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496B1 - 신호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신호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496B1
KR101123496B1 KR1020060029923A KR20060029923A KR101123496B1 KR 101123496 B1 KR101123496 B1 KR 101123496B1 KR 1020060029923 A KR1020060029923 A KR 1020060029923A KR 20060029923 A KR20060029923 A KR 20060029923A KR 101123496 B1 KR101123496 B1 KR 101123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enerator
rotating
rotation
signal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8367A (ko
Inventor
정준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9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496B1/ko
Priority to US11/649,800 priority patent/US7860538B2/en
Priority to EP07001192.9A priority patent/EP1826991B1/en
Priority to EP07001189A priority patent/EP1826990B1/en
Priority to DE102007003270A priority patent/DE102007003270B4/de
Priority to DE102007003269A priority patent/DE102007003269A1/de
Priority to BRPI0700265-3A priority patent/BRPI0700265A/pt
Priority to BRPI0700399-4A priority patent/BRPI0700399A/pt
Priority to RU2007105768/09A priority patent/RU2335029C1/ru
Priority to JP2007046307A priority patent/JP5184793B2/ja
Priority to MX2007002304A priority patent/MX2007002304A/es
Priority to JP2007046310A priority patent/JP5179071B2/ja
Priority to MX2007002303A priority patent/MX2007002303A/es
Priority to CN2007100843017A priority patent/CN101030497B/zh
Priority to RU2007107413/09A priority patent/RU2331132C1/ru
Priority to US11/711,662 priority patent/US7996050B2/en
Priority to CN2007100850612A priority patent/CN101030986B/zh
Publication of KR20070098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바디와; 상기 바디에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롤러와; 상기 바디에 제2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키와; 상기 바디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롤러 및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키의 누름 동작에 의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누름신호발생부와; 상기 바디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 동작에 의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전신호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신호 각각에 대한 입력에 혼선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콤팩트화가 유리한 신호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신호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APPARATUS FOR GENERATING SIGNA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회전 조작 부재와 누름 조작 부재를 별도로 구성하는 경우의 확보해야 하는 최소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발생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회전자석부와 클릭자석부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결합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회전자석부와 클릭자석부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로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인 본체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에 폴더부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바디 11: 프레임
13: 베이스 20: 회전롤러
30: 사이드키 40: 누름신호발생부
50: 회전신호발생부 60: 본체부
70: 폴더부
본 발명은 신호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회전 및 누름 조작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장치와 그러한 신호발생장치에 의해 발생 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신호발생장치는 사용자의 회전 및/또는 누름 조작에 의해 특정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전자기기,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sital Assistants), MP3 플레이어 등에 설치되어,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복수의 메뉴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위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회전 및 누름 조작이 동시에 가능한 신호발생장치의 일 예로서, 미국특허 제6,333,473호는 하나의 롤러형 조작 노브에 의해 5가지의 신호(회전에 의한 2가지 신호 및 누름에 의한 3가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위 특허에 개시된 장치는, 하나의 조작 노브(24)와 두 개의 누름 스위치(22A 및 22B)를 사용하여 세 개의 누름 신호를 만들기 위하여, 두 개의 누름 스위치가 각각 눌려져서 발생하는 두 개의 누름 신호 외에 두 개의 누름 스위치가 동시에 눌려져서 발생하는 세 번째 누름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신호발생장치에 있어서, 두 개의 누름 스위치와 조작 노브간의 간격은 설계 및 조립 상 일정하지 않아서 그 간격이 긴 부분은 항상 많은 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수명이 짧아지며 궁극적으로는 오동작 및 인식 불량의 문제가 발생하게 한다.
