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595B1 - 보강재와 철탑주주재 간 상대변위를 활용한 철탑구조마찰형 보강기구 - Google Patents

보강재와 철탑주주재 간 상대변위를 활용한 철탑구조마찰형 보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595B1
KR100822595B1 KR1020060103283A KR20060103283A KR100822595B1 KR 100822595 B1 KR100822595 B1 KR 100822595B1 KR 1020060103283 A KR1020060103283 A KR 1020060103283A KR 20060103283 A KR20060103283 A KR 20060103283A KR 100822595 B1 KR100822595 B1 KR 100822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steel tower
friction
slo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원
박지훈
문병욱
이성경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103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595B1/ko
Priority to US11/636,158 priority patent/US2008009247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탑구조 마찰형 보강기구에 관한 것으로, 철탑의 각 기둥부에 마련되는 외측 칼럼과 내측 칼럼 사이를 앵글과 볼트로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외측 칼럼 부분에 형성되는 슬롯과, 상기 슬롯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마련되는 마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철탑에 전달되는 풍력에 의한 에너지를 상기 결합부의 슬롯 외주면과 마찰 플레이트에 의하여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와 철탑주주재 간 상대변위를 활용한 철탑구조 마찰형 보강기구를 제공한다.
철탑, 풍력, 플레이트, 슬롯, 마찰

Description

보강재와 철탑주주재 간 상대변위를 활용한 철탑구조 마찰형 보강기구 {Friction Type Retrofitting Device For Steel Tower Structures Using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A Tower Column And An Added Member}
도 1은 일반적인 철탑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철탑 정면으로 바람이 불 때의 측면도.
도 3은 철탑의 기둥부 일부를 나타낸 상세도.
도 4는 도 2의 상태에서 종래 기둥부 구조의 변화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철탑의 기둥부 상세도.
도 6은 도 5의 철탑 기둥부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20: 내측 칼럼 540: 외측 칼럼
900: 결합부 940: 앵글
1000: 마찰 플레이트
본 발명은 보강재와 철탑주주재 간 상대변위를 활용한 철탑구조 마찰형 보강기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전압을 먼 거리까지 전송하는 송전탑 등의 철탑에 있어서, 철탑의 기둥부를 이루는 칼럼 사이의 결합부에 슬롯과 마찰 플레이트를 마련하여 철탑에 가해지는 풍력에 의한 진동을 감쇠시키는 보강재와 철탑주주재 간 상대변위를 활용한 철탑구조 마찰형 보강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철탑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철탑 정면으로 바람이 불 때의 측면도이며, 도 3은 철탑의 기둥부 일부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4는 도 2의 상태에서 종래 기둥부 구조의 변화상태도이다.
도 1과 같이, 일반적으로 철탑 특히 높은 전압을 전송하는 송전탑(10)의 구조는 수직으로 세워진 프레임(70)과, 상기 프레임(70)의 상부에 수평 하게 마련된 철탑암(20)과, 상기 철탑암(20)의 끝단에 하부로 매달린 애자(30) 및 상기 애자(30)의 하단에 연결된 전선(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70)은 수직 기둥인 기둥부(50)가 보통 4개 마련되고, 상기 기둥부(50) 사이를 교차하여 연결되는 크로스멤버(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와 같이, 상기 송전탑(10)에는 사방에서 바람(80)이 불어와 송전탑(10)이 흔들리게 되는데, 송전탑(10)은 소정의 탄성 범위 내에서는 상기 바람(80)에 의하여 변경되었던 부분이 바람(80)이 잠잠해지면 다시 원위치로 복원된다.
한편, 도 3과 같이 송전탑(10)의 기둥부(50)는 단면이 십자형상을 이루는데, 상기 십자형상은 L자형 칼럼(52, 54)의 모서리를 서로 접하게 하고 나머지 부분을 서로 대향되게 위치시켜 이루어지며, 두 칼럼(52, 54) 중 송전탑(10) 내측을 향하는 내측 칼럼(52)과 외측을 향하는 외측 칼럼(54)은 소정 부분에 결합부(90)가 마련되어 결합된다.
