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918B1 -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918B1
KR101503918B1 KR1020080075256A KR20080075256A KR101503918B1 KR 101503918 B1 KR101503918 B1 KR 101503918B1 KR 1020080075256 A KR1020080075256 A KR 1020080075256A KR 20080075256 A KR20080075256 A KR 20080075256A KR 101503918 B1 KR101503918 B1 KR 101503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terminal
holder
spring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644A (ko
Inventor
윤성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5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918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8Accessory tools, e.g. knives;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26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cams, eccentrics, or cranks
    • B30B1/266Drive systems for the cam, eccentric or crank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하형리테이너(14)가 구비되는 하형홀더(10)가 구비된다. 상기 하형홀더(10)의 상방에는 상기 하형홀더(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는 상형리테이너(64)가 구비되는 상형홀더(6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형리테이너(14)에는 성형캠(20)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성형캠(20)에는 터미널(32)의 절곡부(36)의 형상과 대응되는 제 1성형부(22)가 구비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64)에는 구동펀치(70)가 설치되어 상기 상형홀더(60)와 함께 승강된다. 한편, 상기 하형리테이너(14)에는 구동펀치(70)에 의해 눌러지면서 상기 성형캠(2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동되는 경사구동캠(50)이 설치된다. 상기 경사구동캠(50)에는 상기 성형캠(20)의 제 1성형부(22)와 형합되는 제 2성형부(5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의 스프링부가 정확한 곡률을 가지도록 성형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터미널, 스프링부, 절곡

Description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Spring portion forming apparatus for terminal}
본 발명은 터미널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력을 높여주는 스프링부를 성형하는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미널은 일반적으로 커넥터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전선의 선단 등에 구비되고 각각의 커넥터의 내부에 설치되는 암수 터미널이 서로 결합됨에 의해 커넥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은 전선과의 연결을 위한 바렐부가 후단에 구비되고 선단에는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터미널의 결합부는 암수터미널의 결합을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된다. 최근에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터미널을 필요로 하게 되면서 터미널의 결합부에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부를 성형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은 소정 폭을 가지는 띠모양의 소재를 소정의 형태로 재단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절곡하여 필요한 모양으로 만든다. 이와 같은 절곡과정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레시브 금형이라 불리우는 성형장치에서 수행되는데, 금형에서는 다이에 대해 펀치가 상하운동하면서 펀치가 소재에 힘을 가해 절곡을 수행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터미널에서 스프링부가 성형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1에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터미널의 결합부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1)에는 상대 터미널(1)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3)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3)의 일측에 스프링부(5)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부(5)는 상대 터미널(1)과 결합될 때, 원하는 정도의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터미널(1) 사이의 결합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부(5)는 일반적으로 결합부(3)의 일측에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부(5)가 상기 결합부(3)에 대해 설계된 대로의 탄성변형과 복원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결합부(3)와 스프링부(5)가 연결되는 부분인 절곡부(7)가 정확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에서는 상기 스프링부(5)를 성형함에 있어,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만들어진 터미널(1)의 상기 결합부(3)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스프링부(5)의 선단 측에 힘을 가해 대략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프링부(5)를 성형하게 되면, 상기 절곡부(7)가 설계된 대로 형성되지 않아 스프링부(5)가 설계대로 탄성변형되고 복원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의 스프링부를 성형함에 있어서 결합부와 스프링부가 연결되는 부분인 절곡부를 정확하게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는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터미널의 절곡부의 외측의 형상과 대응되는 제 1성형부가 구비되는 성형캠과; 상기 상형리테이너에 고정되고 상기 상형홀더와 일체로 동작되면서 상기 성형캠이 터미널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펀치와; 상기 상형리테이너에 설치되어 상기 상형홀더와 함께 승강되는 구동펀치와; 상기 구동펀치에 의해 눌러지면서 상기 성형캠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동되고, 상기 성형캠의 제 1성형부와 형합되어 상기 절곡부의 내측을 성형하는 제 2성형부가 구비되는 경사구동캠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형리테이너에는 승강공간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공간에는 상기 경사구동캠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블럭이 승강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승강공간에는 상기 경사구동캠이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일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가이드블럭이 고정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구동캠에는 상기 경사면과 접하도록 연동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구동캠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면 및 연동경사면은 소정의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구동캠에는 상기 승강블럭을 관통하여 캠바아가 결합되는데, 상기 캠바아에는 