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223B1 -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 - Google Patents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223B1
KR101113223B1 KR1020100024229A KR20100024229A KR101113223B1 KR 101113223 B1 KR101113223 B1 KR 101113223B1 KR 1020100024229 A KR1020100024229 A KR 1020100024229A KR 20100024229 A KR20100024229 A KR 20100024229A KR 101113223 B1 KR101113223 B1 KR 101113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band
movable side
resin injection
fixe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134A (ko
Inventor
전성원
최현국
최영섭
Original Assignee
케이유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유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유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4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223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2Moulds having several axially spaced mould cavities, i.e. for making several separa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25Mani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8Closure devices therefor
    • B29C45/2806Closure devices therefor consisting of needle valve systems
    • B29C45/281Drive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2045/2683Plurality of independent mould cavities in a singl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은 고정측 취부판, 고정측 형판, 및 고정측 코어를 포함하는 고정측 금형부; 가동측 취부판, 가동측 형판, 및 가동측 코어를 포함하고 고정측 금형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여 금형을 개폐하는 가동측 금형부; 금형이 폐쇄된 상태에서 고정측 금형과 가동측 금형이 서로 맞닿은 접촉면을 따라 형성되고, 밴드스트립 성형부 및 밴드헤드 성형부를 가지고 있는 복수의 캐비티; 접촉면을 따라 형성되는 세장형 수지주입로; 수지주입로에서 분기되어 캐비티로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복수의 분기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측 금형부에서 수지주입로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고 수지주입로와 주입구를 통하여 각각 연통되어 있는 복수의 핫 러너;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캐비티는 밴드헤드 성형부가 수지주입로를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수지주입로를 가운데 두고 접촉면을 따라 양 방향으로 뻗어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분기로는 캐비티의 밴드헤드 성형부와 연통되어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 {BAND CABLE MOLD}
본 발명은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한 번의 사출공정을 통하여 불량을 최소화하여 완성도가 높은 다수의 밴드케이블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관한 발명이다.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은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를 자동차의 패널에 고정시켜 자동차 운행 중에 진동에 의한 하네스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부품으로서 자동차 생산에서 필수적인 부품 중 하나이다. 따라서 밴드케이블은 진동 및 파손에 강한 특성을 지녀야 한다. 도 1은 이러한 자동차용 밴드케이블(200)을 도시하고 있다. 밴드케이블(200)은 헤드부(201), 플랜지부(202), 밴드고정부(203), 및 밴드부스트립부(204)로 구성된다. 밴드케이블(200)은 밴드스트립부(204)가 와이어 하네스(220) 둘레를 감싼 후에 밴드고정부(203)에서 밴드스트립부(204)의 단부를 고정하여 와이어 하네스(220)를 감고 있다. 한편, 밴드케이블(200)의 헤드부(201)는 차체 패널(210)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되므로 밴드케이블(200)이 와이어 하네스(220)를 차체 패널(21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밴드케이블(200)의 플랜지부(202)는 접시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차체에 접촉될 수 있으므로 차체의 진동 및 외력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한다.