종래 송전탑의 결합부(90) 구조는 내측 칼럼(52)의 제 1 구멍(92) 및 외측 칼럼(54)의 제 2 구멍(93)과, 단면이 L자 형상이고 제 3 구멍(96)과 제 4 구멍(99)이 마련된 앵글(94)과, 상기 제 1 구멍(92) 및 제 3 구멍(96)을 관통하는 제 1 볼트(98)와, 상기 제 2 구멍(93) 및 제 4 구멍(99)을 관통하는 제 2 볼트(100)와, 상기 제 1 볼트(98)와 결합하는 제 1 너트(97) 및 제 2 볼트(100)와 결합하는 제 2 너트(102) 그리고 상기 제 1 너트(97)의 전방에 마련된 와셔(8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결합부(90) 구조는 바람에 의하여 송전탑(10)이 유동 될 경우에 외측 칼럼(54)이 내측 칼럼(5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위치되어 있어, 도 4와 같이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에 위치한 외측 칼럼(54)이 내측 칼럼(52)보다 더욱더 신장되도록 힘을 받고, 그 반대편의 외측 칼럼(54)은 내측 칼럼(52)보다 더 압축되도록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바람에 의하여 송전탑(10)에 가해지는 에너지가 도 3의 상기 결합부(90)에 전달되어, 상기 제 2 볼트(100)와 제 2 구멍(93) 및 제 4 구멍(99)에 큰 에너지를 부가하게 된다. 따라서, 송전탑(10)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바람의 영향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90)는 내구성이 매우 취약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상기 기둥부(50)에 설치되는 결합부(90)의 간격이 넓을 경우에는 기둥의 길이가 그 횡단면의 치수에 비해 클 때, 기둥의 양단에 압축하중이 가해졌을 경우 하중이 어느 크기에 이르면 기둥이 갑자기 휘는 현상인 버클링(Buckling)에 취약한 문제점이 야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철탑의 기둥부에 적절한 간격으로 결합부를 설치하여 버클링을 예방하고, 외부 칼럼의 결합부는 슬롯이 형성되고 외부 칼럼의 결합부에 마찰 플레이트를 결합하여 바람에 의하여 전달되는 에너지를 마찰에너지로 흡수하도록 하여 내구력을 높인 철탑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철탑의 각 기둥부에 마련되는 외측 칼럼과 내측 칼럼 사이를 앵글과 볼트로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외측 칼럼 부분에 형성되는 슬롯과, 상기 슬롯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마련되는 마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철탑에 전달되는 풍력에 의한 에너지를 상기 결합부의 슬롯 외주면과 마찰 플레이트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감쇠시키는 보강재와 철탑주주재 간 상대변위를 활용한 철탑구조 마찰형 보강기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기둥부의 수평 단면 형상이 십자형이고, 외측 칼럼과 내측 칼럼 의 수평 단면 형상이 L자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칼럼에 슬롯이 형성된 결합부가 기둥부에 복수개 마련되고, 그 중에 하나의 결합부에만 마찰 플레이트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결합부의 외측 칼럼 부분에 보강 플레이트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철탑의 기둥부 상세도이다.
본 발명인 보강재와 철탑주주재 간 상대변위를 활용한 철탑구조 마찰형 보강기구는 철탑의 각 기둥부(530)에 마련되는 외측 칼럼(540)과 내측 칼럼(520) 사이를 앵글(940)과 볼트(980, 982)로 결합하는 결합부(900)와, 상기 결합부(900)의 외측 칼럼(540) 부분에 형성되는 슬롯(925)과, 상기 슬롯(925)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마련되는 마찰 플레이트(1000)(도 5의 D에 도시됨)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강재는 외측 칼럼(540)에 해당되고, 철탑주주재는 내측 칼럼(520)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부(530)의 수평 단면 형상은 십자형이고, 외측 칼럼(540)과 내측 칼럼(520)의 수평 단면 형상은 L자형이다.
