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855B1 - 피스톤밸브형 자동유수검지장치 - Google Patents
피스톤밸브형 자동유수검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1855B1 KR101131855B1 KR1020110024885A KR20110024885A KR101131855B1 KR 101131855 B1 KR101131855 B1 KR 101131855B1 KR 1020110024885 A KR1020110024885 A KR 1020110024885A KR 20110024885 A KR20110024885 A KR 20110024885A KR 101131855 B1 KR101131855 B1 KR 1011318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ston
- water
- main body
- detection device
- cylin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신규한 구조를 갖는 피스톤밸브형 자동유수검지장치에 있어서, 본체는 물의 출입을 위한 유입구, 유출구 및 내부공간을 가지며, 본체의 외부에는 전기적 기능의 스위치가 장착된다. 양단이 개방된 실린더가 본체 내벽에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의 내면 또는 외면을 따라 이동가능 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부 또는 외부에 피스톤이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 또는/및 상기 피스톤의 내벽에는 유입구 측 및 유출구 측의 물이 상호 연통되도록 유통구가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은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이하 “헤드”라 함)를 설치한 습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에서 헤드의 개방 및 방수에 따라 상기 유출구 측의 본체 내부공간과 상기 유입구 측 사이에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이동하여 헤드의 방수량과 동일량의 물을 선택적으로 유통시킴과 동시 상기 전기적 기능의 스위치를 작동시켜 유수사실을 검지하도록 기능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유수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가 설치되고, 소화용수의 급수장치로부터 상기 헤드까지 만수상태로 유지되는 급수배관이 구성된 습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에서 상기 급수배관 상에 설치하여 상기 헤드의 개방으로 상기 급수배관에서 발생하는 유수를 자동적으로 검지하는 자동유수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습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에 설치되는 헤드가 화재시의 개방으로 방수함에 따라 유출 측 및 유입 측 간에 발생 되는 압력차에 의해 피스톤이 이동함으로써 물의 유통이 일어나고,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전기적으로 검지함으로써 유수발생을 인지할 수 있게 하는 보다 진보된 기능의 유수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고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에 결속된 실린더의 내면 또는 외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단 또는 하단이 폐쇄된 피스톤이 유출 측 수압의 감소로 인해 유입 측 수압에 의해 유출 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 또는/및 상기 피스톤의 측벽에 형성된 유통구가 개구됨으로써 상기 유입 측의 물이 유출 측으로 유통됨과 동시, 상기 본체의 외면에 장착된 전기적 기능의 스위치가 상기 피스톤에 결속된 기동부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유수를 검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1부대장치가 장착된 종래의 유수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제2부대장치가 장착된 종래의 유수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유수검지장치는, 스윙형 클래퍼(ⓐ)의 개방시 물이 들어갈 수 있는 바이패스유입구(ⓑ)가 시트(Seat)(ⓒ)에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유입구(ⓑ)로 들어가는 물이 본체외면에 형성된 바이패스유출구(ⓓ)에 도달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 체크밸브와, 상기 바이패스유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바이패스유출구(ⓓ)를 통해 흘러나오는 물의 압력을 검지하도록 구성된 바이패스연결관(ⓕ)을 포함하는 일련의 배관 및 기기들(이하 이를 집합적으로 “부대장치”라 함)이 상기 체크밸브와 서로 연계되어만 유수검지기능이 이루어지는 복합장치이다.
