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502B1 - 헤드폰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502B1
KR101117502B1 KR1020057024185A KR20057024185A KR101117502B1 KR 101117502 B1 KR101117502 B1 KR 101117502B1 KR 1020057024185 A KR1020057024185 A KR 1020057024185A KR 20057024185 A KR20057024185 A KR 20057024185A KR 101117502 B1 KR101117502 B1 KR 101117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phone device
driver unit
headphone
baffle
baff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4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1782A (ko
Inventor
나오타카 쓰노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01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헤드폰 유닛의 드라이버 유닛의 후부에 배치되는 백 하우징 및 앞면에 배치되는 배플(baffle)부를 통기성을 가진 다공질 재료로 성형한다.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는, 드라이버 유닛의 앞부분의 개구부를 제외한 공간을 둘러싸듯이 구성한 배플부 또는/ 및 드라이버 유닛의 배면을 덮도록 구성한 백 하우징부를 통기성이 있는 다공질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한 것이다.
헤드폰, 배플, 배경잡음, 통기성, 마이크로폰, 백하우징

Description

헤드폰 장치{HEADPHONE DEVICE}
본 발명은 음질이 개선되어 귀의 압박감이나 폐색감을 완화시킬 수 있고, 장착감이 양호한 헤드폰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비교적 고음질이며 대형의 각종 헤드폰 장치가 제안되어 있고, 일반적으로는 드라이버 유닛을 수납하는 백 하우징에 자연스럽게 울리는 음향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천연 느티나무 무구재(無垢材)를 사용한 것 등이 판매되고 있지만, 하우징 부분이나 이어 패드 부분이 크고, 무거운 문제점이 있다.
도 6은,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종래의 고음질의 대형 헤드폰 장치에 사용하는 백 하우징 부분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있어서, 1은 배플(baffle)판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 목재 등 음이 투과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된 대략 원형 또는 타원형의 배플판이다.
상기 배플판(1)의 대략 중앙부에 뚫어진 투시공(4)에 대향 또는 삽착시킨 드라이버 유닛(5)을 가진다.
드라이버 유닛(5)는, 통상의 스피커와 마찬가지로 돔형의 진동판(5A)에 고정한 보이스 코일(5C)를 자석(5B)과 오목형 요크(5D) 사이에서 구동시키는 동전형(動電型)으로 구성되어 있다.
배플판(1)의 중앙부에 뚫은 투시공(4)을 중심으로 하여 복수개의 공기 통기 구멍(6A, 6B, ???)을 뚫고, 또한 상기 투시공(6A, 6B)에는 스펀지, 부직포 등 통기성이 양호한 통기 부재(9)를 접착시킨다.
배플판(1)의 배면에는 돔형의 백 하우징(2)이 뒤집혀서, 배플판(1)과 일체로 배플부가 되는 하우징(3)이 구성된다.
백 하우징(2)의 배면(정상부)에는 통기 구멍(7)이 뚫어지고, 배플판(1)의 통기 구멍(7)과 마찬가지로 통기 부재(9)가 접착되고, 배플 효과를 높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백 하우징(2)은 비철금속이나 합성 수지 또는 상기와 같은 목재로서 흠이 없는 느티나무 등이 선택되고, 음향 공간을 넓게 취하여, 음질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배플판(1)의 앞면에는 대략 링형 스펀지 등의 완충 부재를 합성 수지, 피혁, 천 등의 외피(10)로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성한 이어패드(8)가 설치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일본국 실개평 5-36991호 공보(도 6)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한 헤드폰 장치에서는, 하우징(3) 외에도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헤드 밴드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등이 금속 부재로 형성되므로, 헤드폰 장치 전체의 중량은 필요 이상으로 증가한다.
