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966B1 -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 퇴피기구 - Google Patents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 퇴피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966B1
KR101129966B1 KR1020070084179A KR20070084179A KR101129966B1 KR 101129966 B1 KR101129966 B1 KR 101129966B1 KR 1020070084179 A KR1020070084179 A KR 1020070084179A KR 20070084179 A KR20070084179 A KR 20070084179A KR 101129966 B1 KR101129966 B1 KR 101129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bor
slitter
column
shaft
arb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9613A (ko
Inventor
황동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에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에이치
Priority to KR1020070084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966B1/ko
Publication of KR20090019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5/00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 퇴피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판재를 스트랩형상으로 절단, 가공하는 슬리터(S)에서, 베이스하우징(1) 상의 구동부컬럼(10)과, 상기 구동부컬럼(10)의 상기 슬리터(S)의 축방향의 반대향의 아버단부지지컬럼(50) 사이에 제공되는 한 쌍의 아버(a,b)를 가지고, 상기 아버(a,b)의 일 측단부인 아버축(a",b")은 상기 구동부컬럼(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아버(a,b)의 타단인 아버자유단(a',b')은 캔틸레버의 자유단부로서 제공되어 상기 아버단부지지컬럼(50)에 의하여 축지지되거나 축지지가 해제되는 상기 슬리터(S)에 있어서; 상기 아버자유단(a',b')을 축지지하거나 축지지를 해제하는 아버단부지지컬럼(50)은 축지지 해제 이후에 슬리터(S)의 축방향으로 후퇴하고 다시 상기 슬리터(S)의 축중심으로부터 후방으로 퇴피하는 퇴피기구를 더 가짐으로서 마모된 전단커터(c1-c1',c2-c2'....)와 새로운 전단커터의 교체를 위한 교체공간을 제공하여 전체 자동화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리터, 커터, 아버, 컬럼

Description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 퇴피기구{A retracting apparatus of arbor supporting column in a slitting machine}
본 발명은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 퇴피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판재를 스트랩, 밴드형상으로 절단하는 금속가공기인 슬리터에서의 전단커터의 교환 시에 교환경로를 제공하고 자동화라인의 구성을 위한 기구적인 구성에 관한 것이다.
철판, 스테인레스판, 알루미늄판 등의 다양한 소재와 물성의 금속판재는 제철소 등의 1차 제조처에서 판재로 가공하여 공급하고 있다. 공급된 1차 제품인 금속판재에 대하여 사용처 또는 2차 가공처에서는 다양한 용도를 위하여 재가공하여 스트랩(strap)형상, 밴드형상 등의 2차 가공재를 제조하고 있다.
특히, 스트랩체 또는 밴드체의 금속판재는 각종의 기계부품, 전자부품의 프레스 연속공급용의 소재용으로서 그 사용이 많아 공급된 금속판재를 다양한 폭의 스트랩 형상으로 절단하는 전용가공기가 필요하고 종래로부터도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다양한 구성의 전용기가 안출되어 슬리터(Slitter)머신, 슬리터(Slitter)라는 명칭(이하에서는 '슬리터'라 함)으로 사용되고 있다.
슬리터의 대부분의 모든 선행기술 또는 기성화된 알려진 제품에 채택된 가장 일반적인 구성은, 한 쌍의 대향하여 직립하는 컬럼 사이에 평행하는 역시 한 쌍의 길이가 긴 로울러인 아버(arbor)를 구비하고, 아버 상에는 다수 개의 등 간격의 스페이서를 두고 링 형상의 나이프인 전단(剪斷)형 커터를 다수매 끼워서 배치하고, 이 전단커터 사이에 금속판재를 공급하면서 로울러를 구동함으로서 다수의 스트랩이 동시에 절단되어 나오는 구성으로서 대부분의 슬리터(Slitter)는 이에 기초한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의 슬리터는 당해 업계에서는 매우 일반화된 구성으로서 현재 많은 제철소 및 2차 가공공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슬리터는 판재를 동시에 다수 매의 스트랩으로 절단하므로 매우 큰 전단력이 인가되어야 하고 전체 기구가 상당한 대형이므로, 한 쌍의 개별적인 아버에 다수매의 링 형상이며 직경 및 무게가 큰 전단커터를 장착하거나 교체하는 것은 용이한 일이 아니며 수작업으로는 그 효율 및 생산성이 낮고 안전사고의 위험도가 높아 자동화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연속적인 금속판재의 슬리팅에 따라서 마모된 전단커터의 교체는 수시로 이루어져야 하고, 아버 상에 길게 배열되는 다수 매의 전단커터가 동시에 교체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전단커터의 교체와 관리는 슬리터의 생산성 및 작업효율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전단커터의 교체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행하였지만 최근들어 이를 교체용 핸드를 구비하는 다축구동의 로보트가 수행하게 하는 일련의 제 품이 출하되고 있다.
