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7387B1 - 동력전달용 조인트 - Google Patents

동력전달용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387B1
KR101127387B1 KR1020080127040A KR20080127040A KR101127387B1 KR 101127387 B1 KR101127387 B1 KR 101127387B1 KR 1020080127040 A KR1020080127040 A KR 1020080127040A KR 20080127040 A KR20080127040 A KR 20080127040A KR 101127387 B1 KR101127387 B1 KR 101127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flange portion
shaft
pair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8626A (ko
Inventor
이철중
Original Assignee
이철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중 filed Critical 이철중
Priority to KR1020080127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387B1/ko
Publication of KR20100068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10Couplings with means for varying the angular relationship of two coaxial shafts during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06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to allow axial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동력전달용 조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발생된 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구동축과, 이에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피동축과의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측의 동력을 피동측으로 전달하는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일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제1플랜지부 ; 상기 피동축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제2플랜지부 ; 상기 제1플랜지부의 일측에 구비된 한쌍의 제1브라켓과 제1힌지핀을 매개로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2플랜지부의 일측에 구비된 한쌍의 제2브라켓과 제2힌지핀을 매개로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의 양단에 관통형성된 제1연결공과 제2연결공에 각각 조립되는 제1힌지핀과 제2힌지핀은 서로 직각으로 교차한다.
동력전달, 조인트, 구동축, 피동축, 플랜지, 연결바, 힌지핀

Description

동력전달용 조인트{Power Transmission Joint}
본 발명은 동력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동력이 전달되는 방향이 유연하게 변화되도록 하여 동력전달시 각도의 변화에 따라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연결부위에서의 휨변형을 예방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용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속, 유니버셜 조인트와 같은 동력전달장치는 구동축과 피동축이 동일선상에 있지 않고 일정각도로 이격된 상태에서도 구동축에서 발생된 동력을 피동축으로 원활하게 전달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력전달용 조인트는 자동차 및 각종 기계장치의 동력전달이나 전동 및 수동공구에서 동력을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종래의 동력전달용 조인트는 통상적으로 구동축과 피동축의 각 접촉면에 홈을 가공하고 이들사이의 연결부위에서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을 삽입하는 조립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베어링과 홈과의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그리스를 충전하고, 그 위에 자바라식의 고무덮개를 덮어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축과 피동축이 동일선상에 있지 않고 서로 엇갈린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동력전달용 조인트를 통하여 피동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경우, 외부조건의 변화에 의하여 구동축과 피동축이 서로 엇갈리게 되는 각도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상태가 수없이 반복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베어링과 접촉되는 홈의 마모가 지속되면서 소음발생이 초래되며, 또한 극격한 각도변경에 의하여 연결부위 및 그 주변 부품이 파손될 수 있고,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주요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동력이 전달되는 방향이 유연하게 변화되도록 하여 동력전달시 각도의 변화에 따라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연결부위에서의 휨변형을 예방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용 조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발생된 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구동축과, 이에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피동축과의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측의 동력을 피동측으로 전달하는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일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제1플랜지부 ; 상기 피동축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제2플랜지부 ; 상기 제1플랜지부의 일측에 구비된 한쌍의 제1브라켓과 제1힌지핀을 매개로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2플랜지부의 일측에 구비된 한쌍의 제2브라켓과 제2힌지핀을 매개로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의 양단에 관통형성된 제1연결공과 제2연결공에 각각 조립되는 제1힌지핀과 제2힌지핀은 서로 직각으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용 조인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플랜지부는 상기 구동축의 일단부가 접하여 용접되는 제1함몰부를 형성하는 제1축플랜지와, 상기 제1브라켓이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1축플랜지와 복수개의 제1체결부재를 매개로 조립되는 제1브라켓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플랜지부는 상기 피동축의 일단부가 접하여 용접되는 제2함몰부를 형성하는 제2축플랜지와, 