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458B1 -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유전자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유전자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458B1
KR101120458B1 KR1020090099069A KR20090099069A KR101120458B1 KR 101120458 B1 KR101120458 B1 KR 101120458B1 KR 1020090099069 A KR1020090099069 A KR 1020090099069A KR 20090099069 A KR20090099069 A KR 20090099069A KR 101120458 B1 KR101120458 B1 KR 101120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oslrp
gene
plant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2409A (ko
Inventor
황덕주
장지영
노태환
박상렬
김민갑
배신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90099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458B1/ko
Priority to PCT/KR2010/007117 priority patent/WO2011049334A2/ko
Publication of KR20110042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6Processes for producing mutations, e.g. treatment with chemicals or with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12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A01H1/122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 A01H1/1245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biotic stress resistance, e.g. pathogen, pest or disease resistance
    • A01H1/126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biotic stress resistance, e.g. pathogen, pest or disease resistance for virus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10S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46Gramineae or Poaceae, e.g. ryegrass, rice, wheat or maize
    • A01H6/4636Oryza sp. [ric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1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6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6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C12N15/827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 C12N15/8279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biotic stress resistance, pathogen resistance, disease resi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6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C12N15/827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 C12N15/8279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biotic stress resistance, pathogen resistance, disease resistance
    • C12N15/8283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biotic stress resistance, pathogen resistance, disease resistance for virus resis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146Genetically Modified [GMO] plants, e.g. transgenic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Vir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sLRP 유전자가 도입되어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이 증진된 형질전환 식물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벼 유래의 OsLRP(Oryza sativa leucine rich repeat protein)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이 증진된 식물체 및 이의 종자, 상기 OsLRP 유전자를 이용하여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이 증진된 벼 식물체의 제조 방법, 상기 OsLRP 유전자를 이용하여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방법, 상기 OsLRP 유전자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 증진용 조성물 및 상기 OsLRP 유전자를 이용하여 식물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벼 줄무늬잎마름병, 병 저항성, 벼, 식물체, OsLRP, 형질전환체

Description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유전자 및 이의 용도{Gene that increases resistance to rice stripe disease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유전자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벼, 옥수수, 보리 등과 같은 화본과 작물은 인류에 식량을 공급하는 중요한 식량작물이며, 이들 작물에는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하는 흑조위축병(검은줄오갈병), 오갈병 및 줄무늬잎마름병과 같은 병이 있어 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종래의 병 저항성 품종 육성에 대한 연구는 전통적인 교배 육종에 의존하였으며, 최근의 개발된 몇몇 저항성 품종은 수직 저항성을 이용한 저항성이므로 저항성이 쉽게 무너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 식물 병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유전자를 탐색, 분리 및 분석하고, 그 유전자를 이용하여 형질전환된 작물을 개발하는 분자 육종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분자 육종법에 의한 병 저항성을 갖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이용하는 경우에, 병에 대한 저항성으로 인한 생산량 증가뿐만 아니라, 농약의 사용량을 절감하고, 인건비 절약 등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및 안전한 농산물 공급을 가능케 하기 때문에 파급 효과는 크다고 할 것이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0803393호에는 벼에서 OsLRP 유전자를 이용한 병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해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내용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벼(Oryza sativa) 유래의 LRP(leucine rich repeat protein) 유전자인 OsLRP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도입시켜 제조한 형질전환된 벼 식물체를 제공하여, 최근 들어 기후온난화로 인하여 만연된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이 증진된 식물체를 제공함으로써 농작물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벼 유래의 OsLRP(Oryza sativa leucine rich repeat protein)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이 증진된 식물체 및 이의 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OsLRP 유전자를 이용하여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이 증진된 벼 식물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OsLRP 유전자를 이용하여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OsLRP 유전자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OsLRP 유전자를 이용하여 식물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OsLRP 유전자를 식물 형질전환용 발현벡터에 조합하여 전이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식물체의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후온난화, 동계 작물 재배 등으로 인한 매개충인 벼멸구의 월동으로 최근 3년간 벼 줄무늬잎마름병이 창궐하고 있는 요즘에 살충제의 절감 효과뿐만 아니라 경제 작물 등의 수확량 증대 등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벼 유래의 OsLRP(Oryza sativa leucine rich repeat protein)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이 증진된 식물체를 제공한다.
