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501B1 - 외력 흡수형 방음벽 - Google Patents

외력 흡수형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501B1
KR101120501B1 KR1020080116034A KR20080116034A KR101120501B1 KR 101120501 B1 KR101120501 B1 KR 101120501B1 KR 1020080116034 A KR1020080116034 A KR 1020080116034A KR 20080116034 A KR20080116034 A KR 20080116034A KR 101120501 B1 KR101120501 B1 KR 101120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fixing device
external force
sound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7144A (ko
Inventor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보기술단
(주) 퓨어텍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보기술단, (주) 퓨어텍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보기술단
Priority to KR1020080116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501B1/ko
Publication of KR20100057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력 흡수형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외력 흡수형 방음벽는, 기초 구조물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 상기 인접한 지주 사이에 상기 지주의 높이방향으로 적층 배치되는 방음판, 상기 지주에 장착되고, 상기 지주에 장착될 때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탄성변형 가능한 경사면을 통해 변경하여 상기 방음판을 상기 지주에 밀착 고정시키는 탄성고정장치 및 상기 탄성고정장치를 가압하여 상기 지주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방음벽의 구성요소 간의 결합을 단단히 하기 위한 유지보수비가 절감되고, 고정수단이 방음벽으로부터 이탈되어 발생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방음벽, 진동, 외력, 탄성, 방음판, 지주, 흡수

Description

외력 흡수형 방음벽{A Sound Proofing Wall For Absorbing External Force}
본 발명은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환경으로부터 받는 진동 등의 외력에 의해 방음벽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외력 흡수형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가, 학교 등의 건물이 도로에 근접되게 위치된 곳에는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주변 건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소음을 흡수 또는 반사시키는 방음벽을 설치하고 있다. 통상적인 방음벽은 H빔 지주가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지면에 설치되고, 이와 같이 설치된 H빔 지주와 지주 사이에 다수개의 방음판을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시켜 적층 설치된다.
이때 종래기술에 따라 지주에 방음판을 설치하는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5)을 지주(1)에 장착하여 상기 앵글(5)과 지주(1) 사이에 방음판(3)이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H빔 지주(1)의 수평판(1a)에는 방음판(3)의 일면이 접촉되고, 상기 수직판(1b)에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어 'ㄴ'형상의 앵글(5)이 볼트(7)와 너트(9)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방음판(3)의 타면은 상기 수직판(1b)에 고정된 앵글(5)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방음판(3)이 상기 지 주(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방음벽이 설치되는 환경에는 도로를 지나는 자동차와 바람 등에 의한 외력이 존재한다. 이러한 외력은 진동의 형태로 방음벽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므로, 그 외력이 미세하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음벽에 사용되는 볼트(7)와 너트(9)의 결합이 느슨해지고, 심할 경우 너트(9)가 볼트(7)로부터 빠지게 된다. 따라서 방음판(3)을 밀착 고정하고 있는 앵글(5)의 밀착력이 떨어지게 됨에 따라 방음판(3)을 지주(1)에 충분히 밀착시키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방음벽이 기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오히려 방음벽으로부터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너트(9), 볼트(7), 앵글(5), 심한 경우 방음판(3)이 방음벽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도로를 지나는 자동차나 인도를 지나는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상황을 예방하게 위해 종래기술에 따른 방음벽에 대해서는 수시로 볼트(7)와 너트(9)를 조여주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방음벽에 대한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음판(3)과 앵글(5)의 치수 및 지주(1)의 관통구 위치는 현장 시공전에 결정되어 현장에서 조립된다. 그러나 상기 각 치수 및 위치가 설계치와 다소 상이하게 된다면, 현장에서는 시공시에 관통구의 위치를 변경하는 등의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고, 설계치와 상이한 정도가 심하면 작업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앵글(5)이 볼트(7)와 너트(9)의 조임에 의해 지주(1)와 조립된 상태에서도 상기 앵글(5)이 상기 방음판(3)을 지주(1)에 충분히 밀착시키지 못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 등의 외력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하여 외력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결합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외력 흡수형 방음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장 시공성이 우수한 외력 흡수형 방음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주와 방음판의 밀착력이 향상된 외력 흡수형 방음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주 측면부의 외관이 개선된 외력 흡수형 방음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기초 구조물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 상기 인접한 지주 사이에 상기 지주의 높이방향으로 적층 배치되는 방음판, 상기 지주에 장착되고, 상기 지주에 장착될 때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탄성변형 가능한 경사면을 통해 변경하여 상기 방음판을 상기 지주에 밀착 고정시키는 탄성고정장치 및 상기 탄성고정장치를 가압하여 상기 지주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탄성고정장치는 고정수단에 의해 가해지는 가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방음판을 지주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가압력의 방향은 상기 방음판을 지주에 밀착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변경되는데, 이는 상기 탄성고정장치의 경사면에 의해 가능하다. 