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030B1 - 상하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 - Google Patents

상하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030B1
KR101125030B1 KR1020090084442A KR20090084442A KR101125030B1 KR 101125030 B1 KR101125030 B1 KR 101125030B1 KR 1020090084442 A KR1020090084442 A KR 1020090084442A KR 20090084442 A KR20090084442 A KR 20090084442A KR 101125030 B1 KR101125030 B1 KR 101125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ground
longitudinal direction
guide
contac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8245A (ko
Inventor
이홍대
Original Assignee
이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훈 filed Critical 이창훈
Priority to KR1020090084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030B1/ko
Publication of KR20110018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전자기계 부품으로 상하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로 상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상부 접지부(11)를 형성하는 상부 몸체(10)와, 하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하부 접지부(21)를 형성하는 하부 몸체(20)와, 상기 상하부 몸체의 측방에 상하로 대향되는 경사 연결부(31)(32)를 연결 형성하되, 상기 상하 경사 연결부(31)(32)는 상하 접지부(11)(21)를 중심으로 외측에 나선형으로 절곡한 코일 스프링부(30)를 일체 형성하여 상하 접지부에 압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하로 탄발 수축 작동함과 함께 상기 상하부 몸체(10)(20) 내측 상하의 상하 안내부(13)(23)에 의해 상하 안내 작동하도록 제공하므로서,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를 타발, 절곡하는 방식에 의해 간단하게 제조함과, 상하 접지부로 압력이 인가됨에 따라 효과적으로 탄발 수축 작동하므로 제조 원가 절감, 제조 생산성 향상 및 작동 신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전기, 접점, 코일 스프링, 접지단자, 접지부, 슬리브, 탄발

Description

상하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Spring type grounding terminal}
본 발명은 전기, 전자기계 부품으로 상하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를 타발, 절곡하는 방식에 의해 간단하게 제조하되, 상하 접지부로 압력이 인가됨에 따라 효과적으로 수축 탄발작동케 제공되므로 제조 원가 절감, 제조 생산성 향상 및 작동 신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상하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전자기계 부품에서 상하로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를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웨이퍼에 형성된 소자와 반도체칩패키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소켓에 널리 사용되는 프로프핀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상하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는 코일 스 프링 상하로 접지부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하로 압력이 인가될 때 수축 탄발 작동하도록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상하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는 주로 탄성 재질의 스프링 봉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제조하였다.
즉, 탄성 재질의 스프링 봉을 나선형으로 감아 코일 스프링을 형성하되,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하로 접지부를 형성하는 구조로 제조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스프링 봉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경우, 스프링 봉의 단가가 높고 스프링 봉을 절단, 밴딩하여 압축스프링으로 제조함이 매우 불편하고 이로 인해 제조 생산성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 상하부에 접지부를 형성함이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접지부의 형태가 제한적이고, 접지부를 견고히 연결 유지함이 곤란하여 사용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 상하 접지부의 상하 압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하로 일정하게 수축 작동함이 곤란하여 작동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를 타발, 절곡하는 방식에 의해 스프링부와 상하 접지부를 일체로 간단하게 제조하므로 제조 원가 절감, 제조 생산성 향상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하 접지부에 상하로 압력이 인가됨에 따라 수축 탄발 작동하되, 상하로 일정하게 수축 탄발 작동하도록 제공하므로 작동 신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로 상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상부 접지부를 형성하는 상부 몸체와, 하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하부 접지부를 형성하는 하부 몸체와, 상기 상하부 몸체의 측방에 상하로 대향되는 경사 연결부를 연결 형성하되, 상기 상하 경사 연결부는 상하 접지부를 중심으로 외측에 나선형으로 절곡한 코일 스프링부를 일체 형성하여 상하 접지부를 상하로 탄발 수축 작동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하부 몸체의 내측 상하에는 중앙이 상하로 절결된 상태로 측방으로 접어 상하 안내부를 형성하는 상하 안내 몸체를 형성하되, 상기 상부 안내부는 끝단이 상하로 벌여진 삽입부를 형성하여 하부 안내부가 삽입 안내 작동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로 