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652B1 - 주먹밥 제조 용기 - Google Patents

주먹밥 제조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652B1
KR101119652B1 KR1020090097828A KR20090097828A KR101119652B1 KR 101119652 B1 KR101119652 B1 KR 101119652B1 KR 1020090097828 A KR1020090097828 A KR 1020090097828A KR 20090097828 A KR20090097828 A KR 20090097828A KR 101119652 B1 KR101119652 B1 KR 101119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plate
container
receiving groove
rice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521A (ko
Inventor
최성연
Original Assignee
최성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연 filed Critical 최성연
Priority to KR1020090097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6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40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주먹밥 제조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먹밥 제조 용기는, 밥솥 용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밥솥 용기 내부에 장착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하부 방향으로 향하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플레이트 상에 쌀을 담을 수 있는 복수의 쌀 수용홈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보다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주먹밥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주먹밥, 밥솥 용기

Description

주먹밥 제조 용기 {Rice ball production tool}
본 발명은 주먹밥 제조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밥솥 용기에 장착하여 간편하게 주먹밥을 제조할 수 있는 주먹밥 제조 용기에 관한 것이다.
쌀밥은 예로부터 우리 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양자강 이남지역, 일본, 동남아 국가 국민들의 주식으로 오랫동안 애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쌀밥은 조리도 간단하고 맛도 좋음은 물론 일상 생활에 필요한 영양소를 거의 갖추고 있다. 예컨대, 쌀의 전분은 뇌의 활동을 돕고 비만과 당뇨병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지방이 적으므로 최근 고도 비만으로 고민하고 있는 미국에서는 쌀밥이 다이어트식품으로 새롭게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쌀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중 토코트리에놀은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쌀을 보다 간편하게 먹는 방법으로 밥을 지어 손으로 모양을 내는 주먹밥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주먹밥은 밥솥을 이용하여 밥을 짓고, 그 밥을 별도의 용기에 옮겨 닮아 손으로 모양을 내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이 같은 방법은 밥을 지은 후 사람이 모양을 내야하므로 번거로우며, 손으로 주먹밥을 만드는 것에 의해 위생상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쌀 수용홈 상에 쌀과 물을 넣고 밥솥 용기를 이용하여 밥을 지음으로써, 밥솥을 이용하여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주먹밥을 제조할 수 있는 주먹밥 제조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먹밥 제조 용기는 밥솥 용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밥솥 용기 내부에 장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하부 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플레이트 상에 쌀을 담을 수 있는 복수의 쌀 수용홈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쌀 수용홈은 반구형, 사각형, 삼각형, 별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 전체에 띠 형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쌀 수용홈은 스테인레스 스틸, 강화유리, 도자기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쌀 수용홈은 그 내측에 상기 쌀 수용홈 내에 담을 수 있는 적정 쌀 높이를 표시한 제1 눈금선과 밥을 짓는데 필요한 적정 물 높이를 표시한 제2 눈금선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주먹밥 제조 용기는, 상기 플레이트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쌀 수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볼록홈을 포함하는 덮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볼록홈은 쌀이 익는 동안 발생하는 김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밥솥 용기에 장착되며 복수 개의 쌀 수용홈을 갖는 주먹밥 제조 용기를 이용함으로써, 밥솥을 이용하여 주먹밥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과 비교할 때, 보다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주먹밥을 제조할 수 있게 되며, 한 번에 많은 양의 주먹밥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먹밥 제조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 다. 도 1을 참조하면, 주먹밥 제조 용기(100)는 플레이트(110), 지지부(120) 및 복수의 쌀 수용홈(130)을 포함한다.