상기 제2브라켓이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2축플랜지와 복수개의 제2체결부재를 매개로 조립되는 제2브라켓플랜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바는 상기 한쌍의 제1브라켓 내측면에 일단이 면접하고, 상기 한쌍의 제2브라켓 내측면에 타단이 면접하도록 다면체 바부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연결공은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생된 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구동축과, 이에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피동축과의 사이에 구비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일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제1플랜지부 ; 상기 피동축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제2플랜지부 ;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사이를 연결하는 제3플랜지부 ; 상기 제1플랜지부의 일측에 구비된 한쌍의 제1브라켓과 제1힌지핀을 매개로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3플랜지부의 일측에 구비된 한쌍의 제3브라켓과 제3힌지핀을 매개로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연결바; 및 상기 제2플랜지부의 일측에 구비된 한쌍의 제2브라켓과 제2힌지핀을 매개로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3플랜지부의 타측에 구비된 한쌍의 제4브라켓과 제4힌지핀을 매개로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바의 양단에 관통형성된 제1연결공과 제2연결공에 각각 조립되는 제1힌지핀과 제2힌지핀은 서로 직각으로 엇갈리게 배치하고, 상기 제2연결바의 양단에 관통형성된 제3연결공과 제4연결공에 각각 조립되는 제3힌지핀과 제4힌지핀은 서로 직각으로 엇갈리게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2힌지핀과 제4힌지핀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용 조인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플랜지부는 상기 구동축의 일단부가 접하여 용접되는 제1함몰부를 형성하는 제1축플랜지와, 상기 제1브라켓이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1축플랜지와 복수개의 제1체결부재를 매개로 조립되는 제1브라켓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플랜지부는 상기 피동축의 일단부가 접하여 용접되는 제2함몰부를 형성하는 제2축플랜지와, 상기 제2브라켓이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2축플랜지와 복수개의 제2체결부재를 매개로 조립되는 제2브라켓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3플랜지부는 상기 한쌍의 제3브라켓과 한쌍의 제4브라켓이 좌우양측면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는 중간플랜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연결바는 상기 한쌍의 제1브라켓 내측면에 일단이 면접하고, 상기 한쌍의 제3브라켓 내측면에 타단이 면접하도록 일정길이의 다면체 바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바는 상기 한쌍의 제4브라켓 내측면에 일단이 면접하고 상기 한쌍의 제2브라켓 내측면에 타단이 면접하도록 일정길이의 다면체 부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3 및 4연결공은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3플랜지부사이 그리고 제2플랜지부와 제3플랜지부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축의 일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제1플랜지부와, 피동축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제2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제1플랜지부와 제1힌지핀을 매개로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제2플랜지부와 제2힌지핀을 매개로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바를 구비하고, 제1힌지핀과 제2힌지핀은 서로 직각으로 엇갈리게 배치됨으로써 구동축과 피동축이 동일한 선상에 위치되지 않고 서로 엇갈리게 위치되더라고 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동력이 전달되는 방향이 유연하게 변화되기 때문에 동력전달시 각도의 변화에 따라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연결부위에서의 휨변형을 예방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조인트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조인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조인트(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생된 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구동축(1)과, 이에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피동축(2)과의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 측의 동력을 피동 측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이러한 조인트는 제1,2플랜지부(110,120) 및 연결바(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플랜지부(110)는 전원인가시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또는 엑츄에이터와 같은 구동수단의 구동축(1)의 일단과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1플랜지부(110)는 제1축플랜지(111)와 제1브라켓플랜지(112)를 포함하는바, 상기 제1축플랜지(111)는 상기 구동축(1)의 일단부가 접하여 용접되도록 일측면에 일정깊이의 제1함몰부(113)를 함몰형성하고, 외측테두리에 복수개의 체결공(114)을 관통형성한 블라인드 원판형 플랜지로 구비된다.
상기 제1브라켓플랜지(112)는 외측테두리에 복수개의 체결공(115)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제1축플랜지(111)와 복수개의 제1체결부재(116)를 매개로 하여 접합조립되고, 상기 제1브라켓플랜지(112)의 일측면에는 한쌍의 제1브라켓(117)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한쌍의 제1브라켓(117)에는 후술하는 제1힌지핀(141)과 조립되는 제1힌지공(118)을 관통형성한다.
상기 제2플랜지부(120)는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을 하는 피동축(2)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2플랜지부(120)는 상기 제1플랜지부와 마찬가지로 제2축플랜지(121)와 제2브라켓플랜지(122)를 포함하는바, 상기 제2축플랜지(121)는 상기 피동축(1)의 일단부가 접하여 용접되도록 일측면에 일정깊이의 제2함몰부(123)를 함몰형성하고, 외측테두리에 복수개의 체결공(124)을 관통형성한 블라인드 원판형 플랜지로 구비된다.
