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162B1 - 지폐처리기에서의 권종별 묶음 지폐 방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처리기에서의 권종별 묶음 지폐 방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162B1
KR101114162B1 KR1020050002164A KR20050002164A KR101114162B1 KR 101114162 B1 KR101114162 B1 KR 101114162B1 KR 1020050002164 A KR1020050002164 A KR 1020050002164A KR 20050002164 A KR20050002164 A KR 20050002164A KR 101114162 B1 KR101114162 B1 KR 101114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
bills
unit
banknote
bankno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1761A (ko
Inventor
김형철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50002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16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1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처리기에서의 권종별 묶음 지폐 방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혼재된 지폐가 입금되면, 정상지폐인지 여부를 감별하여 입금된 지폐가 정상지폐이면, 지폐를 권종별로 분류한다. 권종별로 분류된 지폐를 띠지로 묶어 권종별로 묶인 묶음 지폐를 방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권종이 혼재된 지폐를 투입할 수 있는 지폐투입부와, 입금한 지폐 및 각종 거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표시부와, 입금된 지폐를 감별하여 입금된 지폐의 훼손 여부를 판단하는 지폐 감별부와, 상기 정렬된 지폐를 권종별로 분류하여 계수하는 분류 및 계수부와, 분류된 지폐를 묶음으로 묶는 기능을 수행하는 묶음부와, 묶음 지폐를 출금하기 위한 지폐 출금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현금 관리의 자동화로 현금 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키고, 다수의 권종이 혼합된 지폐를 자동으로 분류하고 계수하여 묶음 지폐로 방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업무 효율 향상과 비용절감 효과를 가진다.
지폐처리기, 묶음지폐, 계수, 분류, 위조지폐, 감별

Description

지폐처리기에서의 권종별 묶음 지폐 방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rging a bundle of currency as denomination in currency processor}
도 1은 본 발명의 지폐처리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폐처리기에서 지폐를 분류하여 계수하고 묶음 지폐로 방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폐처리기의 외관과 연계하여 내부에서 지폐를 분류하여 계수하고 묶음 지폐로 방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습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폐처리기 115 - 분류 및 계수부
103 - 화면표시부 118 - 묶음부
106 - 지폐투입부 121 - 띠지인자부
109 - 지폐감별부 124 - 지폐출금부
112 - 표리반전부 133 - 지폐반환부
본 발명은 지폐처리기에서의 권종별 묶음 지폐 방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혼합된 지폐를 자동으로 분류하고 계수하여 묶음 지폐로 방출하는 지폐처리기에서의 권종별 묶음 지폐 방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처리기는 일정액의 지폐를 투입구로 넣으면 이를 판별하여 그 액수가 화면에 표시되며, 이 상태에서 지폐를 계수하거나 묶음으로 처리하여 수취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수의 만원권 지폐를 지폐투입구에 투입한 후 계수 버튼을 누르면, 해당 만원권의 매수를 계산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소정의 개수에 따라 묶음으로 지폐를 묶어 방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폐처리기는 사용자가 다수의 지폐를 가지고 있을 경우에 이를 편리하게 계수하여 묶음 지폐로 방출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었으나, 사용자가 다수의 혼재된 권종을 한꺼번에 투입하였을 경우에는 권종이 섞인 채로 지폐묶음이 처리되어 사용자가 따로 권종을 분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만원권, 천원권, 오천원권등 다수의 지폐를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만원권, 천원권, 오천원권을 별도로 분리한 뒤 각각의 권종별로 이를 지폐 투입구에 투입하고, 계수 버튼을 눌러야 하기때문에 여러 권종의 지폐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하는데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의 지폐 사이에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한 상품권, 훼손된 지폐 또는 위조지폐가 있을 경우에도 지폐를 계수하여 그대로 묶음 지폐로 방출되는 경우가 있어서 사용자가 일일히 묶인 지폐를 다시 확인해 보거나 계수하기 전의 입금할 지폐를 미리 확인해 본 뒤에 입금을 해야 하기 때문에, 현금 유동이 많은 곳에서 현금관리를 하는데 있어서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수의 혼재되어있는 지폐를 투입하면, 이를 자동으로 권종별로 분류하고 계수하고, 권종별로 계수된 지폐를 묶음으로 처리하여 방출하는 지폐처리기에서의 권종별 묶음 지폐 방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폐입금시에 해당 지폐가 훼손되어 있는지, 상품권인지, 위조지폐인지 여부를 감별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이를 따로 분류하여 반환하여 줌으로써, 현금 유동이 많은 곳에서 현금관리를 하는데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하는 지폐처리기에서의 권종별 묶음 지폐 방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폐처리기는, 다수의 혼재된 지폐가 입금되면, 정상지폐인지 여부를 감별하고 입금한 지폐가 정상지폐라면, 지폐를 권종별로 분류한다. 권종별로 분류된 지폐를 띠지로 묶어 권종별로 묶인 묶음 지폐를 방출한다. 이때 다수의 혼재된 지폐를 입금한 이후에, 입금된 지폐가 정상지폐이면 지폐를 앞면으로 정렬한다.