상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상부 접지부를 형성하는 상부 몸체와 하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하부 접지부를 형성하는 하부 몸체와, 상기 상하부 몸체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말아 슬리브를 형성하는 중앙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와 슬리브 측방에 상하로 대향되는 상부 경사 연결부와 상기 하 부 몸체와 슬리브 측방에 상하로 대향되는 하부 경사 연결부를 복수로 연결 형성하되, 상기 상하 경사 연결부는 상하 접지부를 중심으로 외측에 각각 나선형으로 절곡한 상하 코일 스프링부를 일체 형성하여 상하 접지부를 상하로 탄발 수축 작동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슬리브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 단차부를 형성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로 상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상부 접지부를 형성하는 상부 몸체와 하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하부 접지부를 형성하는 하부 몸체와, 상기 상하부 몸체 사이에 좌우로 상하 대향되는 경사 연결부와 상기 경사 연결부의 끝단에 상하 장방형의 안내플레이트를 좌우 대향되게 형성하되, 상기 좌우 경사 연결부는 안내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외측에 각각 나선형으로 절곡한 좌우 코일 스프링부를 일체 형성하여 상하 접지부를 상하로 탄발 수축 작동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로 상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상부 접지부를 형성하는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말어 안내 슬리브를 형성하는 중앙 몸체와, 상기 중앙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접어 하부 접지부를 형성하는 하부 몸체 및, 중앙 몸체와 상부 몸체 사이로 상하 대향되는 경사 연결부를 연결 형성하되, 상기 경사 연결부를 나선형으로 절곡한 코일 스프링부를 안내 슬리브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일체 형성하여 상하 접지부를 상하로 탄발 수축 작동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안내 슬리브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상하로 안내되는 안내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접지부의 외측에 상기 안내 요홈에 안내되는 안내 돌기부를 돌출 형성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기, 전자기계 부품으로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를 타발, 절곡하는 방식에 의해 스프링부와 상하 접지부를 일체로 간단하게 제조하므로 제조 원가 절감, 제조 생산성 향상을 우수하게 제공함은 물론 상기 상하 접지부에 상하로 압력이 인가됨에 따라 수축 탄발 작동하되, 상하로 일정하게 수축 탄발 작동하도록 제공하므로 작동 신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 상하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는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를 절단, 절곡하여 코일 스프링부 상하로 접지부를 일체 형성하도록 제조함에 그 특징이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의 실시 예에서는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로 상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상부 접지부(11)를 형성하는 상부 몸체(10)와, 하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하부 접지부(21)를 형성하는 하부 몸체(20)와, 상기 상하부 몸체의 측방에 상하 로 대향되는 경사 연결부(31)(32)를 연결 형성하되, 상기 상하 경사 연결부(31)(32)는 상하 접지부(11)(21)를 중심으로 외측에 나선형으로 절곡한 코일 스프링부(30)를 일체 형성하여 상하 접지부를 상하로 탄발 수축 작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하부 몸체(10)(20)의 내측 상하에는 중앙이 상하로 절결된 상태로 측방으로 접어 상하 안내부(13)(23)를 형성하는 상하 안내 몸체(12)(22)를 형성하되, 상기 상부 안내부(13)는 끝단이 상하로 벌여진 삽입부(14)를 형성하여 하부 안내부(23)가 삽입 안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를 타발 성형하여 절곡하는 방식에 의해 간단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즉,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로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 및 상하부 몸체의 측방에 상하 경사 연결부(31)(32)를 일체로 연결 형성하도록 타발 성형한 후, 상기 상부 몸체를 길이 방향으로 접어 상부 접지부(11), 하부 몸체를 길이 방향으로 접어 하부 접지부(21), 상기 상하 경사 연결부(31)(32)를 나선형으로 절곡하여 코일 스프링부(30)를 일체 형성하도록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상하 접지부(11)(21)에 외부 연결단자(미도시)를 삽입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 사용하는 본 발명은 상기 상하 접지부(11)(21)의 상하로 압 력이 인가됨에 따라 탄발 수축하므로 완충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상하 접지부(11)(21) 상하 탄발 수축작동시에 상하 접지부(11)(21)의 상하 내측에 위치하는 상하 안내부(13)(23)에 의해 안내 작동을 행하게 되는데, 상기 하부 안내부(23)가 상부 안내부(13)의 삽입부(14)에 안내되어 안내작동하므로 상하 접지부(11)(21) 상하로 일정하게 완충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 예와 비교하여 볼때,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로 상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상부 접지부(11')를 형성하는 상부 몸체(10')와 하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하부 접지부(21')를 형성하는 하부 몸체(20')와, 상기 상하부 몸체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말아 슬리브(41)를 형성하는 중앙 몸체(40) 및, 상기 상부 몸체와 슬리브 측방에 상하로 대향되는 상부 경사 연결부(31')(32')와 상기 하부 몸체와 슬리브 측방에 상하로 대향되는 하부 경사 연결부(31")(32")를 복수로 연결 형성하되,