상기 제2브라켓플랜지(122)는 외측테두리에 복수개의 체결공(125)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제2축플랜지(121)와 복수개의 제2체결부재(126)를 매개로 하여 접합조립되고, 상기 제2브라켓플랜지(122)의 일측면에는 한쌍의 제2브라켓(127)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한쌍의 제1브라켓(127)에는 후술하는 제2힌지핀(142)과 조립되는 제2힌지공(128)을 관통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과 피동축은 상기 제1,2축플랜지의 중앙에 관통형성된 관통공에 삽입한 다음 관통공의 입구단 및 출구단에서 각각 용접연결하지 않고 상기 제1축플랜지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함몰부(113)와 상기 제2축플랜지의 일측면에 함몰형성된 제2함몰부(123)에 각각 단부가 접한 상태에서 일체로 용접연결되기 때문에 제1,2플랜지부의 제작시 용접공정을 단순화하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바(140)는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 이러한 연결바(140)는 상기 제1플랜지부(110)의 제1브라켓(117)에 관통형성된 제1힌지공(118)과 일치되는 제1연결공(143)을 일단부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힌지공(118)과 제1연결공(143)을 통해 조립되는 제1힌지핀(141)을 매개로 연결바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됨과 동시에 상기 제2플랜지부(120)의 제2브라켓(127)에 관통형성된 제2힌지공(128)과 일치되는 제2연결공(144)을 타단부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2힌지공(128)과 제2연결공(144)을 통해 조립되는 제2힌지핀(142)을 매개로 연결바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제1,2힌지핀(141,142)은 이탈방지용 링부재를 양단에 각각 구비하거나 외력에 의해서 양단의 외경을 확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2힌지공(118,128) 및 제1,2연결공(143,144)으로부터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플랜지부(110)와 연결바(140)의 일단사이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힌지핀(141)과, 상기 제2플랜지부(120)와 연결바(140)의 타단사이를 연결하는 제2힌지핀(142)은 서로 직각으로 엇갈리게 배치한다.
이에 따라, 제1,2플랜지부는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서 상기 구동축과 피동축이 서로 다른 엇갈린 상태에서도 회전동력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바(140)는 상기 한쌍의 제1브라켓(117) 내측면에 일단이 면접하고, 상기 한쌍의 제2브라켓(127) 내측면에 타단이 면접하는 사각단면상의 바부재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 육각 및 팔각과 같이 다각단면상을 갖는 다면체 바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바(140)의 양단부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리게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구동축과 피동축간의 동력전달시 제1플랜지부와 연결바의 일단부간 접촉 및 제2플랜지부와 연결바의 타단부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각 라운드부(R)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14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제1,2연결공(144,145)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랜지부(110)와 제2플랜지부(120)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되거나 장공형 연결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2연결공(144,145)이 장공형 연결공으로 구비되는 경우 그 내부면에는 원형단면상의 제1,2힌지핀(141,142)이 걸려 배치되는 오목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조인트를 도시한 전체 사시 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조인트가 절곡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조인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조인트(2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생된 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구동축(1)과, 이에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피동축(2)과의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 측의 동력을 피동 측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이러한 조인트는 제1,2 및 3플랜지부(210,220,230) 및 제1,2연결바(240,2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플랜지부(210)는 전원인가시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또는 엑츄에이터와 같은 구동수단의 구동축(1)의 일단과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1플랜지부(210)는 제1축플랜지(211)와 제1브라켓플랜지(212)를 포함하는바, 상기 제1축플랜지(211)는 상기 구동축(1)의 일단부가 접하여 용접되도록 일측면에 일정깊이의 제1함몰부(213)를 함몰형성하고, 외측테두리에 복수개의 체결공(214)을 관통형성한 블라인드 원판형 플랜지로 구비된다.
상기 제1브라켓플랜지(212)는 외측테두리에 복수개의 체결공(215)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제1축플랜지(211)와 복수개의 제1체결부재(216)를 매개로 하여 접합조립되고, 상기 제1브라켓플랜지(212)의 일측면에는 한쌍의 제1브라켓(217)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한쌍의 제1브라켓(217)에는 후술하는 제1힌지핀(241)과 조립되는 힌지공(218)을 관통형성한다.
상기 제2플랜지부(220)는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을 하는 피동축(2)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2플랜지부(220)는 상기 제1플랜지부와 마찬가지로 제2축플랜지(221)와 제2브라켓플랜지(222)를 포함하는바, 상기 제2축플랜지(221)는 상기 피동축(1)의 일단부가 접하여 용접되도록 일측면에 일정깊이의 제2함몰부(223)를 함몰형성하고, 외측테두리에 복수개의 체결공(224)을 관통형성한 블라인드 원판형 플랜지로 구비된다.
