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124B1 -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 - Google Patents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124B1
KR101119124B1 KR1020100016790A KR20100016790A KR101119124B1 KR 101119124 B1 KR101119124 B1 KR 101119124B1 KR 1020100016790 A KR1020100016790 A KR 1020100016790A KR 20100016790 A KR20100016790 A KR 20100016790A KR 101119124 B1 KR101119124 B1 KR 101119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light unit
blu
inverter
suppor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7129A (ko
Inventor
이강일
Original Assignee
(주)신세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세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신세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016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124B1/ko
Publication of KR20110097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Abstract

본 발명은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에 관한 것으로, 백라이트유닛을 조립하고 점검하기 위한 연속 공정에서 엘씨디 패널과 엘지피(LGP)가 조립되어 형성된 백라이트유닛은 엘씨디 패널이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공급되며, 이 경우 백라이트유닛의 후면에 위치하는 전기, 전자적인 제어 장치들을 테스트하기 위한 점검 작업이 쉽지 않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전기를 도입하여 백라이트유닛이 조립된 후 다음 공정으로 이송 시 백라이트유닛을 반전시켜 공급함으로써 백라이트유닛의 전기, 전자적인 제어 장치들의 점검 작업이 쉽고 신속하게 이루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택트 타임(tact-time)의 지연을 최소화하고, 또 이를 통해 백라이트유닛을 조립하기 위한 전 공정을 유기적으로 연계함으로써 각 공정간의 작업시간을 균형화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흐름 라인 생산시 라인이 멈추지 않는 연속화 작업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증대와, 각 공정별 생산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이를 통하여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백라이트유닛의 반전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REVERSAL DEVICE FOR BACK LIGHT UNIT}
본 발명은 백라이트유닛을 조립하고 점검하기 위한 연속 공정에서 엘씨디 패널과 엘지피(LGP)가 조립되어 형성된 엘씨디패널조립체는 엘씨디 패널이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공급되며, 이 경우 엘씨디패널조립체의 후면에 위치하는 전기, 전자적인 제어 장치들을 테스트하기 위한 점검 작업이 쉽지 않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전기를 도입하여, 백라이트유닛이 조립된 엘씨디패널조립체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 시 엘씨디패널조립체를 반전시켜 공급함으로써 백라이트유닛의 전기, 전자적인 제어 장치들의 점검 작업이 쉽고 신속하게 이루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택트 타임(tact-time)의 지연을 최소화하고, 또 이를 통해 백라이트유닛을 조립하기 위한 전 공정을 유기적으로 연계함으로써 각 공정간의 작업시간을 균형화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흐름 라인 생산시 라인이 멈추지 않는 연속화 작업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증대와, 각 공정별 생산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이를 통하여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라이트유닛은 보호필름 박리용 로터리어셈블리에서 엘씨디 패널이 부착된 보호필름을 제거한 후, 엘씨디 패널과 엘지피(LGP)를 결합하여 백라이트유닛을 조립하게 되며,
이렇게 조립된 패널조립체('백라이트 유닛'이라고도 한다. 이하 같다)는 여러 공정을 거쳐 각종 테스트나 점검을 받기 위해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다.