상기 OsLRP 유전자는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염기 서열의 변이체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변이체는 염기 서열은 변화되지만, 서열번호 1의 염기 서열과 유사한 기능적 특성을 갖는 염기 서열이다. 구체적으로, OsLRP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염기 서열과 7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염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에 대한 "서열 상동성의 %"는 두 개의 최적으로 배열된 서열과 비교 영역을 비교함으로써 확인되며, 비교 영역에서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일부는 두 서열의 최적 배열에 대한 참고 서열(추가 또는 삭제를 포함하지 않음)에 비해 추가 또는 삭제(즉, 갭)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OsLRP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는 바람직하게는 식물 발현 벡터이며, 식물 발현 벡터는 프로모터 및 터미네이터를 포함하는데, 프로모터는 CaMV 35S, 액틴, 유비퀴틴, pEMU, MAS 또는 히스톤 프로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모터"란 용어는 구조 유전자로부터의 DNA 업스트림의 영역을 의미하며 전사를 개시하기 위하여 RNA 폴리머라아제가 결합하는 DNA 분자를 말한다. "식물 프로모터"는 식물 세포에서 전사를 개시할 수 있는 프로모터이다. "구성적(constitutive) 프로모터"는 대부분의 환경 조건 및 발달 상태 또는 세포 분화하에서 활성이 있는 프로모터이다. 형질전환체의 선택이 각종 단계에서 각종 조직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구성적 프로모터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적 프로모터는 선택 가능성을 제한하지 않는다.
터미네이터는 통상의 터미네이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노팔린 신타아제(NOS), 벼 α-아밀라아제 RAmy1 A 터미네이터, 파세올린(phaseoline) 터미네이터,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의 옥토파인(Octopine) 유전자의 터미네이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미네이터의 필요성에 관하여, 그러한 영역이 식물 세포에서의 전사의 확실성 및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고 있다. 그러므로 터미네이터의 사용은 본 발명의 내용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체는 바람직하게는 벼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식물체의 종자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자는 벼의 종자이다.
본 발명은 또한, 벼 유래의 OsLRP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식물 세 포를 형질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형질전환된 식물 세포로부터 형질전환 식물을 재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이 증진된 벼 식물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식물의 형질전환은 DNA를 식물에 전이시키는 임의의 방법을 의미한다. 그러한 형질전환 방법은 반드시 재생 및(또는) 조직 배양 기간을 가질 필요는 없다. 식물 종의 형질전환은 이제는 쌍자엽 식물뿐만 아니라 단자엽 식물 양자를 포함한 식물 종에 대해 일반적이다. 원칙적으로, 임의의 형질전환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잡종 DNA를 적당한 선조 세포로 도입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방법은 원형질체에 대한 칼슘/폴리에틸렌 글리콜 방법(Krens, F.A. et al., 1982, Nature 296, 72-74), 원형질체의 전기천공법(Shillito R.D. et al., 1985 Bio/Technol. 3, 1099-1102), 식물 요소로의 현미주사법(Crossway A. et al., 1986, Mol. Gen. Genet. 202, 179-185), 각종 식물 요소의 (DNA 또는 RNA-코팅된) 입자 충격법(Klein T.M. et al., 1987, Nature 327, 70), 식물의 침윤 또는 성숙 화분 또는 소포자의 형질전환에 의한 아그로박테리움 투머파시엔스 매개된 유전자 전이에서 (비완전성)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등으로부터 적당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방법은 아그로박테리움 매개된 DNA 전달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EP A 120 516호 및 미국 특허 제4,940,83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소위 이원 벡터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다.
식물의 형질전환에 이용되는 "식물 세포"는 어떤 식물 세포도 된다. 식물 세 포는 배양 세포, 배양 조직, 배양 기관 또는 전체 식물, 바람직하게는 배양 세포, 배양 조직 또는 배양 기관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배양 세포의 어떤 형태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체는 벼이다.
