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418B1 -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418B1
KR101117418B1 KR1020090086938A KR20090086938A KR101117418B1 KR 101117418 B1 KR101117418 B1 KR 101117418B1 KR 1020090086938 A KR1020090086938 A KR 1020090086938A KR 20090086938 A KR20090086938 A KR 20090086938A KR 101117418 B1 KR101117418 B1 KR 101117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module
diagnosis
light drive
ldm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9314A (ko
Inventor
이호진
이상원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6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4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29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07General lighting circuits comprising dimming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Adaptive Front Light System: AFLS)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조등 제어 유닛에 의한 일차 안전 검사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들 상호 간 이차 안전 검사를 수행하며, 안전검사에 따른 린 케이블 단선 시 다른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통해 우회하여 린 케이블이 단선된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린 망에 연결되며, 상호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과, 상기 린 망을 통해 상기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들과 연결되는 전조등 제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전조등 제어 모듈이 상기 린 망을 통해 상기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들의 1차 안전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들 간 상호 2차 안전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차, AFLS, LDM, 이중, 안전, Fail-Safe

Description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및 그 방법{ADAPTIVE FRONT LIGHT SYSTEM HAVING ROUNDABOUT CONTROL FUNCTION BY FAIL-SAFE CHEC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의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Adaptive Front Light System: AFLS)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조등 제어 유닛에 의한 일차 안전 검사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들 상호 간 이차 안전 검사를 수행하며, 안전검사에 따른 린 케이블 단선 시 다른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통해 우회하여 린 케이블이 단선된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기술과 센서기술 등과 같은 전자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차동차에도 운전자 및 탑승자 편의를 위한 다양한 전자시스템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Adaptive Front Light System: AFLS)이다. AFLS는 헤드램프에 장착된 전동모터를 통해 차량 속도와 조향핸들의 속도, 방향 및 기울기에 따라 헤드램프의 위치를 차량 진행방향으로 제어해 준다. 이는 야간주행 시 곡선도로 등을 주행할 경우 조기에 운전시계를 확보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2는 일반적인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전조등 제어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AFLS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은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유닛(AFLS Unit: 이하 "전조등 제어 유닛" 또는 "AFLS 유닛"이라 함)(2)과 제1라이트 드라이브 모듈(Light Drive Module: LDM)(3)과 제2라이트 드라이브 모듈(4)과 제1LDM(3)에 연결되는 제1라이트(5) 및 제2LDM에 연결되는 제2라이트(6)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라이트(5, 6)의 빛 조사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모터, 자동차의 기울기, 방향 등과 같은 차량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나 본 발명과 관련 없는 구성은 도시하지 않았다.
전조등 제어 유닛(2)은 제1LDM(3) 및 제2LDM(4)과 린(LIN: Local Interconnection Network) 네트워크(150)를 통해 연결되어 AFLS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AFLS 유닛(2)은 차량의 다양한 상태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제어데이터를 제1LDM(3) 및 제2LDM(4)으로 린 네트워크(150)를 통해 전송하여 제어한다.
제1LDM(3) 및 제2LDM(4) 각각은 배터리(1)로부터 제공되는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아 배터리 전원의 변동에 대해 일정한 LED 밝기를 유지해 주기 위한 정전압,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며, AFLS 유닛(2)의 제어를 받아 각각의 라이트(5, 6)의 LED 밝기를 조절한다.
도 2는 일반적인 AFLS 시스템의 AFLS 유닛의 LDM 제어 절차를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조등 제어 유닛(2)은 제1LDM(3) 및 제2LDM(4)을 제어하기 위해 제1LDM(3)으로 제1LDM 제어 신호를(S211), 제2LDM(4)으로 제2LDM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S215).