또한 경사면의 특징, 즉, 경사져 있다는 것과 탄성 변형 가능하다는 것은 상기 가압력의 전달뿐만 아니라, 진동 등의 외력에 대해 탄성 변형하며 상기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소정 각도로 서로 연결된 제1판과 제2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판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탄성고정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제2판에는 상기 탄성고정장치에 의해 상기 방음판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발명은, 상기 지주의 단면 형상에서 탄성고정장치와 방음판이 설치되기 위한 두 개의 판, 즉 제1판과 제2판을 한정하고 있다. 따라서 지주의 단면 형상은 소정 각도를 갖는 제1판과 제2판을 포함하기만 한다면, 다른 판 또는 부재가 추가되는 형태로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때 상기 소정 각도는 대략 직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방음벽이 도로를 따라 꺽이는 부분에서는 상기 각도가 상기 도로의 꺽이는 각도에 대응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탄성고정장치가 장착된다. 즉, 탄성고정장치는 상기 제1판의 일면에만 장착될 수도 있고, 양면에 각각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 탄성고정장치가 일면에만 장착되는 경우는, 예를 들면, 지주가 방음판의 최외곽에 설치될 때 나타날 수 있고, 탄성고정장치가 양면에 장착되는 경우는 지주가 방음벽의 연결부분에 설치되는 때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제1판의 일면에만 탄성고정장치가 장착되거나 양면에 각각 장착되면, 각 경우에 따라 상기 방음판은 상기 탄성고정장치의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탄성고정장치에 의해 상기 제2판에 밀착된다.
제3발명은, 제2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주에는 상기 제2판과 대향되게 상기 제1판에 연결되는 제3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탄성고정장치는, 상기 제2판에 밀착된 방음판과, 상기 제1판 및 제3판에 의한 공간을 채울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에 의해 지주는 제1판, 제2판 및 제3판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그 단면 형태의 예로는 H빔의 단면 형태를 들 수 있다. 이때 제1판의 측면은, 제2판, 방음판에 의해 외부로부터 일부 차폐되고, 그 외에는 탄성고정장치와 상기 제3판에 의해 다른 부분이 가려진다. 즉, 제3발명에서는, 상기 탄성고정장치가 방음판에 접하면서 상기 제1판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탄성고정장치가 제1판에 장착된 부분과 제3판 사이의 공간을 탄성고정장치가 연장되어 매우게 된다면, 상기 제1판의 측면은 외부로부터 완전히 차폐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더구나 상기 탄성고정장치의 형태를 제3판의 외곽 형상에 맞는 형상 및 크기로 제작하면, 상기 지주의 측면은 파이프 형상과 같이 단순하고 정돈된 외관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제4발명은, 제2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장치는, 상기 지주의 제1판을 향하여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가압되는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지주의 제1판에 수직으로 접촉되게 연장되는 지지판과, 상기 체결판의 타측으로 부터 상기 지지판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경사판을 포함하는 탄성부; 및 상기 제1경사판에 면접촉되어 상기 고정수단에 의한 가압력을 상기 제1경사판을 통해 전달받도록 상기 제1경사판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는 제2경사판과, 상기 제2경사판에 전달된 가압력을 통해 상기 방음판을 가압하도록 상기 제2경사판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방음판에 밀착되는 밀착판과, 상기 가압력에 의한 상기 제1경사판의 미끄러짐을 제한하여 상기 제1경사판과 제2경사판의 면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2경사판의 타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가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4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경사판은, 서로 면접촉된 상태로 외력에 대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외력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경사판과 제2경사판은 서로 면접촉된 상태로 탄성 변형하는 부분으로서, 외부 진동 등의 외력에 대해 유동하며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제1경사판과 제2경사판의 유동은 마치 스프링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어, 상기 제1경사판과 제2경사판이 외력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6발명은 제5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제1판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탄성고정장치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주의 제1판에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의 체결판에는,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는 슬릿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고정수단은 슬릿홀을 통해 체결판을 통과하고, 관통구를 통해 지주의 제1판을 통과하여 체결됨으로써 탄성부를 지주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판 의 양면에 탄성고정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수단이 지주의 일면에 위치된 체결판, 지주의 제1판 및 지주의 타면에 위치된 체결판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1판의 양면에 각각 탄성고정장치를 고정하게 된다.
