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165B1 - 철도노선에 구축되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철도노선에 구축되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165B1
KR101126165B1 KR1020110080236A KR20110080236A KR101126165B1 KR 101126165 B1 KR101126165 B1 KR 101126165B1 KR 1020110080236 A KR1020110080236 A KR 1020110080236A KR 20110080236 A KR20110080236 A KR 20110080236A KR 101126165 B1 KR101126165 B1 KR 101126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wall member
cable trough
partition plate
fi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흥
Original Assignee
합자회사 거광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자회사 거광산업 filed Critical 합자회사 거광산업
Priority to KR1020110080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4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surface ducts; Ducts or cove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8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철도노선에 구축되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은 바닥면 기초공사시에는 그 표면이 예정된 공정에 의해 아무런 제약 없이 시공을 하여 양생하도록 하고, 라이닝 작업등 철도노선에 작업이 완료된 후에 바닥면을 커팅하여 커팅된 홈에 측벽부재 등을 끼움결합시킨 다음 측벽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을 완료한다. 이때, 케이블 트로프의 내부를 구획하기 위해 측벽부재의 사이 바닥면을 다시 커팅하여 이 커팅된 홈에 구획판을 끼움결합시켜 시공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벽부재의 바깥쪽에는 측벽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매립리브가 일체로 더 형성될 수 있고, 이 매립리브들에는 콘크리트가 통과되도록 매립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은 측벽부재를 바닥면에 홈을 내지 않고 체결수단에 의해 바로 설치하여서 사용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철도노선에 구축되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trench type cable trough}
본 발명은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철도, 지하철, 일반철도, 경전철 등에서 동력선, 통신선, 신호제어선 등을 포설하기 위한 별도로 제품화된 케이블 트로프가 아닌, 현장에서 트랜치 형태로 시공할 때 바닥콘크리트 타설후 바닥면에 절단홈을 형성하고 이 절단홈에 측벽과 칸막이 격벽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철도노선에 구축되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든 교통의 중심축이 도로교통에서 철도교통으로 이동 되면서 철도의 중요성과 철도의 정확성과 신속성이 과거 어느 때보다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현재와 미래의 철도는 철도를 움직이는 동력선과 정보전달 및 정확한 제어를 위한 통신선과 신호제어선으로 구성되는데, 이를 가장 안전하게 운용하기 위하여 예비선까지 구비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철도 선로는 국가 기간산업의 중요한 인프라로서 철로에 설치된 케이블 트로프는 국가 통신의 중추선인 광케이블, 군사 작전에 꼭 필요한 군용선까지도 수용하는 모든 정보 통신의 중추신경이며, 이를 수용, 보호, 유지관리하는 시설이 케이블 트로프이다.
이와 같은 케이블 트로프는 그 중요성을 내포하고 있는 각종 케이블을 햇빛이나 눈, 비 및 자연재해, 인위적 재해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가장 경제적이고 견고하며 안전한 시설이어야 한다.
종래에는 시멘트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케이블 트로프나 파스콘(PASCON)재질의 케이블 트로프를 만들어 설치 사용 하였다. 이는 모두 터널이나 교량위에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공간을 시공하고 거기에 제품을 만들어 설치한 후 각종 케이블을 포설 유지관리해 왔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이중적 시공비가 소요되고 트로프를 관리하는 별도의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시멘트 콘크리트 트로프는 시멘트 콘크리트 특성상 제품의 두께가 교량이나 터널의 폭에 영향을 줄 수 있을 만큼 두꺼웠고, 뚜껑 또한 너무 무거워서 교량 구조에 영향을 줄 수 있을 만큼 하중이 크다. 또한 뚜껑을 열고 닫을 때 매우 불편하고 파손율이 너무 많았다. 이러한 시멘트 콘크리트 트로프는 제조하여 양생, 야적, 상차, 운반, 하차, 현장 설치시 무려 15%의 파손이 발생한다는 통계도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장에 설치된 시멘트 콘크리트 트로프는 혹한기에 흡수율에 의한 동파로 제품 전구간 수 Km 가 파손되는 사례도 보고되었다.
