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576B1 -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 - Google Patents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576B1
KR101397576B1 KR1020110019340A KR20110019340A KR101397576B1 KR 101397576 B1 KR101397576 B1 KR 101397576B1 KR 1020110019340 A KR1020110019340 A KR 1020110019340A KR 20110019340 A KR20110019340 A KR 20110019340A KR 101397576 B1 KR101397576 B1 KR 101397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convex portion
electric
circumferential direction
w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593A (ko
Inventor
테츠야 미야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규슈하세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규슈하세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규슈하세쿠
Publication of KR20110100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7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with axially-spaced attachments to the coupling parts
    • F16D3/74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with axially-spaced attachments to the coupling parts the intermediate member or members being made of rubber or other rubber-like flexibl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가요성 축 커플링(1)은 허브 본체(11) 및 토크 전달부재(15)를 갖는 제 1 허브(10) 및 제 2 허브(30)를 구비하고 있다. 토크 전달부재(15)가, 허브 본체 둘레방향에 간격을 두고 전방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광폭 볼록부(16),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광폭 볼록부(16)의 사이에 위치하고 축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협폭 볼록부(20), 및 협폭 볼록부의 양측의 측면의 각각으로부터 둘레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고 광폭 볼록부의 측면에 이어지는 판 스프링(24)을 구비하고 있다. 원호 형상 간극(26)이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광폭 볼록부의 사이에, 허브 본체의 원통면을 따라 형성되고, 협폭 볼록부 및 판 스프링을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제 1 허브 및 제 2 허브가 각각의 광폭 볼록부의 전면과 협폭 볼록부의 전면에서 서로 접촉하고, 볼트와 너트(48)로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DISC TYPE FLEXIBLE SHAFT COUPLING}
본 발명은 가요성 축 커플링, 특히 판 디스크 스프링을 통하여 토크를 전달하는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은 전동축이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허브 본체를 갖는 제 1 허브 및 제 2 허브, 및 제 1 허브 및 제 2 허브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원호 형상의 제 1 판 스프링 및 제 2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토크 전달부재를 구비한 가요성 축 커플링이다(예를 들면, JP200561591A 참조). 이들 제 1 판 스프링 및 제 2 판 스프링은 축방향에 간극을 두고 마주 대함과 아울러, 직경방향에 간극을 두고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판 스프링의 후단부가 이웃하는 판 스프링의 선단부와 둘레방향에 간극을 둠과 아울러 허브 본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프링 지지부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판 스프링과 제 2 판 스프링의 선단부가 이들 선단부 사이의 스프링 연결부를 통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은 회전방향이 일방향으로 한정된 전동축의 접속에 사용된다.
상기 종래의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에 있어서, 판 스프링 후단부는 허브 본체의 스프링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다. 판 스프링 후단부와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판 스프링의 선단부 사이에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우회전용으로서 설계된 커플링에 좌회전의 토크가 가해지면, 판 스프링에 압축력이 발생하고, 판 스프링이 좌굴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구동측과 종동측은 둘레방향의 가공이 반대로 되므로 가공에 손이 많이 가고, 또 전동축과 연결시에 커플링의 회전방향에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되는 등의 문제도 있다.
일본 특개 2005-61591호 공보
본 발명은 판 스프링이 좌굴하지 않고, 정·역회전 가능하며, 가공 및 전동축과의 접속이 간단한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제 1 발명의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은, 전동축이 연결되고 원통 형상의 허브 본체 및 토크 전달부재를 각각 갖는 제 1 허브 및 제 2 허브를 구비하고, 토크가 일방의 허브로부터 타방의 허브로 토크가 전달된다.
토크 전달부재는 허브 본체의 전방 단면에 설치되어 있고, 본체 둘레방향에 간격을 두고 상기 허브 본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본체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을 각각 갖는 복수의 광폭 볼록부와, 본체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상기 광폭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고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을 각각 갖는 복수의 협폭 볼록부와, 상기 협폭 볼록부의 양측의 측면의 각각으로부터 본체 둘레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고 상기 광폭 볼록부의 측면에 이어지는 판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원호 형상 간극이 상기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상기 광폭 볼록부 사이에서, 허브 본체의 원통면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또한 허브 본체의 축방향에 상기 협폭 볼록부 및 판 스프링을 관통하고, 축방향 간극이 상기 제 1 허브 본체의 전방 단면과 제 2 허브 본체의 전방 단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허브 및 제 2 허브는 각각의 광폭 볼록부의 전면과 협폭 볼록부의 전면에서 서로 접촉하고, 볼트와 너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 2 발명의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은, 원통 형상의 중간 허브 본체 및 중간 허브 본체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중간 허브 토크 전달부재를 갖는 중간 허브, 및 원통 형상의 전동 허브 본체 및 전동 허브 본체의 선단부에 설치된 전동 허브 토크 전달부재를 각각 갖고, 전동축이 연결되는 1쌍의 전동 허브를 포함하고, 토크가 일방의 전동 허브로부터 중간 허브를 거쳐 타방의 전동 허브로 전달된다.
중간 허브 토크 전달부재는, 상기 중간 허브 본체의 양단의 각각에 중간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을 각각 갖고 중간 허브 본체의 양단부의 각각으로부터 본체 둘레방향에 간격을 두고 본체 축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와, 상기 중간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을 각각 갖고 중간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상기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본체 축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와, 상기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의 양측면의 각각으로부터 본체 둘레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고 상기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의 측면에 이어지는 중간 허브 판 스프링을 포함하고, 중간 허브 원호 형상 간극이 상기 중간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상기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의 사이에서, 중간 허브 본체 원통면을 따라 형성되고, 또한 중간 허브 본체의 축방향에 상기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 및 중간 허브 판 스프링을 관통한다.
