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743B1 -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743B1
KR101110743B1 KR1020090075650A KR20090075650A KR101110743B1 KR 101110743 B1 KR101110743 B1 KR 101110743B1 KR 1020090075650 A KR1020090075650 A KR 1020090075650A KR 20090075650 A KR20090075650 A KR 20090075650A KR 101110743 B1 KR101110743 B1 KR 101110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lling material
strip
groove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8053A (ko
Inventor
조장환
Original Assignee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90075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743B1/ko
Publication of KR20110018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흙막이벽을 지지하는 띠장 및 버팀대의 설치로써 발생되는 흙막이벽과 띠장 사이의 홈을 메우기 위한 홈메움재 및 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성을 지닌 다양한 형태와 치수의 마그네틱판을 이용하여 홈메움재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작업속도가 빠르고 일정한 시공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해체된 홈메움재의 재사용이 가능한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 및 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흙막이벽, 띠장, 마그네틱, 자성, 버팀대, 홈메움재

Description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의 설치구조{Installed Structure Of Magnetic Backfilling Member for Wale}
본 발명은 흙막이벽(10)을 지지하는 띠장(14) 및 버팀대(16)의 설치로써 발생되는 흙막이벽(10)과 띠장(14) 사이의 홈(20)을 메우기 위한 홈메움재 및 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성을 지닌 마그네틱판을 이용하여 홈메움재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작업속도가 빠르고 일정한 시공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해체된 홈메움재의 재사용이 가능한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 및 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흙막이벽의 시공방법에는 크게 자립식 흙막이 공법, 버팀대식 흙막이 공법, 어스앵커식 흙막이 공법 등으로 나뉜다.
상기 버팀대식 흙막이 공법은 흙막이벽을 설치하고 3 내지 4 미터씩 굴착하면서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띠장(wale)과 버팀대(strut)로 지지하도록 하는 공법으로 어스앵커식 흙막이 공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도심지 공사 등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흙막이벽(10)을 지지하는 띠장(14) 및 버팀대(16)의 설치로써 발생되는 흙막이벽(10)과 띠장(14) 사이의 홈(20)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홈메움재(30a, 30b)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팀대식 흙막이 공법은 흙막이벽(10)의 H-파일이나 쉬트파일(sheet-file) 등에 브래킷(12)을 접합 설치한 후, 브래킷(12) 위에 띠장(14)을 거치하고, 브래킷(12)에 버팀대(16)를 접합 설치한다. 이때 흙막이벽(10)과 띠장(14) 사이에 홈(20)이 발생한다.
상기 홈(20)은 띠장(14)과 버팀대(16)의 정밀시공으로 되도록 발생되지 말아야 하나 건설현장의 시공편의에 따른 사정상 빈번하게 발생된다. 상기 홈(20)으로 인하여 토압에 대한 버팀대(16)의 지지력이 띠장(14)을 경유하여 흙막이벽(10)에 전달되지 못하므로 흙막이벽(10)의 배부름, 파손 및 붕괴 등 유발된다. 따라서 건설현장에서는 홈메움재 등을 사용하여 상기 홈(20)을 메워야 하는 것이 원칙이나 잘 지켜지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 원칙을 준수하여 상기 홈(20)을 메우는 건설현장의 경우, 보통 상기 홈메움재로 목재블록을 사용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메움재로 띠장(14)과 유사한 크기의 H-파일(30a) 또는 강관(30b) 등을 홈(20)의 크기로 절단하여, 상기 홈(20)에 삽입한 후 흙막이벽(10)의 H-파일이나 쉬트파일(sheet-file) 등 및 띠장(14)에 용접 접합하여 사용해 왔다.
