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957B1 - 종이 공급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종이 공급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957B1
KR101123957B1 KR1020080092405A KR20080092405A KR101123957B1 KR 101123957 B1 KR101123957 B1 KR 101123957B1 KR 1020080092405 A KR1020080092405 A KR 1020080092405A KR 20080092405 A KR20080092405 A KR 20080092405A KR 101123957 B1 KR101123957 B1 KR 101123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rinted matter
conveying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3299A (ko
Inventor
김영태
Original Assignee
김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태 filed Critical 김영태
Priority to KR1020080092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957B1/ko
Publication of KR20100033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65H43/06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detecting, or responding to, completion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12Suction bands, belts, or tables moving relatively to the pile
    • B65H3/124Suction band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8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of inclined articles and inclination angle >4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물 상에 종이를 공급하는 종이 공급 장치로서, 종이를 적재하는 종이 적재부; 상기 종이 적재부에 적재된 종이를 대상물 상으로 이송하는 종이 이송부; 상기 종이 이송부에 의해 상기 종이 적재부로부터 대기 장소까지 예비 이송된 종이를 감지하는 대기 종이 감지 센서; 및 상기 대기 종이 감지 센서로부터 미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종이 이송부에 종이 예비 이송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생산성을 극대화하며,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동시에 인쇄물의 종이 삽입을 자동화할 수 있고, 초고속 인쇄시에도 적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종이 적재부, 종이 이송부, 종이 컨베이어 벨트, 공압 장치, 인쇄물

Description

종이 공급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Paper supply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종이 공급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해진 매수의 인쇄물 사이에 종이(간지)를 자동으로 삽입하는 종이 공급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쇄물을 출력함에 있어서 인쇄물과 인쇄물 사이에 간지(間紙) 등의 종이를 삽입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종이를 사람이 수작업으로 인쇄물과 인쇄물 사이에 삽입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사람이 인쇄물의 매수를 일일이 확인하고, 그 사이에 종이를 삽입하는 일련의 동작은 매우 숙달된 숙련자라 하더라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작업의 정밀도가 떨어져서 신뢰성이 매우 부족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속으로 회전하는 인쇄드럼을 사용하는 등 초고속으로 인쇄물을 인쇄하고, 이를 인쇄물 컨베이어 벨트로 고속 이송하여 적재하는 경우, 종래의 수작업에 의존하는 방법은 너무 느려서 사람이 인쇄물의 이송 중에 종이를 삽입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고, 이로 인해 종이 삽입을 반드시 후속 수작업으로 진행하여야 하는 등 고속 인쇄물의 자동 처리가 불가능했었던 한계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물의 초고속 인쇄 환경에서도 일정 매수 간격으로 정확한 종이 삽입이 자동으로 이루어져서 종이 삽입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하는 종이 공급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이 삽입 이전에 종이 대기 상태를 감지하여 종이 삽입 실패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종이 공급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압 장치를 이용하여 종이 컨베이어 벨트의 종이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종이 공급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종이 공급 장치는, 종이를 적재하는 종이 적재부; 상기 종이 적재부에 적재된 종이를 대상물 상으로 이송하는 종이 이송부; 상기 종이 이송부에 의해 상기 종이 적재부로부터 대기 장소까지 예비 이송된 종이를 감지하는 대기 종이 감지 센서; 및 상기 대기 종이 감지 센서로부터 미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종이 이송부에 종이 