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776B1 -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776B1
KR101129776B1 KR1020070084172A KR20070084172A KR101129776B1 KR 101129776 B1 KR101129776 B1 KR 101129776B1 KR 1020070084172 A KR1020070084172 A KR 1020070084172A KR 20070084172 A KR20070084172 A KR 20070084172A KR 101129776 B1 KR101129776 B1 KR 101129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bor
slitter
arbors
shear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9608A (ko
Inventor
황동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에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에이치
Priority to KR1020070084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776B1/ko
Publication of KR20090019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판재를 스트랩형상으로 절단, 가공하는 슬리터(S)에서, 베이스하우징(1) 상의 구동부컬럼(10)과, 상기 구동부컬럼(10)의 상기 슬리터(S)의 축방향의 반대향의 아버단부지지컬럼(50) 사이에 제공되고 다수 매의 전단커터(c1-c1',c2-c2'..)를 그 외경부에 착탈가능하게 가지는 한 쌍의 아버(a,b)를 가지고, 상기 아버(a,b)의 일 측단부인 아버축(a",b")은 상기 구동부컬럼(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아버(a,b)의 타단인 아버자유단(a',b')은 캔틸레버의 자유단부로서 제공되어 상기 아버단부지지컬럼(50)에 의하여 축지지되거나 축지지가 해제되어 개방되고, 상기 아버(a,b)의 전단커터(c1-c1',c2-c2'..)의 마모 시에, 상기 개방된 아버(a,b)와 축방향으로 축중심이 일치되어 대기 중인 블랭크아버인 마모커터수거아버를 포함하는 교체용아버(a1,a2,a3,a4...)로 상기 전단커터(c1-c1',c2-c2'..)를 일괄적으로 또한 연속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리무버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리터, 커터, 아버, 리무버

Description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A remover assembly of shearing cutter in a slitting machine}
본 발명은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판재를 다수 매의 스트랩체, 밴드체 형상으로 동시에 절단가공하는 슬리터에서의 마모된 전단커터의 교환의 효율성 및 작업성을 제고할 수 있는 구성의 리무버어셈블리(remover assembly)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철판 등의 금속판재는 제철소 등의 제조처에서 판재로 가공하여 적층체로 공급하고, 공급된 1차 제품인 금속판재에 대하여 사용처 또는 2차 가공처에서는 재가공하여 다양한 중간생산품을 제조하고 있다.
특히, 금속판재를 길이방향으로 길게 전단가공하여 스트랩(Strap)체 또는 밴드체로 가공한 가공품은 다양한 종류의 기계부품, 전자부품의 프레스 연속공급용의 기초 소재용, 하우징제조용, 밴드용 등으로 그 사용이 많아, 공급된 금속판재를 요구되는 폭의 스트랩 형상으로 효율적이고도 생산성 있게 전단하는 전용가공기는 반드시 필요한 가공기계이다.