그러므로 상기 체크밸브 및 상기 부대장치 중 어느 한 가지만으로는 유수검지장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부대장치에는 구성방식에 따라 두 유형이 있다. 하나의 유형(이를 “제1부대장치”라 함)은 상기 바이패스연결관(ⓕ) 상에 시간지연기능의 압력스위치(ⓖ)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며, 다른 하나의 유형(이를 “제2부대장치”라 함)은 상기 바이패스연결관(ⓕ)의 말단에 시간지연기능의 리타딩챔버(Retarding chamber)(ⓗ)를 설치하고 상기 리타딩챔버(Retarding chamber)(ⓗ)의 상부 및 하부에 시간지연기능이 없는 압력스위치(ⓘ) 및 자동배수기구(ⓙ)가 각각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자동배수기구(ⓙ)는 유입되는 물을 외부로 매우 작은 유량으로 상시 배출하는 기능의 것으로서, 대표적인 예로 구경이 보통 약 3 mm 이하인 배수용 오리피스(Orifice)가 형성된 자동배수기구(ⓙ)를 들 수 있다.
급수배관에 상기한 종래의 유수검지장치가 설치된 경우 유수정지상태에서는 상기 체크밸브의 상기 클래퍼(ⓐ)는 항상 닫힌 상태에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유입구(ⓑ)는 상기 클래퍼(ⓐ)에 의해 물이 들어갈 수 없도록 봉쇄되어 상기 제1부대장치 또는 상기 제2부대장치는 검지기능을 발휘하지 않는다.
그러나, 유수의 발생시 상기 클래퍼(ⓐ)는 유수력에 의해 들리게 되어 상기 바이패스유입구(ⓑ)의 봉쇄가 해제됨으로써 물이 상기 바이패스연결관(ⓕ)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수압에 의해 사전 설정된 시간지연 후 상기 제1부대장치의 압력스위치(ⓖ) 또는 상기 제2부대장치의 압력스위치(ⓘ)가 작동함으로써 유수의 검지가 이루어진다.
습식 스프링클러설비에서 소화용 주펌프의 자동기동을 위해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충압펌프가 유수정지상태에서 평상시 급수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로 인한 배관 속의 수압강하를 보충하기 위해 간헐적으로 작동하거나, 정기적인 성능시험을 위해 상기 주펌프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우발적 원인으로 상기 주펌프가 작동하는 경우 일시적으로 발생하다가 차츰 소멸되는 고에너지의 압력파로 인해 생기는 맥동압력의 충격으로 상기 밸브의 클래퍼(ⓐ)가 일시적으로 개방되거나 들썩거리는 현상이 일어남으로써 상기 바이패스유입구(ⓑ)를 통해 상기 바이패스연결관(ⓕ)으로 물이 유입되기 때문에, 상기 제1부대장치에 시간지연기능이 없는 압력스위치(ⓘ)를 장착하거나, 상기 제2부대장치에 시간지연기능의 리타딩챔버(ⓗ)를 설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1부대장치 및 상기 제2부대장치는 서로 동일한 구성방식이 되고 상기 바이패스연결관(ⓕ)으로 물이 유입될 때마다 상기 압력스위치(ⓘ)가 작동하는 오검지(誤檢知) 상황이 일어날 수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해, 상기 제1부대장치의 경우 맥동의 소멸로 상기 클래퍼(ⓐ)가 다시 닫히는 시점까지 시간지연기능의 압력스위치(ⓖ)를 장착하고, 상기 제2부대장치의 경우 상기한 맥동현상에 의해 상기 리타딩챔버(ⓗ)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리타딩챔버(ⓗ)를 모두 채우기 전에 맥동이 소멸되어 상기 압력스위치(ⓘ)가 오검지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상기 리타딩챔버(ⓗ)를 장착하는 것이다.