예비 이송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종이 적재부는, 종이가 다수층으로 적층되어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종이의 일측을 지지하는 종이 단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종이 이송부는, 적재된 종이 중 최하층 종이를 이송하는 종이 컨베이어 벨트; 및 종이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는 종이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상물은 인쇄물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서 이송되는 인쇄물이고, 상기 종이 공급 장치는 상기 인쇄물의 이송 경로에 설치되고, 이송되는 인쇄물의 매수를 카운팅하는 인쇄물 카운팅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팅 센서로부터 인쇄물 이송 매수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설정치와 비교하여 인쇄물 이송 매수와 설정 매수가 동일한 경우, 상기 종이 이송부에 종이 삽입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종이 이송부는, 적재된 종이들 중 최하층 종이를 이송하는 종이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종이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에 종이의 두께에 따라 공압을 차등 적용하여 인가할 수 있는 공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종이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공압 장치의 공압 라인과 공압 노즐에 의해 흡입 또는 분사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종이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은, 인쇄물 사이에 종이를 삽입하도록, 종이를 적재하는 종이 적재부, 상기 종이 적재부에 적재된 종이를 인쇄물의 이송 경로로 이송하는 종이 이송부, 상기 인쇄물의 이송 경로에 설치되고, 이송되는 인쇄물의 매수를 카운팅하는 인쇄물 카운팅 센서, 상기 카운팅 센서로부터 인쇄물 이송 매수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설정치와 비교하여 인쇄물 이송 매수와 설정 매수가 동일한 경우, 상기 종이 이송부에 종이 삽입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종이 이송부에 의해 상기 종이 적재부로부터 대기 장소까지 예비 이송된 종이를 감지하는 대기 종이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기 종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종이 대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인쇄물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인쇄물을 이송 및 적재하는 단계; 상기 인쇄물 카운팅 센서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인쇄물을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를 이용하여 인쇄물 이송 매수와 설정 매수가 동일한 경우, 대기 중인 종이를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종이 감지 센서로부터 미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후속 종이가 대기할 수 있도록 상기 종이 이송부에 종이 예비 이송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종이 공급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종이 삽입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종이 삽입 실패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여 장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종이 이송을 원활하게 하여 초정밀 초고속 종이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공급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종이는, 대상물이 되는 인쇄물 등 정해진 매수의 인쇄물 상에 공급되거나 인쇄물과 인쇄물 사이에 삽입하여 그 경계를 표시하는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종이 또는 표식물을 말한다. 이러한 종이는 제본 단위의 표지로 사용되거나 또는 하나의 제본 단위 내에서 적절한 경계, 예컨대 목차 등의 표식지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이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종이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공급 장치는, 인쇄드럼(3)에 의해 인쇄되어 일정한 매수의 로트(Lot)(L)를 이루는 인쇄물(1)과 인쇄물 사이에 종이(S)를 삽입하는 장치로서, 종이 적재부(10)와, 종이 이송부(20)와, 인쇄물 카운팅 센서(30)와, 대기 종이 감지 센서(50) 및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종이 적재부(10)는. 