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577B1 - 레일차량 - Google Patents

레일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577B1
KR101120577B1 KR1020100035191A KR20100035191A KR101120577B1 KR 101120577 B1 KR101120577 B1 KR 101120577B1 KR 1020100035191 A KR1020100035191 A KR 1020100035191A KR 20100035191 A KR20100035191 A KR 20100035191A KR 101120577 B1 KR101120577 B1 KR 101120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rotrusion
door stop
sliding door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8770A (ko
Inventor
히카루 다카하시
에이지 하라다
고이치 후지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10068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57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에 출입을 위하여 구비되는 슬라이딩 도어와 슬라이딩 도어의 대향면에 약간 간극이 생긴 경우에도, 빗물 등이 철도차량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경감?방지함과 동시에, 도어를 닫았을 때에 슬라이딩 도어와 슬라이딩 도어의 대향면에 신체의 일부가 끼어도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철도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어 멈춤 고무(100)는, 기초부(100b)의 두께방향[화살표(330)]의 중앙부에 도어 닫음방향[화살표(310a)]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100a)를 구비하고, 돌기부(100a)의 내부에는 공간(100c)이 형성된다. 한쪽의 도어 멈춤 고무와 대향하는 다른쪽의 도어 멈춤 고무(110)는, 도어 멈춤 고무(110)의 두께방향[화살표(330)]의 양쪽 끝부에 도어 닫음방향[화살표(310b)]을 향하여 돌출하는 벽부(110c, 110c)와 중앙의 돌기부(110a)를 구비한다. 도어 멈춤 고무(100)의 돌기부(100a)의 돌출량(H3)은, 도어 멈춤 고무(110)의 벽부(110c)의 돌출량(H2)에서 돌기부(110a)의 돌출량(H1)을 뺀 양보다 크게 설정된다.

Description

레일차량{RAIL VEHICLE}
본 발명은, 승객이 출입하는 출입구부에 슬라이딩 도어와 그 도어 멈춤부에 제공되는 도어 멈춤 고무를 구비한 레일차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 레일차량에 승객이 출입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딩 도어장치에는, 슬라이딩 도어가 닫혔을 때에, 슬라이딩 도어와 슬라이딩 도어의 대향면에 승객의 신체의 일부가 끼임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거나, 또는 승객의 의류 또는 우산이나 가방 등의 승객의 소유품이 끼었을 때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장해물 검지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레일차량이란 지상에 설치되는 궤도 또는 가이드를 따라서 차량이 주행하는 교통수단에 제공되는 차량으로서, 철도차량, 노면전차, 모노레일, 신교통 시스템 등에 제공되는 차량이다. 이하, 레일차량의 대표로서 철도차량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슬라이딩 도어장치는, 주로 철도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 또는 한쪽만의 슬라이딩 도어와, 이 슬라이딩 도어의 상단부를 이동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레일과, 슬라이딩 도어를 이동시키는 도어 엔진을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딩 도어장치는, 도어 엔진에 사용되는 동력원의 종류에 따라, 압축 공기를 사용하는 공기식, 전동기를 사용하는 전기식으로 크게 구별된다. 공기식의 경우는, 슬라이딩 도어를 닫았을 때에 공기압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상시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전기식의 경우는,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의 전동기에는 통전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기계적인 자물쇠 잠금 기구에 의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 상태가 유지된다.
장해물 검지방법으로서는, 상기한 전동기의 전류를 검지하여 장해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전기식이나, 장해물이 끼었을 때에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속도가 저하하는 것을 검지하는 슬라이딩 도어 개방 속도 검지방식, 도어 멈춤 고무부 센서 검출방식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장해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정밀도는 전기식이 우수하다고 되어 있다. 도어 멈춤 고무부 센서 검출방식의 일례로서, 대향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의 대향면에 구비된 도어 멈춤 고무에 봉입된 공기의 압력 변화를 압력센서로 검지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를 닫았을 때에 장해물이 낀 상태(문 끼임 상태)를 검지하는 기술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7은, 슬라이딩 도어(30, 30)의 도어 멈춤부(35, 35)에 구비된 종래의 도어 멈춤 고무(105, 115)이다. 도어 멈춤 고무(105, 115)의 근원부는, 슬라이딩 도어(30, 30)의 대향면에 슬라이딩 도어의 길이방향(연직방향)을 따라서 구비되는 홈에 끼워 넣어 고정된다. 도어 멈춤 고무(105, 115)의 단면형상은 선단부(대향부)가 반원형상임과 동시에, 내부의 선단 가까이에 공간(105a, 115a)을 구비하기 때문에, 도어 멈춤 고무(105, 115) 사이에 장해물이 끼었을 때이어도 장해물을 제거할 때에 도어 멈춤 고무(105, 115)가 용이하게 변형되기 때문에, 장해물을 도어 멈춤 고무(105, 115) 사이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어 멈춤 고무(105, 115)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도어(30, 30)가 공기식 도어 엔진에 의하여 개폐되는 경우, 공기압에 의하여 도어 멈춤 고무의 대향면이 상시 가압되기 때문에, 도어 멈춤 고무(105, 115)의 대향면에 간극이 생기기 어렵고, 빗물 등이 철도차량 내부로 침입할 가능성은 작아 문제없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전기식 도어 엔진이 채용되는 경우에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기계적으로 자물쇠를 잠그기 때문에, 상기한 기계적 자물쇠 잠금 기구에 기인하는 유간(遊間)에 따라, 도어 멈춤 고무(105, 115)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 때문에, 빗물 등이 철도차량의 내부로 침입하지 않도록 연구할 필요가 있다.