이와 같은 대형이며 무거운 헤드폰 장치를 머리에 장착하면, 머리나 귀에 중량감이나 압박감이 느껴지고 폐색감이 커져서, 장착감이 불쾌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구성에서는 헤드폰 장치에 특유의 폐색감이 발생하는 문제점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드라이버 유닛과 이어 패드 사이에 배플 효과를 가지는 대략 원뿔형의 통기성이 있는 배플부를 설치하여, 폐색감을 없애고, 공진 민감도의 저감시키고 경량화를 도모한 헤드폰 장치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하는 또 하나의 과제는, 드라이버 유닛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통기성을 가지는 경량 부재로 구성하여, 외부음에 의한 배경잡음(background noise)이 일어나지 않는 헤드폰 장치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에 사용하는 헤드폰 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의 정면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에 사용하는 배플부의 사시도 및 백 하우징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에 사용하는 배플부 및 백 하우징의 다공질 재료를 설명하기 위한 소재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헤드폰 장치에 사용하는 헤드폰 유닛의 측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 1 내지 도 4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드라이버 유닛을 가지는 하우징 부분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의 외관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배플부의 사시도 및 백 하우징의 측단면도, 도 4는 통기성 부재의 가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3(a) 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도 1의 설명에 앞서 도 2(a), 2(b)에 의해, 본 발명의 헤드폰 장치의 전체적 구성을 설명한다.
도 2(a)는 헤드폰 장치의 정면도, 도 2(b)는 우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2(b)에 있어서, 헤드폰 장치(11)는 탄력성이 있는 경량인 듀랄민 또는 마그네슘 합금 등의 금속 부재 또는 카본 합성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헤드폰 밴드(12)와 드라이버 유닛을 포함하는 좌우의 헤드폰 유닛(13L, 13R)에 의하여 구성된다.
좌우 헤드폰 유닛(13L, 13R) 내에는 드라이버 유닛을 포함하고, 이들 드라이버 유닛은 티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량인 금속 부재를 환형 프레임(14A) 내에 교락(橋絡)한 브리지부(14B)로 이루어지는 좌우 프레임(14L, 14R) 내에 유지되고, 헤드폰 밴드(12)는 좌우 프레임(14L, 14R)에 회동 가능하게 추착된 대략 반원 형상의 좌우 조정 프레임(15L, 15R)에 고정한 대략 'ㄷ'자형의 좌우 밴드 조정부(16L, 16R)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좌우 프레임(14L, 14R)의 내측에는 이어 패드(27)가 설치되어 있다.
도 2(a)에서 17L, 17R은 후술하는 원뿔형의 좌우 배플부를, 도 2(a), 2(b)에서 19L, 19R은 동일하게 후술하는 좌우 백 하우징을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좌우 헤드폰 유닛(13L, 13R)(이하 헤드폰 유닛(13)이라 한 다) 내에는 스피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유닛(20)이 원반형의 배플판(21)의 중심에 뚫은 투시공(22) 내에 감착(嵌着)되어 있다. 드라이버 유닛(20) 내의 스피커는 통상의 다이나믹형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드라이버 유닛(20)에 있어서, 23은 요크, 24는 보이스 코일, 25는 돔형상의 진동판, 26은 원반형 자석을 각각 나타낸다
프레임(14)(14L, 14R)은 티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합금을 도 1 및 도 2(a), 2(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원환형으로 형성한 환형 프레임(14A)에 아치장의 브리지(14B)를 가교하고, 상기 브리지(14B)에 뚫은 투시공(14C)에 배플판(21)을 고정시키고 있다. 또한 20A는 프로텍터이다.
드라이버 유닛(20)의 배면에는 배플판(21)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유지하기 위한 대략 캡형태의 백 하우징(19)이 형성된다. 상기 백 하우징(19)은 프레임(14)의 브리지(14B)에 뚫은 투시공(14D)에 걸려있다.
프레임(14)의 브리지(14B)와 프레임(14)의 환형 프레임(14A) 사이에 스피커의 진동판과 마찬가지로 원뿔형으로 성형한 배플부(17)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14)의 환형 프레임(14A)에는 발포성 합성 수지나 스펀지 등의 완충재(28)를 링형으로 또한 전후에 비대칭(도 1에서는 좌우에 비대칭)으로 형성한 부드러운 천, 가죽 등의 외피(29)로 둘러싼 패드(27)를 프레임(14)의 환형 프레임(14A)에 일체화한 장착 프레임(31)을 통하여 장착되어있다.
전술한 헤드폰 유닛(13)의 배플부(17) 및 백 하우징(19)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를 도 3(a), 3(b)에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4)의 브리지(14B)와 환형 프레임(14A) 사이에 개재시키는 배플부(17)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뿔형에 통기성을 가지는 다공질 구조의 다공질 재료(32)를 사용하여 성형한다. 상기 다공질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밸브, 화학 섬유성의 부직포(아사히카세이 엘 타스 스매쉬), 셀룰로오스계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의 A부의 두께 방향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중에서 1종류의 다공질 재료(32)를 선택하여,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형 상에서 가열 가압함으로써 도 3(a)에 나타낸 배플부(17)를 성형한다.
