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540B1 -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베이스밴드 프로세서, 커맨드 전송 방법 및 저장 유닛 - Google Patents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베이스밴드 프로세서, 커맨드 전송 방법 및 저장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540B1
KR101125540B1 KR1020067017970A KR20067017970A KR101125540B1 KR 101125540 B1 KR101125540 B1 KR 101125540B1 KR 1020067017970 A KR1020067017970 A KR 1020067017970A KR 20067017970 A KR20067017970 A KR 20067017970A KR 101125540 B1 KR101125540 B1 KR 101125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definition
action
interface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7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8871A (ko
Inventor
장-클라우드 비니
프랑스와 샹셀
Original Assignee
에스티 에릭슨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 에릭슨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에스티 에릭슨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70018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62Arrangements for Wireless System Synchronisation
    • H04B7/2671Arrangements for Wireless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System Synchronisation
    • H04B7/2678Time synchronisation
    • H04B7/2687Inter base stations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8)는 각각의 디스크립터에 대해, 동작의 정의를 가리키는 포인터 필드와, 프레임 처리의 시작으로부터 어느 시점에서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지를 나타내는 절대 동작 시간 필드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 테이블과, 각각의 동작에 대해 동작의 정의를 포함하는 동작 정의 테이블 -각각의 정의는 이벤트의 시퀀스를 가지며, 동작 정의 테이블의 각각의 이벤트는 동작의 시작으로부터 어느 시점에서 대응하는 이벤트가 실행되는 지를 나타내는 상대적인 이벤트 시간 필드와 관련됨- 을 저장하는 저장 유닛(72)과, 디스크립터 테이블 및 동작 정의 테이블로부터의 이벤트 리스트를 자동으로 계산하는 계산기(7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커맨드 전송 방법 및 저장 유닛{A BASEBAND PROCESSOR AND A METHOD OF TRANSMITTING COMMANDS TO A RADIO-FREQUENCY SUBSYSTEM AND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BASEBAND PROCESSOR}
본 발명은 커맨드를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에 전송하는 방법 및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와, 그러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벤트 리스트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리스트의 이벤트들 각각은 상기 프레임 처리의 개시로부터 어느 시점에서 상기 이벤트가 실행되는 지를 나타내는 절대 이벤트 시간 필드(absolute event time field)를 나타냄- 와, 대응 커맨드를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해 이벤트 리스트 내의 각각의 이벤트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각각의 이벤트는 관련된 절대 이벤트 시간 필드에 대응하는 시간에 프레임 처리 동안에 실행됨- 와, 메모리 내의 이벤트 리스트를 계산하여 저장하는 계산기를 포함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에 관한 것이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및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은, 예를 들면 프레임으로 조직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셀룰러 이동 전화기와 같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및 EGPRS(Enhanced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통신 장치에 사용된다. 각 프레임의 구성은 표준화되어 있다.
종래의 이동 전화기에서는, 무선 신호의 수신 동안에,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이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이 무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고, 베이스밴드 신호를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로 전송한다. 그 다음에,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는 수신한 베이스밴드 신호를 처리하고, 수신한 베이스밴드 신호에 따라서 이동 전화기의 인적/기계적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무선 신호의 전송 동안에,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여 이것을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은 생성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수신하여 이것을 무선 신호로 변환하고, 공중으로 전송한다.
프레임을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해, 한 프레임의 처리 동안에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의 조정 또는 설정이 여러 차례 변경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한 프레임의 id가 처리되는 동안에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의 수신기 이득 또는 주파수 채널이 변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는 프레임 처리 동안 사전에 정해진 시간에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으로 커맨드를 전송한다. 한 프레임의 처리 동안에 100 개까지의 커맨드가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으로 전송되어야 한다.
커맨드를 전송하는 시간은 1/4 비트 기간만큼 작은 시간 분해능으로 조절되어야 한다. GSM 장치에 있어서, 1/4 비트 기간은 예를 들어 923 ns이다.
그러한 미소 시간 분해능을 달성하기 위해,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의 계산기는 프레임 처리의 시작 전에 이벤트 리스트를 계산한다.
프레임 처리 동안, 인터페이스는 이 이벤트 리스트를 실행하며, 따라서 인터페이스의 동작이 정확하게 제어된다.
각각의 프레임 처리 동안에,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을 수신 모드로 설정하고, 그 다음에 송신 모드로, 그 다음에 다시 수신 모드로 설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을 수신 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일련의 커맨드 또는 커맨드 시퀀스가 인터페이스에 의해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으로 전송되어야 한다. 이 커맨드 시퀀스는 이벤트 리스트 내의 이벤트 시퀀스에 대응한다. 이하에서는,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의 설정에서의 특정 변화에 대응하는 이러한 이벤트 시퀀스를 동작(operation)이라 한다.
따라서, 만약 한 프레임의 처리 동안에,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이 2회 수신 모드로 전환되어야 한다면, 이벤트 리스트는 동일한 이벤트 시퀀스를 2회 포함한다.
이 이벤트 리스트를 계산하기 위해, 계산기와 관련된 저장 유닛이 사전에 정해진 이벤트 리스트를 저장한다. 각각의 프레임 처리 전에, 다음 프레임 처리에 불필요한 이벤트를 삭제하기 위해 이 사전에 정해진 이벤트 리스트가 처리된다.
