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671B1 - 선행하중잭을 이용한 rc조 지하건축물의 역타공법 - Google Patents

선행하중잭을 이용한 rc조 지하건축물의 역타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671B1
KR102212671B1 KR1020190168104A KR20190168104A KR102212671B1 KR 102212671 B1 KR102212671 B1 KR 102212671B1 KR 1020190168104 A KR1020190168104 A KR 1020190168104A KR 20190168104 A KR20190168104 A KR 20190168104A KR 102212671 B1 KR102212671 B1 KR 102212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nstalling
thumb pile
hydraulic cylinder
pressur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찬
Original Assignee
삼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8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02D29/05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further excavation of the cross-section proceeding underneath an already installed part of the structure, e.g. the roof of a tunn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C조 지하건축물의 건축을 위한 역타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a) 흙막이벽용 엄지말뚝을 설치하는 단계(S1단계); b) 지반을 부분 굴토하여 지상 1층 바닥판의 거푸집 설치를 위한 지지브라켓을 상기 엄지말뚝에 설치한 후, 테두리에 띠장이 일체로 부착된 일체형 거푸집지지틀을 상기 지지브라켓에 거치시시키는 단계(S2단계); c) 상기 띠장의 전면플랜지와 엄지말뚝 사이의 틈새에 선행하중잭을 설치하여 일체형 거푸집지지틀에 의한 흙막이벽의 지지구조를 구축하는 단계; d) 일체형 거푸집지지틀의 하부를 굴토함과 동시에 일체형 거푸집지지틀의 상면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S4단계); e)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지상 1층 바닥판 콘크리트를 구축하는 단계(S5단계); f) 지하 1층의 거푸집 설치를 위한 지지브라켓을 상기 엄지말뚝에 설치하고, 상기 S2단계에서 설치된 일체형 거푸집지지틀을 하강시켜 지하 1층의 지지브라켓에 거치시키는 단계(S6단계); g) 상기 S3 내지 S6의 각 단계를 반복하여 최하층 바닥판까지의 콘크리트 타설을 완료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행하중잭을 이용한 RC조 지하건축물의 역타공법{CONSTRUCTION TOP-DOWN METHOD FOR UNDERGROUN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ING PRELOAD JACK}
본 발명은 RC조 지하건축물의 건축을 위한 역타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닥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일체형 거푸집지지틀을 굴토면의 흙막이벽에 대한 버팀부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선행하중잭을 이용하여 구조적인 안정성과 시공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건축물의 역타공법에 관한 것이다.
탑다운공법(Top-down Method)이라고도 불리는 역타공법은 먼저 지중에 연속벽 구조로 흙막이벽을 시공한 다음 굴착을 진행하면서 상부에서 하부로 지하건축물을 점차 구축해나가는 방식의 공법으로서, 지하건축물의 건축과 동시에 지상건축물의 건축공사를 진행할 수 있어 공기가 대폭 단축되고, 초기에 지상1층 바닥슬래브가 구축되기 때문에 이를 자재 야적장 등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날씨와 관계없이 지하공사를 진행할 수 있어, 특히 도심지를 중심으로 매우 많은 각광을 받는 공법이다.
도 1은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261775호에 개시된 것으로서 RC조의 지하건축물을 역타공법으로 건축하는 과정중의 일부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등록번호 10-0261775호의 역타공법은, ⅰ) 지중에 지중연속벽(1)을 구축하고 그 내부에 강기둥(2)을 설치하는 단계, ⅱ) 지중연속벽(1)과 강기둥(2)에 브라켓을 설치하는 단계, ⅲ) 브라켓에 거푸집 지지틀(100)을 거치시키고 상기 거푸집 지지틀(100)의 상면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ⅳ)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이를 양생하는 단계, ⅴ) 거푸집 지지틀(100)을 하강시키는 단계 및, ⅵ) 위 ⅱ) 내지 ⅳ)를 반복하여 지하건축물을 완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 진다.
이러한 등록번호 10-0261775호의 역타공법은 앵생된 바닥판 콘크리트가 지중연속벽(1)에 대한 버팀부재의 역할을 해야 하기 때문에, 바닥판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그 하부의 굴토 등 후속작업을 진행할 수 없게 된다.
아울러 상기 등록번호 10-0261775호의 역타공법은 콘크리트가 타설된 거푸집 지지틀(100)을 현수부재로 현수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고중량을 현수할 수 있는 매우 굵은 현수부재를 설치하거나 그 설치 개소를 크게 증가하여야 하며, 이러한 점은 현수구조를 위한 작업 뿐만 아니라 바닥의 철근 배근작업과 거푸집의 설치작업 등을 매우 번거롭게 한다.
