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2480A - 네비게이션 키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 키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2480A
KR20070002480A KR1020050058033A KR20050058033A KR20070002480A KR 20070002480 A KR20070002480 A KR 20070002480A KR 1020050058033 A KR1020050058033 A KR 1020050058033A KR 20050058033 A KR20050058033 A KR 20050058033A KR 20070002480 A KR20070002480 A KR 20070002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odule
navigation key
signal processing
mobile communication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58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2480A/ko
Publication of KR20070002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여 이동함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스크롤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 상기 네비게이션 키 모듈 주변에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입력 키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간편하고 신속하게 메뉴의 검색 및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동통신단말기, 네비게이션키모듈, 압력감지센서, 정전기감지센서, 스크롤

Description

네비게이션 키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Navigation key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네비게이션 키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네비게이션 키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A - 이동통신 단말기 100 - 제 1몸체
200 - 제 2몸체 210 - PCB
300 - 네비게이션 키모듈 310 - 감지수단
311 - 접촉면 312 - 감지센서
320 - 방진수단 321 - 안착부
322 - 고정돌기 330 - 신호처리PCB
331 - 스위치 340 - 연결수단
341 - 제 1연결부 342 - 제 2연결부
350 - 모듈 하우징 351 - 안착판
352 - 고정편 352a - 고정공
400 - 입력 키모듈 410 - 메탈돔
421 - 접지돌기 420 - 키패드 러버
430 - 입력버튼 431 - 센터키
432 - 기능키 310a,320a,330a,350a - 조립공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방향키로 사용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을 개선하여 다양한 검색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키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더욱 다양화되어 가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 임이나 인터넷 검색, E-mail 수신 및 발신, 대금결제 등 다양한 기능이 일반화 되어 있으며, 이러한 다양화 및 액정화면의 대형화로 많은 정보의 검색이 필수화 되었고, 이에 따라 각종 기능들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단말기에는 방향키로 사용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네비게이션 키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30)은 단말기 내부에 설치된 PCB(10)의 소정위치에 인쇄된 탄소접점부에 설치되는 메탈돔(11)과, 상기 메탈돔(11)을 가압함으로써, 신호가 입력되도록 저면에는 상기 메탈돔(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접지돌기(21)들이 구비되는 키패드러버(20)와, 상기 키패드 러버(20)에 구비된 접지돌기(21)들을 가압하도록 상/하/좌/우의 네방향에 소정의 압입부(31a)(31b)(31c)(31d)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네비키(31)로 구성되어 상기 네비키(31)에 구비된 압입부(31a)(31b)(31c)(31d)을 압입하면 상기 압입되는 압입부(31a)(31b)(31c)(31d)에 해당되는 접지돌기(21)가 메탈돔(11)을 누름으로써, 신호가 인가되어 방향이 이동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네비게이션 키모듈(30)은 단말기의 각종 메뉴들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네비키의 상/하/좌/우에 구비된 각각의 압입부를 압입해야 하는 조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많은 불편함을 가지게 된다.
또한, 최근에 출시되는 단말기에는 다양한 기능의 메뉴(MP3, 지도검색)를 구 비하고 있지만, 이러한 기능을 기존의 방식으로 사용하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이동시키거나 선택시 많은 동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에 스크롤 이동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메뉴검색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여 이동함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스크롤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 상기 네비게이션 키 모듈 주변에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입력 키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키모듈은, 소정의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에 접촉 이동됨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안착부를 구비한 방진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단말기의 각종 메뉴 이동방식을 스크롤 이동방식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PCB와; 상기 감지수 단과 신호처리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연결부와, 상기 신호처리PCB를 단말기 몸체 내부에 설치된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연결부로 구성되는 연결수단과; 상기 각각의 구성품들을 수납 고정시키는 모듈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센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압력의 변화차를 이용하는 압력 감지센서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정전기의 변화차를 이용하는 정전기 감지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PCB의 하부에는, 상기 감지수단의 접촉면 일부를 압입함으로써, 개별적으로 동작되는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신호처리PCB의 하부에 상/하/좌/우의 네방향에 각각 배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감지수단의 접촉면 일부를 압입함에 따라 발생되는 압지력에 의해 신호처리PCB가 모듈 하우징의 바닥면과 접촉되어 눌려짐에 따라 스위치가 동작되도록 하는 택트 스위치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듈 하우징의 둘레에는 고정공을 구비하는 고정편이 2개소 이상의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방진수단의 둘레에는 상기 모듈 하우징에 형성된 고정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편의 고정공과 결합되어 고정되기 위한 고정돌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키모듈은 중앙이 관통되도록 상기 네비게이션 키모듈을 구성하는 각 구성품들의 중앙에는 조립공을 형성하고; 상기 입력 키모듈은, 단말기 몸체 내부에 장착된 PCB 상의 소정위치에 인쇄된 탄소접점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메탈돔과, 상기 메탈돔을 가압함으로써 신호가 