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199B1 - 오일 필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오일 필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199B1
KR101114199B1 KR1020087006866A KR20087006866A KR101114199B1 KR 101114199 B1 KR101114199 B1 KR 101114199B1 KR 1020087006866 A KR1020087006866 A KR 1020087006866A KR 20087006866 A KR20087006866 A KR 20087006866A KR 101114199 B1 KR101114199 B1 KR 101114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ube
housing
locking means
filter member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5230A (ko
Inventor
프라이드햄 피처
알렉산더 마우테
피터 정만
Original Assignee
조마 폴리텍 쿤스츠토프테닉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마 폴리텍 쿤스츠토프테닉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조마 폴리텍 쿤스츠토프테닉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080045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9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15Details of supporting struc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에 삽입 가능하고 방사형으로 오일이 관류하여 유동 가능한 필터 부재(18)를 위해, 수용부(16)(receiving chamber)를 가지는 하우징(12), 상기 필터 부재가 장착되어 있을 때 필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튜브(32), 상기 수용부를 닫는 하우징 커버 및 상기 수용부의 바닥 영역에 구비된 배수 채널(24)을 포함하는 오일 필터 조립체(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지지 튜브(32)가 하우징에 고정되어 필터 부재의 교체시 하우징에 남아있도록 하며, 상기 수용부의 바닥 영역에 상기 지지 튜브위에서 적어도 제한적으로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배수판(34)이 배수 채널을 잠그기 위한 잠금 수단(30)과 함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일 필터 조립체, 필터 부재, 지지 튜브, 배수 채널, 잠금 수단

Description

오일 필터 조립체{OIL FILTER ARRANGEMENT}
본 발명은 하우징 내에 삽입 가능하고, 오일이 방사형으로 관류하여 유동가능한 필터 부재를 위해 수용부(receiving chamber)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필터 부재가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필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튜브(support tube), 상기 수용부를 닫는 하우징 커버 및 상기 수용부의 바닥 영역에 구비된 배수 채널(drainage channel)을 포함하는 오일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배수 채널을 구비하는 것은 필터 부재가 완전히 제거되기 전에 상기 수용부에 존재하는 오일이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를 통해 필터 부재를 취급하거나 교체하는 일이 간편해진다.
그러한 방식의 오일 필터 조립체는 다양한 방법과 방식으로 개시되었다.
예컨대 독일 특허 DE 39 03 675 C2에 개시된 오일 필터 조립체에 따르면, 수용부의 바닥 영역을 향한 필터 부재의 측면은 배수 채널을 잠그기 위한 잠금 볼트를 구비한다.
독일 특허 DE 102 35 902 A1에 따르면, 수용부의 바닥에 튜브 접합관으로 둘러싸인 순수 오일 개구부가 배치된다. 또한 바닥에 배수 개구부가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는 스프링 크램프(cramp)에 구비된 잠금 부품 위에서 잠겨질 수 있다. 필터 부재가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잠금 부품은 상기 스프링 크램프를 지나 잠금 위치로 이동한다. 필터 부재의 제거시, 상기 스프링 크램프의 응력에 기인하여 배수 채널이 개방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그러한 방식으로 개시된 종래 기술을 보다 발전시키는 데에 있다. 특히 오일 필터 조립체의 기능 안정성 및 구동 안정성을 강화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것은, 지지 튜브가 하우징에 고정되어 필터 부재의 교체시 하우징에 남아있고, 수용부의 바닥 영역에는 상기 지지 튜브 위에서 적어도 제한적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 하도록 배치된 배수판(drainage plate)이 배수 채널을 잠그기 위한 잠금 수단(closing means)과 함께 배치되는 것이다.