종래로부터의 슬리터에서는 다수 매의 전단커터를 교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측의 아버단부 지지컬럼을 아버와 분리하여 후방으로 이송시키고 운반된 다수 매의 교체용의 전단커터를 수작업 등으로 교체하거나,
교체된 전단커터를 가지는 교체용의 아버를 제공하는 자동화된 라인에서도 아버 간의 교체 시에는 수작업을 행하여야 하던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의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 퇴피기구는 이러한 기본적인 구성의 종래로부터의 슬리터라인에 대하여 다수 매의 전단커터를 장착하여 가지는 아버의 자유단 측의 아버단부 지지컬럼에 대하여 퇴피기구를 더 제공함으로서,
로보트에 의하여 교체용의 전단커터를 사전에 장착하여 구비하는 예비적인 커터스택아버와의 협동성을 제고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의 구성을 더 제공하게 되어 작업성을 대폭 증대하고 안전성 및 전체 슬리트라인의 설치공간의 절약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 퇴피기구에서는;
금속판재를 스트랩형상으로 절단, 가공하는 슬리터에서, 베이스하우징 상의 구동부컬럼과, 상기 구동부컬럼의 상기 슬리터의 축방향의 반대향의 아버단부지지컬럼 사이에 제공되는 한 쌍의 아버를 가지고,
상기 아버의 일 측단부인 아버은 상기 구동부컬럼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아버의 타단인 아버자유단은 캔틸레버의 자유단부로서 제공되어 상기 아버단부지지컬럼에 의하여 축지지되거나 축지지가 해제되는 상기 슬리터에 있어서;
상기 아버자유단을 축지지하거나 축지지를 해제하는 아버단부지지컬럼은 축지지 해제 이후에 슬리터의 축방향으로 후퇴하고 다시 상기 슬리터의 축중심으로부터 후방으로 퇴피하는 퇴피기구를 더 가짐으로서 마모된 전단커터와 새로운 전단커터의 교체를 위한 교체공간을 제공하여 전체 자동화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퇴피기구는, 상기 아버단부지지컬럼이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단부에서 측방에 더 제공되는 구동하우징까지 연장된 X축가이드와 구동을 위한 유공압실린더에 의하여 수행하는 x축 이동기구와,
상기 구동하우징이 탑재되는 가이드하우징과 그 사이의 Z축가이드 및 구동을 위한 유공압실린더에 의한 구동하우징의 z축 이동기구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 퇴피기구는;
종래로부터의 슬리터라인에 대하여 다수 매의 전단커터를 장착하여 가지는 아버의 자유단 측의 아버단부 지지컬럼에 대하여 퇴피기구를 더 제공함으로서,
로보트에 의하여 교체용의 전단커터를 사전에 장착하여 구비하는 예비적인 커터스택아버와의 협동성을 제고할 수 있는 자동화시스템으로의 완성을 더욱 추구할 수 있고, 작동의 신뢰성을 제고하고 중량물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완성도 높은 자동화라인을 구성할 수 있는 유용성을 가진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 슬리터(S)의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던 슬리터와 거의 유사한 부분을 가지고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목적에 부합되는 부분을 적시 하며 그러한 부분에 한하여 권리를 청구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종래의 슬리터의 구성에 적용된 구성으로서 설명하고 유공압장치 및 전기장치의 작동시퀀스와 회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의 퇴피기구를 구비한 슬리터가 적용된 전체 슬리터라인을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본 발명이 추구하는 목적인 아버단부 지지컬럼의 퇴피구성이 적용되는 전체 슬리터라인을 정면도로서 보여준다.
