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494B1 -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494B1
KR101113494B1 KR1020057015020A KR20057015020A KR101113494B1 KR 101113494 B1 KR101113494 B1 KR 101113494B1 KR 1020057015020 A KR1020057015020 A KR 1020057015020A KR 20057015020 A KR20057015020 A KR 20057015020A KR 101113494 B1 KR101113494 B1 KR 101113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rewritable
recording medium
write st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5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7873A (ko
Inventor
마사또시 니시노
준이찌 호리고메
다까요시 찌바
히데오 다다
시게오 야마구찌
마사요시 나가따
야스오 도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117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4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sensing features on the record carrier other than the transducing track ; sensing signals or marks recorded by another method than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78Physical format specifications of the record carrier, e.g. compliance with a specific standard, recording density, number of layers, start of data zone or lead-o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87Synchronisation pattern, e.g. VCO fiel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물리적으로는 재기록 가능 디스크로 되어 있는 디스크를 1회 기록형으로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재기록 가능 디스크를 그대로 재기록 가능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예를 들면, ECC 블록)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기준 위치에 대한 제1 위치로 설정하여 기록 재생을 행하며, 한편, 재기록 가능 디스크를 1회 기록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위치와는 상이한 제2 위치를, 소정의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로 하여 기록 재생을 행한다.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가 상이하게 함으로써, 1회 기록 용도로 된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를, 1회 기록 용도로 하는 것을 상정하지 않은 기록 재생 장치에 장전한 경우에, 해당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기입을 할 수 없도록 한다.
Figure R1020057015020
WO 데이터, 데이터 트랙, 워블링,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서보 시그널 프로세서

Description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RECORDING DEVICE, RECORDING METHOD, REPRODUCING DEVICE, AND REPRODUCING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광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장치, 재생 장치, 및 기록 방법,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 디스크의 분야에서는, 예를 들면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블루 레이 디스크(Blu-Ray Disc)와 같이 각종 다양한 규격의 디스크가 개발되고 있는데, 이들 각종 규격의 디스크의 범주 중에서는, 기능적으로 볼 때, 재생 전용 디스크, 기록 가능 디스크가 존재한다. 또한 기록 가능 디스크 중에는, 1회만 기입 가능한 1회 기록 디스크와, 재기입 가능한 재기록 가능 디스크가 있다.
예를 들면 CD 규격으로 말하면, CD-DA(오디오용 CD)나 CD-ROM은 재생 전용 디스크이며, CD-R은 1회 기록 디스크, CD-RW는 재기록 가능 디스크로서 알려져 있다.
통상적으로, 재생 전용 디스크는, 데이터가 엠보싱 피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서 물리적으로 재기입이 불능으로 된 디스크이다.
또한 1회 기록 디스크는, 기록층에 색소 변화막을 이용하여, 레이저 조사에 의해 색소 변화에 의한 피트 형성하는 타입이 대표적이다.
또한 재기록 가능 디스크로서는, 상(相) 변화 기록층에 레이저 조사를 행함으로써 상변화 피트의 형성(재기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재기록 가능 디스크는, 몇번이나 재기입 가능하기 때문에, 디스크를 이용한 데이터의 보존을 유연하게 행할 수 있어서, 사용성이 좋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1회 기록 디스크는, 데이터 기입을 1회밖에 할 수 없다. 그러나 반대로, 데이터 재기입을 할 수 없다는 특징을 살림으로써, 데이터 스토리지 용도에 적합한 미디어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개찬되어지길 원하지 않는 중요한 데이터의 보존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또한, 재기록 가능 디스크에 대한 기록 동작에 관해서는, 일본 특공평8-10489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동일한 장소를 반복하여 기록함으로써 기록층이 열화된다는 상변화막의 성질을 고려하여, 기록 개시점을 변화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1회 기록 디스크와 재기록 가능 디스크는, 애초에 물리적인 구조가 상이한(색소 변화막·상변화막) 것이며, 이들은 디스크 자체가 명확하게 구별되어 있다. 그러나, 재기록 가능 디스크를 이용하여 1회 기록형 기록을 행하도록 하기를 원하는 소망이 있다.
재기록 가능 디스크에 대하여 1회만 기입 가능하다는 것은, 예를 들면 기록 장치(디스크 드라이브 장치)가 소프트웨어적으로 기록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가능하다. 즉, 장전된 재기록 가능 디스크를 1회 기록 디스크로서 취급하는 경우에는, 이미 데이터 기록되어 있는 영역에 대해서는 데이터 기입(즉, 재기입)을 금지하도록 한 펌 웨어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탑재하면 된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1회 기록 디스크로 하는 것의 이점이 살려지지 않는다.
1회 기록 디스크로서 사용하기를 원한다는 것은, 데이터 개찬을 할 수 없다는 특질을 살리는 점이 중요시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어떤 특정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물리적으로 재기입 가능한 재기록 가능 디스크를, 상기한 바와 같이 펌 웨어 제어에 의해 1회 기록 디스크로서 취급하고 있어도, 데이터 재기입(데이터 개찬)이 불능으로 되지는 않는다. 즉, 그 특정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데이터 재기입을 할 수 없도록 펌 웨어 제어된다고 하여도, 그 디스크가, 재기록 가능 디스크를 1회 기록형으로서 취급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지 않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장전된 경우, 통상의 재기록 가능 디스크로서 취급되게 되기 때문에, 완전히 보통으로 데이터 재기입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재기록 가능 디스크를 일부러 1회 기록 디스크로서 취급하는 의의가 퇴색되게 된다.
즉, 물리적으로는 재기록 가능 디스크로 되어 있는 디스크를 1회 기록형으로서 취급하고자 하는 소망이 있으며, 또한 특정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만으로 그것을 실현하는 것은 용이하지만, 그 디스크에 대하여, 기존의 모든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데이터 재기입을 불능으로 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요망의 실현은 곤란 하게 되어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물리적으로는 재기록 가능 디스크로 되어 있는 디스크를 1회 기록형으로서 취급하도록 하는 경우에, 그 디스크가 모든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데이터 재기입 불능으로 되도록 하여, 1회 기록형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의 이점이 얻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기록 장치는, 장전된 데이터 재기입 가능한 물리 구조를 갖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 동작을 행하는 기록 수단과, 장전된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 재기입 가능하게 하는 재기록 가능 용도인지, 1회만 데이터 기입 가능하게 하는 1회 기록 용도인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 재기록 가능 용도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기준 위치에 대한 제1 위치로 설정하여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 동작을 실행시키고,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 1회 기록 용도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상기 기준 위치에 대한 제2 위치로 설정하여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 동작을 실행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재생 장치는, 장전된 데이터 재기입 가능한 물리 구조를 갖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재생 동작을 행하는 재생 수단과, 장전된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 재기입 가능하게 하는 재기록 가능 용도인지, 1회만 데이터 기입 가능하게 하는 1회 기록 용도인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 재기록 가능 용도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기준 위치에 대한 제1 위치라고 판단하여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한 재생 동작을 실행시키고,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 1회 기록 용도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상기 기준 위치에 대한 제2 위치라고 판단하여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한 재생 동작을 실행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이들 기록 장치 또는 재생 장치에서의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에서 물리적으로 재기입 불능의 재생 전용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는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그 기록 매체가 재기록 가능 용도인지 1회 기록 용도인지를 판별한다.