전동 허브 토크 전달부재는, 상기 전동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을 각각 갖고 전동 허브 본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본체 둘레방향에 간격을 두고 본체 축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전동 허브 광폭 볼록부와, 전동 허브 본체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전동 허브 광폭 볼록부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전동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을 각각 갖고 본체 축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전동 허브 협폭 볼록부와, 상기 전동 허브 협폭 볼록부의 양측면의 각각으로부터 본체 둘레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전동 허브 광폭 볼록부의 측면에 이어지는 전동 허브 판 스프링을 구비하고, 전동 허브 원호 형상 간극이 상기 전동 허브의 각각에 상기 전동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상기 전동 허브 광폭 볼록부의 사이에서, 본체 원통면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또한 본체 축방향에 상기 전동 허브 협폭 볼록부 및 전동 허브 판 스프링을 관통한다.
축방향 간극이 상기 중간 허브 본체의 일방의 단면과 일방의 상기 전동 허브 본체의 전방 단면 사이, 및 상기 중간 허브 본체의 타방의 단면과 타방의 상기 전동 허브 본체의 전방 단면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 허브 및 전동 허브가 각각의 광폭 볼록부의 전면과 협폭 볼록부의 전면에서 서로 접촉하고 볼트와 너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 3 발명의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은 원통 형상의 중간 허브 본체 및 중간 허브 본체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중간 허브 토크 전달부재를 갖는 중간 허브, 및 원통 형상의 허브 본체 및 허브 본체의 선단부에 각각 설치된 플랜지를 갖고 전동축이 연결되는 1쌍의 플랜지 부착 허브를 구비하고, 토크가 일방의 플랜지 부착 허브로부터 중간 허브를 거쳐 타방의 플랜지 부착 허브로 전달된다.
중간 허브 토크 전달부재가, 상기 중간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을 각각 갖고 상기 중간 허브 본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본체 둘레방향에 간격을 두고 본체 축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와, 중간 허브 본체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중간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을 각각 갖고 본체 축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와, 상기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의 양측의 측면의 각각으로부터 각각 본체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의 측면에 이어지는 중간 허브 판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중간 허브 원호 형상 간극이 상기 중간 허브의 본체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상기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의 사이에서, 중간 허브 본체 원통면을 각각 형성되고, 또한 중간 허브 본체의 축방향에 상기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 및 중간 허브 판 스프링을 관통한다.
축방향 간극이 상기 중간 허브 본체의 일방의 단면과 일방의 상기 플랜지 부착 허브 본체의 전방 단면 사이, 및 상기 중간 허브 본체의 타방의 단면과 타방의 상기 플랜지 부착 허브 본체의 전방 단면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의 전면이 플랜지 부착 허브의 플랜지의 전면에 접촉하고 상기 중간 허브 및 상기 플랜지 부착 허브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토크 전달부재가 광폭 볼록부 및 협폭 볼록부를 통하여 둘레방향으로 연속되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축 커플링에 토크가 가해지면, 판 스프링에는 항상 회전방향과 동방향의 인장응력이 발생하므로, 판 스프링이 좌굴하지는 않아, 정·역회전(positive and negative rotations)에 관계없이 커플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축 커플링은 축 커플링의 회전방향에 주의하지 않으면서 전동축에 접속될 수 있다. 더욱이, 구동측 및 종동측(예를 들면, 도 3 및 4에서 좌우)의 허브는 구조 및 치수가 동일하기 때문에, 종래의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에 비해 가공이 간단하여, 비용이 낮아진다.
또한, 판 스프링을 통하여 토크가 전달되므로, 토크 전달부재는 미끄럼운동 부분이 없다. 이 때문에, 토크 전달부재는 급유가 불필요하고, 부품의 마모도 없으므로, 유지관리가 필요없다. 또한, 회전 부재, 예를 들면, 허브 본체와 판 스프링 사이에 백래시가 없으므로, 작동이 매끄럽고, 또한 소음이 작아진다.
도 1은 제 1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가요성 축 커플링의 축선을 따르는 수직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가요성 축 커플링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가요성 축 커플링의 우측면도.
도 5는 제 2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가요성 축 커플링의 축선을 따르는 수직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가요성 축 커플링의 좌측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하는 가요성 축 커플링의 우측면도.
도 9는 제 3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가요성 축 커플링의 축선을 따르는 수직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가요성 축 커플링의 좌측면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하는 가요성 축 커플링의 우측면도.
도 1∼4는 제 1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각각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의 사시도, 축선을 따르는 수직 단면도,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커플링의 부재를 구동측과 종동측으로 구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 구동측의 부재에는 참조부호의 끝에 d를 붙이고, 종동측의 부재에는 참조부호의 끝에 f를 붙여서 설명한다.