전체 슬리터라인은 본 발명의 요부가 적용되는 슬리터(S)와, 이 슬리터를 구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유니트인 동력장치(D), 상기 슬리터(S)와 협동하여 자동화라인을 구성하는 커터교체유니트(U)로 구성된다.
슬리터(S)는 본 발명의 실제적인 구성이 구현되는 기계부이며, 슬리터(S)와 협동하여 자동화라인을 구성하는 커터교체유니트(U)는 슬리터(S)의 아버(a,b) 상의 마모된 전단커터(c1-c1',c2-c2'....)를 새로운 전단커터(cn1,cn2,cn3..)로 교체하 기 위하여 적재한 커터스택아버(a1,a2,a3,...)가 상하로 구동되어 연속적은 급송이 가능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구성의 신규성은 슬리터(S)에 국한되어 그 구성을 개시하므로 커터교체유니트(U) 및 커터스택아버(a1,a2,a3,a4...)의 구성 및 그 작동은 본 발명의 관점이 아니고 기히 종래 구성이 존재하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설명을 위하여서만 간략하게 언급한다.
도 2 및 3의 사시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리터(S)는 강고한 박스형상의 베이스하우징(1) 상에 직립하여 고정되고 내방에 회동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축부재 미치 기어부재를 내장하는 박스형상의 구동부컬럼(10)과,
이 구동부컬럼(10)과 슬리터(Slitter)의 축방향의 반대향에 베이스하우징(1) 상에 제공되는 아버단부지지컬럼(50)이 한 쌍의 대향하는 컬럼으로서 제공되며 상세한 구성은 본 발명의 요부를 구성하므로 후술하는 구성과 함께 설명한다.
베이스하우징(1) 상의 구동부컬럼(10)과 아버단부지지컬럼(50) 사이에는 역시 상하 한 쌍의 중실원주형이며 상당한 직경체의 축부재인 아버(a,b)가 설치되며, 아버(a,b)의 일 측단부인 아버축(a",b")은 구동부컬럼(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구동이 가능하게 되고, 아버(a,b)의 타단인 아버자유단(a',b')은 캔틸레버의 자유단부로서 제공된다.
따라서, 구동부컬럼(10)에 장착된 아버(a,b)는 그 자유단부에서 아버단부지지컬럼(50)에 의하여 축지지되어 슬리팅가공을 수행하고, 전단커터(c1-c1',c2- c2'....)가 마모되어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축지지가 해지되고 아버단부지지컬럼(50)가 후퇴함으로써 자유단으로 존재하여 전단커터(c1-c1',c2-c2'....)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아버(a,b)에는 도 4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형상의 전단커터(c1-c1',c2-c2'....)를 일정한 간격의 스페이서(s1-s1',s2-s2'..)를 개재하면서 각각 삽입하여 고정하게 되며 이 아버(a,b) 상의 상하의 전단커터(c1-c1',c2-c2'....)에 의하여 아버(a,b)로 급송되는 금속판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전단되어 스트랩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3 에 그 구성이 더욱 명백한 바와 같이,
슬리터(S)의 구동부컬럼(10)은 대향하는 한 쌍의 수직컬럼(11,12)에 각각 지지되는 아버축(a",b") 상에는 기어(15,16)가 커넥팅기어(17,18)를 경유하여 동기화회전하도록 접속하여 있고, 하방의 아버(b)로부터 연장된 아버축(b")에는 감속기(K)및 모우터(M)가 연결되는 체결축(C)이 연결되어 감속되고 증력된 구동력이 전달된다.
감속기(K)및 모우터(M)는 동력유니트인 동력장치(D)로 제공되어 조립 및 운반이 용이하게 구성된다.
상하의 아버(a,b)가 회전하여 아버(a,b) 상에 고정된 전단커터(c1-c1',c2-c2'....)에 의하여 원활한 전단이 이루어지기 위하여서는 상하의 아버(a,b)가 동기화되어 회전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기어(15,16)에 의하여 동기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주요한 구성부재로서는 장착된 전단커터(c1-c1',c2-c2'....)가 마모되거나 파손되어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단커터(c1-c1',c2-c2'....)를 아버(a,b)로부터 피탈하여 낼 정도의 충분한 여유공간(g)이 상하의 아버(a,b) 사이에 보장되어야 하므로 하방의 아버(b)에 대하여 상방의 아버(a)를 승강시켜 여유공간(g)을 제공하기 위한 승강기구가 제공된다.