플레이트(110)는 주먹밥 제조 용기(100)의 몸체로, 밥솥 용기에 장착하기 위해 밥솥 용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즉, 플레이트(110)는 밥을 짓는데 사용되는 밥솥 용기, 예를 들어, 압력밥솥, 냄비, 전기(압력)밥솥 등에 장착되는 밥솥 등으로, 그 둘레가 원형일 수 있으며, 사각형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플레이트(110)의 크기는 한정되지 않으며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밥솥 용기의 다양한 크기를 고려하여 플레이트(110)의 크기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 플레이트(110)의 상부면에는 쌀을 담을 수 있는 복수의 쌀 수용홈(130)을 포함한다. 지지부(120)는 플레이트(110)의 둘레에 연결되어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플레이트(110) 전체에 띠 형태로 연결된다. 그리고, 플레이트(110)를 지지하여 플레이트(110)가 바닥면에서 일정 거리 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지지부(120)는 복수의 쌀 수용홈(130)의 깊이보다 그 길이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주먹밥 제조 용기(100)는 밥솥 용기에 장착되어 주먹밥을 만드는 용기로, 밥을 짓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에 잘 견뎌내야 한다. 따라서, 플레이트(110), 지지부(120) 및 쌀 수용홈(130) 등은 내열성 및 내구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스테인레스 스틸, 강화유리, 도자기 중 어느 하나 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먹밥 제조와 관련하여 주먹밥 제조 용기(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복수의 쌀 수용홈(130)에 깨끗이 씻은 쌀과 적정량의 물을 넣고, 주먹밥 제조 용기(100)를 밥솥 용기에 장착한다. 주먹밥 제조 용기(100)가 밥솥 용기(10)에 장착된 형태는 도 2에 도시된 것으로,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주먹밥 제조 용기(100)의 몸체에 해당하는 플레이트(110)가 밥솥 용기(10)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밥솥 용기(10) 내에 주먹밥 제조 용기(100)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밥솥 용기(10) 내에 주먹밥 제조 용기(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밥을 짓게 되면 주먹밥 제조 용기(100)의 쌀 수용홈(130)에 넣어진 쌀이 익게 된다. 이 과정에서, 쌀은 쌀 수용홈(130)과 동일한 모양을 갖게 되는 것으로, 밥을 짓고 난 후에 쌀 수용홈(130)에서 밥을 분리함으로써, 주먹밥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밥을 짓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과 동일하나, 밥솥 용기(10) 내에 물을 소량 넣어줄 수도 있다.
한편, 주먹밥은 쌀 수용홈과 동일한 모양을 갖는 것으로, 쌀 수용홈에 따라 주먹밥의 모양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쌀 수용홈이 반구형, 사각형, 삼각형, 별 등의 형상을 갖도록 제작하여, 다양한 모양의 주먹밥을 만들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주먹밥 제조 용기(200)는 삼각형의 쌀 수용홈(230)을 포함하고 있다. 최근 들어 삼각 김밥에 대한 판매 및 가정에서의 제조가 증가하는 것을 고려할 때, 도 3에 도시된 주먹밥 제조 용기(200)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주먹밥을 보다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각형 또는 별 모양 등의 쌀 수용홈이 형성된 주먹밥 제조 용기를 이용하여 주먹밥을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 수 있으며,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주먹밥을 만들기 위해 쌀 수용홈(130)에 적정량의 쌀과 물을 넣어줘야 한다. 만약, 쌀을 너무 많이 넣게 되면 쌀 수용홈(130) 외부로 밥이 넘치게 되어 주먹밥의 크기가 커지며, 모양이 흐트러질 수 있다. 또한, 물을 너무 많이 넣거나 적게 넣으면 주먹밥을 주먹밥 제조 용기(100)에서 분리하였을 때, 주먹밥 모양이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쌀 수용홈(130) 내측에 쌀 수용홈(130) 내에 담을 수 있는 적정 쌀 높이를 표시한 제1 눈금선(A)과 밥을 짓는데 필요한 적정 물 높이를 표시한 제2 눈금선(B)을 포함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눈금선(A)만큼 쌀을 넣고 제2 눈금선(B)만큼 물을 넣어 밥을 지음으로써, 예쁜 모양과 크기의 주먹밥을 만들 수 있으며 주먹밥 제조 용기(100)에서 주먹밥을 분리하였을 때에도 주먹밥의 모양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주먹밥 제조 용기(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플레이트(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 플레이트(300)는 도 1에 도시된 플레이트(110)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 플레이트(300)는 플레이트(1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쌀 수용홈(130)에 대응되는 위치(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홈(330)을 포함한다. 이 경우, 복수의 볼록홈(330)은 상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쌀 수용홈(130)과 함께 주먹밥의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볼록홈(330)과 쌀 수용홈(130)이 반구형인 경우, 서로 마주하게 되면 공과 같은 동그란 구형이 된다. 따라서, 이들 볼록홈(330)과 쌀 수용홈(130)을 통해 만들어지는 주먹밥이 동그란 모양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볼록홈(330)은 쌀 수용홈(130)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쌀 수용홈(130)이 사각형인 경우에는 볼록홈(330)도 사각형을 가져야만 주먹밥의 모양을 예쁘게 만들수 있게 된다.
한편, 복수의 볼록홈(330)에는 배출 구멍(330a)이 형성되어 있어 쌀이 익는 동안 발생하는 김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덮개 플레이트(300)는 주먹밥 제조시 사용되는 것으로, 플레이트(1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덮개 플레이트(300)는 그 둘레에 연결되어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덮개 지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의 덮개 지지부는 덮개 플레이트(300)가 플레이트(110)와 결합되는 경우, 지지부(120)의 외주면에 끼워져 덮개 플레이트(30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먹밥 제조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밥솥 용기에 도 1에 도시된 주먹밥 제조 용기가 장착된 형태는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먹밥 제조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쌀 수용홈을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덮개 플레이트는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100', 200 : 주먹밥 제조 용기
110, 210 : 플레이트
120, 220 : 지지부
130, 230 : 쌀 수용홈