종래로부터도 이러한 스트랩체의 가공을 위하여 전용가공기가 안출되어 슬리 터(Slitter)머신, 슬리터(Slitter)라는 명칭(이하에서는 '슬리터'라 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슬리터는, 한 쌍의 대향하여 직립하는 컬럼 사이에 평행하는 역시 한 쌍의 길이가 긴 로울러인 아버(arbor)를 구비하고, 아버 상에는 다수 매의 등 간격의 스페이서를 두고 링 형상의 나이프인 전단커터(shearing cutter)를 다수매 끼워서 배치하고, 이 전단커터 사이에 금속판재를 공급하면서 로울러를 구동함으로서 다수의 스트랩이 동시에 절단되어 나오는 구성을 가지며 대부분의 슬리터는 이러한 기본적인 구성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슬리터는 판재를 동시에 다수 매의 스트랩으로 절단하므로 매우 큰 전단력이 인가되어야 하므로 전체 기계가 대형으로서 강성이 충분히 보장되어야 하고,
한 쌍의 개별적인 아버에 다수매의 링 형상이며 직경 및 무게가 큰 전단커터를 장착하거나 교체하는 것은 용이한 일이 아니며 수작업으로는 그 효율 및 생산성이 낮고 안전사고의 위험도가 높아 가공라인 전체를 자동화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연속적인 금속판재의 슬리팅에 따라서 마모된 전단커터의 교체는 수시로 이루어져야 하고, 아버 상에 길게 배열되는 다수 매의 전단커터가 동시에 교체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전단커터의 교체와 관리는 슬리터의 생산성 및 작업효율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전단커터, 특히 한 쌍의 아버 상에 장착되어 전단가공을 일정 시간 행한 이후의 마모된 전단커터의 교체는 대기 중인 마모커터 수거용의 아버 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이송 또는 이행시켜 수행하여 왔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대형의 링커터인 전단커터의 조작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에서는 사용에 의하여 마모된 아버장착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다수 매의 전단커터를 수거용의 아버로 용이하게 일괄적으로 이송하고 다음 예비의 전단커터와 교체하는 자동화라인에 투입되어 마모된 전단커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의 제공으로써 종래 수작업으로 개별적으로 취출하여 내던 마모된 전단커터의 취출을 하나의 취출행정으로 수행하게 함으로서 전단용의 커터교체에 따른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에서는;
금속판재를 스트랩형상으로 절단, 가공하는 슬리터에서, 베이스하우징 상의 구동부컬럼과, 상기 구동부컬럼의 상기 슬리터의 축방향의 반대향의 아버단부지지컬럼 사이에 제공되고 다수 매의 전단커터를 그 외경부에 착탈가능하게 가지는 한 쌍의 아버를 가지고, 상기 아버의 일 측단부인 아버축은 상기 구동부컬럼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아버의 타단인 아버자유단은 캔틸레버의 자유단부로서 제공되어 상기 아버단부지지컬럼에 의하여 축지지 되거나 축지지가 해제되어 개방되고,
상기 아버의 전단커터의 마모 시에, 상기 개방된 아버와 축방향으로 축중심 이 일치되어 대기 중인 블랭크아버인 마모커터수거아버를 포함하는 교체용아버로 상기 전단커터를 일괄적으로 또한 연속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리무버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단커터의 리무버어셈블리는,상기 슬리터 후방 측에 아버의 축방향을 따라서 배설되는 리니어가이드에 따라 가이드 되면서 스크류샤프트에 의하여 직선운동하는 가이드플레이트 상에 장착된 푸셔브라켓이며,
상기 푸셔브라켓은 아버의 축방향과는 직립되게 제공되고 그 단부에 푸셔아암를 일체로 연장하여 가짐으로서 개략 "U" 형상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푸셔아암 사이에 아버를 수용하여 가지고, 상기 푸셔아암의 단부에는 상기 전단커터 접속 및 이송용의 푸셔팁을 경도가 높은 금속부재로서 더 가지는 것은 구체적인 구성의 세부구성이다.
여기에 부가하여, 상기 푸셔아암 간의 아암간격은 아버 상의 전단커터의 외직경보다 크고,
상기 푸셔팁의 단부간의 거리는 상기 전단커터의 외직경보다 작은 것은 구성된 장치의 기하학적인 특징을 규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는;
종래 수작업으로 개별적으로 제거하여야 했던 마모된 전단커터를 일괄적이고도 연속으로 제거하게 하고, 제거를 위하여 타 아버로의 적재작업을 자동화하여 전체 슬리팅가공라인에서의 자동화를 완성하게 하는 유용성을 가진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 슬리터(S)의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던 슬리터와 거의 유사한 부분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는 동일자로 출원되는 본 출원인의 슬리터 관련한 구성의 안출의 하나로서 특히, 마모된 전단커터의 리무버 구성을 그 기술적인 사상의 관점으로 하고, 종래의 통상적인 구성의 슬리터의 구성과, 동일자로 출원되는 다른 구성부는 본 발명의 관점에 속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의 퇴피기구를 구비한 슬리터가 적용된 전체 슬리터라인을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가 적용되어 슬리팅 가공의 자동화라인을 형성할 수 있는 전체 슬리터라인을 정면도로서 도시하고 있다.