승강기구는 승강 전 상태를 도시하는 도 4과, 승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방의 아버(a)의 아버축(a")을 수용하는 축부(20',21')를 가지면서 상하로 가이드되면서 승강하는 한 쌍의 승강플레이트(20,21)및 이 승강플레이트(20,21)를 상하로 구동하는 승강모우터(25), 승강모우터(25)와 베벨기어접속하여 동력을 직각변환하여 승강플레이트(20,21)를 구동하고 한 쌍의 수직컬럼(11,12) 상에 각각 장착되는 승강기어(26,27)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하는 기본적인 구성의 슬리터(S)에 대하여 특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기의 부가적인 구성에 그 권리를 한정한다.
[공지된 슬리터구성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 구현한 구성과 작용]
구동부컬럼(10)과 반대향하여 베이스하우징(1) 상에 제공되는 아버단부지지컬럼(50)은 하기하는 구성을 더 부가하여 가짐으로서 특유의 작용효과를 발하게 된다.
도 9에 그 구성이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아버단부지지컬럼(50)은 베이스하우징(1)의 단부에 직립하여 제공되고 아버 단부지지컬럼(50)과 베이스하우징(1) 사이에는 가이드구동을 위한 수평의 LM가이드인 X축가이드(L1)가 개재되어 있고 이 X축가이드(L1)는 베이스하우징(1)의 일측단 후방단부에 제공되는 개략 박스형의 구동하우징(100) 상에까지 이동로가 연장(물론 베이스하우징(1)와 구동하우징(100)를 가로질러 X축가이드(L1)가 설치되지는 않고 동일 직선로를 형성하면서 분절되어 고정되어 있다)되어 유공압실린더(H1)에 의하여 x 축방향으로 이송이 가능하다.
구동하우징(100)은 슬리터(S)의 설치바닥면(G)의 지하로 매립되어 고정되는 가이드하우징(200) 상에 놓여 지고, 가이드하우징(200) 상에는 LM가이드인 Z축가이드(L2)가 설치되어 구동하우징(100)이 그 위에서 가이드되면서 z 축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하도록 유공압실린더(H2)를 가진다.
아버단부지지컬럼(50)에는 아버(a,b)의 아버자유단(a',b')을 축지지하는 축클램핑어셈블리(60,70)를 구비하고 축클램핑어셈블리(60,70)에는 아버자유단(a',b')의 고정고정공에 끼움되는 클랭핑넥(a-1,b-1)으로 전후진하여 근접 또는 이탈하여 축지지 또는 축지지해제를 수행하는 클램핑아암(61',71')을 구동하는 클램핑실린더(61,71)를 구비한다.
이러한 아버(a,b)의 아버자유단(a',b')을 축지지 또는 해제하여 아버단부지지컬럼(50) 전체가 후방으로 이송되어 교체용의 전단커터가 진입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동일자 출원에서 더욱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효과가 설명되며 본 발명에서는 그 권리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관점에서 더욱 중요한 구성은,
승강기어(26,27)로부터 역시 베벨기어 접속 등으로 연장하는 승강샤프트(28)가 더욱 연장되어 아버단부지지컬럼(50)으로까지 전달되어 아버축(a")의 반대단부 즉, 캔틸레버 자유단인 아버자유단(a')도 동시에 승강하는 구성으로서 양 측에서 동기화되어 승강함으로서 아버(a)의 승강치가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역시 도시하는 도 2,3,4,5에 상세히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버단부지지컬럼(50)에서의 상방의 아버(a)를 지지하도록 후술하는 축클램핑어셈블리(60)가 상하로 승강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되는 승강플레이트(51)에 제공되고, 이 승강플레이트(51)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기구는, 상술한 구동부컬럼(10) 측의 승강기어(26,27)로부터 연장된 승강샤프트(28) 단부의 제공되는 유니버설조인트(30)와 축길이의 연신, 수축이 자유로운 스플라인축(31), 스플라인축(31) 단부의 유니버설조인트(32), 유니버설조인트(32)에 연결되는 승강기어(56)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구동부컬럼(10) 측의 승강기어(26,27)로부터 연장된 승강샤프트(28)와 승강기어(56) 사이의 동력전달이 유니버설조인트(30)와 스플라인축(31), 유니버설조인트(32)로 이루어지는 것은 퇴피기구와 협동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서 41,42 는 장착된 아버(a,b) 상의 전단커터(c1-c1',c2-c2'....)를 피탈하기 위하여 스크류로서 좌우로 구동되는 커터리무버이나 본 발명의 대상은 아니다.