배수판을 구비함으로 인하여, 필터 부재의 제거시 배수 채널이 개방된다. 따라서 필터 부재가 완전히 제거되기 전에 수용부에 존재하는 오일이 유출될 수 있다. 이 때 배수판은 잠금 수단과 함께 비교적 견고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수판을 잠그기 위해 강한 힘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독일 특허 DE 102 35 902 A1에 따른 종래 기술에 따르면, 잠기는 힘은 스프링 크램프의 탄성에 의존하는데, 이는 상기 스프링 크램프가 필터 부재로부터 유출 채널을 잠글 때까지 작용받기(impinged)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 부재의 교체시 측 기둥 모양의 지지 튜브가 하우징에 남아있게 되는데, 이를 통해 취급이 간편해진다. 또한 지지 튜브가 보다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필터 부재가 지지 튜브 위로 밀어지거나 지지 튜브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필터 부재의 교체시, 커버가 제거되고 필터 부재만 착탈된다. 지지 튜브가 하우징에 남아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 튜브는 캐치 기구(catch mechanism)로 고정되고 나사로 고정하거나, 및/또는 바요넷형 및/또는 비착탈식(non-detachable)으로 고정될 수 있다. 캐치 기구로 고정할 때는 대응하는 캐치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나사로 고정할 때는 대응하는 나사골 및/또는 나사가 구비될 수 있다. 바요넷형으로 고정할 때는 지지 튜브가 우선 지지 튜브의 종축을 따라 수용부로 삽입된 이후,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 인하여, 그에 대응하여 구비된 언더컷(under-cut) 단부 중앙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배수판과 바닥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이 배치되는데, 하우징이 폐쇄되고 필터 부재가 장착되어 있을 때, 구동 상태에서 배수판은 압축 스프링의 탄성에 대하여 필터 부재에 의한 반작용을 받고, 잠금 수단은 배수 채널을 잠근다. 따라서, 지지 튜브 위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배수판에 대해 추가적으로 상기 배수판에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이 구비된다. 수용부의 바닥과 배수판 사이에 압축 부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압축 스프링이 수용부 및/또는 배수판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될 필요가 없다. 오히려 하우징 측 및/또는 배수판 측의 부품들에 의해 그러한 지지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경우는, 하우징 커버를 개방할 때 배수판이 압축 스프링에 의해 구동 상태에서 유출 상태로 가압되는 경우로서, 상기 유출 상태에서 배수 채널은 개방되어 있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압축 스프링은 하우징 커버를 개방할 때 배수판이 필터 부재와 함께 들어 올려지도록 설치된다. 이 때 배수 채널은 자동적으로 개방되고, 필터 부재는 압축 스프링의 큰 탄성력에 의해 들어 올려진다. 이를 통해 필터 부재를 수용부로부터 제거하는 일이 근본적으로 간단해진다; 이 때 필터 부재는 예컨대 수용부로부터 약간 돌출할 수 있고,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 때 배수판은 바람직하게는 원반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수판은 중앙에 브리치(breach)를 포함하고, 상기 브리치에 지지 튜브가 배치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배수판이 놓이는 면이 적어도 가능한한 지지 튜브의 중앙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진행하여 형성된다. 이 때 배수판은 바람직하게는 수용부의 바닥과 평행하게 내지는 지지 튜브의 중앙 종축과 수직으로 이동되고, 이를 통해 배수 개구부가 더 안정적으로 삽입되고 잠금 수단을 통해 더 안정적으로 잠궈진다. 또한 배수판을 지지 튜브에 잘못 세우는 일이 방지된다.
종합적으로 배수판은 원형, 타원형, 달걀형 또는 또 다른 모양으로 형성된 윤곽선(contour)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수판에 인접하여 버팀목 및/또는 유도 장치를 위한 바(bar)가 수용부의 바닥 및/또는 지지 튜브 및/또는 필터 부재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수판의 소정의 작용이 필터 부재 및/또는 배수판의 이동을 목적으로 한 유도장치로 인하여 달성된다. 상기 바가 바닥에 구비됨으로 인하여 배수판을 위한 소정의 충돌부들이 하우징의 맞은편에 제공될 수 있다.
배수판을 튜브 접합관에서 유도하기 위하여 예컨대 고려될 수 있는 것은, 축 방향으로 연장된 세로 홈의 단부들이 지지 튜브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인데, 이 때 배수판은 내향 방사형으로 돌출하여 상기 세로 홈들로 삽입되는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이 때 배수판이 상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간을 제한하기 위하여 세로 홈 단부가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배수판의 이동 공간은 돌출부들이 그에 인접한 세로 홈 단부의 말단에 충돌함으로써 제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튜브는 외향 방사 방향으로 존재하는 말단부 또는 외향 방사 방향으로 존재하고 적어도 일부는 회전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말단부 및/또는 플랜지는 바람직하게는 지지 튜브의 바닥을 향한 측면에 구비된다.
이 때 지지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말단부 또는 플랜지가 하우징에 고정된다. 특히 지지 튜브는 말단부 또는 플랜지가 하우징과 캐치기구로 고정되고 나사로 고정되고 리벳(rivet) 고정되거나 및/또는 그러한 방식으로 지속력있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말단부 또는 플랜지에서 압축 스프링이 지지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는데, 상기 압축 스프링은 배수판에 반작용한다. 또한 압축 스프링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배수판과 바닥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바닥(20)의 기하학적 형상이 압축 스프링과 별개로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압축 스프링은 바닥이 아니라 말단부 또는 플랜지에서 지지된다.