또한, 기둥의 길이가 그 횡단면의 치수에 비해 클 때, 기둥의 양단에 압축하 중이 가해졌을 경우 하중이 어느 크기에 이르면 기둥이 갑자기 휘는 현상인 버클링(Buckling)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기둥부(530)의 길이에 따라 결합부(900)의 수를 적당히 마련한다. 도 5와 같이, 하나의 기둥부(530)에 결합부(900)를 4개 마련한 경우에는 상단 결합부(900) 중에 A는 외측 칼럼(540)에 제 1 구멍(920)이 형성되고, 내측 칼럼(520)에 제 2 구멍(930)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구멍(920) 및 제 2 구멍(930)의 외주면과 각각 접하는 제 1 보강 플레이트(965)가 2개 마련되고, 상기 제 1 보강 플레이트(965)에 각각에 접하는 앵글(940)이 마련된다.
상기 앵글(940)에는 제 3 구멍(960)과 제 4 구멍(990)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965)에는 제 5 구멍(962)과 제 6 구멍(992)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 컬럼(540)을 기준으로 상기 앵글(940)과 반대편에 제 1 와셔(880) 및 제 1 너트(970)가 마련되고, 내측 컬럼(520)을 기준으로 상기 앵글(940)과 반대편에 제 2 와셔(882) 및 제 2 너트(972)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A에는 상기 제 3 구멍(960), 제 5 구멍(962), 제 1 구멍(920) 및 제 1 와셔(880)를 차례로 관통하여 제 1 너트(970)와 결합하는 제 1 볼트(980)가 마련되고, 제 4 구멍(990), 제 6 구멍(992), 제 2 구멍(930) 및 제 2 와셔(882)를 차례로 관통하여 제 2 너트(972)와 결합하는 제 2 볼트(982)도 마련된다.
중간에 위치된 결합부(900) B와 C는 상기 A와 같은 구조이고, 다만, 외측 칼럼(540)에 상기 제 1 구멍(920) 대신 슬롯(925)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925)의 후면에 제 2 보강 플레이트(967)가 추가로 마련된다는 차이가 있다.
한편, 하부에 위치한 결합부(900)인 D는 상기 B 또는 C와 같은 구조인데, 다만 상기 슬롯(925)의 전면과 앵글(940) 사이에 제 1 보강 플레이트(965) 대신 제 1 마찰 플레이트(1000)가 마련되고, 슬롯(925)의 후면과 제 2 보강 플레이트(967) 사이에 제 2 마찰 플레이트(1010)가 마련된다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결합부(900)인 D에는 제 1 너트(970)가 앵글(940), 제 1 마찰 플레이트(1000), 슬롯(925), 제 2 마찰 플레이트(1010), 제 2 보강 플레이트(967) 및 제 1 와셔(880)를 차례로 통과하여 제 1 볼트(980)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보강 플레이트(965)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967)는 마찰계수가 적은 스틸이 사용되고, 상기 제 1 마찰 플레이트(1000) 및 제 2 마찰 플레이트(1010)는 마찰계수가 큰 황동이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내용을 요약하면 상기 외측 칼럼(540) 부분에 슬롯(925)이 형성된 결합부(900)가 기둥부(530)에 복수개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900)에는 보강 플레이트(965, 967)가 마련되며 그 중에 하나의 결합부(900)에만 마찰 플레이트(1000, 1010)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 철탑구조 마찰형 보강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5의 철탑 기둥부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의 (a)와 같은 철탑의 일부분에 있어서, 결합부(900) 중에 A는 고정 결합부이며, B와 C는 버클링 방지 결합부이고 D는 마찰 결합부이다.