도 3(a)에 나타낸 원뿔형의 배플부(17)의 상부 개구부(17A)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4)의 브리지(14B) 내의 홈부에 삽입 고정되고, 하부 개구부(17B)는 프레임(14)의 환형 프레임(14A) 내의 홈부에 삽입 고정된다.
도 3(b)는 도 1에 나타낸 백 하우징(19)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1의 드라이버 유닛(20)의 설치되는 배면의 정상부에 투시공(33)을 뚫거나, 다수의 투시공(34)이 형성된 캡(35)을 투시공(33) 내에 장착 고정시킨다. 상기 백 하우징(19)은 도 1과 마찬가지로 다공질 재료에 의하여 프레스 성형한다. 캡(35)의 투시공(34)은 다공질 재료의 통기량보다 크게 되도록 복수개의 투시공을 뚫는다. 또, 상기 캡(35)은 다공질 재료 이외의 소정의 통기성을 가지지 않는 합성 수지나 금속을 선택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배플부(17) 및 백 하우징(19)의 다른 성형 방법을 도 4(a), 4(b)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4(a), 4(b)는 복수개의 다공질 재료를 복합하여 성형한 경우로서, 도 4(a)에 있어서, 다공질 재료의 제1 층으로서 통기성이 있는 펄프(32A) 상에 부직포에 소정의 구멍을 뚫은 접착 시트(32B)를 통하여 제2 다공질 재료의 나일론천(32C)를 접합한 복합 시트를 사용하여 도 3(a) 3(b)에 나타낸 배플부(17) 및 백 하우징(19)을 소정의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한 것이다.
도 4(b)에 나타낸 구성은 제1 층에 통기성이 있는 화학 섬유성 부직포(32D)를 통기성이 있는 양면 접착 시트(32E)를 통하여 제2 층에 통기성이 있는 셀룰로오스계, 화학 섬유계의 부직포(32F)를 라미네이트한 시트를 소정 형상으로 성형 가공하여 배플부(17) 및 백 하우징부(19)를 성형한 것이다.
전술한 복합 시트의 조합은 제1 층, 제2 층으로서 천과 천, 펄프와 천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층 및 제2 층에 펄프와 펄프, 천과 펄프 등을 조합시켜서, 배플부(17)나 백 하우징(19)의 형상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전술한 백 하우징(19) 및 배플부(17)의 구성에 의하면 드라이 유닛(20)이 내장되는 배플판(21)과 백 하우징(19)의 공간에는 외부로부터의 음이 차단되지 않고 투과되기 때문에 외부음에 의한 배경잡음을 감쇠시킬 수 있어서, 잡음이 없는 쾌적한 음을 낼수 있게 된다.
또한, 배플부(17)도 소정의 원뿔형으로 이루어져서, 귀에 저음을 집중시키는 구성이므로, 상기 배플부(17)에 주위가 둘러싸여진 공간 내의 공기를 외부로부터 내부, 내부로부터 외부에 통기시킴으로써 저역 특성을 원하는 특성으로 설정 가능하게 되고, 렌즈 효과가 중복되어져서 저역의 주파수 특성이 대폭 향상되고, 또한 경량화가 도모되므로, 귀에 장착 시에 중량감이 없고, 귀의 측압에 의한 압박감이 없는 헤드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헤드폰 장치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마이크로폰(40)을 부가한 헤드 세트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라이버 유닛을 양 귀의 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는, 베이스 렌즈 효과에 의해 배플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는 헤드폰 장치 및 마이크로폰 첨부 헤드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드라이버 유닛의 앞부분 개구부를 제외한 공간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성한 배플(baffle)부 및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배면을 덮도록 구성한 백 하우징부 중 하나 이상을 화학 섬유 부직포를 사용하여 형성하고,
    상기 배플부를 원뿔 형상으로 형성한,
    헤드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하우징의 배면에 개구부를 뚫어서 형성된, 헤드폰 장치.