제7발명은 제6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지지판의 외면에 접하도록 상기 제2경사판과 스토퍼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는 슬릿홀이 형성된다.
제8발명은, 제6발명 또는 제7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판에 대한 상기 탄성고정장치의 장착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는 상기 제2판에 수직하게 장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홀은 상기 관통구에 수직한 장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지주와 방음판의 치수가 설계치와 상이하더라도, 상기 제2판에 대한 탄성고정장치의 장착위치를 실제 시공현장의 상황에 맞추어 적절히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제9발명은, 제8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볼트와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고정수단의 종류에는 많은 것이 있고, 본 발명에 채용될 수 있는 것도 다양하지만, 그 중 제9발명에서는 고정수단으로서 볼트와 너트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력 흡수형 방음벽은, 탄성고정장치에 의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등의 외력을 흡수하게 함으로써 방음벽을 이루는 지주, 방음판, 탄성 고정장치 및 고정수단 간의 결합관계가 외력에 의해 느슨해지거나 풀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음벽의 구성요소 간의 결합을 단단히 하기 위한 유지보수비가 절감되고, 고정수단이 방음벽으로부터 이탈되어 발생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지주와 탄성고정장치에 각각 형성된 장공형의 관통공과 슬릿홀로 인해 지주와 방음벽의 치수가 설계치와 상이하더라도 추가적인 작업 없이 그 치수에 맞추어 적절하게 현장 시공이 가능하다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탄성고정장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1경사판과 제2경사판을 구비하고, 각 경사판의 경사면을 이용한 고정수단에 의한 가압력의 방향전환을 통해 상기 방음판이 지주에 밀착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고정장치에 대한 고정수단의 가압력을 높여 상기 방음판에 대해 가해지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방음판을 지주에 충분히 밀착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고정장치의 외부 치수를 지주에 맞추어 설계함으로써 시공후 지주 측면부의 외관이 현저히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외력 흡수형 방음벽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력 흡수형 방음벽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음벽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 된 탄성고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은 지주(10), 방음판(20), 탄성고정장치(30) 및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주(10)는 지면 등의 기초 구조물(예를 들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지주(10)는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H빔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지주(10)의 단면 형태로부터, 수직한 판을 제1판(11)이라 하고, 상기 제1판(11)의 하단에 직각으로 연결된 판을 제2판(13)이라 하며, 상기 제1판(11)의 상단에 직각으로 연결된 판을 제3판(15)이라 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판(11)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고정수단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구(11a)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11a)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판(13)을 향하는 방향으로 긴 장공형태로 이루어진다.