자동차용 밴드케이블(2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스트립부(204)의 길이가 길고 헤드부(201)의 형상이 얇으면서 복잡하므로 제품을 성형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밴드케이블의 성형 공정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불량에는 크랙(Crack) 발생, 버(Burr) 발생, 웰드라인(Weld Line) 형성, 미성형(Short Shot) 등이 있다. 종래에는 밴드케이블 성형시에 발생하는 불량을 개선하기 위하여, 크랙에 대해서는 건조조건을 조정하거나 게이트를 확대하거나 노즐온도를 낮추고, 사출속도를 줄이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한편, 버에 대해서는 형체력, 습합부, 노즐온도 등을 조절하거나 사출속도를 감속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웰드라인을 없애기 위해서는 에어밴트를 설치하거나 게이트를 확대하고, 금형온도를 높이거나 사출압 또는 사출속도를 높이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미성형 현상을 없애기 위해서는 코어를 분할하거나 게이트를 확대하고 금형온도, 사출압, 사출속도 등을 높이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개선방법은 불량 유형에 따라 서로 상충하는 면이 있었다. 예를 들어 크랙 현상이나 버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 사출속도를 낮추게 되면 웰드라인이나 미성형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존의 성형 방법으로는 자동차용 밴드케이블의 성형품에서 불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게다가, 밴드케이블은 소형의 저가 부품이기 때문에 생산 효율성이 높지 않으면 물량이 증가할 경우에 설비를 증설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불량을 줄이기 위한 종래 방법에 의존하는 현재의 생산수준으로는 일 회의 성형 공정으로 8개 이상의 밴드케이블을 성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밴드케이블 성형 공정에서의 단점을 극복하여, 일 회의 성형 공정으로 8개 이상의 밴드케이블을 동시에 성형할 수 있으면서, 크랙, 버, 웰드라인, 미성형 등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은 고정측 취부판, 고정측 형판, 및 고정측 코어를 포함하는 고정측 금형부; 가동측 취부판, 가동측 형판, 및 가동측 코어를 포함하고 고정측 금형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여 금형을 개폐하는 가동측 금형부; 금형이 폐쇄된 상태에서 고정측 금형과 가동측 금형이 서로 맞닿은 접촉면을 따라 형성되고, 밴드스트립 성형부 및 밴드헤드 성형부를 가지고 있는 복수의 캐비티; 접촉면을 따라 형성되는 세장형 수지주입로; 수지주입로에서 분기되어 캐비티로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복수의 분기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측 금형부에서 수지주입로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고 수지주입로와 주입구를 통하여 각각 연통되어 있는 복수의 핫 러너;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캐비티는 밴드헤드 성형부가 수지주입로를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수지주입로를 가운데 두고 접촉면을 따라 양 방향으로 뻗어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분기로는 캐비티의 밴드헤드 성형부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캐비티는 주입구를 중심으로 접촉면을 따라 복수개의 캐비티가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한 개의 조를 이루고, 용융 수지가 핫 러너로부터 수지주입로로 주입되어 분기구를 통하여 한 개의 조를 이루는 캐비티로 주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금형에서 복수의 핫 러너는 단일의 매니폴더와 연통되어 있고, 고정측 금형부에 설치된 스프루를 통하여 유입되는 용융 수지는 매니폴드를 통하여 복수의 핫 러너에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핫 러너와 수지주입로는 핫 러너 노즐부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고, 핫 러너 노즐부는 밸브게이트 핀에 의하여 개폐가능하고, 밸브게이트 핀은 공압식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핫 러너는 고주파 유도가열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금형에서 캐비티는 16개를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은 고정측 코어 및 가동측 코어 각각에서 복수의 캐비티의 배면에 인접하여 캐비티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복수의 히터 카트리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측 코어 및 가동측 코어 각각에서 복수의 캐비티의 배면에 인접하여 캐비티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복수의 냉각 순환라인이 더 설치되어 있고, 고정측 형판 및 가동측 형판 각각의 일측면에 복수의 냉각 순환라인의 입구 및 출구가 짝을 지어 나란히 배열되고, 입구 및 출구에 인접하여 고정측 금형부 및 가동측 금형부 각각에 단일의 입수 분배기 및 배수 분배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입수 분배기 및 배수 분배기는 복수의 가요성 튜브를 통하여 복수의 입구 및 복수의 출구와 각각 연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은 가동측 금형부에 형성된 복수의 밴드스트립측 진공흡입구 및 복수의 밴드헤드측 진공흡입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밴드스트립측 진공흡입구는 캐비티의 밴드스트립 성형부의 말단부로부터 가동측 코어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밴드헤드측 진공흡입구는 복수의 주입구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서 수지주입로로부터 가동측 코어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밴드헤드측 진공흡입구 및 밴드스트립측 진공흡입구는 가동측 금형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진공흡입노즐과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은 가동측 코어 및 고정측 코어가 고열전도성 동합금강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을 이용하면 일 회의 성형공정에서 16개의 밴드케이블을 동시에 성형할 수 있고, 밴드케이블 성형에서 자주 발생하는 불량인 크랙, 버, 웰드라인, 밴드스트립 말단의 미성형 현상 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불량을 최소화한 밴드케이블을 성형할 수 있다.
도 1은 밴드케이블 및 그 작동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의 고정측 금형부의 전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의 고정측 금형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이다.