Claims (7)

  1. 밥솥 용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밥솥 용기 내부에 장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하부 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플레이트 상에 쌀을 담을 수 있는 복수의 쌀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쌀 수용홈은 그 내측에 상기 쌀 수용홈 내에 담을 수 있는 적정 쌀 높이를 표시한 제1 눈금선과 밥을 짓는데 필요한 적정 물 높이를 표시한 제2 눈금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먹밥 제조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쌀 수용홈은,
    반구형, 사각형, 삼각형, 별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먹밥 제조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 전체에 띠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먹밥 제조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쌀 수용홈은,
    스테인레스 스틸, 강화유리, 도자기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먹밥 제조 용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쌀 수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볼록홈을 포함하는 덮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먹밥 제조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홈은,
    쌀이 익는 동안 발생하는 김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먹밥 제조 용기.
KR1020090097828A 2009-10-14 2009-10-14 주먹밥 제조 용기 KR101119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828A KR101119652B1 (ko) 2009-10-14 2009-10-14 주먹밥 제조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828A KR101119652B1 (ko) 2009-10-14 2009-10-14 주먹밥 제조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521A KR20110040521A (ko) 2011-04-20
KR101119652B1 true KR101119652B1 (ko) 2012-03-16

Family

ID=44046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828A KR101119652B1 (ko) 2009-10-14 2009-10-14 주먹밥 제조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6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0182A (ko) * 1995-05-09 1996-12-17 유끼오 이시다 성형밥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55433Y1 (ko) 2001-09-01 2001-12-20 이장규 다중 조리가능한 밥솥
KR20050082173A (ko) * 2005-08-01 2005-08-22 김명철 계란 찜판
KR100833819B1 (ko) 2000-11-27 2008-06-02 가부시키가이샤 신와 기카이 팩 주먹밥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0182A (ko) * 1995-05-09 1996-12-17 유끼오 이시다 성형밥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33819B1 (ko) 2000-11-27 2008-06-02 가부시키가이샤 신와 기카이 팩 주먹밥의 제조방법
KR200255433Y1 (ko) 2001-09-01 2001-12-20 이장규 다중 조리가능한 밥솥
KR20050082173A (ko) * 2005-08-01 2005-08-22 김명철 계란 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521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71449T3 (es) Molde para escalfar.
CN204245902U (zh) 烹饪器具
CN101568283A (zh) 选择型饭锅
CN201379350Y (zh) 陶瓷多孔套盘
KR101119652B1 (ko) 주먹밥 제조 용기
CN206687583U (zh) 一种具有密封结构的蒸锅
CN201223277Y (zh) 一种新型电饭煲
CN209474436U (zh) 一种多用途不粘锅内的油炸篮
KR200388261Y1 (ko) 전기 밥솥의 찜 요리를 위한 이중 조리용기
CN211459816U (zh) 一种微波炉煮蛋器
CN206324715U (zh) 一种烹饪用具
CN208808222U (zh) 一种自带定位的火锅
CN201097992Y (zh) 熬粥防溢锅筛
CN209995941U (zh) 内锅及烹饪器具
CN204378850U (zh) 蒸煮并用式电子锅
CN208808142U (zh) 一种自带定位的新型火锅
CN210330340U (zh) 一种菜架
CN202820981U (zh) 蒸盘
CN2210596Y (zh) 陶瓷炖盅
CN218246778U (zh) 一种制作低糖饭的电饭煲
CN2790351Y (zh) 一种蒸笼
CN211212797U (zh) 一种带有温度检测功能的锅手柄
CN208404085U (zh) 一种锅具
CN208404164U (zh) 一种耐高温陶瓷饭煲
CN209995940U (zh) 内锅及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