슬리터(S)의 아버(a,b)로 전단커터(c1-c1',c2-c2'....)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도 1 및 커터교체유니트(U)를 사시도로서 도시하는 도 1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별도의 커터셀프(F)상에 연마되어 교체준비가 된 다수개의 교체커터(도시하지 아니함)를 적재하고,
상하로 이송되는 다수개의 예비의 커터스택아버(a1,a2,a3,a4...)에 커터적재로보트(R)의 핸드(H)로서 재생되거나 연마되어 새롭게 준비된 전단커터(cn1,cn2,cn3..)를 스태킹하여 커터스택아버(a1,a2,a3,a4...)에 삽입하여 두면,
도 11에서와 같이, 레일기구(RL) 등에 의하여 슬리터(S)로 진입하여 아버단부지지컬럼(50)이 퇴피한 위치에서 슬리터(S)의 아버(a,b)로 근접하고 아버(a,b)와 커터스택아버(a1,a2,a3,a4...)의 하나를 축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아버(a,b) 쪽으로 전단커터(cn1,cn2,cn3..)를 밀어서 연속적으로 아버(a,b)로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하는 구성으로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슬리터(S)의 작용을 설명한다.
작업장에서 슬리터(S)의 지속적인 금속판재의 전단작업으로 전단커터(c1-c1',c2-c2'....)가 마모되어 교체가 요구되면, 커터교체유니트(U)의 예비커터를 적재한 커터스택아버(a1,a2,a3,a4...) 상의 전단커터를 아버(a,b) 상으로 이송시켜야 한다.
즉, 전체 장치가 대형이고 개별의 전단커터의 무게와 직경이 큰 슬리터(S)에서는 이러한 교체작업을 자동화하여야 하므로 아버(a,b)와 축중심을 같이 하도록 제공되는 커터스택아버(a1,a2,a3,a4...)를 근접시켜 커터스택아버(a1,a2,a3,a4...) 상의 전단커터를 아버(a,b) 상으로 이송시켜야 한다. 따라서 아버(a,b)의 아버자유 단(a',b')을 개방하여야 커터스택아버(a1,a2,a3,a4...) 가 근접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본 발명에서는 아버단부지지컬럼(50)의 교환을 위한 여유공간(g)을 상하의 아버(a,b) 사이에 보장하기 위하여 상방의 아버(a)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승강모우터(25)를 구동하여 구동부컬럼(10)의 상방의 아버(a)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승강플레이트(20,21)와 유니버셜조인트 및 스플라인축으로 연결된 아버단부지지컬럼(50)의 승강플레이트(51)를 동시에 상승시킨 상태로 하고,
아버단부지지컬럼(50)의 아버자유단(a',b')을 축지지하는 축클램핑어셈블리(60,70)의 그래핑실린더(61,71)를 작동시켜 아버자유단(a',b')의 고정공(a-1,b-1)으로부터 아버(a,b)를 클램핑 해제시킴으로서 축지지를 해제하여 후퇴대기 상태로 한다.
이러한 클램핑고정의 해제상태에서 아버단부지지컬럼(50)은 X축가이드(L1)를 따라서 유공압실린더(H1)에 의하여 후방의 구동하우징(100) 상으로까지 후퇴하고,
후퇴상태에서 구동하우징(100)은 설치바닥면(G)의 지하로 매립되어 고정되는 가이드하우징(200) 상에서 유공압실린더(H2)의 작동에 의하여 Z축가이드(L2)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z 축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서 슬리터(S)의 축중심선(C)으로아버단부지지컬럼(50)은 완전히 후퇴하여 있게 된다.