이 경우 백라이트유닛의 후면에는 각종 전기 및 전자 제어 장치들이 구비된 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 내부에는 엘지피가 수용되고, 엘씨디 패널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로터리어셈블리에서 조립된 백라이트유닛은 엘씨디 패널이 상방으로 향하도록 누워진 상태로 공급됨으로 백라이트유닛의 후면인 프레임에 구비된 각종 전기 및 전자 제어 장치들의 테스트와 각종 점검을 위하여 백라이트유닛을 반전시켜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백라이트유닛을 반전시키기 위한 작업자가 직접 백라이트유닛을 뒤집거나 또는 리프트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작업의 불편과, 작업 시간의 지연되는 문제와,
또한,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한 대비가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무엇보다도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식으로 백라이트유닛을 역전시키는 작은 백라이트유닛을 조립하고, 각종 점검을 위한 연속된 공정에서 작업 연속성과, 전 공정 간의 상호 유기적인 연계를 꾀할 수 없어 택트 타임의 지연을 막을 수 없고,
또한, 각 공정 간의 작업시간을 균형화할 수 없어 각 공정별 생산능력을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백라이트유닛을 조립하고 점검하기 위한 연속 공정에서 엘씨디 패널과 엘지피(LGP)가 조립되어 형성된 백라이트유닛은 엘씨디 패널이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공급되며, 이 경우 백라이트유닛의 후면에 위치하는 전기, 전자적인 제어 장치들을 테스트하기 위한 점검 작업이 쉽지 않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인 반전기를 도입하여, 조립된 백라이트유닛을 눕혀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 시, 백라이트유닛을 180도로 반전시켜(즉, 뒤집어서) 공급함으로써, 배면의 백라이트유닛의 전기, 전자적인 제어 장치들의 점검 작업이 쉽고 신속하게 이루질 수 있어,
택트 타임(tact-time)의 지연을 최소화하고, 또 이를 통해 백라이트유닛을 조립하기 위한 전 공정을 유기적으로 연계함으로써 각 공정 간의 작업시간을 균형화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흐름 라인 생산시 라인이 멈추지 않는 연속화 작업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증대와, 각 공정별 생산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이를 통하여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에는 리턴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백라이트유닛이 인입된 후에 반전되어 후단부로 인출된 경우 백라이트유닛의 인입위치로 스토퍼를 복귀시켜 후속되는 백라이트유닛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의 연속성 및 신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수단은 백라이트유닛을 가압 지지함으로써 몸체를 회전시켜 백라이트유닛을 반전시키는 경우 상하부에 배열된 컨베이어와 백라이트유닛 간의 이격공간에서 백라이트유닛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이러한 유동과 백라이트유닛의 반전 시 발생하는 원심력으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백라이트유닛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고, 작업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작업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반전기는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수용부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수용부에 배열되어, 상기 백라이트유닛을 인입(引入) 및 인출(引出)시키기 위한 입출수단; 상기 몸체의 수용부에 배열되고, 상기 입출수단에 의하여 수용부로 인입되는 백라이트유닛을 정 위치시키기 위한 스토퍼; 및 상기 몸체를 회전시켜 상기 백라이트유닛을 반전(反轉)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입출수단은 상기 수용부의 상부 및 하부에 배열된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를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에서 백라이트유닛이 인출된 후, 상기 스토퍼를 백라이트유닛의 인입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몸체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상기 회전수단에 의하여 상기 몸체의 회전 시 상기 백라이트유닛의 유동 방지를 위한 서포팅수단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는 백라이트유닛을 조립하고 점검하기 위한 연속 공정에서 엘씨디 패널과 엘지피(LGP)가 조립되어 형성된 백라이트유닛은 엘씨디 패널이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공급되며, 이 경우 백라이트유닛의 후면에 위치하는 전기, 전자적인 제어 장치들을 테스트하기 위한 점검 작업이 쉽지 않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인 반전기를 도입하여 백라이트유닛이 조립된 후 다음 공정으로 이송 시 백라이트유닛을 반전시켜 공급함으로써 백라이트유닛의 전기, 전자적인 제어 장치들의 점검 작업이 쉽고 신속하게 이루질 수 있어
택트 타임(tact-time)의 지연을 최소화하고, 또 이를 통해 백라이트유닛을 조립하기 위한 전 공정을 유기적으로 연계함으로써 각 공정 간의 작업시간을 균형화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흐름 라인 생산시 라인이 멈추지 않는 연속화 작업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증대와, 각 공정별 생산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이를 통하여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에는 리턴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백라이트유닛이 인입된 후 반전되어 인출되는 경우 백라이트유닛의 인입위치로 스토퍼를 복귀시켜 작업의 연속성 및 신속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수단은 백라이트유닛을 가압 지지함으로써 몸체를 회전시켜 백라이트유닛을 반전시키는 경우 상하부에 배열된 컨베이어와 백라이트유닛 간의 이격공간에서 백라이트유닛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이러한 유동과 백라이트유닛의 반전 시 발생하는 원심력으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백라이트유닛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고, 작업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의 스토퍼 및 리턴수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백라이트유닛은 보호필름 박리용 로터리어셈블리에서 엘씨디 패널이 부착된 보호필름을 제거한 후, 엘씨디 패널과 엘지피(LGP)를 결합하여 백라이트유닛을 조립하게 되며,
이렇게 조립된 백라이트유닛은 여러 공정을 거쳐 각종 테스트나 점검을 받기 위해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다.