만약 감별한 지폐가 정상지폐가 아니라면 해당 지폐가 상품권인지를 감별하여 상품권이면 상품권임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면서 상품권을 반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감별한 지폐가 정상지폐가 아니라면 해당 지폐가 위조 지폐인지 여부를 감별하여 입력된 지폐가 위조지폐라면 위조 지폐임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면서 지폐를 반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권종을 분류할 경우에 권종별로 나누어진 각각의 권종별의 매수가 소정의 매수 이하인지를 확인하여 소정매수 이하인 권종의 지폐를 낱개로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소정의 매수는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띠지에는 각 기관별 고유마크가 별도로 프린트되어 있다. 또한, 권종별로 지폐를 분류한 이후에는 각각의 권종의 지폐의 매수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지폐처리기는 다수의 권종이 혼재된 지폐를 투입할 수 있는 지폐투입부와, 입금한 지폐 및 각종 거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표시부와, 입금된 지폐를 감별하여 입금된 지폐의 훼손 여부를 판단하는 지폐 감별부와, 상기 정렬된 지폐를 권종별로 분류하여 계수하는 분류 및 계수부와, 분류된 지폐를 묶음으로 묶는 기능을 수행하는 묶음부와, 묶음 지폐를 출금하기 위한 지폐 출금부를 구비한다.
상기 지폐 감별부는 입금된 지폐가 위조지폐인지 여부를 감별하는 기능을 포 함하고 있으며, 상기 지폐처리기는 지폐반환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입금된 지폐 중에 위조지폐가 있으면, 위조지폐로 감별된 지폐를 상기 지폐반환부를 통하여 반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폐 감별부는 입금된 지폐가 상품권인지 여부를 감별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지폐처리기는 지폐반환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입금된 지폐중에 상품권이 있으면, 상품권으로 감별된 지폐를 상기 지폐반환부를 통하여 반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폐처리기는, 상기 지폐 감별부에서 감별된 지폐의 앞면과 뒷면을 감별하여 앞면으로 지폐를 정렬하는 매커니즘을 구현하는 표리 반전부와 지폐를 묶을 경우에 사용되는 띠지에 고유 마크를 별도로 프린트하는 띠지 인자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띠지 인자부에서의 띠지에 관한 인자 기능은 열을 이용하여 각 기관별 고유마크를 별도로 프린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면표시부는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 장애발생 부분과 해당 장애에 대한 복구방법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묶음 지폐 방출 버튼이 구비되어있다.
상기 지폐출금부는 권종별로 나누어진 각각의 권종별 지폐의 매수가 소정의 매수 이하이면 소정의 매수 이하인 권종의 지폐를 낱개로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소정의 매수는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류 및 계수부에서 분류된 각각의 권종의 지폐의 매수는 상기 화면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하 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폐처리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지폐처리기(100)는, 화면표시부(103), 지폐감별부(109), 표리반전부(112), 분류 및 계수부(115), 분류 및 계수부(115), 묶음부(118), 띠지인자부(121), 지폐출금부(124), 지폐반환부(133)를 구비한다.
