나 교차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동클램프의 고정방식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나사 체결하는 방식으로 하였는데 이 방식은 클램프를 나사식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조립과 해체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나사를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 가압하면서 작업하는 것이 매우 지루하고 작업성이 떨어지는 점이 있으며 클램프의 볼트에 녹이 나거나 콘크리트가 약간만 부착되어 있어도 너트를 체결하거나 해체가 어렵거나 안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반복 사용에도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등록실용신안번호 제308578호 (고안의 명칭 : 철근 연결구)에 있어서, 도 46 내지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슬 리브와 쐐기만으로 두 철근을 겹쳐서 연결하는 구조에 더하여 쐐기의 바닥면을 종축으로 길게 돌출 되게 형성하여 두 철근의 직경이 동일 규격이라 하더라도 약간의 편차가 있거나 하나의 철근이 휘어져 있을 경우에도 두 철근을 모두 압지할 수 있도록 하며, 슬리브 내부의 철근의 외주면과 접하는 저면에 톱날모양의 톱니면을 추가로 형성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두 철근이 축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을 때 한 쪽 철근의 마디가 슬리브의 마디홈에 끼워지지 않아도 철근이 미끄러져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며, 두 철근이 교차하는 부분을 결속선으로 묶지 않고 교차형 슬리브와 쐐기만으로 간단하고 견고하게 두 철근을 일체로 결속시켜 결속선만으로 임시로 묶어 놓은 것보다 배근 과정의 구조의 안전성과 콘크리트의 타설 중과 양생기간 동안에도 기존의 서포트의 지지방법에 부가하여 더 큰 안전성을 제고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리브의 바닥면에 일정 높이를 가진 볼트와 같은 고임부재를 설치하여 종래와 같은 별도의 스페이서 없이 철근을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띄워줌으로서 바닥에 콘크리트가 충분히 타설되어 피복두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거푸집 상판이 건물의 천정일 경우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소켓을 체결함으로서 거푸집을 제거한 후에 이 소켓에 공조덕트 시설이나 조명시설, 천정반자, 스프링클러 시설, 배관 등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설공사에서 강관비계와 같은 가설재를 설치할 때 강관을 연결하거나 교차부분을 일체로 결합하는 클램프의 고정 방식을 슬리브와 쐐기만으로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서 조립과 해체시간을 절약하고 망치만으 로 조립과 해체를 쉽게 하도록 하며 슬리브나 쐐기에 콘크리트가 부착되어 있어도 망치의 타격에 의한 진동으로 쉽게 이탈되게 함으로서 작업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지향하는 건설현장의 특성에 부합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근 연결구의 부품을 철판 재료를 사용하여 프레스로 소성가공하여 제조함으로서 단위 시간당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경제성을 제공하며, 철근의 겹침이음이 필요한 곳에 결속선을 대체하여 두 철근을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연결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린더 형상으로 된 관체의 일면이 전체가 개방되고 그 개방부의 횡방향의 양단은 낚시바늘 형태로 구부러져 걸림고리가 두 부분 형성되고 상기 걸림고리의 내부 저면이 축방향으로 하나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이 있는 슬리브와 긴 플레이트 형상으로 횡방향의 양단이 한 쪽 방향으로 낚시바늘 형태로 구부러져 걸림고리가 두 부분 형성되어 그 걸림고리가 상기 슬리브의 내부로 끼워지며 상기 걸림고리의 단부면이 축방향으로 상기 슬리브의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이 있는 쐐기로 구성되어, 두 철근을 슬리브의 내면에 설치하고 쐐기를 슬리브의 내면에 압입하되 슬리브의 걸림고리와 쐐기의 걸림고리가 상호 걸림작용을 하고 동시에 슬리브와 쐐기의 경사면에 의한 상호 압지작용을 함으로서 슬리브 내면에 설치된 철근을 쐐기가 압지하여 철근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일면 전체가 개방된 슬리브(2)와 쐐기(4)로 구성되어 두 철근(1, 1a)의 단부를 평행하게 겹쳐서 연결할 수 있는 철근 연결구를 나타낸다.
상기 슬리브(2)는 일면이 축방향으로 전체가 개방되어 내부가 노출된 실린더 형상으로서, 내면에는 두 개의 철근(1, 1a)이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겹쳐서 끼워질 수 있도록 철근(1, 1a)의 마디(12)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된 횡단면이 거의 반원형인 철근삽입부(22)가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이웃하여 두 부분 형성되고, 상기 두 철근삽입부(22)의 횡방향의 양단은 낚시바늘 형태로 구부러져 그 내부의 저면이 축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23a)이 있는 걸림고리(23)가 두 부분 형성되어 후술되는 쐐기(4)의 걸림고리(45)와 상호 걸림 및 압지작용을 한다.
상기 슬리브(2)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철근삽입부(22)의 내부 저면에는 톱날모양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철근걸림톱니면(22c)이 형성되어 이 곳에 끼워져 물려 있는 철근(1, 1a)에 인장력이 가해져도 쉽게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두 철근삽입부(22)의 내부 저면에는 널링가공을 하여 사각뿔 형태의 돌기를 다수 형성하여도 그 작용은 동일하다. 또한 철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2)의 내부 저면에 철근의 마디(12)가 끼워질 수 있도록 철근 마디(12)와 동일한 간격으로 마디홈(27)을 다수 형성하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마디홈(27)과 마디홈(27) 사이의 내면에는 톱날모양의 톱니면을 형성하여 철근의 외주면을 압박함으로서 철근(1, 1a)이 슬리브(2)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슬리브(2)에는 내부와 외부가 관통되는 통공(25)을 형성하여 모르타르가 내부로 유입되어 철근의 외면과 부착되도록 함으로서 콘크리트의 부착력에 의해 인장강도를 증대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쐐기(4)에도 이와 같은 통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슬리브(2)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철근삽입부(22)의 내부 저면에는 축방향으로 철근(1, 1a)의 리브(11)가 끼워지는 요홈으로 이루어진 내부종축홈(27b)이 형성되어 철근삽입부(22)의 내면에 끼워지는 철근이 불가피하게 회전이 안되는 상태에서 설치하고자 할 때 리브(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슬리브(2)를 철판 재료를 사용하여 프레스로 가공하여 마디홈(27)과 내부종축홈(27b)을 형성하면 금형에 의해 동일한 위치의 외면에는 리브(21)와 마디(21a)가 형성되어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슬리브(2)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고리(23) 내부의 저면에 형성된 경사면(23a)에 톱날모양의 톱니면(23b)을 형성하여 후술되는 쐐기(4)의 톱니면(45b)과 상호 걸림 작용을 하여 슬리브에 끼워져 철근을 압지하고 있는 쐐기(4)가 역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2)의 두 철근삽입부(22)의 반경을 각각 다르게 형성하여 직경이 다른 두 철근(1, 1a)을 연결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쐐기(4)는 긴 플레이트 형상으로 횡방향의 양단이 한 쪽 방향으로 낚시바늘 형태로 구부러져 걸림고리(45)가 두 부분 형성되고 그 걸림고리(45)의 양단면에 축방향으로 상기 슬리브(2)의 경사면(23a)과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 (45a)이 형성되고 두 걸림고리(45)의 폭은 상기 슬리브(2)의 두 걸림고리(23)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45a)의 단부면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날모양의 톱니면(45b)을 형성하여 상기 슬리브(2)의 톱니면(23b)과 상호 치합되어 슬리브(2)에 압입된 후 역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쐐기(4)에는 횡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축방향으로 전체를 바닥면(43) 방향으로 V 자형으로 돌출된 바닥돌출부(44)를 형성함으로서 동일 규격의 두 철근(1, 1a)의 직경에 편차가 있거나 휘어져 있을 때 바닥면(43)이 평평하게 되어 있으면 쐐기(4)를 슬리브(2)에 압입하여도 두 철근(1, 1a) 중 하나를 충분히 압지하지 못하는 것을 보완하여 두 철근의 안쪽 방향의 외주면을 압지하도록 한다.
