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236B1 - 강재를 이용한 터널 구조물 - Google Patents

강재를 이용한 터널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236B1
KR101130236B1 KR1020090108806A KR20090108806A KR101130236B1 KR 101130236 B1 KR101130236 B1 KR 101130236B1 KR 1020090108806 A KR1020090108806 A KR 1020090108806A KR 20090108806 A KR20090108806 A KR 20090108806A KR 101130236 B1 KR101130236 B1 KR 101130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locking
road
tunnel structure
cov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968A (ko
Inventor
김대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108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236B1/ko
Publication of KR20110051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21D11/18Arch members ; Network made of arch members ; Ring elements; Polygon elements; Polygon elements inside arch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삽입 기둥부들; 상기 삽입 기둥부들 상에 위치되어, 상기 삽입 기둥부에 의해 지지되는 바닥 프레임; 상기 바닥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바닥 프레임과의 사이에 차량 이동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커버 프레임을 덮은 상태로, 상기 도로 위에 위치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구조물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터널 구조물은 산사태로부터 도로를 보호할 뿐 아니라, 도로에서 이동하는 차량과 인명을 보호하고, 설치, 유지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다.
삽입 기둥부, 바닥 프레임, 커버 프레임, 터널 구조물, 절개지, 도로

Description

강재를 이용한 터널 구조물{TUNNEL STRUCTURE USING STEEL FRAMES}
본 발명은 지면이나 산에 도로 및 철로를 형성하는 데에 이용되는 터널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절개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산사태로부터 도로 및 철로를 보호할 수 있는 터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은 국토 면적의 2/3 가량이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과거에는 이러한 산지가 교통의 발달을 제한하여, 지역 간의 교류와 왕래가 제한적이었다. 이는 경제와 문화적인 측면에서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경제 발전을 이루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짐에 따라, 교통의 발전이 요구되었다. 이때, 자동차와 열차를 위한 도로 및 철로의 건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도로와 철로를 건설하기 위하여, 교통의 발달을 제한하던 산지를 관통하거나 깎는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많은 도로와 철로의 건설이 이루어지게 되었고, 교통의 발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경제 발전도 함께 도모하게 되었다.
아울러, 산지에 도로와 철로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산지에는 많은 절개지들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절개지는 산을 깎아서 절벽과 같이 만들어지는 비탈면을 의 미한다. 이러한 절개지는 토양 및 암석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절개지가 붕괴되는 산사태가 발생하여 토양이나 암석이 도로로 유입되는 경우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비가 많이 내리는 장마철에는 더욱 빈번하게 산사태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절개지에 인접한 도로 위에서 이동하던 차량이나 사람은 재산 및 인명 피해를 입게 된다. 아울러, 도로의 유실이나 차량 통행의 제한이 이루어진다.
또한, 절개지에서 이러한 산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개지에는 옹벽이 설치되거나, 나무를 심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런 작업에도 불구하고, 절개지에는 산사태가 여전히 발생하고 있고, 재산 및 인명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설치된 옹벽이 파손되고, 심겨진 나무가 절개지를 벗어나고, 오히려 이러한 것들이 도로로 유입되기도 한다.
따라서, 절개지에 산사태가 발생하여, 여전히 도로 위에서 재산 및 인명 피해가 발생하고 도로의 유실과 통행제한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절개지에 설치되어 산사태로부터 차량 및 인명 피해를 줄이고, 낙하물로부터 도로를 보호하고 통행 제한의 발생을 제한하는 터널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설치, 유지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여, 이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터널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환경에 대한 향상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는 터널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도로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삽입 기둥부들; 상기 삽입 기둥부들 상에 위치되어, 상기 삽입 기둥부에 의해 지지되는 바닥 프레임; 상기 바닥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바닥 프레임과의 사이에 차량 이동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커버 프레임을 덮은 상태로, 상기 도로 위에 위치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구조물을 개시한다.