  4. 삭제
  5. 드라이버 유닛의 앞부분 개구부를 제외한 공간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성한 배플(baffle)부 및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배면을 덮도록 구성한 백 하우징부 중 하나 이상을 셀룰로오스계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고,
    상기 배플부를 원뿔 형상으로 형성한,
    헤드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유닛을, 프레임을 형성하는 환형 프레임을 교락(橋絡; bridge)하도록 아치형으로 형성한 브리지부에 배치한, 헤드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부의 원뿔 형상은 원뿔의 중심선에 대해 비대칭으로 이루어지는, 헤드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섬유 부직포에 통기성을 가지는 접착층을 통하여 다공질 재료를 복합시켜서 형상이 안정되도록 이루어진, 헤드폰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재료에 통기성을 가지는 접착층을 통하여 다공질 재료를 복합시켜서 형상이 안정되도록 이루어진, 헤드폰 장치.
  10. 제1항, 제3항, 제5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 장치에 마이크로폰 장치를 부가한, 헤드폰 장치.
KR1020057024185A 2004-04-16 2005-04-14 헤드폰 장치 KR101117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21918A JP4127235B2 (ja) 2004-04-16 2004-04-16 ヘッドホン装置
JPJP-P-2004-00121918 2004-04-16
PCT/JP2005/007579 WO2005101895A1 (ja) 2004-04-16 2005-04-14 ヘッドホ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782A KR20070001782A (ko) 2007-01-04
KR101117502B1 true KR101117502B1 (ko) 2012-03-07

Family

ID=3515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4185A KR101117502B1 (ko) 2004-04-16 2005-04-14 헤드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83438B2 (ko)
JP (1) JP4127235B2 (ko)
KR (1) KR101117502B1 (ko)
CN (1) CN1788522B (ko)
BR (1) BRPI0504914A (ko)
TW (1) TW200603650A (ko)
WO (1) WO20051018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9810B2 (ja) 2006-11-10 2012-03-21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及びイヤーパッド
WO2008064022A2 (en) * 2006-11-13 2008-05-29 Solteras, Inc. Headphone driver with improved frequency response
DE102007005620B4 (de) * 2007-01-31 2011-05-05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Dynamischer Schallwandler, Hörer und Hör-Sprech-Garnitur
JP2010263460A (ja) * 2009-05-08 2010-11-18 Audio Technica Corp イヤーマフ及びヘッドホン
US9154866B2 (en) * 2009-06-10 2015-10-06 Apple Inc. Fiber-based electronic device structures
JP5340833B2 (ja) * 2009-07-06 2013-11-13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イヤーマフ及びヘッドホン
CN101851717B (zh) 2010-06-14 2012-09-19 清华大学 壳体及应用该壳体的发声装置
CN101851716B (zh) 2010-06-14 2014-07-09 清华大学 镁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以及其在发声装置中的应用
TWI565389B (zh) * 2010-06-25 2017-01-0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殼體及應用該殼體的發聲裝置
TWI428029B (zh) * 2010-06-25 2014-02-21 Hon Hai Prec Ind Co Ltd 耳機
KR101641758B1 (ko) * 2011-03-29 2016-07-21 울트라소네 아게 음향의 최적화된 방사를 갖는 헤드폰
TWI457009B (zh) * 2011-12-02 2014-10-11 Giga Byte Tech Co Ltd 耳機耳殼及耳機
JP6436519B2 (ja) * 2014-07-03 2018-12-12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ヘッドホン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037067A1 (en) * 2014-09-04 2016-03-10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Headphone ear cushion
JP2016058891A (ja) * 2014-09-09 2016-04-21 Pioneer DJ株式会社 ヘッドホン
DE102014221583B4 (de) * 2014-10-23 2020-11-12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Elektroakustischer Schallwandler und Hörer
WO2016181531A1 (ja) * 2015-05-13 2016-11-17 Omotenasy合同会社 ヘッドフォン
JP6520520B2 (ja) * 2015-07-24 2019-05-2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スピーカ及びヘッドホン
JP6727852B2 (ja) * 2016-03-01 2020-07-22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ヘッドホン