다수매의 종이(S)를 다층으로 적재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S)가 다수층으로 적층되어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종이(S)의 일측을 지지하고 한장만 빠져나오도록 종이 단속부재(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종이 단속부재(11)는 적재된 종이(S) 중 최하층 종이(S)가 상기 종이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어 한장만 상기 종이 단속부재(11)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상기 종이 이송부(20)와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종이 의 두께나 무게 등에 따라 틈새의 크기, 즉 높이 조절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종이 단속부재(11)에 다수매의 종이(S)를 적재하면, 상기 종이 이송부(20)에 의해 적재된 종이(S) 중 최하층 종이(S)가 상기 틈새를 빠져 나와서 상기 인쇄물(1)들 사이로 삽입되어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종이 이송부(20)는. 상기 종이 적재부(10)에 적재된 종이(S)를 인쇄물 컨베이어 벨트(2)에 의해 이송되는 인쇄물(1)의 이송 경로 상으로 이송하도록 상기 인쇄물 컨베이어 벨트(2)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종이 이송부(20)는, 적재된 종이(S) 중 최하층 종이(S)를 이송하는 도 1 및 도 3의 종이 컨베이어 벨트(21) 및 종이(S)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는 도 1 및 도 2의 종이 가이드부재(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종이 컨베이어 벨트(21)의 압력을 유지하고, 종이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종이(S)와 접촉하여 자유회전되는 압조절 로울러부(23)가 설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술된 종이 적재부(10)에 적재된 종이(S) 중 최하층 종이(S)가 상기 종이 컨베이어 벨트(21)에 의해 상기 틈새를 빠져 나와서 상기 인쇄물(1)들 사이로 삽입되어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의 확대된 부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이 이송부(20)는, 상기 종이 컨베이어 벨트(21)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S)에 공압을 인가하는 공압장치(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공압 장치(60)는 도 3의 공압 라인(61)과 공압 노즐(62)로 이루어지고, 상기 종이 컨베이어 벨트(21)는, 상기 공압 장치(60)의 공압 라인(61)과 공압 노즐(62)에 의해 흡입 또는 분사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21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S)가 상기 종이 컨베이어 벨트(21)에 의해 이송될 때, 상기 공압 노즐(62)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종이(S)를 부유시켜서 최하층의 종이(S)만 이송되게 하는 등 상기 종이(S)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거나 역으로 상기 공압 노즐(62)에 의해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종이(S)를 상기 종이 컨베이어 벨트(21)에 흡착시켜서 최하층 종이(S)와 종이 컨베이어 벨트(21)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공압 장치(60)는, 종이의 두께에 따라 공압을 차등 적용하여 인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종이(S)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경우, 상기 공압 노즐(62)로 공기를 흡입하여 한장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종이(S)가 상대적으로 얇을 경우, 상기 공압 노즐(62)로 공기를 분사하여, 두장이 한꺼번에 이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인쇄물 카운팅 센서(30)는, 상기 인쇄물(1)의 이송 경로에 설치되고, 이송되는 인쇄물(1)의 매수를 카운팅하는 것으로서, 이송 중인 인쇄물(1)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즉,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로 이루어지는 광센서나 마그네틱 센서나 접촉식 센서 등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인쇄물 카운팅 센서(30)로부터 인쇄물 이송 매수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설정치와 비교하여 인쇄물 이송 매수와 설정 매수가 동일한 경우, 상기 종이 이송부(20)에 종이 삽입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도시하진 않았지만, 설정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설정치 및 현재 이송된 인쇄물의 이송 매수를 나타내는 표시부 등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인쇄물 카운팅 세서(30)가 이송 중인 인쇄물(1)의 매수를 감지하여 인쇄물 이송 매수 신호를 상기 제어부(40)에 인가하면, 상기 제어부(40)는 이를 1에서부터 카운팅하다가 미리 설정된 설정치, 즉 예를 들어, 설정치가 20매일 경우, 카운팅한 인쇄물 이송 매수 역시 20매일 때, 상기 종이 이송부(20)에 종이 삽입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종이 컨베이어 벨트(21)를 가동하여 인쇄물(1) 20매 당 1매의 종이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종이 공급 장치는, 상기 종이 이송부(20)에 의해 상기 종이 적재부(10)로부터 대기 장소(K)까지 예비 이송된 종이(S)를 감지하는 대기 종이 감지 센서(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대기 종이 감지 센서(50)로부터 미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종이 이송부(20)에 