상기 쐐기(4)에는 걸림고리(45)의 경사가 높은 쪽의 단부인 타격부(42)에 바닥면(43)에서 부터 외면 방향으로 V 자형으로 돌출 되는 타격돌출부(42a)를 형성하여 망치 등에 의한 타격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쐐기(4)에는 두 걸림고리(45)의 경사가 낮은 쪽의 단부로서 슬리브(2) 내부로 먼저 인입되는 부분인 선단부(41)에서 부터 시작하여 걸림고리(45)의 바닥선을 따라 길게 절개한 절개부(45c)를 형성하여 쐐기(4)를 슬리브(2)에 압입하여 두 철근(1, 1a)을 압지한 다음 각각 상기 절개부(45c)를 횡방향으로 구부려 놓으면 쐐기가 역방향으로 후퇴하지 않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슬리브(2)와 쐐기(4)의 외면에는 쐐기(4)의 압입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여 작업자가 조립이 편하도록 하며, 쐐기(4)의 외면에 타격부로 부터 시작하여 일정 간격의 눈금자와 순번호를 표시하여 동일 규격의 철근을 연결할 때 슬리브(2) 내로 압입되는 깊이를 기준에 맞는 깊이까지 눈금자를 보면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철근 연결의 부실을 방지하며 감리 작업이 쉽도록 하여 안전성을 제고시킨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작용을 결합순서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할 두 철근(1, 1a)의 선단부를 슬리브(2)의 두 철근삽입부(22)의 내면에 평행하게 겹쳐서 끼워 넣고 쐐기(4)를 슬리브(2)의 걸림고리(23)의 인입구가 높은 쪽의 내부로 선단부(41) 쪽의 걸림고리(45)를 먼저 인입시키고 망치와 같은 공구로 타격돌출부(42a)를 타격 하여 박아 넣거나 유압식 압입기구로 압입하게 되면 슬리브(2)의 걸림고리(23)에 형성된 경사면(23a)과 쐐기(4)의 걸림고리(45)에 형성된 경사면(45a)이 상호 미끄러져 접촉하면서 압지작용을 하여 쐐기(4)의 바닥면(43)이 슬리브(2) 내면에 끼워진 철근(1, 1a)을 강하게 압지하여 두 철근(1, 1a)을 일체로 구속하여 연결한다. 그리고 두 철근(1, 1a)의 겹침 길이를 길게 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구를 두 개 이상 적용함으로서 더 강한 이음부를 얻을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개방형의 슬리브(2a)와 쐐기(4a) 만으로 철근(1, 1a)을 연결하는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슬리브(2a)의 철근삽입부(22)를 철근의 외주면이 내면에 꼭 맞게 끼워지는 횡단 폭으로 하나 만을 형성하고 높이를 두 철근이 겹쳐서 끼워질 수 있는 길이로 길게 형성함으로서, 개방부(24)의 횡단 폭이 철근 하나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슬리브 (2a)의 높이는 두 개의 철근을 겹친 길이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고 다른 구조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쐐기(4a)는 횡단 폭을 상기 철근 하나의 폭에 맞춘 상기 슬리브(2a)에 대응하도록 횡단 폭을 형성하며 그 외의 구조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2a)의 철근삽입부(22)의 내부 공간을 안쪽은 직경을 작게 하고 바깥쪽은 직경을 크게 형성하여 직경이 다른 두 철근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반대로 철근삽입부(22)의 내부 공간을 안쪽은 직경을 크게 하고 바깥쪽은 직경을 작게 형성하게 되면 큰 직경의 철근을 슬리브(2a)의 내부로 끼워 넣을 때 축방향으로만 인입이 가능하게 되며 작용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작용과 결합순서는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단지 슬리브(2a)와 쐐기(4a)의 양쪽 걸림고리(23, 45)의 결합 위치가 두 철근(1, 1a) 중 하나의 철근(1a) 측방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제 1 실시예의 철근 연결구가 구조상 기 배근된 철근의 간섭에 의하여 적용하기 어려울 때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4에 도시된 슬리브(2a)와 쐐기(4a)로 직경이 다른 철근을 연결하고자 하면 직경이 작은 철근(1a)을 먼저 인입시키고 굵은 철근(1)은 나중에 인입시켜야 연결작업이 가능하다.
도 15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2 실시예와 달리 두 철근의 단부를 평행하게 겹쳐서 연결하는 구조가 아니고 두 철근이 수직으로 교차되는 부분을 일체로 구속하여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개방형의 슬리브(2b)와 쐐기(4b)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 내 지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며 특히 슬리브(2b)의 철근삽입부(22)의 구조가 직교로 교차하면서 단차가 있는 이중구조로 형성되어 두 철근이 교차하는 부분에 설치하여 고정하는 것이 큰 특징이다.
상기 슬리브(2b)는 실린더 형상의 관체의 일면이 전체가 개방되어 철근이 끼워져 완전히 감싸지도록 횡단 폭이 철근 하나가 끼워 맞춰지도록 철근의 직경보다 약간 큰 크기로 형성되며 높이는 철근의 직경과 같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2철근삽입부(22a)와 상기 제2철근삽입부(22a)의 양단에 연장하여 횡방향으로 각각 날개와 같은 형태의 철근삽입부(22)를 또 하나의 철근을 완전히 감싸도록 철근의 직경보다 약간 높게 두 부분 형성하고 그 양단에 각각 상기 제 1 실시예의 걸림고리(23)와 같은 형태의 걸림고리(23)를 형성하여 상기 제2철근삽입부(22a)와 철근삽입부(22)의 중심선이 직교로 교차한다.