상기 상하 경사 연결부(31')(32'),(31")(32")는 상하 접지부(11')(21')를 중심으로 외측에 각각 나선형으로 절곡한 상하 코일 스프링부(30')(30")를 일체 형성하여 상하 접지부를 상하로 탄발 수축 작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중앙 몸체(40)는 롤 금형에 의해 말아 슬리브(41)를 형성하되, 상기 슬리브(4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 단차부(42)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로 상,하부 몸체(10')(20')와 중앙 몸체(40) 및 상하부 몸체와 중앙 몸체 측방에 상하 경사 연결 부(31')(32'),(31")(32")를 일체로 연결 형성하도록 타발 성형한 후,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길이 방향으로 접어 상부 접지부(11')와 하부 접지부(21'), 중앙 몸체를 길이 방향으로 말아 슬리브(41), 상기 상하 경사 연결부(31')(32'),(31")(32")를 나선형으로 절곡하여 상하 코일 스프링부(30')(30")를 일체 형성하도록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상하 접지부(11')(21')에 외부 연결단자(미도시)를 삽입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 사용하는 본 발명은 상기 상하 접지부(11')(21')의 상하로 압력이 인가됨에 따라 중앙 슬리브(41)의 상하에 위치하는 상하 코일 스프링부(30')(30")가 탄발 수축하므로 완충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하 복수의 코일 스프링부(30')(30")에 의해 탄발 수축에 의한 완충 작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 예와 비교하여 볼때,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로 상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상부 접지부(101)를 형성하는 상부 몸체(100)와 하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하부 접지부(201)를 형성하는 하부 몸체(200)와, 상기 상하부 몸체 사이에 좌우로 상하 대향되는 경사 연결부(131)(132)와 상기 경사 연결부(131)(132)의 끝단에 상하 장방형의 안내플레이트(135)를 좌우 대향되게 형성하되, 상기 좌우 경사 연결부(131)(132)는 안내플레이트(135)를 중심으로 외측에 각각 나선형으로 절곡한 좌우 코일 스프링 부(130)(130)를 일체 형성하여 상하 접지부를 상하로 탄발 수축 작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로 상부 몸체(100)와 하부 몸체(200) 및 상하부 몸체의 좌우 측방에 상하 경사 연결부(131)(132)를 대향되게 일체로 연결 형성하도록 타발 성형한 후, 상기 상부 몸체를 길이 방향으로 접어 상부 접지부(101), 하부 몸체를 길이 방향으로 접어 하부 접지부(201), 상기 상하 경사 연결부(131)(132)를 안내플레이트(135)를 중심으로 외측에 나선형으로 절곡하여 코일 스프링부(130)를 일체 형성하도록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상하 접지부(101)(201)에 외부 연결단자(미도시)를 삽입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 사용하는 본 발명은 상기 상하 접지부(11)(21)의 상하로 압력이 인가됨에 따라 좌우 코일 스프링부(130)가 복수로 탄발 수축하므로 효과적으로 완충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좌우 코일 스프링부(130)는 각각 안내플레이트(135)를 따라 상하 안내되면서 일정하게 탄발 수축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 예와 비교하여 볼때,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로 상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상부 접지부(301)를 형성하는 상부 몸체(300)와, 상기 상부 몸체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 로 원통형으로 말아 안내 슬리브(401)를 형성하는 중앙 몸체(400)와, 상기 중앙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접어 하부 접지부(501)를 형성하는 하부 몸체(500) 및, 중앙 몸체와 상부 몸체 사이로 상하 대향되는 경사 연결부(601)(602)를 연결 형성하되,
상기 경사 연결부(601)(602)를 나선형으로 절곡한 코일 스프링부(600)를 안내 슬리브(401)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일체 형성하여 상하 접지부를 상하로 탄발 수축 작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안내 슬리브(401)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상하로 안내되는 안내 요홈(402)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접지부(301)의 외측에 상기 안내 요홈에 안내되는 안내 돌기부(302)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내 요홈과 안내 돌기부는 판 소재를 압착 방식에 의해 일체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로 상,하부 몸체(300)(500), 중앙 몸체(400), 상부 몸체와 중앙 몸체의 측방에 상하 경사 연결(601)(602)를 대향되게 일체로 연결 형성하도록 타발 성형한 후, 상기 상부 몸체를 길이 방향으로 접어 상부 접지부(301), 하부 몸체를 길이 방향으로 접어 하부 접지부(501), 중앙 몸체를 길이 방향으로 말아 원통형의 안내 슬리브(401) 및, 상기 상하 경사 연결부(601)(602)를 나선형으로 절곡한 코일 스프링부(600)를 일체 형성하도록 제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코일 스프링부(600)는 안내 슬리브(401)의 내부에 삽입되게 위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상하 접지부(301)(501)에 외부 연결단자(미도시)를 삽입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 사용하는 본 발명은 상기 상하 접지부(301)(501)의 상하로 압력이 인가됨에 따라 좌우 코일 스프링부(600)가 탄발 수축하므로 완충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좌우 코일 스프링부(600)는 안내 슬리브(401)에 안내됨과, 상기 상부 접지부(301)에 형성된 안내 돌기부(302)가 안내 슬리브의 내부 안내 요홈(402)을 따라 안내되어 일정하게 탄발 수축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전개도.