또한, 상기 기록 매체는, 데이터 트랙의 워블링에 의해 재생 전용 정보가 기록된 기록 매체이며, 상기 기준 위치는, 워블링에 의한 재생 전용 정보의 정보 단위로 규정되는 기준 위치인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데이터 단위는, 에러 정정 블록 단위이며,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2 위치를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로 하여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제1 위치를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라고 간주하여 재생한 경우에, 상기 에러 정정 블록 단위를 추출할 수 없게 되는 위치로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록 방법은, 장전된 데이터 재기입 가능한 물리 구조를 갖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 재기입 가능하게 하는 재기록 가능 용도인지, 1회만 데이터 기입 가능하게 하는 1회 기록 용도인지를 판별하는 판별 단계와,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판별 단계에 의해 재기록 가능 용도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기록 지시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기준 위치에 대한 제1 위치로 설정하여 기록 동작을 실행하는 제1 기록 단계와,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판별 단계에 의해 1회 기록 용도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기록 지시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상기 기준 위치에 대한 제2 위치로 설정하는 기록 동작을 실행하는 제2 기록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재생 방법은, 장전된 데이터 재기입 가능한 물리 구조를 갖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 재기입 가능하게 하는 재기록 가능 용도인지, 1회만 데이터 기입 가능하게 하는 1회 기록 용도인지를 판별하는 판별 단계와,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판별 단계에 의해 재기록 가능 용도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재생 지시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기준 위치에 대한 제1 위치라고 판단하여 재생 동작을 실행하는 제1 재생 단계와,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판별 단계에 의해 1회 기록 용도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재생 지시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상기 기준 위치에 대한 제2 위치라고 판단하여 재생 동작을 실행하는 제2 재생 단계를 구비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재기록 가능 미디어를 그대로 재기록 가능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기준 위치에 대한 제1 위치로 설정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한다. 이 경우, 제1 위치란, 예를 들면 재기록 가능 디스크로서의 디스크 포맷으로 규정되는 위치이다.
한편, 재기록 가능 미디어를 1회 기록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위치와는 상이한 제2 위치를, 소정의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로 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의 쓰기 시작 위치가, 예를 들면 재기록 가능 디스크로서의 디스크 포맷과는 합치되지 않은 위치로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이 디스크가 다른 기록 재생 장치(재기록 가능 디스크를 1회 기록 용도로 하는 것을 상정하지 않은 장치)에 장전되었다고 하여도, 데이터의 재기입은 가능하지 않는 것으로 된다. 즉, 해당 디스크에 대하여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판별할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 재생도 불능으로 되며, 또한, 무리하게 재기입을 행하면,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는 파괴되게 되어서, 결국,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개찬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기록 재생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실시 형태의 RW 데이터의 쓰기 시작 위치의 설명도.
도 3은, 실시 형태의 WO 데이터의 쓰기 시작 위치의 설명도.
도 4는, RW 데이터에 대한 퍼스트 싱크 검출의 설명도.
도 5는, 실시 형태의 WO 데이터에 대한 퍼스트 싱크 검출 불능의 설명도.
도 6은, 실시 형태의 디스크 삽입 시의 처리의 흐름도.
도 7은, 실시 형태의 데이터 기록 재생 처리의 흐름도.
도 8은, 디스크의 에리어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9A, 도 9B는, 워블 구조의 설명도.
도 10은, ADIP 워드의 설명도.
도 11은, PFI의 설명도.
도 12는, 디스크의 섹터 포맷의 설명도.
도 13은, 디스크의 데이터 포맷의 설명도.
도 14는, 물리 섹터 구조의 설명도.
도 15는, 워블과 RW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의 관계의 설명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상변화 기록층을 갖는 재기록 가능 디스크를 포함시킨 광 디스크에 대한 기록 재생 장치(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예로 들어, 다음의 순서로 설명한다.
1. 디스크의 에리어 구조
2. 워블 포맷
3. 데이터 포맷
4. 재기록 가능 디스크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
5.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구성
6. RW 용도 및 WO 용도에서의 기록 재생 동작
1. 디스크의 에리어 구조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예를 들면 CD 규격, DVD 규격, 블루레이 디스크 규격, 그 밖에 다양한 규격의 디스크 미디어로서, 특히 재기록 가능 디스크를 포함하는 규격의 디스크 미디어에 대응하는 기록 재생 장치 및 기록 재생 방법으로서 적 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 형태의 설명을 위해, 디스크의 에리어 구조나 워블 포맷, 데이터 포맷으로서, 어떤 일례를 예를 들지만, 본 발명이 적용할 수 있는 디스크 미디어의 포맷이, 이하의 것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예의 동작에서 설명하는 디스크 미디어는, 물리적으로는 상변화 기록층을 갖는 재기록 가능 디스크인 것으로 한다. 이 디스크 상에는 나선형 그루브(홈)가 워블링(사행)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루브의 워블링에 의해 어드레스나 각종 관리 정보(디스크의 물리 정보 등)가 기록되어 있다. 워블링 그루브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정보는 ADIP(Address in pre-groove) 정보라 한다. 이 ADIP 정보는 그루브의 사행에 의한 것이며 재기입 불능의 재생 전용 정보이다.
예를 들면, 디스크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로딩되었을 때에는, 기록면 상의 워블링 그루브에 새겨진 ADIP 정보로부터 디스크에 고유의 정보가 판독되며, 디스크의 규격이나 종(ROM 타입, 재기록 가능 타입, 1회 기록 타입 등)별로, 데이터 존 구조, 동작 추장값(推奬値) 등이 인식된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이들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적정한 기록 재생 동작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도 8에, 디스크의 에리어 구조(데이터 레이아웃)를 도시한다.
도 8은 디스크를 반경 방향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의 논리적인 데이터 레이아웃으로서는, 디스크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에 걸쳐, 인포메이션 존(Information Zone)이 형성된다. 이 인포메이션 존은, 데이터의 기록 호환, 재생 호환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영역이다.
인포메이션 존은 주로 이하의 5개의 영역으로 구성된다.
· 이너 드라이브 에리어
· 리드 인 존(리드 인 에리어라고도 함)
· 데이터 존(데이터 에리어라고도 함)
· 리드 아웃 존(리드 아웃 에리어라고도 함)
· 아우터 드라이브 에리어
이너 드라이브 에리어와 아우터 드라이브 에리어는 기록 장치 전용 영역(재생 전용 장치에서는 액세스되지 않는 영역)이다. 정보의 기록을 행할 때에는, 정확한 기록 마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기록 시의 레이저 파워를 조정해야만 한다. 이 때문에, 최적 기록 조건을 구하기 위한 테스트 기록에 사용할 수 있는 테스트 존과 기록 조건에 관계되는 관리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영역이, 이너 드라이브 에리어와 아우터 드라이브 에리어에 형성된다.
피지컬 섹터 넘버(PSN : Physical Sector Number, 물리 섹터 넘버)는, 디스크 상의 절대 위치 정보로서 부여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디스크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에 걸쳐 피지컬 섹터 넘버의 값은 증가되어 간다. 수치는 일례일 뿐이며, 예를 들면 PSN=2FFFFh(h를 붙인 수치는 16진 표현)가 리드 인 존의 종단으로 되며, PSN=30000h로부터 데이터 존이 개시된다.
데이터 존은, 기본적으로는 유저 데이터의 기입이 행해지는 영역이며, 또한 리드 인 존은, 관리 정보의 기입이 행해진다. 또한, 리드 아웃 존은 예를 들면 재 생 전용 디스크와의 호환 유지 등의 목적으로부터 더미 데이터의 기입이 행해지거나, 리드 인 존과 대략 동일한 내용의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경우 등이 있다.