전체 슬리터라인은 본 발명의 요부가 적용되는 슬리터(S)와, 이 슬리터를 구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유니트인 동력장치(D), 상기 슬리터(S)와 협동하여 자동화라인을 구성하는 커터교체유니트(U)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는 슬리터(S)에적용되어 커터교체유니트(U)와의 협동 작업에 유용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이 일부의 구성요소로서 적용되는 슬리터(S)와 협동하여 자동 화라인을 구성하는 커터교체유니트(U)는 도 1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리터(S)의 아버(a,b) 상의 마모된 전단커터(c1-c1',c2-c2'..)를 새로운 예비커터(cn1,cn2,cn3..)로 교체하기 위하여 적재한 교체용아버(a1,a2,a3,a4...)가 상하로 구동되어 연속적은 급송이 가능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구성의 신규성은 슬리터(S)에 국한되어 그 구성을 개시하므로 커터교체유니트(U) 및 교체용아버(a1,a2,a3,a4...)의 구성 및 그 작동은 본 발명의 관점이 아니고 기히 종래 구성이 존재하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설명을 위하여서만 간략하게 언급한다.
교체용아버(a1,a2,a3,a4...)는 마모된 슬리터(S)의 아버(a,b) 상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를 수거하는 마모커터수거아버와 교체되기 위하여 연마되어 준비된 새로운 예비커터(cn1,cn2,cn3..)를 스택하여 가지는 커터스택아버를 교대로 혼용하고(본 발명에서는 이를 구분할 실익이 없어 통칭하여 '교체용아버(a1,a2,a3,a4...)'라 칭한다.) 커터교체를 위한 제어에 따라서 커터교체유니트(U)에서 자동화되어 상하 또는 수평으로 이송이 가능하도록 제어된다.(제어수단등은 도시하지 아니함)
슬리터(S)는 강고한 박스형상의 베이스하우징(1) 상에 직립하여 고정되고 내방에 회동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축부재 미치 기어부재를 내장하는 박스형상의 구동부컬럼(10)과, 이 구동부컬럼(10)과 슬리터(S)의 축방향의 반대향에 베이스하우징(1) 상에 제공되는 아버단부지지컬럼(50)이 한 쌍의 대향하는 컬럼으로서 제공된다.
베이스하우징(1) 상의 구동부컬럼(10)과 아버단부지지컬럼(50) 사이에는 역시 상하 한 쌍의 중실원주형이며 상당한 직경체의 축부재인 아버(a,b)가 설치되며, 아버(a,b)의 일 측단부인 아버축(a",b")은 구동부컬럼(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구동이 가능하게 되고, 아버(a,b)의 타단인 아버자유단(a',b')은 캔틸레버의 자유단부로서 제공된다.
도 2 내지 3 에 그 구성이 더욱 명백한 바와 같이,
슬리터(S)의 구동부컬럼(10)은 대향하는 한 쌍의 수직컬럼(11,12)에 각각 지지되는 아버축(a",b") 상에는 기어(15,16)가 커넥팅기어(17,18)를 거쳐서 접속하여 있고, 하방의 아버(b)로부터 연장된 아버축(b")에는 감속기(K)및 모우터(M)가 연결되는 체결축(C)이 연결되어 감속되고 증력된 구동력이 전달되고 감속기(K)및 모우터(M)는 동력유니트인 동력장치(D)로 제공되어 조립 및 운반이 용이하게 구성된다.