전기식 슬라이딩 도어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기계적인 자물쇠 잠금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자물쇠 잠금 기구는, 원활하게 자물쇠를 잠그기 위하여 자물쇠 잠금 기구의 내부에 유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어 멈춤부에 구비된 도어 멈춤 고무끼리의 대향면의 사이, 또는,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과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멈춤면의 사이에, 상기한 유간에 기인하는 간극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간극으로부터 빗물 등이 철도차량의 내부로 침입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멈춤부에 구비되는 도어 멈춤 고무의 형상을 연구하여, 도어 멈춤 고무끼리의 대향면에 간극이 생긴 경우이어도, 빗물 등의 철도차량의 내부로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철도차량의 사이드 슬라이딩 도어를 구성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각 도어 멈춤부에, 그 높이방향을 따라서 도어 멈춤 고무가 설치되어 있고, 한쪽의 도어 멈춤 고무는 한쪽의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멈춤부에 설치된 홈에 끼워 넣어지는 기초부와, 이 기초부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다른쪽의 슬라이딩 도어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다른쪽의 도어 멈춤 고무는 다른쪽의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멈춤부에 설치된 홈에 끼워 넣어지는 기초부와, 이 기초부의 폭방향의 양쪽 끝부에서 한쪽의 상기 슬라이딩 도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벽부를 구비하고 있다.
가령, 전기식 도어 엔진에 구비되는 기계적 자물쇠 잠금 기구의 유간(도시 생략)에 기인하는 간극이 도어 멈춤 고무의 대향부에 생겼다고 하여도, 도어 멈춤 고무의 대향부에 형성되는 간극은 굴곡한 것이 되기 때문에, 빗물 등의 철도차량 내부로의 침입이 억제된다.
그러나, 상기한 도어 멈춤 고무는,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지 않는 솔리드로 성형되어 있었기 때문에, 도어 멈춤 고무가 변형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도어 멈춤 고무의 대향면에 끼인 승객의 소유물, 또는, 신체의 일부를 용이하게 뺄 수 있도록, 부상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8-1303호 공보
그래서, 승객이 출입하는 철도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멈춤부에 구비되는 도어 멈춤 고무에 있어서, 철도차량 내부로의 빗물 침입을 경감하는 것과, 도어가 닫힐 때에 슬라이딩 도어의 대향면에 승객의 신체가 끼었을 경우의 안전성을 양립하는 점에 있어서 개선해야 할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이 출입하는 철도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멈춤부에 구비되는 도어 멈춤 고무에 있어서, 철도차량 내부로의 빗물 침입의 경감과, 도어가 닫힐 때에 슬라이딩 도어의 대향면에 승객의 신체가 끼었을 경우의 안전성을 양립할 수 있는 도어 멈춤 고무를 구비한 철도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레일차량은, 출입구부에 1세트의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슬라이딩 도어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한쪽 및 다른쪽의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각각의 도어 멈춤부에 높이방향을 따라서 도어 멈춤 고무가 설치되어 있는 레일차량으로서, 한쪽의 상기 도어 멈춤 고무는, 한쪽의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기 도어 멈춤부에 설치된 홈에 끼워 넣어지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다른쪽의 슬라이딩 도어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돌기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의 상기 도어 멈춤 고무는, 다른쪽의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기 도어 멈춤부에 설치된 홈에 끼워 넣어지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폭방향의 양쪽 끝부에서 한쪽의 상기 슬라이딩 도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벽부와, 상기 기초부의 폭방향의 중앙부에서 한쪽의 상기 슬라이딩 도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고, 한쪽의 상기 도어 멈춤 고무의 상기 기초부에서 상기 돌기부의 선단부까지의 돌출량이, 다른쪽의 상기 도어 멈춤 고무의 상기 기초부에서 상기 벽부의 선단부까지의 돌출량에서, 상기 다른쪽의 도어 멈춤 고무의 상기 기초부에서 상기 돌기부의 