또한, 인포메이션 존의 전체는 데이터 기입 가능한 영역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기록 트랙으로서 워블링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다. 그루브를 따라 트랙킹을 행함으로써, 피트(상변화 피트 마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미기록 영역에서, 기록 시에 적절하게 트랙을 트레이스할 수 있다.
또한, 그루브가 워블링되어 있음으로써 ADIP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데, 상기 피지컬 섹터 넘버 PSN은, ADIP 어드레스로서 인포메이션 존 전체에 걸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상세하게는 후술하겠지만, ADIP 정보로서는, ADIP 어드레스 이외에 PFI(피지컬 포맷 인포메이션)라고 불리는 물리 포맷 정보도 기록된다.
특히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 인 존으로 되는 위치에서의 ADIP 정보로서, PFI가 반복하여 기록되어 있다.
2. 워블 포맷
워블링 그루브로서 기록되는 ADIP 정보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9A는 워블링의 단위를 나타낸다. 1 워블은 32 채널 비트의 구간에 상당하며, 8 워블과 85 모노톤 워블의 93 워블로 1개의 ADIP 유닛을 갖는 단위가 형성된다.
85 모노톤 워블은, 변조되어 있지 않은 85파의 워블 구간이다. 그리고, 선두의 8 워블이, 정보에 따라 위상 변조된 워블로 되어 있음으로써, 1개의 ADIP 유 닛으로서의 정보를 구비한다.
도 9B는 ADIP 워드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8 워블이 모여 1개의 ADIP 유닛이 형성되며, 그 ADIP 유닛이 52개 모여 1개의 ADIP 워드가 형성된다.
도 9B에서의 「워블 0」, 「워블 1 내지 3」, 「워블 4 내지 7」은, 상기 ADIP 유닛으로서의 8 워블의 각 워블을 나타내고 있다.
ADIP 워드의 선두의 ADIP 유닛은 싱크 유닛으로 되며, 「워블 0」 및 「워블 1 내지 3」이, 워드 싱크로서 위상 변조된 워블로 된다.
ADIP 워드에서의 2번째 이후의 ADIP 유닛은, 각각 데이터 유닛으로 되며, 「워블 0」에 의해 비트 싱크가, 또한 「워블 4 내지 7」이 데이터 비트(즉, 데이터로서의 「1」 또는 「0」)를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52 ADIP 유닛으로 구성되는 1개의 ADIP 워드는 4 피지컬 섹터의 구간에 상당한다(피지컬 섹터에 대해서는 후술).
그리고, 4 ADIP 워드로 ADIP 정보로서의 1개의 ECC 블록이 형성된다.
도 10은 ADIP의 ECC 블록을 구성하는 4개의 ADIP 워드를 나타내고 있다.
1개의 ADIP 워드로부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워드 싱크를 제외하고 51 비트의 데이터가 추출되는데(데이터 비트(1~51)), 데이터 비트(2~23)에 의해 ADIP 어드레스가 기록된다.
또한, 데이터 비트(24~31)는 AUX 데이터로 된다.
또한, 데이터 비트(32~51)는 ECC 패리티로 된다.
데이터 비트(2~23)에 의한 ADIP 어드레스는, 인포메이션 존의 전체에 걸쳐 기록된다.
리드 인 존에서의 ADIP 정보로서는, 1개의 ADIP 워드에 관하여 1 바이트의 AUX 데이터(1 ECC 단위로 4 바이트의 AUX 데이터)에 의해 PFI(피지컬 포맷 인포메이션)가 기록된다.
이 PFI는, 256 바이트가 1개의 정보 단위로 된다. 즉, 1 ECC 블록마다 4 바이트 얻어지는 AUX 데이터가 256 바이트 모여, 도 11과 같은 PFI가 판독된다. 이러한 PFI가, 리드 인 존에서 AUX 데이터를 이용하여 반복하여 기록되어 있다.
도 11에 PFI의 내용을 도시한 바와 같이, PFI에는, 각각 소정의 바이트 위치에, 디스크 카테고리/버전 넘버, 디스크 사이즈, 디스크 구조(Disc structure), 기록 밀도(Recording Density), 데이터 존 할당, 디스크 어플리케이션 코드, 익스텐디드 인포메이션 인디케이터, 디스크 매뉴팩쳐 ID, 미디어 타입 ID… 등, 각종 물리 포맷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 PFI에 의해, 디스크 종별, 사이즈, 존 구성, 기타, 기록 재생 동작 시의 선속도 정보 등, 디스크에 관한 각종 정보가 얻어진다.
3. 데이터 포맷
계속해서, 상기한 바와 같은 ADIP 정보를 갖는 워블링 그루브를 기록 트랙으로 하여 기록되는 데이터(상변화 기록 데이터)에 관한 피지컬 섹터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도 8에 도시한 각 존 내에서는 피지컬 섹터(이하, 단순히 섹터라고도 함)가 연속되는 것으로 된다.
도 12의 1개의 섹터는, (a)와 같이, 4 바이트의 ID 필드, 2 바이트의 IED 필드, 6 바이트의 리저브, 2048 바이트의 메인 데이터 필드, 및 4 바이트의 EDC 필드로 이루어진다.
ID 필드는, 섹터의 헤더 정보가 기록된다.
IED 필드에는, ID 필드의 데이터에 대한 에러 검출 코드가 기록된다.
메인 데이터 필드에는 2048 바이트의 메인 데이터가 기록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존에서의 섹터에서는, 이 메인 데이터로서 유저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한, 리드 인 존에서의 섹터에서는, 메인 데이터로서 관리 정보가 기록된다.
EDC 필드에는, ID 필드에서 메인 데이터 필드의 데이터에 대한 에러 검출 코드가 기록된다.
상기 ID 필드의 구성을 (b)에 도시한다.
4 바이트(32 비트)의 ID 필드에서는, 비트 b0~b23의 24 비트로 PSN(Physical Sector Number)가 기록된다. 즉, 해당 섹터의 물리 어드레스이다.
비트 b24~b31의 8 비트로서는 섹터 인포메이션이 기록된다.
이 섹터 인포메이션의 내용을 (c)에 나타낸다.
비트 b24에는, 그 섹터를 포함하는 기록층의 레이어 넘버가 기록된다.
비트 b25에는, 예를 들면 재기록 가능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 타입이 기록된다.
비트 b26, b27에는 존 타입이 기록된다. 즉, 그 섹터를 포함하는 존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이 2 비트가, 「00」이면 데이터 존, 「01」이면 리드 인 존, 「10」이면 리드 아웃 존을, 각각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비트 b28은 리저브로 된다.
비트 b29에는 반사율을 나타내는 값이 기록된다.
비트 b30은 트랙킹 방식(예를 들면, 그루브 트랙킹)을 나타내는 값이 기록된다.
비트 b31은 섹터 포맷 타입(예를 들면, CLV 포맷)을 나타내는 값이 기록된다.
이상의 구조의 섹터를 도 13에서는 피지컬 섹터 PS1~PS16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연속되는 16개의 피지컬 섹터 PS1~PS16에 의해, 데이터 블록으로서의 1개의 ECC 블록이 형성된다.
또한, 1개의 섹터 PS는, 26개의 싱크 프레임 SF1~SF26에 의해 형성된다. 싱크 프레임 SF란, 1488채널 비트의 단위이며, 도시한 바와 같이 32 채널 비트의 프레임 싱크(sync)와 1456 채널 비트의 데이터 DT를 갖는 단위이다.