도 2는 도 1에 의해 제조된 접지단자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전개도.
*도 5는 도 4에 의해 제조된 접지단자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전개도.
도 8은 도 7에 의해 제조된 접지단자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전개도.
도 11은 도 10에 의한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2는 도 10에 의해 제조된 접지단자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접지단자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100,300: 상부 몸체
11,11',101,301: 상부 접지부
20,20',200,500: 하부 몸체
21,21',201,501: 하부 접지부
40,400: 중앙 몸체
41,401: 슬리브
42: 보강 단차부
31,32,31',32',31",32",131,132,601,602: 경사 연결부
30,30',130, 600: 코일 스프링
135: 안내플레이트

Claims (7)

  1. 상하로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에 있어서,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로 상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상부 접지부(11)를 형성하는 상부 몸체(10)와, 하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하부 접지부(21)를 형성하는 하부 몸체(20)와, 상기 상하부 몸체의 측방에 상하로 대향되는 경사 연결부(31)(32)를 연결 형성하되, 상기 상하 경사 연결부(31)(32)는 상하 접지부(11)(21)를 중심으로 외측에 나선형으로 절곡한 코일 스프링부(30)를 일체 형성하여 상하 접지부를 상하로 탄발 수축 작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몸체(10)(20)의 내측 상하에는 중앙이 상하로 절결된 상태로 측방으로 접어 상하 안내부(13)(23)를 형성하는 상하 안내 몸체(12)(22)를 형성하되, 상기 상부 안내부(13)는 끝단이 상하로 벌여진 삽입부(14)를 형성하여 하부 안내부(23)가 삽입 안내 작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
  3. 상하로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에 있어서,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로 상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상부 접지부(11')를 형성하는 상부 몸체(10')와 하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하부 접지부(21')를 형성하는 하부 몸체(20')와, 상기 상하부 몸체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말아 슬리브(41)를 형성하는 중앙 몸체(40) 및, 상기 상부 몸체와 슬리브 측방에 상하로 대향되는 상부 경사 연결부(31')(32')와 상기 하부 몸체와 슬리브 측방에 상하로 대향되는 하부 경사 연결부(31")(32")를 복수로 연결 형성하되,
    상기 상하 경사 연결부(31')(32'),(31")(32")는 상하 접지부(11')(21')를 중심으로 외측에 각각 나선형으로 절곡한 상하 코일 스프링부(30')(30")를 일체 형성하여 상하 접지부를 상하로 탄발 수축 작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4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 단차부(42)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
  5. 상하로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에 있어서,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로 상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상부 접지부(101)를 형성 하는 상부 몸체(100)와 하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하부 접지부(201)를 형성하는 하부 몸체(200)와, 상기 상하부 몸체 사이에 좌우로 상하 대향되는 경사 연결부(131)(132)와 상기 경사 연결부(131)(132)의 끝단에 상하 장방형의 안내플레이트(135)를 좌우 대향되게 형성하되, 상기 좌우 경사 연결부(131)(132)는 안내플레이트(135)를 중심으로 외측에 각각 나선형으로 절곡한 좌우 코일 스프링부(130)(130)를 일체 형성하여 상하 접지부를 상하로 탄발 수축 작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
  6. 상하로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에 있어서,
    탄성력을 갖는 판 소재로 상부 길이 방향으로 접어 상부 접지부(301)를 형성하는 상부 몸체(300)와, 상기 상부 몸체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말어 안내 슬리브(401)를 형성하는 중앙 몸체(400)와, 상기 중앙 몸체(400)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접어 하부 접지부(501)를 형성하는 하부 몸체(500) 및, 중앙 몸체와 상부 몸체 사이로 상하 대향되는 경사 연결부(601)(602)를 연결 형성하되,