또한, 위의 세 번째 누름 신호의 발생을 위해서는, 두 개의 누름 스위치가 동시에 눌려지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정시간 이상 누름 스위치의 눌림 동작이 필요하며, 이때 하드웨어적으로는 일정 시간 동안 전류를 흘려줘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류 소모가 발생한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시간 경과 부분을 별도로 체크하고 인식할 수 있는 시간 측정 수단(time measuring means)이 추가로 구비되어야 하기에, 이러한 신호발생장치를 채용한 전자기기에서 추가 작업이 발생하여, 이 부분에서 오동작, 오인식 등과 함께 비용 상승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두 개의 회전 신호와 하나의 누름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전형 조작 부재를 가지는 신호발생장치와 두 개의 누름 신호를 발생시키는 별도의 추가적인 누름 조작 부재를 구비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도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조작 부재(100)와 별도의 누름 조작 부재(미도시)를 설치함에 있어서, 누름 조작 부재는 회전 조작 부재(100)의 실장을 위한 최소 공간(110)을 벗어나서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누름 조작 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에 의해 눌려지는 돔스위치 (300)는 회전 조작 부재(100)가 장착되는 바디(20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격된 간격에 따라, 회전 조작 부재(100)와 누름 조작 부재가 차지하는 공간은 비활용 공간(이격을 위한 공간)을 가져서 그의 축소에 한계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이 콤팩트함이 강조되어야 하는 전자기기에서는 이러한 비활용 공간은 전자 기기의 콤팩트화에 대한 장애 요소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신호 각각에 대한 입력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져서 혼선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콤팩트화가 유리한 신호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호발생장치는 바디와, 회전롤러와, 사이드키와, 누름신호발생부와, 회전신호발생부를 포함한다.
바디는 회전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회전롤러의 장착을 위하여 프레임과 베이스로 구성된다. 회전롤러는 원형 실린더의 형태를 가지며, 그의 연장방향으로 돌출한 회전축은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사이드키는 바디에 돌출 형성된 키돌기가 삽입되는 키홈을 구비하여 바디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롤러의 길이방향 양측에 배치되도록 2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사이드키는 회전롤러의 회전 중심축(제1 축)과 수직한 선회 중심축(제 2 축)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누름신호발생부는 회전롤러와 사이드키의 누름 동작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하여, 누름신호발생부는 회로기판과, 회전롤러와 사이드키에 대응하여 회로기판상에 장착되는 스위치, 예를 들어 돔스위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롤러와 사이드키는 각각 독립적으로 누름 조작된다. 특히 사이드키가 2개인 경우에는, 회전롤러와 한 쌍의 사이드키는 3개의 독립적인 스위치에 각각 대응되어 개별적인 3개의 누름 신호를 발생시키기에, 신호 발생 과정에서의 혼선이나 복잡성이 제거된다.
회전신호발생부는 회전롤러에 장착된 회전자석부와, 회전롤러의 회전에 따른 자속변화를 감지하도록 회로기판상에 설치된 센서부, 예를 들어 홀센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신호발생부는 회전롤러의 회전 방향에 따라 2개의 신호를 발생시키며, 회전자석부와 센서부가 직접 접촉하지 않기에 내구성이 높고 소음의 발생을 억제한다. 나아가, 회전자석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별도의 클릭자석부는 회전자석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롤러를 회전시킴에 따른 클릭감을 높여준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신호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는 전자기기 본체와, 그에 장착되는 위의 신호발생장치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신호발생장치를 구비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2가지의 회전 신호와 3가지의 누름 신호를 발생시키면서도 각 신호 발생 과정에서의 혼선이 없고, 신호발생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도 전체적으로 콤팩트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자기기의 일 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PDA, MP3 플레이어, 전자 사전등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이동통신 단말기 중에서도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바형, 플립형, 슬라이드형, 스위블형 등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에 그 형태와 무관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호발생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발생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발생장치는 바디(10)와, 회전롤러(20)와, 사이드키(30)와, 누름신호발생부(40) 및 회전신호발생부(50)를 포함한다.