그러면 제1LDM(3)은 상기 제1LDM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LDM 응답신호를 AFLS 유닛(2)으로 전송하고(S213), 제2LDM(4)은 상기 제2LDM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2LDM 응답신호를 AFLS 유닛(2)로 전송한다(S217).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하며(S219 내지 S225), 상기 과정의 반복 수행중에 린(LIN)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 AFLS 유닛(2)과 LDM들의 노드들 중 임의의 노드가 단선되어 LDM 제어신호의 수신 및 응답이 불가능한 경우, AFLS 유닛(2)이 LDM 제어신호를 LDM으로 송신한다 할지라도 해당 LDM은 이를 수신할 수 없고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도 없다(S227).
이런 경우 AFLS 유닛(2)은 해당 LDM으로부터 일정 시간 내에 LDM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고장으로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통보고, 정상적인 다른 LDM에 대해서만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S229 내지 S331).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AFLS 시스템에서 AFLS 유닛과 LDM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린 케이블이 단선되는 경우 단선이 발생한 LDM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 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은 AFLS 시스템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이트 제어 모듈들을 상호 연결하여 전조등 제어 유닛에 의한 일차 안전 검사와 전조등 드라이브 모듈들 상호 간 이차 안전 검사를 수행하는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검사에 따른 린 케이블 단선 시 다른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통해 우회하여 린 케이블이 단선된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FLS 유닛을 통해 LDM 고장인지 린 케이블 단선인지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고장 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어 운전자가 AFLS의 이상에 대해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린 망에 연결되며, 상호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과, 상기 린 망을 통해 상기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들과 연결되는 전조등 제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전조등 제어 모듈이 상기 린 망을 통해 상기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들의 1차 안전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들 간 상호 2차 안전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조등 제어 유닛이, 상기 1차 안전 검사 시 임의의 제1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의 린 케이블 단선인 것으로 판단되면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라이브 모듈은; 상기 린 망에 연결되어 상기 전조등 제어 모듈과 린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1인터페이스부와,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과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2인터페이스부와, 자가진단에 따른 2차 안전 검사를 수행하고, 자가진단에 따라 고장 판단 시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로 고장 통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자가진단을 수행하고, 자가진단에 의한 고장 판단 시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로 고장 통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2차 안전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로부터 고장 진단 요청을 받아 자가진단을 수행한 후 자가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 응답 신호를 타 드라이브 모듈로 전송하고,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이 상기 자가진단 정보에 의해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고장인 경우 전조등 제어 유닛으로 고장 통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2차 안전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가진단은 라이트의 발광다이오드의 단락진단, 단선진단, 과열진단, 린 케이블 단선 진단, 라이트 구동 전원부 진단 및 라이트 구동부 진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조등 제어 유닛은, 상기 2차 안전검사에 의한 상기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의 고장 판단 시 상기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통해 상기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방법은;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조등 제어 유닛이, 린 망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들의 안전 여부를 검사하는 1차 안전 검사 과정과,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들 중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이 자가진단을 수행하고 상기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에 연결된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로 소정의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자가진단 