흔히, 한 프레임의 처리 동안에 동일한 동작이 2회 이상 반복되어야 하기 때 문에, 사전에 정해진 이벤트 리스트가 2회 이상 반복되어야 한다. 이 동작의 반복으로 인해 저장 유닛의 공간 사용이 비효율적으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작은 저장 유닛 공간을 요구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및 다른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밴드 프로세서가 제공되는데, 이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는 저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 유닛은 각각의 디스크립터에 대해, 프레임 처리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정의를 가리키는 포인터 필드와, 상기 프레임 처리의 시작으로부터 어느 시점에서 대응하는 동작이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지를 나타내는 절대 동작 시간 필드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 테이블과, 각각의 동작에 대해 동작의 정의를 포함하는 동작 정의 테이블 -각각의 정의는 상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이벤트의 시퀀스를 가지며, 상기 동작 정의 테이블의 각각의 이벤트는 상기 동작의 시작으로부터 어느 시점에서 대응하는 이벤트가 실행되는 지를 나타내는 상대적인 이벤트 시간 필드와 관련됨- 을 포함하며, 계산기가 상기 디스크립터 테이블 및 동작 정의 테이블로부터의 상기 이벤트 리스트를 자동으로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에 의하면, 동작 A가 한 프레임의 처리 동안 2회 반복되어야 하는 경우에, 저장 유닛은 동작 A의 제 1 및 제 2 발생에 대해 각각 제 1 및 제 2 디스크립터 코딩을 포함하기만 하면 된다. 제 1 및 제 2 디스크립터는 동작 정의 테이블 내의 동작 A의 동일한 정의를 가리키는 포인터 필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작 A에 대응하는 이벤트 시퀀스가 프레임 처리 중에 수 회 실행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동작 A에 대응하는 이벤트 시퀀스가 1회만 저장된다. 그 결과, 디스크립터 테이블 및 동작 정의 테이블로 이루어진 데이터 구조는 저장 유닛의 공간을 절감시킨다.
저장 유닛이 파라미터 값을 갖는 데이터 테이블을 포함하고, 동작 정의 테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정의는 미지의 파라미터 값과 관련된 이벤트를 가지며, 각각의 디스크립터는 미지의 파라미터 값과 관련된 이벤트를 포함하는 동작 정의를 가리키는 포인터 필드를 포함하고, 데이터 테이블의 파라미터 값과 관련되고, 계산기가 상기 이벤트 리스트를 계산하기 위해, 정의 내의 미지의 파라미터 값을 이 정의를 가리키는 포인터 필드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와 관련된 파라미터 값과 교체하는 이러한 특징은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의 값이 동작 정의 테이블 내에 1회만 기록되기 때문에, 저장 유닛의 공간을 더욱 절감하는 이점을 갖는다.
메모리가 공유 메모리 액세스 버스를 통해 계산기 및 인터페이스에 접속되는 비전용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하고, 계산기가 공유 메모리 액세스 버스를 사용하여 상기 메모리에 이벤트 리스트를 저장하며, 인터페이스가 공유 메모리 액세스 버스를 사용하여 상기 메모리 내의 이벤트 리스트를 판독하고, 인터페이스가 직접 메모리 액세스 기술(DMA)을 이용하여 이벤트 리스트를 판독하는 이러한 특징은 인터페이스에 의해 사용되지 않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메모리 공간을 계산기에 의해 수행된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재할당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가능성은, 이벤트 리스트가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의 인터페이스에 전용인 메모리에 저장되는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계산기가, 다음 프레임의 처리를 위해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을 조정하기 위해 저장 유닛 내의 디스크립터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도록 프로그래밍된 메인 프로세서와, 메인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저장 유닛 내의 저장된 테이블로부터 상기 이벤트 리스트를 계산할 수 있는 코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특징은 메인 프로세서의 작업 부하를 감소시키는 이점을 갖는다. 디스크립터의 수는 이벤트 리스트 내의 이벤트의 수보다 훨씬 더 적다. 따라서, 메인 프로세서가 보다 적은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이 프로세서의 작업 부하는 감소한다.
본 발명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의 다른 특징들은 종속항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구현하는데 사용된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및 저장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과 관련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와도 관련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GSM 프레임을 처리하는 커맨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에 사용된 데이터 구조의 개략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가능한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에 커맨드를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
도 1은 무선 통신 장치(6)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이 무선 통신 장치는 GSM 무선 셀룰러 이동 전화기(6)이다. 전화기(6)는 무선 신호(8)를 이용하여 무선 셀룰러 전화기의 기지국(4)과 통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화기(6)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법을 구현한다.
기지국(4)은 전화기(6)로/부터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구비하고 있다. 무선 신호(8)는 1250 비트의 정보로 이루어진 프레임들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0)은 RX 슬롯, "Mon" 슬롯 및 TX 슬롯을 포함한다. RX 및 "Mon" 슬롯 동안에, 전화기(6)에 의해 정보가 수신된다. TX 슬롯 동안에 정보는 전화기(6)에 의해 기지국(4)으로 전송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RX 슬롯은 표준 버스트(normal burst)를 나타내고, "Mon" 슬롯은 인접 셀의 전력 감시를 나타낸다.
그러한 무선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기 위해, 전화기(6)는 통상의 조정가능한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16) 및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8)를 포함한다. 서브시스템(16)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20)에 접속된다.