방음판(20)은 상기 지주(10) 중 인접한 지주(10) 사이에서 상기 지주(10)의 높이방향으로 적층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10)가 H빔 형태로 이루어진다고 하면, 상기 방음판(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지주(10)의 제1판(11), 제2판(13) 및 제3판(15)으로 이루어지는 'ㄷ' 형상의 공간에 상기 방음판(20)이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방음판(20)은 상기 제2판(13)에 밀착되어 이하에서 설명될 탄성고정장치(30)에 의해 지주(10)에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유리나 플라스틱 등의 투명판(21)을 프레임(23)에 지 지시킨 방음판(20)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방음판(20)을 예시한 것일 뿐 상기 방음판(20)의 소재가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방음판(20)을 콘크리트, 목재, 금속재 등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탄성고정장치(30)는 이하에서 설명될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지주(10)에 장착되고, 이때 상기 고정수단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이용하여 상기 방음판(20)을 지주(10)에 밀착 고정시킨다. 다시 말하면, 상기 탄성고정장치(30)는 지주(10)의 제1판(11)에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제1판(11)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상기 탄성고정장치(30)에 작용한다. 이때 가해진 가압력은 상기 탄성고정장치(30)의 탄성변형 가능한 경사면을 통해 전달되면서 그 힘의 방향이 변경되어 상기 방음판(20)이 지주(10)의 제2판(13)에 밀착 고정되게 한다.
상기 탄성고정장치(3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탄성고정장치(30)는, 크게 탄성부(40)와 가압부(50)로 구성된다. 그리고 다시 상기 탄성부(40)는 체결판(41), 지지판(43) 및 제1경사판(4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판(41)에는 상기 고정수단이 체결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판(41)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형의 슬릿홀(41a)이 형성되어, 상기 슬릿홀(41a)을 통해 상기 고정수단에 의한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43)은 상기 체결판(41)을 상기 지주(10)에 대해 지지하도록 상기 체결판(4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43)은 상기 체결판(41)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체결판(41)과 거의 직각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판(45)은 상기 체결판(41)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지지판(43)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40)를 상기 제1판(11)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판(43)에 지지된 상기 체결판(41)이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가압되면 그에 따라 상기 제1경사판(45)은 상기 제1판(11)의 표면을 미끄러지면서 탄성변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부(50)는 제2경사판(51), 밀착판(53) 및 스토퍼(5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경사판(51)은 상기 제1경사판(45)에 면접촉되도록 상기 제1경사판(4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사각을 갖고, 상기 제1경사판(45)으로부터 힘을 전달받는다. 그런데 상기 제2경사판(51)은 상기 제1경사판(45)과 같은 경사진 형태로서, 상기 제1경사판(45)과 마찬가지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이러한 제2경사판(51)은 상기 제1경사판(45)으로부터 힘, 즉 고정수단에 의한 가압력을 전달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외부의 진동 등 외력이 방음벽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1경사판(45)과 제2경사판(51)은 서로 면접촉된 상태로 상기 외력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된다. 이러한 탄성변형에 의한 상기 제1경사판(45)과 제2경사판(51)의 유동성은 외부의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상기 외력의 전파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밀착판(53)은 상기 제2경사판(51)의 일단에서 상기 방음판(20)에 밀착되도록 연장된다. 