그러나, 상기 목재블록을 이용한 홈메움재를 이용한 종래의 띠장용 홈메움재 는 목재블록의 변형과 이탈이 우려되고, 상기 절단된 H-파일 또는 강관 등의 홈메움재(30a, 30b)를 이용한 종래의 띠장용 홈메움재는 토치(torch) 내지 용접기를 사용한 공정이 많아 설치 및 해체작업이 어렵고 화재위험이 높으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기능공의 숙련도가 보장되지 않을 경우 시공품질을 확보하기 어렵고, 설치 후 해체된 H-파일 또는 강관 등의 홈메움재(30a, 30b)를 재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띠장용 홈메움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으로서, 자성을 지닌 다양한 형태와 치수의 마그네틱판을 이용하여 홈메움재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작업속도가 빠르고 일정한 시공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해체된 홈메움재의 재사용이 가능한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 및 이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흙막이벽(10)을 지지하는 띠장(14) 및 버팀대(16)의 설치로써 발생되는 흙막이벽(10)과 띠장(14) 사이의 홈(20)을 메우기 위한 홈메움재 및 이의 설치구조에서, 상기 홈메움재는 소정의 두께와 자성(磁性)을 가진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마그네틱판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a, 40b, 40c) 및 이의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홈메움재로 미리 제작된 기성 마그네틱 제품을 사용하고, 자성에 의한 부착력을 이용하여 용접과정이 생략되므로,
첫째, 기능공의 고도의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는다.
둘째, 화재위험 및 사고위험으로부터 안전하며 홈메움재의 설치 및 해체시 시공이 간편하다.
셋째, 홈메움재의 설치 후 하자가 발생한 경우 간편하게 해체하여 재설치할 수 있다.
넷째, 홈메움재의 탈부착시 파손의 우려가 적어 재사용 가능하므로 전용율이 높고 경제적이다.
넷째, 홈의 형태 및 길이 등에 무관하게 홈메움재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a, 40b, 40c)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의 설치구조의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a, 40b, 40c) 및 이의 설치구조는 종래의 흙막이벽(10)을 지지하는 띠장(14) 및 버팀대(16)의 설치로써 발생되는 흙막이벽(10)과 띠장(14) 사이의 홈(20)을 메우기 위한 홈메움재에서, 상기 홈메움재는 소정의 두께와 자성(磁性)을 가진 한 개 내지 여러 개의 마그네틱판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흙막이벽(10)은 마그네틱판의 자성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a, 40b, 40c)의 특성상 주로 H-파일이나 쉬트파일(sheet-file) 등 철재로 이루어진 부위가 될 것이나, 상기 띠장(14)에도 상기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a, 40b, 40c)가 자성으로 부착 설치되는 것을 고려할 때 다른 재질의 흙막이벽(10)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흙막이벽(10)은 반드시 흙막이벽(10)에만 한정되지 않고 수직 또는 수평부재인 파일(file), 기둥, 벽, 보 등의 수직면이나 파일(file), 기둥, 벽, 보 등의 수직거푸집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사부재가 될 수도 있다.
마그네틱판을 이용한 상기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a, 40b, 40c)는 사전제작된 강성과 내구성이 보장되는 기성품으로 통상적인 영구자석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통상적인 영구자석은 50W×120L×58H 규격일 경우 강재에 대한 부착력이 150㎏/ea 정도이므로, 흙막이벽(10)과 띠장(14)사이에서 받는 전단응력 그리고 편심에 의한 인장응력 및 압축응력 등에 충분히 안정적이다.
본 발명의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a, 40b, 40c)의 시공순서는 다음과 같다.
흙막이벽(10)에 브래킷(12), 띠장(14) 및 버팀대(16) 등을 차례로 설치한 후, 흙막이벽(10)과 띠장(14)사이에 발생한 홈(20)을 청소한다. 이어서 마그네틱판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a, 40b, 40c)을 부착할 위치를 선정하여 흙막이벽(10)과 띠장(14)에 표시한다. 홈(20)의 길이만큼 여러 개의 상기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a, 40b, 40c)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적층시키면서, 상기 홈(20)에 삽입하여 흙막이벽(10)과 띠장(14)에 부착 설치한다. 또한, 흙막이벽(10)에 브래킷(12)을 시공한 후 띠장(14)과 버팀대(16)를 설치하기에 앞서 먼저 홈(20)의 길이를 예측하여 상기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a, 40b, 40c)를 적층하여 부착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a, 40b, 40c)의 적층방향은 홈(20)의 형태 및 길이 등을 고려하여 수직과 수평 모두 가능하지만, 대체로 수직부재인 흙막이벽(10)을 띠장(14)과 버팀대(16)가 수평력으로 지지하는 구조이므로 도 4와 같이 주로 수평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a, 40b, 40c)의 단면은 제1실시예로써 도 3(a)와 같은 사각형(40a) 또는 직사각형이거나, 제2실시예로써 도 3(b)와 같은 직각삼각형(40b) 또는 삼각형 등의 쐐기(wedge) 모양일 수도 있으며, 제3실시예로써 도 3(c)와 같이 하단이 개방된 ㄷ자 모양(40c)인 소위 말굽자석의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그 밖에 다양한 형태와 치수로 모듈화될 수도 있다.