다만, 상기 리타딩챔버(ⓗ)에 상기 자동배수기구(ⓙ)가 장착되지 않으면 맥동현상의 발생시마다 상기 리타딩챔버(ⓗ)로 들어오는 물이 계속 누적되어 상기 리타딩챔버(ⓗ)가 만수상태로 유지되어버리면 시간지연기능이 상실되므로, 일시적으로 들어오는 물을 상기 자동배수기구(ⓙ)에 의해 상시 배수되게 함으로써 상기 리타딩챔버(ⓗ)는 평상시 항상 비워진 상태 즉 시간지연기능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크밸브는 유수의 발생시 상기 제1부대장치 또는 상기 제2부대장치로 물을 제공하는 데에 필요한 유로를 내부에 형성하고 있을 뿐, 상기 체크밸브 자체가 유수검지기능을 갖는 것은 아니며, 유수검지기능은 상기 제1부대장치 또는 상기 제2부대장치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유수검지의 메커니즘에서 볼 때, 종래의 유수검지장치는 유수에 직접 감응하는 방식의 검지가 아니라 유수에 의해 부수되는 압력으로의 전환절차를 경유하는 간접적 방법에 따른 유수검지기능을 갖는다.
상기한 종래의 유수검지장치는 평상시 상기 맥동현상의 발생에 따라 비정상적으로 상승 된 맥동압력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의 클래퍼(ⓐ)가 일시적으로 열리거나 들썩거릴 때마다 상기 바이패스유입구(ⓑ)로 유입되는 물속에 함유된 고형(固型) 이물질(異物質)의 누적으로 세월의 경과와 더불어 상기 바이패스유입구(ⓑ)와 상기 바이패스유출구(ⓒ) 사이의 유로가 막힘으로써 상기 제1부대장치 또는 상기 제2부대장치가 유수검지불능 상태로 되거나, 상기 이물질의 축적으로 상기 바이패스연결관(ⓕ)의 말단부분이 막히는 경우에는 맥동현상의 반복으로 상기 바이패스연결관(ⓕ) 속이 항상 물로 채워진 상태가 되어 상기 제1부대장치의 경우 상기한 시간지연기능형의 압력스위치(ⓖ)가 작동된 상태 즉 오검지 상태가 될 수 있고, 상기 제2부대장치의 경우에는 검지 불능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부대장치의 경우 고형의 이물질에 의해 상기 자동배수기구(ⓙ)의 상기 오리피스가 막히는 경우에는 상기 리타딩챔버(ⓗ)의 시간지연기능 상실로 맥동현상이 발생할 때마다 오검지가 일어날 수 있어, 상기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상기 제1부대장치 및 상기 제2부대장치에는 수시로 점검 및 손질을 요하는 불편성이 상존한다.
종래의 유수검지장치가 설치된 다층건물의 화재층에서 상기한 종래의 유수검지장치가 검지 불능 상태에 있는 경우 당해 층의 신속한 인명대피를 위한 음향경보가 일어나지 않아 인명피해가 발생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오검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다른 비 화재층들에서도 경보가 발생 될 수 있어 정작 화재층을 파악하기 힘든 혼란이 야기될 수도 있다.
종래의 유수검지장치가 갖고 있는 이와 같은 검지 불능 또는 오검지의 문제점 때문에, 스프링클러설비에 관해 소방방재청장이 고시한 화재안전기준에서는 유수검지기능을 이용한 화재시의 인명대피용 경보음향의 제공목적 외에도 소화용 주펌프의 자동기동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음에도 종래의 유수검지장치는 화재시의 인명대피를 위한 음향경보용으로만 이용되고 있을 뿐이다.
습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에서는 화재시 화재의 경중에 따라 헤드가 다수 개방될 수 있으나 거의 예외 없이 한 개씩 순차적으로 개방되며, 개방개수의 증가에 따라 유수량 또한 당연히 증가하는데, 비록 한 개만 개방되는 경우라도 배관의 유수는 일어나게 되므로, 스프링클러 헤드의 개방개수와 무관하게 상기 체크밸브의 클래퍼는 완전한 개방상태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유수검지장치는 물을 제공받아야 할 상기 부대장치가 필요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은 이물질 축적에 의한 검지 불능 또는 오검지의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배제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나의 장치 속에 유수검지기능을 일체화하여 유수에 대한 직접적인 감응방법으로 검지를 가능케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유통구가 유수량과 동일한 양의 물을 유통하도록 개구상태를 자체적으로 자동조절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동유수검지장치에 포함되는 상기 실린더 및 상기 피스톤은 발명자가 본 출원 건과 동일한 특허 등록번호제 10-0871170호의 자동감압밸브가 갖는 유통실린더 및 개폐피스톤과는 구조, 목적 및 기능이 서로 전혀 다르다.