"식물 조직"은 분화된 또는 미분화된 식물의 조직,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진 않으나, 뿌리, 줄기, 잎, 꽃가루, 종자, 암 조직 및 배양에 이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세포들, 즉 단일 세포, 원형질체(protoplast), 싹 및 캘러스 조직을 포함한다. 식물 조직은 인 플란타(in planta)이거나 기관 배양, 조직 배양 또는 세포 배양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벡터로 식물 세포를 형질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형질전환은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형질전환된 식물 세포로부터 형질전환 식물을 재분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형질전환 식물 세포로부터 형질전환 식물을 재분화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벼 유래의 OsLRP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식물 세포를 형질전환시켜 OsLRP 유전자를 과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하기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OsLRP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벼는 벼 줄무늬잎마름병 증상을 보여주지 않았다. 식물체의 형질전환 방법, 형질전환에 이용되는 재조합 벡터 및 숙주 세포로 이용될 수 있는 식물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또한, 벼 유래의 OsLRP 유전자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OsLRP 유전자는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체의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 증진용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벼 유래의 OsLRP 유전자를 포함하며, 상기 유전자 OsLRP를 식물체에 형질전환시킴으로써 식물체의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벼 유래의 OsLRP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식물 세포를 형질전환시켜 OsLRP 유전자를 과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OsLRP 유전자의 식물체에서의 발현은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해 저항성을 갖게 하므로, OsLRP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식물체는 대조군에 비해 식물체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OsLRP 형질전환체에서 OsLRP 유전자의 발현분석
OsLRP 형질전환체의 제작과정은 선행 특허 (대한민국특허 제10-0803393호)에서 상세히 기재한 바 있다. OsLRP 형질전환체에서 OsLRP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온실에서 키운 OsLRP 형질전환 벼의 잎을 채취하여 Trizol (Invitrogen Co.)을 이용하여 총 RNA를 분리하였다. 올리고 dT 프라이머(Oligo dT primer)를 이용하여 역전사(reverse transcription) 반응을 수행하고 OsLRP (AF364178) 특이 5' 프라이 머 A (5'-CTGGTCATCTGGTGCCTGAGCTTG-3': 서열번호 2)와 3' 프라이머 B (5'-GCAGTTGGTGTCATATACAGCCAG-3': 서열번호 3)로, 또한 OsActin (XM469569)은 5' 프라이머 C (5'-TCCATCTTGGCATCTCTCAG-3': 서열번호 4)와 3' 프라이머 D (5'-GTACCCGCATCAGGCATCTG-3': 서열번호 5)로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55℃ 어닐링(annealing) 온도로 30회 수행하여 OsLRP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OsLRP는 대조구에 비해 과량 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OsLRP 형질전환체의 병 저항성 유도 여부 확인
OsLRP 형질전환체에서 병 저항성 반응이 유도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온실에서 키운 OsLRP 형질전환 벼의 잎을 채취하여 Trizol (Invitrogen Co.)을 이용하여 총 RNA를 분리하였다. 올리고 dT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역전사(reverse transcription) 반응을 병 저항성 유도 마커 유전자인 OsPR10a (D38170) 특이 5' 프라이머 E (5'-GCTACAGGCATCAGTGGTCA-3': 서열번호 6)와 3' 프라이머 F (5'-GACTCAAACGCCACGAGAAT-3': 서열번호 7)로 또한 OsActin으로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55℃ 어닐링(annealing) 온도로 30회 수행하여 OsPR10a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OsPR10a는 대조구에 비해 유도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OsLRP 형질전환체의 벼 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 증진효과 검정
배양실에서 벼를 발아시켜 온실에 형질전환 벼를 파종하였다. 온실에서 벼 줄무늬바이러스가 감염된 벼로 인해 애멸구의 보독충률이 높아 온실에 많은 벼들이 벼 줄무늬잎마름병 증상을 보였다. 도 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대조구는 심한 벼 줄무늬잎마름병 증상을 보여주었고, OsLRP 형질전환체는 병징이 보이지 않고 건전한 잎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OsLRP 형질전환체와 대조구의 이병체에서 벼 줄무늬바이러스 검출
온실에서 벼 줄무늬바이러스가 감염된 벼로 인해 애멸구의 보독충률이 높아 온실에 많은 벼들이 벼 줄무늬잎마름병 증상을 보였다. 이 증상이 벼 줄무늬바이러스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벼 줄무늬바이러스의 RNA3의 캡시드 단백질(capsid protein) 특이 5' 프라이머 G (5'-AGCCACTCTAGCTGATTTG-3': 서열번호 8)와 3'프라이머 H (5'-TGGTTATTTGGAAGGAGTG-3': 서열번호 9)로 또한 OsActin으로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55℃ 어닐링(annealing) 온도로 30회 수행하여 RSV-CP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보면 대조구에서는 바이러스가 대량으로 검출되었으나 OsLRP 형질전환체에서는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도 1은 OsLRP 형질전환체에서 OsLRP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2는 OsLRP 형질전환체의 병 저항성 유도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OsLRP 형질전환체의 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 증진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OsLRP 형질전환체와 대조구의 이병체에서 벼 줄무늬바이러스를 검출한 결과이다.