공사현장의 면적이 적은 도심지공사에 많이 이용되는 Top Down 공법과 슬러리월(slurry wall) 등의 시공에서, 슬래브 연결용 이음철근(dowel bar)의 부위에는 띠장(14) 및 버팀대(16)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현장사정상 불가피하게 상기 띠장(14) 및 버팀대(16)를 설치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래브 연결용 이음철근(dowel bar)과 홈메움재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3실시예의 본 발명의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c)를 이용하면 시방서의 규준을 준수하면서 융통성있는 시공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홈(20)의 형태 및 길이 등에 따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흙막이벽(10)과 흙막이벽(10)이 만나는 흙막이벽(10)의 코너(corner) 등과 같이 흙막이벽(10)과 띠장(14)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 더욱 유용하게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c)의 설치구조의 제4실시예이다.
제4실시예는 상기 흙막이벽(10)과 띠장(14) 사이의 홈(20)에, 일단은 흙막이벽(10)에 타단은 띠장(14)에 브래킷(12)의 수평재와 수평으로 접합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지지철근(50);을 포함하고,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상기 하단이 개방된 ㄷ자 모양의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c)가 상기 설치된 지지철근(50)의 위에서 아래로 끼워져 수평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실시예는 주로 흙막이벽(10)과 띠장(14) 사이의 홈(20)의 길이가 긴 경우에 사용된다. 홈(20)에 설치된 상기 지지철근(50)은 상기 하단이 개방된 ㄷ자 모양의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c)의 적층이 쉽도록 유도하고, 상기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c)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설치된 상기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a, 40b, 40c)가 시공위치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흙막이벽(10) 또는 띠장(14) 등에 보강재(6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재(60)가 상기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a, 40b, 40c)의 측면에 밀착하게 되므로 상기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a, 40b, 40c)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상기 보강재(60)는 주로 철근 또는 강재의 조각 등을 용접하여 접합된다. 특히, 상기 보강재(60)는 흙막이벽(10)과 띠장(14)간에 평행이 유지되기 어려운 흙막이벽(10)과 흙막이벽(10)이 만나는 흙막이벽(10)의 코너(corner) 등에서와 같이 상기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a, 40b, 40c)의 미끄러짐 내지 이탈이 우려되는 곳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흙막이벽을 지지하는 띠장 및 버팀대의 설치로써 발생되는 흙막이벽과 띠장 사이의 홈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홈메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의 설치구조의 제1실시예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의 설치구조의 제2실시예이 다.
도 4(c)는 본 발명의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의 설치구조의 제3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의 설치구조의 제4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흙막이벽
12: 브래킷
14: 띠장
16: 버팀대
20: 홈
30a, 30b: 종래의 홈메움재
40a, 40b, 40c: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
50: 지지철근
60: 보강재

Claims (8)

  1. 흙막이벽(10)을 지지하는 띠장(14) 및 버팀대(16)의 설치로써 발생되는 흙막이벽(10)과 띠장(14) 사이의 홈(20)을 메우기 위한 홈메움재의 설치구조에서,
    상기 홈메움재는 소정의 두께와 자성(磁性)을 가진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마그네틱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a, 40b, 40c) 및,
    상기 흙막이벽(10)과 띠장(14) 사이의 홈(20)에 설치된 상기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a, 40b, 40c)가 이탈되지 않도록 흙막이벽(10) 또는 띠장(14)에 접합 설치되는 보강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a, 40b, 40c)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의 설치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a)는 마그네틱판의 단면이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의 설치구조.
  3. 제1항에서,
    상기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b)는 마그네틱판의 단면이 쐐기(wedge)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의 설치구조.
  4. 제1항에서,
    상기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c)는 마그네틱판의 형상이 하부가 개방된 ㄷ자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의 설치구조.