그러한 것과 같은 잠금 수단은 특히 지지 튜브의 중앙 종축에 대해 편심적으로(eccentrically) 축의 방향에서 배수판에 인접하여, 배수 채널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잠금 수단은 잠금 볼트로서 배수판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중앙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패킹 링으로서 배수판에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고려될 수 있는 것은, 배수판에 다만 상기 바닥을 향한 측면에서 패킹 클러스터가 구비되는 것인데, 상기 클러스터는 구동 상태에서 배수 채널을 잠근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수단은 배수 채널을 잠그기 위해 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 단부와 잠금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바 단부는 배수판으로부터 배수 채널까지 설치 공간을 브리징(bridging)하는 역할을 한다. 배수 채널을 잠그기 위해 역할하는 잠금 단부는 대응되는 패킹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튜브가 외향 방사방향으로 돌출한 플랜지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플랜지는 축 방향으로 배수 채널 상부에 있는 영역에서 갭(gap)을 포함하는데, 상기 갭에 잠금 수단이 수용된다. 이를 통해 지지 튜브에 플랜지가 구비됨에도 불구하고 잠금 수단이 배수 채널에 도달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갭이 플랜지에서 제1 세그먼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세그먼트의 단면이 잠금 단부의 단면보다 크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잠금 단부는 축 방향으로 상기 세그먼트에 삽입가능해진다. 따라서 오일 필터 조립체를 조립할 때 상기 잠금 단부는 축 방향으로 상기 갭의 제1 세그먼트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갭이 제2 세그먼트를 구비하는데, 바 단부가 제1 세그먼트로부터 잠금 단부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가진 제2 세그먼트로 축과 평행하게 이동함에 따라, 잠금 수단은 축의 방향에서 상기 갭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
따라서 오일 필터 조립체를 조립할 때, 배수판은 잠금 수단과 함께 상기 배수판의 세로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데, 바 단부가 상기 갭의 제1 세그먼트로부터 갭의 제2 세그먼트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 때 갭의 제2 세그먼트는 잠금 수단의 단면보다 작기 때문에 잠금 수단이 상기 갭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탈될 수 없다. 이를 통해 조립의 마지막 단계에서 배수판의 이동 공간은 상축 방향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판은 축의 방향에서 안정화된다.
상기 갭 안에서 바 단부가 잘못 세워지는 일을 가능한한 방지하기 위해, 오일 필터 조립체는 상기 바 단부를 에워싸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스프링 부재의 한쪽은 배수판에, 다른 한쪽은 지지 튜브의 플랜지에 지지된다. 필터 부재의 제거시 압축 스프링과 함께 배수판의 기능성 있는 이동이 확실히 구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튜브는 수용부의 바닥 영역에서 방사 방향으로 폐쇄되고 지지 튜브를 향해 방사방향으로 존재하는 피토관(pitot tube)을 둘러싼다. 지지 튜브의 설치시 상기 지지 튜브는 예컨대 상기 피토관 위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피토관은 추가적으로 접합 보조물로서 역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부의 바닥을 등진 지지 튜브의 자유 일면에 또한 고압-우회-밸브가 배치된다. 그러한 방식의 밸브는 예컨대 필터 부재의 오염에 기인하여 한계 압력이 초과했을 때 개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상세사항들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기재될 것이며, 본 발명은 도면으로 도시된 실시예로 인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필터 조립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수용부의 바닥 영역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플랜지, 배수판과 함께 지지 튜브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지지 튜브의 플랜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오일 필터 조립체(10)는 하우징(12) 및 상기 하우징(12)에 안착될 수 있고 나사골(15) 위에서 상기 하우징(12) 상에 나사 고정이 가능한 하우징 커버(14)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2)은 수용부(16)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안에는 방사형으로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체가 관류가능한 필터 부재(18)가 배치된다.
상기 수용부(16)의 바닥(20)에 오일 원액 개구부(22)가 구비되고, 여과될 오일 원액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수용부(16)로 유입된다. 또한 바닥(20)에 배수 채널(24)이 구비되어, 수용부(16)에 존재하는 오일이 하우징 커버(14)의 개방시 내지는 필터 부재(18)의 제거시 상기 배수 채널을 지나 유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배수 채널(24)은 배수 개구부(28)를 구비한다. 또한 순수 오일 채널(23)도 구비되어, 여과된 오일이 상기 채널을 지나 유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동 상태에서, 하우징은 패쇄되고 필터 부재(18)가 장착된 오일 필터 조립체(10)에서, 배수 개구부(28)는 잠금 수단(30)에 의해 잠긴다.