<110>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Gene that increases resistance to rice stripe disease and uses thereof <130> PN09189 <160> 9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992 <212> DNA <213> Oryza sativa <400> 1 ttgctgctgc tactactctt cttccccctt cctcgtgttc ctcctcttcg cctcgtctct 60 ctgccctgcc tcgtgcgcgt ccagatccgg gagggatggg ggcgggggcg ctgggggtgg 120 tggcgatggt ggcggcggcg gtggtggtgg cgatggcggg ggcgaactcc gagggcgacg 180 cgctgtcggc gctgcggcgg agcctcaggg accccggcgg ggtgctgcag agctgggacc 240 ccacgctcgt caacccctgc acctggttcc acgtcacctg cgaccgcgac aaccgcgtca 300 cgcgcctcca tcttgggaat ttgaacttat ctggtcatct ggtgcctgag cttggaaagt 360 tggatcatct gcaatatctg gagctataca agaataatat tcaaggaacg atcccatcgg 420 aacttggtaa tttgaagaat cttataagct tggacctgta caagaacaac atttctggga 480 ctatacctcc aacacttggg aaattaacgt cccttgtatt cttgcggctc aatggcaatc 540 gcttgactgg gccaatccca agggaactgg ccggaatatc tagtcttaaa gttgttgatg 600 tttcaagcaa tgatctgtgt ggaacaattc ctacatcagg accatttgag cacattcccc 660 taagcaactt tgagaagaac ccacgcttgg aaggtccaga actacaaggc ctggctgtat 720 atgacaccaa ctgctagatg gaaacacgaa gaaaagaatg ggtagaaagt aatgggcgta 780 aaatgttacc gaaaaccggg tgatatagat tatgttaggt ttggacctac cactctgtaa 840 tcctccatgc atagctcttg tttgtgctgt ttgtcggcaa tgaagttgta tgttgtagca 900 gaatactttc tttctgtgaa agtaaacatg gaactgctta tgtcatgagt caaatgttat 960 tgttatcaca aaaaaaaaaa aaaaaaaaaa aa 992 <210> 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A <400> 2 ctggtcatct ggtgcctgag cttg 24 <210> 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B <400> 3 gcagttggtg tcatatacag ccag 24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C <400> 4 tccatcttgg catctctcag 20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D <400> 5 gtacccgcat caggcatctg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E <400> 6 gctacaggca tcagtggtca 20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 <400> 7 gactcaaacg ccacgagaat 20 <210> 8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G <400> 8 agccactcta gctgatttg 19 <210> 9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H <400> 9 tggttatttg gaaggagtg 19

Claims (6)

  1.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벼 유래의 OsLRP(Oryza sativa leucine rich repeat protein)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이 증진된 식물체.
  2. 제1항에 따른 식물체의 종자.
  3.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벼 유래의 OsLRP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식물 세포를 형질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형질전환된 식물 세포로부터 형질전환 식물을 재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이 증진된 벼 식물체의 제조 방법.
  4.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벼 유래의 OsLRP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식물 세포를 형질전환시켜 OsLRP 유전자를 과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방법.
  5.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벼 유래의 OsLRP 유전자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 증진용 조성물.