바디(10)는 회전롤러(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소로서, 프레임(11)과 베이스(13)를 포함한다. 프레임(11)은 회전롤러(20)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양단부 측에는 회전롤러(20)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전롤러(20)의 회전축(2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절개된 장공형의 지지부(11a)가 형성된다. 나아가, 회전롤러(20)가 놓이는 저면부(11b)의 양측에는 센서부(53)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센서홈(11c)이 각각 개구된다. 베이스(13)는 회전롤러(20)가 장착된 프레임(11)의 상부 측에서 베이스(13)에 결합 되며, 회전롤러(20)의 노출을 위한 중공부(13a)가 중앙에 개구되어 있다. 베이스(13)의 양단부 측에는 아치형으로 돌출한 아치부(13b)가 프레임(11)의 지지부(11a)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제2 축(Ⅱ)을 따라 키돌기(13c)가 쌍을 이루어 돌출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13)의 일 측면에는 회로기판(41)의 결합공(41a)에 대응하는 결합공(13d)이 형성된다.
회전롤러(20)는 2개의 회전 신호와 1개의 누름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회전 조작 및 누름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로서, 실린더형의 몸체(21)와 회전축(23)을 포함한다. 몸체(21)의 외주면에는 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들이 형성되어, 몸체(21)를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미끄럼을 방지한다. 또한, 회전축(23)은 몸체(21)의 길이방향, 다시 말해서 제1 축(Ⅰ)을 따라 연장하도록 몸체(21)의 양 단면의 중앙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11)의 지지부(11a)의 절개된 부분에 장착된다.
사이드키(30)는 누름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로서, 바디(10), 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13)에 제2 축(Ⅱ)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 된다. 이러한 사이드키(30)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나, 바디(10)의 양측에 각 1개씩 형성되는 것이 양측 방향키로서 동작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사이드키(30)에는 베이스(13)의 키돌기(13c)에 대응하여 한 쌍의 키홈(31)이 형성된다. 또한, 중앙에는 아치형으로 돌출한 아치부(33)가 형성되어, 베이스(13)의 아치부(13b)를 감싸게 된다. 나아가, 이러한 아치부(33)는 회전롤러(20)의 반경과 일치하는 곡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회전롤러(20)의 외주와 사이드키(30)의 아치부(33)가 일치하게 되어 미관상 통일감을 주기 때문이다.
누름신호발생부(40)는 회전롤러(20)와 사이드키(30)의 누름 조작에 의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요소로서, 회로기판(41)과 스위치(43)를 포함한다. 회로기판(41)은 프레임(11)의 하부에 배치되며,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스위치(43)는 회로기판(41)상에 회전롤러(20) 및 사이드키(3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스위치(43)는 회전롤러(20) 등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회로기판(41)과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로서, 예를 들어 돔스위치(dome-switch)가 사용된다. 나아가, 누름신호발생부(40)는 프레임(11)과 회로기판(41)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패드(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패드(45)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 소재로 형성된 패드로서, 스위치(43)에 대응하는 반 돔형 볼록부 등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패드(45)는 이물질(먼지 등)이 회로기판(41)이나, 회로기판(41)에 장착된 센서부(53)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과 함께 회전롤러(20) 등이 눌려짐에 따른 클릭감을 제공하게 된다.
회전신호발생부(50)는 회전롤러(20)의 회전 조작에 의한 신호를 2개의 발생시키는 요소로서, 회전자석부(51)와 센서부(53)를 포함한다. 회전자석부(51)는 회전롤러(20)의 양측 회전축(23)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링형 자석으로서, N극과 S극이 교대로 배열된다. 센서부(53)는 회전롤러(20)의 회전에 따른 회전자석부(51)의 자속의 변화를 감지하는 한 쌍의 센서로서, 예를 들어 홀 센서(Hall-Sensor)로 구성된다. 한 쌍의 홀 센서(53)가 회전롤러(20)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위상을 갖게 배열되다면, 한 쌍의 링형 자석(51)은 회전축(23)에 일정한 위상 차이를 가지고서 각각 장착된다. 나아가, 회전신호발생부(50)는 회전롤러(20)의 회전시에 클릭감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클릭자석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릭자석부(55)는 회전자석부(5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그와 자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하여 클릭감을 발생시킨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도 2의 회전자석부와 클릭자석부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결합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회전자석부와 클릭자석부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들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전롤러(20)의 몸체(21)에서 돌출한 회전축(23)에는 링 형태의 회전자석부(51)가 끼워진다. 나아가, 회전축(23)의 단부는 프레임(11)의 지지부(1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클릭자석부(55)는 회전자석부(51)에 근접하도록 프레임(11)의 상면에 장착된다.