제 1 발명의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1)은 주로, 제 1 허브(10) 및 제 2 허브(30)로 구성된다. 제 1 허브(10)는 원통 형상의 제 1 허브 본체(11) 및 제 1 허브 토크 전달부재(15)를 구비하고 있다. 축구멍(12)에 구동축(5)이 키(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키 홈(13)이 제 1 허브 본체(11)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허브 토크 전달부재(15)는 허브 본체의 전단에 마련되며, 제 1 허브 광폭 볼록부(16), 제 1 허브 협폭 볼록부(20), 및 제 1 허브 판 스프링(24)으로 구성된다. 제 1 허브 광폭 볼록부(16)는 제 1 허브 본체(11)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18)을 갖고, 또한 둘레방향에 120도의 간격을 두고, 전방 단부의 3개소로부터 본체 축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제 1 허브 협폭 볼록부(20)는 제 1 허브 본체(11)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22)을 갖고, 또한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제 1 허브 광폭 볼록부(16)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허브 본체(11)의 3개소로부터 본체 축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제 1 허브 광폭 볼록부(16) 및 제 1 허브 협폭 볼록부(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외주측으로 펼쳐지는 부채형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허브 광폭 볼록부(16)의 부채형 중심각(θL)은 약 40∼60도 정도이다. 제 1 허브 협폭 볼록부(20)의 부채형 중심각(θS)은 약 15∼25도 정도이다. 제 1 허브 광폭 볼록부(16)의 부채형 중심각(θL)은 제 1 허브 협폭 볼록부(20)의 부채형 중심각(θS)의 약 2∼3배 정도이다. 제 1 허브 광폭 볼록부(16) 및 제 1 허브 협폭 볼록부(20)에는 각각, 제 1 허브(10)와 제 2 허브(30)를 연결하는 리머 볼트(48)의 볼트 구멍(47)이 뚫려 있다. 제 1 허브(10), 제 2 허브(30), 및 판 스프링(24, 44)의 재료는, 예를 들면, 탄소단조강 SF45, SF50(일본 산업 표준)이다.
제 1 허브 판 스프링(24)은 제 1 허브 협폭 볼록부(20)의 양측의 측면(22)의 각각으로부터 본체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 1 허브 광폭 볼록부(16)의 측면(18)으로 이어져 있다. 제 1 허브 판 스프링(24)은 2개의 측면(18, 22) 사이에서 부채형으로 되어 있다. 제 1 허브 판 스프링(24)의 면은 제 1 허브 광폭 볼록부(16)의 전면(17) 및 제 1 허브 협폭 볼록부(20)의 전면(21)과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제 1 허브 판 스프링(24)은 제 1 허브 광폭 볼록부(16)와 제 1 허브 협폭 볼록부(20)으로 구획되지만, 전체적으로는 1개의 판 스프링으로서 작용한다. 제 1 허브 판 스프링(24)의 두께는 전달 토크의 크기에 따라 다른데, 예를 들면, 약 0.5∼3mm 정도이다. 제 1 허브 원호 형상 간극(26)이, 제 1 허브 본체(11)의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제 1 허브 광폭 볼록부(16) 사이에, 제 1 허브 본체(11)의 원통면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또한 본체(11)의 축방향으로 제 1 허브 협폭 볼록부(20)와 제 1 판 허브 스프링(24)을 관통한다. 제 1 허브 원호 형상 간극(26)의 크기는 약 3∼6mm 정도이다.
제 2 허브(30)는 제 2 허브 본체(31), 및 제 2 토크 전달부재(35)를 구비하고 제 2 허브 원호 형상 간극(46)이 마련되어 있다. 제 2 허브 토크 전달부재(35)는, 제 2 허브 광폭 볼록부(36), 협폭 볼록부(40), 및 제 2 허브 판 스프링(44)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허브 원호 형상 간극(46)이 제 2 허브 본체(31)의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제 2 허브 광폭 볼록부(36)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또한 제 2 허브 본체(31)의 축방향으로 제 2 허브 협폭 볼록부(40)와 제 2 판 허브 스프링(24)을 관통한다. 축구멍(32)에 구동축(6)이 키(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키 홈(33)이 제 2 허브 본체(31)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부재의 구조 및 치수는 제 1 허브(10)의 것과 동일하다.
축방향 간극(29)이 제 1 허브 본체(11)의 전방 단면과 제 2 허브 본체(31)의 전방 단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 1 허브(10)의 협폭 볼록부(20) 및 제 2 허브(30)의 협폭 볼록부(40)의 전면(21, 41)이 허브 본체(10, 30)의 전방 단면보다 돌출하여 제 1 허브 본체 전방 단면과 제 2 허브 본체 전방 단면 사이에 축방향 간극(29)이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 간극(29)의 크기는, 예를 들면, 약 3∼5mm 정도이다. 또한, 축방향 간극(29)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1 허브(10) 및 제 2 허브(30)의 광폭 볼록부(16, 36)의 전면(17, 37)을 허브 본체(11, 31)의 전방 단면보다 돌출시켜도 된다.
제 1 허브 광폭 볼록부(16)의 전면(17)과 제 2 허브 협폭 볼록부(40)의 전면(41)이, 또 제 1 허브 협폭 볼록부(20)의 전면(21)과 제 2 허브 광폭 볼록부(36)의 전면(37)이 접해 있고, 제 1 허브(10)와 제 2 허브(30)는 리머 볼트 구멍(47)을 관통하는 리머 볼트/너트(48)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동축(5)으로부터 제 1 허브 본체(11)에 키(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토크가 가해지면 차례로, 리머 볼트(48), (제 1 허브 광폭 볼록부(16d) 및 제 1 허브 협폭 볼록부(20d)), 제 1 허브 판 스프링(24d), (제 2 허브 광폭 볼록부(36f) 및 제 2 허브 협폭 볼록부(40f)), 제 2 허브 판 스프링(44f), 리머 볼트(48), 제 2 허브 본체(31f), 키(도시하지 않음), 종동축(6)에 토크가 전달된다. 이 때, 회전방향에 인장응력이 발생하므로,이들 판 스프링(24, 44)은 좌굴할 우려는 없다.
