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181Y1 - 배수로용 조립식 거푸집 - Google Patents

배수로용 조립식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181Y1
KR920007181Y1 KR2019890007601U KR890007601U KR920007181Y1 KR 920007181 Y1 KR920007181 Y1 KR 920007181Y1 KR 2019890007601 U KR2019890007601 U KR 2019890007601U KR 890007601 U KR890007601 U KR 890007601U KR 920007181 Y1 KR920007181 Y1 KR 9200071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drainage
concrete
present
side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7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20399U (ko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2019890007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181Y1/ko
Publication of KR9000203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203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1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1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수로용 조립식 거푸집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조립시공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시공완료상태의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타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 양측벽 11, 11' : 양측벽끝
20 : 버팀판 30, 30' : 연결판
40 : 기초 콘크리트 50 : 벽체콘크리트
본 고안은 토목용 소형구조물인 배수로의 현장제작시 사용되는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제로 거푸집형틀 제작한 뒤 연속연결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일체화되게 배수로를 시공하므로서 시공후 재분리하지 않도록 안출한 배수로용 조립식 거후집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수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은 목재 도는 철재 거푸집으로써, 구조물의 안쪽과 바깥쪽의 거푸집을 현장에서 목공들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제작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뒤 약 1주일정도 양생하여 구조물을 제작하도록 한 것으로, 구조물의 시공전, 후 에는 거푸집을 일일이 설치 및 분리시켜야 되는 문제점으로 특수한 기능을 가진 목공기술자와, 설치 및 분리에 따른 공사기간의 지연과 이에 따른 인력손실등이 초래되는 결점이 있었고, 또한 목재 또는 철재 거푸집은 그 무게가 무거워서 운반, 설치, 분리 작업이 매우 여러워 현재 인력난의 고충을 더욱 가중시키는 문제점등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거푸집을 합성수지제로 제작하되 거푸집형틀을 이루도록 양측벽의 상부에 다수개의 버팀판을 일정간격으로 형성시켜 제작한뒤 그 거푸집을 연속연결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일체화 되게 배수로를 시공하므로서 시공후 재 분리하지 않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합성수지제의 배수로용 조립식 거푸집으로써, 양측벽(10)(10')의 상부에 다수개의 버팀판(20)을 일정간격으로 일체로 형성하여 콘크리트의 타설시 양측벽(10)(10')이 좌, 우로 벌어짐을 미연에 방지하고, 일단에는 타단보다 폭이 좁게 연결판(30)(30')을 돌출연장시켜 연속연결시 타단과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식 거푸집으로, 배수로의 두껑(60)을 덮기위한 뚜껑턱(70)을 내측 상단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조립식 거푸집으로 배수로를 시공하고자 할때에는 공장에서 제작된 조립식 거푸집을 현장으로 운반한 뒤 제4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바닥면을 이루는 기초콘크리트(40)를 현장에서 타설한 즉시 본 고안의 거푸집을 연속적으로 연속연결하여 조립한다.
이때, 요구되는 배수로 구조물의 상단높이가 본 고안의 거푸집 상단 높이가 되도록 하며, 하단인 양측벽끝(11)(11')은 기초콘크리트(40)속으로 일정깊이만큼 매설시켜 기초콘크리트(40)와 동시에 양생한다.
기초콘크리트(40)의 양생후 양측벽(10)(10')내의 벽체콘크리트(50)를 타설하여 충진되게 하므로서 배수로 구조물의 시공작업이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양측벽(10)(10')의 양측벽끝(11)(1')은 기초콘크리트(40)에 매설되어 있기때문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종래와같이 거푸집을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버팀목이 필요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제6도에서와 같이 조립식 거푸집의 내측 상면에 뚜껑턱(70)을 형성하여 뚜껑(60)을 덮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이물질등이 쌓이지 않도록 할 수가 있는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거푸집은 콘크리트와 일체화시켜 배수로를 형성하므로 종래와 같이 거푸집을 분리시킬 필요가 없어 소수의 인원으로 단시간내에 다량의 공사를 균일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며, 또 특수한 기술을 가진 목공기술자가 아닌 작업자 누구라도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상의 편리함과 시공비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본 고안의 조립식 거푸집은 폴리에틸렌 또는 합성수지제로 제작되므로 표면이 매끄로워 유수의 흐름이 원활하여 조도계수가 뛰어나고, 또한 무게가 가벼워 운반 및 설치가 매우 편리한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합성수지제인 양측벽(10)(10')의 상부에 다수개의 버팀판(20)을 일정간격으로 일체로 형성하고, 일단에는 타단보다 좁게 연결판(30)(30')을 돌출연장하여 타단과 연속조립이 용이하도록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용 조립식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벽(10)(10')의 내측 상단부에 배수로의 뚜껑(60)을 덮기 위한 뚜껑턱(7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용 조립식 거푸집.
KR2019890007601U 1989-05-31 1989-05-31 배수로용 조립식 거푸집 KR9200071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7601U KR920007181Y1 (ko) 1989-05-31 1989-05-31 배수로용 조립식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7601U KR920007181Y1 (ko) 1989-05-31 1989-05-31 배수로용 조립식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0399U KR900020399U (ko) 1990-12-13
KR920007181Y1 true KR920007181Y1 (ko) 1992-10-08

Family

ID=19286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7601U KR920007181Y1 (ko) 1989-05-31 1989-05-31 배수로용 조립식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1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165B1 (ko) * 2011-08-11 2012-03-22 합자회사 거광산업 철도노선에 구축되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165B1 (ko) * 2011-08-11 2012-03-22 합자회사 거광산업 철도노선에 구축되는 조립식 트랜치형 케이블 트로프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0399U (ko) 1990-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4841A (en) Continuous,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bridge deck panel forms, precast parapets, and method of construction
WO1998045547A1 (en) Permanent panelized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asting monolithic concrete structures in situ
KR102040229B1 (ko) 기초 바닥판과 기둥, 벽체로 이루어지는 일체 결합형 건축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콘크리트 건물시공방법
US4841707A (en) Composite double or multiple wall
US8827235B1 (en) Concrete form for building foundation construction with form insert creating recessed sections
JP2017061841A (ja) コンクリート型枠構造体
KR101727745B1 (ko) 수직형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이 구조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US4413454A (en) Prefabricated frame and a multi-storey building including said frame
KR920007181Y1 (ko) 배수로용 조립식 거푸집
GB2183269A (en) Construction of tall tanks, silos, towers, chimneys etc.
EP0033942A2 (en) Method of constructing in-situ cast concrete internally insulated building walls
KR920004623B1 (ko) 목재 건물용 기초 및 공법
KR200273410Y1 (ko) 조립식콘크리트단열블록
KR101482523B1 (ko) 안전휀스 설치 구성을 가지는 조립식 노듈러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3029343U (ja) 露出型弾性固定柱脚工法におけるモルタル材注入用型枠具
CN219793599U (zh) 模块化路侧承台和挡墙结构
JPS6014816Y2 (ja) 住宅用簡易基礎構造
US4187648A (en) Form for a mortar cap
JP3399924B2 (ja) 護岸法覆構造
JPS6195127A (ja) コンクリ−ト型枠工法
JPH05287759A (ja) 鉄筋コンクリート基礎梁の構築法
GB2093882A (en) Prefabricated frame and a multi-storey building including said frame
FI81868C (fi) Plattbalksystem av kontinuerlig betong och foerfarande foer bildande av detta.
KR840000304Y1 (ko) 울타리용지주의 조립식 기초 콘크리트 블록
JPS5817773Y2 (ja) 道路橋の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ト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0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