상기 제2브라켓플랜지(222)는 외측테두리에 복수개의 체결공(225)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제2축플랜지(221)와 복수개의 제2체결부재(226)를 매개로 하여 접합조립되고, 상기 제2브라켓플랜지(222)의 일측면에는 한쌍의 제2브라켓(227)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한쌍의 제2브라켓(227)에는 후술하는 제4힌지핀(2522)과 조립되는 힌지공(228)을 관통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과 피동축은 상기 제1,2축플랜지의 중앙에 관통형성된 관통공에 삽입한 다음 관통공의 입구단 및 출구단에서 각각 용접연결하지 않고 상기 제1축플랜지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함몰부(213)와 상기 제2축플랜지의 일측면에 함몰형성된 제2함몰부(223)에 각각 단부가 접한 상태에서 일체로 용접연결되기 때문에 제1,2플랜지부의 제작시 용접공정을 단순화하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플랜지부(330)는 상기 제1플랜지부(220)와 마주하는 일측면에 한쌍의 제3브라켓(232)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제2플랜지부(220)와 마주하는 타측면에 한쌍의 제4브라켓(233)을 일체로 구비하는 원반형 중간플랜지(231)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바(240)는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3플랜지부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 이러한 제1 연결바(240)는 상기 제1플랜지부(210)의 제1브라켓(217)에 관통형성된 제1힌지공(218)과 일치되는 제1연결공(243)을 일단부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1힌지공(218)과 제1연결공(243)을 통해 조립되는 제1힌지핀(241)을 매개로 제1연결바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됨과 동시에 상기 제3플랜지부(320)의 제3브라켓(232)에 관통형성된 제3힌지공(234)과 일치되는 제2연결공(244)을 타단부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3힌지공(234)과 제2연결공(244)을 통해 조립되는 제2힌지핀(242)을 매개로 제1연결바(240)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바(250)는 상기 제2플랜지부와 제3플랜지부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 이러한 제2연결바(240)는 상기 제2플랜지부(220)의 제2브라켓(228)에 관통형성된 제2힌지공(228)과 일치되는 제3연결공(253)을 일단부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2힌지공(228)과 제3연결공(253)을 통해 조립되는 제3힌지핀(251)을 매개로 제2연결바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됨과 동시에 상기 제3플랜지부(320)의 제4브라켓(233)에 관통형성된 제4힌지공(235)과 일치되는 제4연결공(254)을 타단부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4힌지공(235)과 제4연결공(254)을 통해 조립되는 제4힌지핀(252)을 매개로 제2연결바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제1,2힌지핀(241,242)과 더불어 제3,4힌지핀(251,252)은 이탈방지용 링부재를 양단에 각각 구비하거나 외력에 의해서 양단의 외경을 확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2,3 및 4힌지공(218,228,233,234) 및 제1,2,3 및 4연결공(243,244,253,254)으로부터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플랜지부(210)와 제1연결바(240)의 일단사이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힌지핀(241)과, 상기 제3플랜지부(230)와 제1연결바(240)의 타단사이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힌지핀(242)은 서로 직각으로 엇갈리게 배치하고, 상기 제2플랜지부(220)와 제2연결바(250)의 일단사이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힌지핀(253)과, 상기 제3플랜지부(230)와 제2연결바(250)의 타단사이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4힌지핀(252)은 서로 직각으로 엇갈리게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3플랜지부에 결합되는 제2힌지핀(242)과 제4힌지핀(252)은 동력전달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플랜지부와 제3플랜지부는 서로 직각으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제1힌지핀과 제2힌지핀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3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는 제3힌지핀과 제4힌지핀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각도조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구동축과 피동축이 서로 다른 엇갈린 상태에서도 축심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피동축과 구동축간의 회전동력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연결바(240)는 상기 한쌍의 제1브라켓(217) 내측면에 일단이 면접하고, 상기 한쌍의 제3브라켓(232) 내측면에 타단이 면접함과 동시에 상기 제2연결바(250)는 상기 한쌍의 제2브라켓(227) 내측면에 일단이 면접하고, 상기 한쌍의 제4브라켓(233) 내측면에 타단이 면접하는 사각단면상의 바부재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 육각 및 팔각과 같이 다각단면상을 갖는 다면체 바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연결바(240,250)의 각 양단부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리게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구동축과 피동축간의 동력전달시 제1플랜지부와 제1연결바의 일단부간 접촉 및 제3플랜지부와 제1연결바의 타단부간의 접촉그리고 상기 제2플랜지부와 제2연결바의 일단부간 접촉 및 제3플랜지부와 제2연결바의 타단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각 라운드부(R)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2연결바(240,250)의 각 양단부에 형성되는 제1,2,3 및 4연결공(244,245,253,254)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랜지부(210)와 