볼트 모양의 잠금 수단(30)의 일면은 수용부(16)의 바닥 영역(20)에서 지지 튜브(32)위로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한 배수판(34)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구동 상태에서 필터 부재(18)는 측 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지지 튜브(32)에 삽입될 수 있다. 필터 부재(18)는 상기 필터 부재 상부의 내향 방사방향 영역(42)이 커버(14)를 향해 있는 지지 튜브(32)의 상단과 밀접하여 배치된다. 이에 대응하여, 필터 부재의 바닥(20)을 향한 내향 방사방향 영역(44)은 지지 튜브(32)에 밀접해 있다. 배수판(34)은 중앙에 브리치(45)를 포함하여, 상기 브리치를 지나 지지 튜브(32)에 삽입된다. 이 때 배수판은 오일 필터 조립체의 중앙 종축(36)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이 때 볼트 모양으로 형성된 잠금 수단(30)은 배수 개구부(28)와 맞물리고, 배수 채널(24)은 배수 개구부(28)의 영역에서 상기 중앙 종축(36)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를 통해 보장되는 것은, 잠금 수단(30)이 배수 채널(24)에 맞물려 들어간 깊이와 상관없이, 배수 채널(24)이 보다 안정적으로 잠겨질 수 있다는 것이다.
배수판(34)은 압축 스프링(38)에 의해 상부를 향하여 하우징 커버(14) 방향으로 가압된다. 압축 스프링(38)은 한쪽은 배수판(34)에 다른 한쪽은 바닥(20)에 고정되어 외향 방사방향으로 지향된 지지튜브(32)의 플랜지(40)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 지지 튜브(32)는 하우징(12)에 고정되는데, 필터 부재(18)의 교체시 하우징(12)에 남아있을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지지 튜브(32)는 하우징(12)에 캐치 기구로 고정되고, 나사로 고정되고, 리벳으로 고정되고 및/또는 용접으로 접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배수판(34)이 스프링의 작용을 받음에 따라, 하우징 커버(14)의 제거시 배수판은 상축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이를 통해 잠금 수단(30)은 배수 개구부(28)의 잠금을 해제하여 수용부(16)에 존재하는 오일이 배수 채널(24)을 지나 유출될 수 있다. 이 때 압축 스프링(38)은 하우징 커버(14)의 제거시 배수판(34)이 들어 올려지는 것뿐만 아니라, 필터 부재(18)가 상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통해 필터 부재(18)를 수용부(16)로부터 제거하는 일이 용이해진다.
구동 상태에서 필터 부재(18)의 하단(47)이 압축 스프링(38)의 탄성력에 반작용하기 위해, 상기 커버(14)에 리브들(46)이 구비된다. 상기 리브들은 필터 부재(18)의 상단(48)에 반작용한다. 지지 튜브(32)의 자유단에 우회 밸브(49)가 구비되어, 필터 부재(18)가 매우 오염되거나 막혔을 때 압력이 상승하여 개방된다.
지지 튜브(32)는 바닥(20) 영역에서 상기 지지 튜브를 향해 방사형으로 존재하고 순수 오일 채널(23)을 형성하는 피토관(50)을 둘러싼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도 1에 따른 조립체와 일치한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도 1과 대응하는 부품들은 그에 대응되는 참조기호로 표시된다.
지지 튜브(32)는 또한 여기서 외향 방사 방향으로 돌출한 플랜지(40)를 구비하는데, 상기 플랜지 상부에서 지지 튜브(32)는 하우징(12)에 지속력있게 고정된다. 도 3에서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튜브는 나사(52)를 이용해서 하우징(12)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2) 및/또는 지지 튜브(32)에 인접하여 대응하는 고정 볼트들(41)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튜브(32)는 예컨대 플랜지(40)의 영역에서 가열 리벳을 통해 하우징(12)에 비착탈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나사(52)의 헤드에 축 방향으로 위로부터 도달하기 위해, 배수판(34)은 나사(52) 상부에 브리치(54)를 구비한다.
도 2의 단면도는 잠금 수단(30)을 명백하게 도시한다. 중앙 종축(36)으로부터 편심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잠금 수단(30)은 배수 채널(24)을 잠그기 위해 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 단부(56)와 잠금 단부(58)을 포함한다. 잠금 단부(58)는 패킹 링(60)의 형태를 가진 패킹 수단을 포함한다. 이 때 잠금 단부(58)는 도 2에 도시된 구동 상태에서 배수 채널(24)과 맞물리는데, 배수 개구부(28) 영역에서 패킹 인셋(inset)(62)은 하우징(12)에 배치된다. 이 때 슬리브(sleeve) 형태의 패킹 인셋(62)은 내부 공간(16)을 향한 측면에서 잠금 단부(58)을 위한 진입 경사면(64)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도 2에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튜브(32)의 플랜지(40)는 배수 개구부(28)의 상부 축 방향 영역에서 갭(66)을 포함하고, 상기 갭을 관통하여 잠금 수단(30), 내지는 바 단부(56)가 돌출된다. 상기 바 단부(56) 주위에 스프링 부재(68)가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한쪽은 배수판(34)에서 다른 한쪽 은 상기 갭(66)을 포함하고 둘러싼 플랜지(40)의 영역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도 2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4)를 열었을 때, 배수판(34)은 압축 스프링(38) 및 스프링 부재(68)로 인하여 들어 올려진다.