이때 상기 밀착판(53)이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가압부(50)가 상기 지주(10)에 장착된 때에 상기 밀착판(53)의 선단이 상기 지주(10)의 제1판(11)에 접촉되는 정도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착판(53)은 상기 제1경사판(45)으로부터의 힘을 상기 제2경사판(51)으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방음판(20)에 전달한다. 다시 말해, 고정수단에 의한 가압력은 상기 제1 및 제2경사판(45, 51)을 통해 전달되며 상기 가압력의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의 힘으로 변화되어 상기 방음판(20)에 가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5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경사판(45)이 제1판(11)의 표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제2경사판(51)의 타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경사판(45)은 상기 스토퍼(55)에 의해 위치 변위가 제한되므로 상기 제2경사판(51)과 면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고정수단은, 상기 탄성고정장치(30)를 가압하면서 상기 지주(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정수단으로는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트(60)와 너트(61)가 고정수단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볼트(60)는 상기 지주(10) 일측의 탄성고정장치(30), 상기 지주(10) 및 상기 지주(10) 타측의 탄성고정장치(30)를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너트(61)와 체결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볼트(60)는 상기 탄성고정장치(30)의 체결판(41)에 형성된 슬릿홀(41a)과 상기 지주(10)의 제1판(11)에 형성된 관통구(11a)를 통과하여 상기 너트(61)와 체결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고정장치(30)의 단면은 외부에서 볼 때 직사각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고정장치(30)의 외부 치수가, 상기 방음판(20), 지주(10)의 제1판(11) 및 제3판(15)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작한다면, 지주(10)의 측면에서는 상기 지주(10)의 탄성고정장치(30)가 마치 사각 파이프와 같은 형상으로 보여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외력 흡수형 방음벽의 작용을 조립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투명판(21)과 프레임(23)으로 구성된 방음판(20)을 인접한 지주(10) 사이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방음판(20)을 지주(10)의 제2판(13)측에 위치시킨다. 그 후, 상기 지주(10)의 제2판(13)에 상기 방음판(20)의 일측을 접촉시키면서 상기 방음판(20)의 타측에 탄성고정장치(30)의 가압부(50)를 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50)의 제2경사판(51)에 탄성부(40)의 제1경사판(45)이 면접촉하도록 상기 탄성부(40)를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볼트(60)를 상기 탄성부(40)의 슬릿홀(41a)에 삽입하여 상기 지주(10)의 관통구(11a)를 경유하면서 상기 지주(10)의 타측에 배치된 탄성부(40)의 슬릿홀(41a)로 상기 볼트(60)가 통과하게 한다. 이때 상기 탄성고정장치(30)가 상기 방음판(20)을 상기 지주(10)의 제2판(13)에 밀착시키는 위치는, 상기 지주(10)에 형성된 관통구(11a)의 장공형상으로 인해 용이하게 결정된다. 즉, 방음판(20)의 두께가 변경되는 등의 치수상의 변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관통구(11a)의 장공형상으로 인해 상기 탄성고정장치(30)는 상기 장공형상을 따라 적절한 위치로 변위하여 상기 관통구(11a)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40)의 슬릿홀(41a)과 상기 지주(10)의 관통구(11a) 간의 위치도 슬릿홀(41a)의 장공형상으로 인해 용이하게 연통된다. 특히, 상기 탄성부(40)의 슬릿홀(41a)과 상기 지주(10)의 관통구(11a)가 각각 상기 탄성부(40)와 지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 이상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슬릿홀(41a)의 장공형상은 그 위치를 결정하는데 편리하게 작용한다.
이와 같이 상기 볼트(60)가 탄성부(40)의 슬릿홀(41a), 지주(10)의 관통구(11a), 그리고 다시 탄성부(40)의 슬릿홀(41a)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61)를 상기 볼트(60)에 체결한다.