그에 따라, 회전롤러(20)가 회전하여 회전자석부(51)가 회전하게 되면, N극과 S극의 변화가 클릭자석부(55)의 N극 및 S극과 상호 작용하여 일정한 반발력이 형성된다. 그 결과로, 회전롤러(20)의 회전시에 딱, 딱 끊어지며 돌아가는 듯한 느낌, 다시 말해서 클릭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비접촉식 이여서, 기계적인 마찰에 의한 방식보다 긴 작동 수명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발생장치의 조립 과정을 도 4 등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도 2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 사시도이다.
본 도면(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전롤러(20)의 회전축(23)은 회전자석부(51)를 장착한 채로 프레임(11)의 지지부(1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되어, 제 1 축(Ⅰ)을 따라 배치된다. 그리고, 베이스(13)는 프레임(11)에 결합 되어, 회전롤러(20)의 몸체(21)는 베이스(13)의 중공부(13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베이스(13)의 결합공(13d)은 회로기판(41)의 결합공(41a)과 일치되도록 정렬되고, 이러한 결합공(13d 및 41a)에는 체결 수단으로서 스크류 등이 삽입되어 베이스(13)를 회로기판(41)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 전에 프레임(11)과 회로기판(41) 사이에는 탄성 패드(45)를 추가로 배치한다. 그에 따라, 바디(10){프레임(11)과 베이스(13)} - 회전롤러(20) - 누름신호발생부(40) - 회전신호발생부(5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이드키(30)는 선회결합부{키돌기(13c) 및 키홈(31)}에 의하여 베이스(13)에 제2 축(Ⅱ)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 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이드키(30)의 키홈(31)이 형성된 부분을 서로 멀어지게 벌려서, 베이스(13)의 키돌기(13c)가 키홈(31)에 삽입되도록 끼우면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발생장치의 작동 방식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회전롤러(20)를 일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신호발생부(50)는 회전롤러(20)의 회전방향을 판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롤러(20)에 장착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자석부(51)에 의한 자속의 변화를 센서부(53)가 감지하여 회로기판(41)에 전달함에 따라, 회로기판(41)의 내부 회로가 회전롤러(20)의 회전방향을 판단하게 된다. 그 결과로, 회전롤러(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2개의 회전 신호의 발생이 가능하다. 여기서, 회전 방향 판단에 대한 구 체적인 방법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출원번호: 10-2006-0019644, 출원일자: 2006년 02월 28일)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그로써 갈음한다.
회전롤러(20)와 사이드키(30)는 최초에는 각각 회로기판(41)에 형성된 스위치(43)에 의하여 눌려지기 전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눌려져서 회로기판(41)에 신호를 발생시키고 난 후에는 스위치(43)의 탄성 복원력에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롤러(20)는 회전축(23)이 지지되는 지지부(11a)가 누름 방향{회로기판(41)을 향하여 가압하는 방향}을 따라 장공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그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작동 과정에서, 회전롤러(20)와 사이드키(30)의 누름 신호는 누름신호발생부(40)에 의해 결정된다. 회전롤러(20) 또는 사이드키(30)를 누르게 되면, 각각에 대응되어 형성된 스위치(43)가 눌려져서 회로기판(41)에는 각각의 누름에 대응하는 누름 신호가 발생한다. 그에 따라, 회전롤러(20)에서의 1개의 누름 신호, 그리고 한 쌍의 사이드키(30)에서의 각 1개의 누름 신호가 발생 되어, 전체적으로 3개의 누름 신호가 발생 된다.