정보를 전송하여 2차 안전 검사를 하는 2차 안전 검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안전 검사 과정은, 상기 전조등 제어 유닛이 상기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신호 송신 단계와, 상기 전조등 제어 유닛이 상기 제어 신호 송신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린 케이블 단선고장으로 판단하는 1차 안전 검사 단계와, 상기 전조등 제어 유닛이 상기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 제어 시 상기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과 직접 연결된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통해 상기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제어하는 우회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 안전 검사 과정은, 상기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이 자가진단을 수행하여 고장이면 상기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로 고장 통보 신호를 전송하는 자가진단 단계와, 상기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이 고장 통보 신호 수신 시 전조등 제어 유닛으로 상기 고장 통보 신호를 전송하는 고장 전달 단계와, 상기 전조등 제어 유닛이 상기 고장 통보 신호에 의해 상기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의 린 케이블 단선 고장 판단 시 상기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통해 상기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제어하는 2차 우회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 안전 검사 과정은, 상기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이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로부터 고장 진단 요청 신호를 수신받는 자가진단 요청 단계와, 상기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이 자가진단을 수행하여 자가진단 정보를 상기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로 전송하는 자가진단 단계와, 상기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이 상기 자가진단 정보에 의해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 판단 시 전조등 제어 유닛으로 고장 통보 신호를 전송하는 고장 통보 단계와, 상기 전조등 제어 유닛이 상기 고장 통보 신호에 의해 린 케이블 단선 고장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통해 상기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제어하는 우회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가진단은 라이트 발광 다이오드의 단락진단, 단선진단, 과열진단, 라이트 구동전원부 진단 및 라이트 구동부 진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조등 제어 유닛이 상기 1차 및 2차 안전검사에 의한 고장 발생 시 차체제어모듈(BCM)을 통해 인디케이터에 고장 정보를 표시하는 고장 정보 표시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중으로 LDM의 상태를 감시하므로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안전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AFLS 유닛과 임의의 LDM간의 린 케이블이 단선된 경우에는 우회로를 통해 LDM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며, LDM이 고장난 경우에는 정상 LDM의 조도를 조절하여 고장난 LDM에 의해 감소된 조도를 보상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AFLS 시스템에서 AFLS 유닛과 각 LDM들을 LIN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LDM들 간을 LIN 또는 RS-232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로 연결하여, AFLS 유닛에 의한 LDM의 안전 검사 및 LDM 상호 간 안전 검사를 2중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그리고 AFLS 유닛과 LDM간의 LIN 케이블이 단선된 경우 LIN 케이블이 단선된 LDM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타 LDM을 통해 상기 단선된 LDM을 우회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구성 및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에서의 이중 안전 검사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AFLS 시스템은 AFLS 유닛(10)과 AFLS 유닛(10)과 LIN 망(150)을 통해 연결되고, 상호 연결되는 제1LDM(20) 및 제2LDM(30)과 상기 제1LDM(20)에 연결되는 제1라이트(21) 및 제2LDM(20)에 연결되는 제2라이트(31)를 포함한다.
AFLS 유닛(10)은 AFLS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AFLS 유닛(10)은 LIN 망(150)을 통해 제1LDM(20) 및 제2LDM(30)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1라이트(21) 및 제2라이트(31)로 제공되는 정전압 및 정전류를 제어하며, 상기 제1LDM(20) 및 제2LDM(30) 중 임의의 LDM과 연결된 LIN 케이블이 단선되면 타 LDM을 통해 LIN 케이블이 단선된 LDM을 우회 제어한다. 특히 AFLS 유닛(10)은 각 LDM들로 제어신호를 송신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LDM을 LIN 케이블 단선으로 판단하여 우회 제어를 수행한다. 만일 우회 제어에도 응답이 없으면 AFLS 유닛(10)은 해당 LDM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LDM(20) 및 제2LDM(30)은 배터리(1)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으며, 상기 배터리 전원을 정전압 및 정전류로 변환하여 AFLS 유닛(10)의 제어에 따라 각각 제 1라이트(21) 및 제2라이트(31)로 공급한다.