도 13에 상세히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아버단부지지컬럼(50)은 베이스하우징(1)의 단부에 직립하여 제공되고 아버단부지지컬럼(50)과 베이스하우징(1) 사이에는 가이드구동을 위한 수평의 LM가이드인 X축가이드(L1)가 개재되어 있고, 이 X축가이드(L1)는 베이스하우징(1)의 일측단 후방단부에 제공되는 개략 박스형의 구동하우징(100) 상에까지 이동로가 연장(물론 베이스하우징(1)와 구동하우징(100)를 가로질러 X축가이드(L1)가 설치되지는 않고 동일 직선로를 형성하면서 분절되어 고정되어 있다)되어 유공압실린더(H1)에 의하여 x 축방향으로 이송이 가능하다.
구동하우징(100)은 슬리터(S)의 설치바닥면(G)의 지하로 매립되어 고정되는 가이드하우징(200) 상에 놓여 지고, 가이드하우징(200) 상에는 LM가이드인 Z축가이드(L2)가 설치되어 구동하우징(100)이 그 위에서 가이드되면서 z 축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하도록 유공압실린더(H2)를 가진다.
도 6에서와 같이, 아버단부지지컬럼(50)에는 아버(a,b)의 아버자유단(a',b')을 축지지하는 축클램핑어셈블리(60,70)를 구비하고 축클램핑어셈블리(60,70)에는 아버자유단(a',b')의 고정고정공에 교채가능하도록 끼워고정된 클랭핑넥(a-1,b-1))으로 전후진하여 근접 또는 이탈하여 축지지 또는 축지지해제를 수행하는 클램핑아암(61',71')을 구동하는 클램핑실린더(61,71)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동부컬럼(10)에 장착된 아버(a,b)는 그 자유단부에서 아버단부지지컬럼(50)에 의하여 축지지되어 슬리팅가공을 수행하고, 전단커터(c1-c1',c2-c2'..)가 마모되어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축지지가 해지되고 아버단부지지컬럼(50)가 후퇴함으로써 자유단으로 존재하여 전단커터(c1-c1',c2-c2'..)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아버(a,b)에는 도 6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형상의 전단커터(c1-c1',c2-c2'..)를 일정한 간격의 스페이서(s1-s1',s2-s2'..)를 개재하면서 각각 삽입하여 고정하게 되며 이 아버(a,b) 상의 상하의 전단커터(c1-c1',c2-c2'..)에 의하여 아버(a,b)로 급송되는 금속판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전단되어 스트랩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하의 아버(a,b)가 회전하여 아버(a,b) 상에 고정된 전단커터(c1-c1',c2-c2'..)에 의하여 원활한 전단이 이루어지기 위하여서는 상하의 아버(a,b)가 동기화 되어 회전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기어(15,16) 및 측방의 기어샤프트(17'18') 상의 커넥팅기어(17,18)를 경유하여 접속함으로서 동기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주요한 구성부재로서 장착된 전단커터(c1-c1',c2-c2'..)가 마모되거나 파손되어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단커터(c1-c1',c2-c2'..)를 아버(a,b)로부터 피탈하여 낼 정도의 충분한 여유공간(g)이 상하의 아버(a,b) 사이에 보장되어야 하므로 하방의 아버(b)에 대하여 상방의 아버(a)를 승강시켜 여유공간(g)을 제공하기 위한 승강기구가 제공되며, 승강기구는 승강 전 상태를 도시하는 도 6과 승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7에서와 같이,