이러한 신호에 의하면, 회전롤러(20)에서 발생되는 2개의 회전 신호는 종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메뉴의 스크롤 등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회전롤러(20)에서 발생되는 1개의 누름 신호는 스크롤 중 멈춰진 메뉴의 선택의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사이드키(30)에서 발생되는 2개의 신호는 각각 횡방향의 스크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 사이드키(30)가 회전롤러(20)의 누름 동작과 별개로 누름 동작에 의한 누름 신호를 발생시키므로, 3개의 누름 신호를 발생시킴에 있어서 혼선 및 복잡성이 제거된다.
나아가, 사이드키(30)가 회전롤러(20)가 설치되는 바디(10)에 일체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회전롤러(20) 형태의 입력 부재와 사이드키(30) 형태의 입력 부재를 별도로 형성함에 따른 공간의 낭비가 없어진다. 다시 말해서, 사이드키(30)가 바디(10)에 일부 중첩되게 결합되고 그에 대응하는 스위치(43)가 바디(10)에 바로 붙어서 배치될 수 있어서, 도 1의 실장을 위한 최소 공간(110)과 같은 유휴 공간이 필요 없게 된다. 그에 따라, 휴대성이 강조되는 전자기기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조립 방식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로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60)를 이루는 하부 커버(62)의 내부 공간에는 메인 피씨비(Main Printed Circuit Board, 41')가 설치된다. 이러한 메인 피씨비(41')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제어 회로로서 각종 부품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메인 피씨비(41')에는 입력키(63)에 대응하는 복수의 돔 스위치 (43')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호발생장치의 일부로서 누름신호발생부(40)와 회전신호발생부(50)를 이루는 스위치(43)와 센서부(53, 이상 도 2 역시 참조할 것)는 이러한 메인 피씨비(41')의 상부 측에 장착된다. 스위치(43)와 센서부(53) 위에는 탄성패드(45)가 놓여지고, 그 위에는 바디(10)와 회전롤러(20)와 사이드키(30)의 조립체가 배치되어 결합 된다. 이러한 결합은 메인 피씨비(41')의 결합공(41'a)과 바디(10)의 베이스(13)의 결합공(13d)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이들에 스크류 등의 체결 수단을 삽입하여 결합함에 따라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부 커버(61)를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호발생장치가 장착된 메인 피씨비(41')가 내장되는 하부 커버(62)와 체결한다. 이때, 신호발생장치의 회전롤러(20) 및 사이드키(30)는 상부 커버(61)의 노출공(61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도 6은 도 5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는 단말기 본체가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여 개폐되는 본체부(60)와 폴더부(70)로 구성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체부(60)는 상부 커버(61)와 하부 커버(62)가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결합된 형태로서, 앞서 설명한 신호발생장치는 위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어 상부 커버(61)의 노출공(61a)을 통해 일부가 노출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롤러(20)와 사이드키(30)가 노출된다.
상부 커버(61)의 전면에는 위의 신호발생장치에 더하여 숫자나 문자의 입력 을 가능하게 하는 신호발생장치로서의 입력키(63)가 복수로 장착되며, 소리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64) 또한 구비된다. 하부 커버(62)의 배면에는 본체(60 및 7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5)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된다. 나아가, 본체부(60)의 상측 모서리에는 힌지부(67)가 형성되어, 폴더부(70)의 하부 모서리와 결합 된다.
폴더부(70)는 힌지부(6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면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71)가 배치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71)로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73)가 디스플레이(71)의 상측에 설치되며, 하측에는 폴더부(70)가 본체부(60)에 중첩되게 접힐 때 신호발생장치의 회전롤러(20)와 사이드키(3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공간부(70')가 요입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배치에서, 회전롤러(20)는 본체(60 및 7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제1 축(Ⅰ)을 따라 배치되고, 사이드키(30)는 위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제2 축(Ⅱ)을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71)에 출력되는 복수의 메뉴의 선택 중 횡방향 메뉴(1 내지 5번 메뉴)를 스크롤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이드키(30)를 누르면 된다. 도면상 2개의 사이드키(30)는 각각 좌 또는 우 방향으로 메뉴의 스크롤을 가능하게 한다.
