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060Y1 - 철근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연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8060Y1 KR200398060Y1 KR20-2005-0020132U KR20050020132U KR200398060Y1 KR 200398060 Y1 KR200398060 Y1 KR 200398060Y1 KR 20050020132 U KR20050020132 U KR 20050020132U KR 200398060 Y1 KR200398060 Y1 KR 20039806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ghtening
- reinforcing bar
- coupling
- fastening
- coupl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grav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42—Means in or on the elements for connecting same to handling apparatu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강도를 높여주는 철근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철근을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따른 부품의 가공성과 구조 및 체결력을 개선하여 작업 현장에서 철근의 연결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철근의 인장강도를 높이고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철근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원통 형상을 갖고 중앙 양측으로 나사부가 형성되며 측면으로 조임볼이 끼워지는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철근이 상기 결합부재의 내측으로 끼워지게 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양측으로 조임부재가 끼워지게 하되 상기 조임부재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한편 그 대향되는 쪽에 받침턱을 형성하며, 내측으로 조임볼을 압착시키는 경사면을 형성시킴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철근의 연결작업이 간편히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강도를 높여주는 철근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철근을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따른 부품의 가공성과 구조 및 체결력을 개선하여 작업 현장에서 철근의 연결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철근의 인장강도를 높이고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철근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시멘트, 모래, 자갈, 물 등이 적합한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복합 조성물로서, 압축강도는 비교적 높지만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에 비하여 매우 낮아 균열이 쉽게 발생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같은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 안에 철근을 결속시켜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서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하여 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압축 및 인장강도가 우수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물리적 특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각종 건축 및 토목공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종래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해선 철근을 소정형태로 배열하는 배근작업이 수행되는데, 철근은 일반적으로 규격화된 길이로 제작됨에 따라 배근작업시 소정길이의 철근을 상호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이러한 기존의 철근 연결방법은 주로 겹 이음방법, 용접 이음방법, 커플러 이음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다.
위에서 겹 이음방법은 서로 겹쳐진 철근의 단부에 철사를 감아 상호 연결하는 방법으로, 배근작업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으나, 철근마다 철사를 일일이 감아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연결 부분의 굽힘강도가 취약하여 안전상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용접 이음방법은 철근의 단부를 서로 맞대어 용접하는 방법으로, 연결 부분의 강도는 양호하여 문제가 없으나,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려 공사가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커플러 이음방법은 커플러를 이용하여 철근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방법으로, 선행기술로서 국내 특허 제0240099호(철근연결구조)와, 실용신안등록 제0317137호(이형철근 연결 커플러)가 제안 되었으며, 이러한 종래의 선행기술은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품생산에 따른 코스트가 높으며,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공사가 지연됨은 물론 연결작업에 많은 수의 부품이 소요됨에 따라 연결부위의 강도가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종래와 같은 철근의 연결방법 중에서 커플러 이음방법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생산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함은 물론 철근의 연결작업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실시하여 공사비를 절감하는 한편 연결 부분의 강도가 우수한 "철근 연결장치"의 기술을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332980호와, 제0332981호로 선등록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본 출원인이 선등록한 선행기술의 철근 연결장치를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연결장치에 따른 부품의 가공성과 구조 및 체결력을 개선하여 작업 현장에서 철근의 연결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철근의 인장강도를 높이고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철근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원통 형상을 갖고 중앙 양측으로 나사부가 형성되며 측면으로 조임볼이 끼워지는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철근이 상기 결합부재의 내측으로 끼워지게 