2개의 싱크 프레임(2974 채널 비트 구간)이, 상기한 93 워블의 구간 길이에 상당한다(1 워블=32 채널 비트).
1 섹터, 즉 26개의 싱크 프레임 SF1~SF26의 프레임 싱크의 패턴 예(피지컬 섹터)를 도 14에 나타낸다.
프레임 싱크로서는, 싱크 패턴 SY0~SY7의 8 종류의 패턴이 설정되어 있다. 싱크 프레임 SF1~SF26의 각각에, 도 14와 같이 8 종류의 패턴이 할당되어 있음으로써, 그 싱크 프레임의 패턴의 배열에 따라, 섹터 내에서의 프레임 위치(싱크 프레임 SF1~SF26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4. 재기록 가능 디스크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
이상의 피지컬 섹터 구조의 데이터를, 워블링 그루브에 의한 기록트랙 상에 기록하는 경우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도 15에 도시한다. 또한, P1을 워블 기준 위치로 하고, P2를 RW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로 한다.
재기록 가능 디스크에 대한 데이터 기록은, 도 9B의 ADIP 워드 구조의 선두를 워블 기준 위치 P1로 하고, 그 16 워블 구간을 거친 위치가, 재기록 가능 데이터의 쓰기 시작 위치 P2로 된다.
도시하는 2 싱크 프레임 구간은 93 워블 구간 길이로 되기 때문에, 재기록 가능 데이터로서 기록되는 각 2 싱크 프레임은, ADIP 유닛에 대하여 16 워블분 어긋난 상태로 연속되게 된다.
또한, 1 워블은 32 채널 비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물리적으로는 상변화 기록층을 가지며 재기록 가능형으로 되는 디스크를, 그대로 재기록 가능 용도에 이용할뿐만 아니라, 1회 기록 용도로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5와 같은 기준 위치 P1에서부터 16 워블을 거친 위치 P2가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로 되는 것은, 재기록 가능 디스크가 그대로 재기록 가능 용도로서 이용되는 경우이다.
5.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구성
본 예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구성을 도 1에서 설명한다.
디스크(1)는, 상기 구조의 재기록 가능 디스크(상변화 디스크)이다. 또한, 동 규격의 ROM 디스크(엠보싱 피트 디스크)나 1회 기록 디스크(색소 변화 디스크)에 대해서도 대응 가능하다.
디스크(1)는, 도시하지 않은 턴 테이블에 적재되며, 기록 재생 동작 시에 스핀들 모터(2)에 의해 일정한 선속도(CLV) 혹은 일정한 각속도(CAV)로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광학 픽업(3)에 의해 디스크(1)에 엠보싱 피트 형태, 색소 변화 피트 형태, 혹은 상변화 피트 형태 등으로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나, 워블링 그루브에 의한 ADIP 정보의 판독이 행해지게 된다.
픽업(3) 내에는, 레이저 광원으로 되는 레이저 다이오드(3a)나, 반사광을 검출하기 위한 광 검출기(3b), 레이저광의 출력단으로 되는 대물 렌즈를 유지하는 2축 액츄에이터(3c), 레이저 다이오드(3a)로부터의 레이저 출력 제어를 행하는 APC 회로(3d),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레이저광을 대물 렌즈를 통해 디스크 기록면에 조사하고, 또한 그 반사광을 광 검출기(3b)에 유도하는 광학계 등이 탑재되어 있다.
2축 액츄에이터(3c)는 대물 렌즈를 트랙킹 방향 및 포커스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한다.
또한 픽업(3) 전체는 슬라이드 구동부(4)에 의해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디스크(1)로부터의 반사광 정보는 광 검출기(3b)에 의해 검출되며, 수광 광량에 따른 전기 신호로 되어 아날로그 시그널 프로세서(8)에 공급된다.
아날로그 시그널 프로세서(8)에서는, 매트릭스 앰프(8a)에 의해 광 검출기(3b)의 각 수광부의 신호에 대하여 매트릭스 연산을 행한다. 매트릭스 앰프(8a)에 의해, 예를 들면 서보 제어를 위한 포커스 에러 신호 FE, 트랙킹 에러 신호 TE가 생성되며, 또한 워블링 그루브의 정보로서의 푸시/풀 신호 P/P를 생성한다.
또한, 아날로그 시그널 프로세서(8)에 의해서는, 리드 채널 프론트 엔드(8b)에 의해 재생 RF 신호가 생성된다.
RF 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 FE, 트랙킹 에러 신호 TE, 푸시/풀 신호 P/P는, 각각 A/D 변환기(12)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되어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9)에 입력된다.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9)는, 라이트 펄스 제너레이터(9a), 서보 시그널 프로세서(9b), RF 시그널 프로세서(9c), 워블 시그널 프로세서(9d)를 구비한다.
매트릭스 앰프(8a)에서 생성되어 A/D 변환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된 푸시/풀 신호 P/P는, 워블 시그널 프로세서(9d)에서 디코드 처리되어, ADIP 정보가 추출된다. ADIP 정보로서 얻어진 어드레스나 물리 포맷 정보 등은, 디스크 컨트롤러(14)를 통해 CPU(15)에 공급된다.
서보 시그널 프로세서(9b)는, 입력되는 포커스 에러 신호 FE, 트랙킹 에러 신호 TE나, 예를 들면 RF 시그널 프로세서(9c)에 의한 PLL 처리 등에서 검출할 수 있는 회전 속도 정보 등으로부터, 포커스, 트랙킹, 슬라이드, 스핀들의 각종 서보 드라이브 신호를 생성하여 서보 동작을 실행시킨다.
서보 드라이브 신호는, D/A 변환기(16)를 통해 서보 구동 회로(5)에 공급된다. 서보 구동 회로(5)는, 포커스/트랙킹의 서보 드라이브 신호에 기초하여 2축 액츄에이터(3c)를 구동하여, 포커스 서보/트랙킹 서보 동작을 실행시킨다. 또한, 슬라이드 드라이브 신호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구동부(4)를 구동하여, 픽업(3)의 이송 동작을 실행시킨다. 또한, 스핀들 서보 드라이브 신호에 기초하여, 스핀들 모터(2)를 회전 구동한다.
또한, 서보 시그널 프로세서(9b)에서는, CPU(15)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포커스 서치, 트랙 점프, 씨크 등의 동작이 실행되도록, 상기 각 신호를 서보 구동 회로(5)에 공급한다.
리드 채널 프론트 엔드(8b)에서 생성되어 A/D 변환기(12)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된 RF 신호는, RF 시그널 프로세서(9c)로 처리된 후, 디스크 컨트롤러(14)에 공급된다.
디스크 컨트롤러(14)는, 인코드/디코드부(14a), ECC 처리부(14b), 호스트 인터페이스(14c)를 구비한다.
디스크 컨트롤러(14)에서는, 재생 시에, RF 시그널 프로세서(9c)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인코드/디코드부(14a)에서 디코드 처리를 행하고, 또한 ECC 처리부(14b)에 의해 에러 정정 처리를 행하여, 재생 데이터를 얻는다.
또한, 디스크 컨트롤러(14)는, 디코드 처리에 의해 얻어진 정보 중에서, 서브 코드 정보나 어드레스 정보, 또한 관리 정보나 부가 정보를 추출하고 있으며, 이들 정보를 CPU(15)에 공급한다.
재생 데이터는, 해당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컨트롤러로서 기능하는 CPU(15)의 제어에 기초하여, 호스트 인터페이스(14c)로부터 외부의 호스트 기기(100)(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등)에 전송된다.