  6.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벼 유래의 OsLRP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식물 세포를 형질전환시켜 OsLRP 유전자를 과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KR1020090099069A 2009-10-19 2009-10-19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유전자 및 이의 용도 KR101120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069A KR101120458B1 (ko) 2009-10-19 2009-10-19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유전자 및 이의 용도
PCT/KR2010/007117 WO2011049334A2 (ko) 2009-10-19 2010-10-18 식물병에 대해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OsLRP 유전자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069A KR101120458B1 (ko) 2009-10-19 2009-10-19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유전자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409A KR20110042409A (ko) 2011-04-27
KR101120458B1 true KR101120458B1 (ko) 2012-06-27

Family

ID=4390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069A KR101120458B1 (ko) 2009-10-19 2009-10-19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유전자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20458B1 (ko)
WO (1) WO201104933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590B1 (ko) 2013-10-25 2016-04-1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증진된 병충해 저항성을 가지는 카페인 생합성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 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99274B (zh) * 2011-11-03 2013-07-31 浙江师范大学 负调控水稻抗病与细胞死亡的基因及其用途
CN102888399B (zh) * 2012-09-30 2014-02-05 浙江师范大学 鉴定水稻高抗白叶枯病基因的sts分子标记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701B1 (ko) * 2004-10-15 2006-08-2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야생벼로부터 분리한 식물병 저항성 유전자 오지피알10,그 아미노산 서열 및 이를 이용한 형질전환체 식물
KR100764563B1 (ko) * 2005-03-03 2007-10-09 대한민국 식물 병저항성 유도 유전자,벡터 및 이로부터 얻어지는 형질전환체
KR100703566B1 (ko) * 2005-09-22 2007-05-21 대한민국 벼에서 분리된 병저항성 유전자, 이 유전자를 포함하는발현벡터, 이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체 및 이형질전환체의 제조방법
KR100803393B1 (ko) * 2006-09-05 2008-02-14 대한민국 벼에서 OsLRP 유전자를 이용한 병 저항성을증진시키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590B1 (ko) 2013-10-25 2016-04-1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증진된 병충해 저항성을 가지는 카페인 생합성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 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49334A2 (ko) 2011-04-28
KR20110042409A (ko) 2011-04-27
WO2011049334A9 (ko) 2011-09-29
WO2011049334A3 (ko)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6356B2 (en) Transcriptional regulation for improved plant productivity
ES2363980T3 (es) Uso de una secuencia de ácido nucleico para la generación de plantas transgénicas que tienen tolerancia a la sequía mejorada.
US7897843B2 (en)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plant biomass and abiotic stress tolerance
WO2003013228A2 (en) Biochemistry-related polynucleotides and polypeptides in plants
US10982225B2 (en) Flowering time-regulating genes and related constructs and applications thereof
US20060162018A1 (en) Plant transcriptional regulators of disease resistance
KR101790010B1 (ko) 수발아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벼 유래 유전자 및 이의 용도
CA3022345A1 (en) Construct and vector for intragenic plant transformation
KR101120458B1 (ko)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유전자 및 이의 용도
KR20120111715A (ko) 식물체의 한발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OsbHLH148 유전자 및 이의 용도
CA2762432A1 (en) Light-regulated promoters
CN109628475B (zh) 油菜素内酯合成基因PaCYP724B1在调控植物分枝中的用途
US10889828B2 (en) Transgenic plants with enhanced traits
AU2018258016B2 (en) Controlling stomatal density in plants
KR101541598B1 (ko) 식물의 체관 발달 및 형성에 관여하는 phd 유전자
KR101478112B1 (ko) 흑반병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고구마 IbOr-Ins 유전자 및 이의 용도
KR101902915B1 (ko) 수발아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벼 유래 OsPHS2 유전자 및 이의 용도
KR101785101B1 (ko) OsDWD1 유전자 및 이의 용도
US20150344899A1 (en) Transgenic Plants With Enhanced Traits
US20230392159A1 (en) Engineering increased suberin levels by altering gene expression patterns in a cell-type specific manner
WO2013137490A1 (ja) 植物の形態形成および/または環境ストレス耐性に関与するポリペプチド
KR101784162B1 (ko) 식물체의 개화기 또는 성숙기를 촉진하는 유전자 및 이의 용도
WO2014025137A1 (ko) 식물의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uip1 유전자 및 이의 용도
KR101293756B1 (ko) 벼에서 분리된 OsPLIM 유전자, 이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벡터, 이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 식물체 및 그 제조방법
AU2018253628A1 (en) Construct and vector for intragenic plant trans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