구동축(5)과 종동축(6) 사이의 축방향 미스얼라인먼트(엔드 플레이)는 제 1 허브 판 스프링(24) 및 제 2 허브 스프링(44)이 각각 허브 본체 축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조정된다. 제 1 허브 판 스프링(24)의 스프링면이 구동축(5)의 경사방향에, 또 제 2 허브 판 스프링(44)의 스프링면이 구동축(5) 또는 종동축(6)의 경사방향에 경사지도록, 각도 미스얼라인먼트(각도 오차)가 제 1 허브 판 스프링(24)과 제 2 허브 판 스프링(44)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조정된다. 구동축(5)과 종동축(6)의 오프셋 미스얼라인먼트(평행 오차)는 판 스프링(24, 44)의 약간의 만곡, 및 허브 본체 및 종동축 간의 직경방향의 간극에 의해 조정된다. 오프셋 미스얼라인먼트의 조정량은 제 1 허브(10)와 구동축(5) 및 제 2 허브(30)와 종동축(6)의 끼워맞춤 오차 정도이다.
도 5∼8은 제 2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각각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2)의 사시도, 축선을 따르는 수직 단면도,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제 2 발명의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2)은 주로, 중간 허브(50) 및 전동 허브(70)로 구성된다. 중간 허브(50)는 원통 형상의 중간 허브 본체(51), 및 중간 허브 본체(5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중간 허브 토크 전달부재(55)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허브 토크 전달부재(55)는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56),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60), 및 중간 허브 판 스프링(64)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56)는 중간 허브 본체(51)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58)을 갖고, 또한 둘레방향에 120도의 간격을 두고 전방 단부의 3개소로부터 본체 축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는 60, 중간 허브 본체(51)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62)을 갖고, 또한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56)의 사이에 위치하고, 중간 허브 본체(51)의 3개소로부터 본체 축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56) 및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6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측으로 펼쳐지는 부채형으로 되어 있다.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56) 및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60)의 부채형 중심각(θL, θS)의 크기는 제 1 발명의 축 커플링(1)의 허브의 광폭 볼록부 및 협폭 볼록부의 부채형 중심각(θL, θS)의 크기와 동일하다. 중간 허브(50)를 전동 허브(70)에 연결하는 리머 볼트/너트(88)의 볼트 구멍(87)이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56) 및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60)에 각각 뚫려 있다.
중간 허브 판 스프링(64)은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60)의 양측의 측면(62)의 각각으로부터 본체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56)의 측면(58)에 이어져 있다. 중간 허브 판 스프링(64)은 2개의 측면(58, 62) 사이에서 부채형으로 되어 있다. 중간 허브 판 스프링(64)의 면은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56)의 전면(57) 및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60)의 전면(61)과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중간 허브 판 스프링(64)은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56)와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60)로 구획되어 있는데, 전체적으로는 하나의 판 스프링으로서 작용한다. 중간 허브 판 스프링(64)의 두께는 전달 토크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면, 약 0.5∼3mm 정도이다. 중간 허브 원호 형상 간극(66)이 중간 허브 본체(51)의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56) 사이에 중간 허브 본체(51)의 원통면을 따라 형성되며, 또한 중간 본체(51)의 축방향으로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60)와 중간 허브 판 스프링(64)을 관통한다. 중간 허브 원호 형상 간극(66)의 크기는 약 3∼6mm 정도이다.
전동 허브(70)는 원통 형상의 전동 허브 본체(71)를 구비하고 있고, 축구멍(72)에 구동축(5)을 키(도시하지 않음)로 고정하는 키 홈(73)이 전동 허브 본체(71)에 형성되어 있다. 전동 허브 토크 전달부재(75)가 전동 허브 본체(71)의 전방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전동 허브 토크 전달부재(75)는 전동 허브 광폭 볼록부(76), 전동 허브 협폭 볼록부(80), 및 전동 허브 판 스프링(84)으로 구성된다. 전동 허브 광폭 볼록부(76)는 전동 허브 본체(71)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78)을 갖고, 또한 둘레방향에 120도의 간격을 두고 전방 단부의 3개소로부터 본체 축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전동 허브 협폭 볼록부(80)는 전동 허브 본체(71)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82)을 갖고, 또한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전동 허브 광폭 볼록부(76)의 사이에 위치하고 전동 허브 본체(71)의 3개소로부터 본체 축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전동 허브 광폭 볼록부(76) 및 전동 허브 협폭 볼록부(8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측으로 펼쳐지는 부채형으로 되어 있다. 전동 허브 광폭 볼록부(76) 및 전동 허브 협폭 볼록부(80)의 부채형 중심각(θL, θS)의 크기는 제 1 발명의 허브의 광폭 볼록부 및 협폭 볼록부의 부채형 중심각(θL, θS)의 크기와 동일하다. 중간 허브(50)를 전동 허브(70)에 연결하는 리머 볼트/너트(88)의 볼트 구멍(87)이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76) 및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80)에 각각 뚫려 있다.