이 경우 백라이트유닛의 후면에는 각종 전기 및 전자 제어 장치들이 구비된 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 내부에는 엘지피가 수용되고, 엘씨디 패널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로터리어셈블리에서 조립된 백라이트유닛은 엘씨디 패널이 상방으로 향하도록 누워진 상태로 공급됨으로 백라이트유닛의 후면인 프레임에 구비된 각종 전기 및 전자 제어 장치들의 테스트와 각종 점검을 위하여 백라이트유닛을 반전시켜 이송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반전기는 백라이트유닛을 반전시켜 후면이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시킨 후 그 후면에 구비된 각종 전기 및 전자 제어 장치들을 테스트 및 각종 점검 작업이 쉽고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각 구성요소 간의 유기적 결합관계와, 이의 작용 및 기능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는
백라이트유닛(BLU)을 위한 수용부(11)를 갖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1)에 배열되어, 상기 백라이트유닛(BLU)을 인입(引入) 및 인출(引出)시키기 위한 입출수단(20);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1)에 배열되고, 상기 입출수단(20)에 의하여 수용부(11)로 인입되는 백라이트유닛(BLU)을 정 위치시키기 위한 스토퍼(30); 및 상기 몸체(10)를 회전시켜 상기 백라이트유닛(BLU)을 반전(反轉)시키기 위한 회전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에서, 상기 몸체(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된 백라이트유닛(BLU)이 인입된 후, 회전수단(40)에 의하여 회전축(15a)에 대해 180도 회전되어 인출될 때까지 백라이트유닛(BLU)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프레임(13)으로 구성되어 고정프레임(1)에 의하고 고정되는데,
상기 몸체(10)는 그 양 측면에는 프레임(13)과 이어지고, 그 중심 부분에 회전축(15a)이 연결된 지지부(15)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15a)은 상기 백라이트유닛의 인입방향과 인출방향을 포함하는 수평면 상에서 상기 백라이트유닛의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몸체(10)는 상기 회전축(15a)을 중심으로 고정프레임(1)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눕혀진 상태로 인입된 백라이트유닛을, 상기 회전축(15a)에 대해 180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몸체(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프레임(13)과 연결된 장착부가 구비되어 하기할 입출수단(20)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1)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장착부에 연결된 입출수단(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상에 구비되고,
그 전단부와 후단부는 백라이트유닛(BLU)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하여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전단부 쪽의 개구를 통해 인입된 백라이트유닛은 수용부 내에 머무fms상태에서 반전되며, 반전된 상기 백라이트유닛은 인입된 개구를 통해 후단부로 인출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에서, 상기 입출수단(20)은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1)에 배열되어, 이송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이송된 백라이트유닛(BLU)을 인입시키고, 회전수단(40)에 의하여 몸체(10)가 회전하여 백라이트유닛(BLU)이 반전 상태에서 상기 백라이트유닛(BLU)을 수용부(11)에서 인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출수단(20)은 상기 몸체(10)의 장착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11)에 배열되는데,
상기 입출수단(20)은 상기 수용부(11)의 상부 및 하부에 배열된 컨베이어(21)와, 상기 컨베이어(21)의 회전 구동을 위한 구동수단(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입출수단(20)의 컨베이어(21)는 상기 백라이트유닛(BLU)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부(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2개소가 나란히 배열되어 총 4개소의 컨베이어(21)가 상하로 쌍으로 이루도록 구성된다.