즉, CPU(15)는 호스트 인터페이스(14c)를 통해 호스트 기기(100) 간에 재생 데이터나 리드/라이트 커맨드 등의 통신을 행하고 있으며, 호스트 기기(100)로부터의 리드 커맨드에 따라, 디스크(1)에 대한 재생 제어를 행하여, 디코드된 재생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호스트 기기(100)로부터 라이트 커맨드 및 기록 데이터가 공급됨으로써 CPU(15)는 디스크(1)에 대한 기록 동작을 실행시키는 것으로 된다.
데이터의 기록 시에는, 호스트 기기(100)로부터 공급된 기록 데이터는, ECC 처리부(14b)에 의해 에러 정정 코드가 부가되고, 인코드/디코드부(14a)에 의해 인코드 처리된다.
인코드된 기록 데이터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9)에서의 라이트 펄스 제너레이터(9a)에 공급된다. 라이트 펄스 제너레이터(9a)는, 기록용 인코드된 데이터에 대하여 파형 정형 등의 처리를 행하고, 레이저 변조 데이터로서 APC 회로(3d)에 제공한다.
APC 회로(3d)는, 레이저 변조 데이터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3a)를 구동하여, 기록 데이터에 따른 레이저 출력을 실행시키고, 디스크(1)에 데이터 기입을 행한다.
디스크(1)가 상변화 기록층의 재기록 가능 디스크인 경우에는, 레이저광의 가열에 의해 기록층의 결정 구조가 변화되어, 상변화 피트가 형성되어 간다. 즉, 피트의 유무와 길이를 변화시켜서 각종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한, 피트를 형성한 부분에 재차 레이저광을 조사하면, 데이터의 기록 시에 변화한 결정 상태가 가열에 의해 원래로 돌아가, 피트가 없어져서 데이터가 소거된다.
6. RW 용도 및 WO 용도에서의 기록 재생 동작
본 예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재기록 가능 디스크를 그대로 재기록 가능 용도로서 사용하는 것 외에, 1회 기록 용도로서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설명 상의 구별을 위해, 재기록 가능 디스크를 재기록 가능 용도로서 사용하여 기록하는 피트 데이터(상변화 피트 데이터)를 RW 데이터라고 하며, 재기록 가능 디스크를 1회 기록 용도로서 사용하여 기록하는 데이터(동일하게 상변화 피트 데이터)를 WO 데이터라고 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재기록 가능 디스크를 1회 기록 용도로서 사용하는 경우, 본래 재기입이 가능한 상변화 피트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의 재기입이 금지되는 것이 보장되어야만 하며, 이것은 다른 기록 재생 장치에 장전되었다고 하여도, 그 데이터의 재기입을 할 수 없는 것이 요구된다.
본 예에서는, 재기록 가능 용도의 경우와 1회 기록 용도의 경우에, 데이터의 쓰기 시작 위치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1회 기록 용도인 경우에 데이터 재기입 불능으로 하는 것이다.
도 2, 도 3에 의해 RW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와 WO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의 쓰기 시작 위치의 차이를 설명한다.
또한, P1을 워블 기준 위치로 하고, P2를 RW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로 한다.
도 2는 재기록 가능 디스크를 재기록 가능 용도로 하는 경우의 RW 데이터로서 1 ECC 블록의 쓰기 시작 위치를, 워블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워블링은 93 워블의 구간에서 8 워블의 ADIP 유닛과 85 모노톤 워블을 갖는다. 그리고, 52 ADIP 유닛에 의해 ADIP 워드가 구성되며, 또한 4 ADIP 워드가 1개의 ECC 블록으로 된다.
한편, 상변화 피트로서 기록되는 데이터는, 26 싱크 프레임에 의해 1피지컬 섹터가 형성되며, 16 피지컬 섹터에 의해 1 ECC 블록이 형성된다.
그리고, ADIP 워드 구조의 선두를 워블 기준 위치 P1로 하면, 도 15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RW 데이터의 쓰기 시작 위치는, 기준 위치 P1보다 16 워블을 거친 위치 P2로 된다. 도 2에서는, 워블의 ADIP 워드 구조에 대하여, 이와 같이 위치 P2를 쓰기 시작 위치로 한 RW 데이터의 ECC 블록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이것에 대하여, 재기록 가능 디스크를 1회 기록 용도로서 사용하여 WO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도 2에 도시하는 WO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 범위 사이를, 쓰기 시작 위치로서 설정한다.
이 WO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 범위란, 기준 위치 P1에서부터 1 ADIP 워드 이후, 4 ADIP 워드 미만의 범위이다.
도 3에, 이 WO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 범위 내에서의 어떤 위치 P3을, WO 데 이터의 쓰기 시작 위치로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RW 데이터와 WO 데이터에서는, 피지컬 섹터 및 ECC 블록 구조는 전적으로 마찬가지로 하는데, 이와 같이 쓰기 시작 위치를 기준 위치 P1에 대하여 위치 P2, P3으로 상이하게 한다.
이와 같이 WO 데이터의 쓰기 시작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이 WO 데이터는, 물리적으로는 재기입 가능한 상변화 피트 데이터이면서, 모든 기록 재생 장치에서 재기입을 불능으로 할 수 있다.
이 이유를 도 4, 도 5에서 설명한다.
도 4는 RW 데이터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기록된 RW 데이터를 판독하는 경우,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먼저 ECC 블록의 선두(퍼스트 싱크 : 선두의 싱크 프레임의 프레임 싱크)를 찾아내야만 한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최대 1 ADIP 워드의 구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싱크 검출 윈도우를 상승시키고,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ECC 블록의 퍼스트 싱크를 검출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싱크 검출 윈도우는, 워블 기준 위치 P1의 타이밍에서 상승되며, 퍼스트 싱크를 검출할 수 있었던 시점에서 하강되지만, 검출할 수 없는 상태가 계속되면,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최대 1 ADIP 워드 구간, 계속된다. 예를 들면, 통상은 기준 위치 P1에서부터 16 워블 경과한 타이밍에서 퍼스트 싱크가 검출되어, 싱크 프레임이 하강된다.
그리고, 이 퍼스트 싱크를 ECC 블록 단위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파악하 여, ECC 블록 단위의 적정한 디코드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WO 데이터에 대해서는, 도 3의 위치 P3과 같이 쓰기 시작 위치를 설정하면, 통상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의해서는 퍼스트 싱크 검출을 할 수 없게 된다.
즉, 기준 위치 P1에서부터 1 ADIP 워드의 구간 싱크 윈도우를 개방하고 있어도, 그 동안에 퍼스트 싱크를 포함하는 최초의 싱크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WO 데이터의 쓰기 시작 위치 P3이, 기준 위치 P1에서부터 1 ADIP 워드 이후, 4 ADIP 워드 미만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통상의 재기록 가능 디스크에 대한 판독 방식에서는, WO 데이터로서의 쓰기 시작 위치를 검출할 수 없으며, 적정하게 ECC 블록 단위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없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통상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즉 재기록 가능 디스크를 1회 기록 용도로서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지 않은 장치에서는, 1회 기록 용도로 된 재기록 가능 디스크에 대해서는, WO 데이터의 재생도 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기록된 데이터를 개찬하도록 재기입할 수도 없다.
물론 물리적으로는 재기록 가능 디스크이기 때문에, 통상의 재기록 가능 디스크로서 취급하여, 새롭게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 경우에는, 기록되어 있던 WO 데이터는 파괴되게 된다.