    상기 경사 연결부(601)(602)를 나선형으로 절곡한 코일 스프링부(600)를 안내 슬리브(401)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일체 형성하여 상하 접지부를 상하로 탄발 수축 작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슬리브(401)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상하로 안내되는 안내 요홈(402)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접지부(301)의 외측에 상기 안내 요홈에 안내되는 안내 돌기부(302)를 돌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
KR1020090084442A 2009-09-08 2009-09-08 상하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 KR101125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442A KR101125030B1 (ko) 2009-09-08 2009-09-08 상하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442A KR101125030B1 (ko) 2009-09-08 2009-09-08 상하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672 Division 2009-08-17 2009-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245A KR20110018245A (ko) 2011-02-23
KR101125030B1 true KR101125030B1 (ko) 2012-04-12

Family

ID=43776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442A KR101125030B1 (ko) 2009-09-08 2009-09-08 상하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499B1 (ko) * 2012-02-14 2013-04-03 주식회사 휴먼라이트 상하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 프로브 핀 및 그 제조 방법
JP2013205191A (ja) * 2012-03-28 2013-10-07 Nidai Seiko:Kk スプリングプローブおよびスプリングプローブの製造方法
KR101388878B1 (ko) * 2012-08-23 2014-04-28 율고핀 주식회사 논 배럴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 일체형 프로브 핀
JP6107234B2 (ja) * 2013-03-01 2017-04-05 山一電機株式会社 検査用プローブ、および、それを備えるicソケット
KR102431300B1 (ko) 2020-10-16 2022-08-11 (주)아이윈솔루션 대용량 전류 전송이 가능한 연결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295B1 (ko) 2006-11-01 2007-04-18 육혜연 전주용 배전선 접지판
KR100858354B1 (ko) 2008-03-25 2008-09-11 선광엘티아이 주식회사 나선형 도전선을 구비한 전력설비 및 정보통신용 접지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295B1 (ko) 2006-11-01 2007-04-18 육혜연 전주용 배전선 접지판
KR100858354B1 (ko) 2008-03-25 2008-09-11 선광엘티아이 주식회사 나선형 도전선을 구비한 전력설비 및 정보통신용 접지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245A (ko) 201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7499B1 (ko) 상하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 프로브 핀 및 그 제조 방법
KR101125030B1 (ko) 상하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
JP5138385B2 (ja) ばね接触プレートを含んだ雌型電気端子
CN101911273B (zh) 整体形成的探针及其制造方法
JP6450943B2 (ja)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137699A (ko) 압착 금형 및 단자 구비 전선의 제조 방법
KR101388878B1 (ko) 논 배럴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 일체형 프로브 핀
WO2011035325A3 (en) Longitudinal canted coil spring contacts to facilitate assembly
US20150229057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one-piece terminals
US4491382A (en) Resilient contact member of jack for use in conjunction with pin plug
TWI427863B (zh) 具備上下電觸點結構之彈簧式接地端子
CN103534880A (zh) 端子配件
US4266845A (en) Resilient contact member of jack for use in conjunction with a pin-plug
CN110392960B (zh) 带端子的电线的制造方法及带端子的电线
JP7442680B2 (ja) 高性能外筒形スプリングピン
KR100756500B1 (ko) 휴대폰 접촉 단자.
KR101446536B1 (ko) 암단자
US9966690B1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JP6916993B2 (ja) コネクタ
KR101503918B1 (ko)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
US20130035008A1 (en) Terminal fitting
KR20100003214A (ko) 콘택트 캐리어
CN204424501U (zh) 一种高效安全可靠的转换器用电气连接结构以及转换器
KR101332764B1 (ko) 투 피스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 프로브 핀
KR100897377B1 (ko) 리셉터클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