상기 슬리브(2b)에는 바닥면의 중심부에 너트(6)를 용접등의 방법으로 접착시켜 볼트(5)를 체결하거나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6)에 스터드볼트(5a)를 체결하고 상기 스터드볼트(5a)에 암나사가 있는 소켓(6a)을 연결한 다음 소켓(6a)의 구멍을 마개(6b)로 막아 모르타르나 불순물이 소켓(6a)의 내부로 유입되어 굳어져 볼트가 체결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슬리브(2b)의 바닥면에 볼트(5)를 부착시키는 것은 수평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공사를 할 때 가장 하부에 설치하는 가로철근을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를 띄워 콘크리트의 피복 두께를 확보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슬리브(2b)의 바닥면에 부착된 너트(6)에 스터드볼트(5a)와 소켓(6a)을 설치하는 것은 거푸집의 바닥이 천정일 경우에 거푸집을 제거 한 다음에 이 소켓(6a)에 공조덕트, 스프링클러, 천정반자, 조명, 배관장치 등을 쉽게 설치하게 함으로서 나중에 천정에 별도의 앵커볼트를 고정하기 위한 어려운 공사가 불필요하게 한다. 또한 슬리브(2b)의 바닥면에 부착된 너트(6)에 스터드볼트(5a)와 소켓(6a)을 분리하여 설치하지 않고 볼트부와 소켓부를 일체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설계에 따라 볼트(5)와 소켓(6a)의 길이를 규격별로 준비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현재 거푸집에 가로철근을 배근할 때 철근을 고여주는 스페이서가 별도로 있으나 이는 단순히 고임역할만 하는데 반하여 상기 슬리브(2b)와 쐐기(4b)를 이용한 철근 연결구는 철근을 일체로 구속하는 작용 이외에도 이와 같이 복합적인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쐐기(4b)는 상기 제 2 실시예와 전체가 동일한 형태로써 횡방향의 양단이 한 쪽 방향으로 구부러져 걸림고리(45)가 상기 슬리브(2)의 두 걸림고리(23)의 내부로 인입되는 폭으로 두 부분 형성되며, 그 중심부분에는 통공(47)을 형성하고 그 위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너트(6)를 접착시켜 스터드볼트(5a)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스터드볼트(5a)에 상부 철근을 직교로 결합하기 위하여 바닥에 너트(6)가 접착된 또 하나의 슬리브(2b)를 결합하여 철근을 직교로 끼워 넣은 다음 쐐기(4b)로 고정하여 도 19 내지 도 20과 같은 다층 구조를 이루게 한다. 물론 이는 수평 바닥면의 가로배근 뿐만 아니라 벽체나 기둥의 세로배근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슬리브(2b)와 쐐기(4b)로 구성된 철근 연결구로써 직교로 만나는 철근을 결합하므로서 종래의 결속선보다 결합력이 훨씬 강하게 되고, 다수의 철 근 연결구를 너트와 볼트에 의해 상호 체결하므로 철근이 직교하면서 다층으로 배근되어도 종래의 스페이서와 같은 단순한 고임자재보다 배근 자체의 구조도 견고하고 배근에 유동이 없어 철근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콘크리트 타설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띄워주고 철근 간격을 유지하게 함으로서 콘크리트 피복두께와 철근폭 고정을 동시해결하며 폭고정근이 필요 없어져 시공이 간편하고 공사비가 절감되며 결속선보다 강도가 크게 증가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작용을 결합순서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리브(2b)를 거푸집의 바닥면에서 띄워 위치시키고 하나의 철근(1)을 슬리브(2b)의 제2철근삽입부(22a)에 먼저 끼워 넣고 다른 하나의 철근(1a)을 철근삽입부(22)에 끼워 넣어 두 철근(1, 1a)이 직각으로 교차되게 설치한 다음 쐐기(4b)를 슬리브(2b)에 박아 슬리브(2b)의 경사면(23a)과 쐐기(4b)의 경사면(45a)이 상호 미끄러져 접촉하면서 쐐기작용을 하여 상부 철근(1)을 압지하면 하부 철근(1a)도 동시에 압지되어 교차부분이 골격을 이루어 배근 구조를 견고하게 하고 콘크리트 타설시에 유동이 없게 하며 단순히 고임작용만 하는 스페이서와 같은 별도의 자재가 불필요하게 한다.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서, 개방형의 슬리브(2c)와 쐐기(4c)만으로 철근을 연결하는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하나의 철근을 슬리브(2c)와 쐐기(4c)로 구속하고 다른 하나의 철근을 또 하나의 슬리브(2c)와 쐐기(4c)로 구속하여 두 철근을 연결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슬리브(2c)의 바닥면을 결합하여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두 철근을 평행하게 겹쳐서 연결하는 구조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슬리브(2c)는 일면이 축방향으로 전체가 개방되어 내부가 노출된 실린더 형상으로서, 내면에는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수 있도록 철근의 마디(12)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된 횡단면이 거의 반원형인 철근삽입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철근삽입부(22)의 횡방향의 양단은 낚시바늘 형태로 구부러져 그 내부의 저면이 축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23a)이 있는 걸림고리(23)가 두 부분 형성되어 후술되는 쐐기(4c)의 걸림고리(45)와 상호 걸림 및 압지작용을 한다.
상기 슬리브(2c)에는 바닥면의 중심부분이 평평하게 돌출된 연결부(22b)를 형성하여 이와 동일하게 형성된 다른 하나의 슬리브(2c)를 리벳(7)으로 결합시켜 두 슬리브(2c)를 평행하게 일체로 결합하여 한 쌍의 슬리브(2c)를 형성한다. 그런데 두 슬리브(2c)를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쐐기(4c)는 상기 제 2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한 쌍을 구비하며 두 슬리브(2c)에 각각 압입하여 철근을 각각 고정시킨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작용을 결합순서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두 개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슬리브(2c)에 하나의 철근(1a)을 한 쪽 슬리브(2c) 내로 끼워 넣어 쐐기(4c)를 슬리브(2c)에 압입하여 철근(1a)을 고정하고 또 하나의 철근(1)을 반대쪽 슬리브(2c) 내로 끼워 넣어 쐐기(4c)를 슬리브(2c)에 압입하여 철근(1)을 고정함으로서 두 철근(1, 1a)을 평행하게 겹쳐 연결한다.
도 25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로서, 상기 제 4 실시예와 슬리브(2d)와 쐐기(4d)의 구조가 동일하며 단지 일체로 결합된 한 쌍의 슬리브(2d)의 결합에 있어서 두 슬리브(2d)를 평행하게 결합하지 않고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게 두 슬리브(2d)의 바닥면의 중심부분이 평평하게 돌출된 연결부(22b)를 리벳(7)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작용을 결합순서에 의해 설명하면, 직교로 결합되어 형성된 한 쌍의 슬리브(2d)에 하나의 철근(1a)을 한 쪽 슬리브(2d) 내로 끼워 넣어 쐐기(4d)를 슬리브(2d)에 압입하여 철근(1a)을 고정하고 또 하나의 철근(1)을 반대쪽 슬리브(2d) 내로 끼워 넣어 쐐기(4d)를 슬리브(2d)에 압입하여 철근(1)을 고정함으로서 두 철근(1, 1a)을 직교로 겹치는 배근구조를 견고하게 한다. 그리고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교로 겹친 부분에 부분적으로 철근 연결구를 설치하여 배근 구조를 견고하게 하고 배근의 유동을 방지한다.
도 30 내지 3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로서, 상기 제 4 실시예와 슬리브(2e)와 쐐기(4e)의 기본 구조가 동일하며, 단지 부분적인 구조에 차이가 있고 몇 가지 구성요소가 추가되어 이형철근(1, 1a)의 마디(12)와 같은 돌출부가 없는 표면이 매끄러운 환봉이나 파이프 등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슬리브(2e)에는 도 3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의 저면에 톱날모양의 철근걸림톱니면(22c)을 형성하여 표면이 매끄러운 환봉이나 파이프를 뾰족한 부분이 횡방향으로 파고들면서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게 하고, 쐐기(4e)가 인입되는 쪽의 걸림고리(23)의 단부에 횡방향의 바깥쪽으로 돌기부분을 형성하 여 힌지가이드(26)를 구비하고 그 중심부에 힌지가이드구멍(26a)을 형성하며, 걸림고리(23)의 외면에는 화살표시(38)를 하여 쐐기(4e)의 압입 방향을 안내한다.