또 다른 재질의 파스콘(PASCON) 케이블 트로프는 그 재질의 특성상 난연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난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데카브롬과 삼산화안티몬을 함께 사용함으로 화재 발생시 치명적인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는 취약점을 가지고 있으며, 뚜껑 결합 구조에 불합리한점이 있어 불필요한 공간으로 교량이나 터널의 폭을 넓게 시공해야 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교량이나 터널에 구축되는 케이블 트로프는 전력선, 통신선, 신호제어선이 구분 수납되도록 가변성 격벽재로 구분된 길이 방향의 연속된 홈통을 정해진 높이와 정해진 선형을 유지하도록 시멘트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시멘트 콘크리트면에 흠이 없이 매끈하게 시공하기란 매우 어렵고 어쩌면 불가능 한 일이다. 잘못 시공되면 표면을 때우고 깍아 내고 하더라도 시멘트 콘크리트 품질이 현저히 떨어져서 내부에 포설되는 케이블이 끌기 등으로 피복이 손상되고, 피복이 손상되면 오작동이나 오류가 발생될 수 있어 큰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케이블을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는 시공방법은 길이 방향의 트로프 홈통 측벽을 시공시 시멘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 거푸집은 시멘트 콘크리트 타설후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굳으면 탈거하게 된다.
이 거푸집을 설치하고 시멘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높이를 레벨로 표시하고 선형을 트랜싯트로 바로 잡는 것을 통털어 수평보기라 한다. 이렇게 수평보기를 하더라도 시멘트 콘크리트 타설시 수백 미터의 거리를 일정한 선형이나 높이로 시공하기란 너무 어렵다.
이렇게 어렵게 시공이 되더라도 거푸집을 떼내고 나면 벽면이 거칠고 흠집이 많고 보기 흉하다. 심하면 거칠어진 트로프 트랜치 벽면을 몰탈 미장을 하게 되는데, 이 또한 얼마 가지 못하고 떨어져 흉측한 모양이 된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 다시 격벽용 칸막이를 설치하여 케이블을 포설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이 매우 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037113호(2011.4.21., 출원)에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가 출원된 바 있다.
상기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는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트로프가 될 내측면상에 상부 및 길이방향 양측이 개방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한 다수의 트로프용 트랜치 거푸집(1)을 길이방향으로 연속해서 결합 설치하여 상기 콘크리트(10)에 매립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는 터널구간에서의 작업에서 커다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즉,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터널(20)구간에서는 바닥면(10)에 콘크리트로 기초공사를 한 후, 터널(20)내에 라이닝(21)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 라이닝(21) 설치에는 작업대(30)가 필요하고, 이 작업대(30)는 다리의 하단에 바퀴(31)를 달아 이동하면서 작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를 바닥면(10) 기초공사시에 미리 설치하게 되면,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들에 의해 터널 라이닝(21) 작업을 수행하지 매우 난해 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닥면 기초공사시에는 그 표면이 예정된 공정에 의해 아무런 제약 없이 시공을 하여 양생하도록 하고, 라이닝 작업등 터널구간내 작업이 완료된 후에 바닥면을 커팅하여 커팅된 홈에 측벽부재 등을 끼움결합시킨 다음 측벽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를 구축할 수 있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의 트랜치 바닥부분 작업이 완료된 후에, 바닥면을 커팅시키지 않고 측벽부재 등을 바닥면에 배치시킨 후, 콘크리트용 타커 등을 사용하여 직접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측벽부재 등을 설치한 후, 측벽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를 구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도노선에 전력선, 통신선, 신호제어선 등과 같은 케이블을 수납하도록 하는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터널구간에 기초 바닥면을 설치하는 제1공정;
제1공정후에는 라이닝 등과 같이 터널내부작업을 수행하는 제2공정;
제2공정후에는 바닥면상에 케이블 트로프가 될 폭 만큼의 간격으로 터널구간을 따라 일정 두께 및 깊이로 측벽부재 끼움홈을 형성하는 제3공정;
측벽부재 끼움홈에 케이블 트로프의 외측벽이 될 측벽부재를 끼움결합시키는 제4공정; 및