종이 예비 이송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종이 적재부(10)에 적재된 종이(S)는 상기 인쇄물(1)들 사이에 직접적으로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인쇄물(1)들 사이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대기 장소(K)에서 대기할 수 있도록 예비 이송될 수도 있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대기 장소(K)에 종이(S)를 대기시키는 이유는, 상기 종이 적재부(10)에 다층으로 적재된 종이(S)로부터 최하층의 종이(S)를 분리하는 것에 실패한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만약, 상기 종이 적재부(10)에 다층으로 적재된 종이(S)로부터 최하층의 종이(S)를 분리하는 것에 실패하여, 상기 대기 종이 감지 센서(50)로부터 미감지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미감지 신호가 해소될 때까지 상기 종이 이송부(20)의 종이 컨베이어 벨트(21)를 가동시켜서 상기 종이(S)를 신속하게 대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종이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기 종이 감지 센서(50)를 이용하여 종이 대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와, 인쇄물 컨베이어 벨트(2)를 이용하여 인쇄물(1)을 이송 및 적재하는 단계(S2)와, 상기 인쇄물 카운팅 센서(30)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인쇄물(1)을 카운팅하는 단계(S3)와, 상기 제어부(40)를 이용하여 인쇄물 이송 매수와 설정 매수가 동일한 경우, 대기 중인 종이(S)를 투입하는 단계(S4) 및 상기 대기 종이 감지 센서(50)로부터 미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후속 종이(S)가 대기할 수 있도록 상기 종이 이송부(20)에 종이 예비 이송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인쇄물 카운팅 센서(30)를 이용하여 정확한 매수의 인쇄물(1) 사이에 종이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기 종이 감지 센서(50)를 이용하여 상기 종이(S)가 항상 대기 장소(K)에서 대기하여 상기 종이 적재부(10)로부터 최하층 종이(S)의 분리 실패 또는 분리 지연으로 인한 종이 삽입 실패 불량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동시에 인쇄물의 종이 삽입을 자동화할 수 있고, 초고속 인쇄시에도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이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종이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종이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호에 대한 설명)
1: 인쇄물 2: 인쇄물 컨베이어 벨트
3: 인쇄드럼 L: 로트
S: 종이 10: 종이 적재부
20: 종이 이송부 30: 인쇄물 카운팅 센서
40: 제어부 11: 종이 단속부재
21: 종이 컨베이어 벨트 22: 종이 가이드부재
K: 대기 장소 50: 대기 종이 감지 센서
60: 공압장치 61: 공압 라인
62: 공압 노즐 21a: 통풍구
23: 압조절 로울러부

Claims (6)

  1. 종이를 적재하는 종이 적재부;
    상기 종이 적재부에 적재된 종이를 대상물 상으로 이송하는 종이 이송부;
    상기 종이 이송부에 의해 상기 종이 적재부로부터 대기 장소까지 예비 이송된 종이를 감지하는 대기 종이 감지 센서;
    상기 대기 종이 감지 센서로부터 미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종이 이송부에 종이 예비 이송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인쇄물의 이송 경로에 설치되고, 이송되는 인쇄물의 매수를 카운팅하는 인쇄물 카운팅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대상물은 인쇄물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서 이송되는 인쇄물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팅 센서로부터 인쇄물 이송 매수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설정치와 비교하여 인쇄물 이송 매수와 설정 매수가 동일한 경우, 상기 종이 이송부에 종이 삽입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적재부는,
    종이가 다수층으로 적층되어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종이의 일측을 지지하는 종이 단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종이 이송부는,
    적재된 종이 중 최하층 종이를 이송하는 종이 컨베이어 벨트; 및
    종이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는 종이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공급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이송부는,
    적재된 종이들 중 최하층 종이를 이송하는 종이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종이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에 종이의 두께에 따라 공압을 차등 적용하여 인가할 수 있는 공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공급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공압 장치의 공압 라인과 공압 노즐에 의해 흡입 또는 분사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공급 장치.