특정의 횡방향 메뉴(2번 메뉴)에 종속된 종방향 메뉴(a 내지 d 메뉴)를 스크롤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롤러(20)를 종방향 위 또는 아래로 회전시키면 된다. 회전롤러(20)는 2개의 회전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2개의 회전 신호는 종방향 위 또는 아래로의 스크롤과 연계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서, 2번 횡방향 메뉴 중 b번 종방향 메뉴에 이르고, 이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롤러(20)를 누름 조작하면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롤러(20)와 사이드키(30)의 높이가 상부 커버(61)보다 낮거나 그와 동일한 수준에 이르게 한다면, 폴더부(70)에 별도의 회피공간부(70')를 형성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또한, 도 6에서는 도 2에서 설명하였던 회로기판(41)이 본체부(60)의 메인 피씨비(41')에 일체화된 형태를 도시하고 그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신호발생장치가 예를 들어 폴더부(70)의 배면{디스플레이부(71)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노출되게 배치된 경우에는, 메인 피씨비(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회로기판(41)을 구비하고 그에 신호발생장치를 설치하면 된다.
나아가, 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발생장치가 적용된 전자기기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아닌 PDA, MP3 플레이어, 전자사전,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에도 본 발명에 따른 신호발생장치가 적용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환기시키고자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호발생장치는 3가 지의 누름 입력에 대한 독립적인 누름신호발생부를 구비함으로써 신호 발생시 혼선 및 복잡성이 제거된다.
나아가, 사이드키가 회전롤러가 장착되는 바디에 일체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별도로 사이드키를 구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비활용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신호발생장치의 콤팩트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는 위와 같은 신호발생장치를 구비함에 따라, 2개의 회전 신호 및 3개의 누름 신호를 신뢰성있게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신호발생장치가 콤팩트화됨에 따라 그를 장착하는 전자기기 또한 콤팩트화되어 전자기기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7)

  1. 중공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바디;
    상기 중공부를 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며,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는 회전롤러;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롤러의 일측단에 상기 회전롤러와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키;
    상기 바디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롤러 및 상기 사이드키 각각의 누름 동작에 의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누름신호발생부; 및
    상기 바디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 동작에 의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전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신호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양측에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키를 상기 바디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선회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회결합부는,
    상기 중공부의 측단에 근접하여, 상기 베이스에 돌출 형성되는 키돌기와;
    상기 키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키에 형성되어, 상기 키돌기가 삽입되어 선회하게 하는 키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신호발생부는,
    상기 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전롤러 및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키에 대응되게 상기 회로기판상에 장착되어, 그들 각각을 탄성 지지하고 각각의 누름 동작에 의한 신호를 상기 회로기판을 통해 발생시키는 누름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발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롤러 및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키의 누름 동작에 따른 클릭감을 제공하는 탄성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발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신호발생부는,
    상기 회전롤러에 장착되며, N극과 S극이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되는 회전자석부와;
    상기 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는 회로기판상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시 상기 회전자석부의 자속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회로기판에 입력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발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신호발생부는,
    상기 회전자석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시 상기 회전자석부와 상호 작용하여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클릭자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발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키는 상기 회전롤러의 길이방향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키들로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키의 선회방향과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발생장치.
  9.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을 따르는 신호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신호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와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키는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됨과 동시에 그들의 상면이 상기 본체의 외면과 일치하거나 그보다 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17. 삭제
KR1020060029923A 2006-02-28 2006-03-31 신호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1123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923A KR101123496B1 (ko) 2006-03-31 2006-03-31 신호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US11/649,800 US7860538B2 (en) 2006-02-28 2007-01-05 Mobile terminal
EP07001192.9A EP1826991B1 (en) 2006-02-28 2007-01-19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EP07001189A EP1826990B1 (en) 2006-02-28 2007-01-19 Mobile terminal
DE102007003270A DE102007003270B4 (de) 2006-02-28 2007-01-23 Mobiles Endgerät
DE102007003269A DE102007003269A1 (de) 2006-02-28 2007-01-23 Eingabevorrichtung für ein elektronisches Gerät und damit ausgestattetes elektronisches Gerät
BRPI0700265-3A BRPI0700265A (pt) 2006-02-28 2007-02-12 dispositivo de entrada para um dispositivo eletrÈnico e dispositivo eletrÈnico dotado do mesmo
BRPI0700399-4A BRPI0700399A (pt) 2006-02-28 2007-02-13 terminal móvel
RU2007105768/09A RU2335029C1 (ru) 2006-02-28 2007-02-15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для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ме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JP2007046307A JP5184793B2 (ja) 2006-02-28 2007-02-26 電子機器用入力デバイス及びこれを含む電子機器
MX2007002304A MX2007002304A (es) 2006-02-28 2007-02-26 Terminal movil.