측벽부재의 바깥쪽에 제2차 콘크리트 타설을 실시하는 제5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노선에 구축되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측벽부재의 사이 바닥면상에 터널구간을 따라 일정 두께 및 깊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판 끼움홈을 형성하는 제6공정; 및
구획판 끼움홈에 구획판을 끼움결합시키는 제7공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측벽부재의 바깥쪽에는 제2차 콘크리트 타설속에 들어가도록 다수의 매립리브가 일체로 형성되고, 매립리브들에는 제2차 콘크리트 타설이 통과되도록 다수의 매립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본 발명은,
터널구간에 전력선, 통신선, 신호제어선 등과 같은 케이블을 수납하도록 하는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터널구간에 기초 바닥면을 설치하는 제1공정;
제1공정후에는 라이닝 등과 같이 터널내부작업을 수행하는 제2공정;
제2공정후에는 바깥쪽에 다수의 매립리브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매립리브들에는 다수의 매립공이 형성된 측벽부재를 바닥면상에 케이블 트로프가 될 폭 만큼의 간격으로 터널구간을 따라 매립리브의 하단과 바닥면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시키는 제3공정;
측벽부재의 바깥쪽에 제2차 콘크리트 타설을 하는 제4공정;
측벽부재의 사이 바닥면상에 터널구간을 따라 일정 두께 및 깊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판 끼움홈을 형성하는 제5공정; 및
구획판 끼움홈에 구획판을 끼움결합시키는 제6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노선에 구축되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은 터널의 라이닝 작업에 전혀 불편함을 주지 않을 수 있도록 새로운 공법으로 제작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바닥부재를 시공하지 않으므로서 공사비 절감은 물론 공기를 단축 할 수 있으며, 측판도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하여 각 구간의 설계에 따라 적절히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시공함으로서 확실한 품질과 내구성을 보장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자로 인한 별도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무엇보다 획기적인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선행기술의 도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터널공사시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사용된 측벽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벽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벽부재를 사용하여 바닥면상에 결합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7은 측벽부재의 상부에 대한 여러 가지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노선에 구축되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도노선에 구축되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은 제1공정으로서,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초인 바닥면(10)을 예정된 공정에 의해 아무런 제약 없이 콘크리트 타설을 하고 양생을 한다. 이러한 바닥면(10) 시공후에는 터널내의 라이닝작업과 같은 제2공정을 모두 마친 다음 케이블 트로프의 설치작업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제3공정은 (b)에서 보는 것과 같이 바닥면(10)상에 측벽부재 끼움홈(11)을 형성한다. 측벽부재 끼움홈(11)은 케이블 트로프가 될 폭만큼의 간격으로 터널구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콘크리트 절단기(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일정한 두께 및 깊이로 형성한다. 이때, 측벽부재 끼움홈(11)의 두께 및 깊이는 홈에 결합될 측벽부재에 따라 조금씩은 달라지겠지만 두께는 대략 3.0mm 내외이고, 깊이는 10~15mm정도이다.
본 발명의 제4공정은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벽부재 끼움홈(11)에 측벽부재(30)를 끼움결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측벽부재(30)는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수직하고 길다란 판으로서, 하부에는 측벽부재 끼움홈(11)으로 삽입될 끼움부(31)가 일체로 형성되고, 바깥쪽 면상에는 매립리브(32)가 일체로 더 형성된다. 매립리브(32)는 사각형태의 테두리와 이 테두리의 사이에 격자로 형성된 것으로, 2차로 타설될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측벽부재(30)와 2차 타설될 콘크리트가 일체화되도록 매립리브(32)에는 상,하 또는 좌,우로 적어도 10mm이상의 크기로 타공되는 매립공(33)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상기와 같이 측벽부재(30)가 설치되면, 본 발명의 제5공정으로서, (c)에서 보는 것과 같이 측벽부재(30)의 바깥쪽에 제2차 콘크리트를 타설(20)한다. 제2차 콘크리트 타설(20)은 측벽부재(30)와의 높이를 수평하게 맞추면서 매립리브(32) 및 매립공(33)에 의해 측벽부재(30)와 콘크리트가 일체화 된다.