다만, 상기 컨베이어(21)의 배열 개수는 다양한 형태로 배열되는 것이 가능한데, 그 일례로 상기 수용부(11)를 반분하여 전반부의 상부와 하부에 2개소의 컨베이어(21)가 나란히 배열시키고,
상기 수용부(11)의 후반부에도 전반부와 동일하게 컨베이어(21)를 구성하여
상기 백라이트유닛(BLU)이 인입되는 경우에는 전반부의 컨베이어(21)들이 구동하여 백라이트유닛(BLU)을 수용부(11)에 인입시키며,
상기 백라이트유닛(BLU)이 인출되는 경우에는 후반부의 컨베이어(21)들이 구동하여 백라이트유닛(BLU)이 수용부(11)에서 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입출수단에서 상기 구동수단(23)은
상기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열된 컨베이어(21) 중 어느 한 컨베이어(21)의 일측에 구동모터(23a)가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23a)에 연결된 구동축은 상기 컨베이어(21)의 회전롤(21a)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21)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구동모터(23a)의 구동축이 연결된 컨베이어(21)에 인접한 컨베이어(21)와, 구동축이 연결된 컨베이어(21)의 각 회전롤(21a)에는 연결축(21b)이 구비되고,
상기 각 연결축(21b)의 단부에는 조인트(21c)가 구비되어 상호 연결되며,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3a)에 의하여 구동축이 연결된 컨베이어(21)가 구동하고,
구동축이 연결된 컨베이어(21)에 인접한 컨베이어(21)는 상기 연결축(21b)과 조인트(21c)에 의하여 연동하게 된다.
이는 상기 각 컨베이어(21) 마다 구동수단(23)을 연결하여 구동시키는 경우 컨베이어(21)의 개수만큼 구동모터(23a)가 구비되어야 하고,
또한, 각 구동모터(23a)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 소모량도 배가되어 이를 통하여 발생하는 경제적인 손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반전기(RD)로 공급되는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백라이트유닛(BLU) 중
작은 사이즈의 백라이트유닛(BLU)이 공급되어 나란히 배열된 두 개의 컨베이어(21)를 구동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각 컨베이어(21)를 연결하는 조인트(21c)를 해체하여 연결되어 있던 각 컨베이어(21)를 분리시킴으로써 구동수단(23)이 연결된 컨베이어(21)만으로 백라이트유닛(BLU)의 인입 및 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반전기(RD)로 공급되는 백라이트유닛(BLU)의 사이즈에 따라 상부와 하부에 각각 나란히 배열된 각 컨베이어(21)의 선택적인 구동이 가능하게 되어 장치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입출수단(20)은 상기 수용부(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컨베이어(21)가 구비되어
상기 백라이트유닛(BLU)이 수용부(11)로 인입되는 경우와, 회전수단(40)에 의하여 반전된 백라이트유닛(BLU)을 수용부(11)에서 인출시키는 경우
상기 수용부(11)의 하부에 배열된 컨베이어(21)가 작동되어 상기 백라이트유닛(BLU)을 인입시키거나 또는 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에서,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1)에 배열되고, 상기 입출수단(20)에 의하여 상기 수용부(11)로 인입되는 백라이트유닛(BLU)을 멈추게 하여 정 위치시킴으로써 백라이트유닛(BLU)이 반전되기 전에 수용부(11)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회전수단(40)에 의하여 백라이트유닛(BLU)이 반전되는 경우 그 하단면을 지지하여 받침구로써의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30)는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11)에서 백라이트유닛(BLU)이 인출된 후 상기 스토퍼(30)를 백라이트유닛(BLU)의 인입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수단(33)(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스토퍼(30)는 백라이트유닛(BLU)이 수용부(11)에 인입된 경우 그 하단면과 맞닿는 받침부재(31)와,
상기 받침부재(31)의 전면에는 완충부재가 부착되어 있어 일정한 속도로 진입하는 백라이트유닛(BLU)과 맞닿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부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31)는 상기 리턴수단(33)(37)과 연결되어 백라이트유닛(BLU)이 인입되는 경우 인입위치,
즉 상기 수용부(11)의 하방 부분에 노출되어 백라이트유닛(BLU)을 멈추게 하고, 반전 시 백라이트유닛(BLU)을 지지하게 되며,
아울러 상기 백라이트유닛(BLU)이 인출된 경우에는 리턴수단(33)(37)에 의하여 다시 백라이트유닛(BLU)의 인입위치로 스토퍼(30)를 복귀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30)에서 상기 리턴수단(33)(37)은 두 가지 타입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한데, 이하에서는 이들에 관한 제1 및 제2 구현 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우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턴수단의 제1 구현 예인 제1 리턴수단(33)은
상기 받침부재(31)가 연결된 제1 리턴수단(33)이 상기 백라이트유닛(BLU)이 인입되는 경우 상기 수용부(11)에 후방에 위치하다가,