체결을 위한 상기 볼트(60)와 너트(61)의 조임에 의해 탄성부(40)의 제1경사판(45)은 가압부(50)의 제2경사판(51)에 밀착되면서 상기 볼트(60)와 너트(61)의 조임에 의한 가압력을 상기 제2경사판(51)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2경사판(51)에 전달된 힘은 제2경사판(51)의 수직방향으로 가해지지만, 상기 제2경사판(51)의 일단과 밀착판(53)의 일단이 지주(10)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밀착판(53)에는 상기 제2경사판(51)의 수직방향의 힘 중 상기 밀착판(53)에는 수직한 방향의 분력만이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보면, 상기 가압력은 최초 방향으로부터 수직으로 방향전환되어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메카니즘에 의해, 상기 밀착판(53)과 상기 지주(10)의 제2판(13)에 면접촉되어 있는 방음판(20)은 상기 밀착판(53)과 제2판(13) 사이에서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조립이 완성된 방음벽에 외부로부터 진동 등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지주(10)나 방음판(20)이 먼저 반응하게 된다. 이러한 외력은 탄성고정장치(30)에 전달되는데, 상기 탄성고정장치(30)에 전달된 외력은 상기 제1 및 제 2경사판(45, 51)의 탄성변형에 의해 흡수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탄성고정장치(30)의 제1경사판(45)과 제2경사판(51)은 서로 면접촉된 상태로 경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경사판(45)과 제2경사판(51)에 외부의 진동 등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경사판(45)과 제2경사판(51)은 그 외력에 따라 탄성 변형된다. 이때의 탄성 변형은 마치 스프링에 힘이 가해졌을 때 스프링의 운동과 유사한 것으로, 이러한 탄성 변형을 하면서 상기 제1경사판(45)과 제2경사판(51)은 외력을 흡수하여 상기 외력이 더 이상 전파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외력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더러도, 상기 외력이 상기 제1경사판(45)과 제2경사판(51)에 의해 흡수되므로, 외력에 의해 볼트(60)와 너트(61)가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특히 도 5 내지 7에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 제2실시예에서 설명되고 있지 않더라도 그 도면부호를 표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력 흡수형 방음벽의 제2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방음벽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탄성고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가압부(70)의 형상이 제1실시예의 그것과 상이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가압부(70)는, 제2경사판(71), 밀착판(73), 스토퍼(75) 및 연결판(77)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2경사판(71)과 밀착판(73)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스토퍼(75)는, 제1경사판(45)이 제2경사판(71)을 가압할 때 탄성부(40)의 지지판(43)이 그 가압에 의해 위치 변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상기 스토퍼(75)에 의해 상기 제1경사판(45)의 위치 변동도 방지된다.
이러한 스토퍼(75)는 상기 연결판(77)에 의해 연장되어 제1실시예와 달리 지지판(43)에 접촉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판(77)에는 볼트(60)가 관통하게 되므로, 상기 연결판(77)에도 상기 체결판(41)과 동일한 슬릿홀(77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은, 조립시에 볼트(60)가 지주(10)의 일측에 배치된 탄성부(40)의 슬릿홀(41a)과 가압부(70)의 슬릿홀(77a)을 관통하고, 지주(10)의 관통구(11a)를 통과하며, 다시 지주(10)의 타측에 배치된 탄성부(40)의 슬릿홀(41a)과 가압부(70)의 슬릿홀(77a)을 연속적으로 관통한 후 너트(61)와 체결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조립과정에 따라 제작된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서의 작용은 제1실시예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방음벽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력 흡수형 방음벽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음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탄성고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력 흡수형 방음벽의 제2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방음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탄성고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지주 11 : 제1판
13 : 제2판 15 : 제3판
20 : 방음판 21 : 투명판
23 : 프레임 30 : 탄성고정장치
40 : 탄성부 41 : 체결판
43 : 지지판 45 : 제1경사판
50, 70 : 가압부 51, 71 : 제2경사판
53, 73 : 밀착판 55, 75 : 스토퍼
77 : 연결판 60 : 볼트
61 : 너트

Claims (9)

  1. 기초 구조물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
    상기 인접한 지주 사이에 상기 지주의 높이방향으로 적층 배치되는 방음판;
    상기 지주에 장착되고, 상기 지주에 장착될 때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탄성변형 가능한 경사면을 통해 변경하여 상기 방음판을 상기 지주에 밀착 고정시키는 탄성고정장치; 및
    상기 탄성고정장치를 가압하여 상기 지주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주는 소정 각도로 서로 연결된 제1판과 제2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판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탄성고정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제2판에는 상기 탄성고정장치에 의해 상기 방음판이 밀착되고,
    상기 탄성고정장치는,
    상기 지주의 제1판을 향하여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가압되는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지주의 제1판에 수직으로 접촉되게 연장되는 지지판과, 상기 체결판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지지판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경사판을 포함하는 탄성부와,
    상기 제1경사판에 면접촉되어 상기 고정수단에 의한 가압력을 상기 제1경사판을 통해 전달받도록 상기 제1경사판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는 제2경사판과, 상기 제2경사판에 전달된 가압력을 통해 상기 방음판을 가압하도록 상기 제2경사판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방음판에 밀착되는 밀착판과, 상기 가압력에 의한 상기 제1경사판의 미끄러짐을 제한하여 상기 제1경사판과 제2경사판의 면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2경사판의 타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가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흡수형 방음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에는 상기 제2판과 대향되게 상기 제1판에 연결되는 제3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탄성고정장치는, 상기 제2판에 밀착된 방음판과, 상기 제1판 및 제3판에 의한 공간을 채울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흡수형 방음벽.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경사판은, 서로 면접촉된 상태로 외력에 대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외력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흡수형 방음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제1판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탄성고정장치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주의 제1판에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의 체결판에는,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는 슬릿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흡수형 방음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지지판의 외면에 접하도록 상기 제2경사판과 스토퍼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는 슬릿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흡수형 방음벽.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에 대한 상기 탄성고정장치의 장착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는 상기 제2판에 수직하게 장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홀은 상기 관통구에 수직한 장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흡수형 방음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볼트와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흡수형 방음벽.