전동 허브 판 스프링(84)은 전동 허브 협폭 볼록부(80)의 양측의 측면(82)의 각각으로부터 본체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전동 허브 광폭 볼록부(76)의 측면(78)에 이어져 있다. 전동 허브 판 스프링(84)은 2개의 측면(78, 82) 사이에서 부채형으로 되어 있다. 전동 허브 판 스프링(84)의 면은 전동 허브 광폭 볼록부(76)의 전면(77) 및 전동 허브 협폭 볼록부(80)의 전면(81)과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전동 허브 판 스프링(84)은 전동 허브 광폭 볼록부(76)와 전동 허브 협폭 볼록부(80)로 구획되어 있는데, 전체적으로는 하나의 판 스프링으로서 작용한다. 전동 허브 판 스프링(84)의 두께는, 전달 토크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면, 약 0.5∼3mm 정도이다. 중간 허브 원호 형상 간극(86)이 중간 허브 본체(71)의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76) 사이에 중간 허브 본체(71)의 원통면을 따라 형성되며, 또한 중간 본체(71)의 축방향으로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80)와 중간 허브 판 스프링(84)을 관통한다. 전동 허브 원호 형상 간극(86)의 크기는 약 3∼6mm 정도이다.
또한, 전동 허브 토크 전달부재(75)의 부재, 및 전동 허브(70)의 전동 허브 간극의 구조 및 치수는 중간 허브의 것과 동일하다.
중간 허브 본체(51)의 일방의 단면과 일방의 전동 허브 본체(71)의 전방 단면 사이, 및 중간 허브 본체(51)의 타방의 단면과 타방의 전동 허브 본체(71)의 전방 단면 사이에 각각 축방향 간극(89)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중간 허브(50)의 협폭 볼록부(60) 및 전동 허브(70)의 협폭 볼록부(80)의 전면이 중간 허브 본체(51), 전동 허브(71)의 전방 단면보다 돌출하여 중간 허브 본체 전방 단면과 전동 허브 본체 전방 단면 사이에 축방향 간극(89)이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 간극(89)의 크기는, 예를 들면, 약 3∼5mm 정도이다. 또한, 축방향 간극(89)을 형성하기 위하여, 중간 허브(50) 및 전동 허브(70)의 광폭 볼록부(56, 76)의 전면을 중간 허브 본체(51), 전동 허브 본체(71)의 전방 단면보다 돌출시켜도 된다.
중간 허브(50)의 양단의 각각에 있어서,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56)의 전면(57)과 전동 허브 협폭 볼록부(80)의 전면(81)이, 또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60)의 전면(61)과 전동 허브 광폭 볼록부(76)의 전면(77)이 접해 있다. 중간 허브(50)와 전동 허브(70)가 리머 볼트 구멍(86)을 관통하는 리머 볼트와 너트(88)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2)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동축(5)으로부터 전동 허브 본체(71d)에 키(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토크가 가해지면 차례로 전동 허브 본체(71d), 리머 볼트(88d), (전동 허브 광폭 볼록부(76d) 및 전동 허브 협폭 볼록부(80d)), 전동 허브 판 스프링(84d),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76d) 및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80d)), 중간 허브 판 스프링(64d), 리머 볼트(88d), 중간 허브 본체(51), 리머 볼트(88f),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56f) 및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60f)), 중간 허브 판 스프링(64f), 리머 볼트(88f), 전동 허브 본체(71f), 리머 볼트(88f), (전동 허브 광폭 볼록부(76f) 및 전동 허브 협폭 볼록부(80f)), 전동 허브 판 스프링(84f), (전동 허브 광폭 볼록부(76f) 및 전동 허브 협폭 볼록부(80f)), 리머 볼트(88f), 전동 허브 본체(71f), 키(도시하지 않음), 종동축(6)에 토크가 전달된다. 이 때, 이들 판 스프링에는 회전방향의 인장응력이 발생하므로, 이들 판 스프링이 좌굴할 우려는 없다.
제 2 발명의 축 커플링(2)의 구동축(5)과 종동축(6) 사이의 축방향 미스얼라인먼트, 각도 미스얼라인먼트, 및 오프셋 미스얼라인먼트의 조정작용은, 제 1 발명의 축 커플링(1)의 조정작용과 동일하지만, 조정량은 제 1 발명의 축 커플링(1)에 비해 2배가 된다. 더욱 상세하게, 구동축(5)과 종동축(6) 사이의 축방향 미스얼라인먼트는 2장의 중간 허브 판 스프링(64) 및 2장의 전동 허브 스프링(84)이 각각 축방향으로 탄성변형하여 조정된다. 따라서, 제 1 발명의 축 커플링에 비해 2배의 축방향 미스얼라인먼트를 조정할 수 있다. 각도 미스얼라인먼트는 전동 허브 판 스프링(86) 및 중간 허브 판 스프링(64)이 구동축(5)의 경사방향으로, 또 중간 허브 판 스프링(64) 및 전동 허브 판 스프링(84)이 구동축(5) 또는 종동축(6)의 경사방향으로 각각 스프링면이 경사져서 조정된다. 따라서, 제 1 발명의 축 커플링(1)에 비해 2배의 각도 오차를 조정할 수 있다.
도 9∼도 12는 제 3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각각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3)의 사시도, 축선을 따르는 수직 단면도,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제 3 발명의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3)은 주로, 중간 허브(90) 및 플랜지 부착 허브(110)로 구성된다. 중간 허브(90)는 원통 형상의 중간 허브 본체(91), 및 중간 허브 토크 전달부재(95)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허브(90)의 구성은 제 2 발명의 가요성 축 커플링(2)의 중간 허브(50)의 구성과 동일하다.