서브시스템(16)은 수신한 무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서브시스템(16)의 주 업무는 무선 신호로부터 캐리어를 제거하 거나 또는 그러한 캐리어를 베이스밴드 신호에 추가하는 것이다. 베이스밴드 신호는 서브시스템(16)을 프로세서(18)로 접속하는 라인(22)을 통해 프로세서(18)와 서브시스템(16) 사이에서 교환된다.
서브시스템(16)을 설정 또는 조정하기 위해, 프로세서(18)는 세 개의 와이어(three-wire) 버스(24), 디지털 출력 라인(26) 및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라인(28)을 통해 서브시스템(16)에 접속된다.
"텔레그램(telegram)" 이라고 하는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세 개의 와이어 버스(24)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서브시스템(16)의 주파수 채널을 변화시키는데 이러한 텔레그램이 사용된다.
라인(26)은 논리 1 또는 논리 0 상태로 설정될 수 있는 두 개의 상태 라인이다. 예를 들면, 라인(26)은 서브시스템(16) 내의 안테나 프런트 엔드 스위치를 제어하여 수신 모드로부터 송신 모드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라인(28)은 아날로그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아날로그 신호는 예를 들면 서브시스템(16)의 기준 주파수를 제어하고 전송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도 2의 라인(30 내지 32)은 프레임(10) 처리 동안 라인(26)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다.
도 2의 라인(34)은 프레임(10)을 처리하기 위해 텔레그래프(telegraph)가 버스(24) 상에서 송신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텔레그래프의 전송은 논리 1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반면에 유휴(idle) 상태는 논리 0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시간 t0와 t1 사이에 전송된 커맨드 시퀀스는 서브시스템(16)을 프레임(10)의 RX 슬롯의 개시 직전에 수신 모드로 변화시키는데 사용된다. 커맨드 시퀀스는 동작(A1)에 대응한다.
이와 유사하게, 도 2에서, 다섯 개의 다른 동작(B1, C, D, A2, B2)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은 시간 t2와 t3, t4와 t5, t6과 t7, t8과 t9, t10과 t11 사이에서 전송된 커맨드 시퀀스에 대응한다. 여기서, 동작(B1, B2)은 수신 모드로부터 서브시스템을 변화시킨다. 동작(C)은 서브시스템(16)을 송신 모드로 변화시킨다. 동작(D)은 서브시스템(16)을 송신 모드로부터 변화시킨다. 동작 A2는 서브시스템(16)을 다시 수신 모드로 변화시킨다. 동작(A2 및 B2)은 동작(A1, B1)과 각각 동일 또는 유사하다.
각각의 커맨드를 정확한 시간에 서브시스템(16)으로 전송하기 위해, 프로세서(18)는 배선형(hardwired) 무선 주파수 제어 인터페이스(40)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42)를 포함한다.
메모리(42)는 이벤트 리스트(44)를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이 리스트에서, 각각의 이벤트는 절대 이벤트 시간 필드 및 이벤트 유형 필드와 관련된다. 절대 이벤트 시간 필드는 관련 이벤트가 프레임 처리 동안 실행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이벤트 유형 필드는 버스(24), 라인(26) 및 라인(28) 중 어느 것이 관련 이벤트와 관련되는 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리스트(44)는 세 개의 열을 갖는 표로서, 제 1 열은 실행될 이벤트를 포함하고, 제 2 열은 상대적인 이벤트 시간 필드를 포함하 고, 제 3 열은 이벤트 유형 필드를 포함한다.
절대 이벤트 시간 필드 내의 시간은 처리될 프레임의 시작으로부터 계수된다. GSM 프레임에 있어서, 이 절대 이벤트 시간 필드는 1에서 5000까지의 정수 범위를 포함한다. 이 정수는 GSM 프레임의 1/4 비트 기간 번호에 대응한다. 따라서, 번호 1은 GSM 프레임의 제 1 1/4 기간에 대응하고, 번호 5000은 GSM 프레임의 맨 마지막 1/4 비트 기간에 대응한다.
메모리(42)는 메모리 액세스 버스(46)를 통해 인터페이스(40)에 접속된다.
인터페이스(40)는 대응하는 절대 이벤트 시간에 리스트(44)의 각각의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40)는 GSM 타이머(50)를 포함하는데, 이 타이머는 GSM 프레임 처리의 시작부터 경과한 1/4 비트 기간의 수를 계수한다. 이 타이머(50)는 비교기(52)의 제 1 입력시에 접속된다. 비교기(52)의 제 2 입력은 리스트(44)의 절대 이벤트 시간 필드에 저장된 번호를 수신하도록 설계된다. 메모리(42) 내의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 인터페이스(40)는 통상의 DMA(Direct Memory Access)를 이용한다. 비교기(52)의 출력부는 세 개의 블록(54, 56, 58)의 인에이블 입력부에 접속된다.
블록(54)은 텔레그램을 버스(24)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블록(56)은 라인(26)의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블록(58)은 아날로그 라인(28)을 제어한다.
인터페이스(40)는 또한 배선형 제어기(60)를 포함하며, 이 제어기는 리스트(44)의 이벤트에 따라서 블록(52, 56, 58)을 제어한다.
리스트(44)를 계산하여 이것을 메모리(42)에 저장하기 위해, 프로세서(18)는 계산기(70) 및 저장 유닛(72)을 포함한다.