또한 제1LDM(20)과 제2LDM(30)은 AFLS 유닛(10)과 LIN 망(150)을 통해 연결되고, 상호 연결된다. 상기 제1LDM(20)과 제2LDM(30)은 AFLS 유닛(10)과의 연결과 동일하게 1:1 LIN 망을 형성하여 연결될 수도 있고, RS-232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따라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제1LDM(20)과 제2LDM(30)은 일정 주기 또는 타 LDM 또는 AFLS 유닛(10)으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자가진단을 수행하고, 자가진단에 따른 자가진단 정보를 AFLS 유닛(10)으로 전송한다. 이때 자가진단 정보의 루트는 LIN 케이블이 단선되지 않은 경우, LIN 망(150)을 통해 AFLS 유닛(10)으로 전송되고, LIN 케이블이 단선된 경우 LIN 케이블이 단선되지 않은 타 LDM 및 LIN망(150)을 통해 AFLS 유닛(10)으로 전송된다. 상기 자가진단 정보는 제1라이트(21) 또는 제2라이트(31)를 구성하는 LED에 대한 쇼트 진단, 단선 진단, 과열진단, 통신선 단선 여부, 라이트 구동 전원부 진단 및 라이트 구동부 진단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AFLS 유닛(10)은 BCM(160)과 연결되어 제1LDM(20) 및 제2LDM(30)로부터의 자가진단 정보에 의해 고장으로 판단된 경우, 고장에 대한 고장정보를 BCM(16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고장 정보에는 상기 진단정보들의 항목들 중 고장난 항목들에 대한 정보 및 고장 난 LDM 또는 LED의 위치(좌측인지, 우측인지)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BCM(160)은 인디케이터(Indicator)(170)를 통해 고장정보를 표시한 다.
상기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AFLS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LDM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전조등 드라이브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LDM은 제어부(50)와 입력포트(51)와 제1인터페이스부(52)와 제2인터페이스부(53)와 라이트 구동 전원부(55)와 라이트 구동부(54)와 출력포트(56)를 포함한다.
제어부(50)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 MCU) 등이 될 수 있으며, 입력포트(51)를 통해 입력되는 스위치 신호에 따라 LDM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50)는 일정 주기 또는 AFLS 유닛(10) 또는 제2LDM(30)의 요청 시 자가진단을 수행하고, 자가진단에 따른 자가진단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며, 자가진단에 따른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자가진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이트의 LED에 대한 단락 진단, 단선 진단, 과열진단, 통신선 단선 등에 대한 진단이 될 수 있다.
입력포트(51)는 전조등 조작 스위치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라이트 온/오프, 상향/하향 등의 스위치 신호를 입력받는 포트 및 LIN 케이블을 통해 LIN 망(150)에 연결되는 LIN 포트 및 타 LDM과 연결되는 외부포트 등을 포함한다.
제1인터페이스부(52)는 LIN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LIN 인터페이스부로서 입력포트(51)의 LIN 포트에 연결되며, 제어부(50)로부터 LDM 제어신 호를 입력받아 LIN 프로토콜에 따라 LIN망(150)으로 송신하고, LIN 망(150)으로부터 LDM 응답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50)로 제공한다.
제2인터페이스부(53)는 제1인터페이스부(52)와 동일하게 LIN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LIN 인터페이스부가 적용될 수도 있고, RS-232 등과 같은 데이터 송수신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제2인터페이스부(53)는 타 LDM과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5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자가진단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타 LDM으로 전송하고, 상기 자가진단 정보의 전송에 대한 응답신호를 타 LDM으로부터 수신받아 제어부(50)로 제공한다.
라이트 구동 전원부(55)는 입력포트를 통해 배터리(1)의 전원을 인가받고, 제어부(50)의 제어를 받아 상기 배터리 전원을 정전압 및 정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포트로 제공한다.
라이트 구동부(54)는 제어부(50)의 제어를 받아 라이트의 온/오프 및 라이트의 조도를 조절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이중 안전 검사의 1차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로서, AFLS 유닛(10)과 제1LDM(20)을 연결하는 LIN 케이블이 단선된 경우의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AFLS 유닛(10)은 제1LDM(20)과 연결이 정상적일 경우, 제1LDM 제어신호를 제1인터페이스부(52)를 통해 제1LDM(20)로 송신하고(S511), 상기 제1LDM(20) 제어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S513).
또한, AFLS 유닛(10)은 제2LDM(3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제2LDM 제어신호를 제1인터페이스부(52)를 통해 제2LDM(30)으로 송신하고(S515), 상기 제2LDM 제어신호의 송신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한다(S517).