상기 쐐기(4e)에는 도 3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가 높은 쪽의 걸림고리(45)의 단부에 횡방향의 바깥쪽으로 돌기부분을 형성하여 힌지가이드(46)를 구비하고 그 중심부에 힌지가이드구멍(46a)을 형성하되 상기 슬리브(2e)의 걸림고리(23)에 쐐기(4e)를 압입하여 고정할 때 슬리브(2e)의 힌지가이드구멍(26a)과 쐐기(4e)의 힌지가이드구멍(26a)이 동일한 중심선 위치에 놓여 후술되는 힌지결합볼트(5c)가 관통되게 한다. 또한 쐐기(4e)의 타격부(41)와 선단부(42)에 각각 타격돌출부(42a)를 형성하여 쐐기(4e)를 정방향으로 압입하거나 역방향으로 분해할 때 타격할 수 있도록 하고, 쐐기(4e)의 외면에는 화살표시(48)를 하여 쐐기(4e)의 압입방향을 안내하며 타격부(42)로 부터 시작하여 일정 간격으로 눈금과 순번호를 표시하여 눈금자(49)를 형성하므로서 쐐기(4e)의 압입 깊이를 기준으로 정한 한계까지 압입하게 함으로서 연결부분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하며 검사를 쉽게 하도록 한다.
상기 쐐기(4e)에는 도 3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43)에 톱날모양의 철근걸림톱니면(43a)을 형성하여 봉재의 외주면에 걸림 작용을 하도록 한다. 철근걸림톱니면(43a)의 단면 형태는 선단부(41) 방향으로는 빗면이 향하고 타격부(42) 방향은 수직으로 형성하여 봉재(1b, 1c)가 선단부(41) 방향으로 당겨질수록 이 철근걸림톱니면(43a)에 걸림 작용이 일어나 쐐기(4e)를 압입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봉재(1b, 1c)를 당길수록 쐐기(4e)가 봉재를 더 강하게 압지하여 견고한 이음이 된다. 이와 같이 쐐기의 철근걸림톱니면(43a)에 의하여 봉재를 당길수록 쐐기가 더 강하게 봉재를 압지하기 위해서는 두 슬리브를 걸림부의 높이가 높은 부분이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도록 결합하여 한 쌍의 슬리브를 구비한다.
도 30b 및 도 3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쐐기(4e)의 중앙에는 통공(47)을 형성하여 외면에 고정레버체결너트(6d)를 붙이고, 이 곳에 L 자 형태로 구부러진 봉재의 일단부를 뾰족하게 형성하고 뾰족한 부분에 이어서 평행한 부분에는 수나사를 형성한 고정레버(5b)를 체결하여 슬리브(2e)에 쐐기(4e)를 박아 봉재(1b, 1c)를 고정시킨 다음 고정레바(5b)를 회전시켜 뾰족한 끝이 봉재(1b, 1c)를 압박하게 하여 쐐기(4e)가 역방향으로 후퇴하지 못하게 고정한다.
상기 슬리브(2e)와 쐐기(4e)를 별도의 부속이지만 하나로 연결하여 반복적으로 결합과 해체 작업에 이 연결구를 사용할 때 작업이 편리하고 부품의 망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긴 봉재의 일단에 수나사를 형성하여 이 수나사부에 너트를 체결하고 타단에는 환형돌기를 형성한 힌지결합볼트(5c)를 구비하여 슬리브(2e)의 힌지가이드(26)와 쐐기(4e)의 힌지가이드(46)에 형성된 힌지가이드구멍(26a, 46a)을 동시에 관통하여 힌지결합볼트(5c)의 수나사부를 끼우고 힌지체결너트(6c)를 수나사부에 체결함으로서 쐐기(4e)가 힌지결합볼트(5c)에 의해 슬리브(2e)로부터 축방향으로 유동이 되면서도 일체가 되도록 함으로서 건설현장의 가설재 중에서 강관비계를 설치하거나 분해할 때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클램프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외에 농업용 비닐하우스의 설치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슬리브(2e)와 쐐기(4e)를 일체로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연결끈으로 하여도 작용은 동일하며 연결방법은 그 외에도 다양한 것이다.
또한 쐐기(4e)를 도 3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격돌출부(42a)를 타격부(42)와 선단부(41)에만 각각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축방향의 전체를 길게 외면 방향으로 돌출 시켜 형성하고 그 중심부를 일부 제거하여 고정레버체결너트(6d) 접합하여 고정레버(5b)를 설치하여도 동일한 작용을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작용을 결합순서에 의해 설명하면, 먼저 하나의 봉재(1c)를 선단부가 슬리브(2e)의 걸림고리(23)의 인입구가 높은 쪽에 위치하게 슬리브(2e) 내부로 설치하고 쐐기(4e)를 압입하여 봉재를 압지하여 결합하고 고정레버(6d)를 돌려 쐐기를 고정한 다음, 다른 하나의 봉재(1b)를 선단부가 슬리브(2e)의 걸림고리(23)의 인입구가 높은 쪽에 위치하게 설치하고 쐐기(4e)를 압입하여 봉재(1b)를 압지하여 두 봉재(1b, 1c)를 견고하게 연결하면, 연결 후에 양 봉재(1b, 1c)에 인장력이 가해질수록 쐐기(4e)가 더 조여져 봉재(1b, 1c)를 강하게 압지하는 안정적인 구조가 된다.
도 32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로서, 슬리브(2f)와 쐐기(4f)의 구조는 상기 제 6 실시예와 동일하며 단지 두 슬리브(2f)의 결합 각도가 평행하지 않고 직교로 결합됨으로서 봉재(1b, 1c)가 직교로 만나는 곳에 설치하여 두 봉재(1b, 1c)를 결속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도 34는 시공상태도로서 봉재(1b, 1c)가 교차되어 만나는 부분에는 제 7 실시예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고, 두 봉재(1b, 1c)가 상호 접하는 부분에는 제 3 실시예의 연결구를 사용함으로서 두 봉재(1b, 1c)의 교차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작용 및 결합순서도 상기 제 6 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봉재(1b, 1c)를 평행하게 연결하는 것이 아니고 두 봉재(1b, 1c)를 직교로 연결하거나 두 봉재(1b, 1c)가 만나는 부분에 보강용으로 사용한다.
도 35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로서, 슬리브(2g)와 쐐기(4g)의 구조는 상기 제 6 실시예 내지 제 7 실시예와 동일하며, 단지 일체로 결합된 두 슬리브(2g)를 자유롭게 회전시켜 교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특징으로서, 이를 위해 두 슬리브(2g)의 연결부(22b)를 하나의 리벳(7)으로 견고하게 결합하되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작용 및 결합순서도 상기 제 6 실시예와 제 7 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봉재(1b, 1c)를 평행하게 연결하는 것이 아니고 일정한 각도로써 교차되어 만나는 부분에 주로 보강하기 위해 적용한다. 특히 건설 가설재의 강관비계를 설치할 때 보강을 위해 경사로 설치되는 강관을 고정하기 위해 적용한다.