본 발명의 제6공정으로서, (d)에서 보는 것과 같이 측벽부재(30)들의 사이에 구획판(40)을 설치하기 위한 구획판 끼움홈(12)을 형성한다. 구획판 끼움홈(12)은 측벽부재 끼움홈(11)과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절단기를 이용해 바닥면(10)상에 일정한 두께 및 깊이로 터널구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커팅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7공정으로서, (d)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구획판 끼움홈(12)에 구획판(40)을 끼움결합시킨다. 구획판(40)은 케이블 트로프에 수납되는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기 위해 마련되는 수직하고 길다란 판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이때, 구획판 끼움홈(12)은 그 두께가 6.0mm내외이고, 깊이는 30~40mm정도이다. 구획판(40)은 그 하단부에 별도의 끼움부를 형성하여 설치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도 있고, 굳이 끼움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구획판 끼움홈(12)과 측벽부재 끼움홈(11)의 절단 깊이 및 두께는 엄연히 차이가 발생된다. 즉, 측벽부재(30)는 제2차 콘크리트 타설(20)과 일체화되기 때문에 그 것 만으로도 견고하게 세워질 수 있어 깊이 및 두께가 클 필요는 없으나, 구획판(40)은 외부의 결합력 없이 단순히 구획판(40) 자체의 끼움력에 의해서만 세워져야 하므로 충분한 두께 및 깊이를 가져야 하는 조건이 필요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측벽부재(30)는 현장의 조건에 따라 끼움부(31)를 절단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바닥면(10)에 측벽부재 끼움홈(11)을 형성하지 않고도 측벽부재(30)를 설치하여 시공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측벽부재(30)는 끼움부(31)를 절단하게 되면,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은 형태를 갖게 되는데, 이러한 측벽부재(30)를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설치될 바닥면(10)에 세운후, 칼블럭이나 못 또는 앙카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50)으로 간단하게 체결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칼블럭이란 바닥면(10)상에 드릴로 구멍을 뚫고 이 구멍에 부재를 넣어 스크류를 삽입시키면 부재가 팽창하면서 구멍에 밀착되어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앙카의 종류이다. 또한 못은 망치로 두드려 박는 못 이외에도 타커와 같이 공압에 의해 강력하게 발사되어 순식간에 콘크리트에 박히는 장치들도 있다. 이러한 체결수단(50)을 이용하여 매립리브(32)의 하부면과 바닥면(10)을 결합시킨 후, 측벽부재(30)의 외측에 제2차 콘크리트 타설(20)을 실시하면 전술한 바와 동일한 측벽부재(30)의 설치효과가 발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공정 순서는 바닥면(10)을 시공하는 제1공정과, 터널구간에 라이닝 작업을 수행하는 제2공정과, 측벽부재(30)를 설치하는 제3공정과, 측벽부재(30)의 바깥쪽에 제2차 콘크리트 타설(20)을 수행하는 제4공정과, 구획판 끼움홈(12)을 형성하는 제5공정과, 구획판 끼움홈(12)에 구획판(40)을 끼움결합시키는 제6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측벽부재(30)는 그 상부에 뚜껑이 올려질 수 있도록 상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고, 구획판(40)의 높이는 측벽부재(30)의 걸림턱과 같은 높이로 일치시킴이 뚜껑의 결합시에 편리할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측벽부재(30)는 도 7의 (a)에서 보는 것과 같이 양쪽이 대칭되도록 바깥으로 벌어지게 굴곡져 뚜껑이 올려지는 받침부(35)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트로프와 선로의 사이에 존재해야 될 경계벽을 시멘트 콘크리트로 타설하지 않고 측벽부재(30)로 대체할 수 있도록 도 7의 (b)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선로쪽 경계벽을 형성하는 연장부(36)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c)에서 보는 것과 같이 그 위에 트로프쪽 뿐만 아니라 배수로쪽 뚜껑도 함께 올려야 하기 때문에 측벽부재(30)는 일측에 받침부(35)가 형성되면서 타측은 트로프와 배수로의 사이 격벽을 감싸는 공유부(37)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바닥면 11 : 측벽부재 끼움홈
12 : 구획판 끼움홈 20 : 제2차 콘크리트 타설
30 : 측벽부재 31 : 끼움부
32 : 매립리브 33 : 매립공
35 : 받침부 36 : 연장부
37 : 공유부 40 : 구획판
50 : 체결수단

Claims (6)

  1. 철도노선에 전력선, 통신선, 신호제어선 등과 같은 케이블을 수납하도록 하는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랜치에 기초 바닥면(10)을 설치하는 제1공정;
    상기 제1공정후에는 터널내부의 라이닝 작업을 수행하는 제2공정;