상기 자동감압밸브는 각각 크기가 다른 두 내경의 유통실린더 및 크기가 다른 두 외경의 개폐피스톤으로 구성됨으로써 유출압력과 유입압력이 서로 동일한 경우에도 상기 개폐피스톤에 대해 유출 측에서 작용하는 힘 및 유입 측에서 작용하는 힘이 서로 달라지도록 구성되어 감압기능을 갖게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유수검지장치는 상기 실린더의 임의횡단면의 내경 또는 외경 및 상기 피스톤의 임의횡단면의 내경 또는 외경이 각각 일정하기 때문에 구조가 다를 뿐 아니라, 감압의 목적 및 기능도 전혀 없으며, 단지 유출 측 및 유입 측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상기 피스톤이 이동하는 구조일 뿐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의 유수검지장치가 갖고 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규한 구조를 구비한 자동유수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자동유수검지장치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과 상통하는 구조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각각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벽에 구비된 원통형의 내면 또는 외면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면 또는 외면을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 상기 실린더 또는/및 상기 피스톤의 측면에 형성된 유통구; 상기 본체의 외면에 장착된 전기적 기능의 스위치; 상기 피스톤에 포함 또는 결속되어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를 작동 또는 작동중지하게 하는 기동부; 상기 피스톤 또는/및 상기 본체나 상기 실린더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 상기 본체 및 상기 피스톤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에 대해 하부로 향하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 또는 상기 피스톤에 포함되어 상기 피스톤에 대해 하부로 향하는 힘을 제공하는 중량부;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자동유수검지장치는 유출 측 급수배관에 설치된 헤드의 개방으로 일어나는 방수로 인해 상기 피스톤에 작용하는 유출 측 수압이 감소 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에 작용하는 유입 측 수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중공 속으로 이동함에 따라 개구되는 상기 유통구를 통해 유입 측의 물이 상기 중공 속으로 유통됨과 동시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작동함으로써 유수에 대한 직접감응 방식으로 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유수검지장치는 유수의 검지 불능 또는 오검지의 원인요소를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유수정지상태에서 소화펌프 또는 충압펌프의 작동으로 발생할 수 있는 맥동압력의 충격을 받더라도 오검지가 발생하지 않고 헤드의 개방에 따른 유수발생에 대해서만 검지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화재시의 인명대피를 위한 신뢰성 있는 음향경보를 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유수검지장치는 물의 유통기능 및 유수검지기능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유수검지장치는 상기한 음향경보 외에도 주펌프의 자동기동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유수검지장치는 유수량과 동일한 양의 물을 유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제1부대장치가 장착된 종래의 유수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제2부대장치가 장착된 종래의 유수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은 제1부대장치가 장착된 종래의 유수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제2부대장치가 장착된 종래의 유수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자동유수검지장치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임의의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다른 구성 요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상부에” 또는 “하부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 위에 형성되거나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또 다른 구성 요소들이 상기 다른 구성요소 상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수검지장치(이하 “기존장치”라 함)로서 상기한 기능의 체크밸브에 상기 제1부대장치가 결부되는 기존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한 기능의 체크밸브에 상기 제2부대장치가 결부되는 기존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유수검지장치로서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고 하부 측벽에 유통구(8)가 형성된 상기 실린더(6)가 상기 본체(5)의 내벽에 구비되고, 상단개방 및 하단폐쇄 구조의 상기 피스톤(7)이 상기 실린더(6)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실린더(6)의 내면을 따라 삽입되며, 상기 피스톤(7)에 포함 또는 결속되어 상부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경사면(14) 및 상기 경사면(14) 하단부터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수직면(15)으로 이루어진 상기 기동부(10)가 구비되고, 상기 기동부(10)의 상기 경사면에 한쪽 말단(16)이 접촉되고 다른 쪽 말단부분은 상기 스위치(9)가 장착된 위치의 본체(5)와 결속되어 상기 피스톤(7)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9) 쪽으로 밀리거나 상기 기동부(10) 쪽으로 되밀려 상기 스위치(9)를 작동 또는 작동중지하게 하는 막대형구조물(17)이 구비되며, 유출 측의 상기 본체(5)와 결속된 평판구조물(18)과 상기 피스톤(7)의 사이에 상기 피스톤(7)에 대해 하부 쪽으로의 힘을 제공하는 기능 및 상기 피스톤(7)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상기 스토퍼(11)의 기능을 겸하는 상기 스프링(12)이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유수검지장치로서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고 하부 측벽에 상기 유통구(8)가 형성된 상기 실린더(6)가 상기 본체(5)의 내벽에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6)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단폐쇄 및 하단개방 구조의 상기 피스톤(7)이 상기 실린더(6)의 외면을 따라 삽입되며, 상기 경사면(14) 및 상기 경사면(14) 하단부터의 외측에 수직면(15)이 형성된 별도의 상기 기동부(10)가 상기 피스톤(7)에 포함 또는 결속되고, 상기 기동부(10)의 상기 경사면(14)에 한쪽 말단(16)이 접촉되고 다른 쪽 말단부분은 상기 스위치(9)가 장착된 위치의 본체(5)와 결속되어 상기 피스톤(7)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9) 쪽으로 밀리거나 상기 기동부(10) 쪽으로 되밀려 상기 스위치(9)를 작동 또는 작동중지하게 하는 막대형구조물(17)이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7)에 대해 하부 쪽으로 힘을 제공하는 상기 중량부(13)가 상기 피스톤(7)에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7)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중량부(13)의 외면 및 상기 실린더(6)의 상단 내면에서 각각 돌출된 상기 스토퍼(11)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유수검지장치로서 상기 실린더(6)에 제1유통구(8-1)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7)에 상기 제1유통구(8-1)와 다른 수직위치에 제2유통구(8-2)가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7)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유통구(8-1)와 상기 제2유통구(8-2)가 상호 연통 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동유수검지장치는 평상시 상기 습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에서 개방된 헤드의 방수로 인해 급수배관을 통해 유수가 일어나는 경우 상기 피스톤(7)에 작용하는 상기 중공(2)의 수압이 유입 측의 수압보다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7)은 유입 측의 수압에 의해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유통구(8)가 개구됨과 동시 상기 피스톤(7)과 함께 이동하는 상기 기동부(10)에 의해 상기 스위치(9)가 작동되어 유수의 발생을 검지한다.