이때에 아버단부지지컬럼(50)에서의 상방의 아버(a)를 지지하는 승강플레이트(51)의 승강기구는, 상술한 구동부컬럼(10)측의 승강기어(26,27)로부터 연장된 승강샤프트(28) 단부의 제공되는 유니버설조인트(30)와 스플라인축(31), 스플라인 축(31) 단부의 유니버설조인트(32), 유니버설조인트(32)에 연결되는 승강기어(56)에 의하여 구동부컬럼(10)측의 승강기어(26,27)의 구동과 동기화하여 상승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스플라인축(31)이 각변화에 의하여 신장된 것이 도 10 의 ※ 로 표시되어 있다.
다시, 대기중이던 회수용의 커터스택아버(a1,a2,a3,a4...)를 도 10의 화살표에서와 같이 슬리터(S) 방향으로 진입시켜( 커터교체유니트(U)의 진입기구 등은 상세히 설명하지 아니함), 아버(a,b)와 커터스택아버(a1,a2,a3,a4...) 의 축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사용에 의하여 마모된 다수개의 전단커터(c1-c1',c2-c2'....)를 취출하여 내고, 새로운 전단커터(c1-c1',c2-c2'.)를 구비한 커터스택아버(a1,a2,a3,a4...) 를 진입시켜 전단커터(c1-c1',c2-c2'....)를 삽입함으로서 교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다수개의 전단커터(c1-c1',c2-c2'....)의 연속적인 취출과 삽입은 수작업으로 하여도 큰 무리가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커터리무버등을 사용한 자동화작업이 가능한 기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상기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서 자유단(a',b')을 축지지하거나 축지지를 해제하는 아버단부지지컬럼(50)이 축지지 해제 이후에 후퇴하고 상기 슬리터(S)의 축중심으로부터 퇴피하는 퇴피기구를 더 가짐으로서 마모된 전단커터(c1-c1',c2-c2'....)와 새로운 전단커터의 교체를 위한 자동화라인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 퇴피기구를 구비한 슬리터가 적용된 전체 슬리터라인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 퇴피기구를 구비한 슬리터의 전체외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슬리터의 구동부컬럼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동력구동부를 종단면으로 도시한 도 2의 정면도.
도 5는 도 2의 전체 종단면도.
도 6a,b,c,d 는 도 2의 좌측면도, A-A 선 단면도, B-B 선단면도, 우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 의 퇴피 이전 상태를 도시하는 슬리터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의 퇴피 이전 상태의 우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의 퇴피 이전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의 퇴피 이전 상태를 도시하는 슬리터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의 퇴피 이후 상태의 본 좌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슬리터의 아버로의 장착을 위하여 커터스택아버에 로보트가 전단커터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8 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S: 슬리터
1: 베이스하우징
10: 구동부컬럼
50: 아버단부지지컬럼
a,b: 아버

Claims (5)

  1. 금속판재를 스트랩형상으로 절단, 가공하는 슬리터(S)로서,
    베이스하우징(1) 상의 구동부컬럼(10)과, 상기 구동부컬럼(10)의 상기 슬리터(S)의 축방향의 반대향의 아버단부지지컬럼(50) 사이에 제공되고, 전단커터(c1-c1',c2-c2'....)가 장착되는 한 쌍의 아버(a,b)를 가지고,상기 아버(a,b)의 일 측단부인 아버축(a",b")은 상기 구동부컬럼(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아버(a,b)의 타단인 아버자유단(a',b')은 캔틸레버의 자유단부로서 제공되어 상기 아버단부지지컬럼(50)에 의하여 축지지시키거나 축지지를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아버자유단(a',b')을 축지지하거나 축지지를 해제하는 아버단부지지컬럼(50)은 축지지 해제 이후에 슬리터(S)의 축방향으로 후퇴하는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 퇴피기구에 있어서;
    상기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의 퇴피 시에 상기 아버(a,b)중 상방의 아버(a)를 승강시켜 상기 전단커터(c1-c1',c2-c2'....)의 교체를 위한 여유공간을 제공하는 아버의 승강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아버의 승강수단은, 상기 아버(a)의 아버축(a")을 수용하는 축부(20',21')를 가지면서 상하 승강하는 한 쌍의 승강플레이트(20,21) 및 상기 승강플레이트(20,21)를 상하구동하는 승강모우터(25), 상기 승강모우터(25)에 의하여 구동되는 승강기어(26,27), 상기 승강기어(26,27)로부터 연장하는 승강샤프트(28)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샤프트(28)가 아버단부지지컬럼(50)의 아버(a)의 자유단인 아버자유단(a')을 축지지하는 승강플레이트(51) 구동용의 승강기어(56)로까지 연장하여 동기화 승강시키고,