보다 빠른 실행을 위해, 계산기(70)는 메인 프로세서(74) 및 코프로세서(76)를 포함한다. 메인 프로세서(74)는 통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마이크로컨트롤러이다. 코프로세서(76)의 예로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들 수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74)는 도 3에 도시된 방법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그러나, 마이크로컨트롤러(74)는 통상 모니터, 키보드, 스피커 및 기타 구성요소와 같은 전화기(6)의 모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코프로세서(76)는 라인(22)을 통해 수신 또는 송신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코프로세서(76)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를 포함하는데, 이 변환기는 라인(22)을 통해 아날로그 베이스밴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코프로세서(76)는 또한 리스트(44)를 구축하여 이것을 메모리(42)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코프로세서(76)는 버스(46)를 통해 메모리(42)에 접속된다. 메모리(42)에 액세스하는 버스(46)는 인터페이스(40)와 코프로세서(76) 사이에 공유된 자원이다. 메모리(42)는 공통 버스(46)를 통해 전화기(6)의 여러 전자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메모리(42)는 비전용(undedicated) 메모리이다.
저장 유닛(72)은 듀얼 포트 랜덤 액세스 메모리(DPRAM; dual port random access memory)이거나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74)와 코프로세서(76) 사이에 데이터 교환을 허용한다. 저장 유닛(72)의 제 1 포트는 마이크로컨트롤러(74)에 접속되고, 저장 유닛(72)의 제 2 부분은 코프로세서(76)에 접속된다.
저장 유닛(72)의 공간을 절감하기 위해, 특별한 데이터 구조(78)가 사용된다.
데이터 구조(78)는 도 3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 구조(78)는 디스크립터 테이블(80), 동작 정의 테이블(82) 및 데이터 테이블(84)을 포함한다.
테이블(82)은 각각의 유사한 동작에 대하여 하나의 동작 정의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네 개의 정의(86 내지 89)가 제시된다. 정의(86 내지 89)는 동작 A1과 A2, B1과 B2, C 및 D의 정의에 각각 대응한다.
각 동작의 정의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정의(86)의 구조만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정의(86)는 네 개의 열의 테이블 구조를 갖는다. 네 개의 열의 테이블 구조는 동작 A1 또는 A2를 형성하는 이벤트 시퀀스의 이벤트당 하나의 행을 포함한다.
제 1 열의 셀은 이벤트 필드이다. 각각의 이벤트 필드는 인터페이스(40)에 의해 실행되는 이벤트를 포함한다. 제 2 열의 셀은 블록들(54, 56, 58) 중 하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이벤트 유형 필드이다. 이 식별자는 블록들(54, 56, 58) 중 어느 블록이 제 1 열의 이벤트를 실행하는 지를 결정한다.
제 3 열의 셀은 상대적인 이벤트 시간 필드이다. 각각의 상대적인 이벤트 시간 필드는 제 1 열의 관련 이벤트가 실행되는 시간을 포함한다. 상대적인 이벤 트 시간은 프레임의 시작보다는 동작의 시작으로부터 계수된다. 이 상대적인 이벤트 시간은 예를 들면 동작의 시작 이후로 경과된 1/4 비트 기간의 정수로서 기록된다. 따라서 제 3 행의 상대적인 이벤트 시간 필드에서 "200"의 값은 정의(86)의 제 3 이벤트가 동작의 시작 후에 200 개의 1/4 비트 기간 동안 실행됨을 나타낸다.
마지막 열의 셀은, 수치값 또는 예를 들어 기호 "*"로 표시된 미지의 값을 포함하는 파라미터 필드이다.
바람직하게는, 테이블(82)은 사전에 기록된 테이블이다.
디스크립터 테이블(80)은 하나의 프레임 처리 동안 실행되는 동작마다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립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테이블(80)은 하나의 프레임 처리 동안 실행되는 동작의 최대 수와 동일한 수의 디스크립터를 포함한다. 이 최대 수는 예를 들어 GSM 프레임의 경우에는 16이다.
도 3에는 7개의 제 1 디스크립터(90 내지 96)가 제시되어 있다. 디스크립터(90 내지 95)는 동작(A1, A2, B1, B2, C, D)에 각각 대응한다. 디스크립터(96)는 프레임(10)의 처리에 불필요한 디스크립터이다.
각각의 디스크립터는 테이블(82)의 대응하는 동작 정의의 제 1 행을 가리키는 포인터 필드(98), 관련 정의 내의 행의 수를 나타내는 연속적인 이벤트 번호 필드(99), 대응 동작이 실행되는 프레임 내의 시간을 나타내는 절대 동작 시간 필드(100)와 같은 적어도 세 개의 필드를 포함한다. 절대 동작 시간은 프레임 처리의 시작으로부터 계수된다. 절대 동작 시간은, 예를 들면 프레임 처리 시작 이후 경과된 1/4 비트 기간의 정수로서 기록된다.
예를 들어, 디스크립터(90)의 포인터 필드는 정의(86)의 제 1 행의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연속적인 이벤트 번호 필드(99)는 4이고, 절대 시간 필드는 0이다.
도 3에서, 화살표는 각 디스크립터가 현재 가리키는 정의를 나타낸다.