또한, WO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설정 가능한 범위의 상한을 4 ADIP 워드 미만으로 하는 것은 ECC 블록이 4 ADIP 워드에 상당한 것에 의한다. 즉, 4 ADIP 워드를 초과하는 것은, 1 ADIP 워드 미만과 동등하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도 6, 도 7의 처리에 의해, 재기록 가능 디스크를 적정히 재기록 가능 용도, 1회 기록 용도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으로는 재기록 가능 디스크로 된 어떤 디스크(1)를 재기록 가능 용도로 할지, 1회 기록 용도로 할지는, 디스크마다 미리 정해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1회 기록 용도로 하는 재기록 가능 디스크는, 미리 1회 기록 용도 전용으로 제조되는 것이다.
단, 1회 기록 용도로 하는 것은, 단순히 물리 포맷 정보에서 1회 기록 용도인 것이 나타나면 된다. 도 11에서 ADIP 정보로서 기록되는 PFI(물리 포맷 정보)를 설명하였는데, 예를 들면 이 PFI에서의 디스크 카테고리/버전 넘버의 정보 내용으로서, 그 디스크가 재기록 가능 용도인지 1회 기록 용도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키도록 한다.
ADIP 정보는 물리적으로 재기입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용도별로 디스크 제조 시에 고정되게 된다.
도 6은, 본 예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CPU(15)의 제어에 의한 디스크 장전 시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디스크(1)가 장전되면, 처리는 단계 F101로부터 F102로 진행하여, CPU(15)는 스타트 업 처리를 개시시킨다. 즉, 초기 동작으로서 스핀들 모터 기동, 회전 수 정정(整定), 포커스 서치/포커스 서보 온, 트랙킹 서보 온, PFI 등의 관리 정보 판 독 등을 실행시킨다.
단계 F103에서는, CPU(15)는, ADIP 정보로서 판독된 PFI를 수신하여, 디스크 종별을 판별한다. 특히, 장전된 디스크(1)가 물리적으로는 재기록 가능 디스크인 경우에는, 그것이 재기록 가능 용도의 디스크인지, 1회 기록 용도의 디스크인지의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단계 F104에서 디스크 속성을 확정하고, 단계 F105에서 호스트 기기(100)로부터의 커맨드의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
도 7은, 호스트 기기(100)로부터 리드 커맨드 또는 라이트 커맨드가 송신되어 온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CPU(15)는, 호스트 기기(100)로부터의 커맨드 수신에 따라, 처리를 단계 F201로부터 F202로 진행시키고, 디스크 종별에 따라 처리를 분기한다.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1)가 재기록 가능 용도의 디스크로서 속성이 확정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F203으로 진행하게 된다. 즉, 리드/라이트 커맨드에 의해 지시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서보 시그널 프로세서(9b)에 지시하여 픽업(3)의 목표 섹터로의 씨크를 개시시킨다.
단계 F204에서는 씨크 동작에 의해 예를 들면 목표 섹터의 앞 10 섹터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여, 도달하면, 기록 트랙을 트레이스하는 상태에서 목표 섹터까지 진행시킨다.
그리고 단계 F205에서 목표 섹터로의 도달이 확인되면, 단계 F214로서 요구된 동작, 즉 디스크(1)에 대한 데이터 재생 혹은 데이터 기록을 실행한다.
또한, 이 경우, 라이트 커맨드에 기초하는 데이터 기록이면, 워블 기준 위치 P1에서부터 16 워블 구간을 경과한 위치 P2에서부터 데이터를 기입하게 되며, 또한 리드 커맨드에 기초하는 데이터 재생이면, 워블 기준 위치 P1에서부터 16 워블 구간을 경과한 위치 P2 근변에서 검출되는 퍼스트 싱크에 의해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인식하여, 그 위치 P2에서부터의 데이터 판독을 행하게 된다.
한편,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1)가 1회 기록 용도이면, 단계 F202로부터 단계 F206으로 진행한다.
단계 F206에서는, 금회의 커맨드가 리드 커맨드인지 라이트 커맨드인지에 의해 처리를 분기한다. 그리고, 라이트 커맨드인 경우에는 단계 F207로 진행한다. 단계 F207에서는, 금회의 라이트 커맨드에 의해 지시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기입 요구에 관한 위치의 기록 상황을 판별한다. 1회 기록 용도로 하는 경우, 재기입은 금지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만일 라이트 커맨드에 의해 지시된 어드레스의 범위에, 이미 데이터 기록이 행해져 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단계 F208로부터 F209로 진행하여, 호스트 기기(100)에 에러를 회신한다.
즉, 호스트 기기(100)로부터 데이터 재기입의 커맨드가 온 경우에는, 1회 기록 용도이기 때문에, 그것을 금지하는 처리로 된다.
금회의 커맨드가 리드 커맨드인 경우, 혹은 미기록 영역으로의 라이트 커맨드인 경우에는, 단계 F210으로 진행하고, 리드/라이트 커맨드에 의해 지시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서보 시그널 프로세서(9b)에 지시하여 픽업(3)의 목표 섹터로의 씨크를 개시시킨다.
단계 F211에서는 씨크 동작에 의해 예를 들면 목표 섹터의 앞 10 섹터에 도 달하였는지를 판단하여, 도달하면, 기록 트랙을 트레이스하는 상태에서 목표 섹터까지 진행시킨다.
그리고, 단계 F212에서 목표 섹터로의 도달이 확인되면, 또한 단계 F213에서 1 ADIP 워드분 진행하는 것을 대기한다.
그리고, 1 ADIP 워드의 구간을 경과하면, 단계 F214로서 요구된 동작, 즉 디스크(1)에 대한 데이터 재생 혹은 데이터 기록을 실행한다.
즉 이 경우, 라이트 커맨드에 기초하는 데이터 기록이면, 워블 기준 위치 P1에서부터 적어도 1 ADIP 워드를 경과한 위치 P3에서부터 데이터를 기입하게 되며, 또한 리드 커맨드에 기초하는 데이터 재생이면, 워블 기준 위치 P1에서부터 1 ADIP 워드를 경과한 이후에 검출되는 퍼스트 싱크에 의해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 P3을 인식하여, 그 위치 P3에서부터의 데이터 판독을 행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상의 처리에서 앞 10 섹터의 감시나, 단계 F213의 1 ADIP 워드의 경과 대기는 일례이다. 단계 F213에서의 대기하는 구간 길이는, 워블 기준 위치 P1에서부터 1 ADIP 워드 이후 4 ADIP 워드 미만의 범위로 설정된 위치 P3을 쓰기 시작 위치로 하여 데이터의 기록 재생이 행해지도록 하는 구간 길이로 정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적어도, RW 데이터의 기록 재생인 경우에는, 워블 기준 위치 P1에서부터 16 워블 경과한 위치 P2를 쓰기 시작 위치로 하는 데이터의 기록 재생이 행해지며, 또한 WO 데이터의 기록 재생인 경우에는, 워블 기준 위치 P1에서부터 1 ADIP 워드 이후 4 ADIP 워드 미만의 범위로 설정된 위치 P3을 쓰기 시작 위치로 하는 데이터의 기록 재생이 행해진다.
즉 도 2,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기록 가능 용도와 1회 기록 용도에서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가 상이한 것으로 된다.