회전수단(40)에 의하여 백라이트유닛(BLU)이 반전되고, 상기 입출수단(20)에 의하여 백라이트유닛(BLU)의 인출된 후,
위치가 역전되어 상기 수용부(11)의 전방에 위치하는 받침부재(31)를 상기 제1 리턴수단(33)이 후방으로 수평 이동시켜 상기 스토퍼(30)를 백라이트유닛(BLU)의 인입위치로 복귀시키는 경우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리턴수단(33)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몸체(10)에는 그 양측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10)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각각 상기 컨베이어(21)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열된 종형지지바(13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리턴수단(33)은 상기 각 종형지지바(13a)와 직교하는 형태로 연결되는 볼스크루(ball screw)(34)와,
상기 볼스크루(34)의 일측에는 상기 각 종형지지바(13a)와 연결된 가이드바(35)와,
상기 볼스크루(34)와 상기 가이드바(35)에 각각 삽입 배열되는 볼이 내장된 가이드(36a)와 가이드공(36b)을 갖고, 상기 받침부재(31)가 연결되는 이송블록(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종형지지바(13a) 중 어느 하나의 종형지지바(13a)에는 상기 볼스크루(34)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볼스크루(34)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34a)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구동모터(34a)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이송블록(36)이 상기 볼스크루(34)와 가이드바(35)를 타고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이송블록(36)의 가이드(36a)는 상기 볼스크루(34)의 회전 시 볼스크루(34)와 함께 이송블록(36)의 동작을 매개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이송블록(36)의 가이드공(36b)은 상기 가이드바(35)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이송블록(36)의 동작 시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리턴수단(33)은 상기 스토퍼(30)가 백라이트유닛(BLU)의 인입위치에 있다가 백라이트유닛(BLU)이 회전수단(40)에 의하여 반전되고, 상기 수용부(11)에서 인출된 후
상기 스토퍼(30)의 위치가 상기 수용부(11)의 전방으로 역전된 상태에서 백라이트유닛(BLU)의 인출과 동시에 또는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상기 제1 리턴수단(33)의 볼스크루(34)가 회전하면서 이송블록(36)이 상기 수용부(11)의 전방에서 백라이트유닛(BLU)의 인입위치인 후방으로 이동하여 스토퍼(30)를 정 위치시켜 그 기능을 발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턴수단의 제2 구현 예인 제2 리턴수단(37)은
상기 받침부재(31)가 연결된 제2 리턴수단(37)이 상기 수용부(11)의 전방과 후방에 모두 구비되어 백라이트유닛(BLU)이 인입되는 경우에는 후방에 배열된 제2 리턴수단(37)이 받침부재(31)를 수용부(11)로 노출시키고,
회전수단(40)에 의하여 백라이트유닛(BLU)이 반전되고, 상기 입출수단(20)에 의하여 백라이트유닛(BLU)이 인출된 후,
상기 수용부(11)에 노출되고, 위치가 역전된 리턴수단은 받침부재(31)를 감추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위치가 역전된 리턴수단은 상기 받침부재(31)를 수용부(11)로 노출시켜 스토퍼(30)를 백라이트유닛(BLU)의 인입위치로 복귀시키는 경우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 리턴수단(37)은 상기 몸체(10)의 각 종형지지바(13a)에 연결되는데,
상기 각 종형지지바(13a)에는 공압이나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실린더(37a)나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암(37b)과 상기 스토퍼(30)의 받침부재(31)와 연결되고,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실린더(37a)(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작동하여 상기 받침부재(31)가 제자리에서 수용부(11)의 공간상으로 출몰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백라이트유닛(BLU)이 수용부(11)의 인입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후방에 배열된 제2 리턴수단(37)인 실린더(37a)(또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암(37b)이 하강하고,
상기 작동암(37b)에 연결된 받침부재(31) 역시 하강하여 수용부(11)의 공간상에 받침부재(31)를 노출시킴으로써 수용부(11)로 인입된 백라이트유닛(BLU)을 멈추게 하고 반전 시 이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백라이트유닛(BLU)이 회전수단(40)에 의하여 반전되고, 상기 입출수단(20)에 의하여 백라이트유닛(BLU)이 수용부(11)에 인출된 후
인입위치에 있던 후방에 배열된 제2 리턴수단(37)은 그 위치가 역전되어 전방에 배열되어 상기 실린더(37a)(또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암(37b)이 상승하고,
상기 작동암(37b)에 연결된 받침부재(31) 역시 상승하여 상기 수용부(11)의 공간상에서 사라지게 된다.