테이블(84)은 동작의 정의에 존재하는 기호 "*" 대신에 사용되는 파라미터 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테이블(84)은 하나의 열을 갖는 테이블로서, 테이블(80)의 각 디스크립터에 대해 하나의 행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행이 테이블(80)의 제 1 디스크립터와 관련되고, 제 2 행은 테이블(80)의 제 2 디스크립터와 관련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구조(78)는 또한 인에이블 테이블(100)을 포함한다. 테이블(100)은 예를 들어 하나의 행만 포함하며, 디스크립터마다 하나의 셀(102)을 포함한다. 제 1 셀은 제 1 디스크립터와 관련되고, 제 2 셀은 제 2 디스크립터와 관련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각각의 셀은 불 값(boolean value) "참(True)" 또는 "거짓(False)"을 포함한다.
한 셀(102)의 값이 "참"으로 설정되면, 이것은 관련 디스크립터가 리스트(44)를 계산하는데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한 셀(102)의 값이 "거짓"으로 설정되면, 관련 디스크립터는 리스트(44)를 계산하는데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다음은 프레임(10)의 처리의 특별한 경우에, 프로세서(18)가 작동하는 방식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초기화 시에, 예를 들어 전화기의 제조 공정 동안에, 단계 110에서 테이 블(82)이 저장 유닛(2)에 기록된다. 그 다음에, 테이블(82)은 모든 프레임 처리 동안에 수정 없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프레임(10)의 처리를 시작하기 전에, 단계 112에서 계산기(70)는 새로운 리스트(44)를 계산한다.
단계 112의 개시 시에, 마이크로컨트롤러(74)는 부단계 114에서 테이블(80, 84, 100)에 포함된 값을 업데이트한다. 프레임을 처리하기 위해 업데이트되는 값은 프레임(10)의 구조에 따라서 종래의 방식으로 결정된다.
특히, 동작(116) 동안에, 마이크로컨트롤러(74)는 디스크립터(90 내지 95)와 관련된 셀(102)의 값을 "참"으로 설정한다. 디스크립터(96)와 마찬가지로 프레임(10)의 처리에 필요하지 않은 디스크립터와 관련된 셀(102)은 "거짓"으로 설정된다.
그 다음에, 필요하다면 마이크로컨트롤러(74)는 동작(118) 동안에 디스크립터(90 내지 95)의 절대 동작 시간 필드(100)에 저장된 값을 수정한다. 여기서 마이크로컨트롤러(74)는 디스크립터(90 내지 95)의 절대 동작 시간 필드(100)에 시간(t0, t8, t2, t10, t4, t6)(도 3 참조)에 대응하는 각각의 값을 저장한다.
필요하다면, 마이크로컨트롤러(74)는 또한 동작(120) 동안에 테이블(84)에 저장된 파라미터 값을 수정한다.
프레임(10)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모든 값이 테이블(80, 84, 100)에 기록되면, 마이크로컨트롤러(74)는 코프로세서(76)를 활성화시킨다.
코프로세서(76)는, 활성화되면, 부단계 124에서 데이터 구조(78)에 기록된 데이터로부터 리스트(44)를 계산한다.
이를 위해, 코프로세서(76)는 동작(126) 동안 저장된 디스크립터 리스트를 구축한다. 이 리스트는 "참" 값을 포함하는 셀(102)과 관련되는 테이블(80)의 디스크립터를 포함한다. 이 리스트는 실행되는 최초 동작으로부터 마지막 동작까지 절대 동작 시간 필드의 값에 따라서 저장된다.
그 다음에, 저장된 디스크립터 리스트에서, 코프로세서(76)는 각각의 디스크립터를 동작(128) 동안에, 포인터 필드(98)에 의해 지시된 대응 정의로 교체한다. 동작(128) 동안에, 코프로세서(76)는 정의(86)의 제 1 행에 나타나는 기호 "*"를 테이블(84)의 제 1 행으로부터 판독된 대응 파라미터 값으로 교체한다.
동작(128) 동안에, 코프로세서(76)는 또한 절대 동작 시간 필드(100) 및 상대적인 이벤트 시간 필드에 저장된 값을 추가함으로써 각각의 이벤트의 절대 이벤트 시간을 계산한다.
따라서, 동작(128)의 끝에서, 코프로세서(76)는 절대 이벤트 시간에 의해 저장된 이벤트 리스트를 구축한다.
동작(132) 동안에, 이 리스트는 메모리(42)에 새로운 리스트(44)로서 저장된다. 동작(132)을 실행하기 위해, 코프로세서(76)는 버스(46)를 사용한다. 단계 112가 종료하고, 단계 140)에서 인터페이스(40)가 프레임(10) 처리를 개시한다.
동작(142) 동안, 단계 140에서, 타이머(50)는 프레임(10)의 처리 개시 이후 경과된 1/4 비트 기간의 수를 계수한다. 이 수는 비교기(52)의 제 1 입력으로 전 송된다.
이와 함께, 동작(144) 동안에, 인터페이스(40)는 리스트(44)의 제 1 이벤트와 간련된 절대 이벤트 시간 필드에 포함된 값을 판독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동작(146) 동안에, 제어기(60)는 리스트(44)의 제 1 이벤트의 이벤트 유형 필드에 포함된 식별자를 판독하고, 블록(54, 56, 58) 중 대응 이벤트를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블록을 선택한다.
동작(148) 동안, 비교기(52)는 제 1 및 제 2 입력에 대한 값을 비교한다. 이들 값이 일치하면, 동작(150) 동안, 제어기(60)에 의해 선택된 블록이 대응 이벤트를 실행하여, 리스트(44) 내의 다음 이벤트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동작(144, 146)을 반환한다.
동작(150)에서, 선택 블록은 서브시스템(16)에 실행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전송한다.