제3플랜지부(230)사이 그리고 상기 제2플랜지부(220)와 제3플랜지부(230)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되거나 복수개 구비되거나 장공형 연결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2,3 및 4연결공(244,245,253,254)이 장공형 연결공으로 구비되는 경우 그 내부면에는 원형단면상의 제1,2,3 및 4힌지핀(241,242,251,252)이 걸려 배치되는 오목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2실시 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조인트를 적용한 사용상태도로서, 일정크기의 내부공간(P)을 갖는 피트(5)의 하부에 피동축을 갖는 제수변(3)을 설치하고, 상기 피트(5)상부에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4)상에 엑츄에이터(10)를 설치한 다음, 상기 제수변(3)의 피동축(2)과 상기 엑츄에이터(10)의 구동축(1)을 서로 연결하는 시공과정에서 상기 구동축(1)과 피동축(2)은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지 않고 서로 엇갈리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구동축(1)의 단부와 제1플랜지부가 용접연결되고, 상기 피동축(2)의 단부와 제2플랜지부가 용접연결되는 조인트(100,20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엑츄에이터의 구동시 발생되는 회전동력을 상기 구동축, 피동축을 통하여 상기 제수변으로 전달하여 상기 제수변의 개폐작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엑츄에이터(10)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구동축(1)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축(1)과 축심이 서로 어긋난 상태에서도 피동축(2)이 상기 조인트(100,200)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구동축의 동력을 피동축으로 전달하여 제수변을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제1,2플랜지 및 연결바로 이루어진 조인트(100)의 경우,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는 제1플랜지부(110)와, 상기 피동축에 연결되는 제2플랜지부(120)와의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바(140)가 제1,2힌지핀(141,142)을 매개로 제1,2플랜지부(110,120)와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2힌지핀은 서로 직각으로 엇갈리게 배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연결바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1,2플랜지부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일정각도 선회시킨 상태에서 축심이 동일한 축상에 위치하지 않은 구동축과 피동축을 서로 연결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한편, 축심이 어긋나 있는 구동축과 피동축간의 구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2 및3플랜지 및 제1,2연결바로 이루어진 조인트(200)의 경우,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는 제1플랜지부(210)와, 상기 피동축에 연결되는 제2플랜지부(220)와의 사이에 제3플랜지부(230)사이에 제3플랜지부(230)를 구비하고,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3플랜지부사이에 구비되는 제1연결바(240)가 제1,2힌지핀(241,242)을 매개로 제1,3플랜지부사이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제3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사이에 구비되는 제2연결바(250)가 제3,4힌지핀(251,252)을 매개로 제2,3플랜지부사이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제1힌지핀과 제3힌지핀은 서로 직각으로 엇갈리게 배치하고, 상기 제2힌지핀과 제4힌지핀은 서로 직각으로 엇갈리게 배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1연결바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1,3플랜지부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일정각도 선회시키고, 제2연결바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2, 3플랜지부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일정각도 선회시킨 상태에서 축심이 동일한 축상에 위치하지 않은 구동축과 피동축을 서로 연결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한편, 축심이 어긋나 있는 구동축과 피동축간의 구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조인트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조인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조인트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조인트가 절곡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조인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2실시 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조인트에 구비되는 연결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2실시 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조인트를 적용한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제1플랜지부 111 : 제1축플랜지
112 : 제1브라켓플랜지 113 : 제1함몰부
117 : 제1브라켓 118 : 제1힌지공
120 : 제2플랜지부 121 : 제2축플랜지
122 : 제2브라켓플랜지 123 : 제2함몰부
127 : 제2브라켓 128 : 제1힌지공
140 : 연결바 141 : 제1힌지핀
142 : 제2힌지핀 143 : 제1연결공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발생된 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구동축과, 이에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피동축과의 사이에 구비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일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제1플랜지부 ;