화면표시부(103)는 입금한 지폐 및 각종 거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며, 각종 거래에 필요한 키패드를 화면에 표시한다. 화면표시부(103)는 컬러 TFT LCD와 터치패널의 채용으로 화면을 터치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화면표시부(103)에 묶음 지폐 방출 버튼이 구비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별도의 키입력부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화면표시부(103)는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 장애가 발생한 부분과 해당 장애에 대한 복구 방법을 화면에 표시하여 준다.
지폐투입부(106)는 다수의 권종이 혼재되어있는 지폐를 쌓아놓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으며, 사용자가 묶음 지폐 방출 버튼을 누르면 지폐투입부(106)를 통해 투입된 지폐를 지폐감별부(109)로 보내어 감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가 처리 도중에 지속적으로 지폐를 쌓아놓아도 처리가 계속 이어지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폐감별부(109)는 지폐투입부(106)로부터 받은 지폐들이 정상지폐인지 여부를 감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때 지폐의 훼손여부와, 입금되는 지폐중에 상품권이 있는지, 위조지폐가 있는지 여부를 감별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폐감별부(109)에서 감별한 결과 정상지폐라고 감별이 된 지폐는 표리반전부(112)로 전송되며, 정상지폐라고 감별이 되지 않는 지폐들은 지폐반환부(133)를 통하여 반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환되는 지폐가 상품권이라면 반환되는 지폐가 상품권임을 화면표시부(103)에 표시하여 알리면서 지폐를 반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환되는 지폐가 위조지폐일 경우에는 반환되는 지폐가 위조지폐임을 화면표시부(103)에 표시하여 알리면서 지폐를 반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리반전부(112)는 지폐감별부(109)에 의하여 정상지폐로 감별되어 전송된 지폐의 앞면과 뒷면을 감별하여 앞면으로 지폐를 정렬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수행된 지폐를 분류 및 계수부(115)로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만원권 지폐를 정렬할 경우에는 만원권의 앞면, 즉 세종대왕의 그림이 있는 면이 앞으로 오게 입금된 모든 지폐를 정렬하여 분류 및 계수부(115)로 전송하게 된다.
분류 및 계수부(115)에는 상기 표리반전부(112)에서 정렬된 지폐를 각각 분류하여 계수하고 이를 묶음부(118)로 전송하여 권종별로 지폐를 묶을 수 있게 한다. 묶음부(118)는 상기 분류 및 계수부(115)로부터 분류되어 계수된 지폐를 묶어 지폐출금부(124)를 통하여 묶음 지폐를 방출하게 된다. 이때, 표리반전부(112)에서 먼저 정렬된 각 권종지폐를 먼저 계수하여 묶음부(118)로 전송하고, 이를 묶음 처리하여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묶음부(118)에서 지폐를 묶을 경우에는 띠지(130)가 사용되는데 해당 띠지에는 각 기관별 고유마크가 별도로 프린트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띠지인자부(121)를 따로 구비하고 있는 지폐처리기(100)에서는 지폐를 묶은 띠지 (130)에 인자를 직접 프린트하여 묶음 지폐를 방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띠지에 관한 인자기능은 열을 이용하여 각 기관별 마크를 별도로 프린트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지폐출금부(124)는 묶음부(118)에 의하여 묶음 처리된 지폐를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분류 및 계수부(115)로부터 권종별로 나누어진 권종별로 나누어진 각각의 권종별 지폐의 매수가 소정의 매수 이하이면, 소정의 매수 이하인 권종의 지폐를 낱개로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소정의 매수는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정의 매수를 5장으로 정해 놓았다면 5장 이하로 계수된 권종의 지폐는 낱개로 방출되고 5장 이상의 지폐들은 모두 띠지(130)로 묶여져 묶음 지폐로 방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지폐처리기(100)에서 다수의 권종이 혼재되어있는 지폐를 분류하고 계수하여 묶음 지폐로 방출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폐처리기에서 지폐를 분류하여 계수하고 묶음 지폐로 방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지폐처리기의 외관과 연계하여 내부에서 지폐를 분류하여 계수하고 묶음 지폐로 방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습이다.