이 결과, 이하와 같이, 1회 기록 용도의 경우의 1회 기록 타입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실시 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즉 도 6, 도 7의 처리가 실행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1회 기록 용도로 된 디스크(1)에 대해서는, 위치 P3을 쓰기 시작 위치로 하여 기록 재생을 행하기 때문에, 적정하게 기록, 재생이 가능하다. 또한, 기록 완료의 영역에 대한 기록(데이터 재기입)은 금지된다. 이 때문에, 1회 기록 용도로 된 재기록 가능 디스크를, 통상의 1회 기록 디스크와 동등한 사용성을 가지며, 또한 동등한 데이터 갱신 불능이라는 특성을 갖는 디스크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다른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즉 도 6, 도 7의 처리가 실행되지 않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1회 기록 용도로 된 디스크(1)를 사용할 수 없다. 즉, 쓰기 시작 위치가 검출 불능이기 때문에, 데이터의 재생이나 재기입이 가능하지 않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의해 기록된 1회 기록 용도의 디스크(1)의 데이터 내용을, 다른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의해 재기입할 수 없다. 따라서, 모든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장전될 가능성을 고려하여도, 갱신 불능이라는 특성은 유지된다.
그리고 이상의 점으로부터, 재기록 가능 디스크를 1회 기록 용도로 사용한다는 요망에 따른 기록 재생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디스크(1)에, 재생 전용 정보인 ADIP 정보로서 재기록 가능 용도/1회 기록 용도의 구별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물리적으로는 상변화 기록층으로 된 재기록 가능 디스크의 개체마다, 재기록 가능 용도인지 1회 기록 용도인지의 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의미함과 함께, 1회 기록 용도로 된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를, 재기록 가능 용도로 변경할 수 없는 것도 의미한다.
디스크 단위로 용도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의 사용 형식이 명확하여, 사용성이 좋아짐과 함께, 예를 들면 일단 재기록 가능 용도로서 사용한 디스크가 1회 기록 용도로 변경되어, 적절한 데이터 기록 재생이 가능하지 않게 된다는 것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각종 디스크 미디어에서는, 엠보싱 피트 영역이 미리 형성되며, 관리 정보, 물리 정보가 기록되는 것도 존재하는데, 그와 같은 미디어인 경우에는, 엠보싱 피트 정보로서, 재기록 가능 용도인지 1회 기록 용도인지의 종별이 기록되어도 된다.
그런데, 상기 예에서는 1회 기록 용도인 경우의 쓰기 시작 위치 P3을, 기준 위치 P1에서부터 1 ADIP 워드 이후 4 ADIP 워드 미만의 범위로 설정한다고 하였는데, 이 범위는, 어디까지나 상기예의 ECC 블록 포맷인 경우이다. ADIP 워드 구조나 섹터 구조가 상이하면, 그것에 따라 위치 P3으로서의 적절한 범위가 교대됨은 당연하다.
어디까지나, 1회 기록 용도인 경우의 쓰기 시작 위치 P3은, 위치 P3을 데이 터 쓰기 시작 위치로서 기록된 WO 데이터를, RW 데이터와 같이 위치 P2를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라고 간주하여 재생한 경우에, ECC 블록 단위를 추출할 수 없게 되는 위치로 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에 해당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기록 재생 장치)로서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었는데, 본 발명은 재생 전용 장치, 기록 전용 장치로서도 실현 가능하다. 즉,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와 마찬가지로, 1회 기록 용도인 경우에는 쓰기 시작 위치를 위치 P3으로 설정하여 기록 동작을 행하는 기록 전용 장치, 혹은 1회 기록 용도인 경우에는 쓰기 시작 위치를 위치 P3이라고 판단하여 재생 동작을 행하는 재생 전용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를 그대로 재기록 가능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기준 위치에 대한 제1 위치로 설정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며, 한편,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를 1회 기록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위치와는 상이한 제2 위치를, 소정의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로 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한다. 이에 따라, 1회 기록 용도로 된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를, 1회 기록 용도로 하는 것을 상정하지 않은 기록 재생 장치에 장전한 경우, 해당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기입은 가능하지 않는 것으로 된다.
즉, 본 발명의 기록 장치에서는,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를 1회 기록 용도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펌 웨어 제어에 의해, 데이터 재기입 불능의 1회 기록 미디어로서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음과 함께, 다른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서도 데이터 재기입(개찬)을 할 수 없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개찬 불능이라는 1회 기록 미디어의 특질을 살리면서,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를 1회 기록 용도로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업무용 데이터 스토리지 용도 등에 적합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재생 장치에 따르면, 제2 위치를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로서 데이터가 기록된 1회 기록 용도의 재기록 가능 디스크로부터, 적정한 데이터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 장치, 재생 장치는, 기록 매체에서 물리적으로 재기입 불능의 재생 전용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그 기록 매체가 재기록 가능 용도인지 1회 기록 용도인지를 판별한다. 이것은, 물리적으로는 재기록 가능 미디어로 된 기록 매체로서의 개체마다, 재기록 가능 용도인지 1회 기록 용도인지의 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의미함과 함께, 1회 기록 용도로 된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를, 재기록 가능 용도로 변경할 수 없는 것도 의미한다. 기록 매체 단위로 용도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사용 형식이 명확하여, 사용성이 좋아짐과 함께, 예를 들면 일단 재기록 가능 용도로서 사용한 기록 매체가 1회 기록 용도로 변경되어, 적절한 데이터 기록 재생을 할 수 없게 된다는 것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기록 매체는, 데이터 트랙의 워블링에 의해 재생 전용 정보가 기록된 기록 매체이며, 제1, 제2 위치를 결정하는 기준 위치는, 워블링에 의한 재생 전용 정보의 정보 단위로 규정되는 기준 위치라는 것이 동작상 적절하다.
또한, 제2 위치는, 제2 위치를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로 하여 기록된 데이터를, 제1 위치를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라고 간주하여 재생한 경우에, 에러 정정 블록 단위를 추출할 수 없게 되는 위치로 되도록 하는 것이, 다른 기록 재생 장치에 장전된 경우에 재기입 불능으로 한다는 점에서 최적이다.

Claims (10)

  1. 기록 장치로서,
    장전된 데이터 재기입 가능한 물리 구조를 갖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 기록 동작을 행하는 기록 수단과,
    장전된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 재기입 가능하게 하는 재기록 가능 용도인지, 1회만 데이터 기입 가능하게 하는 1회 기록 용도인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 재기록 가능 용도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기준 위치에 대한 제1 위치로 설정하여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 동작을 실행시키고,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 1회 기록 용도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상기 기준 위치에 대한 제2 위치로 설정하여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 동작을 실행시키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데이터 단위는 에러 정정 블록 단위이며,
    상기 제2 위치는,
    워블로 기록된 ADIP 데이터에 대한 상기 에러 정정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워드 단위의 제1 워드 단위로 이후에 설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를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로 하여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제1 위치를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라고 간주하여 재생한 경우에, 상기 에러 정정 블록 단위를 추출할 수 없게 되는 위치로 되는,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에서 물리적으로 재기입 불능의 재생 전용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는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그 기록 매체가 재기록 가능 용도인지 1회 기록 용도인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데이터 트랙의 워블링에 의해 재생 전용 정보가 기록된 기록 매체이며,
    상기 기준 위치는, 워블링에 의한 재생 전용 정보의 정보 단위로 규정되는 기준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4. 기록 방법으로서,
    장전된 데이터 재기입 가능한 물리 구조를 갖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 재기입 가능하게 하는 재기록 가능 용도인지, 1회만 데이터 기입 가능하게 하는 1회 기록 용도인지를 판별하는 판별 단계와,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판별 단계에 의해 재기록 가능 용도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기록 지시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기준 위치에 대한 제1 위치로 설정하여 기록 동작을 실행하는 제1 기록 단계와,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판별 단계에 의해 1회 기록 용도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기록 지시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상기 기준 위치에 대한 제2 위치로 설정하여 기록 동작을 실행하는 제2 기록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데이터 단위는 에러 정정 블록 단위이며,
    상기 제2 위치는,
    워블로 기록된 ADIP 데이터에 대한 상기 에러 정정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워드 단위의 제1 워드 단위로 이후에 설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를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로 하여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제1 위치를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라고 간주하여 재생한 경우에, 상기 에러 정정 블록 단위를 추출할 수 없게 되는 위치로 되는, 기록 방법.