선단부까지의 돌출량을 뺀 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레일차량은, 출입구부에 출입구 프레임과 상기 출입구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슬라이딩 도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멈춤부와 상기 도어 멈춤부에 면하는 상기 출입구 프레임에 높이방향을 따라서 각각 도어 멈춤 고무가 설치되어 있는 레일차량으로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기 도어 멈춤부에 구비되는 한쪽의 상기 도어 멈춤 고무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기 도어 멈춤부에 설치된 홈에 끼워 넣어지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상기 출입구 프레임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돌기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입구 프레임에 구비되는 다른쪽의 상기 도어 멈춤 고무는, 상기 출입구 프레임의 도어 멈춤부에 설치된 홈에 끼워 넣어지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폭방향의 양쪽 끝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벽부와, 상기 기초부의 폭방향의 중앙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구비되는 상기 도어 멈춤 고무의 상기 기초부에서 상기 돌기부의 선단부까지의 돌출량이, 상기 출입구 프레임에 구비되는 다른쪽의 상기 도어 멈춤 고무의 상기 기초부에서 상기 벽부의 선단부까지의 돌출량에서, 다른쪽의 상기 도어 멈춤 고무의 상기 기초부에서 상기 돌기부의 선단부까지의 돌출량을 뺀 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한 도어 멈춤 고무를 구비하는 철도차량은, 도어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빗물 등이 차내에 침입하는 것을 경감?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슬라이딩 도어가 닫혔을 때에 슬라이딩 도어끼리의 대향면 사이, 또는 슬라이딩 도어와 출입구 프레임의 사이에 승객의 신체의 일부가 끼인 경우에도 안전성을 유지?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어 멈춤 고무를 가지는 슬라이딩 도어장치를 구비하는 레일차량을, 그 지붕부를 생략하고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B부를 A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슬라이딩 도어장치를 열림 상태로 나타내는 C-C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슬라이딩 도어장치를 닫힘 상태로 나타내는 C-C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슬라이딩 도어장치의 슬라이딩 도어를 닫았을 때에 그 대향면에 간극이 생겼을 때의 모양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나타내는 슬라이딩 도어장치에서 닫음 시에 도어 멈춤 고무와의 사이에 손가락이 끼인 모습(도 2의 C-C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장치(도 2의 C-C 단면 상당)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어 멈춤 고무를 가지는 슬라이딩 도어장치를 구비한 철도차량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도어 멈춤 고무를 가지는 슬라이딩 도어장치를 구비한 철도차량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철도차량(10)은, 그 내부를 나타내기 위하여 지붕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철도차량(10)은, 그 길이방향을 따르는 한쪽 측에 3군데의 출입구부(20)를 구비한다. 도 1에서 B로 나타내는 출입구부(20)는, 철도차량(10)을 구성하는 사이드 구조체(도시 생략)에 구비된 도어포켓(40, 40)과 슬라이딩 도어(30, 30) 등으로 구성된다. 출입구부(20)의 근방의 차 안쪽에는 의자(50), 난간(도시 생략) 등이 구비된다.
도 2는, 도 1의 B부를 A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에서는, 슬라이딩 도어(30)와 도어 닫음장치(60) 및 지지부(70)의 위치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이드 구조체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각 출입구부(20)(도 1)에 구비되는 1세트의 슬라이딩 도어(30a, 30b)는 그 상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부(70, 70)를 거쳐 사이드 구조체에 고정된 레일(도시 생략)에 지지됨과 동시에, 지지부(70)는 도어 닫음장치(60)에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도어 닫음장치(60)는 슬라이딩 도어(30a, 30b)의 개폐 동작을 담당하는 기기이고, 동력원에 의하여 전기식과 공기식으로 크게 구별된다. 슬라이딩 도어(30a, 30b)를 닫았을 때의 대향하는 도어 멈춤부(35)에는 도어 멈춤 고무(100, 110)가 구비되어 있고, 도어 닫음 동작시의 완충 기능의 일부를 담당한다.