사용자가 다수의 권종이 혼재되어있는 지폐를 지폐투입부(106)에 입금하고(단계 203), 화면표시부(103)에 구비되어 있는 권종별 묶음 방출 버튼을 선택하면(단계 206), 사용자가 투입한 지폐는 차례대로 지폐감별부(109)로 전송된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지폐를 입금한 후에 화면표시부(103)에 구비되어 있는 권종별 묶음 방출 버튼을 선택하면, 입금된 지폐는 1번과 2번을 통하여 9번의 지폐감별부(109)로 이송된다. 이때, 사용자가 계속해서 지폐를 쌓아놓아도 연속적으로 처리가 되게 함으로써 많은 양의 현금을 관리할 경우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폐감별부(109)는 지폐투입부(106)로부터 이송된 지폐를 감별하여(단계 209) 해당 지폐가 정상지폐인지를 감별하게 된다(단계 212). 정상지폐가 아니라면(단계 212의 '아니오'), 지폐투입부(106)로 이송된 지폐가 상품권인지 여부를 감별한다(단계 215). 상품권이 아니라면(단계 215의 '아니오') 지폐투입부(106)로 이송된 지폐가 위조지폐인지 여부도 감별하게 된다(단계 218).
만약 이송된 지폐가 상품권이라면(단계 215의 '예'), 해당 지폐가 상품권임을 알리면서 도 3의 지폐반환부(133)를 통하여 따로 감별된 상품권을 반환하게 되며(단계 230), 마찬가지로 이송된 지폐가 위조지폐라면(단계 218의 '예') 해당 지폐가 위조지폐임을 알리면서 지폐반환부(133)를 통하여 감별된 위조지폐를 반환하게 된다(단계 233). 즉, 도 3에서와 같이 비정상 지폐(훼손된 지폐, 위조지폐, 상품권)는 9번(지폐감별부)를 통하여 4번을 거쳐 3번으로 지폐를 반환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만약 지폐감별부(109)로부터 이송된 지폐가 정상지폐라면(단계 212의 '예') 해당 지폐는 도 3에서의 5번을 통하여 표리반전부(112)로 이송된다. 표리반전부(112)는 상기 지폐감별부(109)로부터 이송된 지폐의 앞면과 뒷면을 감별하여 지폐 의 앞면으로 지폐를 정렬하는 메커니즘을 수행한다(단계 219).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지폐투입부(106)를 통하여 이송된 지폐가 앞면으로 지폐감별부(109)를 통과한 경우에는 5번→6번→8번→12번의 경로로 지폐를 이송하여 지폐의 앞면이 계속해서 쌓일 수 있도록하며, 만약 지폐투입부(106)를 통하여 이송된 지폐가 뒷면으로 지폐감별부(109)를 통과한 경우에는 5번→7번→8번→12번의 경로로 지폐를 이송하여 지폐가 앞면 방향으로 하여 쌓일 수 있게 한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7번 경로를 통과할 경우에 지폐는 180도로 회전하게 되어 뒷면이었던 지폐가 앞면으로 정렬되게 된다.
지폐의 정렬이 끝나면, 해당 정렬된 지폐를 권종별로 분류하게 된다(단계 221). 권종별 분류 및 계수는 일실시예에서 약 720매/분의 고속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지폐는 권종별로 미리 지정된 소정의 매수로 계수하여 12번을 통하여 13번으로 이송된 지폐들은 각각의 창구로 분류되어 이송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만원권은 14번에, 오천원권은 15번에, 천원권은 16번에, 기타 수표와 같은 지폐는 17번에 분류되어 이송되어지며 이렇게 분류된 지폐는 18번과 19번을 거쳐 묶음부(118)로 이송된다.
이송된 지폐는 묶음부(118)에 의하여 띠지(130)로 묶여진 뒤(단계 224), 띠지인자부(121)에서 띠지의 인자를 실행한 뒤에 지폐출금부(124)를 통하여 방출된다(단계 227). 즉, 도 3에서와 같이 분류된 지폐가 분류된 순서대로 18번과 19번을 통한뒤 20번(묶음부)와 21번(띠지인자부)를 거쳐 이송된 지폐의 묶음과 띠지인자를 실행하고 22번의 지폐출금부(124)를 통하여 방출된다.