도 4 및 도 5로부터 명백하게 알 수 있는 것은, 상기 갭(66)이 두 개의 세그먼트들(70)(72)을 포함한다는 점이다.
이 때 제1 세그먼트(70)는 원형 직경을 가지고, 그것의 평면은 잠금 단부(58)의 단면보다 근소한 차이로 크다. 이로써 잠금 단부(58)는 축의 방향에서 상기 갭(66)의 세그먼트(70)로 삽입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바 단부(56)는 단면이 십자 리브형의 윤곽선을 가진다. 도 5에서 명백하게 알 수 있는 것은, 제2 세그먼트(72)가 제1 세그먼트(70)를 등진 측면에서 바 단부(56)의 십자 리브형의 윤곽선에 대응하는 십자 윤곽선(74)을 가진다.
바 단부(56)는 제1 세그먼트(70)로부터 선 조립 위치(pre-assembly position)에서 제2 세그먼트(72)로 즉 최종 조립(final-assembly) 위치로 옮겨질 수 있다. 바 단부(56)의 제1 세그먼트(70)를 등진 리브(76)는 제2 세그먼트(72)의 십자 윤곽선(74)에 도달한다. 이를 통해 배수판(34)의 이동이 축 방향에서 제한된다. 이를 통해 배수판(34)은 분실의 위험 없이 지지 튜브(32)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지지 튜브(32), 배수판(34) 및 스프링들(38)(68)은 별도로 취급이 가능한 선 조립 그룹을 형성한다. 이러한 선 조립 그룹은 오일 필터 조립체(10)의 제조시 수용부(16)에 삽입될 수 있다. 그 이후에 지지 튜브(32)는 나사(52)를 이용하여, 또는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하우징(12)에 고정될 수 있다.

Claims (19)

  1. 하우징(12);
    상기 하우징(12)에 삽입 가능하고 방사방향으로 오일이 관류하여 유동할 수 있는 필터 부재(18);
    상기 필터 부재(18)를 위한 수용부(16);
    상기 필터 부재(18)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필터 부재를 지지하고, 필터 부재(18)의 교체시 하우징(12)에 남아있는 지지 튜브(32);
    상기 수용부(16)를 닫는 하우징 커버(14); 및
    상기 수용부(16)의 바닥 영역(20)에 구비된 배수채널(24)을 포함하고, 이 때 상기 수용부(16)의 바닥 영역(20)에 상기 필터 부재(18) 및 상기 지지 튜브(32)와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튜브(32) 위에서 적어도 제한적으로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배수판(34)이 배수 채널(24)을 잠그기 위한 잠금 수단(30)과 함께 배치되며,
    상기 배수판(34)과 바닥 영역(2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38)이 배치됨으로써, 구동 상태일 때 상기 하우징이 폐쇄되고 상기 필터 부재(18)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배수판(34)은 필터 부재(18)에 의해 탄성에 대항하여 작용받고 상기 잠금 수단(30)은 배수 채널(24)을 잠그며,
    상기 지지 튜브(32)는 외향 방사 방향으로 존재하는 말단부 또는 외향 방사방향으로 존재하고 적어도 일부는 회전하는 플랜지(40)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 스프링(38)은 말단부 또는 플랜지(40)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조립체(1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튜브(32)는 상기 하우징(1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조립체(10).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34)은 하우징 커버(14)의 개방시 상기 압축 스프링(38)에 의해 구동 상태에서 유출 상태로 가압되고, 상기 유출 상태일때 배수 채널(24)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조립체(10).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34)은 원반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조립체(10).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튜브(32)는 말단부 또는 플랜지(40)가 하우징(1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조립체(10).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30)은 상기 지지 튜브(32)의 중앙 종축(36)에 대해 축의 방향에서 편심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조립체(10).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30)은 배수 채널을 잠그기 위해 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 단부(56)와 잠금 단부(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조립체(10).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40)는 축 방향으로 상기 배수 채널(24) 상부에 놓인 공간에서 갭(66)을 포함하고, 상기 갭에 잠금 수단(30)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조립체(10).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갭(66)은 제1 세그먼트(70)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 세그먼트(70)의 단면은 잠금 단부(58)의 단면보다 커서, 상기 잠금 수단(30)이 상기 제1 세그먼트(70)로 축 방향에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조립체(10).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갭(66)은 제2 세그먼트(72)를 포함하는데, 바 단부(56)가 상기 제1 세그먼트(70)로부터 상기 잠금 단부(58)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가진 제2 세그먼트(72)로 축과 평행하게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잠금 수단(30)이 축 방향에서 상기 갭(66)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조립체(10).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갭(66)의 제2 세그먼트(72)는 상기 바 단부(56)의 단면 윤곽선(7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윤곽선(7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조립체(10).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바 단부(56)를 둘러싸는 스프링 부재(68)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한쪽은 상기 배수판(34)에 의해 다른 한쪽은 상기 지지 튜브의 플랜지(4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조립체(10).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 튜브(32)는 상기 수용부(16)의 바닥(20) 영역에서 방사 방향으로 폐쇄되고 상기 지지 튜브(32)를 향해 방사형으로 존재하는 피토관(pitot tube)(50)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조립체(10).