아울러, 상기 터널 구조물은, 아스팔트 타설 또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상기 바닥 프레임을 덮는 도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아치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차단부의 외면에서 낙하물의 축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터널 구조물은, 상기 차단부의 외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차단부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차단부의 외면에서 이동하여, 상기 차단부의 외면에 위치한 낙하물을 밀어내어 낙하시키는 낙하물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터널 구조물은, 상기 차단부의 외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빗물이 유입되고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유입된 상기 빗물이 상기 차단부의 외면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노즐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절개지 측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 프레임 상에서 수직하도록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바닥 프레임 상에서 상기 도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수직 프레임과 마주하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을 향하도록 경사져 설치되는 경사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경사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경사 프레임의 경사각(θR), 메움부의 경사각(θE) 및 절개지의 경사각(θ)의 관계는 θE < θR < 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측부를 덮는 측부 차단부; 상기 측부 차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 차단부; 각각의 상부 차단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 차단부에 의해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태양광을 수집하고 전기를 생성 및 저장하는 전지판들; 및 각각의 전지판과 결합되고, 상기 상부 차단부에 의해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부를 폐쇄됨에 따라 상기 전기로 발광하는 조명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구조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터널 구조물은 삽입 기둥부들, 바닥 프레임, 커버 프레임 및 차단부를 포함하여, 절개지에 인접한 도로에 설치된다.
바닥 프레임은 도로에 삽입 고정된 삽입 기둥부들 상에 위치되면서, 커버 프레임과 연결된다. 이때, 바닥 프레임과 커버 프레임 사이에는 차량 이동 공간이 형성되고, 커버 프레임은 차단부에 의해 덮이게 된다. 이로 인해, 절개지에서 산사태가 발생하는 겨우, 낙하물이 차단부에 의해 차단되어 도로 위로 도달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터널 구조물은 낙하물로부터 도로를 보호하고, 도로 위에서 이동하는 차량 및 사람도 보호하게 된다.
아울러, 바닥 프레임 및 커버 프레임은 강재로, 차단부는 파형 강판으로 제작된다. 이로 인해, 터널 구조물은 절개지의 산사태로 인해 발생되는 낙하물을 지지하게 되어 상당한 내구성을 갖게 된다.
또한, 터널 구조물이 강재 및 파형 강판으로 제작된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짐에 따라,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상호 간에 조립된다. 이로 인해, 터널 구조물의 설치, 유지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다른 구조물 건설 공사에 비하여 설치, 유지 보수 및 교체에 따른 시간과 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터널 구조물(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널 구조물(100)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터널 구조물(100)이 절개지(110)에 인접한 도로(120)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터널 구조물(100)은 삽입 기둥부(101)들, 바닥 프레임(102), 커버 프레임(103) 및 차단부(104)를 포함하여, 절개지(110)에 인접한 도로(120)에 설치된다.
삽입 기둥부(101)들은 복수 개로 이루어져, 도로(12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로 인해, 터널 구조물(100)은 삽입 기둥부(101)들에 의해 안정적으로 도로(120)에 위치되고, 특히 도로(120) 상에서 처지거나 침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이러한 삽입 기둥부(101)들의 위치에 따라, 도로(102) 상에서 터널 구조물(100)의 위치도 결정된다.
바닥 프레임(102)은 삽입 기둥부(101)들 상에 위치되어 삽입 기둥부(101)들과 결합되며, 삽입 기둥부(101)들에 의해 지지된다.
바닥 프레임(102)은 도로(120)의 진행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길이방향 부 재(102a)와 도로(120)를 횡단하는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폭 방향 부재(102b)로 나누어진다. 길이방향 부재(102a)는 도로(102)의 진행방향을 따라 삽입 기둥부(101)들과 연결되고, 폭 방향 부재(102b)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길이방향 부재(102a)와 연결된다. 이렇게 길이방향 부재(102a)와 폭 방향 부재(102b)가 상호 간에 연결됨에 따라, 바닥 프레임(102)은 사각형을 형성한다. 이때, 폭 방향 부재(102b)가 삽입 기둥부(101)들과도 연결됨에 따라, 바닥 프레임(102)의 각 모서리는 삽입 기둥부(101) 상에 위치되면서 삽입 기둥부(101)와 연결된다. 이로 인해, 바닥 프레임(102)은 사각형을 형성하면서 도로(102) 상에서 고정되어 위치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03)은 바닥 프레임(102)과 연결되어, 바닥 프레임(102)과의 사이에 차량 이동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차량은 바닥 프레임(102) 위로 이동하면서 커버 프레임(103)의 아래를 통과하게 된다.