도 6는 도 2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의 가동측 금형부의 전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의 가동측 금형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 부분을 확대한 도이다.
도 9은 고정측 코어 및 가동측 코어에 히터 카트리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고정측 코어 및 가동측 코어에 설치되는 냉각 순환라인과 관련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고정측 코어 및 가동측 코어에서 냉각 순환라인과 분배기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1)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금형(1)은 상측 금형부인 고정측 금형부(2)와 하측 금형부인 가동측 금형부(3)가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로서 금형이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2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1)의 고정측 금형부(2)의 전단면도이고, 도 4는 고정측 금형부(2)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측 금형부(2)는 고정측 취부판(21), 고정측 형판(22), 고정측 코어(23)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측 취부판(21)의 기저부는 고정측 단열판(24)으로 덮혀있다. 고정측 코어(23)는 고정측 형판(22)의 상부에서 고정측 지지플레이트(25)의 지지를 받은 채로 설치되어 있다.
도 6는 도 2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1)의 가동측 금형부(3)의 전단면도이고, 도 7은 가동측 금형부(3)의 평면도이다. 고정측 금형부(2)의 구성과 유사하게, 가동측 금형부(3)는 가동측 취부판(31), 가동측 형판(32), 가동측 코어(33)를 포함하고 있다. 가동측 취부판(31)의 기저부는 가동측 단열판(34)으로 덮혀있다. 가동측 코어(33)는 가동측 형판(32)의 상부에서 가동측 지지플레이트(35)의 지지를 받은 채로 설치되어 있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고정측 금형부(2)의 고정측 코어(23) 및 가동측 금형부(3)의 가동측 코어(33)에는 각각 밴드케이블 캐비티(6, 6')가 형성되어 있다. 밴드케이블 캐비티(6, 6')는 금형이 폐쇄된 상태에서 서로 합쳐져 완벽한 캐비티를 형성한다. 즉, 금형이 패쇄된 상태에서 고정측 금형(2)과 가동측 금형(3)이 서로 맞닿는 접촉면을 따라 완전한 캐비티가 형성된다. 캐비티(6, 6')은 밴드케이블의 스트립부를 성형하기 위한 밴드스트립 성형부(62, 62') 및 밴드케이블의 헤드부를 성형하기 위한 밴드헤드 성형부(61, 61')로 이루어진다.
고정측 코어(23) 및 가동측 코어(33)에는 각각의 중심 부분에 세장형의 수지주입로(71, 71')가 형성되어 있고, 수지주입로(71, 71')의 양 측으로 분기된 복수의 분기로(72, 72')가 함께 형성되어 있다. 캐비티의 경우와 같이, 수지주입로(71, 71') 및 분기로(72, 72')는 금형이 닫힌 상태에서 서로 합쳐져 완벽한 수지주입로와 분기로를 형성하게 된다(도 5 및 도 8 참조).
캐비티(6, 6')는 밴드헤드 성형부(62, 62')가 수지주입로(71, 71')를 향하면서 밴드스트립 성형부(62, 62')가 수지주입로(71, 71')의 양쪽 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분기로(72, 72')는 밴드헤드 성형부(62, 62')와 연통되어 있다.
성형 과정에서 용융 수지는 주입구(43)를 통하여 수지주입로(71, 71')로 주입된다. 주입로(43)는 고정측 금형부(2)에 형성되어 있는 수지주입로(71')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된 용융 수지는 수지주입로(71, 71')에서 분기구(72, 72')를 통하여 각각의 캐비티(6, 6'), 구체적으로는 밴드헤드 성형부(62, 62')를 향하여 주입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용융 수지는 핫러너(4)를 이용하여 공급된다. 핫러너(4)는 고정측 금형부(2)에서 수지주입로(71)의 배면에 설치된다. 핫러너(4)는 핫러너 노즐부(42)와 주입구(43)가 연통되는 방식으로 수지주입로(71, 71')에 용융 수지를 주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핫러너(4)는 재료 결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고주파 유도가열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주파 유도가열식은 금형 자체를 가열하는 것이 아니고 수지만을 가열하는 것이므로 금형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금형의 냉각 및 가열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핫러너(4)로부터 용융 수지가 공급되는 캐비티(6, 6')의 개소는 복수개로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복수의 캐비티(6, 6')는 하나의 핫러너(4) 주위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핫러너(4) 당 네 개의 캐비티(6, 6')를 배치하고 있으며, 네 개의 캐비티(6, 6')는 핫러너(4)와 수지주입로(71')가 연통되는 주입구(43)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하나의 핫러너(4)로부터 공급되는 용융 수지는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네 쌍의 분기구(72, 72') 및 캐비티(6, 6')로 균일하게 주입될 수 있다. 실험적으로 하나의 핫러너(4)와 연통되는 캐비티(6, 6')의 개수를 5개 이상으로 하면 성형품의 품질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수의 핫러너(4)는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핫러너(4)는 단일의 매니폴드(42)와 연결되어 있어서, 용융 수지는 도 3에서와 같이 고정측 금형부(2)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루(26)를 통하여 유입되어 매니폴드(42)를 거쳐 복수의 핫러너(4)에 동시에 공급될 수 있다.