상방의 아버(a)의 아버축(a")을 수용하는 축부(20',21')를 가지면서 상하로 가이드되면서 승강하는 한 쌍의 승강플레이트(20,21)및 이 승강플레이트(20,21)를 상하로 구동하는 승강모우터(25), 승강모우터(25)와 베벨기어접속하여 동력을 직각변환하여 승강플레이트(20,21)를 구동하고 한 쌍의 수직컬럼(11,12) 상에 각각 장착되는 승강기어(26,27)를 구동부컬럼(10)에 구비하고, 승강기어(26,27)로 부터 역시 베벨기어 접속 등으로 연장하는 승강샤프트(28)가 더욱 연장되어 아버단부지지컬럼(50)으로까지 전달되어 아버축(a")의 반대단부 즉, 캔틸레버 자유단인 아버자유단(a')도 동시에 승강하는 구성으로서 양 측에서 동기화되어 승강함으로서 아버(a)의 승강치가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이루어도록 아버단부지지컬럼(50)에서의 상방의 아버(a)를 지지하도록 후술하는 축클램핑어셈블리(60)가 상하로 승강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되는 승강플레이트(51)에 제공되고,
이 승강플레이트(51)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기구는, 상술한 구동부컬럼(10) 측의 승강기어(26,27)로부터 연장된 승강샤프트(28) 단부의 제공되는 유니버설조인트(30)와 축길이의 연신, 수축이 자유로운 스플라인축(31), 스플라인축(31) 단부의 유니버설조인트(32), 유니버설조인트(32)에 연결되는 승강기어(56)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하는 아버(a,b)의 아버자유단(a',b')을 축지지 또는 해제하여 아버단부지지컬럼(50) 전체가 후방으로 이송되어 교체용의 전단커터가 진입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동일자 출원에서 더욱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효과가 설명되며 본 발명에서는 그 권리로 하지 않는다.
상기하는 구성에 부가된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를 도 2, 3, 4, 5 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단커터리무버어셈블리(A)는 도 2, 3, 4, 5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행한 한 쌍의 아버(a,b)의 측방에서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하 한 쌍의 푸셔브라켓(80,90)을 작동부재로서 구비한다.
푸셔브라켓(80,90)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플레이트(81,91) 상에 직립하여 고착되고, 가이드플레이트(81,91)는 슬리터(S) 후방 측, 아버(a,b) 측방에서 아버(a,b)의 축방향을 따라서 길게 배설고정되는 리니어가이드(85,95) 상에 그 후면에서 끼워져 가이드되고,
동시에 도 5, 10에서와 같이, 구동부컬럼(10)과 아버단부지지컬럼(50)를 가로질러 샤프트축수(86',96')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크류샤프트(86,96)와 결합하여 협동하는 급송너트(82,92)를 가이드플레이트(81,91)의 후면에 구비함으로 서 나사접속하여 직선구동이 구현된다.
또한, 푸셔브라켓(80,90)은 아버(a,b)의 축방향과는 직립되게 제공되고 단부에 푸셔아암(80',80",90',90")를 일체로 연장하여 가짐으로서 개략 "U: 형상을 구성한다.
이에 따라서 푸셔아암(80',80",90',90") 사이에 아버(a,b)를 수용하는 형상을 가진다.
푸셔아암(80',80",90',90")의 단부에는 중량체의 금속 링형상부재인 전단커터(c1-c1',c2-c2'..)를 취출 시에 밀어서 이동시키기 위하여, 경도가 높은 금속재의 푸셔팁(80'-1,80"-1,90'-1,90"-1)을 마모 시에 교체가능한 부재로서 장착하여 가진다.
푸셔팁(80'-1,80"-1,90'-1,90"-1)은 교체되는 마모된 전단커터(c1-c1',c2-c2'..)의 측방을 강하게 밀어 슬라이드 이동시키므로 푸셔아암(80',80",90',90")간의 아암간격(e)은 아버(a,b) 상의 전단커터(c1-c1',c2-c2'..)의 외직경(D)보다 여유있게 크지만, 푸셔팁(80'-1,80"-1,90'-1,90"-1)의 단부간의 거리(E)는 도 4 에서와 같이, 전단커터(c1-c1',c2-c2'..)의 외직경(D)보다 작아야 측방접촉에 의한 걸림으로 슬라이드이동력이 인가될 것이다.