US20190215593A1 (en) * 2018-01-11 2019-07-11 Te-Sheng LIU Highly-Closed Headphone Apparatus with Wearing Comfort
US10771886B2 (en) * 2019-01-11 2020-09-08 Evga Corporation Headphone structure for extending and enhancing resonance
KR102636014B1 (ko) * 2023-08-21 2024-02-08 김종호 헤드셋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8721A (en) * 1945-07-09 1949-04-26 Volkmann John Earphone socket and noise shield
US3112005A (en) * 1960-07-28 1963-11-26 Ca Nat Research Council Earphones
US3220505A (en) * 1964-04-01 1965-11-30 Willard B Hargrave Audiometric headset
JPS51129217A (en) * 1975-05-06 1976-11-10 Victor Co Of Japan Ltd Headphone
US4058688A (en) * 1975-05-27 1977-11-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eadphone
US4097689A (en) * 1975-08-19 1978-06-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ut-of-head localization headphone listening device
DE2836937B2 (de) * 1977-08-31 1981-06-25 AKG Akustische u. Kino-Geräte GmbH, Wien Kopfhörer
AT361555B (de) * 1979-02-12 1981-03-25 Akg Akustische Kino Geraete Kopfhoerer
US4654898A (en) * 1985-10-11 1987-04-07 Ishikawa Gerald K Removable ear muff for headphones
US4922542A (en) * 1987-12-28 1990-05-01 Roman Sapiejewski Headphone comfort
JPH0536991A (ja) 1991-07-31 1993-02-12 Nippon Steel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H0536991U (ja) * 1991-10-17 1993-05-18 ソニー株式会社 ヘツドホン装置
JPH1032892A (ja) 1996-05-16 1998-02-03 Sony Corp 開放型ヘッドホン
JPH11331972A (ja) 1998-05-15 1999-11-30 Sony Corp ヘッドホン装置
US6466681B1 (en) * 1999-09-21 2002-10-15 Comprehensive Technical Solutions, Inc. Weather resistant sound attenuating modular communications headset
CN2416704Y (zh) * 1999-12-27 2001-01-24 刘玉清 单耳耳鼓膜送受话器
US6856690B1 (en) * 2002-01-09 2005-02-15 Plantronis, Inc. Comfortable earphone cushions
US20030134553A1 (en) * 2002-01-14 2003-07-17 L.S.I. (420) Import Export And Marketing Ltd. Sound absorbing article
JP3950750B2 (ja) 2002-06-28 2007-08-01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ヘッドホン
AU2003272307A1 (en) * 2002-09-13 2004-04-30 Cta Acoustics, Inc. Improved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process for making
US7466838B1 (en) * 2003-12-10 2008-12-16 William T. Moseley Electroacoustic devices with noise-reducing cap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8522B (zh) 2011-05-18
US7983438B2 (en) 2011-07-19
BRPI0504914A (pt) 2006-10-24
WO2005101895A1 (ja) 2005-10-27
KR20070001782A (ko) 2007-01-04
TW200603650A (en) 2006-01-16
US20060188121A1 (en) 2006-08-24
JP2005311448A (ja) 2005-11-04
CN1788522A (zh) 2006-06-14
TWI301382B (ko) 2008-09-21
JP4127235B2 (ja)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502B1 (ko) 헤드폰 장치
US4856118A (en) Headphone cushioning
EP0208389B1 (en) Headphone apparatus
JP3745602B2 (ja) 身体セット型スピーカ装置
US8213632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ear speaker device
US5844998A (en) Headphone apparatus
US20090268935A1 (en) Headset device
CN108605180A (zh) 用于头戴式受话器的耳垫
TWI524783B (zh) 耳機
JPH01221504A (ja) ヘルメットの音響装置
TWI551152B (zh) 具有被動音膜的耳機
JP2008521320A (ja) インイヤ式ヘッドホン
CN204948303U (zh) 一种动圈式耳机
CN210579147U (zh) 一种降噪耳机
JP3864081B2 (ja) 密閉型ヘッドホン
CN112243179A (zh) 一种防汗防油的头戴式耳机
JP6905181B2 (ja) ヘッドホン並びにスピーカーユニット
CN110691292A (zh) 耳机
JP2953800B2 (ja) ヘッドホン
TWM553539U (zh) 具有洩氣溝槽的耳道式耳機
JP5348112B2 (ja) ヘッドホン
KR102577024B1 (ko) 기압 평형 구조를 구비하는 리시버
CN216451522U (zh) 一种头戴式耳机的腔体调节结构
CN218550141U (zh) 外放式耳机和采用该外放式耳机的蓝牙耳机
CN214591892U (zh) 发音单元及包括该发音单元的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