아울러, 커버 프레임(103)은 바닥 프레임(102)과 연결될 때, 삽입 기둥부(101)와 연결된 바닥 프레임(102)의 모서리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커버 프레임(103)은 삽입 기둥부(101)들에 의해 도로(120) 상에 고정되어 위치된다. 아울러, 낙하물(예를 들어, 산사태)이 커버 프레임(103)으로 낙하하더라도, 커버 프레임(103)은 도로(120) 상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커버 프레임(103)은 일반적으로 아치형이다. 아치형으로 된 커버 프레임(103)은 낙하물의 하중을 견디기에 바람직한 형상이다. 하지만, 커버 프레임(103)은 이러한 아치형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차단부(104)는 커버 프레임(103)을 덮은 상태로 도로(120) 위에 위치된다. 이로 인해, 낙하물은 차단부(104)에 낙하하게 되어, 차량 이동 공간으로 유입되지 아니한다. 다시 말해서, 차단부(104)는 도로(120)뿐만 아니라, 도로(120) 위에서 이동하면서 커버 프레임(103)의 아래를 통과하는 차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차단부(104)는 커버 프레임(103)을 덮되, 커버 프레임(103)의 형상에 맞추어 곡률을 가지며 커버 프레임(103) 상에 위치된다. 특히, 커버 프레임(103)이 일반적으로 아치형이기 때문에, 차단부(104)의 외면으로 낙하하는 낙하물은 차단부(104)의 외면을 따라 커버 프레임(103)의 하측, 즉 지면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차단부(104)의 외면에는 낙하물의 축적이 제한된다.
본 실시예에서 터널 구조물(100)을 구성하는 바닥 프레임(102) 및 커버 프레임(103)은 강재(steel material)로 제작된다. 이로 인해, 터널 구조물(100)은 콘크리트로 제작된 구조물보다 낙하물에 대한 우수한 강도를 가지면서, 낙하물에 의한 균열이 방지될 수도 있다.
아울러, 차단부(104)는 일반적으로 파형 강판으로 제작되나, 투명한 고강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투명한 고강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된 차단부(104)로 인하여, 터널 구조물(100)의 내부 조명으로서, 낮에는 차단부(104)를 투과하는 자연광이 이용되고, 밤에만 별도의 조명 장치가 이용된다.
한편, 바닥 프레임(102)은 도로(120) 상에 위치된다. 특히, 폭 방향 부재(102b)에 의해 차량의 이동이 제한될 수도 있다. 차량이 터널 구조물(100)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터널 구조물(100)에는 도로부(105)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도로부(105)는 바닥 프레임(102)을 덮는 것으로서, 아스팔트 타설 또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차량은 바닥 프레임(102)에 걸림없이 도로부(105) 상에서 이동하면서 커버 프레임(103)의 아래를 통과하게 된다.
아울러, 절개지(110)에 인접한 도로(120) 상에 설치될 때, 터널 구조물(100)은 절개지(110) 사이와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공간에는 흙메우기가 이루어져 메움부(13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절개지(110)에서 낙하물이 발생하는 것이 제한되어, 터널 구조물(100)은 산사태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터널 구조물(2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터널 구조물(20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널 구조물(1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차단부(204)의 외면에 가이드부(206) 및 낙하물 제거부(207)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에서 낙하물은 터널 구조물(100)의 차단부(104) 외면에서 커버 프레임(103)의 형상에 의해 지면으로 이동한다. 하지만, 낙하물의 일부는 터널 구조물(100)의 하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차단부(104)의 외면에 위치되어 남아있을 수 있다. 이러한 낙하물이 차단부(104)의 외면에 축적되면, 차단부(104)의 붕괴가 유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206) 및 낙하물 제거부(207)는 상호 간에 조합되어, 앞서 언급된 가능성에 대비하여 차단부(204)의 외면에 남아있는 낙하물을 제거하는 데에 이용된다.