상기 습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의 설치가 완료되어 급수배관을 물로 채우는 과정에서는 유수가 진행되어 상기 피스톤(7)이 상기 유통구(8)를 계속 개구상태로 유지함과 동시 상기 스위치(9)가 경보음향장치를 명동하게 할 수 있는 작동상태에 있게 되지만, 이 경우 현실에서는 관련제어반에서 상기 기존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음향경보를 사전에 중지시키는 조치를 반드시 취하게 되고, 급수배관이 만수가 되어 유수정지상태가 되는 순간 상기 개구된 유통구(8)로 인해 유입 측 및 상기 중공(2)의 수압이 같아지게 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12)의 힘 또는 상기 중량부(13)의 무게에 의해 상기 피스톤(7)이 상기 유통구(8)의 물 유통을 차단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하게 되며, 유출 측의 급수배관에서 상기 헤드의 개방에 따른 방수, 배관의 우발적 파열에 의한 배수 또는 상기 헤드의 개방과 갈음할 수 있는 방법에 의한 방수 등이 일어나지 않는 한 상기한 유수정지상태는 평상시 항상 유지되고, 유수의 정지로 상기 피스톤(7)이 물의 유통을 차단하는 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기동부(10)에 의한 상기 스위치(9)의 작동도 해제되므로 상기 관련제어반에서 상기 음향경보장치의 명동중지 조치도 해제하게 되며, 이와 같은 진행과정에서 기능하는 상기 기동부(10), 상기 스위치(9), 상기 스토퍼(11) 및 상기 스프링(12) 또는 상기 중량부(13)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막대형구조물(17)의 상기 말단(16)이 상기 기동부(10)의 상기 경사면(14)과 상부 쪽으로 서로 이격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5)에 상기 스위치(9)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둘 이상의 별도스위치(19)를 수직 이격거리가 서로 다르도록 추가로 장착하여, 유수의 발생으로 상기 스위치(9)가 작동 중인 과정에서 상기 유통구(8)를 통한 물 유통량의 증가에 의한 상기 피스톤(7)의 이동거리 증가에 따라 상기 별도스위치(19)가 순차적으로 작동됨으로써 둘 이상의 소화펌프가 설치된 경우 상기 소화펌프들의 순차적 자동운전을 위한 기동용으로 상기 스위치(9) 및 상기 별도스위치(19)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통구(8)를 통하거나, 상기 제1유통구(8-1)와 상기 제2유통구(8-2)가 상호 연통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피스톤(7)의 이동거리와 정비례하는 관계를 포함하는 다양한 함수적 관계에 따라 물이 유통하는 개구상태로 상기 유통구(8), 또는 상기 제1유통구(8-1) 및 제2유통구(8-2)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6)와 상기 피스톤(7) 사이의 미세한 틈새에서 상기 피스톤(7)의 보다 원활한 이동을 가능케 함과 동시 상기 피스톤(7)의 미세한 횡진동의 제어에도 기여할 수 있는 윤활성의 슬라이딩실(Sliding seal)(20-1)을 상기 틈새와 면하는 상기 실린더(6) 또는 상기 피스톤(7)에 장착할 수도 있으며, 상기 피스톤(7)이 상기 유통구(8)의 물 유통을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제1유통구(8-1) 및 상기 제2유통구(8-2)의 상호연통을 차단하는 이동정지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7)의 하단과 면하는 상기 본체(5) 또는 상기 실린더(6) 사이의 미세 틈새를 통해 유입 측과 상기 중공(2) 간에 물의 누설이 없도록 상기 미세 틈새와 각각 면하는 상기 피스톤(7), 또는 상기 본체(5) 또는 상기 실린더(6)에 밀폐실(20-2)을 장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유검지장치가 역류방지용 체크밸브의 기능을 갖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7)의 폐쇄된 상단 또는 하단에 작은 통수구멍(20-3)을 형성시켜 유입 측에서 유출 측으로 가해지는 맥동압력의 완화된 압력이 유출 측으로 전달되게 함과 동시 상기 유입 측 및 유출 측의 압력이 같아지는 데에 기여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치(9)가 한 개의 헤드 개방시의 방수량으로 인한 유수를 검지하는 데에 지장이 없도록 상기 통수구멍(20-3)은 상기 방수량보다 작은 양의 물이 통수될 수 있는 크기로 하며, 또한 상기 통수구멍(20-3)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한 밀폐실(20-2)이 장착되어야 할 이유는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자동유수검지장치의 정기적인 기능시험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9)의 작동을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5)에 전기적 표시등(9-1) 및/또는 음향장치(9-2)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구(4)와 상기 피스톤(7) 사이의 상기 본체(5)로부터 바이패스관(20-4)을 설치하고 상기 바이패스관(20-4)상에 유량조절밸브(20-5), 