도 38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로서, 슬리브(2h)와 쐐기(4h)의 구조는 상기 제 8 실시예와 동일하며, 단지 두 슬리브(2h)의 바닥면이 결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슬리브(2h)의 구조가 아니고 하나의 슬리브(2h) 바닥면의 평평한 연결부(22b)에 별도로 구비한 연결판(22d)을 하나의 리벳(7)으로 결합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하고 이 연결판(22d)을 볼트와 너트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체에 일체로 부착하여 봉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슬리브(2h)와 연결판(22d)을 여러 개의 리벳(7)으로 결합하여 평행하거나 일정한 각도로 교차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적용하고자 하는 곳에 얼마든지 적합하게 형성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작용 및 결합순서는 연결판(22d)에 의해 고정체에 일체로 부착된 슬리브(2h)의 내부에 봉재를 삽입하고 쐐기(4h)를 압입하여 고정하고 고정레버(6d)를 체결하여 쐐기(4h)를 봉재에 고정하면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봉재의 연결작업이 완료된다.
도 41 내지 도 45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로서, 철근(1)과 철근(1a)을 겹치지 않고 일직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개방형 슬리브(2i)와 마디편체(3) 그리고 쐐기(4i)로 구성된 철근 연결구를 도시한 것으로, 그 기본적인 구성과 작용은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나 단지 철근(1)과 철근(1a)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것이기 때문에 슬리브(2i)의 내부면에 형성된 철근삽입부(22)가 하나만 형성되고 슬리브(2i)에 끼워진 철근(1, 1a)을 쐐기(4i) 만으로 압지하지 않고 마디편체(3)로 철근(1, 1a)을 덮은 다음 쐐기(4i)를 압입함으로서 두 철근(1, 1a)을 연결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큰 특징은 일면이 전체가 개방된 슬리브(2i)를 철판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프레스 등의 방법으로 제조할 경우에 있어서,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 얇은 철판을 사용하면 종방향의 인장력이 횡방향으로도 작용하여 슬리브(2i)가 벌어지려고 하는 힘에 견딜 수 없기 때문에 소요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일정 두께의 철판을 사용하여 슬리브(2i)를 형성하게 되면 두 걸림고리(23)의 안쪽 면이 가깝게 근접되어 축방향으로 긴 접촉선이 생기므로 이곳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용접부(29)를 형성함으로서 두 철근(1, 1a)에 가해지는 인장력에도 걸림고리(23)가 벌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2i)의 내부의 바닥에는 연결되는 철근(1, 1a)의 마디(12)가 끼워지도록 횡단면이 거의 반원형인 요홈으로 이루어진 마디홈(32)이 다수 형성되고, 축방향의 중심부분은 마디홈(32) 보다 폭이 넓고 깊은 횡단면이 반원형인 요홈으로 이루어진 중심홈(32a)이 형성되어 연결되는 철근(1, 1a)의 선단부가 프레스 절단과정에서 휘어져 있거나 철근(1, 1a)의 직경보다 돌출된 부분이 있을 경우에 이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상기 슬리브(2i)를 철판 재료를 사용하여 프레스로 마디홈(27)과 중심홈(27a)을 형성하게 되면 금형에 의해 동일한 위치의 외면에는 마디(21a)가 형성되어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2i)의 걸림고리(23)의 축방향의 중심부분을 제거하여 개방부(24)를 형성함으로서 내부를 육안으로 보면서 철근(1, 1a)을 용이하게 설치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마디편체(3)는 상기 슬리브(2i)의 철근삽입부(22)와 거의 동일한 형태로서 내면에 상기 슬리브(2i)의 마디홈(27) 및 중심홈(27a)과 같은 형태와 작용을 하는 마디홈(32)과 중심홈(32a)이 형성되며 외면은 쐐기(4i)의 바닥면(43)과 미끄러지면서 접촉하는 쐐기접촉면(33)으로서 축방향으로 평행하며 일단에는 톱날모양의 톱니면(33a)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쐐기(4i)의 톱니면(45b)과 상호 걸림 작용을 한다.
상기 쐐기(4i)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써 횡방향의 양단의 걸림고리(45)가 한 쪽 방향으로 꺾이면서 형성되고 타격돌출부(42a)는 형성되지 않은 것이 다르며, 바닥면(43)에는 타격부(42) 쪽에 상기 마디편체(3)의 톱니면(33a)과 상호 걸림 작용을 하는 톱날모양의 톱니면(45b)이 형성된다.
이상의 제 10 실시예에서 슬리브(2i)와 마디편체(3), 쐐기(4i)는 철판 재료를 사용하여 프레스로 제조가 가능하여 생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마디편체는 프레스 외에도 단조나 주조 등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작용을 결합순서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할 하나의 철근(1)의 선단부를 슬리브(2i)의 일측단부에서 내부로 끼워 넣되 철근(1)의 선단부가 슬리브(2i)의 중심홈(27a)까지 도달 되도록 밀어 넣는데 이 때 철근(1)의 마디(12)가 마디홈(27)에 충분히 끼워져 안착되도록 삽입위치를 조절한다. 이어서 다른 하나의 철근(1a)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하고 마디편체(3)를 슬리브(2i)의 일측단부에서 이미 끼워진 두 철근(1, 1a)의 선단부를 덮으면서 내부로 끼워 넣되 마디홈(32)에 두 철근(1, 1a)의 마디(12)가 모두 끼워지도록 조절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쐐기(4i)를 슬리브(2i)의 걸림고리(23)의 인입구가 높은 쪽으로 선단부(41)를 선두로 하여 걸림고리(45)가 슬리브(2i)의 걸림고리(23) 내부로 인입되게 설치한 다음 타격공구나 유압식 공구 등으로 박아 넣거나 압입하게 되면 슬리브(2i)의 걸림고리(23)에 형성된 경사면(23a)과 쐐기(4i)의 걸림고리(45)에 형성된 경사면(45a)이 상호 압지하는 작용을 하여 쐐기(4i)가 마디편체(3)를 철근(1, 1a) 방향으로 강하게 압지함으로서 두 철근(1, 1a)이 하나로 견고하게 연결되며, 또한 마디편체(3)의 톱니면(33a)과 쐐기(4i)의 톱니면(45b)이 상호 걸림 작용을 하여 쐐기(4i)가 슬리브(2i)로 부터 역방향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10 실시예에서 슬리브(2, 2a, 2b, 2c, 2d, 2e, 2f, 2g, 2h, 2i)의 철근삽입부(22)의 횡단면을 철근 또는 환봉이 꼭 맞게 끼워지도록 횡단면을 반원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연결하고자 하는 봉재의 횡단면이 다각형일 경우에는 슬리브의 철근삽입부(22)의 횡단면을 봉재의 횡단면의 형태와 일치하는 다각형으로 형성한다.