전송된 커맨드의 수신 시에, 서브시스템(16)의 설정이 변화된다.
단계 112 및 140은 각 프레임의 처리 동안 실행된다.
데이터 구조(78)의 사용으로 인해, 동작의 정의는, 한 프레임의 처리에 여러 회 사용되는 경우에도 1회만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구조(78)의 사용으로 인해, 단일 파라미터 값에 의해 상이한 동작에 대해 하나의 정의만이 저장된다.
따라서, 데이터 구조(78)는 저장 유닛 공간을 절감한다.
데이터 구조(78)는 또한 마이크로컨트롤러(74)의 작업 부담을 감소시킨다. 사실, 구축할 새로운 리스트(44)가 이전의 리스트와 상이하면, 하나의 동작이 지연된다는 사실만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74)는 대응 디스크립터의 절대 시간 필드를 수정하기만 하면 된다. 반면에, 종래의 프로세서에서는,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이 동작에 대응하는 이벤트의 시퀀스들 중 각각의 시퀀스의 이벤트 시간 필드를 업데이트해야 한다.
이상 메모리(42)가 비전용 랜덤 액세스 메모리인 특별한 경우에서의 프로세서(18)를 설명하였다. 메모리(42)는 비전용 메모리이기 때문에, 이것은 리스트(44)를 저장하는데 활용되지 않은 메모리 공간이 계산기(70)에 의해 실행된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메모리(42) 내의 자유 메모리 공간이 다른 애플리케이션 처리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또한 메모리 공간을 절감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42)가 레지스터의 뱅크로 대체되는데, 이 경우 각각의 레지스터는 단지 하나의 이벤트 및 그 상대적인 이벤트 시간 및 이벤트 유형 필드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레지스터 뱅크가 판독 버스에 의해 인터페이스(40)에 접속되고, 독립적인 기록 버스에 의해 계산기(70)에 접속된다. 따라서 리스트(44)를 저장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레지스터는 계산기(70)에 의해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42) 및 저장 유닛(72)이 독립적인 별도의 메모리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42) 및 저장 유닛(72)이 공통 정보 저장 수산의 다른 부분일 수 있다.
서브시스템(16)이 버스(24) 및 라인(26, 28)의 사용을 통해 제어되는 특별한 경우의 전화기(6)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전화기(6)로 구현된 무선 서브시스템에 따라서, 이들 버스 또는 라인 중 하나는 사용되지 않고 억제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만약 전화기(6)로 구현된 무선 주파수 서브 시스템이 세 개의 와이어(three-wire) 버스를 통해서만 제어될 필요가 있다면, 전화기(6)의 아키텍처는 단순화된다. 또한, 라인(26, 28) 및 블록(56, 58)이 억제되고, 제어기(60) 및 테이블(82)의 이벤트 유형 필드가 더 이상 필요치 않게 된다.
리스트(44)를 계산하기 위해 코프로세서(76)를 사용하면, 이러한 코프로세서는 이 처리에 대해 최적화되기 때문에 처리 속도가 빨라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체 단계 112가 마이크로컨트롤러(74)에 의해 수행된다. 반면에, 처리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하기 위해,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체 단계 112가 특정 배선 회로로 구현된다.
GSM 프레임 처리의 특별한 경우의 프로세서(18) 및 전화기(6)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을 매우 정교한 시간 분해능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GPRS 또는 EGPRS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커맨드를 조정가능한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tunable radio-frequency subsystem)(16)에 전송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8)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은 하나의 신호 프레임 처리와 동시에 상기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을 조정하기 위해 무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그리고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8)는
    이벤트 리스트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리스트의 이벤트들 각각은 상기 프레임 처리의 시작으로부터 어느 시점에서 상기 이벤트가 실행되어야 하는 지를 나타내는 절대 이벤트 시간 필드(absolute event time field)와 관련됨- 와,
    대응 커맨드를 상기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이벤트 리스트의 각각의 이벤트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상기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40) -각각의 이벤트는 상기 프레임 처리 동안에 상기 관련된 절대 이벤트 시간 필드의 값에 대응하는 시간에 실행됨- 와,
    상기 메모리 내의 이벤트 리스트를 계산하여 저장하는 계산기(70)와,
    저장 유닛(72)을 포함하되,
    상기 저장 유닛(72)은
    각각의 디스크립터에 대해, 상기 프레임 처리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정의를 가리키는 포인터 필드와, 상기 프레임 처리의 시작으로부터 어느 시점에서 대응하는 동작이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지를 나타내는 절대 동작 시간 필드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 테이블과,
    각각의 동작에 대해 상기 동작의 정의를 포함하는 동작 정의 테이블 -각각의 정의는 상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이벤트의 시퀀스를 가지며, 상기 동작 정의 테이블의 각각의 이벤트는 상기 동작의 시작으로부터 어느 시점에서 대응하는 이벤트가 실행되어야 하는 지를 나타내는 상대적인 이벤트 시간 필드(relative event time field)와 관련됨- 을 포함하며,
    상기 계산기는 상기 디스크립터 테이블 및 동작 정의 테이블로부터의 상기 이벤트 리스트를 자동으로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유닛(72)은 파라미터 값을 갖는 데이터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정의 테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정의는 미지의(unknown) 파라미터 값과 관련된 이벤트를 가지며,
    미지의 파라미터 값과 관련된 이벤트를 포함하는 동작 정의를 가리키는 포인터 필드를 포함하는 각각의 디스크립터는 상기 데이터 테이블의 파라미터 값과 관련되고,