이때, 상기 띠지인자부(121)에서의 띠지에 관한 인자 기능은 열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권종별로 나누어진 각각의 권종별의 매수가 미리 지정해 놓은 소정의 매수 이하라면, 권종의 지폐를 낱개로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폐처리기(100)에 따라 상기 띠지인자부(121)가 없을 경우에는 미리 기관별 고유마크가 별도로 프린트되어있는 띠지를 사용하여 지폐를 묶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먼저 정렬되어 분류된 권종의 지폐부터 먼저 묶음부(118)로 이송하여, 먼저 분류된 권종부터 묶음 처리하여 방출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현금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혼재되어있는 지폐를 투입하면, 이를 자동으로 권종별로 분류하고 계수하고, 권종별로 계수된 지폐를 묶음으로 처리하여 방출함으로써 세가지의 기능을 한꺼번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지폐입금시에 해당 지폐가 훼손되어 있는지, 상품권인지, 위조지폐인지 여부를 감별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이를 따로 분류하여 반환하여 줌으로써, 현금 유동이 많은 곳에서 현금관리를 하는데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1)

  1. 다수의 권종이 혼재된 지폐를 투입할 수 있는 지폐투입부와, 입금한 지폐 및 각종 거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표시부와, 입금된 지폐를 감별하여 입금된 지폐의 훼손 여부를 판단하는 지폐 감별부와, 지폐의 앞면과 뒷면을 감별하여 앞면으로 지폐를 정렬하는 매커니즘을 구현하는 표리 반전부와, 지폐를 권종별로 분류하여 계수하는 분류 및 계수부와, 지폐를 묶음으로 묶는 묶음부와, 묶음 지폐를 출금하기 위한 지폐 출금부를 구비하는 지폐처리기에서의 권종별 묶음 지폐 방출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혼재된 지폐가 입금되면, 정상지폐인지 여부를 감별하는 단계;
    정상지폐이면, 지폐를 앞면으로 정렬하고 권종별로 분류하여 권종별로 분류된 지폐를 띠지로 묶어서, 권종별로 묶인 묶음 지폐를 방출하는 단계;
    정상지폐가 아니면 정상지폐가 아님을 화면에 표시하여 알리면서 반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에서의 권종별 묶음 지폐 방출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환하는 단계는
    감별한 지폐가 정상지폐가 아니라면 해당 지폐가 상품권인지를 감별하는 단계,
    상품권이면 상품권임을 화면에 표시하여 알리면서 상품권을 반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에서의 권종별 묶음 지폐 방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환하는 단계는
    감별한 지폐가 정상지폐가 아니라면 해당 지폐가 위조 지폐인지 여부를 감별하는 단계,
    입력된 지폐가 위조지폐라면 위조 지폐임을 화면에 표시하여 알리면서 지폐를 반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에서의 권종별 묶음 지폐 방출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다수의 권종이 혼재된 지폐를 투입할 수 있는 지폐투입부와,
    입금한 지폐 및 각종 거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표시부와,
    입금된 지폐를 감별하여 입금된 지폐의 훼손 여부를 판단하는 지폐 감별부와,
    상기 지폐 감별부에서 감별된 지폐의 앞면과 뒷면을 감별하여 앞면으로 지폐를 정렬하는 매커니즘을 구현하는 표리 반전부와,
    상기 정렬된 지폐를 권종별로 분류하여 계수하는 분류 및 계수부와,
    분류된 지폐를 묶음으로 묶는 묶음부와,
    묶음 지폐를 출금하기 위한 지폐 출금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감별부는 입금된 지폐가 위조지폐인지 여부를 감별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처리기는 지폐반환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입금된 지폐 중에 위조지폐가 있으면, 위조지폐로 감별된 지폐를 상기 지폐반환부를 통하여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감별부는 입금된 지폐가 상품권인지 여부를 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처리기는 지폐반환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입금된 지폐중에 상품권이 있으면, 상품권으로 감별된 지폐를 상기 지폐반환부를 통하여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14. 삭제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처리기는 지폐를 묶을 경우에 사용되는 띠지에 고유 마크를 별도로 프린트하는 띠지 인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띠지 인자부에서의 띠지에 관한 인자 기능은 열을 이용하여 각 기관별 고유마크를 별도로 프린트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1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표시부는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 장애발생 부분과 해당 장애에 대한 복구방법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표시부에는 묶음 지폐 방출 버튼이 구비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050002164A 2005-01-10 2005-01-10 지폐처리기에서의 권종별 묶음 지폐 방출 방법 및 장치 KR101114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164A KR101114162B1 (ko) 2005-01-10 2005-01-10 지폐처리기에서의 권종별 묶음 지폐 방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164A KR101114162B1 (ko) 2005-01-10 2005-01-10 지폐처리기에서의 권종별 묶음 지폐 방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761A KR20060081761A (ko) 2006-07-13