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양측으로 조임부재가 끼워지게 하되 상기 조임부재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한편 그 대향되는 쪽에 받침턱을 형성하며, 내측으로 조임볼을 압착시키는 경사면을 형성시킴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철근의 연결작업이 간편히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조임부재가 직접 나사 결합되게 하되 상기 조임부재는 내측으로 조임볼이 끼워진 결합링을 설치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임부재의 결합에 의해 조임부재와 결합링의 내측에 위치하는 철근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철근 연결장치(1)에 따른 부품의 가공성과 구조 및 체결력을 개선하여 철근의 인장강도를 높이는 한편 연결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실시되도록 시공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으로서, 도면의 도 1내지 도 5에 본 고안의 실시예 도면을 나타내고 있고, 도면의 도 6내지 도 8에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주된 특징은 내측으로 철근(2)(2a)이 끼워지는 원통형의 결합부재(10)에 양측으로 조임부재(20)(20a)를 결합시켜 철근(2)(2a)을 연결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결합부재(10)는 양측으로 조임볼(15)(16)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공(13)(14)을 형성하고, 중앙 외측에는 조임부재(20)(20a)의 나사부(21)(21a)가 결합되는 나사부(11)(12)를 형성시켜 구성하며, 본 고안의 조임부재(20)(20a)는 일측으로 나사부(21)(21a)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받침턱(22)(22a)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경사면(23)(23a)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결합공(13)(14)은 조임볼(15)(16)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워지나 내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결합공(13)(14)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조임부재(20)(20a)의 나사부(21)(21a)는 철근(2)(2a)의 외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부재(10)의 나사부(11)(12)에 나사 결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조임볼(15)(16)은 철근(2)(2a)의 리브(3)(3a)에 걸쳐질 수 있도록 거리를 두어 설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주된 요지는 상호 연결이 요구되는 철근(2)(2a)의 양측에 각각 조임부재(20)(20a)를 끼우고, 철근(2)(2a)의 선단이 결합부재(10)의 내측에 끼워지게 하되 상기 결합부재(10)에 조임부재(20)(20a)에 나사결합 되면서 경사면(23)(23a)이 조임볼(15)(16)을 눌러 철근(2)(2a)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철근의 인장 강도를 높이는 한편 부품의 가공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조임부재(20)(20a)를 결합부재(10)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풀어준 상태에서 양측으로 철근(2)(2a)을 넣어주게 되고, 이때에는 조임볼(15)(16)이 경사면(23)(23a)에 의해 받쳐지지 않게 되어 결합부재(10)의 내측으로 철근(2)(2a)이 원활히 삽입되며, 이때 돌출된 리브(3)(3a)가 조임볼(15)(16)에 걸리지 않아 철근(2)(2a)의 삽입에 문제가 없게 된다.
철근(2)(2a)이 끼워진 상태에서 조임부재(20)(20a)를 조이면 조임부재(20)(20a)의 경사면(23)(23a)이 조임볼(15)(16)을 누르게 되어 조임볼(15)(16)이 결합부재(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철근(2)(2a)의 리브(3)(3a)에 걸리게 되며, 조임부재(20)(20a)가 조여 질수록 철근(2)(2a)은 서로 맞닿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고, 조임볼(15)(16)이 철근(2)(2a)의 리브(3)(3a)를 받치게 되어 철근(2)(2a)이 분리되지 않고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부재(120)(120a)를 직접 결합시키되 조임부재(120)(120a)의 내측으로 조임볼(115)(116)이 끼워진 결합링(110)(111)을 설치하여 조임부재(120)(120a)가 결합될 때 조임볼(115)(116)이 철근(2)(2a)의 리브(3)(3a)를 받쳐주게 되어 철근(2)(2a)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링(110)(111)이 조임부재(120)(120a)와 이탈되게 되나 평상시 조임부재(120)(120a)를 서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보관하므로서 결합링(110)(111)의 이탈이나 조임볼(115)(116)의 이탈을 방지하고, 철근(2)(2a)의 결합시 조임부재(120)(120a)가 서로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풀어주어 조임볼(115)(116)이 경사면(123)(123a)에 눌리지 않도록 하므로서 양측에서 철근(2)(2a)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며, 철근(2)(2a)이 끼워진 후 조임부재(120)(120a)를 서로 결합시켜 조임볼(115)(116)이 철근(2)(2a)의 리브(3)(3a)를 받치도록 하여 철근(2)(2a)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2)(2a)의 연결작업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결합부재(10)에 결합되어 있는 조임부재(20)(20a)를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풀어주어 조임볼(15)(16)이 경사면(23)(23a)에 눌리지 않도록 한 후 조임부재(20)(20a)의 받침턱(22)(22a) 쪽에서 결합부재(20)(20a)의 내측으로 철근(2)(2a)의 단부를 밀어 넣어 결합부재(10)의 내부 중앙에서 철근(2)(2a)이 서 맞닿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철근(2)(2a)이 결합부재(10)의 내측으로 끼워질 때 철근(2)(2a)의 리브(3)(3a)가 돌출되어 있어 조임볼(15)(16)과 걸릴 염려가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경사면(23)(23a)에서 조임볼(15)(16)을 받치지 않도록 조임부재(20)(20a)를 풀어주므로서 철근(2)(2a)이 끼워질 때 누름볼(15)(16)을 외측으로 누르며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즉 철근(2)(2a)이 결합부재(10)에 끼워질 때 철근(2)(2a)의 리브(3)(3a)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도 4와 같이 끼워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철근(2)(2a)이 결합부재(10)의 내측에 위치하되 철근(2)(2a)의 단부가 서로 결합부재(10)의 내측에서 만날 수 있도록 한 후에는 조임부재(20)(20a)를 조여 철근(2)(2a)을 연결시키면 된다.