전단커터(c1-c1',c2-c2'..)의 아버(a,b)로의 적재 시에는 상기의 푸셔브라켓(80,90)은 전단커터(c1-c1',c2-c2'..)의 아버(a,b)로의 진입에 따라서 푸셔팁(80'-1,80"-1,90'-1,90"-1)와 전단커터(c1-c1',c2-c2'..)간의 측방걸림에 의한 밀림으로 슬리터(S)의 최좌측으로 밀려져 있게 되고,
슬리터(S)의 일정한 사용에 의하여 전단커터(c1-c1',c2-c2'..)가 마모되어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 전단커터리무버어셈블리(A)가 작동하여 하기와 같이 마모된 전단커터리무버어셈블리(A)를 아버(a,b)로부터 취출하여 내게 된다.
도 3 에서 상방의 아버(a)의 푸셔브라켓(80)는 중앙 위치에 있는 것을, 하방의 아버(b)는 아버(b)의 단부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함으로서 자유롭게 아버(a,b) 상을 구동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하는 전단커터리무버어셈블리(A)와 협동하여 슬리터(S)로부터 마모된 전단커터(c1-c1',c2-c2'..)를 취출하여 내는 작동과 과정을 설명한다.
아버단부지지컬럼(50)의 교환을 위한 여유공간(g)을 상하의 아버(a,b) 사이에 보장하기 위하여 상방의 아버(a)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승강모우터(25)를 구동하여 구동부컬럼(10)의 상방의 아버(a)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승강플레이트(20,21)와 유니버셜조인트 및 스플라인축으로 연결된 아버단부지지컬럼(50)의 승강플레이트(51)를 동시에 상승시킨 상태로 하고, 아버단부지지컬럼(50)의 아버자유단(a',b')을 축지지하는 축클램핑어셈블리(60,70)의 그래핑실린더(61,71)를 작동시켜 아버자유단(a',b')의 고정공(a-1,b-1)으로부터 아버(a,b)를 클램핑 해제시킴으로서 축지지를 해제하여 후퇴대기 상태로 한다.
클램핑고정의 해제상태에서 아버단부지지컬럼(50)은 X축가이드(L1)를 따라서 유공압실린더(H1)에 의하여 후방의 구동하우징(100) 상으로까지 후퇴하고, 후퇴상태에서 구동하우징(100)은 설치바닥면(G)의 지하로 매립되어 고정되는 가이드하우징(200) 상에서 유공압실린더(H2)의 작동에 의하여 Z축가이드(L2)에 의하여 가이드 되면서 z 축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서 슬리터(S)의 축중심선(C)으로아버단부지지컬럼(50)은 완전히 후퇴하여 있게 된다.
이때에 아버단부지지컬럼(50)에서의 상방의 아버(a)를 지지하는 승강플레이트(51)의 승강기구는, 상술한 구동부컬럼(10)측의 승강기어(26,27)로부터 연장된 승강샤프트(28) 단부의 제공되는 유니버설조인트(30)와 스플라인축(31), 스플라인축(31) 단부의 유니버설조인트(32), 유니버설조인트(32)에 연결되는 승강기어(56)에 의하여 구동부컬럼(10)측의 승강기어(26,27)의 구동과 동기화하여 상승된 상태이다.
이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요부인 전단커터리무버어셈블리(A)와 협동하여 슬리터(S)로부터 마모된 전단커터(c1-c1',c2-c2'..)를 취출하여 내는 작동은 하기와 같다.