KR101114162B1 true KR101114162B1 (ko) 2012-02-22

Family

ID=37172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164A KR101114162B1 (ko) 2005-01-10 2005-01-10 지폐처리기에서의 권종별 묶음 지폐 방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1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874B1 (ko) * 2008-02-29 2010-08-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100973875B1 (ko) * 2008-02-29 2010-08-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101009172B1 (ko) * 2008-02-29 2011-01-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작동 방법
KR101226348B1 (ko) * 2011-08-08 2013-01-24 엘지엔시스(주) 매체 보관함,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3022275A2 (ko) * 2011-08-08 2013-02-14 엘지엔시스(주)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183980B1 (ko) 2011-08-30 2012-09-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현금 및 수표 번들 입금기의 풀링 장치
WO2014181912A1 (ko) * 2013-05-09 2014-11-13 베리타텍 주식회사 지폐 계수기의 배출 제어방법 및 계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786A (ko) * 1994-09-27 1996-04-20 사또 후미오 지폐처리장치
KR980002101A (ko) * 1996-06-29 1998-03-30 김상응 방사성이 개선된 탄성 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040068659A (ko) * 2003-01-27 2004-08-02 학교법인 인하학원 마찰식 지폐계수기에서의 이권종 지폐 검출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786A (ko) * 1994-09-27 1996-04-20 사또 후미오 지폐처리장치
KR980002101A (ko) * 1996-06-29 1998-03-30 김상응 방사성이 개선된 탄성 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040068659A (ko) * 2003-01-27 2004-08-02 학교법인 인하학원 마찰식 지폐계수기에서의 이권종 지폐 검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761A (ko)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83980B (zh) 纸币处理装置
JP4363541B2 (ja) 紙幣整理装置
KR101114162B1 (ko) 지폐처리기에서의 권종별 묶음 지폐 방출 방법 및 장치
JP5927811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5129339B2 (ja) 釣銭準備金作成方法
JP5914687B2 (ja)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仕分け装置及び紙葉類仕分けシステム
US2016019670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orting bank notes, providing a change fund, and balancing revenue
JP2009295132A (ja) 自動取引装置
JP2006107061A (ja) 紙幣処理機
KR101183980B1 (ko) 현금 및 수표 번들 입금기의 풀링 장치
US20200005575A1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paper sheet processing system and paper sheet processing method
WO2016063658A1 (ja)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処理システム、及び紙葉類処理方法
JP2007310672A (ja) 紙幣取扱装置
JP5172919B2 (ja) 紙幣処理機
WO2021039059A1 (ja) 紙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紙幣処理方法
WO2010110630A2 (ko) 지폐 정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and sorting banking}
JPS58103088A (ja) 紙幣処理機
JP6158350B2 (ja) 有価媒体処理システム及び有価媒体処理方法
JP7471925B2 (ja) 紙幣処理装置、紙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紙幣処理方法
JP7065662B2 (ja) 貨幣処理装置
JP2645046B2 (ja) 紙葉類の処理装置
US8261968B2 (en) Paper sheet handling system, method of use thereof, and method of use of bar-code ticket handling machine
JP2006107211A (ja) 紙幣処理機
JPS6272093A (ja) 紙葉類の処理装置
JP2019204140A (ja) 貨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