그러나 제1LDM(20)과 AFLS 유닛(10) 사이의 LIN 케이블이 단선된 경우, AFLS 유닛(10)은 정상 때와 동일하게 제1LDM 제어신호를 제1LDM(20)으로 송신한다(S519). 그러나 제1LDM(20)과 AFLS 유닛(10) 사이의 LIN 케이블이 단선되었으므로 제1LDM(20)은 상기 제1LDM 제어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므로, 응답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AFLS 유닛(10)은 상기 제1LDM 제어신호의 송신(S519) 후,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1LDM 제어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고, 일정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제1LDM(20) 고장으로 판단하여 제1LDM 제어 전달 신호를 제2LDM(30)으로 전송한다(S521). 상기 제1LDM 제어 전달 신호에는 제1LDM(20)로 보내는 제어신호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정보는 전자일련번호 등과 같은 제1LDM 고유의 식별자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FLS 유닛(10)은 제1LDM의 고장 여부를 BCM(160)으로 통보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BCM(160)은 인디케이터(170)에 제1LDM 고장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LDM 제어 전달 신호를 입력받은 제2LDM(30)은 제1LDM 제어신호를 제2인터페이스부(53)를 통해 제1LDM(20)으로 전송한다(S523).
상기 제2LDM(30)으로부터 제1LDM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제1LDM(20)은 상기 제 1LDM 제어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제2LDM(30)으로 전송한다(S525).
제1LDM(20)으로부터 제1LDM 응답신호를 수신한 제2LDM(30)은 상기 제1LDM 응답신호에 대한 제1LDM 응답 전달 신호를 AFLS 유닛(10)으로 전송한다(S527).
상기 제1LDM 응답 전달 신호를 수신한 AFLS 유닛(10)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LDM(30)에 대해 제어를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이중 안전 검사의 2차 안전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방법의 제1예를 나타낸 절차도로서, 제1LDM 자체의 자가진단에 따른 이중 안전 검사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6에서는 제1LDM에서 자가진단을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제1LDM(20)과 제2LDM(30)은 교번하여 자가진단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고, 동시에 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면, AFLS 유닛(10)은 도 5에서 동일하게 제1LDM(20)과 제2LDM(30)에 대해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제1LDM(20) 및 제2LDM(30)의 제어를 수행한다(S611 내지 S617).
상기 AFLS 유닛(10)의 제어중에 제1LDM(20)의 제어부(50)는 일정 주기로 자가진단을 수행하고(S619), 상기 자가진단에 의해 얻어진 진단정보로부터 고장인지를 판단한다(S621).
고장인 경우, 제1LDM(20)의 제어부(50)는 LIN 케이블 단선 고장인지를 판단하고(S622), LIN 케이블 단선이 아니면 제1LDM 고장 통보 신호를 제1인터페이스부(52)를 통해 LIN 망(150)으로 송신한다. LIN망(150)으로 송신된 제1LDM 고장 통 보 신호는 AFLS 유닛(10)으로 전송된다(S625).
그러나 LIN 케이블 단선인 경우 제1LDM(20)의 제어부(50)는 제1LDM 고장 통보 신호를 제2인터페이스부(53)를 통해 제2LDM(20)으로 송신한다(S623).
제1LDM 고장 통보 신호를 수신한 제2LDM(20)은 제1LDM 고장통보 신호를 LIN 망(150)을 통해 AFLS 유닛(10)으로 송신한다(S625').
AFLS 유닛(10)은 S625에서 제1LDM 고장통보 신호가 수신되면, LIN 단선인지를 판단하고(S626). LIN 단선인 경우, 제1LDM(20) 제어 시 제1LDM 제어 전달 신호를 제2LDM(30)으로 송신한다(S627).
그러면 제2LDM(30)은 제1LDM 제어 신호를 제2인터페이스부(53)를 통해 제1LDM(20)으로 송신하고(S629), 상기 제1LDM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LDM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S631). 제1LDM 응답신호를 제1인터페이스부(52)를 통해 AFLS 유닛(10)으로 송신한다(S632).