  5. 삭제
  6. 삭제
  7. 흙막이벽(10)을 지지하는 띠장(14) 및 버팀대(16)의 설치로써 발생되는 흙막이벽(10)과 띠장(14) 사이의 홈(20)을 메우기 위한 홈메움재의 설치구조에서,
    상기 흙막이벽(10)과 띠장(14) 사이의 홈(20)에, 일단은 흙막이벽(10)에 타 단은 띠장(14)에 수평으로 접합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지지철근(5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철근(50)에 제4항의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40c)가 위에서 아래로 끼워져 수평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의 설치구조.
  8. 삭제
KR1020090075650A 2009-08-17 2009-08-17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의 설치구조 KR101110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650A KR101110743B1 (ko) 2009-08-17 2009-08-17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650A KR101110743B1 (ko) 2009-08-17 2009-08-17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053A KR20110018053A (ko) 2011-02-23
KR101110743B1 true KR101110743B1 (ko) 2012-02-24

Family

ID=43775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650A KR101110743B1 (ko) 2009-08-17 2009-08-17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7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943B1 (ko) 2020-01-15 2020-06-16 (주)엔아이스틸 가시설 띠장 간격 홈메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670B1 (ko) * 2019-12-16 2021-02-05 삼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띠장과 흙막이 사이 틈새 메움을 위한 선행하중잭
KR102212671B1 (ko) * 2019-12-16 2021-02-05 삼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선행하중잭을 이용한 rc조 지하건축물의 역타공법
KR102431162B1 (ko) * 2020-05-26 2022-08-10 삼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흙막이벽 지지용 선행하중잭
KR102425060B1 (ko) * 2020-05-26 2022-07-26 삼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지지면 보정기능을 가진 흙막이벽 띠장용 선행하중잭
KR102425064B1 (ko) * 2020-05-26 2022-07-26 삼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흙막이 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8376A (ja) * 1995-02-20 1996-08-27 Tadao Nishida 山留壁の支持装置
KR20100138455A (ko) * 2009-06-25 2010-12-31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띠장용 홈메우기 블록 및 홈메우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8376A (ja) * 1995-02-20 1996-08-27 Tadao Nishida 山留壁の支持装置
KR20100138455A (ko) * 2009-06-25 2010-12-31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띠장용 홈메우기 블록 및 홈메우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943B1 (ko) 2020-01-15 2020-06-16 (주)엔아이스틸 가시설 띠장 간격 홈메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053A (ko) 201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743B1 (ko)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의 설치구조
KR101107300B1 (ko) 강판전단벽
KR100654075B1 (ko) 덮개형 전단구속판을 갖는 강재 영구거푸집 보 및 그를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KR101983719B1 (ko) 교각 구조물용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JP6648990B2 (ja) 基礎構造
KR101954155B1 (ko)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79660A (ko) 지지부재 취부 돌출 거치쇄 수평 보의 끼움 결합구조
JP2018168600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JP4347846B2 (ja) 橋脚補強方法
KR102121943B1 (ko) 가시설 띠장 간격 홈메움 장치
JP2020079496A (ja) 地下構造物の頂版の構築方法
JP2016205051A (ja) 構造物の施工方法
KR101287739B1 (ko) 널말뚝식 복합 모듈러 교대 및 그의 시공 방법
JP2018059397A (ja) 大スパンコンクリート床版型枠および該床版型枠を用いた施工方法
KR20130098579A (ko) 흙막이 가설시스템
JP6785591B2 (ja) 先行エレメントの端部構造および地中連続壁の施工方法
KR101664668B1 (ko)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JP2014206025A (ja) カルバート
KR102142185B1 (ko) 줄눈 록킹재와 줄눈 고정재를 통한 벽돌 벽체 내진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돌 벽체의 시공 방법
JP5872332B2 (ja) 建物の耐震補強方法
JP2017186819A (ja) 杭頭免震構造における免震装置の交換方法
KR102098141B1 (ko) 흙막이벽체를 이용한 구조물 지하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구조물 지하벽체
JP6684088B2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耐震補強方法
JP5123967B2 (ja) 免震化方法
KR101413551B1 (ko)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