리턴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경사구동캠이 상기 터미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형홀더에는 상기 승강블럭을 지지하는 서포트핀이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핀에는 서포트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승강블럭이 상기 구동펀치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성형부에는, 상기 터미널의 스프링부와 접촉되는 스프링부접촉면과; 상기 스프링부접촉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의 절곡부의 내측과 접촉하는 절곡부접촉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의 스프링부를 절곡하여 절곡부를 형성하기 위해 성형캠과 경사구동캠을 구비하여 성형캠과 경사구동캠이 각각 절곡부의 외측과 내측을 성형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터미널의 스프링부가 정확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성형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블럭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성형캠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형홀더(10) 상에는 백킹플레이트(12)와 하형리테이너(14)가 장착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12)와 하형리테이너(14)는 상기 하형홀더(10) 상에 함께 체결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12)는 실질적으로 상기 하형리테이너(14)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상기 하형리테이너(14)의 일측에는 승강공간(14')이 상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승강공간(14')은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블럭(40)이 설치되고, 승강블럭(44)이 승강되게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형리테이너(14)의 내부에는 캠홀더(16)가 설치된다. 상기 캠홀더(16)에는 성형캠(20)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성형캠(20)은 상기 캠홀더(16)에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펀치(66)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성형캠(20)의 선단에는 제 1성형부(22)가 구비된다. 상기 제 1성형부(22)는 터미널(32)의 절곡부(36)의 외측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곡부(36)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성형캠(20)의 후단에는 연동면(24)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연동면(24)은 이동펀치(66)와의 연동에 의해 성형캠(20)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캠홀더(16)를 관통하여서는 가이드바아(26)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바아(26)는 선단부가 상기 캠홀더(16)를 관통하여 상기 성형캠(20)에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바아(26)의 일단부에는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헤드부(26')가 구비된다. 상기 헤드부(26')와 상기 하형리테이너(14)에 각각 양단부가 지지되게 리턴스프링(28)이 설치된다. 상기 리턴스프링(28)은 상기 하형리테이너(14)에 대해 상기 가이드바아(26)의 헤드부(26')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리턴스프링(28)은 상기 성형캠(20)이 초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14)에는 다이(30)가 설치된다. 상기 다이(30)의 상면에는 터미널(32)이 안착된다. 상기 터미널(32)에는 스프링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부(34)는 상대 터미널과 결합될 때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터미널(32) 사이의 결합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부(34)는 성형과정에 의해 절곡된다. 상기 스프링부(34)가 절곡된 부분은 절곡부(36)를 형성한다. 상기 절곡부(36)는 상기 제 1성형부(22)와 아래에서 설명될 제 2성형부(52)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형리테이너(14)의 승강공간(14')에는 가이드블럭(40)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블럭(40)은 상기 승강공간(14')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아래에서 설명될 경사구동캠(50)이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블럭(40)의 상면에는 가이드부(41)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부(41)에는 경사면(42)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42)은 경사구동캠(50)의 연동경사면(51)과 접촉하여 경사구동캠(50)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경사면(42)은 상기 가이드부(41)에 소정의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42)을 곡면으로 형성한 것은 상기 터미널(32)의 절곡부(36)를 형성한 후에 상기 경사구동캠(50)이 초기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프링부(34)와 제 2성형부(52)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승강공간(14')에는 승강블럭(44)이 승강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블럭(44)에는 경사구동캠(50)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블럭(44)의 하면은 서포터핀(46)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서포터핀(46)은 상기 하형홀더(10)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서포터핀(46)에는 서포터스프링(48)이 구비된다. 상기 서포터스프링(48)은 상기 승강블럭(44)이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펀치(7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승강블럭(44)에는 경사구동캠(50)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경사구동캠(50)은 구동펀치(70)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경사구동캠(50)은 장방형의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상기 경사구동캠(50)은 아래에서 설명될 캠바아(56)가 체결공(50')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상기 경사구동캠(50)에는 연동경사면(51)이 형성된다. 상기 연동경사면(51)은 상기 경사면(42)과 접촉하여 상기 경사구동캠(50)을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연동경사면(51)은 상기 경사면(42)과 같이 소정의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구동캠(50)의 선단에는 제 2성형부(52)가 구비된다. 상기 제 2성형 부(52)는 상기 제 1성형부(22)와 형합되는 형상을 가져 터미널(32)의 절곡부(36)의 내측을 성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성형부(52)에는 상기 터미널(32)의 스프링부(34)와 접촉되는 스프링부접촉면(53)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부접촉면(53)은 스프링부(34)에 대응되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부접촉면(53)에 연장하여 절곡부접촉면(54)이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접촉면(54)은 선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36)의 내측에 접촉된다.