    상기 계산기는 상기 이벤트 리스트를 계산하기 위해, 정의 내의 미지의 파라미터 값을 상기 정의를 가리키는 포인터 필드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와 관련된 상기 파라미터 값으로 대체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44)는 공유 메모리 액세스 버스(46)를 통해 상기 계산기(70) 및 상기 인터페이스(40)에 접속된 비전용(non-dedicated)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계산기는 상기 공유 메모리 액세스 버스를 사용하여 상기 메모리에 상기 이벤트 리스트를 저장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공유 메모리 액세스 버스를 사용하여 상기 메모리 내의 상기 이벤트 리스트를 판독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40)는 직접 메모리 액세스 기술(DMA)을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 리스트를 판독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기(70)는
    다음 프레임의 처리를 위해 상기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저장 유닛(72) 내의 상기 디스크립터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도록 프로그램된 메인 프로세서(74)와,
    상기 메인 프로세서와 관련된 코프로세서(76) -상기 코프로세서는 상기 저장 유닛 내의 상기 저장된 테이블로부터의 상기 이벤트 리스트를 계산할 수 있음- 를 포함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커맨드를 조정가능한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tunable radio-frequency subsystem)(16)으로 전송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8)로서,
    상기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은 하나의 신호 프레임 처리와 동시에 상기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을 조정하기 위해 무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그리고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8)는
    이벤트 리스트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리스트의 이벤트 각각은 상기 프레임 처리의 시작으로부터 어느 시점에서 상기 이벤트가 실행되어야 하는 지를 나타내는 절대 이벤트 시간 필드(absolute event time field)와 관련됨- 와,
    대응 커맨드를 상기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이벤트 리스트의 각각의 이벤트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상기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40) -각각의 이벤트는 상기 프레임 처리 동안에 상기 관련된 절대 이벤트 시간 필드의 값에 대응하는 시간에 실행됨- 와,
    상기 메모리 내의 이벤트 리스트를 계산하여 저장하는 계산기(70)와,
    저장 유닛(72)을 포함하되,
    상기 저장 유닛(72)은
    각각의 디스크립터에 대해, 상기 프레임 처리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정의를 가리키는 포인터 필드와, 상기 프레임 처리의 시작으로부터 어느 시점에서 대응하는 동작이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지를 나타내는 절대 동작 시간 필드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 테이블과,
    각각의 동작에 대해 상기 동작의 정의를 포함하는 동작 정의 테이블 -각각의 정의는 상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이벤트의 시퀀스를 가지며, 상기 동작 정의 테이블의 각각의 이벤트는 상기 동작의 시작으로부터 어느 시점에서 상기 대응하는 이벤트가 실행되어야 하는 지를 나타내는 상대적인 이벤트 시간 필드와 관련됨- 을 포함하며,
    상기 계산기는 상기 디스크립터 테이블 및 동작 정의 테이블로부터의 상기 이벤트 리스트를 자동으로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7. 커맨드를 조정가능한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은 하나의 신호 프레임 처리와 동시에 상기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을 조정하기 위해 무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그리고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법은
    이벤트 리스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의 이벤트 각각은 상기 프레임 처리의 시작으로부터 어느 시점에서 상기 이벤트가 실행되어야 하는 지를 나타내는 절대 이벤트 시간 필드(absolute event time field)와 관련됨- 와,
    대응 커맨드를 상기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이벤트 리스트의 각각의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 -각각의 이벤트는 상기 프레임 처리 동안에 상기 관련된 절대 이벤트 시간 필드의 값에 대응하는 시간에 실행됨- 와,
    상기 메모리 내의 이벤트 리스트를 계산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디스크립터 테이블 및 동작 정의 테이블을 저장 유닛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크립터 테이블 및 동작 정의 테이블로부터의 상기 이벤트 리스트를 자동으로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크립터 테이블은 각각의 디스크립터에 대해, 상기 프레임 처리 동안 상기 무선 주파수 서브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정의를 가리키는 포인터 필드와, 상기 프레임 처리의 시작으로부터 어느 시점에서 대응하는 동작이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지를 나타내는 절대 동작 시간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정의 테이블은 각각의 동작에 대해 상기 동작의 정의를 포함하며, 각각의 정의는 상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이벤트의 시퀀스를 가지며, 상기 동작 정의 테이블의 각각의 이벤트는 상기 동작의 시작으로부터 어느 시점에서 대응하는 이벤트가 실행되어야 하는 지를 나타내는 상대적인 이벤트 시간 필드와 관련되는
    커맨드 전송 방법.
  8. 제 6 항에 따른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에 사용되는 저장 유닛(72)에 있어서,
    각각의 디스크립터에 대해, 상기 프레임 처리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정의를 가리키는 포인터 필드와, 상기 프레임 처리의 시작으로부터 어느 시점에서 대응하는 동작이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지를 나타내는 절대 동작 시간 필드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 테이블과,
    각각의 동작에 대해 상기 동작의 정의를 포함하는 동작 정의 테이블 -각각의 정의는 상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이벤트의 시퀀스를 가지며, 상기 동작 정의 테이블의 각각의 이벤트는 상기 동작의 시작으로부터 어느 시점에서 대응하는 이벤트가 실행되는 지를 나타내는 상대적인 이벤트 시간 필드와 관련됨- 을 포함하는
    저장 유닛.