그러나 상기 S626에서의 LIN 단선 판단 시 LIN 단선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AFLS 유닛(10)은 LIN 망(150)을 통해 제1LDM(20)으로 제1LDM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제1LDM(20) 제어를 수행한다(S633, S635). 상기 AFLS 유닛(10)은 상기 제1LDM 고장 통보 신호 수신 시 이를 BCM(160)으로 전송하고, BCM(160)에 의해 인디케이터(170)에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LDM(20)에 대한 제어 후, AFLS 유닛(10)은 제2LDM(30)에 대한 제어 과정(S633, S635)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2차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방법의 제2예를 나타낸 절차도로서, 상기 제3실시 예에서는 제2LDM(30)에서 제1LDM(20)으로 고장 진단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S715), 제1LDM(30)이 상기 고장 진단 요청에 따른 고장 진단 후,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진단 응답신호를 제2LDM(30)으로 전송하며, 제2LDM(30)이 상기 진단 응답신호의 진단정보로부터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 시 AFLS 유닛(10)으로 제1LDM 고장 통보 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S721). 이후의 과정은 도 6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전조등 제어방법을 나타낸 절차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전조등 드라이브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방법의 1차 안전 검사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방법의 2차 안전검사 방법의 제1예를 나타낸 절차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의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방법의 2차 안전 검사 방법의 제2예를 나타낸 절차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조등 제어 모듈(AFLS) 20: 제1 전조등 드라이브 모듈(LDM)
30: 제2 전조등 드라이브 모듈(LDM) 160:차체제어모듈(BCM)
170: 인디케이터

Claims (13)

  1. 린 망에 연결되며, 상호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과,
    상기 린 망을 통해 상기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들과 연결되는 전조등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전조등 제어 모듈이 상기 린 망을 통해 상기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들의 1차 안전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들 간 상호 2차 안전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드라이브 모듈은;
    상기 린 망에 연결되어 상기 전조등 제어 모듈과 린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1인터페이스부와,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과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2인터페이스부와,
    자가진단에 따른 2차 안전 검사를 수행하고, 자가진단에 따라 고장 판단 시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로 고장 통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 제어 유닛이,
    상기 1차 안전 검사 시 임의의 제1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의 린 케이블 단선인 것으로 판단되면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가진단을 수행하고, 자가진단에 의한 고장 판단 시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로 고장 통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2차 안전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로부터 고장 진단 요청을 받아 자가진단을 수행한 후 자가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 응답 신호를 타 드라이브 모듈로 전송하고,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이 상기 자가진단 정보에 의해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고장인 경우 전조등 제어 유닛으로 고장 통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2차 안전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진단은 라이트의 발광다이오드의 단락진단, 단선진단, 과열진단 및 린 케이블 단선 진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 제어 유닛은,
    상기 2차 안전검사에 의한 상기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의 고장 판단 시 상기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통해 상기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 스템.