가이드부(206)는 차단부(204)의 외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낙하물 제거부(207)는 가이드부(206)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단부(204)에 밀착된 상태에서 가이드부(206)를 따라 차단부(204) 상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낙하물 제거부(207)는 차단부(204)의 외면에 위치된 낙하물을 밀어내어 낙하시킨다. 이러한 낙하물 제거부(207)는 차단부(204)의 곡률에 따라 차단부(204)의 외면에 위치되는 어떠한 구조물도 가능하며, 특히 단순히 로프일 수도 있다. 아울러, 모터에 의한 구동력이 낙하물 제거부(207)를 가이드부(206)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고, 관리자가 낙하물 제거부(207)을 직접 잡아서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낙하물은 이러한 낙하물 제거부(207)의 이동에 의해 차단부(204)의 외면에 축적되지 않는다. 아울러, 차단부(204)는 낙하물에 의해 붕괴되는 위험이 감소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낙하물 제거부(207)가 차단부(204)의 외면 중 일부에서만 이동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는 차단부(204)의 나머지 일부가 도 3에 도시된 절개지(110)에 인접하여 메움부(130)가 형성된 경우에 따른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 낙하물 제거부(207)는 차단부(204)의 외면 전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변형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터널 구조물(3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터널 구조물(30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널 구조물(1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차단부(304)의 외면에 수용부(306) 및 배출 부(307)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터널 구조물(100)은 옥외에 설치되어, 빗물이 차단부(104)에 부딪히게 된다. 제 1 실시예에서 차단부(104)에 부딪힌 빗물은 불규칙적으로 차단부(104)를 따라 터널 구조물(100)의 하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유도된 빗물이 차단부(104)의 굴곡에 의해 터널 구조물(100)의 하측 중 특정한 부분으로만 유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차단부(104)의 외면이 고르게 세척되는 것이 제한된다.
앞서 언급한 가능성에 대비하여, 수용부(306)는 차단부(304)의 외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부(306)에는 빗물이 유입되어 수용된다. 아울러, 노즐부(307)들은 복수 개로 이루어져 수용부(306)의 외면에 차단부(304)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수용부(306)에 수용된 빗물이 이러한 노즐부(307)들을 통해 차단부(304)의 외면으로 배출된다. 이때, 빗물은 차단부(304)의 외면에서 고르게 흘러 터널 구조물(300)의 하측으로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빗물이 차단부(104)의 외면을 고르게 세척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노즐부(307)들이 차단부(304)의 외면 중 일부로만 빗물을 배출하도록 수용부(306)에 형성되어 있다. 이는 차단부(304)의 나머지 일부가 도 3에 도시된 절개지(110)에 인접하여 메움부(130)가 형성된 경우에 따른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 노줄부(307)들은 차단부(304)의 외면 전체로 빗물을 배출하도록 수용부(306)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에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터널 구조물(4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터널 구조물(400)이 절개 지(410)에 인접한 도로(420)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터널 구조물(400)은 앞서 언급된 터널 구조물들(100, 200, 300)과 달리, 커버 프레임(403)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면서, 차단부(404)에 의한 커버 프레임(403)의 상부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커버 프레임(403)은 수직 프레임(431), 경사 프레임(433) 및 상부 프레임(435)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다리꼴 형상을 갖게 된다.
수직 프레임(431)은 바닥 프레임(402) 상에서 수직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수직 프레임(431)은 절개지(41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아울러, 수직 프레임(431)은 길이 방향 부재(402a)를 따라 삽입 기둥부(401)와 연결된 바닥 프레임(402)의 모서리에 연결된다.
경사 프레임(433)은 도로(420)를 사이에 두고 수직 프레임(431)과 마주하면서 바닥 프레임(402) 상에 설치된다. 이때, 경사 프레임(433)은 수직 프레임(431)을 향하도록 경사진 상태이다. 아울러, 수직 프레임(431)의 상단과 경사 프레임(433)의 상단은 바닥 프레임(402)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아울러, 경사 프레임(433)은 수직 프레임(431)과 조합하여 커버 프레임(403)의 측부를 형성한다.
상부 프레임(435)은 수직 프레임(431)의 상단과 경사 프레임(433)의 상단을 연결하고, 바닥 프레임(402)과 평행하게 위치된다. 이로 인해, 상부 프레임(435)은 커버 프레임(403)의 상부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터널 구조물(400)이 절개지(410)에 인접한 도로(420) 상에 설치된다. 이때, 터널 구조물(400)과 절개지(41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에 흙메우기가 이루어진 메움부(430)가 형성된다.