    상기 제2공정후에는 상기 바닥면(10)상에 케이블 트로프가 될 폭 만큼의 간격으로 트로프를 따라 일정 두께 및 깊이로 측벽부재 끼움홈(11)을 형성하는 제3공정;
    상기 측벽부재 끼움홈(11)에 케이블 트로프의 외측벽이 될 측벽부재(30)를 끼움결합시키는 제4공정; 및
    상기 측벽부재(30)의 바깥쪽에 제2차 콘크리트 타설(20)을 실시하는 제5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노선에 구축되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재(30)의 사이 트로프 바닥면(10)을 따라 일정 두께 및 깊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판 끼움홈(12)을 형성하는 제6공정; 및
    상기 구획판 끼움홈(12)에 구획판(40)을 끼움결합시키는 제7공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노선에 구축되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재(30)의 바깥쪽에는 상기 제2차 콘크리트 타설(20)속에 들어가도록 다수의 매립리브(3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매립리브(32)들에는 상기 제2차 콘크리트 타설(20)의 콘크리트가 통과되도록 다수의 매립공(3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노선에 구축되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
  4. 터널구간에 전력선, 통신선, 신호제어선 등과 같은 케이블을 수납하도록 하는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널구간에 기초 바닥면(10)을 설치하는 제1공정;
    상기 제1공정후에는 터널내부 라이닝 작업을 수행하는 제2공정;
    상기 제2공정후에는 바깥쪽에 다수의 매립리브(32)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매립리브(32)들에는 다수의 매립공(33)이 형성된 측벽부재(30)를 상기 바닥면(10)상에 케이블 트로프가 될 폭 만큼의 간격으로 철도노선을 따라 상기 매립리브(32)의 하단과 바닥면(10)에 체결수단(50)에 의해 고정시키는 제3공정; 및
    상기 측벽부재(30)의 바깥쪽에 제2차 콘크리트 타설(20)을 하는 제4공정;
    상기 측벽부재(30)의 사이 바닥면(10)상에 철도노선을 따라 일정 두께 및 깊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판 끼움홈(12)을 형성하는 제5공정; 및
    상기 구획판 끼움홈(12)에 구획판(40)을 끼움결합시키는 제6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노선에 구축되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재(30)의 양측 상단부에는 뚜껑이 올려지도록 더 넓어지게 굴곡진 받침부(35)가 일체로 형성되며, 선로쪽 받침부에는 상기 선로쪽과의 경계벽을 형성하도록 연장부(36)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노선에 구축되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재(30)의 어느 일측에는 뚜껑이 올려지도록 더 넓어지게 굴곡진 받침부(35)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선로쪽과 트로프 사이에 형성될 배수로와의 경계벽을 감싸면서 배수로의 상부를 닫는 뚜껑이 함께 올려지도록 공유부(37)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노선에 구축되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
KR1020110080236A 2011-08-11 2011-08-11 철도노선에 구축되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 KR101126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236A KR101126165B1 (ko) 2011-08-11 2011-08-11 철도노선에 구축되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236A KR101126165B1 (ko) 2011-08-11 2011-08-11 철도노선에 구축되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165B1 true KR101126165B1 (ko) 2012-03-22

Family

ID=46142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236A KR101126165B1 (ko) 2011-08-11 2011-08-11 철도노선에 구축되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1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271B1 (ko) 2013-04-26 2013-12-05 주식회사 대창 철도용 전선보호장치
CN114148221A (zh) * 2021-11-22 2022-03-08 兰州铁道设计院有限公司 用于运营铁路明洞的接触网吊柱固定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446074B1 (ko) 2021-12-17 2022-09-23 은세기술 주식회사 트라프와 배관의 연결구 방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181Y1 (ko) * 1989-05-31 1992-10-08 변무원 배수로용 조립식 거푸집
KR20030004969A (ko) * 2001-09-14 2003-01-15 주식회사 태.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폴리머콘크리트를 주원료로하는 프리캐스트 트렌치 및이를 이용한 바닥배수구조