  8.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조등 제어 유닛이, 린 망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들의 안전 여부를 검사하는 1차 안전 검사 과정과,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들 중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이 자가진단을 수행하고 상기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에 연결된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로 소정의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자가진단 정보를 전송하여 2차 안전 검사를 하는 2차 안전 검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안전 검사 과정은,
    상기 전조등 제어 유닛이 상기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신호 송신 단계와,
    상기 전조등 제어 유닛이 상기 제어 신호 송신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린 케이블 단선고장으로 판단하는 1차 안전 검사 단계와,
    상기 전조등 제어 유닛이 상기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 제어 시 상기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과 직접 연결된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통해 상기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제어하는 우회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안전 검사 과정은,
    상기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이 자가진단을 수행하여 고장이면 상기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로 고장 통보 신호를 전송하는 자가진단 단계와,
    상기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이 고장 통보 신호 수신 시 전조등 제어 유닛으로 상기 고장 통보 신호를 전송하는 고장 전달 단계와,
    상기 전조등 제어 유닛이 상기 고장 통보 신호에 의해 상기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의 린 케이블 단선 고장 판단 시 상기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통해 상기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제어하는 2차 우회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안전 검사 과정은,
    상기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이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로부터 고장 진단 요청 신호를 수신받는 자가진단 요청 단계와,
    상기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이 자가진단을 수행하여 자가진단 정보를 상기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로 전송하는 자가진단 단계와,
    상기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이 상기 자가진단 정보에 의해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 판단 시 전조등 제어 유닛으로 고장 통보 신호를 전송하는 고장 통보 단계와,
    상기 전조등 제어 유닛이 상기 고장 통보 신호에 의해 린 케이블 단선 고장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통해 상기 임의의 라이트 드라이브 모듈을 제어하는 우회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진단은 라이트 발광 다이오드의 단락진단, 단선진단, 과열진단, 라이트 구동전원부 진단 및 라이트 구동부 진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 제어 유닛이 상기 1차 및 2차 안전검사에 의한 고장 발생 시 차체제어모듈(BCM)을 통해 인디케이터에 고장 정보를 표시하는 고장 정보 표시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방법.
KR1020090086938A 2009-09-15 2009-09-15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7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938A KR101117418B1 (ko) 2009-09-15 2009-09-15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938A KR101117418B1 (ko) 2009-09-15 2009-09-15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314A KR20110029314A (ko) 2011-03-23
KR101117418B1 true KR101117418B1 (ko) 2012-02-29

Family

ID=43935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938A KR101117418B1 (ko) 2009-09-15 2009-09-15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4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181A (ko) 2014-12-26 2016-07-0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전조등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293A (ja) 1998-10-14 2000-04-25 Koito Mfg Co Ltd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のオートレベリング装置
KR20040040080A (ko) * 2002-11-06 200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ps를 이용한 스톱 및 테일 램프 고장 검출방법
KR100806658B1 (ko) * 2005-10-06 2008-02-26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차량용 등기구
KR100844372B1 (ko) 2007-07-27 2008-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램프통신고장시 백업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293A (ja) 1998-10-14 2000-04-25 Koito Mfg Co Ltd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のオートレベリング装置
KR20040040080A (ko) * 2002-11-06 200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ps를 이용한 스톱 및 테일 램프 고장 검출방법
KR100806658B1 (ko) * 2005-10-06 2008-02-26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차량용 등기구
KR100844372B1 (ko) 2007-07-27 2008-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램프통신고장시 백업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314A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9006B2 (en) Monitoring system for an autonomous vehicle
US10880117B2 (en) Control area network (CAN) transceivers with automatic polarity detection
US20190164461A1 (en) Image display system for vehicle
CN117087529A (zh) 尾转向灯
WO2021020191A1 (ja) 車両制御システム
WO2012073818A1 (ja) 動作支援装置、電子機器、電子制御装置、及び、制御システム
KR101117418B1 (ko)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965749A (zh) 汽车语音报警装置及系统
US10843627B2 (en) Automated drive system determining abnormalities in lighting operation of headlights of a vehicle
KR20120108579A (ko) 차량의 램프 단락시 경고 표시장치 및 그 방법
CN108454328A (zh) 车胎信号源位置辨识方法和系统
KR20150139741A (ko)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
KR20130065353A (ko) 캔통신을이용한 자동차 고장진단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102174402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 인디케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47331B1 (ko)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 장치
JP5407397B2 (ja) 制御システム
KR100501681B1 (ko) Ips를 이용한 스톱 및 테일 램프 고장 검출방법
JP2020147068A (ja) 車両用灯具の診断システム
JP2001334908A (ja) 車両用乗員保護システム
JP2004020461A (ja) 車両用故障診断装置
JP2021020652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CN112654530A (zh) 车灯
KR102471838B1 (ko) 구조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
JP2005243316A (ja) 照明用通信システム
KR20190067304A (ko)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