중간 허브 토크 전달부재(95)는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96),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100), 및 중간 허브 판 스프링(104)으로 구성된다.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96)는 중간 허브 본체(87)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98)을 갖고, 또한 둘레방향에 120도의 간격을 두고, 전방 단부의 3개소로부터 본체 축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100)는 중간 허브 본체(91)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102)을 갖고, 또한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96)의 사이에 위치하고, 중간 허브 본체(91)의 3개소로부터 본체 축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96) 및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1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측으로 펼쳐지는 부채형으로 되어 있다.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96) 및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100)의 부채형 중심각(θL, θS)의 크기는 제 1 발명의 축 커플링(1)의 허브의 광폭 볼록부 및 협폭 볼록부의 부채형 중심각(θL, θS)의 크기와 동일하다. 중간 허브(90)와 플랜지 부착 허브(110)를 연결하는 3개의 리머 볼트/너트 구멍(107, 117)이 3개의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100) 및 플랜지 부착 허브(110)의 플랜지(115)의 각각에 뚫려 있다.
중간 허브 본체(91)의 전방 단면과 플랜지 부착 허브 본체(111)의 전방 단면 사이에 축방향 간극(109)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중간 허브(90)의 협폭 볼록부(100)의 전면(101)이 중간 허브 본체(90)의 전방 단면보다 돌출하여 중간 허브 본체 전방 단면과 플랜지 부착 허브 본체 전방 단면 사이에 축방향 간극(109)이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 간극(109)의 크기는, 예를 들면, 약 3∼5mm 정도이다. 또한, 축방향 간극(109)을 형성하기 위하여, 중간 허브(90)의 광폭 볼록부(96)의 전면(97)을 중간 허브 본체(91)의 전방 단면보다 돌출시켜도 된다.
중간 허브 판 스프링(104)은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100)의 양측의 측면(102)의 각각으로부터 본체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96)의 측면(98)에 이어져 있다. 중간 허브 판 스프링(104)은 2개의 측면(98, 102) 사이에서 부채형으로 되어 있다. 중간 허브 판 스프링(104)의 면은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96)의 전면(97) 및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100)의 전면(101)과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중간 허브 판 스프링(104)은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96)와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100)로 구획되어 있는데, 전체적으로는 1개의 판 스프링으로서 작용한다. 중간 허브 판 스프링(104)의 두께는, 전달 토크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면, 약 0.5∼3mm 정도이다. 중간 허브 원호 형상 간극(106)이 중간 허브 본체(91)의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96) 사이에 중간 허브 본체(91)의 원통면을 따라 형성되며, 또한 본체의 축방향으로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100)와 중간 허브 판 스프링(104)을 관통한다. 중간 허브 원호 형상 간극(106)의 크기는, 약 3∼6mm 정도이다.
플랜지 부착 허브(110)는 플랜지 부착 허브 본체(111)의 선단부에 플랜지(115)가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115)에는 3개의 볼트 구멍(117)이 뚫려 있다. 축구멍(112)에 구동축(5)을 키(도시하지 않음)로 고정하는 키 홈(113)이 플랜지 부착 허브 본체(111)에 형성되어 있다.
중간 허브(90)의 양단의 각각에,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100)의 전면(101)이 플랜지(115)의 전면(116)에 접해 있다. 중간 허브(90)와 플랜지 부착 허브(100)가 리머 볼트/너트 구멍(107, 117)을 관통하는 리머 볼트/너트(118)로 연결되어 있다.
축방향 간극(109)이 중간 허브 본체(91)의 일방의 단면과 일방의 플랜지 부착 허브 본체(111)의 전방 단면 사이, 및 중간 허브 본체(91)의 타방의 단면과 타방의 플랜지 부착 허브 본체(111)의 전방 단면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중간 허브(90)의 협폭 볼록부(100)의 전면(101)이 플랜지 부착 허브 본체(111)의 전방 단면보다 돌출하여 중간 허브 본체(91)의 전방 단면과 플랜지 부착 허브 본체(111)의 전방 단면 사이에 축방향 간극(109)을 형성하고 있다. 축방향 간극(109)의 크기는, 예를 들면, 약 3∼5mm 정도이다. 또한, 축방향 간극(109)을 형성하기 위하여,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96)의 전면(97)이 플랜지 부착 허브 본체(111)의 전방 단면보다 돌출해도 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3)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동축(5)으로부터 플랜지 부착 허브 본체(111d)에 키(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토크가 가해지면 차례로, 플랜지 부착 허브 본체(111d), 리머/볼트·너트(118d),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100d), 중간 허브 판 스프링(104d),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96d), 중간 허브 본체(91),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96f), 중간 허브 판 스프링(104f),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100f), 리머 볼트/너트(118f), 플랜지 부착 허브 본체(111f), 키(도시하지 않음), 종동축(6)에 토크가 전달된다. 이때, 이들 판 스프링에는 회전방향의 인장응력이 발생하므로 이들 판 스프링이 좌굴할 우려가 없다.
제 3 발명의 축 커플링(3)의 구동축(5)과 종동축(6) 사이의 축방향 미스얼라인먼트, 각도 미스얼라인먼트, 및 오프셋 미스얼라인먼트의 조정작용 및 조정량은 제 1 발명의 축 커플링(1)의 조정작용 및 조정량과 동일하다. 제 3 발명의 축 커플링(3)은 제 1 및 제 2 발명의 축 커플링(1, 2)에 비해, 허용 토크가 크고, 허용 회전수가 높고, 그리고 제조 비용이 낮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1개의 허브에 광폭 볼록부 및 협폭 볼록부가 각각 3개소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4개소 이상이어도 된다. 허브 간의 연결에 볼트 대신에 핀을 수축 끼워맞춤 해도 된다. 중간 허브 및 플렌지 부착 허브로 구성되어 있는 가요성 축 커플링은 하나의 중간 허브로 연결되어 있었지만,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중간 허브로 연결될 수 있다.