전기식 도어 닫음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는 리니어 모터 또는 볼나사와 전동기의 회전축에 접속된 스플라인의 조합 등이고, 공기식의 그것들은 공기 배관과 실린더이다. 전기식은, 전력을 도어 닫음장치(60)에 공급하는 배선만을 시공하면 되기 때문에 의장(艤裝)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전력의 공급이 끊겼을 때의 도어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기계적 자물쇠 잠금 기구를 추가 설치할 필요가 있다. 한편, 공기식은 도어 닫음장치(60)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배관을 철도차량(10)에 시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의장공정이 커지기 쉬우나, 도어 닫음 동작에 사용한 공기압에 의하여 상시 도어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도 2의 C-C 단면으로서, 슬라이딩 도어(30a, 30b)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슬라이딩 도어(30a, 30b)의 도어 멈춤부(35, 35)에는, 그 높이방향을 따라서 도어 멈춤 고무(100, 110)가 설치되어 있고, 각 도어 멈춤부(35)의 수직면에는, 도어 멈춤 고무(100, 110)의 근원부분이 끼워 넣어지는 홈이 시공되어 있다.
한쪽의 도어 멈춤 고무(100)의 길이방향 수직 단면 형상은, 도어 멈춤 고무(100)의 기초부(100b)의 두께방향[화살표(330)]의 중앙부에 있어서, 기초부(100b)로부터 도어 닫음방향[화살표(310a)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량(H3)으로 돌출하는 돌기부(100a)가 구비됨과 동시에, 돌기부(100a)의 내부에는 공간(100c)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쪽의 도어 멈춤 고무(110)의 길이방향 수직단면 형상은, 도어 멈춤 고무(110)의 기초부(110b)의 두께방향[화살표(330)로 나타내는 방향]의 양쪽 끝부에, 도어 닫음방향[화살표(310b)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량(H2)으로 돌출하는 벽부(110c, 110c)를 구비함과 동시에, 기초부(110b)의 두께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기초부(110b)에서 돌출량(H1)으로 돌출하는 돌기부(110a)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부(110a) 및 벽부(110c)는 모두 솔리드이다. 돌기부(100a)의 돌출량(H3)은, 벽부(110c)의 돌출량(H2)에서 돌기부(110a)의 돌출량(H1)을 뺀 양보다 크다.
도 4는, 도 2의 C-C 단면으로서, 슬라이딩 도어(30a, 30b)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슬라이딩 도어(30a, 30b)가 닫혔을 때, 도어 멈춤 고무(100)의 기초부(100b)의 두께방향의 양쪽 끝부에, 도어 멈춤 고무(110)의 벽부(110c, 11Oc)의 선단부가 부딪친다. 도어 멈춤 고무(100)의 돌기부(100a)의 돌출 높이(H3)는, 벽부(110c)의 돌출량(H2)으로부터 돌기부(110a)의 돌출량(H1)을 뺀 양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도 3 참조), 도어 멈춤 고무(100)의 돌기부(100a)는, 도어 멈춤 고무(110)의 돌기부(110a)에 부딪쳐 다시 슬라이딩 도어(30a) 쪽으로 되돌려지는 형태로 변형됨과 동시에, 슬라이딩 도어(30a)의 두께방향[화살표(330)로 나타내는 방향]으로도 변형하여, 도어 멈춤 고무(110)와의 사이에 접촉부(200, 200, 210)가 형성된다. 공기식 도어 엔진[도어 닫음장치(60)]이 채용되는 경우로서, 슬라이딩 도어(30a, 30b)를 닫은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는, 도어 멈춤 고무(100, 110)는 도 4에 나타내는 상태를 유지한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슬라이딩 도어를 닫았을 때에 그 대향면에 간극이 생긴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슬라이딩 도어장치(15)에, 전기식 도어 엔진[도어 닫음장치(60)]이 채용된 경우, 전력의 공급이 끊긴 경우이어도 도어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계적 자물쇠 잠금 기구가 추가 설치된다. 기계적 자물쇠 잠금장치는, 원활하게 자물쇠를 잠그기 위하여, 자물쇠 잠금장치에 내장되는 끼워맞춤부에 유간을 구비한다. 전기식 도어 엔진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닫았다고 하여도, 이 자물쇠 잠금장치에 구비되는 유간에 상당하는 간극(d)이, 슬라이딩 도어(30a, 30b)에 구비된 도어 멈춤 고무(100, 110)와의 대향면에 생기는 경우가 있다. 