이상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슬리브와 쐐기를 철판재료를 사용하여 프레스로 소성가공함으로서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연결구의 안전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는데 주안점을 두었으나 주조나 단조 등의 방법으로도 제조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으나 그 기술적인 사상은 본 발명과 동일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철근 연결구는 개방형 슬리브와 쐐기 그리고 부분적으로 마디편체를 포함하여 철근 및 파이프와 같은 봉재를 연결하거나 교차된 부분을 결합하여 보강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철근 연결구는 일반적인 구조물은 물론이고 특히 안전성이 크게 요구되는 원자력 발전소, 군사시설의 탄약고와 벙커, 교량, 터널 등을 철근콘크리트 공법으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적용함으로서 기존의 결속선만으로 철근을 연결하는 구조물의 취약성을 제거하여 견고한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철근 연결구는 개방형의 슬리브와 쐐기로써 두 철근을 평행하게 겹쳐서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쐐기의 바닥면을 단면이 V 자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철근의 직경에 편차가 있거나 휘어져 있어도 쐐기가 두 철근을 충분히 압지하여 견고하게 연결하며, 슬리브의 내부 저면에 철근의 마디가 끼워지는 마디홈에 더하여 톱날모양의 톱니면을 추가로 형성하여 두 철근이 축방향으로 유동되지 않아 두 철근의 마디 중에서 하나의 철근의 마디가 슬리브의 마디홈에 끼워지지 않을 때도 철근이 충분히 조여져 슬리브로 부터 쉽게 이탈되지 못하게 하고, 슬리브의 철근삽입부에 통공을 형성하여 모르타르가 내부로 유입되어 연결부의 인장강도를 증가시키게 한다.
본 발명의 철근 연결구는 두 철근이 교차하여 만나는 부분에 교차형 슬리브와 쐐기만으로 간편하고 견고하게 두 철근을 일체로 결속시켜 배근구조의 안전성 제고하여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기간 중에도 기존의 서포트의 지지방법에 부가하여 더 큰 안전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철근 연결구는 슬리브의 바닥면에 볼트와 같은 고임부재를 설치하여 철근을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띄워줌으로서 바닥의 콘크리트 피복두께를 유지하게 하며 슬리브의 바닥면에 소켓을 체결하여 공조덕트나 조명, 천정반자, 스프링클러, 배관 등을 쉽게 설치할 수 있게 하며 쐐기에도 너트를 부착하여 볼트를 체결하고 그 상단부에 또 하나의 슬리브를 설치함으로서 별도의 스페이서 없이 철근을 다층으로 배근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철근 연결구는 건설공사에서 가설재를 설치할 때 슬리브와 쐐기만으로 강관을 간편하게 고정함으로서 조립과 해체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는 봉재의 연결구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군에서의 야전막사 등과 같은 훈련시설 설치 등 신속을 요구하는 곳에 설치 및 해체 등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철근 연결구는 철판 재료를 사용하여 프레스로 소성가공하여 제조함으로서 단위 시간당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하게 한다.
Claims (34)
- 실린더 형상의 관체의 일면이 전체가 개방되고 횡방향의 양단은 구부러져 걸림고리(23)가 두 부분 형성되며 상기 걸림고리(23)의 내부 저면이 축방향으로 하나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23a)이 있는 슬리브(2)와, 긴 플레이트 형상으로 횡방향의 양단이 한 쪽 방향으로 구부러져 걸림고리(45)가 두 부분 형성되며 상기 걸림고리(45)의 단부면이 축방향으로 상기 슬리브(2)의 경사면(23a)과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45a)이 있는 쐐기(4)로 구성되는 철근 연결구에 있어서, 슬리브(2)에 두 개의 철근(1, 1a)이 서로 평행하게 겹쳐서 끼워질 수 있도록 횡단면이 반원형인 철근삽입부(22)를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평행하게 두 부분을 형성하고, 쐐기(4)에 횡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축방향으로 전체를 바닥면(43) 방향으로 돌출된 바닥돌출부(44)를 형성하여 슬리브(2)에 끼워진 두 철근(1, 1a)을 압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슬리브(2a)의 철근삽입부(22)를 횡단 폭이 철근의 외주면이 내면에 꼭 맞게 끼워지게 하여 하나 만을 형성하고 높이를 두 철근(1, 1a)이 겹쳐서 끼워질 수 있는 길이로 길게 형성하며, 쐐기(4a)는 상기 철근 하나의 폭에 맞춘 상기 슬리브(2a)에 대응하여 횡단 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슬리브(2)의 철근삽입부(22)의 내부 저면에는 톱날모양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철근걸림톱니면(22c)과 사각뿔 형태의 돌기 중에서 적어도 한가지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슬리브(2)의 내부 저면에 철근의 마디(12)가 끼워질 수 있도록 철근 마디(12)와 동일한 간격으로 마디홈(27)을 다수 형성하고 마디홈(27)과 마디홈(27) 사이에 톱날모양의 톱니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슬리브(2)를 철판 재료를 사용하여 금형에 의한 프레스로 가공하여 내부에 철근의 마디(12)가 끼워지는 마디홈(27)과 축방향으로 철근(1, 1a)의 리브(11)가 끼워지는 요홈으로 이루어진 내부종축홈(27b)을 형성하고 상기 마디홈(27)과 내부종축홈(27b)의 동일한 위치의 외면에 리브(21)와 마디(21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슬리브(2)와 쐐기(4)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내부와 외부가 관통되는 통공(25)을 한 개 이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슬리브(2)의 걸림고리(23) 내부의 저면에 형성된 경사면 (23a)에 톱날모양의 톱니면(23b)을 형성하고, 쐐기(4)의 경사면(45a)의 단부면에는 톱날모양의 톱니면(45b)을 형성하여 두 톱니면(23b, 45b)이 상호 치합되어 쐐기(4)가 슬리브(2)에 압입된 후 역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쐐기(4)의 타격부(42)에 바닥면(43)에서 부터 외면 방향으로 돌출 되는 타격돌출부(42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쐐기(4)에 두 걸림고리(45)의 경사가 낮은 쪽의 단부에서 부터 시작하여 걸림고리(45)의 바닥선을 따라 길게 절개한 절개부(45c)를 형성하여 쐐기(4)를 슬리브(2)에 압입하여 두 철근(1, 1a)을 압지한 다음 상기 절개부(45c)를 횡방향으로 구부려서 쐐기(4)의 역방향 후퇴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슬리브(2)와 쐐기(4)의 외면에는 쐐기(4)의 압입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며, 쐐기(4)의 외면에 타격부로부터 시작하여 일정 간격의 눈금자와 순번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슬리브(2)의 두 철근삽입부(22)의 반경을 각각 다르게 형 성하여 직경이 다른 두 철근(1, 1a)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 항에 있어서, 두 철근(1, 1a)의 겹침 부분에 슬리브(2)와 쐐기(4)를 포함하는 철근 연결구를 한 개 이상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2 항에 있어서, 슬리브(2a)의 철근삽입부(22)의 내부 공간을 안쪽과 바깥쪽 직경을 다르게 형성하여 직경이 다른 두 철근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실린더 형상의 관체의 일면이 전체가 개방되어 철근이 끼워져 완전히 감싸지는 제2철근삽입부(22a)에 연장하여 중심선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또 하나의 철근이 완전히 감싸지는 철근삽입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철근삽입부(22)의 양단에 구부러진 걸림고리(23)가 두 부분 형성되며 상기 걸림고리(23)의 내부 저면이 축방향으로 하나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23a)이 