1, 2, 3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
10 제 1 허브
11 제 1 허브 본체
15, 35, 55, 75, 95 허브 토크 전달부재
16, 36, 56, 76, 96 허브 광폭 볼록부
17, 37, 57, 77, 97 허브 광폭 볼록부의 전면
18, 38, 58, 78, 98 허브 광폭 볼록부의 측면
20, 40, 60, 80, 100 허브 협폭 볼록부
21, 41, 66, 88, 101 허브 협폭 볼록부의 전면
22, 42, 62, 82, 102 허브 협폭 볼록부의 측면
24, 44, 64, 84, 104 판 스프링
26, 46, 66, 86, 106 허브 원호 형상 간극
29, 89, 109 축방향 간극
30 제 2 허브
31 제 2 허브 본체
47, 87, 117 볼트 구멍
48, 88, 118 볼트/너트
50, 90 중간 허브
51, 91 중간 허브 본체
70 전동 허브
71 전동 허브 본체
110 플랜지 부착 허브
111 플랜지 부착 허브 본체

Claims (3)

  1. 전동축이 연결되고 원통 형상의 허브 본체 및 토크 전달부재를 각각 갖는 제 1 허브 및 제 2 허브를 구비하고, 토크가 일방의 허브로부터 타방의 허브로 전달되는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토크 전달부재는 허브 본체의 전방 단면에 설치되어 있고, 허브 본체 둘레방향에 간격을 두고 상기 허브 본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허브 본체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을 각각 갖는 복수의 광폭 볼록부와, 허브 본체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상기 광폭 볼록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각각 측면을 갖는 복수의 협폭 볼록부와, 상기 협폭 볼록부의 양측의 측면의 각각으로부터 허브 본체 둘레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고 상기 광폭 볼록부의 측면에 이어지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고,
    원호 형상 간극이 상기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상기 광폭 볼록부의 사이에서, 허브 본체의 원통면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또한 허브 본체의 축방향으로 상기 협폭 볼록부 및 판 스프링을 관통하고,
    축방향 간극이 상기 제 1 허브 본체의 전방 단면과 제 2 허브 본체의 전방 단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허브 및 제 2 허브는 각각의 광폭 볼록부의 전면과 협폭 볼록부의 전면에서 서로 접촉하고, 볼트와 너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
  2. 원통 형상의 중간 허브 본체 및 중간 허브 본체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중간 허브 토크 전달부재를 갖는 중간 허브, 및 원통 형상의 전동 허브 본체 및 전동 허브 본체의 선단부에 설치된 전동 허브 토크 전달부재를 각각 갖고, 전동축이 연결되는 1쌍의 전동 허브를 포함하고, 토크가 일방의 전동 허브로부터 중간 허브를 거쳐 타방의 전동 허브로 전달되는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중간 허브 토크 전달부재는, 상기 중간 허브 본체의 양단의 각각에 중간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을 각각 갖고 중간 허브 본체의 양단부의 각각으로부터 중간 허브 본체 둘레방향에 간격을 두고 중간 허브 본체 축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와, 상기 중간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을 각각 갖고 중간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상기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중간 허브 본체 축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와, 상기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의 양측면의 각각으로부터 중간 허브 본체 둘레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고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의 측면에 이어지는 중간 허브 판 스프링을 포함하고, 중간 허브 원호 형상 간극이 상기 중간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상기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의 사이에서, 중간 허브 본체 원통면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또한 중간 허브 본체의 축방향에 상기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 및 중간 허브 판 스프링을 관통하고,
    상기 전동 허브 토크 전달부재는, 상기 전동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을 각각 갖고 전동 허브 본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전동 허브 본체 둘레방향에 간격을 두고 전동 허브 본체 축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전동 허브 광폭 볼록부와, 전동 허브 본체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전동 허브 광폭 볼록부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전동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을 각각 갖고 전동 허브 본체 축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전동 허브 협폭 볼록부와, 상기 전동 허브 협폭 볼록부의 양측면의 각각으로부터 전동 허브 본체 둘레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전동 허브 광폭 볼록부의 측면에 이어지는 전동 허브 판 스프링을 포함하고, 전동 허브 원호 형상 간극이 상기 전동 허브의 각각에 상기 전동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상기 전동 허브 광폭 볼록부의 사이에서, 전동 허브 본체 원통면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또한 전동 허브 본체 축방향에 상기 전동 허브 협폭 볼록부 및 전동 허브 판 스프링을 관통하고,
    축방향 간극이 상기 중간 허브 본체의 일방의 단면과 일방의 상기 전동 허브 본체의 전방 단면 사이, 및 상기 중간 허브 본체의 타방의 단면과 타방의 상기 전동 허브 본체의 전방 단면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 허브 및 전동 허브가 각각의 광폭 볼록부의 전면과 협폭 볼록부의 전면에서 서로 접촉하고 볼트와 너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