핫러너 노즐부(41)는 밸브게이트 핀(53)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용융 수지가 모든 캐비티(6, 6')에 충전된 것이 확인되면 밸브게이트 핀(53)에 의하여 핫러너 노즐부(41)를 폐쇄하여 성형품에서 스크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밸브게이트 핀(53)은 고정측 금형부(2)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실린더(52) 및 고정측 취부판(21)에 형성되어 있는 에어홀(51) 등의 구성에 의하여 공압식으로 작동된다.
도 9는 고정측 코어(23) 및 가동측 코어(33)에 히터 카트리지(8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고주파 유도가열식 핫러너(4)와 함께 용융 수지의 유동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복수의 히터 카트리지(81)가 이용된다. 히터 카트리지(81)는 고정측 코어(23) 및 가동측 코어(33) 양쪽 모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 카트리지(81)는 가열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캐비티(6, 6')의 배면에 인접하면서도 캐비티(6, 6')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히터 카트리지(81), 용융 수지, 및 코어부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온도센서(82)가 구비된다.
도 10은 고정측 코어(23) 및 가동측 코어(33)에 설치되는 냉각 순환라인(91)과 이에 관련된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냉각 순환라인(91)은 가열된 금형의 코어부를 신속하게 냉각시켜 성형 공정의 사이클을 단축하는 기능을 한다. 냉각 순환라인(91)은 고정측 코어(23) 및 가동측 코어(33) 모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순환라인(91)은 냉각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캐비티(6, 6')의 배면에 인접하면서 캐비티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냉각 순환라인(91)의 입구(92) 및 출구(93)는 서로 짝을 지어 배치된다. 도 10에는 일 측에 배치된 8개의 캐비티에 두 쌍의 냉각 순환라인(91)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각 도면부호에 (')가 붙은 것은 고정측 금형부(23)에 설치된 구성요소임을 나타내고, (')가 붙지 않은 것은 가동측 금형부(33)에 설치된 구성요소임을 나타낸다.)
복수의 입구(92, 92')에는 단일의 입수 분배기(94, 94')에 의하여 냉각수가 분배되고, 복수의 출구(93, 93')로부터 배출된 냉각수는 단일의 배수 분배기(95, 95')를 통하여 일괄적으로 배수될 수 있다. 입수 분배기(94, 94') 및 배수 분배기(95, 95')의 쌍은 고정측 금형부(23) 및 가동측 금형부(33)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화살표 참조)으로 입수 분배기(94, 94')의 각각의 노즐은 가요성 튜브를 이용하여 각각의 입구(92, 92')로 연결되고, 배수 분배기(95, 95')의 각각의 노즐은 가요성 튜브를 이용하여 각각의 출구(93, 93')로 연결된다.