한편, 절개지(410)와 메움부(430)에 의한 하중이 터널 구조물(400)에 작용되는 데, 특히 수직 프레임(431)과 경사 프레임(433)에 주로 작용된다. 이때, 수직 하중으로 인한 프레임(431)과 경사 프레임(433)의 굽힘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상태는, 수직 프레임(431)과 경사 프레임(433)에 작용되는 하중과 이를 지지하는 경사 프레임(433)의 지지력이 평행한 경우이다. 이를 고려하여, 경사 프레임(433)의 경사각(θR)은 메움부(430)의 경사각(θE)과 절개지(410)의 경사각(θ)에 따라 결정된다. 아울러, 경사 프레임(433)의 경사각(θR), 메움부(430)의 경사각(θE) 및 절개지(410)의 경사각(θ)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θE < θR < θ
여기에서, 경사 프레임(433)의 경사각(θR)은 바닥 프레임(402)의 폭 방향 부재(402b)와 경사 프레임(433) 사이의 각도를 의미하고, 메움부(430)의 경사각(θE)은 메움부(430)의 표면과 도로(420) 사이의 예각을 의미하며, 절개지(410)의 경사각(θ)은 절개지(410)의 표면과 도로(420) 사이의 예각을 의미한다. 경사 프레임(433)은 상기와 같은 범위 내의 경사각을 가질 때, 절개지(410)와 메움부(430)에 의한 하중을 견디는 경로가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차단부(404)는 측부 차단부(441), 상부 차단부(443), 전지판(445)들 및 조명부(447)들을 포함한다.
측부 차단부(441)는 수직 프레임(431) 및 경사 프레임(433)을 덮는다. 즉, 커버 프레임(403)의 측부가 측부 차단부(441)에 의해 덮이는 것이다.
상부 차단부(443)는 측부 차단부(441)와 힌지 결합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부 프레임(435)을 개폐한다. 이로 인해, 상부 차단부(443)는 상부 프레임(435)을 덮음으로써 폐쇄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 차단부(443)는 터널 구조물(400)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부 프레임(435)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상부 프레임(435)이 개방되면서 터널 구조물(400)의 내부도 개방된다.
아울러, 상부 프레임(435)을 개폐하는 상부 차단부(443)의 회전은 모터 등과 같은 구동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지판(445)들은 상부 차단부(443)의 내측에 위치된다. 이로 인해, 전지판(445)들은 상부 차단부(443)의 회전에 의하여 개폐된다. 즉, 상부 차단부(443)가 상부 프레임(435)을 폐쇄한 상태에서 전지판(445)들도 폐쇄되고, 상부 차단부(443)가 상부 프레임(435)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전지판(445)들도 역시 개방된다. 아울러, 이러한 전지판(445)들은 개방된 상태에서 태양광을 수집하면서 전기를 생성한다.
조명부(447)들은 전지판(445)들과 연결되고, 전지판(445)들에 의해 생성되어 저장된 전기로 발광한다. 이러한 조명부(447)들의 작동은 상부 차단부(443)가 상부 프레임(435)을 폐쇄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태양광이 내리쬐는 낮에는 상부 프레임(435)이 상부 차단부(443)에 의해 개방되어, 태양광은 터널 구조물(400)의 내부 조명으로 이용되는 동시에, 전지판(445)들에 수집되어 전기로 생성 및 저장된다. 반면에, 밤에는 상부 프레임(435)이 상부 차단부(443)에 의해 폐쇄되어, 조명부(447)들이 전지판(445)들에 의한 전기로 인해 발광하여 터널 구조물(400)의 내부 조명으로 이용된다.
한편, 이 외의 구성요소들은 앞서 말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요소임에 따라,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터널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널 구조물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터널 구조물이 절개지에 인접한 도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터널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터널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에에 따른 강재를 이용한 터널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터널 구조물이 절개지에 인접한 도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도로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삽입 기둥부들;
    상기 삽입 기둥부들 상에 위치되며, 상기 삽입 기둥부들에 의해 지지되는 바닥 프레임;
    상기 바닥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바닥 프레임과의 사이에 차량 이동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프레임;
    상기 커버 프레임을 덮은 상태로, 상기 도로 위에 위치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외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차단부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차단부의 외면에서 이동하여, 상기 차단부의 외면에 위치한 낙하물을 밀어내어 낙하시키는 낙하물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구조물.
  5. 도로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삽입 기둥부들;
    상기 삽입 기둥부들 상에 위치되어, 상기 삽입 기둥부들에 의해 지지되는 바닥 프레임;
    상기 바닥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바닥 프레임과의 사이에 차량 이동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프레임;
    상기 커버 프레임을 덮은 상태로, 상기 도로 위에 위치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외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빗물이 유입되고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유입된 상기 빗물이 상기 차단부의 외면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노즐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구조물.