입력되도록 저면에는 상기 메탈 돔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접지돌기들을 구비하는 키패드 러버와, 상기 키패드 러버에 구비된 접지돌기들의 대향면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개별적으로 동작되는 다수의 입력버튼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입력버튼은 상기 네비게이션 키모듈의 조립공을 통하여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센터키와, 상기 네비게이션 키모듈의 둘레면에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기능키로 구분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키모듈은, 각종 전자제품에 방향키로 사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각종 전자제품의 내부에 장착된 PCB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 이동함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스크롤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키모듈은, 소정의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에 접촉 이동됨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안착부를 구비한 방진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각종 전자제품의 메뉴 이동방식을 스크롤 이동방식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PCB와; 상기 감지수단과 신호처리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연결부와, 상기 신호처리PCB를 전자제품의 내부에 설치된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연결부로 구성되는 연결수단과; 상기 각각의 구성품들을 수납 고정시키는 모듈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센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압력의 변화차를 이용하는 압력 감지센서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정전기의 변화차를 이용하는 정 전기 감지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PCB의 하부에는, 상기 감지수단의 접촉면 일부를 압입함으로써, 개별적으로 동작되는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신호처리PCB의 하부에 상/하/좌/우의 네방향에 각각 배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감지수단의 접촉면 일부를 압입함에 따라 발생되는 압지력에 의해 신호처리PCB가 모듈 하우징의 바닥면과 접촉되어 눌려짐에 따라 스위치가 동작되도록 하는 택트 스위치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듈 하우징의 둘레에는 고정공을 구비하는 고정편이 2개소 이상의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방진수단의 둘레에는 상기 모듈 하우징에 형성된 고정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편의 고정공과 결합되어 고정되기 위한 고정돌기가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A)에 구비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300)은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여기서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된 상태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A)는 제 1몸체(100)와, 상기 제 1몸체(100)의 전면에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 2몸체(200)와, 상기 제 2몸체(200)의 전면에 설치되는 네비게이션(300) 키모듈 및, 상기 네비게이션 키모듈(300) 주변에 배열 설치되는 입력 키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몸체(100)는 내부에 PCB 등의 전자소자들이 장착 가능하도록 함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에는 문자나 기호의 신호입력을 위한 키패드와, 음성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송화부를 구비하고, 후면에는 단말기의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제 2몸체(200)는 상기 제 1바디(100)의 전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상기 제 1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PCB와 연계되는 PCB(210)가 설치되며, 전면에는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액정화면과,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수화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2몸체(200)에는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각종 기능들을 활용하기 위한 방향키로 사용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300)이 설치된다.
상기 네비게이션 키모듈(300)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 이동함에 따라 단말기(A)의 각종 메뉴를 스크롤링하여 이동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키모듈(300)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네비게이션 키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A)에 구비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300)은 감지수단(310)과, 방진수단(320)과, 신호처리PCB(330)와, 연결수단(340) 및, 모듈하우징(350)으로 구성된다.
감지수단(310)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어 문지름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접촉면(311)을 구비하는 원통형으로, 내부에는 상기 접촉면(311)에 접촉되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12)가 내장된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312)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면을 접촉하여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의 변화차를 이용하여 스크롤링이 가능하도록 압력감지센서를 사용하거나,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부와의 접촉시 발생되는 정전기의 변화차를 이용하여 스크롤 입력이 가능하도록 정전기 감지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방진수단(320)은, 물리적인 힘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한 감지수단(310)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방진수단(320)은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스폰지의 재질을 가지며, 내부에는 상기 감지수단(31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안착부(321)가 구비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방진수단(320)의 둘레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돌기(322)가 돌출 형성된다.
신호처리PCB(330)는, 상기 감지수단(310)으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단말기(A)의 각종 메뉴 이동방식을 스크롤 이동방식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신호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신호처리PCB(330)는 상면에 상기 방진수단(320)이 안착되도록 밋밋한 평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처리PCB(330)의 상면에 양면테이프(미도시)를 이용하여 방진수단(320)의 하부에 부착된다.