있는 슬리브(2)와, 긴 플레이트 형상으로 횡방향의 양단이 한 쪽 방향으로 구부러져 걸림고리(45)가 상기 슬리브(2)의 두 걸림고리(23)의 내부로 인입되는 폭으로 두 부분 형성되며 상기 걸림고리(45)의 단부면이 축방향으로 상기 슬리브(2)의 경사면(23a)과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45a)이 있는 쐐기(4)로 구성되어 두 철근(1, 1a)의 교차부분을 일체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4 항에 있어서, 슬리브(2b)의 바닥면에 너트(6)를 접착시키고 상기 너트(6)에 볼트(5)를 체결하는 것과 상기 너트(6)에 스터드볼트(5a)와 소켓(6a)을 분리하여 체결하는 것과 상기 너트(6)에 볼트부와 소켓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체결하는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을 선택하여 장착하고, 상기 소켓을 마개로 막아 이물질의 인입을 방지하며, 쐐기(4b)에 통공(47)을 형성하여 너트(6)를 접착시키고 상기 너트(6)에 스터드볼트(5a)를 체결하여 상기 바닥에 너트(6)가 접착된 슬리브(2b)를 체결하고 슬리브(2b)에 철근을 직교로 끼워 넣은 다음 쐐기(4b)로 고정함으로서 철근 연결이 다층 구조를 이루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일면이 축방향으로 전체가 개방된 실린더 형상으로서, 내면에는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내경으로 된 횡단면이 반원형인 철근삽입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철근삽입부(22)의 횡방향의 양단은 구부러져 내부의 저면이 축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23a)이 있는 걸림고리(23)가 두 부분 형성되며 상기 철근삽입부(22)의 바닥면의 중심부분이 평평하게 돌출된 연결부(22b)가 형성된 슬리브(2c) 두 개를 연결부(22b)를 리벳(7)으로 결합시켜 두 슬리브(2c)를 평행하게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한 한 쌍의 슬리브(2c)와, 긴 플레이트 형상으로 횡방향의 양단이 한 쪽 방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슬리브(2)의 두 걸림고리(23)의 내부로 인입되는 폭으로 걸림고리(45)가 두 부분 형성되며 상기 걸림고리(45)의 단부면이 축방향으로 상기 슬리브(2)의 경사면(23a)과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45a)이 있는 한 쌍의 쐐기(4)로 구성되어 두 철근(1, 1a)을 평행하게 겹쳐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6 항에 있어서, 두 슬리브(2c)의 연결부(22b)를 용접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6 항에 있어서, 두 슬리브(2d)를 평행하게 결합하지 않고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게 두 슬리브(2d)의 바닥면의 중심부분이 평평하게 돌출된 연결부(22b)를 결합하여 형성함으로서 두 철근(1, 1a)을 직교방향으로 교차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6 항에 있어서, 슬리브(2e)의 걸림고리(23)의 단부에 힌지가이드구멍(26a)이 있는 힌지가이드(26)를 구비하고 쐐기(4e)의 걸림고리(45)의 단부에 힌지가이드구멍(46a)이 있는 힌지가이드(46)를 구비하여, 상기 슬리브(2e)와 쐐기(4e)의 힌지가이드구멍(26a, 46a)에 긴 봉재로 된 힌지결합볼트(5c)를 결합하여 쐐기(4e)가 힌지결합볼트(5c)에 의해 슬리브(2e)로부터 축방향으로 유동이 되면서도 일체가 되도록 함으로서 봉재를 연결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결합하고 분해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6 항에 있어서, 슬리브(2e)와 쐐기(4e)를 연결끈으로 일체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6 항에 있어서, 두 슬리브(2f)의 결합 각도가 평행하지 않고 직교로 결합됨으로서 봉재(1b, 1c)가 직교로 만나는 곳에 설치하여 두 봉재(1b, 1c)를 일체로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6 항에 있어서, 두 슬리브(2g)의 연결부(22b)를 하나의 리벳(7)으로 결합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서 두 슬리브(2g)를 자유롭게 회전시켜 교차 각도를 조절하면서 두 봉재(1b, 1c)를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6 항에 있어서, 하나의 슬리브(2h) 바닥면의 평평한 연결부(22b)에 별도로 구비한 연결판(22d)을 결합하여 형성함으로서 고정체에 일체로 부착하여 봉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9 항 또는 제 20 항 또는 제 21 항 또는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쐐기(4e, 4f, 4g, 4h)의 타격부(41)와 선단부(42)에 각각 타격돌출부(42a)를 형성하여 쐐기(4e, 4f, 4g, 4h)를 정방향으로 압입하거나 역방향으로 분해할 때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9 항 또는 제 20 항 또는 제 21 항 또는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슬리브(2e, 2f, 2g, 2h)의 외면에 화살표시(38)를 하고 쐐기(4e, 4f, 4g, 4h) 의 외면에도 화살표시(48)를 하여 쐐기의 압입방향을 안내하며, 타격부(42)로 부터 시작하여 일정 간격으로 눈금과 순번호를 표시하여 눈금자(49)를 형성함으로서 쐐기(4e, 4f, 4g, 4h)의 압입 깊이의 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9 항 또는 제 20 항 또는 제 21 항 또는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슬리브(2e, 2f, 2g, 2h) 내부의 저면에 톱날모양의 철근걸림톱니면(22c)을 형성하고, 쐐기(4e, 4f, 4g, 4h)의 바닥면(43)에 톱날모양의 철근걸림톱니면(43a)을 형성하여 봉재의 외주면에 걸림 작용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9 항 또는 제 20 항 또는 제 21 항 또는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쐐기(4e, 4f, 4g, 4h)의 중앙에 통공(47)을 형성하여 외면에 고정레버체결너트(6d)를 붙이고, 이 곳에 끝이 뾰족하고 L 자 형태로 구부러진 고정레버(5b)를 체결하여 슬리브(2e, 2f, 2g, 2h)에 쐐기(4e, 4f, 4g, 4h)를 박아 봉재(1b, 1c)를 고정시킨 다음 고정레바(5b)를 회전시켜 뾰족한 끝이 봉재(1b, 1c)를 압박하게 하여 쐐기(4e, 4f, 4g, 4h)가 역방향으로 후퇴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9 항 또는 제 20 항 또는 제 21 항 또는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 서, 쐐기(4e, 4f, 4g, 4h)의 축방향의 전체를 길게 외면 방향으로 돌출 시켜 타격돌출부(42a)를 형성하고 중심부를 일부 제거하여 고정레버체결너트(6d) 접합하여 고정레버(5b)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9 항 또는 제 20 항 또는 제 21 항 또는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슬리브(2e, 2f, 2g, 2h)의 철근삽입부(22)의 횡단면을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23 항에 있어서, 하나의 슬리브(2h) 바닥면의 평평한 연결부(22b)와 별도로 구비한 연결판(22d)을 하나의 리벳(7)으로 결합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23 항에 있어서, 하나의 슬리브(2h) 바닥면의 평평한 연결부(22b)와 별도로 구비한 연결판(22d)을 볼트와 너트를 결합하는 방법과 용접으로 결합하는 방법과 여러 개의 리벳(7)으로 결합하는 방법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슬리브(2i)의 철근삽입부(22)를 하나의 철근이 끼워지는 크기의 횡단면으로 하나 만을 형성하면서 슬리브(2i)를 철판을 사용하여 프레스로 제조함으로서 두 걸림고리(23)의 안쪽 면이 가깝게 근접된 접촉선을 용접하고, 내면에는 철근(1, 1a)의 마디(12)가 끼워지는 마디홈(32)을 다수 형성하며 축방향의 중심부분은 마디홈(32) 보다 폭이 넓고 깊은 중심홈(32a)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마디홈(32)과 마디홈(32)의 동일한 위치의 외면에 