한편, 용융 수지가 캐비티에 완벽하게 충전되고 기타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용융 수지가 흐르는 통로 및 캐비티 내부로부터 진공흡입 방식으로 가스를 배출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금형(1)에서는 국부적인 부분에만 진공흡입구를 형성하여 진공흡입을 하는 방식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금형(1)은 밴드스트립 성형부(62)의 말단부와 수지주입로(71)의 일부에만 진공흡입구를 형성한다. 밴드스트립 성형부(62)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진공흡입구는 밴드스트립측 진공흡입구(101)이고, 수지주입로(71)에 설치되는 진공흡입구는 밴드헤드측 진공흡입구(102)이다. 진공흡입구(101, 102)는 가동측 금형부(3)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밴드스트립측 진공흡입구(101)는 밴드스트립 성형부(62)의 말단부로부터 가동측 코어(33)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밴드헤드측 진공흡입구(102)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지주입로(71)에 형성되어 가동측 코어(33)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헤드측 진공흡입구(102)는 복수의 주입구(43) 사이 사이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진공흡입을 위하여 고정측 금형부과 가동측 금형부가 서로 맞닿는 면에 고무 실링을 하여 내부를 밀봉하는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국부적으로 진공흡입구를 형성하는 본원의 금형 방식에 의하면, 별도의 고무 실링없이 고정측 금형부(2)와 가동측 금형부(3)의 맞닿는 면의 면 조도를 향상시켜 금형이 닫힌 경우에 내부를 밀봉하는 것 만으로 충분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1)에서 코어(23, 33)는 고열전도성 코어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고열전도성 동합금강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한데, 예를들어 MoldMAX-HH?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히터 카트리지의 구성을 통하여 금형 표면 온도를 정밀제어할 수 있고, 고주파 유도가열식 핫러너와 전술한 냉각 순환라인의 구성이 적용된 고열전도성 동합금강 재질로 만든 금형을 이용함으로써 가열 및 냉각의 반복에 따라 발생하는 재료의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국부적인 진공흡입구 구성에 따라 금형 표면의 면조도를 이용하는 것만으로 금형 내부를 밀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술의 조합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은 단일의 금형에서 캐비티의 총 개수를 도 4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6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사출공정 사이클도 약 50% 감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비추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또는 변형을 가한 응용을 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고정측 취부판, 고정측 형판, 및 고정측 코어를 포함하는 고정측 금형부;
    가동측 취부판, 가동측 형판, 및 가동측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측 금형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여 금형을 개폐하는 가동측 금형부;
    금형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측 금형과 상기 가동측 금형이 서로 맞닿은 접촉면을 따라 형성되고, 밴드스트립 성형부 및 밴드헤드 성형부를 가지고 있는 복수의 캐비티;
    상기 접촉면을 따라 형성되는 세장형 수지주입로;
    상기 수지주입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캐비티로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복수의 분기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측 금형부에서 상기 수지주입로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수지주입로와 주입구를 통하여 각각 연통되어 있는 복수의 핫 러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캐비티는 상기 밴드헤드 성형부가 상기 수지주입로를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상기 수지주입로를 가운데 두고 상기 접촉면을 따라 양 방향으로 뻗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분기로는 상기 캐비티의 상기 밴드헤드 성형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를 중심으로 상기 접촉면을 따라 복수개의 상기 캐비티가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한 개의 조를 이루고,
    용융 수지가 상기 핫 러너로부터 상기 수지주입로로 주입되어 상기 분기구를 통하여 상기 한 개의 조를 이루는 캐비티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핫 러너는 단일의 매니폴더와 연통되어 있고,
    상기 고정측 금형부에 설치된 스프루를 통하여 유입되는 용융 수지는 상기 매니폴드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핫 러너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핫 러너와 상기 수지주입로는 핫 러너 노즐부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고, 상기 핫 러너 노즐부는 밸브게이트 핀에 의하여 개폐가능하고,