압력계(20-6), 시험용개폐밸브(20-7), 상기 헤드 또는 상기 헤드와 동일한 크기의 방수오리피스(20-8)를 수용한 사이트글래스(Sight glass)(20-9) 및 상기 사이트글래스와 연결된 배수연결관(20-10)을 설치하여 상기 시험용개폐밸브(20-7)의 개방으로 상기 방수오리피스(20-9)를 통한 방수가 상기 유량조절밸브(20-5)에 의한 유량조절을 통해 소방방재청장이 고시한 최소방수압력에서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유수검지장치의 정기적인 시험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구(4)와 상통하는 상기 본체(5)에 상기 자동유수검지장치의 정기적인 내부점검을 위하여 상기 본체(5) 속의 물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퇴수연결관(20-11)을 설치하고 상기 퇴수연결관(20-11)상에 퇴수용개폐밸브(20-12)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9)는 전자식 변위센서(LVDT)를 이용하여 상기 변위센서의 전기적 신호를 관련제어반에서 검출하는 방식으로 검지 기능에 갈음하게 함과 동시 상기 피스톤(7)의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변위센서가 제공하는 전류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검출하여 유수량의 정량적 파악에 따른 화재진행 과정에서 개방되는 헤드의 수 및 이에 따른 화재 진척상황의 파악에도 도움을 줌으로써 화재현장에서 실효적인 화재진압을 위해 순간순간 진행되는 다양한 대응방안의 수립에도 기여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 중공 3 : 유입구
4 : 유출구 5 : 본체
6 : 실린더 7 : 피스톤
8 : 유통구 8-1 : 제1유통구
8-2 : 제2유통구 9 : 스위치
10 : 기동부 11 : 스토퍼
12 : 스프링 13 : 중량부
14 : 경사면 15 : 수직면
16 : 말단 17 : 막대형구조물
18 : 평판구조물 19 : 별도스위치
20-1 : 슬라이딩실 20-2 : 밀폐실
20-3 : 통수구멍 20-4 : 바이패스관
20-5 : 유량조절밸브 20-6 : 압력계
20-7 : 시험용개폐밸브 20-8 : 방수오리피스
20-9 : 사이트글래스 20-10 : 배수연결관
20-11 : 퇴수연결관 20-12 : 퇴수용개폐밸브
4 : 유출구 5 : 본체
6 : 실린더 7 : 피스톤
8 : 유통구 8-1 : 제1유통구
8-2 : 제2유통구 9 : 스위치
10 : 기동부 11 : 스토퍼
12 : 스프링 13 : 중량부
14 : 경사면 15 : 수직면
16 : 말단 17 : 막대형구조물
18 : 평판구조물 19 : 별도스위치
20-1 : 슬라이딩실 20-2 : 밀폐실
20-3 : 통수구멍 20-4 : 바이패스관
20-5 : 유량조절밸브 20-6 : 압력계
20-7 : 시험용개폐밸브 20-8 : 방수오리피스
20-9 : 사이트글래스 20-10 : 배수연결관
20-11 : 퇴수연결관 20-12 : 퇴수용개폐밸브
Claims (9)
- 자동유수검치장치에 있어서,
물의 출입을 위한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는 중공의 본체;
양단이 개방되고,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 내벽에 구비되며, 외벽에 유통구를 갖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출구 측의 본체 내부와 상기 유입구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유통구를 개구하는 피스톤; 및
상기 본체 외면에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작동하는 전기적 기능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밸브형 자동유수검지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양단이 개방되고,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 내벽에 구비되며, 외벽에 제1유통구를 갖고,
상기 피스톤은 외벽에 제2유통구를 구비하며, 상기 유출구 측의 본체 내부와 상기 유입구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1유통구 및 상기 제2유통구가 상호 연통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밸브형 자동유수검지장치. - 삭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벽과 상기 피스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중공의 물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이 상기 유통구를 폐쇄하는 위치 또는 상기 제1유통구 및 상기 제2유통구 간의 상호연통을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피스톤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또는 중량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밸브형 자동유수검지장치. -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밸브형 자동유수검지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상기 유통구를 폐쇄한 위치 또는 상기 제1유통구 및 상기 제2유통구 간의 상호연통을 