JP3497581B2 (ja) * 1994-11-02 2004-02-16 積水樹脂株式会社 トンネル内の導水工法
KR20110040496A (ko) * 2009-10-14 2011-04-20 주식회사 팔마 케이블 트로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181Y1 (ko) * 1989-05-31 1992-10-08 변무원 배수로용 조립식 거푸집
JP3497581B2 (ja) * 1994-11-02 2004-02-16 積水樹脂株式会社 トンネル内の導水工法
KR20030004969A (ko) * 2001-09-14 2003-01-15 주식회사 태.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폴리머콘크리트를 주원료로하는 프리캐스트 트렌치 및이를 이용한 바닥배수구조
KR20110040496A (ko) * 2009-10-14 2011-04-20 주식회사 팔마 케이블 트로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271B1 (ko) 2013-04-26 2013-12-05 주식회사 대창 철도용 전선보호장치
CN114148221A (zh) * 2021-11-22 2022-03-08 兰州铁道设计院有限公司 用于运营铁路明洞的接触网吊柱固定结构及其施工方法
CN114148221B (zh) * 2021-11-22 2024-04-02 兰州铁道设计院有限公司 用于运营铁路明洞的接触网吊柱固定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446074B1 (ko) 2021-12-17 2022-09-23 은세기술 주식회사 트라프와 배관의 연결구 방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419B1 (ko) 터널과 지하차도를 포함하는 지중 도로 구조물의 풍도 및 이 시공 방법
KR101123242B1 (ko)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88521B1 (ko) 지지말뚝이 설치된 교량의 교각기초 하부에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방법
KR101126165B1 (ko) 철도노선에 구축되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
CN110747909A (zh) 一种明挖隧道变形缝防水构造
KR101206860B1 (ko) 수직형 측벽과 아치형 천정부를 이용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
KR101427812B1 (ko) 개착식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JP2015071877A (ja) 溝蓋構造体及び溝蓋構造体の設置方法
KR20160004710A (ko) Pc 박스용 상부 및 하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이음매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CN116145729A (zh) 海陆连接区地铁层离式车站结构及其施工方法
RU2601822C1 (ru) Лотковый блок для чугунной обделки тоннелей метрополитена
Ma et al. Case study and design of steel set support for aged belt entry rehabilitation
KR101377017B1 (ko) 흄관 받침부재, 수로 형성부재 및 그 시공방법
JP6801847B2 (ja) L型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品を使用したトンネル監視員通路の簡単な構築方法
KR101135925B1 (ko)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 설치공법
JP2006249735A (ja) 横断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横断地下構造物
KR10123409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직접 설치를 통한 철도지하횡단 공법
RU162484U1 (ru) Лотковый блок для чугунной обделки тоннелей метрополитена
US3914946A (en) Cut and cover construction of subway with utility chamber and air conditioning with minimum street traffic disturbance and method
Konstantis et al. Box jacking/pushing method for tunnel construction in rock: Doha Metro, Gold Line Project
CN219287075U (zh) 一种用于通行的隔水电缆保护槽
Thasnanipan et al. Diaphragm Wall And Barrette Construction For Thiam Ruam Mit Station Box, Mrt Chaloem Ratchamongkhon Line, Bangkok
JP7414658B2 (ja) 既設軌条の改修方法
KR101273878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신축이음부의 매립 프레임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매립 프레임 시공방법
RU2460848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участка примыкания перегонного тоннеля строящейся линии метрополитена к перегонному тоннелю действующей лин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