  6. 도로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삽입 기둥부들;
    상기 삽입 기둥부들 상에 위치되어, 상기 삽입 기둥부들에 의해 지지되는 바닥 프레임;
    상기 바닥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바닥 프레임과의 사이에 차량 이동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커버 프레임을 덮은 상태로, 상기 도로 위에 위치되는 차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프레임은,
    절개지 측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 프레임 상에서 수직하도록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바닥 프레임 상에서 상기 도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수직 프레임과 마주하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을 향하도록 경사져 설치되는 경사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경사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 프레임의 경사각(θR), 메움부의 경사각(θE) 및 절개지의 경사각(θ)의 관계는
    θE < θR < 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구조물.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측부를 덮는 측부 차단부;
    상기 측부 차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 차단부;
    각각의 상부 차단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 차단부에 의해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태양광을 수집하고 전기를 생성 및 저장하는 전지판들; 및
    각각의 전지판과 결합되고, 상기 상부 차단부에 의해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부를 폐쇄됨에 따라 상기 전기로 발광하는 조명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구조물.
KR1020090108806A 2009-11-11 2009-11-11 강재를 이용한 터널 구조물 KR101130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806A KR101130236B1 (ko) 2009-11-11 2009-11-11 강재를 이용한 터널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806A KR101130236B1 (ko) 2009-11-11 2009-11-11 강재를 이용한 터널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968A KR20110051968A (ko) 2011-05-18
KR101130236B1 true KR101130236B1 (ko) 2012-03-26

Family

ID=44362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806A KR101130236B1 (ko) 2009-11-11 2009-11-11 강재를 이용한 터널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2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7788B (zh) * 2013-08-01 2016-01-27 石家庄铁道大学 小直径开敞式tbm无轨后配套台车跨越拱架的方法
CN107676111A (zh) * 2017-10-23 2018-02-09 洛阳坤宇矿业有限公司 一种用于井巷工程预制钢支架的支护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836Y1 (ko) * 2004-12-08 2005-03-11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철도 비탈 경사면의 눈사태 예방을 위한 철로 보호용시설물
KR100537352B1 (ko) * 2005-05-11 2005-12-16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강재를 이용한 2-아치형 도로 낙석방지시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836Y1 (ko) * 2004-12-08 2005-03-11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철도 비탈 경사면의 눈사태 예방을 위한 철로 보호용시설물
KR100537352B1 (ko) * 2005-05-11 2005-12-16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강재를 이용한 2-아치형 도로 낙석방지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968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6846B1 (ko) 조립식 패널로 설치되는 야생동물 보호 가드레일
KR101314795B1 (ko) 자갈 및 토사의 도로 유실 방지용 화단
KR101130236B1 (ko) 강재를 이용한 터널 구조물
KR100665496B1 (ko) 도로 안전시설물을 위한 가드
KR20090008957U (ko) 로드킬차단가드레일
KR101728128B1 (ko) 성토사면용 도로 배수시설 및 그에 따른 시공방법
KR100661303B1 (ko) 케이블보호기능이 구비된 화단식용 도로의 중앙분리대
KR101059561B1 (ko) 가드레일의 식물성장 억제 및 동물진입 방지용 구조체
KR101706588B1 (ko) 친환경 토석류 피해 저감 구조물 및 설치방법
CN211547611U (zh) 一种城市狭窄河道护岸结构
KR20120011567A (ko) 양개식 낙석방지책
KR100491349B1 (ko) 방풍 및 방사ㆍ방설용 펜스
KR100582023B1 (ko) 친환경적인 도로용 배수시설
KR200403834Y1 (ko) 친환경적인 도로용 배수시설
ES2593849B1 (es) Sistema de protección en obras de las arenas transportadas por el viento y procedimiento de instalación
KR200320625Y1 (ko) 방풍 및 방사ㆍ방설용 펜스
KR100630376B1 (ko) 투과형 복공판을 이용한 야생동물의 이동통로 및 그시공방법
KR100491347B1 (ko) 방사ㆍ방설용 펜스
KR102496960B1 (ko) 충격 흡수형 차량 방호울타리
KR200456099Y1 (ko) 가드레일용 동물 보호장치
JP3785621B2 (ja) 防雪柵
JP7072821B2 (ja) 離間型スノーシェルター
KR100585265B1 (ko) 환경친화적인 도로 낙석 방지시설
KR102026255B1 (ko) 횡단방지 및 띠녹지 보호펜스
KR200320624Y1 (ko) 방사ㆍ방설용 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