즉, A의 외측 칼럼(540)에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도 5의 제 1 구멍(920)만 형성되어 단단히 고정된 결합부이며, B와 C는 외측 칼럼(540)에 슬롯(925)이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제 1 보강 플레이트(965)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967)가 마련되어 버클링이 방지되는 버클링 방지 결합부이며, D는 외측 칼럼(540)에 슬롯(925)이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큰 제 1 마찰 플레이트(1000) 및 제 2 마찰 플레이트(1010)가 마련된 마찰 결합부이다.
따라서, 도 6의 (b)와 같이 철탑에 풍력(1020)이 작용하면 상기 결합부(900) 중 A는 외측 칼럼(540)과 내측 칼럼(520)이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하고, B와 C는 외측 칼럼(540)의 슬롯(925)을 관통한 제 1 볼트(980)가 슬롯(925)의 하부로 약간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롯(925)의 외주면과 밀착된 제 1 보강 플레이트(965)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967) 사이에는 마찰 에너지가 매우 작게 발생한다.
그리고 D는 외측 칼럼(540)의 슬롯(925)을 관통한 제 1 볼트(980)가 슬롯(925)의 하부로 가장 많이 이동하게 된다. 왜냐하면, 고정된 A를 기준으로 가장 멀리 위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슬롯(925)의 외주면과 밀착된 제 1 마찰 플레이트(1000) 및 제 2 마찰 플레이트(1010) 사이에는 마찰 에너지가 크게 발생하여 상기 풍력(1020)에 의해 전달되는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즉, 상기 철탑에 전달되는 풍력(1020)에 의한 에너지를 상기 결합부(900) 중 D의 외측 칼럼(540)의 슬롯(925) 외주면과 제 1 마찰 플레이트(1000) 및 제 2 마찰 플레이트(1010)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감쇠시키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철탑의 기둥부에 결합부가 적절히 배치되어 버클링이 방지되고 결합부에 슬롯과 마찰 플레이트가 마련되어 풍력에 의한 진동을 감쇠시켜 철탑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철탑의 각 기둥부(530)에 마련되는 외측 칼럼(540)과 내측 칼럼(520) 사이를 앵글(940)과 볼트(980)로 결합하는 결합부(900)와;
    상기 결합부(900)의 외측 칼럼(540) 부분에 형성되는 슬롯(925)과;
    상기 슬롯(925)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상기 볼트(980)로 결합되는 마찰 플레이트(1000, 101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철탑에 전달되는 풍력에 의한 에너지를 상기 결합부(900)의 슬롯(925) 외주면과 마찰 플레이트(1000, 1010)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와 철탑주주재 간 상대변위를 활용한 철탑구조 마찰형 보강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530)의 수평 단면 형상이 십자형이고, 외측 칼럼(540)과 내측 칼럼(520)의 수평 단면 형상이 L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와 철탑주주재 간 상대변위를 활용한 철탑구조 마찰형 보강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측 칼럼(540)에 슬롯(925)이 형성된 결합부(900)가 상기 기둥부(530)에 복수개 마련되고, 그 중에 하나의 결합부(900)에만 마찰 플레이트(1000, 101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와 철탑주주재 간 상대변위를 활용한 철탑 구조 마찰형 보강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900)의 외측 칼럼(540) 부분에 보강 플레이트(965, 967)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와 철탑주주재 간 상대변위를 활용한 철탑구조 마찰형 보강기구.