KR1020080116034A 2008-11-21 2008-11-21 외력 흡수형 방음벽 KR101120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034A KR101120501B1 (ko) 2008-11-21 2008-11-21 외력 흡수형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034A KR101120501B1 (ko) 2008-11-21 2008-11-21 외력 흡수형 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144A KR20100057144A (ko) 2010-05-31
KR101120501B1 true KR101120501B1 (ko) 2012-02-29

Family

ID=42280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034A KR101120501B1 (ko) 2008-11-21 2008-11-21 외력 흡수형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5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2321A (ja) 1997-04-11 1998-11-04 Mitsubishi Materials Corp 吸音板の取付け構造
KR20040022601A (ko) * 2002-09-09 2004-03-16 윤미진 방음벽용 방음판 결합구조
JP2008013991A (ja) * 2006-07-05 2008-01-24 Nisshin Tekku:Kk 支柱に板状体を取り付ける取付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2321A (ja) 1997-04-11 1998-11-04 Mitsubishi Materials Corp 吸音板の取付け構造
KR20040022601A (ko) * 2002-09-09 2004-03-16 윤미진 방음벽용 방음판 결합구조
JP2008013991A (ja) * 2006-07-05 2008-01-24 Nisshin Tekku:Kk 支柱に板状体を取り付ける取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144A (ko) 201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38882A1 (en) Angled connector
KR100955706B1 (ko) 탄 소성판이 병렬로 다수 세팅된 수평형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KR102239510B1 (ko) 배수기능을 구비하는 내진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JP4517950B2 (ja) スラブパネル及び床構造
JP5185685B2 (ja) 建物用制振装置および建築物の制振構造
KR101612106B1 (ko) 소음 감쇄용 안전 방음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200107156A (ko) 내진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120502B1 (ko)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
KR101120501B1 (ko) 외력 흡수형 방음벽
JP2019196634A (ja) 木枠架構補強材
JP2006257688A (ja) 制振形のボルト接合構造
KR100584093B1 (ko) 도로 방음벽 기둥 보강구조
KR102385827B1 (ko) 하중전이 방지형 방음벽
JP5183094B2 (ja) 制振構造体及び金属構造部材
JP5270477B2 (ja) 建築物の制振構造
JP4846366B2 (ja) 補強金具用連結装置
JP7191580B2 (ja) 免震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免震建物
JP2006046051A (ja) 制振壁及びこれを備えた架構の補強構造
KR100955707B1 (ko) 탄 소성 판이 병렬로 다수 세팅된 브라켓형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JP2021127605A (ja) 制振構造
JP3761882B2 (ja) 床パネルの支持構造
KR102431362B1 (ko) 독립 구조형 프레임리스 투명방음판
JP2004353813A (ja) 摩擦ダンパ
KR100822595B1 (ko) 보강재와 철탑주주재 간 상대변위를 활용한 철탑구조마찰형 보강기구
KR102164646B1 (ko) 기둥형이력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