간극(d)이 생긴 경우에도, 돌기부(100a)의 돌출량(H3)은, 벽부(110c)의 돌출량(H2)에서 돌기부(110a)의 돌출량(H1)을 뺀 양보다 크게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 멈춤 고무(100)의 돌기부(100a)의 선단부와 도어 멈춤 고무(110)의 돌기부(110a)의 선단부의 사이에 접촉부(210)가 유지되기 때문에, 철도차량(10)의 내부로 빗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슬라이딩 도어(30a, 30b)가 닫혔을 때에 도어 멈춤 고무(100, 110)와의 사이에 사람의 손가락이 끼인 모습(도 2의 C-C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사람의 손가락(300)이 도어 멈춤 고무(100, 110)의 사이에 끼었을 때, 주로, 도어 멈춤 고무(100)의 선단부(100a)가 공간(100c)을 찌그러트리는 형태로 변형하기 때문에, 승객의 손가락이 도어 멈춤 고무(100, 110)의 사이에 끼인 경우에도, 부상을 입을 가능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한 도어 멈춤 고무(100, 110)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장치(15)에 있어서, 자물쇠 잠금 기능의 유간에 기인하는 간극이 생긴 경우에도, 도어 멈춤 고무(100, 110)의 접촉부가 유지됨과 동시에, 승객이 신체의 일부를 도어 멈춤 고무(100, 110)의 대향면에 낀 경우에도, 도어 멈춤 고무(100)가 용이하게 변형하기 때문에, 부상을 입을 가능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멈춤 고무(100, 110)를 구비하는 철도차량은, 빗물 등이 차내로 침입하는 것을 경감 또는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슬라이딩 도어(30, 30)에 승객의 신체의 일부가 끼인 경우에도 안전성을 유지?향상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철도차량(10)의 사이드 구조체에 구비되는 양쪽 개방식의 사이드 슬라이딩 도어에 대하여 기재하였으나, 도어 멈춤 고무(100)를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멈춤부에 구비하고, 도어 멈춤 고무(110)를 사이드 구조체에 구비되는 출입구 프레임의 도어 멈춤부에 구비함으로써, 한쪽 개방식의 슬라이딩 도어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 양쪽 개방식 슬라이딩 도어 또는 한쪽 개방식 슬라이딩 도어를 막론하고, 철도차량(10)의 엔드 구조체에 구비되는 출입구부에도 적용할 수 있다.
10 : 철도차량 15 : 슬라이딩 도어장치
20 : 출입구부 30a, 30b : 슬라이딩 도어
35 : 도어 멈춤부 40 : 도어포켓
50 : 의자 60 : 도어 닫음장치
100 : 도어 멈춤 고무 100a, 110a : 돌기부
100b : 기초부 100c : 공간
110 : 도어 멈춤 고무 110a : 돌기부
110c : 벽부 200, 210 : 접촉부
300 : 손가락 310, 320, 330 : 화살표
A : A 방향 B : 도 1B부 확대도
d : 간극

Claims (3)

  1. 출입구부에 1세트의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슬라이딩 도어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한쪽 및 다른쪽의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각각의 도어 멈춤부에 높이방향을 따라서 도어 멈춤 고무가 설치되어 있는 레일차량에 있어서,
    한쪽의 상기 도어 멈춤 고무는, 한쪽의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기 도어 멈춤부에 설치된 홈에 끼워 넣어지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다른쪽의 슬라이딩 도어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돌기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의 상기 도어 멈춤 고무는, 다른쪽의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기 도어 멈춤부에 설치된 홈에 끼워 넣어지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폭방향의 양쪽 끝부에서 한쪽의 상기 슬라이딩 도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벽부와, 상기 기초부의 폭방향의 중앙부에서 한쪽의 상기 슬라이딩 도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고,
    한쪽의 상기 도어 멈춤 고무의 상기 기초부에서 상기 돌기부의 선단부까지의 돌출량이, 다른쪽의 상기 도어 멈춤 고무의 상기 기초부에서 상기 벽부의 선단부까지의 돌출량에서, 상기 다른쪽의 도어 멈춤 고무의 상기 기초부에서 상기 돌기부의 선단부까지의 돌출량을 뺀 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차량.