동시에 전방에 있던 상기 제2 리턴수단(37)의 위치가 인입위치로 역전되고, 상기 실린더(37a)(또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암(37b)이 하강하고,
상기 작동암(37b)에 연결된 받침부재(31) 역시 하강하여 수용부(11)의 공간상에 받침부재(31)를 노출시킴으로써 수용부(11)로 인입된 백라이트유닛(BLU)을 멈추게 하고 반전 시 이를 지지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에서, 상기 회전수단(40)은
상기 수용부(11)에 인입된 백라이트유닛(BLU)을 반전(反轉)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10)를 백라이트유닛(BLU)의 이송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 반전된 상태의 백라이트유닛(BLU)을 상기 수용부(11)에서 인출시켜 이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단(40)은 상기 몸체(10)의 지지부(15)에 연결되는데,
상기 몸체(10)의 각 지지부(15)에는 회전축(15a)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15a)의 단부에는 스프라켓이나 풀리(15b)와 같은 구동 매개체가 연결되며,
아울러 상기 고정프레임(1)이나 또는 그 외부에는 구동부(41)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41)에도 스프라켓이나 풀리(미도시)가 연결되어 있어 체인이나 벨트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15a)의 스프라켓와 풀리(15b)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수단(40)은 상기 수용부(11)에 백라이트유닛(BLU)이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몸체(10)를 백라이트유닛(BLU)이 이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몸체(10)를 180도 회전시켜 백라이트유닛(BLU)을 반전시키게 되고,
또한, 반전된 백라이트유닛(BLU)이 입출수단(20)에 의하여 인출된 후
반전되지 않는 백라이트유닛(BLU)이 수용부(11)로 인입되면서 상기 회전수단(40)이 상기 몸체(10)를 동일한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 백라이트유닛(BLU)을 반전시켜 인출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전기에는 서포팅수단(5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서포팅수단(50)은 상기 몸체(10)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프레임(13)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수단(40)에 의하여 상기 몸체(10)의 회전 시 상기 수용부(11)에 인입된 백라이트유닛(BLU)의 유동을 방지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는 상기 수용부(11)에 인입된 백라이트유닛(BLU)은 상기 입출수단(20)인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21) 사이에 놓이게 되는데,
이때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21)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은 상기 백라이트유닛(BLU)의 인입이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백라이트유닛(BLU)과 일정한 이격공간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이격공간은 상기 백라이트유닛(BLU)을 반전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10)를 180도 회전시키는 경우 수용부(11) 내에서 상기 백라이트유닛(BLU)이 유동하는 원인을 제공하고,
또한, 상기 몸체(10)가 회전하다 정지하는 순간 원심력에 의하여 백라이트유닛(BLU)의 자연 배출 또는 백라이트유닛(BLU)이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의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서포팅수단(50)을 도입하여 상기 수용부(11)에 백라이트유닛(BLU)이 인입된 상태에서 백라이트유닛(BLU)의 상면부를 가압 지지하여 백라이트유닛(BLU)을 반전시키기 위해 몸체(10)를 180도 회전하는 경우에도
백라이트유닛(BLU)이 상기 수용부(11) 내에서 유동하거나 또는 원심력에 의한 자연 배출이나 충격에 의한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여 보다 신뢰성 높은 제품을 공급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수단(50)은
상기 몸체(10)의 전방부 및 후방부의 프레임(13)에 연결된 지지브라켓(51)과,
상기 지지브라켓(51)과 연결되고, 그 단부에 결합부(53a)을 포함하는 지지체(53)와,
상기 지지체(53)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체(53)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55)와,