  17. 하우징(12);
    상기 하우징(12)에 삽입 가능하고 방사방향으로 오일이 관류하여 유동할 수 있는 필터 부재(18);
    상기 필터 부재(18)를 위한 수용부(16);
    상기 필터 부재(18)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필터 부재를 지지하고, 필터 부재(18)의 교체시 하우징(12)에 남아있는 지지 튜브(32);
    상기 수용부(16)를 닫는 하우징 커버(14); 및
    상기 수용부(16)의 바닥 영역(20)에 구비된 배수채널(24)을 포함하고, 이 때 상기 수용부(16)의 바닥 영역(20)에 상기 필터 부재(18) 및 상기 지지 튜브(32)와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튜브(32) 위에서 적어도 제한적으로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배수판(34)이 배수 채널(24)을 잠그기 위한 잠금 수단(30)과 함께 배치되며,
    상기 배수판(34)과 바닥 영역(2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38)이 배치됨으로써, 구동 상태일 때 상기 하우징이 폐쇄되고 상기 필터 부재(18)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배수판(34)은 필터 부재(18)에 의해 탄성에 대항하여 작용받고 상기 잠금 수단(30)은 배수 채널(24)을 잠그며,
    상기 지지 튜브(32)는 외향 방사 방향으로 존재하는 말단부 또는 외향 방사방향으로 존재하고 적어도 일부는 회전하는 플랜지(40)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40)는 축 방향으로 상기 배수 채널(24) 상부에 놓인 공간에서 갭(66)을 포함하고, 상기 갭에 잠금 수단(30)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조립체(10).
  18. 하우징(12);
    상기 하우징(12)에 삽입 가능하고 방사방향으로 오일이 관류하여 유동할 수 있는 필터 부재(18);
    상기 필터 부재(18)를 위한 수용부(16);
    상기 필터 부재(18)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필터 부재를 지지하고, 필터 부재(18)의 교체시 하우징(12)에 남아있는 지지 튜브(32);
    상기 수용부(16)를 닫는 하우징 커버(14); 및
    상기 수용부(16)의 바닥 영역(20)에 구비된 배수채널(24)을 포함하고, 이 때 상기 수용부(16)의 바닥 영역(20)에 상기 필터 부재(18) 및 상기 지지 튜브(32)와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튜브(32) 위에서 적어도 제한적으로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배수판(34)이 배수 채널(24)을 잠그기 위한 잠금 수단(30)과 함께 배치되며,
    상기 잠금 수단(30)은 상기 지지 튜브(32)의 중앙 종축(36)에 대해 축의 방향에서 편심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잠금 수단(30)은 배수 채널을 잠그기 위해 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 단부(56)와 잠금 단부(58)를 포함하며,
    상기 바 단부(56)를 둘러싸는 스프링 부재(68)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한쪽은 상기 배수판(34)에 의해 다른 한쪽은 상기 지지 튜브의 플랜지(4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조립체(10).
  19. 하우징(12);
    상기 하우징(12)에 삽입 가능하고 방사방향으로 오일이 관류하여 유동할 수 있는 필터 부재(18);
    상기 필터 부재(18)를 위한 수용부(16);
    상기 필터 부재(18)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필터 부재를 지지하고, 필터 부재(18)의 교체시 하우징(12)에 남아있는 지지 튜브(32);
    상기 수용부(16)를 닫는 하우징 커버(14); 및
    상기 수용부(16)의 바닥 영역(20)에 구비된 배수채널(24)을 포함하고, 이 때 상기 수용부(16)의 바닥 영역(20)에 상기 필터 부재(18) 및 상기 지지 튜브(32)와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튜브(32) 위에서 적어도 제한적으로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배수판(34)이 배수 채널(24)을 잠그기 위한 잠금 수단(30)과 함께 배치되며,
    상기 잠금 수단(30)은 상기 지지 튜브(32)의 중앙 종축(36)에 대해 축의 방향에서 편심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잠금 수단(30)은 배수 채널을 잠그기 위해 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 단부(56)와 잠금 단부(58)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튜브(32)는 상기 수용부(16)의 바닥(20) 영역에서 방사 방향으로 폐쇄되고 상기 지지 튜브(32)를 향해 방사형으로 존재하는 피토관(pitot tube)(50)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 조립체(10).