  2. 출입구부에 출입구 프레임과 상기 출입구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슬라이딩 도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멈춤부와 상기 도어 멈춤부에 면하는 상기 출입구 프레임에 높이방향을 따라서 각각 도어 멈춤 고무가 설치되어 있는 레일차량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기 도어 멈춤부에 구비되는 한쪽의 상기 도어 멈춤 고무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기 도어 멈춤부에 설치된 홈에 끼워 넣어지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상기 출입구 프레임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돌기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입구 프레임에 구비되는 다른쪽의 상기 도어 멈춤 고무는, 상기 출입구 프레임의 도어 멈춤부에 설치된 홈에 끼워 넣어지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폭방향의 양쪽 끝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벽부와, 상기 기초부의 폭방향의 중앙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구비되는 상기 도어 멈춤 고무의 상기 기초부에서 상기 돌기부의 선단부까지의 돌출량이, 상기 출입구 프레임에 구비되는 다른쪽의 상기 도어 멈춤 고무의 상기 기초부에서 상기 벽부의 선단부까지의 돌출량에서, 다른쪽의 상기 도어 멈춤 고무의 상기 기초부에서 상기 돌기부의 선단부까지의 돌출량을 뺀 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차량.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차량은 사이드 구조체 및 엔드 구조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장치를 구비한 출입구부는 상기 사이드 구조체 또는 상기 엔드 구조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차량.
KR1020100035191A 2009-12-16 2010-04-16 레일차량 KR1011205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85197 2009-12-16
JP2009285197A JP5227299B2 (ja) 2009-12-16 2009-12-16 軌条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770A KR20110068770A (ko) 2011-06-22
KR101120577B1 true KR101120577B1 (ko) 2012-03-09

Family

ID=4428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191A KR101120577B1 (ko) 2009-12-16 2010-04-16 레일차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227299B2 (ko)
KR (1) KR1011205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27087B1 (en) 2012-12-03 2019-10-16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Door device for railway vehicle, and railway vehicle
EP3015336B1 (en) * 2013-06-28 2019-10-30 Nabtesco Corporation Door seal, and vehicle door
JP6228534B2 (ja) * 2014-12-24 2017-11-08 三菱電機株式会社 ホームドア装置
JP6689069B2 (ja) * 2014-12-26 2020-04-28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戸挟み検知装置及び引き戸装置
JP2020001652A (ja) 2018-07-02 2020-01-09 日立金属株式会社 挟み込み検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5028U (ko) 1978-03-13 1979-09-19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5404Y2 (ko) * 1973-12-27 1978-06-29
JP3626255B2 (ja) * 1995-09-05 2005-03-02 株式会社ニシヤマ 戸当たりゴム
AT406361B (de) * 1997-09-10 2000-04-25 Ife Gmbh Zweiflügelige druckertüchtige türe für ein schienenfahrzeug
JP5069928B2 (ja) * 2007-03-30 2012-11-07 株式会社総合車両製作所 鉄道車両用のドア開閉装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5028U (ko) 1978-03-13 1979-09-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770A (ko) 2011-06-22
JP5227299B2 (ja) 2013-07-03
JP2011126368A (ja)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577B1 (ko) 레일차량
EP2371653B1 (en) Railway vehicle with sliding doors
CN102472052B (zh) 用于机动车上的门或盖板的锁
CN105946882A (zh) 一种列车站台自适应伸缩踏板装置
CN111946191A (zh) 滑动车门及车辆
US6799522B2 (en) Passenger rail car sliding door with high platform threshold
CN113799802B (zh) 一种大开度轨道交通站台门
JP4291224B2 (ja) 車両用プラグドア装置
JP2007056487A (ja) 重力式引戸および車両
JP2820374B2 (ja) 磁気浮上式鉄道のプラットホームに設置する乗降設備
CN210087158U (zh) 倾斜式高站台门
JP5936816B2 (ja) 可動ホーム柵
CN210768332U (zh) 滑动车门及车辆
JP2003020843A (ja) 鉄道車両用側引き戸のロック解除構造
CN208734235U (zh) 一种滚动夹持支架及自动车辆外滑移门系统
KR101975877B1 (ko)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장치를 이용한 전동차용 슬라이딩 스텝 장치
JP5253783B2 (ja) 鉄道車両用引戸装置
KR101851748B1 (ko) 스크린 도어용 잠금 기구
CN217760663U (zh) 一种新型内藏移门系统
KR0120755Y1 (ko) 철도차량용 도어의 방음장치
US20230039798A1 (en) Door system for a public transport vehicle
KR0125085Y1 (ko) 철도승강장용 안전부스
JP2014114088A (ja) エレベータ用出入口装置
JP7456839B2 (ja) 引戸装置及び戸尻用弾性封止部材
CN217233191U (zh) 一种应用于偏置码头车后门的滑移外摆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