  3. 원통 형상의 중간 허브 본체 및 중간 허브 본체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중간 허브 토크 전달부재를 갖는 중간 허브, 및 원통 형상의 허브 본체 및 허브 본체의 선단부에 각각 설치된 플랜지를 갖고 전동축이 연결되는 1쌍의 플랜지 부착 허브를 포함하고, 토크가 일방의 플랜지 부착 허브로부터 중간 허브를 거쳐 타방의 플랜지 부착 허브로 전달되는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중간 허브 토크 전달부재가, 상기 중간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을 각각 갖고 중간 허브 본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중간 허브 본체 둘레방향에 간격을 두고 중간 허브 본체 축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와, 중간 허브 본체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중간 허브 본체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측면을 각각 갖고 중간 허브 본체 축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와, 상기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의 양측의 측면의 각각으로부터 중간 허브 본체 둘레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고 상기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의 측면에 이어지는 중간 허브 판 스프링을 포함하고,
    중간 허브 원호 형상 간극이 상기 중간 허브의 본체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상기 중간 허브 광폭 볼록부의 사이에서, 중간 허브 본체 원통면에 따라 각각 형성되고, 또한 중간 허브 본체의 축방향으로 상기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 및 중간 허브 판 스프링을 관통하고,
    축방향 간극이 상기 중간 허브 본체의 일방의 단면과 일방의 상기 플랜지 부착 허브 본체의 전방 단면 사이, 및 상기 중간 허브 본체의 타방의 단면과 타방의 상기 플랜지 부착 허브 본체의 전방 단면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 허브 협폭 볼록부의 전면이 플랜지 부착 허브의 플랜지의 전면에 접촉하고 상기 중간 허브 및 상기 플랜지 부착 허브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
KR1020110019340A 2010-03-04 2011-03-04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 KR1013975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47280 2010-03-04
JP2010047280A JP5463166B2 (ja) 2010-03-04 2010-03-04 たわみ軸継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593A KR20110100593A (ko) 2011-09-14
KR101397576B1 true KR101397576B1 (ko) 2014-05-20

Family

ID=44600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340A KR101397576B1 (ko) 2010-03-04 2011-03-04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463166B2 (ko)
KR (1) KR101397576B1 (ko)
CN (1) CN1021922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2262B (zh) * 2015-11-13 2018-05-11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弹性联轴器
CN106090049A (zh) * 2016-08-18 2016-11-09 联诺欧机械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可拆卸联轴器
CN110285155B (zh) * 2019-06-11 2021-12-10 西伯瀚(泰兴)传动技术有限公司 一种弹性联轴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4960U (ko) * 1990-02-16 1991-10-30
JPH10196672A (ja) * 1996-12-27 1998-07-31 Miki Puurii Kk 積層板ばねカップリング
JP2000249159A (ja) 1999-02-26 2000-09-12 Shoyo Giken Kogyo Kk たわみ軸継手
JP2008248917A (ja) 2007-03-29 2008-10-16 Jfe Steel Kk ディスクカップリ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2333A (en) * 1972-10-25 1975-09-02 Anvar Elastic couplings
US4282723A (en) * 1979-10-09 1981-08-11 Richard Schmidt Coupling
JPH0191126U (ko) * 1987-12-09 1989-06-15
JP2519490Y2 (ja) * 1992-02-28 1996-12-0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スリットを具えた可撓性ディスクによるフレキシブルカップリング
JP2604559Y2 (ja) * 1993-07-12 2000-05-22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たわみ軸継手
US6440000B1 (en) * 1999-12-06 2002-08-27 Asa Electronic Industry Co., Ltd. Universal joint
JP4123337B2 (ja) * 2002-01-25 2008-07-23 Nok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カップリング
JP4359102B2 (ja) * 2003-08-20 2009-11-04 湘洋技研工業株式会社 たわみ軸継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4960U (ko) * 1990-02-16 1991-10-30
JPH10196672A (ja) * 1996-12-27 1998-07-31 Miki Puurii Kk 積層板ばねカップリング
JP2000249159A (ja) 1999-02-26 2000-09-12 Shoyo Giken Kogyo Kk たわみ軸継手
JP2008248917A (ja) 2007-03-29 2008-10-16 Jfe Steel Kk ディスクカップ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593A (ko) 2011-09-14
CN102192246B (zh) 2014-10-29
JP5463166B2 (ja) 2014-04-09
CN102192246A (zh) 2011-09-21
JP2011179670A (ja)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6418B2 (en) Torque transmission joint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WO2017154870A1 (ja) トルク伝達用継手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EP3263937B1 (en) Joint for torque transmission and worm reduction gear
KR101728024B1 (ko) 휠 허브, 브레이크 디스크, 및 이를 구비한 휠 베어링 조립체
JP5561388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761930B1 (ko) 차동 잠금장치
US10408271B2 (en) Torque transmission joint and worm reduction gear
JP5895679B2 (ja) トルク伝達用継手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20140162826A1 (en) Motor assembly with speed reducer
KR101397576B1 (ko) 디스크형 가요성 축 커플링
US11644088B2 (en) Reducer
CN104755276A (zh) 车轮用轴承以及轴承装置
JP4986421B2 (ja) 軸継手およびそれを用いたインホイールモータシステム
JP2019027533A (ja) トルクリミッタ
WO2019197856A1 (ja) 回転電機
CN113389819B (zh) 联轴器
JP5132876B2 (ja) 複合型等速自在継手
KR20180121156A (ko) 휠 베어링 어셈블리 및 휠 베어링
JP2018071645A (ja) 軸継手機構
JP7447914B2 (ja) 電動車両の駆動装置
JP7253027B1 (ja) スペーサリテーナ
JP2019163782A (ja) 差動装置
JP5090980B2 (ja) 軸継手
JP2007211817A (ja) トルク伝達輪付き等速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