마디(21a)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슬리브(2i)의 철근삽입부(22)와 동일한 형태이면서 내면에 상기 슬리브(2i)의 마디홈(27) 및 중심홈(27a)과 같은 형태의 마디홈(32)과 중심홈(32a)을 형성한 마디편체(3)를 추가로 포함하며, 쐐기(4i)는 횡방향의 양단의 걸림고리(45)가 한 쪽 방향으로만 꺾이게 형성함으로써 두 철근(1, 1a)을 겹치지 않고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32 항에 있어서, 마디편체(3)의 외면인 쐐기접촉면(33)과 쐐기(4i)의 바닥면(43)에 톱날모양의 톱니면(33a, 43a)을 형성하여 상호 걸림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32 항에 있어서, 슬리브(2i)의 걸림고리(23)의 축방향의 중심부분을 제거하여 개방부(2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3023A KR101132685B1 (ko) | 2004-08-11 | 2004-08-11 | 철근 연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3023A KR101132685B1 (ko) | 2004-08-11 | 2004-08-11 | 철근 연결구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2859U Division KR200367678Y1 (ko) | 2004-08-11 | 2004-08-11 | 철근 연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4474A KR20060014474A (ko) | 2006-02-16 |
KR101132685B1 true KR101132685B1 (ko) | 2012-06-21 |
Family
ID=37123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3023A KR101132685B1 (ko) | 2004-08-11 | 2004-08-11 | 철근 연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2685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8039B1 (ko) * | 2012-11-14 | 2014-12-02 | 홍종국 | 철근 연결구 |
CN105569277A (zh) * | 2015-12-16 | 2016-05-11 | 天津银龙高科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 一种钢筋连接头 |
CN105822024A (zh) * | 2016-04-08 | 2016-08-03 | 烟台三新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建筑钢筋保护层夹装设备 |
US11293182B2 (en) | 2016-09-12 | 2022-04-05 | Coupler Solutions Limited | Coupling device, associated parts and a method of use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7113B1 (ko) * | 2008-03-18 | 2008-06-13 | 주식회사 태원코퍼레이션 | 철근 커플러 |
KR100911803B1 (ko) * | 2008-07-23 | 2009-08-12 | 김용근 | 조립식 계단 |
CN111979922A (zh) * | 2020-09-02 | 2020-11-24 | 南华大学 | 一种通过扩孔型螺栓套筒并排搭接钢筋的方法 |
CN115110647B (zh) * | 2022-08-08 | 2024-05-07 | 中信国安建工集团有限公司 | 一种应用于伸缩后浇带的浇筑混凝土结构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78742A (ja) * | 1982-04-15 | 1983-10-19 | 東急建設株式会社 | 鉄筋等の継手 |
JPH1144048A (ja) * | 1997-07-29 | 1999-02-16 | Isaka Shoko Kk | 鉄筋結束金具 |
JP2003253813A (ja) * | 2002-02-28 | 2003-09-10 | Kyoei Seisakusho:Kk | 鉄筋連結金具 |
KR20040063505A (ko) * | 2003-01-08 | 2004-07-14 | 김용근 | 철근 연결구 |
-
2004
- 2004-08-11 KR KR1020040063023A patent/KR1011326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78742A (ja) * | 1982-04-15 | 1983-10-19 | 東急建設株式会社 | 鉄筋等の継手 |
JPH1144048A (ja) * | 1997-07-29 | 1999-02-16 | Isaka Shoko Kk | 鉄筋結束金具 |
JP2003253813A (ja) * | 2002-02-28 | 2003-09-10 | Kyoei Seisakusho:Kk | 鉄筋連結金具 |
KR20040063505A (ko) * | 2003-01-08 | 2004-07-14 | 김용근 | 철근 연결구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8039B1 (ko) * | 2012-11-14 | 2014-12-02 | 홍종국 | 철근 연결구 |
CN105569277A (zh) * | 2015-12-16 | 2016-05-11 | 天津银龙高科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 一种钢筋连接头 |
CN105569277B (zh) * | 2015-12-16 | 2017-10-27 | 天津银龙高科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 一种钢筋连接头 |
CN105822024A (zh) * | 2016-04-08 | 2016-08-03 | 烟台三新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建筑钢筋保护层夹装设备 |
US11293182B2 (en) | 2016-09-12 | 2022-04-05 | Coupler Solutions Limited | Coupling device, associated parts and a method of use thereof |
US11332935B2 (en) | 2016-09-12 | 2022-05-17 | Coupler Solutions Limited | Coupling device, associated parts and a method of use thereof |
US11773595B2 (en) | 2016-09-12 | 2023-10-03 | Coupler Solutions Limited | Coupling device, associated parts and a method of use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4474A (ko) | 2006-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072720B2 (ja) | 鉄筋継手具 | |
KR101184226B1 (ko) | 철근망 구조물 연결장치 및 철근망 구조물 연결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 | |
US20150056008A1 (en) | Bar coupler | |
KR100914049B1 (ko) | 철근 연결용 굴절식 커플러 | |
KR101132685B1 (ko) | 철근 연결구 | |
KR200386336Y1 (ko) | 철근 연결구 | |
JP5541521B2 (ja) | 混合構造梁 | |
KR200367678Y1 (ko) | 철근 연결구 | |
KR101598339B1 (ko) | 데크플레이트 결합용 체결구 | |
KR20070027431A (ko) |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스폿용접으로고정시키는 결속구 | |
KR200374940Y1 (ko) | 철근 연결구조 | |
KR101264573B1 (ko) | 보강철근 결속용 고정클립 | |
KR20140108902A (ko) | 충전재주입식 철근연결구 | |
JP2009299267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部材接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部材の接合方法 | |
JP5002085B2 (ja) | 誘導埋込み材及びそれを用いたひび割れ誘導構造 | |
KR200349643Y1 (ko) | 철근연결구조 | |
KR20060081996A (ko) | 철근 연결구 | |
KR100792556B1 (ko) | 철근 이음기 | |
KR100684235B1 (ko) | 스트럽철근커플러 | |
KR101791177B1 (ko) |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합성거더에서 볼트와 너트 구조에 의한 복부파형강판과 콘크리트의 합성연결 구조 | |
KR200398060Y1 (ko) | 철근 연결장치 | |
KR100442704B1 (ko)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인장재 보강 방법 및 그구조 | |
KR200381298Y1 (ko) | 거푸집 체결구조 | |
KR200361102Y1 (ko) | 철근 연결장치 | |
KR20220152441A (ko) | 철근 연결용 클램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7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