KR1020060103283A 2006-10-24 2006-10-24 보강재와 철탑주주재 간 상대변위를 활용한 철탑구조마찰형 보강기구 KR100822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283A KR100822595B1 (ko) 2006-10-24 2006-10-24 보강재와 철탑주주재 간 상대변위를 활용한 철탑구조마찰형 보강기구
US11/636,158 US20080092478A1 (en) 2006-10-24 2006-12-08 Friction type retrofitting device for steel tower structur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283A KR100822595B1 (ko) 2006-10-24 2006-10-24 보강재와 철탑주주재 간 상대변위를 활용한 철탑구조마찰형 보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595B1 true KR100822595B1 (ko) 2008-04-16

Family

ID=39571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283A KR100822595B1 (ko) 2006-10-24 2006-10-24 보강재와 철탑주주재 간 상대변위를 활용한 철탑구조마찰형 보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127B1 (ko) * 2011-12-12 2014-02-0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철탑 및 철탑의 주주재를 구성하는 철탑용 부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1887A (ja) * 1992-05-12 1993-11-22 Tokyu Constr Co Ltd 鉄骨柱の建入れ調整方法
JPH0624159U (ja) * 1992-08-31 1994-03-29 電気興業株式会社 山形鋼を用いた十字形組立柱の継ぎ手構造
JPH102310A (ja) * 1996-06-14 1998-01-06 Chubu Electric Power Co Inc 形鋼材へ他の形鋼材の取付装置
KR20000008419U (ko) * 1998-10-21 2000-05-15 윤영석 배열회수 증기발생기의 벅스테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1887A (ja) * 1992-05-12 1993-11-22 Tokyu Constr Co Ltd 鉄骨柱の建入れ調整方法
JPH0624159U (ja) * 1992-08-31 1994-03-29 電気興業株式会社 山形鋼を用いた十字形組立柱の継ぎ手構造
JPH102310A (ja) * 1996-06-14 1998-01-06 Chubu Electric Power Co Inc 形鋼材へ他の形鋼材の取付装置
KR20000008419U (ko) * 1998-10-21 2000-05-15 윤영석 배열회수 증기발생기의 벅스테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127B1 (ko) * 2011-12-12 2014-02-0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철탑 및 철탑의 주주재를 구성하는 철탑용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92478A1 (en) Friction type retrofitting device for steel tower structures
CN102859097B (zh) 减振用金属板及建筑构造物
JP2004019361A (ja) ブレースダンパー
Mazza Displacement-based seismic design of hysteretic damped braces for retrofitting in-plan irregular rc framed structures
US6354047B1 (en) Columnar structure with earthquake resistance imparted thereto and method of reinforcing the earthquake resistance of a columnar structure
KR20180046558A (ko) 건축구조물의 내진보강을 위한 댐퍼
JP2011042974A (ja) 振動制御装置、振動制御装置を備えた構造物、耐震装置及び耐震装置を備えた構造物
KR101697753B1 (ko) 보호커버가 구비된 강성 조절형 이력 댐퍼
JP5908688B2 (ja) 鉄骨柱の露出型柱脚構造
KR101400423B1 (ko) 양방향 강재댐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내진보강구조
JP2011094414A (ja) 制振装置
KR101319698B1 (ko) 캔틸레버 거동식 강재 댐퍼
KR101661079B1 (ko) 수평방향 내진성능이 향상된 창호시스템
KR101371339B1 (ko) 점탄성체를 이용한 브레이스 마찰댐퍼
KR100822594B1 (ko) 철탑주주재의 보강재 간 상대변위를 활용한 철탑구조마찰형 보강기구
KR101145881B1 (ko) 강재 댐퍼와 마찰 댐퍼를 구비하는 샛기둥형 복합 댐퍼
KR101604745B1 (ko) 변위제어판을 이용한 지진에너지 소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KR101402479B1 (ko) 제진 댐퍼
KR20190079423A (ko) 내진 보강용 댐퍼
KR100822595B1 (ko) 보강재와 철탑주주재 간 상대변위를 활용한 철탑구조마찰형 보강기구
JP4908039B2 (ja) 木造建築の振動エネルギー吸収装置取付け用構造体
KR101051058B1 (ko) 건축물용 댐핑 시스템
KR101120502B1 (ko) 투명판 연결용 이음기구와 이 이음기구를 포함하는 방음벽
KR101432258B1 (ko) 강재댐퍼
KR102177097B1 (ko) 다수의 댐퍼와 철골구조물이 결합된 내진보강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