KR1020087006866A 2005-09-02 2006-05-18 오일 필터 조립체 KR101114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42714.6 2005-09-02
DE102005042714A DE102005042714A1 (de) 2005-09-02 2005-09-02 Ölfilteranordnung
PCT/EP2006/004716 WO2007028426A2 (de) 2005-09-02 2006-05-18 Ölfilter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230A KR20080045230A (ko) 2008-05-22
KR101114199B1 true KR101114199B1 (ko) 2012-02-22

Family

ID=3663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866A KR101114199B1 (ko) 2005-09-02 2006-05-18 오일 필터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62717B2 (ko)
EP (1) EP1866051B1 (ko)
JP (1) JP4726957B2 (ko)
KR (1) KR101114199B1 (ko)
AT (1) ATE397965T1 (ko)
DE (2) DE102005042714A1 (ko)
WO (1) WO200702842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3286B2 (ja) 2007-04-27 2013-05-08 ドナルドソン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液体のろ過アセンブリ、システム、およびろ過方法
JP2009085035A (ja) * 2007-09-27 2009-04-23 Toyota Boshoku Corp 2部材の締結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流体フィルタ
CN101835520B (zh) * 2007-10-29 2012-11-21 3M创新有限公司 闩锁复位过滤装置
US10010817B2 (en) 2008-04-25 2018-07-03 Donaldson Company, Inc. Top load liquid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s
EP2767320B1 (en) 2008-04-25 2019-02-20 Donaldson Company, Inc. Top load liquid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s
DE102009030561A1 (de) * 2009-06-24 2010-12-30 Mahle International Gmbh Filtereinrichtung
JP5852962B2 (ja) 2009-11-05 2016-02-03 ドナルドソン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液体フィルタのアセンブリ、システム及び方法
US10092868B2 (en) 2011-08-31 2018-10-09 Donaldson Company, Inc. Liquid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s
US9352257B2 (en) 2012-01-31 2016-05-31 Donaldson Company, Inc. Interlock device
DE102012018662A1 (de) * 2012-09-21 2014-04-17 Mann+Hummel Gmbh Hohlzylindrisches Filterelement für einen Flüssigkeitsfilter
US10005012B2 (en) 2013-06-06 2018-06-26 Donaldson Company, Inc. Interlock device
JP6574107B2 (ja) * 2015-06-02 2019-09-11 ヤマシンフィルタ株式会社 フィルタ装置
CN108136295B (zh) 2015-09-23 2021-04-27 沃尔沃卡车集团 过滤器插入件和过滤器设备
CN106224052B (zh) * 2016-09-30 2019-01-15 芜湖豫新世通汽车空调有限公司 汽车机油滤芯
EP3608009A1 (en) 2018-08-10 2020-02-12 Mann+Hummel GmbH Filter system and filter element with improved positioning means
DE102018009928A1 (de) * 2018-12-17 2020-06-18 Daimler Ag Ölfilter für einen Kraftwagen und Filterkartusche für einen Ölfilter
DE102020121822A1 (de) 2020-08-20 2022-02-24 Mann+Hummel Gmbh Ablaufspange, sowie Filterelement und Filtrations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0661A1 (en) 2000-05-27 2002-02-21 Herbert Jainek Liquid filter
US20070144958A1 (en) * 2005-10-12 2007-06-28 Kohler Co. Self-Draining Oil Filter Adapto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5085A (en) * 1962-01-08 1966-02-15 Wix Corp Filter unit having dual purpose valve assembly
US3524550A (en) * 1969-05-23 1970-08-18 Caterpillar Tractor Co Filter assembly
DE8714656U1 (ko) * 1987-11-04 1987-12-17 Ing. Walter Hengst Gmbh & Co Kg, 4400 Muenster, De
DE3903675A1 (de) * 1989-02-08 1990-08-09 Knecht Filterwerke Gmbh Oelfilter zum reinigen von schmieroel
ES2138962T3 (es) * 1991-12-17 2000-02-01 Mann & Hummel Filter Filtro para carburantes y/o lubricantes de un motor de combustion.