연결수단(340)은, 상기 감지수단(310)과 신호처리PCB(330) 및 제 2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PCB(2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수단(340)은 상기 감지수단(31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신호처리PCB(330)로 전달하는 제 1연결부(341)와, 상기 신호처리PCB(341)에서 처리된 신호를 제 1몸체(200)의 내부에 설치된 PCB(210)로 전달하는 제 2연결부(342)로 구분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연결부(341)와, 제 2연결부(342)는 케이블 또는 FPC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연결부(341)와 제 2연결부(342)의 끝단에 각각 커넥터를 설치하고, 상기 커넥터와 대응되는 커넥터를 감지수단(310)과, 단말기 내부에 설치된 PCB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서로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다양한 형태와 종류를 가질 수 있지만, 제 1연결부(341)는 ZIP커넥터에 의해 연결되고, 제 2연결부(342)는 B to B컨넥터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듈 하우징(350)은, 상기 각각의 구성품들이 모듈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모듈 하우징(350)은, 상기 각각의 구성품들을 순차적으로 안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착판(351)과, 상기 안착판(351)의 둘레면에 형성되며, 상기 방진수단(320)의 둘레면에 구비된 다수의 고정돌 기(322)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돌기(322)와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공(352a)을 구비하는 고정편(352)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고정돌기(322)와 고정편(352)의 결합에 따라 상기 각각의 구성품들이 모듈화 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감지수단(310)의 접촉면(311)에 접촉됨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를 신호처리PCB(330)에서 처리하여 단말기 내부에 설치된 PCB측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가락을 감지수단(310)의 접촉면(311)에 접촉한 상태에서 문지르게 되면, 단말기의 각종 메뉴는 스크롤링 되면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키모듈(300)을 구성하는 감지수단(310)과, 방진수단(320)과, 신호처리PCB(330)와, 모듈하우징(350)에는 중앙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조립공(310a)(320a)(330a)(350a)이 구비된다. 상기 조립공(310a)(320a)(330a)(350a)은 후술될 입력 키모듈(400)을 구성하는 센터키(431)가 장착되기 위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네비게이션 키모듈(300)은 메뉴가 스크롤링에 의해 이동될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개별적인 이동도 가능하다. 이는, 상기 신호처리PCB(330)의 저면에 개별적으로 동작되는 다수의 스위치(331)를 설치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즉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택트스위치를 상기 신호처리PCB(330)의 저면 상/하/좌/우의 네방향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상기 감지수단(310)의 접촉면(311) 일부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신호처리PCB(330)가 모듈하우징(350)의 안착판(351)에 눌려지면서 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A)에는 상기 네비게이션 키모듈(300)을 이용하여 스크롤된 메뉴를 선택하거나, 또는 각종 메뉴로 직접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정의 입력 키모듈(400)이 구비된다.
상기 입력 키모듈(400)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단말기(A) 내부에 설치된 PCB상의 소정위치에 인쇄된 탄소접점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메탈돔(410)과, 상기 메탈돔(410)을 가압함으로써 신호가 입력되도록 저면에는 상기 메탈돔(410)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접지돌기(421)들을 구비하는 키패드 러버(420)와, 상기 키패드 러버(420)에 구비된 접지돌기(421)들의 대향면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개별적으로 동작되는 다수의 입력버튼(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버튼(430)은 상기 네비게이션 키모듈(300)의 중앙에 구비된 조립공(310a)(320a)(330a)(350a)을 통하여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센터키(431)와, 상기 네비게이션 키모듈(300)의 주변에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기능키(432)로 구분되어 상기 센터키(431)는 네비게이션 키모듈(300)을 이용하여 스크롤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기능키(432)는 단말기(A)의 기능으로 직접 진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메뉴 검색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A)에 구비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300)은 동일한 개념으로 MP3,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전자수첩, 전자사전, PDA, 노트북 등의 모든 전자제품의 방향 이동키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가락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문지르는 스크롤 이동방식을 제공하기 때문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메뉴의 검색 및 선택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기존의 메뉴 이동 및 선택방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어 기존 방식에 익숙해져 있는 사용자에게 상이한 느낌을 주기 않으며, 압력 또는 정전기 감지센서의 신호처리와, 택트 스위치의 입력신호처리를 하나의 FPCB로 단말기 본체의 PCB에 전달 함으로써, 독립적인 모듈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7)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여 이동함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스크롤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
    상기 네비게이션 키 모듈 주변에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입력 키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키모듈은,
    소정의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에 접촉 이동됨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안착부를 구비한 방진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단말기의 각종 메뉴 이동방식을 스크롤 이동방식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PCB와;
    상기 감지수단과 신호처리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연결부와, 상기 신호처리PCB를 단말기 몸체 내부에 설치된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연결부로 구성되는 연결수단과;
    상기 각각의 구성품들을 수납 고정시키는 모듈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센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압력의 변화차를 이용하는 압력 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센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정전기의 변화차를 이용하는 정전기 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PCB의 하부에는,