커터교체유니트(U)의 도시하지 아니하는 커터셀프 상에 연마되어 교체준비가 된 다수개의 교체커터(도시하지 아니함)를 상하로 이송제어가 자유로운 다수 매의 예비의 교체용아버(a1,a2,a3,a4...)에 역시 도시하지 아니하는 로보트의 핸드로서 재생되거나 연마되어 새롭게 준비된 예비커터(cn1,cn2,cn3..)를 스태킹하여 교체용아버(a1,a2,a3,a4...)에 삽입하여 두면,
도 15에서와 같이, 레일기구(RL) 등에 의하여 슬리터(S)로 진입하여 아버단부지지컬럼(50)이 퇴피한 위치에서 슬리터(S)의 아버(a,b)로 근접하고 아버(a,b)와 블랭크로서 마모커터 수거용의 교체용아버(a1,a2,a3,a4...)의 하나를 축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아버(a,b) 상의 전단커터리무버어셈블리(A)를 제거하기 위하여 최 좌측으로 밀려져 있던 전단커터리무버어셈블리(A)의 푸셔브라켓(80,90)이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리니어가이드(85)가 구동하면,
푸셔브라켓(80,90)의 푸셔아암(80',80",90',90") 단부인 푸셔팁(80'-1,80"-1,90'-1,90"-1)이 전단커터리무버어셈블리(A)의 측방을 밀어 연속적으로 전단커터리무버어셈블리(A)를 교체용아버(a1,a2,a3,a4...)의 마모커터수거아버의 하나에 적재하여 내고 마모된 전단커터리무버어셈블리(A)가 적재된 마모커터수거아버는 커터교체유니트(U)에서의 제어에 의하여 연마를 위한 후속 공정으로 이송되어 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가 적용된 슬리터를 포함하는 전체 슬리터라인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를 구비한 슬리터의 전체외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슬리터의 구동부컬럼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를 구비한 슬리터의 평면도로서 아버의 전단커터를 교체하기 위하여 아버단부지지컬럼이 개방된 상태인 도 15의 부분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의 요부인 리무버를 도시하기 위하여 슬리터의 우측에서 올려다본 사시도.
도 6은 동력구동부를 종단면으로 도시한 도 2의 정면도.
도 7은 도 2의 전체 종단면도.
도 8은 도 2의 좌측면도,
도 9는 도 2의 A-A 선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B-B 선단면도,
도 11은 도 2의 우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슬리터에서 아버단부 지지컬럼의 퇴피 이전 상태를 도시하는 슬리터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3는 도 12의 우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슬리터에서 아버단부 지지컬럼의 퇴피 이전 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슬리터에서 아버단부 지지컬럼의 퇴피 이전 상태를 도시하는 슬리터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6는 도 14의 좌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S: 슬리터
HA: 리무버어셈블리
80,90: 푸셔브라켓
80',80",90',90": 푸셔아암
80'-1,80"-1,90'-1,90"-1: 푸셔팁

Claims (5)

  1. 금속판재를 스트랩형상으로 절단, 가공하는 슬리터(S)에서, 베이스하우징(1) 상의 구동부컬럼(10)과, 상기 구동부컬럼(10)의 상기 슬리터(S)의 축방향의 반대향의 아버단부지지컬럼(50) 사이에 제공되고 다수 매의 전단커터(c1-c1',c2-c2'..)를 그 외경부에 착탈가능하게 가지는 한 쌍의 아버(a,b)를 가지고, 상기 아버(a,b)의 일 측단부인 아버축(a",b")은 상기 구동부컬럼(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아버(a,b)의 타단인 아버자유단(a',b')은 캔틸레버의 자유단부로서 제공되어 상기 아버단부지지컬럼(50)에 의하여 축지지되거나 축지지가 해제되어 개방되고,
    상기 아버(a,b)의 전단커터(c1-c1',c2-c2'..)의 마모 시에 상기 개방된 아버(a,b)와 축방향으로 축중심이 일치되어 대기 중인 블랭크아버인 마모커터수거아버를 포함하는 교체용아버(a1,a2,a3,a4...)로 상기 전단커터(c1-c1',c2-c2'..)