DE4303695A1 (de) * 1993-02-09 1994-08-11 Knecht Filterwerke Gmbh Ölfilter für die Reinigung von Schmieröl
DE4430341C2 (de) * 1993-08-27 1997-01-09 Hengst Walter Gmbh & Co Kg Stützkörper für einen Fluidfilter
IT1281026B1 (it) * 1995-11-10 1998-02-11 Kingdragon S P A Filtro olio a lunga durata per motori endotermici.
JP3692655B2 (ja) * 1996-10-07 2005-09-07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レメント交換型フィルタ
JPH1133313A (ja) * 1997-07-22 1999-02-09 Denso Corp オイルフィルタ及びそのエレメント並びにそのハウジング
DE19917567A1 (de) * 1999-04-19 2000-11-02 Brueninghaus Hydromatik Gmbh Filtervorrichtung mit einem lösbaren Fitergehäuse
DE19951085A1 (de) * 1999-10-23 2001-04-26 Mahle Filtersysteme Gmbh Flüssigkeitsfilter, insbesondere Ölfilter
DE19961580A1 (de) * 1999-12-21 2001-06-28 Mann & Hummel Filter Flüssigkeitsfilter mit Ablaß für Flüssigkeitsrückstände
US6554139B1 (en) * 2000-06-01 2003-04-29 Parker-Hannifin Corporation Extension and locking assembly for dripless element, and container therefore
FR2834650A1 (fr) * 2002-01-11 2003-07-18 Filtrauto Filtre a liquide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JP3893313B2 (ja) * 2002-04-26 2007-03-14 東洋▲ろ▼機製造株式会社 流体フィルタ
DE10235902A1 (de) * 2002-08-06 2004-02-19 Mann + Hummel Gmbh Flüssigkeitsfilter, insbesondere Ölfilter für Kraftfahrzeuge
US7060184B2 (en) * 2003-05-21 2006-06-13 Arvin Technologies, Inc. Quick-drain valve member for use with filter apparatus
DE10353424B4 (de) * 2003-11-15 2012-12-13 Mahle Filtersysteme Gmbh Flüssigkeitsfilter, insbesondere Ölfilter für ein Kraftfahrzeug, und zugehöriges Ringfilterelement
DE502005001405D1 (de) * 2004-08-01 2007-10-18 Joma Polytec Kunststofftechnik Ölfilteranordn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0661A1 (en) 2000-05-27 2002-02-21 Herbert Jainek Liquid filter
US20070144958A1 (en) * 2005-10-12 2007-06-28 Kohler Co. Self-Draining Oil Filter Adap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2006000918D1 (de) 2008-07-24
WO2007028426A3 (de) 2007-09-07
KR20080045230A (ko) 2008-05-22
ATE397965T1 (de) 2008-07-15
EP1866051A2 (de) 2007-12-19
JP4726957B2 (ja) 2011-07-20
JP2009506883A (ja) 2009-02-19
DE102005042714A1 (de) 2007-03-22
US7862717B2 (en) 2011-01-04
EP1866051B1 (de) 2008-06-11
WO2007028426A2 (de) 2007-03-15
US20090139923A1 (en)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199B1 (ko) 오일 필터 조립체
US6811694B2 (en) Liquid filter
US11305213B2 (en) Filter element with torsion lock and/or sliding piston, assembly and methods
JP5111494B2 (ja) ろ過された側の流路に逆止弁を備えた液体フィルタ
US6572768B1 (en) Oil filter apparatus
CN107405550B (zh) 过滤设备
JP2009506882A (ja) オイルフィルタシステムおよびオイルフィルタシステム用フィルタエレメント
JP5016042B2 (ja) 流体用フィルタシステム
US20080169233A1 (en) Oil filter assembly
US10702812B2 (en) Filter housing with locking form-fit elements and spring loading a filter element in the housing
US8282821B2 (en) Oil filter assembly and associated filter element
US20220288511A1 (en) Filter device
KR20090086249A (ko) 필터 카트리지 조립체
US20110042293A1 (en) Oil filter assembly
US7029575B1 (en) Filter with a valve combination component
JP2003049733A (ja) 燃料フィルタ
KR101114092B1 (ko) 오일 필터 조립체
AU2018313998A1 (en) A spin-on fluid treatment device and methods
EP3292901B1 (en) Drainage system for a fluid filter
CN105771353B (zh) 用于流体的过滤器装置的可换式过滤器、过滤器装置和过滤器装置的过滤器头
US20170173506A1 (en) Filter device with drainage means in the cover
US11376528B2 (en) Filter system with non-return valve and filter element
KR20090000417U (ko) 여과장치의 뚜껑 설치구조
KR101169833B1 (ko) 오일 필터
JP2009505814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