폐쇄한 위치에서 상기 유출 측과 상기 중공 사이의 물 유통을 방지하도록 상기 피스톤과 면하는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실린더의 사이에 구비되는 밀폐용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밸브형 자동유수검지장치. -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수의 정지상태에서 유입 측에서 상기 피스톤에 가해지는 맥동압력이 완화된 압력으로 유출 측에 전달되게 함과 동시 유입 측 및 유출 측의 압력이 같아지도록 상기 피스톤의 폐쇄된 상단 또는 하단에 유입 측과 유출 측이 상통하는 통수구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밸브형 자동유수검지장치. -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수검지기능의 정기적인 시험시 정상기능 여부를 시각적 및 청각적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표시등 및 음향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밸브형 자동유수검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4885A KR101131855B1 (ko) | 2011-03-21 | 2011-03-21 | 피스톤밸브형 자동유수검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4885A KR101131855B1 (ko) | 2011-03-21 | 2011-03-21 | 피스톤밸브형 자동유수검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31855B1 true KR101131855B1 (ko) | 2012-03-30 |
Family
ID=46143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4885A KR101131855B1 (ko) | 2011-03-21 | 2011-03-21 | 피스톤밸브형 자동유수검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185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1083Y1 (ko) * | 2004-03-02 | 2004-05-17 | 신현규 | 유수감지기 |
KR100871170B1 (ko) * | 2008-02-28 | 2008-12-05 | 김상욱 | 자동감압밸브 |
-
2011
- 2011-03-21 KR KR1020110024885A patent/KR10113185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1083Y1 (ko) * | 2004-03-02 | 2004-05-17 | 신현규 | 유수감지기 |
KR100871170B1 (ko) * | 2008-02-28 | 2008-12-05 | 김상욱 | 자동감압밸브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14516B2 (en) | Leak-detecting check valve, and leak-detection alarm system that uses said check valve | |
JP5187880B2 (ja) |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 |
KR20220011197A (ko) | 시험 배관 및 시험 밸브가 결합된 알람 밸브 시스템 | |
KR101131855B1 (ko) | 피스톤밸브형 자동유수검지장치 | |
JP2011010963A (ja) | 予作動式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 |
JP6147386B1 (ja) | 湿式スプリンクラーシステムの二次側配管における水排出及び水充填方法 | |
JP5443219B2 (ja) | トンネル水噴霧設備 | |
JP7001435B2 (ja) | 負圧湿式予作動スプリンクラー設備 | |
JP5863514B2 (ja) | 圧力調整弁及び流水検知装置 | |
CN105736822A (zh) | 一种多功能液体报漏阀 | |
JP5770583B2 (ja) |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 |
KR200425965Y1 (ko) | 소방용 자동 경보밸브 어셈블리 | |
JP2016033443A (ja) | 液体除去装置、スクリュ圧縮機、スクリュ膨張機及び延長ケーシング | |
KR101133874B1 (ko) | 간이스프링클러 수도직결형 장치 | |
KR101853249B1 (ko) | 2차측 과압 방지 구조가 내장된 소방용 알람 밸브 | |
JP5923366B2 (ja) | 消火設備 | |
JPH07178193A (ja) |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の遅延機構 | |
JP2611138B2 (ja) |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のオートドリップ弁 | |
KR200414294Y1 (ko) | 테스트용 오리피스 및 투명점검구가 구비된 알람밸브드레인 연결관 | |
JP3333588B2 (ja) | 泡消火設備 | |
JP3091334B2 (ja) |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 |
JP7171882B2 (ja) | 負圧湿式予作動スプリンクラー設備 | |
JP7557575B2 (ja) | 逆止弁装置 | |
JPS5881285A (ja) | 漏水監視装置 | |
JP5068211B2 (ja) |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