도 4와 같이 조임부재(20)(20a)를 결합부재(10)에서 풀어준 상태에서 철근(2)(2a)을 끼우게 되고, 철근(2)(2a)이 결합부재(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면, 도 5와 같이 조임부재(20)(20a)를 회전시켜 조임부재(20)(20a)가 결합부재(10)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부재(10)의 중앙쪽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조임부재(20)(20a)가 결합부재(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중앙으로 이동하게 되면 경사면(23)(23a)이 조임볼(15)(16)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조임볼(15)(16)은 철근(2)(2a)의 외측을 압착하게 되며, 조임볼(15)(16)이 더 이상 압착되지 않을 정도가 되면 조임부재(20)(20a)의 회전이 정지되어 철근의 결합이 완료되게 된다.
이때 조임볼(15)(16)은 철근(2)(2a)의 외측에 밀착되고, 리브(3)(3a)에 의해 이동이 정지되어 철근(2)(2a)이 결합부재(10)의 외측으로 이탈하려는 힘을 받을 때 조임볼(15)(16)이 리브(3)(3a)를 받치고 있어 철근(2)(2a)이 외측으로 빠지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조임부재(20)(20a)에 형성된 경사면(23)(23a)는 조임부재(20)(20a)가 결합부재(10)에 결합되는 초기 상태에서 조임볼(15)(16)이 충분히 결합부재(10)의 외측으로 이탈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하고, 조임부재(20)(20a)가 결합부재(10)에 결합될 수록 조임볼(15)(16)을 결합부재(10)의 내측으로 밀어 넣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조임부재(120)(120a)가 서로 나사부(121)(121a)에 의해 직접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조임부재(120)(120a)의 내측에 조임볼(115)(116)이 끼워진 결합링(113)(114)을 설치하므로서 철근(2)(2a)이 조임부재(120)(120a)의 받침턱(122)(122a) 부위에서 끼워져 결합링(110)(111)의 내측에서 선단이 서로 맞닿게 한 후 조임부재(120)(120a)를 조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도 7과 같이 조임부재(120)(120a)를 서로 조이지 않고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풀어준 상태에서 철근(2)(2a)이 끼워지게 하고, 철근(2)(2a)이 끼워진 후에는 조임부재(120)(120a)를 서로 조여 조임부재(120)(120a)의 경사면(123)(123a)이 조임볼(115)(116)을 눌러 주므로서 철근(2)(2a)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철근 연결장치(1)에 따른 부품의 구조와 체결방식을 개선하여 작업 현장에서 철근의 연결작업에 따른 조립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부품의 가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강한 체결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철근 연결장치에 따른 부품의 가공성과 구조 및 체결력을 개선하여 작업 현장에서 철근의 연결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연결되는 양쪽 철근의 인장강도를 높이고 시공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철근의 배근작업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켜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한편 인건비를 대폭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철근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조임부재 조임 전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조임부재 조임 후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조임부재 조임 전 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조임부재 조임 후 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a : 철근 3,3a : 리브
10 : 결합부재 11,12 : 나사부
13,14 : 결합공 15,16 : 조임볼
20,20a : 조임부재 21,21a : 나사부
23,23a : 경사면
Claims (4)
- 원통형상을 갖고, 외측 중앙 양쪽에 나사부(11)(12)가 형성되며, 양측으로 조임볼(15)(16)이 끼워지는 결합공(13)(14)이 형성되는 결합부재(10)와,상기 결합부재(10)의 나사부(11)(12)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21)(21a)가 일측으로 형성되고, 타측으로 받침턱(22)(22a)이 형성되며, 중앙으로 경사면(23)(23a)이 형성되는 조임부재(20)(20a)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조임부재(20)의 경사면(23)은 조임부재(20)가 결합부재(10)에 결합이 진행될수록 조임볼(15)을 결합부재(10)의 내측으로 밀어주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조임볼(15)이 끼워지는 결합공(13)은 결합부재(10)의 외측에서 끼워진 조임볼(15)이 결합부재(10)의 내측으로 돌출만 될 뿐 통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장치.