    상기 감지수단의 접촉면 일부를 압입함으로써, 개별적으로 동작되는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신호처리PCB의 하부에 상/하/좌/우의 네방향에 각각 배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감지수단의 접촉면 일부를 압입함에 따라 발생되는 압지력에 의해 신호처리PCB가 모듈 하우징의 바닥면과 접촉되어 눌려짐에 따라 스위치가 동작되도록 하는 택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하우징의 둘레에는 고정공을 구비하는 고정편이 2개소 이상의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방진수단의 둘레에는 상기 모듈 하우징에 형성된 고정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편의 고정공과 결합되어 고정되기 위한 고정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키모듈에는 중앙이 관통되도록, 상기 네비게이션 키모듈을 구성하는 각 구성품들의 중앙에는 조립공을 형성하고;
    상기 입력 키모듈은, 단말기 몸체 내부에 장착된 PCB의 소정위치에 인쇄된 탄소접점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메탈돔과, 상기 메탈돔을 가압함으로써 신호가 입력되도록 저면에는 상기 메탈돔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접지돌기들을 구비하는 키패드 러버와, 상기 키패드 러버에 구비된 접지돌기들의 대향면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개별적으로 동작되는 다수의 입력버튼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입력버튼은 상기 네비게이션 키모듈의 조립공을 통하여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센터키와, 상기 네비게이션 키모듈의 둘레면에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기능키로 구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각종 전자제품에 방향키로 사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각종 전자제품의 내부에 장착된 PCB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 이동함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스크롤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
  11. 상기 네비게이션 키모듈은,
    소정의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에 접촉 이동됨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안착부를 구비한 방진수단 과;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각종 전자제품의 메뉴 이동방식을 스크롤 이동방식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PCB와;
    상기 감지수단과 신호처리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연결부와, 상기 신호처리PCB를 전자제품의 내부에 설치된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연결부로 구성되는 연결수단과;
    상기 각각의 구성품들을 수납 고정시키는 모듈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센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압력의 변화차를 이용하는 압력 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센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정전기의 변화차를 이용하는 정전기 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PCB의 하부에는,
    상기 감지수단의 접촉면 일부를 압입함으로써, 개별적으로 동작되는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신호처리PCB의 하부에 상/하/좌/우의 네방향에 각각 배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감지수단의 접촉면 일부를 압입함에 따라 발생되는 압지력에 의해 신호처리PCB가 모듈 하우징의 바닥면과 접촉되어 눌려짐에 따라 스위치가 동작되도록 하는 택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하우징의 둘레에는 고정공을 구비하는 고정편이 2개소 이상의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방진수단의 둘레에는 상기 모듈 하우징에 형성된 고정편과 대응되는 위 치에 상기 고정편의 고정공과 결합되어 고정되기 위한 고정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키모듈.
KR1020050058033A 2005-06-30 2005-06-30 네비게이션 키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02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033A KR20070002480A (ko) 2005-06-30 2005-06-30 네비게이션 키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033A KR20070002480A (ko) 2005-06-30 2005-06-30 네비게이션 키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480A true KR20070002480A (ko) 2007-01-05

Family

ID=3786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033A KR20070002480A (ko) 2005-06-30 2005-06-30 네비게이션 키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248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448B1 (ko) * 2001-02-15 2007-03-23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단말기의 버튼 동작구조
KR101119285B1 (ko) * 2010-01-11 2012-03-20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용 레이져 네비게이션 모듈
KR101339942B1 (ko) * 2007-02-27 2013-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448B1 (ko) * 2001-02-15 2007-03-23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단말기의 버튼 동작구조
KR101339942B1 (ko) * 2007-02-27 2013-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KR101119285B1 (ko) * 2010-01-11 2012-03-20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용 레이져 네비게이션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5501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touch-screen locking unit
EP0947910B1 (en) A palm-sized computer assembly
US8125446B2 (en) Input device for inputting a signal into an electronic apparatus
WO2003028000A1 (en) Adaptable keypad and button mechanism therefor
US8772652B2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WO2007088642A1 (ja) 携帯端末装置
KR20070002480A (ko) 네비게이션 키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4984667B2 (ja) 電子機器の操作スイッチ及び操作制御方法
US20030011971A1 (en) Keyboard unit
US7970431B2 (en) Removable trackball for a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70063353A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EP2093649B1 (en) Trackball socket for a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783469B1 (ko) 모바일 기기
JP4512606B2 (ja) バッファを備える携帯端末機
KR200412587Y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US8243457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CN101118814B (zh) 具有显示器的四路翘板开关
KR101123496B1 (ko) 신호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WO2003012918A1 (fr) Commutateur d'antennes et appareil portable
JP5293796B2 (ja) 電子機器の操作スイッチ及び操作制御方法
CN114823196A (zh) 电子设备及其按键组件
KR100597744B1 (ko) 측부에 마련된 스크롤 휠을 갖는 휴대용 컴퓨터
US8154883B2 (en) Navigation tool socket for a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90107684A (ko) 회전형 입력장치
KR20060017147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다기능 조작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