JP2007046310A JP5179071B2 (ja) 2006-02-28 2007-02-26 移動通信端末機
MX2007002303A MX2007002303A (es) 2006-02-28 2007-02-26 Dispositivo de entrada para un dispositivo electronico y dispositivo electronico que tiene el mismo.
CN2007100843017A CN101030497B (zh) 2006-02-28 2007-02-27 用于电子设备的输入设备以及具有该输入设备的电子设备
RU2007107413/09A RU2331132C1 (ru) 2006-02-28 2007-02-27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US11/711,662 US7996050B2 (en) 2006-02-28 2007-02-28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2007100850612A CN101030986B (zh) 2006-02-28 2007-02-28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923A KR101123496B1 (ko) 2006-03-31 2006-03-31 신호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367A KR20070098367A (ko) 2007-10-05
KR101123496B1 true KR101123496B1 (ko) 2012-03-23

Family

ID=38804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923A KR101123496B1 (ko) 2006-02-28 2006-03-31 신호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4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9533B (zh) * 2020-11-06 2024-03-08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其旋转发电式按压按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8540A (ja) 1997-09-04 1999-06-22 Nokia Mobile Phones Ltd ハンドセット用ナビゲーション・キーを備えた携帯電話機
JP2002245902A (ja) * 2001-02-16 2002-08-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サイドスイッチ付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
JP2005123130A (ja) * 2003-10-20 2005-05-12 Omron Corp 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5259137A (ja) * 2004-03-10 2005-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機能選択スイッチを備えたスクロールキ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8540A (ja) 1997-09-04 1999-06-22 Nokia Mobile Phones Ltd ハンドセット用ナビゲーション・キーを備えた携帯電話機
JP2002245902A (ja) * 2001-02-16 2002-08-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サイドスイッチ付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
JP2005123130A (ja) * 2003-10-20 2005-05-12 Omron Corp 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5259137A (ja) * 2004-03-10 2005-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機能選択スイッチを備えたスクロールキ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367A (ko) 200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35029C1 (ru)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для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ме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JP4175007B2 (ja) 回転操作型入力装置
JP4305212B2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4485103B2 (ja) 携帯端末装置
JP4584210B2 (ja) 電子機器
JP2007173111A (ja) 電子機器
JP4995008B2 (ja) 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265591B2 (ja) ラバーキー装置、携帯端末、及び画像処理装置
WO2006129768A1 (ja) 積層型携帯端末
JP4932385B2 (ja) 携帯電子機器
JP2009159416A (ja) 電子機器
KR101123496B1 (ko) 신호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0783469B1 (ko) 모바일 기기
KR100797673B1 (ko) 모듈형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원격조정기
JP2008054141A (ja) 電子機器
KR20070002480A (ko) 네비게이션 키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85218B1 (ko) 로테이션 앤 클릭 타입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데이터 입력 방법
JP5157725B2 (ja) 携帯端末装置
CN101030497B (zh) 用于电子设备的输入设备以及具有该输入设备的电子设备
JP2005228040A (ja) 静電容量式フォースセンサの操作機構
JP2008054143A (ja) 電子機器
KR100783470B1 (ko) 모바일 기기
KR20090107684A (ko) 회전형 입력장치
JP5047677B2 (ja) 電子機器
JP4566016B2 (ja) 小型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