상기 지지체(53)의 결합부(53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압부재(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서포팅수단(50)은 상하부로 한 쌍으로 이루며 2열로 배열된 입출수단(20)의 각 열마다 전방과 후방에 배열되고,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51)이 연결되는 각 프레임(13) 전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브라켓(51)의 후면에는 가이드돌기(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홈(13b)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지브라켓(5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전방부 프레임(13)에 배열되는 상기 서포팅수단(50)의 지지브라켓(51)은 상부 프레임(13)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10)의 후방부 프레임(13)에 배열되는 상기 서포팅수단(50)의 지지브라켓(51)은 하부 프레임(13)에 연결되는데,
이는 상기 백라이트유닛(BLU)이 상기 수용부(11)에 인입된 상태에서 백라이트유닛(BLU)의 하면부는 입출수단(20)의 하부 컨베이어(21)에 얹히게 되기 때문에 상기 서포팅수단(50)이 상부 방향에 배열되어 백라이트유닛(BLU)의 상면부를 가압 지지하는 것이 보다 쉽고 용이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은 본 발명에 따른 반전기(RD)에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몸체(10)의 프레임(13)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그리고 상기 스토퍼(30)에는 각각 센서(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백라이트유닛(BLU)이 인입되는 경우 상기 몸체(10)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센서가 백라이트유닛(BLU)을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감지신호를 보내면 상기 제어부에서 입출수단(20)의 구동모터(23a)에 신호를 보내어 컨베이어(21)를 작동시켜 백라이트유닛(BLU)을 인입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백라이트유닛(BLU)이 인입되어 스토퍼(30)에 닿는 순간 스토퍼(30)의 센서(미도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감지신호를 보내면 상기 제어부(미도시)에서 입출수단(20)의 구동모터(23a)에 신호를 보내어 정지시키고,
아울러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회전수단(40)의 구동모터(23a)에도 신호를 보내어 몸체(10)를 180도 회전시켜 백라이트유닛(BLU)을 반전시키고,
다시 상기 제어부(미도시)에서 상기 입출수단(20)의 구동모터(23a)에 신호를 보내어 컨베이어(21)를 작동시켜 반전된 백라이트유닛(BLU)을 후단부로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반전기(RD)의 전방 및 후방에는 백라이트유닛(BLU)을 이송을 위한 이송수단(미도시)이 구비되는데,
상기 이송수단(미도시)의 구동 속도와 본 발명에 따른 입출수단(20)인 컨베이어(21)의 구동 속도는 동일한 속도를 갖도록 하여 백라이트유닛(BLU)의 이송이 원활하고 무리 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RD : 반전기 BLU : 백라이트유닛
1 : 고정프레임
10 : 몸체 11 : 수용부
13 : 프레임 13a : 종형지지바
13b : 가이드홈 15 : 지지부
15a : 회전축 15b : 스프라켓 또는 풀리
20 : 입출수단 21 : 컨베이어
21a : 회전롤 21b : 연결축
21c : 조인트 23 : 구동수단
23a : 구동모터
30 : 스토퍼 31 : 받침부재
33 : 제1 리턴수단 34 : 볼스크루
34a : 구동모터 35 : 가이드바
36 : 이송블록 36a : 가이드
36b : 가이드공 37 : 제2 리턴수단
37a : 실린더 37b : 작동암
40 : 회전수단 41 : 구동부
50 : 서포팅수단 51 : 지지브라켓
53 : 지지체 53a : 결합부
55 : 솔레노이드 57 : 가압부재

Claims (4)

  1. 백라이트유닛이 인입 및 인출되는 개구가 전단부와 후단부에 형성된 수용부(11)와, 상기 백라이트유닛의 입출방향을 포함하는 수평면 상에서 상기 백라이트유닛의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의 회전축(15a)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15a)을 중심으로 고정프레임(1)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 수용부(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나란히 서로 쌍을 이루면서 배열되어, 상기 백라이트유닛을 인입(引入) 및 인출(引出)시키기 위한 입출수단(20)과;
    상기 몸체의 수용부에 배열되고, 상기 입출수단에 의해 수용부로 인입되는 백라이트유닛을 정 위치시키기 위한 스토퍼(30); 및
    상기 몸체(10)를 상기 회전축(15a)에 대해 180도로 회전시켜 상기 백라이트유닛을 반전(反轉)시키는 회전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백라이트유닛이 상기 수용부(11)의 전단부 개구를 통해 진입되어 상기 스토퍼(30)에 의해 정위치에 정지된 때에, 상기 회전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기 몸체(10)가 회전축(15a)을 중심축으로 180도 회전되어 상기 백라이트유닛을 180도 반전시키고, 상기 입출수단(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반전된 백라이트유닛을 후단부로 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수단(20)은