  5. 재생 장치로서,
    장전된 데이터 재기입 가능한 물리 구조를 갖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 재생 동작을 행하는 재생 수단과,
    장전된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 재기입 가능하게 하는 재기록 가능 용도인지, 1회만 데이터 기입 가능하게 하는 1회 기록 용도인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 재기록 가능 용도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기준 위치에 대한 제1 위치라고 판단하여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한 재생 동작을 실행시키고,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 1회 기록 용도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상기 기준 위치에 대한 제2 위치라고 판단하여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한 재생 동작을 실행시키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데이터 단위는 에러 정정 블록 단위이며,
    상기 제2 위치는,
    워블로 기록된 ADIP 데이터에 대한 상기 에러 정정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워드 단위의 제1 워드 단위로 이후에 설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를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로 하여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제1 위치를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라고 간주하여 재생한 경우에, 상기 에러 정정 블록 단위를 추출할 수 없게 되는 위치로 되는, 재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에서 물리적으로 재기입 불능의 재생 전용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는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그 기록 매체가 재기록 가능 용도인지 1회 기록 용도인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데이터 트랙의 워블링에 의해 재생 전용 정보가 기록된 기록 매체이며,
    상기 기준 위치는, 워블링에 의한 재생 전용 정보의 정보 단위로 규정되는 기준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8. 재생 방법으로서,
    장전된 데이터 재기입 가능한 물리 구조를 갖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 재기입 가능하게 하는 재기록 가능 용도인지, 1회만 데이터 기입 가능하게 하는 1회 기록 용도인지를 판별하는 판별 단계와,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판별 단계에 의해 재기록 가능 용도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재생 지시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기준 위치에 대한 제1 위치라고 판단하여 재생 동작을 실행하는 제1 재생 단계와,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판별 단계에 의해 1회 기록 용도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재생 지시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를, 상기 기준 위치에 대한 제2 위치라고 판단하여 재생 동작을 실행하는 제2 재생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데이터 단위는 에러 정정 블록 단위이며,
    상기 제2 위치는,
    워블로 기록된 ADIP 데이터에 대한 상기 에러 정정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워드 단위의 제1 워드 단위로 이후에 설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를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로 하여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제1 위치를 데이터 쓰기 시작 위치라고 간주하여 재생한 경우에, 상기 에러 정정 블록 단위를 추출할 수 없게 되는 위치로 되는, 재생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057015020A 2003-12-18 2004-12-15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KR1011134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20674A JP4300994B2 (ja) 2003-12-18 2003-12-18 記録装置、記録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
JPJP-P-2003-00420674 2003-12-18
PCT/JP2004/019154 WO2005059904A1 (ja) 2003-12-18 2004-12-15 記録装置、記録方法、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873A KR20060117873A (ko) 2006-11-17
KR101113494B1 true KR101113494B1 (ko) 2012-07-06

Family

ID=34697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020A KR101113494B1 (ko) 2003-12-18 2004-12-15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30157B2 (ko)
EP (1) EP1703498A4 (ko)
JP (1) JP4300994B2 (ko)
KR (1) KR101113494B1 (ko)
CN (1) CN100351921C (ko)
WO (1) WO20050599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2218B2 (ja) * 2005-06-10 2011-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再生装置
JP2007188584A (ja) * 2006-01-12 2007-07-26 Sony Corp 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記録プログラム
JP4798610B2 (ja) * 2006-01-13 2011-10-19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RU2433490C2 (ru) * 2006-05-09 2011-11-1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упа к диску
KR101365447B1 (ko) * 2006-09-04 201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 매체 및 기록 재생 장치
US8526280B2 (en) * 2011-02-18 2013-09-03 Marvell World Trad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disc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1734A (ja) 2002-03-25 2003-10-03 Tdk Corp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及び光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8029A (ja) 1983-07-25 1985-02-13 Toshiba Corp 光デイスク装置
JPS62188026A (ja) 1986-02-13 1987-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装置
JPS62276648A (ja) 1986-05-26 1987-12-01 Toshiba Corp フロツピイデイスクのコピ−防止方式
JPH01208762A (ja) 1988-02-15 1989-08-22 Hitachi Ltd リード・ライトプロテクト制御方式
JPH04106761A (ja) 1990-08-28 1992-04-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
US5132954A (en) 1990-09-24 1992-07-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s for optical disk relating to accessing and utilization of such disk
JPH1022149A (ja) 1996-06-28 1998-01-23 Tokin Corp 零相変流器
JP4374698B2 (ja) * 2000-02-25 2009-12-0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
US6598135B1 (en) * 2000-05-03 2003-07-22 Plasmon Ide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rewriteable data storage media as write once data storage media
JP3898430B2 (ja) 2000-09-18 2007-03-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記録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光ディスク
TWI220982B (en) * 2001-03-19 2004-09-11 Ricoh Kk Writing method for optical disc, processing method for information, optical disc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3792169B2 (ja) * 2001-03-19 2006-07-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学式記録媒体の記録装置
JP2003242650A (ja) 2002-02-13 2003-08-29 Ricoh Co Ltd Cd−r/rwディスク、cd−r/rwドライブ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075873B2 (en) * 2002-03-22 2006-07-11 Ricoh Company, Ltd. Optical disc apparatus with disc select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1734A (ja) 2002-03-25 2003-10-03 Tdk Corp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及び光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00994B2 (ja) 2009-07-22
JP2005182892A (ja) 2005-07-07
US20060256675A1 (en) 2006-11-16
KR20060117873A (ko) 2006-11-17
EP1703498A4 (en) 2011-09-07
EP1703498A1 (en) 2006-09-20
CN100351921C (zh) 2007-11-28
US7430157B2 (en) 2008-09-30
CN1751340A (zh) 2006-03-22
WO2005059904A1 (ja)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339B1 (ko) 기록매체, 기록장치, 재생장치, 기록방법, 재생방법
US6580684B2 (e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and reading apparatus
US7545727B2 (e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and reading apparatus
EP1492117B1 (en) Storage medium,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US7227831B2 (e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recording and reproduction method
EP1615120B1 (en) Recording apparatus
JP3932927B2 (ja) 光ディスク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4438172B2 (ja) データ記録装置及びデータ記録方法
KR101113494B1 (ko)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JP2005216395A (ja) 記録媒体評価方法、記録再生装置、記録媒体
JP4889853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媒体
JP3693742B2 (ja) 情報記録媒体
KR20060115573A (ko) 기록 매체,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방법
JP4962539B2 (ja)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
JPH11149705A (ja) 再生装置及びデータ蓄積方法
JP3941834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の再生方法
JP2005116138A (ja) オリジナル記録媒体、記録再生方法、記録再生システム
JP2002216352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データ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