상기 경사구동캠(50)은 상기 승강블럭(44)을 관통하는 캠바아(56)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캠바아(56)는 상기 체결공(50')에 체결되어 경사구동캠(50)을 지지한다. 상기 캠바아(56)의 일단부에는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헤드부(5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56')와 상기 승강블럭(44)에 각각 양단부가 지지되게 리턴스프링(58)이 설치된다. 상기 리턴스프링(58)은 상기 경사구동캠(50)이 터미널(3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리턴스프링(58)은 상기 경사구동캠(50)이 초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하형홀더(10)의 상방에는 상형홀더(60)가 구비된다. 상기 상형홀더(60)에는 백킹플레이트(62)와 상형리테이너(64)가 설치된다. 상기 상형홀더(60)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62)와 상형리테이너(64)는 상기 상형홀더(60)에 함께 체결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62)는 실질적으로 상기 상형리테이너(64)의 일부라고 볼 수도 있다. 상기 상형리테이너(64)는 상기 하형홀더(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64)에는 이동펀치(66)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펀치(66)는 상기 성형캠(20)의 연동면(24)을 눌러 성형캠(2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펀치(66)의 선단에는 상기 연동면(24)과 접촉되는 펀치면(68)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64)에는 구동펀치(7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펀치(70)는 상형리테이너(64)에 설치되어 상기 상형홀더(60)와 함께 승강된다. 상기 구동펀치(70)의 일측면에는 걸림턱(72)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걸림턱(72)은 상기 상형리테이너(64)의 일측에 걸어져 상기 구동펀치(70)가 일정길이 이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구동펀치(70)는 상기 상형홀더(60)에 구비된 펀치핀(74)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펀치핀(74)에는 펀치스프링(76)이 구비되고, 상기 펀치스프링(76)은 상기 구동펀치(70)가 상기 경사구동캠(5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상태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의 초기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터미널(32)은 스프링부(34)가 성형된 상태로 다이(30)의 상면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승강블럭(44)은 상기 서포터핀(46)에 의해 지지되어 상승된 상태이고, 상기 경사구동캠(50)은 상기 가이드블럭(40)의 상단부에 위치한다.
상술한 초기 상태에서 상기 상형홀더(60)가 하강되면, 상기 이동펀치(66)의 펀치면(68)이 성형캠(20)의 연동면(24)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성형캠(20)은 상기 이동펀치(66)의 이동에 연동하여 도 2를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펀치(66)는 리턴스프링(28)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이동된다. 상기 성형캠(20)은 상기 터미널(32) 쪽으로 이동하여 제 1성형부(22)가 스프링부(34)를 절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형홀더(60)의 하강과정에서 상기 구동펀치(70)는 하강하여 상기 승강블럭(44)의 상면을 누르게 된다. 상기 승강블럭(44)은 상기 서포터스프링(48)의 탄성력에 의해 서포터핀(46)에 지지되어 하강된다. 상기 승강블럭(44)이 하강하면 내부에 설치된 경사구동캠(50)도 함께 하강된다.
상기 경사구동캠(50)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구동캠(50)의 연동경사면(51)은 가이드블럭(40)의 경사면(42)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구동캠(50)은 상기 경사면(42)에 의해 안내되면서 하향경사지게 이동된다. 상기 경사구동캠(50)은 리턴스프링(58)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경사지게 이동된다. 상기 경사구동캠(50)의 제 2성형부(52)는 상기 터미널(32)의 절곡부(36) 쪽으로 이동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성형캠(20)과 경사구동캠(50)은 각각 좌우측에서 터미널(32)을 향하여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성형캠(20)과 경사구동캠(50)이 동시에 이동하다가 상기 제 1성형부(22)가 상기 스프링부(34)를 절곡시킨다. 상기 제 1성형부(22)에 의해 절곡된 스프링부(34)는 절곡부(36)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부(34)는 상기 제 2성형부(52)의 스프링부접촉면(53)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절곡부(36)의 내측은 상기 절곡부접촉면(54)에 접촉하여 절곡부(36) 가 정확한 곡률로 성형되도록 한다.