    상기 수용부의 상부 및 하부에 배열된 컨베이어(31)와,
    상기 컨베이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된 백라이트유닛이 상기 입출수단(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용부(11)의 후단부로 인출된 이후에, 상기 스토퍼(30)를 백라이트유닛의 인입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수단(33)(37)이 상기 몸체의 내부에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상기 회전수단에 의하여 상기 몸체의 회전 시 상기 백라이트유닛의 유동 방지를 위한 서포팅수단(5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서포팅수단(50)은,
    상기 몸체(10)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프레임(130)에 연결된 지지브라켓(51)과,
    상기 지지브라켓(51)과 연결되고, 그 단부에 결합부(53a)을 포함하는 지지체(53)와,
    상기 지지체(53)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체(53)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55)와,
    상기 지지체(53)의 결합부(53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압부재(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
KR1020100016790A 2010-02-24 2010-02-24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 KR101119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790A KR101119124B1 (ko) 2010-02-24 2010-02-24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790A KR101119124B1 (ko) 2010-02-24 2010-02-24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129A KR20110097129A (ko) 2011-08-31
KR101119124B1 true KR101119124B1 (ko) 2012-03-20

Family

ID=4493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790A KR101119124B1 (ko) 2010-02-24 2010-02-24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1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361B1 (ko) 2021-02-18 2021-10-29 (주)중앙이앤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대형 글래스 반전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8007A (ja) * 2005-06-03 2006-12-14 Phicom Corp 液晶表示パネル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8007A (ja) * 2005-06-03 2006-12-14 Phicom Corp 液晶表示パネル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129A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315865A (ja) 方向切換用ローラー付きチェーン型コンベヤ
KR100540632B1 (ko) 평판표시장치 제조용 기판 절단장치
KR20140072931A (ko) 파손 글래스 처리 기능을 포함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119124B1 (ko) 백라이트유닛을 위한 반전기
KR20080002524A (ko) 켄베이어 방식으로 구동되는 반전기를 이용한 반전방법
KR100924266B1 (ko) 기판 이송장치
JP2010126367A (ja) コンベア・ベルト・モジュール
KR101004438B1 (ko) 글라스 기판 세정 시스템
KR101215222B1 (ko)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폴딩장치
KR101263855B1 (ko) 조립라인의 전자부품 적재물 이송장치
KR101049091B1 (ko) 판유리 이송장치
KR20090027405A (ko) 편광필름 검사장치 및 편광필름 검사방법
KR101427596B1 (ko) 기판이송장치
KR100741290B1 (ko) 패널 검사장치
KR20070019422A (ko)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KR101329960B1 (ko) 복수 챔버 웨이퍼 공급 및 회수 장치
KR101267323B1 (ko) 5축 링크 기구를 구비한 엘씨디 글라스 마크로 검사장치
KR19990064648A (ko) 엘씨디(lcd)핸들러
CN210914325U (zh) 用于抓瓶机构上的防错位结构
KR100868685B1 (ko)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반전기
KR100690091B1 (ko) 백라이트 유닛 반전장치
KR100913582B1 (ko) 기판 절단시스템
KR100963316B1 (ko) 기판세정장치
KR101232140B1 (ko) 이송 장치
CN216234859U (zh) 玻璃基板的传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