    상기 구동부컬럼(10) 측의 상기 승강기어(26,27)로부터 연장된 승강샤프트(28) 단부에 제공되는 유니버설조인트(30), 스플라인축(31), 상기 스플라인축(31) 단부의 유니버설조인트(32), 상기 유니버설조인트(32)에 연결되는 승강기어(5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 퇴피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70084179A 2007-08-21 2007-08-21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 퇴피기구 KR101129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179A KR101129966B1 (ko) 2007-08-21 2007-08-21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 퇴피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179A KR101129966B1 (ko) 2007-08-21 2007-08-21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 퇴피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613A KR20090019613A (ko) 2009-02-25
KR101129966B1 true KR101129966B1 (ko) 2012-03-28

Family

ID=40687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179A KR101129966B1 (ko) 2007-08-21 2007-08-21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 퇴피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9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216B1 (ko) * 2012-02-14 2018-08-0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판재 슬리팅 모사 장치
CN110421391B (zh) * 2018-05-05 2024-04-26 江西德瑞带钢有限公司 一种在线换刀机及其换刀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2415A (ja) * 1997-01-22 1998-08-04 Uchida Kikai Seisakusho:Kk スリッター装置
JP2002160189A (ja) * 2000-11-22 2002-06-04 Kyowa Seisakusho:Kk スリッタの刃物交換装置及び刃物交換方法
JP2005131735A (ja) * 2003-10-30 2005-05-26 Kinpo Kogyo Kk スリッターの自動刃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2415A (ja) * 1997-01-22 1998-08-04 Uchida Kikai Seisakusho:Kk スリッター装置
JP2002160189A (ja) * 2000-11-22 2002-06-04 Kyowa Seisakusho:Kk スリッタの刃物交換装置及び刃物交換方法
JP2005131735A (ja) * 2003-10-30 2005-05-26 Kinpo Kogyo Kk スリッターの自動刃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613A (ko)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95732A (zh) 螺纹盘条的应用方法及钢筋调直机
CN210255087U (zh) 一种不锈钢板裁切磨边装置
CN206122563U (zh) 一种推料夹钳及采用推料夹钳的剪板机上料剪切自动线
KR101173269B1 (ko) 센터링 그리퍼장치
KR101129966B1 (ko)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 퇴피기구
KR101061629B1 (ko) 슬리터의 커터자동교체용 로보트핸드어셈블리
CN203061749U (zh) 卷板机板材输送装置
CN202448242U (zh) 全自动纵横多切头组合切边机
CN217749963U (zh) 一种激光切割机的管材自动上料架
KR101092748B1 (ko)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나이프세트 교환시스템
KR101129776B1 (ko)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
CN113479564B (zh) 激光切割的原材料输送设备
KR101098651B1 (ko)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의 축수어셈블리
CN214684510U (zh) 一种金属制品生产用剪板机
CN114378891A (zh) 一种基于视觉控制的智能裁切装置
KR101108565B1 (ko) 자동 나이프 조립체 체인징 장치
CN211194109U (zh) 一种pcb按键电路板滚剪机切割装置
CN209794701U (zh) 一种纸箱清废装置
CN111889995A (zh) 一种基于机械加工的罐体端座压拆装置
KR20100079023A (ko) 롤러형 커터의 착탈장치
CN110732629A (zh) 一种全自动绕链拆节一体化装置
CN206139901U (zh) 一种新型剪板机
CN214720976U (zh) 一种压力刀环排布式钢板切条装置
CN103496543A (zh) 轮毂输送翻转机
CN212239351U (zh) 一种金属加工用剪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