를 이송 적재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터(S) 후방 측에 아버(a,b)의 축방향을 따라서 배설되는 리니어가이드(85,95)에 따라 가이드되면서 스크류샤프트(86,96)에 의하여 직선운동하는 가이드플레이트(81,91) 상에 장착된 푸셔브라켓(80,90)이며, 상기 푸셔브라켓(80,90)은 아버(a,b)의 축방향과는 직립되게 제공되고 그 단부에 푸셔아암(80',80",90',90")를 일체로 연장하여 가지는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푸셔아암(80',80",90',90")의 단부에 푸셔팁(80'-1,80"-1,90'-1,90"-1)을 더 부여하고, 상기 푸셔팁(80'-1,80"-1,90'-1,90"-1)은 상기 푸셔아암(80',80",90',90")의 단부에서 착탈에 의한 교환이 가능하도록 취부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70084172A 2007-08-21 2007-08-21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 KR101129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172A KR101129776B1 (ko) 2007-08-21 2007-08-21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172A KR101129776B1 (ko) 2007-08-21 2007-08-21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608A KR20090019608A (ko) 2009-02-25
KR101129776B1 true KR101129776B1 (ko) 2012-03-27

Family

ID=4068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172A KR101129776B1 (ko) 2007-08-21 2007-08-21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7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977Y1 (ko) * 1996-02-29 1999-02-18 허영준 슬리타 라인의 회전식 나이프 스탠드 교환장치
JP2000084884A (ja) * 1998-09-11 2000-03-28 Kawasaki Steel Corp 刃替装置のハンド
JP2002160189A (ja) * 2000-11-22 2002-06-04 Kyowa Seisakusho:Kk スリッタの刃物交換装置及び刃物交換方法
JP2005131735A (ja) 2003-10-30 2005-05-26 Kinpo Kogyo Kk スリッターの自動刃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977Y1 (ko) * 1996-02-29 1999-02-18 허영준 슬리타 라인의 회전식 나이프 스탠드 교환장치
JP2000084884A (ja) * 1998-09-11 2000-03-28 Kawasaki Steel Corp 刃替装置のハンド
JP2002160189A (ja) * 2000-11-22 2002-06-04 Kyowa Seisakusho:Kk スリッタの刃物交換装置及び刃物交換方法
JP2005131735A (ja) 2003-10-30 2005-05-26 Kinpo Kogyo Kk スリッターの自動刃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608A (ko)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255087U (zh) 一种不锈钢板裁切磨边装置
CN100509193C (zh) 用于移动金属物料的装置
KR101061629B1 (ko) 슬리터의 커터자동교체용 로보트핸드어셈블리
CN206122563U (zh) 一种推料夹钳及采用推料夹钳的剪板机上料剪切自动线
KR101129776B1 (ko) 슬리터의 전단커터 리무버어셈블리
KR101129966B1 (ko)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 퇴피기구
CN101947732B (zh) 钢棒截断机
CN212822071U (zh) 一种便捷式的防毛刺冲压机
US56370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a saw assembly
CN111590329B (zh) 多功能复合机床
CN214684510U (zh) 一种金属制品生产用剪板机
KR101092748B1 (ko)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나이프세트 교환시스템
KR101098651B1 (ko)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의 축수어셈블리
CN216138242U (zh) 一种便于物料流转的废旧桶回收切盖机
CN215392772U (zh) 一种用于钣金生产的高效剪板机
CN211888788U (zh) 一种钢筋剪切机
CN211163403U (zh) 一种全自动切管机
CN210173086U (zh) 用于型材裁切设备的自动上料装置
KR101098883B1 (ko) 플라즈마 커팅 장치
KR200441766Y1 (ko) 슬리터 아버 샤프트의 해제장치
CN212239351U (zh) 一种金属加工用剪板机
CN220217151U (zh) 一种激光切割机工件传送机构
CN218857361U (zh) 一种自动清理废料的多板材内孔切磨一体机
CN210789421U (zh) 一种用于大型板材加工的快速剪板的剪板机剪板机构
CN218775770U (zh) 一种风管加工用剪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