  6. 인쇄물 사이에 종이를 삽입하도록, 종이를 적재하는 종이 적재부, 상기 종이 적재부에 적재된 종이를 인쇄물의 이송 경로로 이송하는 종이 이송부, 상기 인쇄물의 이송 경로에 설치되고, 이송되는 인쇄물의 매수를 카운팅하는 인쇄물 카운팅 센서, 상기 카운팅 센서로부터 인쇄물 이송 매수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설정치와 비교하여 인쇄물 이송 매수와 설정 매수가 동일한 경우, 상기 종이 이송부에 종이 삽입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종이 이송부에 의해 상기 종이 적재부로부터 대기 장소까지 예비 이송된 종이를 감지하는 대기 종이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삽입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기 종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종이 대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인쇄물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인쇄물을 이송 및 적재하는 단계;
    상기 인쇄물 카운팅 센서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인쇄물을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를 이용하여 인쇄물 이송 매수와 설정 매수가 동일한 경우, 대기 중인 종이를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종이 감지 센서로부터 미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후속 종이가 대기할 수 있도록 상기 종이 이송부에 종이 예비 이송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삽입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80092405A 2008-09-19 2008-09-19 종이 공급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123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405A KR101123957B1 (ko) 2008-09-19 2008-09-19 종이 공급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405A KR101123957B1 (ko) 2008-09-19 2008-09-19 종이 공급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299A KR20100033299A (ko) 2010-03-29
KR101123957B1 true KR101123957B1 (ko) 2012-03-26

Family

ID=4218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405A KR101123957B1 (ko) 2008-09-19 2008-09-19 종이 공급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9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10106B (zh) * 2014-09-17 2016-05-11 青岛开拓数控设备有限公司 通过控制横切出纸速度改善堆码重叠的方法、系统及装置
KR102252026B1 (ko) * 2019-12-05 2021-05-13 이충희 서적의 속지 표면처리를 위한 표지 오프닝 장치
KR102437038B1 (ko) * 2020-08-03 2022-08-2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신문지 완충재 제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018B1 (ko) * 1994-03-05 1998-04-28 박의식 신문간지 삽지장치
JPH10236665A (ja) * 1997-03-03 1998-09-08 Xerox Corp ペーパートレイ及び印刷機
KR20000074249A (ko) * 1999-05-19 2000-12-15 김형벽 간지 자동 삽입장치
KR20060078539A (ko) * 2004-12-31 2006-07-0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출금기의 낱장분리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018B1 (ko) * 1994-03-05 1998-04-28 박의식 신문간지 삽지장치
JPH10236665A (ja) * 1997-03-03 1998-09-08 Xerox Corp ペーパートレイ及び印刷機
KR20000074249A (ko) * 1999-05-19 2000-12-15 김형벽 간지 자동 삽입장치
KR20060078539A (ko) * 2004-12-31 2006-07-0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출금기의 낱장분리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299A (ko) 2010-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334036A (ja) 枚葉印刷機の排紙装置
KR101123957B1 (ko) 종이 공급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050224731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aper sheets
CN111204600A (zh) 介质供给装置
JP5899714B2 (ja) 印刷装置システム、並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接続機器及び印刷装置
CN111204601B (zh) 介质供给装置
US9174815B2 (en) Continuous printer and paper delivery system
US9427783B2 (en) Postal matter ejection apparatus with gap setting unit according to postal matter thickness
US20060042487A1 (en) Delivery device for a sheet processing machine
KR20130118114A (ko) 전자 태그 부착 장치
JP3615976B2 (ja) 枚葉印刷機の印刷品質検査システム及び印刷品質制御装置
KR20200080572A (ko) 인쇄물 자동 투입장치
JPH11115264A (ja) 用紙搬送制御方法
JP2000255798A (ja) 枚葉印刷機の連続シート供給装置
KR102074466B1 (ko) 라벨 이송 제어 방법
JP2013112465A (ja) 紙葉類取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紙葉類処理装置
US70595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eeding of sheets
JP2010076941A (ja) 処理機械のフィーダにおいてエラーシートを導出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6406015B1 (en) Device for supplying labels
KR20220129121A (ko) 플랫 투입기
KR100381595B1 (ko) 인쇄기의 인쇄매체 센싱장치 및 센싱방법
JPH05306034A (ja) 上取りエアー給紙装置
JP2016132234A (ja) 印刷装置、カード保持部材、及び印刷方法
KR100412499B1 (ko) 다단 급지가 가능한 잉크젯 프린터
JP2022142582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