    상기 밸브게이트 핀은 공압식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핫 러너는 고주파 유도가열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코어 및 상기 가동측 코어 각각에서 복수의 상기 캐비티의 배면에 인접하여 캐비티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복수의 히터 카트리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밴트케이블 성형용 금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코어 및 상기 가동측 코어 각각에서 복수의 상기 캐비티의 배면에 인접하여 캐비티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복수의 냉각 순환라인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측 형판 및 상기 가동측 형판 각각의 일측면에 복수의 상기 냉각 순환라인의 입구 및 출구가 짝을 지어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에 인접하여 상기 고정측 금형부 및 상기 가동측 금형부 각각에 단일의 입수 분배기 및 배수 분배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입수 분배기 및 상기 배수 분배기는 복수의 가요성 튜브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입구 및 상기 복수의 출구와 각각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금형부에 형성된 복수의 밴드스트립측 진공흡입구 및 복수의 밴드헤드측 진공흡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밴드스트립측 진공흡입구는 상기 캐비티의 상기 밴드스트립 성형부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가동측 코어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밴드헤드측 진공흡입구는 복수의 상기 주입구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수지주입로로부터 상기 가동측 코어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밴드헤드측 진공흡입구 및 상기 밴드스트립측 진공흡입구는 상기 가동측 금형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진공흡입노즐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코어 및 상기 고정측 코어는 고열전도성 동합금강 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
KR1020100024229A 2010-03-18 2010-03-18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 KR101113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229A KR101113223B1 (ko) 2010-03-18 2010-03-18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229A KR101113223B1 (ko) 2010-03-18 2010-03-18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134A KR20110105134A (ko) 2011-09-26
KR101113223B1 true KR101113223B1 (ko) 2012-02-20

Family

ID=4495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229A KR101113223B1 (ko) 2010-03-18 2010-03-18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2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987Y1 (ko) * 2018-02-12 2018-03-20 김재로 케이블 타이 제작용 금형 장치 및 이에 의하여 제작되는 케이블 타이
KR102518135B1 (ko) * 2020-06-18 2023-04-05 주식회사 이노베이션 불소수지 성형품의 치수보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불소수지 성형품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3755A (ja) 2000-06-15 2001-12-25 Sumitomo Wiring Syst Ltd 射出成形用金型
JP3640053B2 (ja) 1998-01-20 2005-04-20 ローム株式会社 マルチ式トランスファ成形装置
JP2007106120A (ja) 2005-10-04 2007-04-26 Mold Masters Ltd 射出成形装置に用いられる溶融物再流通部材
KR20090127557A (ko) * 2008-06-09 2009-12-14 주식회사 몰드이노 용융 수지 사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0053B2 (ja) 1998-01-20 2005-04-20 ローム株式会社 マルチ式トランスファ成形装置
JP2001353755A (ja) 2000-06-15 2001-12-25 Sumitomo Wiring Syst Ltd 射出成形用金型
JP2007106120A (ja) 2005-10-04 2007-04-26 Mold Masters Ltd 射出成形装置に用いられる溶融物再流通部材
KR20090127557A (ko) * 2008-06-09 2009-12-14 주식회사 몰드이노 용융 수지 사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134A (ko) 201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RP20201318T1 (hr) Kalup za ubrizgavanje, alat za injekcijsko prešanje koji obuhvaća kalup za ubrizgavanje, metode za njihovu upotrebu
CN102179909B (zh) 高光无熔痕蒸汽注塑模具及其使用方法
KR101384310B1 (ko) 사출성형용 금형 복합 냉각장치
KR101113223B1 (ko) 복수의 밴드케이블 성형용 금형
JP2017100434A (ja) 射出成形金型の空冷式スプルーブッシュ
KR100794503B1 (ko) 선택적 단열층을 포함하는 고분자수지 성형용 금형 및 이를이용한 성형 방법
JP3646552B2 (ja) 成形金型装置
KR20110066867A (ko) 사출성형방법
KR20110076799A (ko) 사출성형방법 및 사출성형장치
JP2008137275A (ja) 金型装置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030595B1 (ko) 웰드레스 방식의 사출금형 장치
JP2010105363A (ja) 成形金型装置の温度制御装置及び成形金型システム
JP4281590B2 (ja)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二次成形時における加熱媒体と樹脂材との切替装置
JP4023464B2 (ja)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二次成形時における加熱媒体と樹脂材との切替装置
KR101554491B1 (ko) 라디에이터 그릴 성형용 사출 성형 금형 및 그 제조 방법
JP3914476B2 (ja) 射出成形金型
CN220373802U (zh) 注塑模具及注塑设备
JP5869442B2 (ja) フィルムインサート成形装置
CN212400265U (zh) 一种注塑模具
CN208375827U (zh) 一种具有良好冷却效果的注塑模具
JP3369962B2 (ja) ガスアシスト成形法による樹脂製品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JP2010110932A (ja) 射出成形装置
JPH0857904A (ja) 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JP5436153B2 (ja) 射出成形用金型の製造方法
JP2022160109A (ja) 多段式金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