KR1020067017970A 2004-03-04 2005-02-21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베이스밴드 프로세서, 커맨드 전송 방법 및 저장 유닛 KR101125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300116 2004-03-04
EP04300116.3 2004-03-04
PCT/IB2005/000513 WO2005093969A1 (en) 2004-03-04 2005-02-21 A baseband processor and a method of transmitting commands to a radio-frequency subsystem and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baseband proces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871A KR20070018871A (ko) 2007-02-14
KR101125540B1 true KR101125540B1 (ko) 2012-03-23

Family

ID=34960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7970A KR101125540B1 (ko) 2004-03-04 2005-02-21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베이스밴드 프로세서, 커맨드 전송 방법 및 저장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76247B2 (ko)
EP (1) EP1726106B1 (ko)
JP (1) JP4701345B2 (ko)
KR (1) KR101125540B1 (ko)
CN (1) CN1930792B (ko)
AT (1) ATE523974T1 (ko)
WO (1) WO20050939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75508B (zh) 2006-01-25 2013-06-19 Nxp股份有限公司 无线电通信终端和减小该终端内的扰动的方法
CN101132625A (zh) * 2006-08-20 2008-02-27 法国电信公司 基于sdr的多模式无线电时间调度方法
US20090154446A1 (en) * 2007-12-14 2009-06-18 Infineon Technologies Ag Data frame, telegram, method for controlling an rf-trans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068021B2 (en) * 2017-12-26 2021-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iming controller based on heap sorting, modem chip including the same, and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the timing controll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05513A1 (en) * 2000-07-07 2002-01-17 Spirea Ab Interface device for interfacing between a baseband processor and a radio transceiver uni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3815A (ja) * 1994-11-01 1996-11-05 Motorola Inc 集積回路上で複数の通信タスクを行なうコプロセッサ
US5652903A (en) * 1994-11-01 1997-07-29 Motorola, Inc. DSP co-processor for use on an integrated circuit that performs multiple communication tasks
US6029205A (en) * 1994-12-22 2000-02-22 Unisys Corporation System architecture for improved message passing and process synchronization between concurrently executing processes
US6748451B2 (en) * 1998-05-26 2004-06-08 Dow Global Technologies Inc.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using real-time scheduling logic and time deterministic architecture
US7570973B1 (en) * 1998-09-25 2009-08-04 Palm, Inc. Programmable mobile radiotelephone terminal
FI109957B (fi) * 2000-03-06 2002-10-31 Nokia Corp Menetelmä palveluinformaation siirtämiseksi ja radiojärjestelmä
US7242905B2 (en) * 2000-11-27 2007-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information sharing between cellular and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0547843B1 (ko) * 2001-07-13 200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US7149213B1 (en) * 2001-12-28 2006-12-12 Advanced Micro Devices, Inc. Wireless computer system with queue and scheduler
US20030181211A1 (en) * 2002-03-19 2003-09-25 Javad Razavilar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channel selection in wireless modems
JP2004040256A (ja) * 2002-06-28 2004-02-05 Toshiba Corp 無線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05513A1 (en) * 2000-07-07 2002-01-17 Spirea Ab Interface device for interfacing between a baseband processor and a radio transceiver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30792B (zh) 2010-10-06
JP4701345B2 (ja) 2011-06-15
US20070165560A1 (en) 2007-07-19
CN1930792A (zh) 2007-03-14
EP1726106A1 (en) 2006-11-29
US7676247B2 (en) 2010-03-09
EP1726106B1 (en) 2011-09-07
KR20070018871A (ko) 2007-02-14
WO2005093969A1 (en) 2005-10-06
JP2007526708A (ja) 2007-09-13
ATE523974T1 (de)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540B1 (ko)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베이스밴드 프로세서, 커맨드 전송 방법 및 저장 유닛
US20080307132A1 (en) Expanded Memory for Communications Controller
US7653675B2 (en) Convolution operation in a multi-mode wireless processing system
US20170199839A1 (en) Bus ownership hand-off techniques
EP2972925B1 (en) Two-wire serial interface and protocol
US78022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broadband context switching
US5809091A (en) Timing signal generator for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US74577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obtaining processor diagnostic data
US20070033349A1 (en) Multi-mode wireless processor interface
JP3317990B2 (ja) デジタル信号発生装置
KR100266923B1 (ko) Tdma 무선 디지탈 통신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사상발생
US20070030801A1 (en) Dynamically controlling rate connections to sample buffers in a mult-mode wireless processing system
JP3497470B2 (ja) タイミング装置とタイミング方法
US20080005366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handling requests over an interface
JP4612205B2 (ja) 通信システム端末用制御ユニット、この制御ユニットを含むコードレス遠距離通信システムの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210554671U (zh) 一种定位电路、数字钥匙系统和车辆
JP2001144753A (ja) パケット交換装置及びパケット交換装置のクロック信号制御装置並びにクロック信号制御方法
WO2008023356A2 (en) Sdr based method of multi-mode radio timing scheduling
JP4005675B2 (ja) 電気通信装置
CN104918321A (zh) 一种卫星通信的射频收发处理装置及方法
US6744837B1 (en) Clock switching circuit
US20050083867A1 (en) Control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ceiver unit
JPH04326223A (ja) データ通信装置
KR0174509B1 (ko) 메모리 엑세스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JP3748830B2 (ja) データ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