- 내측으로 경사면(123)(123a)이 형성되며 서로 결합되게 형성된 나사부(121)(121a)에 의해 조임부재(120)(120a)가 서로 결합되게 하고, 상기 조임부재(120)(120a)의 내측으로 조임볼(115)(116)이 결합공(113)(114)에 끼워지는 결합링(110)(11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0132U KR200398060Y1 (ko) | 2005-07-11 | 2005-07-11 | 철근 연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0132U KR200398060Y1 (ko) | 2005-07-11 | 2005-07-11 | 철근 연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8060Y1 true KR200398060Y1 (ko) | 2005-10-11 |
Family
ID=43699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0132U KR200398060Y1 (ko) | 2005-07-11 | 2005-07-11 | 철근 연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8060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39160A (zh) * | 2016-05-19 | 2017-05-10 | 株式会社恩图恩 | 一种钢筋套筒 |
-
2005
- 2005-07-11 KR KR20-2005-0020132U patent/KR20039806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39160A (zh) * | 2016-05-19 | 2017-05-10 | 株式会社恩图恩 | 一种钢筋套筒 |
KR101813377B1 (ko) * | 2016-05-19 | 2017-12-28 | 조석현 | 철근 커플러 |
CN106639160B (zh) * | 2016-05-19 | 2020-06-09 | 金花 | 一种钢筋套筒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4049B1 (ko) | 철근 연결용 굴절식 커플러 | |
KR101269639B1 (ko) | 피씨 구조물의 단부 철근 이음용 코어식 슬리브 | |
KR200398060Y1 (ko) | 철근 연결장치 | |
KR101132685B1 (ko) | 철근 연결구 | |
KR200400440Y1 (ko) | 철근 연결장치 | |
KR20110017551A (ko) | 철근 연결용 압착식 커플러 | |
KR200374940Y1 (ko) | 철근 연결구조 | |
KR200361102Y1 (ko) | 철근 연결장치 | |
KR20060093889A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 건식 접합구조 | |
KR101025489B1 (ko) | 각도조절이 가능한 철근 커플러 | |
KR102473333B1 (ko) | 키이가 일체로 구성된 철근 커플러용 클램프 및 그 클램프의 제조방법 | |
KR200392032Y1 (ko) | 철근 연결장치 | |
KR100850230B1 (ko) | 입상 성형 슬리브 설치 구조체 및 그것을 이용한 공사 방법 | |
KR100439628B1 (ko) | 철근의 연결구조 | |
KR20080002694U (ko) | 철근트러스일체형 슬래브거푸집의 연결구 | |
KR19980063010U (ko) | 철근이음용슬리브 | |
KR200332980Y1 (ko) | 철근 연결장치 | |
KR102398169B1 (ko) | 철근 커플러용 클램프의 원뿔형 키이 제조방법 및 원뿔형 키이 | |
KR200417272Y1 (ko) | 철근 연결장치 | |
KR200210602Y1 (ko) | 슬리브결합형 철근이음쇠 | |
KR200203628Y1 (ko) | 철근 연결장치 | |
KR200234873Y1 (ko) | 철근의 연결구조 | |
KR200367678Y1 (ko) | 철근 연결구 | |
KR102245334B1 (ko) | 철근을 이용하여 추가 프리스트레스 도입이 가능한 상부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 시공 방법 | |
KR102398159B1 (ko) | 철근 커플러용 클램프의 원통형 키이 제조방법 및 원통형 키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1004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