    상기 피동축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제2플랜지부 ;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사이를 연결하는 제3플랜지부 ;
    상기 제1플랜지부의 일측에 구비된 한쌍의 제1브라켓과 제1힌지핀을 매개로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3플랜지부의 일측에 구비된 한쌍의 제3브라켓과 제3힌지핀을 매개로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연결바; 및
    상기 제2플랜지부의 일측에 구비된 한쌍의 제2브라켓과 제2힌지핀을 매개로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3플랜지부의 타측에 구비된 한쌍의 제4브라켓과 제4힌지핀을 매개로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바의 양단에 관통형성된 제1연결공과 제2연결공에 각각 조립되는 제1힌지핀과 제2힌지핀은 서로 직각으로 엇갈리게 배치하고, 상기 제2연결바의 양단에 관통형성된 제3연결공과 제4연결공에 각각 조립되는 제3힌지핀과 제4힌지핀은 서로 직각으로 엇갈리게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2힌지핀과 제4힌지핀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용 조인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부는 상기 구동축의 일단부가 접하여 용접되는 제1함몰부를 형성하는 제1축플랜지와, 상기 제1브라켓이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1축플랜지와 복수개의 제1체결부재를 매개로 조립되는 제1브라켓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플랜지부는 상기 피동축의 일단부가 접하여 용접되는 제2함몰부를 형성하는 제2축플랜지와, 상기 제2브라켓이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2축플랜지와 복수개의 제2체결부재를 매개로 조립되는 제2브라켓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3플랜지부는 상기 한쌍의 제3브라켓과 한쌍의 제4브라켓이 좌우양측면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는 중간플랜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용 조인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바는 상기 한쌍의 제1브라켓 내측면에 일단이 면접하고, 상기 한쌍의 제3브라켓 내측면에 타단이 면접하도록 일정길이의 다면체 바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바는 상기 한쌍의 제4브라켓 내측면에 일단이 면접하고 상기 한쌍의 제2브라켓 내측면에 타단이 면접하도록 일정길이의 다면체 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용 조인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 및 4연결공은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3플랜지부사이 그리고 제2플랜지부와 제3플랜지부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용 조인트.
KR1020080127040A 2008-12-15 2008-12-15 동력전달용 조인트 KR101127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040A KR101127387B1 (ko) 2008-12-15 2008-12-15 동력전달용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040A KR101127387B1 (ko) 2008-12-15 2008-12-15 동력전달용 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626A KR20100068626A (ko) 2010-06-24
KR101127387B1 true KR101127387B1 (ko) 2012-03-23

Family

ID=4236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040A KR101127387B1 (ko) 2008-12-15 2008-12-15 동력전달용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7764A (zh) * 2012-08-31 2012-11-28 北京航天计量测试技术研究所 角度传递用滑块联轴器
CN116277137B (zh) * 2023-05-23 2023-08-18 艺柏湾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机器人关节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498B1 (ko) * 1993-09-22 2002-11-23 로버트툴인터내셔날(유에스에이)인코퍼레이티드 토오크전달기구조인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498B1 (ko) * 1993-09-22 2002-11-23 로버트툴인터내셔날(유에스에이)인코퍼레이티드 토오크전달기구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626A (ko)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9234B2 (en) Impeller shaft assembly system
JP6289973B2 (ja) パラレルリンク機構およびリンク作動装置
JP5701448B2 (ja) ダブルオフセット型の等速ジョイント
KR101127387B1 (ko) 동력전달용 조인트
KR20200000559U (ko) 2단식 유니버설 조인트
JP5340266B2 (ja) 空調機用コンプレッサー
KR20090012137A (ko) 가요성 디스크, 그러한 가요성 디스크가 제공된 가요성커플링, 그러한 가요성 커플링이 제공된 장착 플랜지, 및그러한 장착 플랜지가 설치된 전동 샤프트
KR102196030B1 (ko) 보스 확대형 디스크 커플링
JP6399935B2 (ja) モータ装置
JP2009275837A (ja) ベアリングの固定構造
JP3993010B2 (ja) モータ
US20050101391A1 (en) Constant velocity joint having friction reducing web locators
JP2002242950A (ja) 軸継手
KR101397576B1 (ko)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
JP2005160161A (ja) 回転伝達装置、回転伝達装置の構成部品の製造方法、及び、モータ
JP2008248917A (ja) ディスクカップリング装置
EP2707626A1 (en) Improved over-torque protector device for a compressor
JP4735970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の組み付けアセンブリおよび組み付けアセンブリ用固定具
JPS6011299Y2 (ja) クラツチデイスク
JP4067099B2 (ja) 軸継手
JP2005163804A (ja) 回転軸継手
JP2016050595A (ja) 遠心クラッチ及びそれを用いたギヤードモータ
JP6476719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4839553B2 (ja) 摩擦ローラ式変速機及び原動機付摩擦ローラ式変速機
JP5319228B2 (ja) 捩り振動低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