상기 터미널(32)의 절곡부(36)의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상형홀더(60)는 상승하게 되고 상기 성형캠(20), 경사구동캠(50)은 리턴스프링(28,58)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경사구동캠(50)이 초기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경사구동캠(50)은 곡면으로 형성된 경사면(42)을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구동캠(50)의 제 2성형부(52)가 상기 스프링부(34)와 간섭되지 않고 이동되므로 절곡부(36)가 성형완료 후에 절곡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터미널에서 스프링부가 성형되는 과정을 보인 작업과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블럭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성형캠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터미널의 스프링부가 성형된 것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형홀더 12 : 백킹플레이트
14 : 하형리테이너 14' : 승강공간
16 : 캠홀더 20 : 성형캠
22 : 제 1성형부 24 : 연동면
26 : 가이드바아 26' : 헤드부
28 : 리턴스프링 30 : 다이
32 : 터미널 34 : 스프링부
36 : 절곡부 40 : 가이드블럭
41 : 가이드부 42 : 경사면
44 : 승강블럭 46 : 서포터핀
48 : 서포터스프링 50 : 경사구동캠
51 : 연동경사면 52 : 제 2성형부
53 : 스프링부접촉면 54 : 절곡부접촉면
56 : 캠바아 56' : 헤드부
58 : 리턴스프링 60 : 상형홀더
62 : 백킹플레이트 64 : 상형리테이너
66 : 이동펀치 68 : 펀치면
70 : 구동펀치 72 : 걸림턱
74 : 펀치핀 76 : 펀치스프링

Claims (8)

  1. 하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는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터미널의 절곡부의 외측의 형상과 대응되는 제 1성형부가 구비되는 성형캠과;
    상기 상형리테이너에 고정되고 상기 상형홀더와 일체로 동작되면서 상기 성형캠이 터미널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펀치와;
    상기 상형리테이너에 설치되어 상기 상형홀더와 함께 승강되는 구동펀치와;
    상기 구동펀치에 의해 눌러지면서 상기 성형캠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동되고, 상기 성형캠의 제 1성형부와 형합되어 상기 절곡부의 내측을 성형하는 제 2성형부가 구비되는 경사구동캠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형리테이너에는 승강공간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공간에는 상기 경사구동캠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블럭이 승강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공간에는 상기 경사구동캠이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일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가이드블럭이 고정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동캠에는 상기 경사면과 접하도록 연동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구동캠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 및 연동경사면은 소정의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동캠에는 상기 승강블럭을 관통하여 캠바아가 결합되는데, 상기 캠바아에는 리턴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경사구동캠이 상기 터미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홀더에는 상기 승강블럭을 지지하는 서포트핀이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핀에는 서포트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승강블럭이 상기 구동펀치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
  8.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성형부에는,
    상기 터미널의 스프링부와 접촉되는 스프링부접촉면과;
    상기 스프링부접촉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의 절곡부의 내측과 접촉하는 절곡부접촉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
KR1020080075256A 2008-07-31 2008-07-31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 KR101503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256A KR101503918B1 (ko) 2008-07-31 2008-07-31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256A KR101503918B1 (ko) 2008-07-31 2008-07-31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644A KR20100013644A (ko) 2010-02-10
KR101503918B1 true KR101503918B1 (ko) 2015-03-19

Family

ID=42087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256A KR101503918B1 (ko) 2008-07-31 2008-07-31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88941A (zh) * 2012-06-01 2012-09-26 苏州旭创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端子模具
CN104368701A (zh) * 2014-11-28 2015-02-25 吴中区光福华宇钣金厂 一种支架弯曲模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823B1 (ko) * 2005-11-15 2007-08-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823B1 (ko) * 2005-11-15 2007-08-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644A (ko)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92778C (zh) 电连接器组件
JP7011253B2 (ja) コネクタ端子、及びコネクタ
KR101788953B1 (ko) 커넥터
KR100652197B1 (ko) 터미널의 박스부 성형장치
CN109967604B (zh) 一种汽车钣金件成型的冲压复合模及成型方法
US20220231434A1 (en) Terminal and terminal wire assembly
KR101503918B1 (ko)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
US6257915B1 (en) Half-fitting prevention connector
KR101838087B1 (ko) 이형 성형용 프레스 금형
KR100745823B1 (ko) 터미널 성형장치
JP2001237015A (ja) Icソケット用コンタクト
KR100681506B1 (ko) 터미널의 박스부 성형장치
TW202320439A (zh) 端子壓接裝置及端子壓接方法
JPH07240266A (ja) 圧接端子の電線圧接方法及び装置
CN215647587U (zh) 柔性电路板压合折弯机构
KR100897375B1 (ko) 터미널의 박스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149398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벤딩장치
US11469564B2 (en) Joint crimping apparatus
KR100823342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가이드장치
KR100927869B1 (ko)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
KR100948368B1 (ko) 컴퓨터용 케이스 벤딩금형
CN109193302B (zh) Usb连接器铆压装置
KR100752777B1 (ko)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
CN216214268U (zh) 一种新型微型射频开关
KR200445638Y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가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