KR 10-0261775 B1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푸집지지틀을 현수중량을 최소화하여 현수부재의 규격 및 설치 개소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바닥판 콘크리트의 양생 완료와 관계없이 후속 굴토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공기단축에 의한 경제성을 확보하며, 흙막이벽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의 발생 여지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RC조의 지하건축물에 대한 역타공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a) 흙막이벽용 엄지말뚝을 설치하는 단계(S1단계); b) 지반을 부분 굴토하여 지상 1층 바닥판의 거푸집 설치를 위한 지지브라켓을 상기 엄지말뚝에 설치한 후, 테두리에 띠장이 일체로 부착된 일체형 거푸집지지틀을 상기 지지브라켓에 거치시시키는 단계(S2단계); c) 상기 띠장의 전면플랜지와 엄지말뚝 사이의 틈새에 선행하중잭을 설치하여 일체형 거푸집지지틀에 의한 흙막이벽의 지지구조를 구축하는 단계; d) 일체형 거푸집지지틀의 하부를 굴토함과 동시에 일체형 거푸집지지틀의 상면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S4단계); e)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지상 1층 바닥판 콘크리트를 구축하는 단계(S5단계); f) 지하 1층의 거푸집 설치를 위한 지지브라켓을 상기 엄지말뚝에 설치하고, 상기 S2단계에서 설치된 일체형 거푸집지지틀을 하강시켜 지하 1층의 지지브라켓에 거치시키는 단계(S6단계); g) 상기 S3 내지 S6의 각 단계를 반복하여 최하층 바닥판까지의 콘크리트 타설을 완료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건축물의 역타공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선행하중잭은 띠장의 전면플랜지에 고정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로부터 신장하여 엄지말뚝을 가압하여 선행하중을 가하면서 상기 엄지말뚝을 가지지하는 가압로드 및, 상기 유압실린더의 외면을 타고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로드를 대체하여 엄지말뚝을 본지지하는 지지관체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여, 를 가지게 하여 시공성, 안정성 등의 효과를 도모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선행하중잭에 의한 지지구조는, a) 유압실린더의 후단을 띠장의 전면플랜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가압로드를 신장하여 엄지말뚝에 선행하중을 가하면서 흙막이벽을 가지지하는 단계; b) 유압실린더 외면에 위치한 지지관체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그 선단을 엄지말뚝에 밀착시키는 단계(ST2단계); c) 가압로드를 후퇴시켜 가압로드에 의한 흙막이벽의 가지지가 지지관체에 의한 본지지로 대체시키는 단계(ST3단계);가 순차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이러한 선행하중잭에는 지지관체 이동의 상한치를 설정하는 작동범위설정수단과, 띠장의 전면플랜지와 엄지말뚝이 대향하는 면의 비평행상태를 보정하는 각도조정수단 및, 선행하중잭의 설치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가고정수단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관체와 엄지말뚝 사이에 확장지지체를 개입시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고, 띠장과 엄지말뚝 사이의 틈새가 지나치게 큰 경우에도 선행하중잭의 규격을 증가시키지 않게 하는 등 선행하중잭의 범용성을 향상시키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체형 거푸집지지틀에 의해 흙막이벽의 배면토압이 지지되므로, 바닥판 콘크리트의 구축을 위한 작업의 진행과 동시에 그 하부에 대한 굴토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공기가 대폭 단축된다.
또한 상기 일체형 거푸집지지틀은 서로 대향하는 흙막이벽 사이에 단일구조로 설치되므로 양측 흙막이벽 배면토압에 대하여 충분한 지지력을 발휘하게 될 뿐 아니라, 각 테두리가 띠장으로 일체화되기 때문에 지지구조의 구조적 안정성이 매우 높다.
또한 현수부재에 의한 현수대상은 일체형 거푸집지지틀의 자중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현수부재의 규격과 설치 개소를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량이 감소되고, 다수의 현수작업 불일치에 따른 시공오차의 발생여지가 줄어든다.
또한 띠장과 엄지말뚝 사이의 연결 내지 지지구조가 선행하중잭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흙막이벽이 시공오차를 쉽게 보정할 수 있으므로 흙막이벽 지지구조에 대한 신뢰성이 매우 높아지고, 상기 선행하중잭의 설치 및 해제가 가압로드와 지지관체의 유기적인 관계속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면서 용이하게 되어 높은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역타공법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역타공법을 위한 흙막이벽 지지구조 및 일체형 거푸집지지틀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및 A-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9는 본 발명에 의한 역타공법의 각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선행하중잭에 관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선행하중잭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는 각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선행하중잭에 설치될 수 있는 확장지지체의 각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확장지지체의 설치에 관한 각 단면도이다.
도 14는 가고정수단이 설치된 선행하중잭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가고정수단 작용의 설명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각도조정체가 설치된 선행하중잭의 사시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각도조정체 작용의 설명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작동범위설정수단이 설치된 선행하중잭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작동범위설정수단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는 각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역타공법으로 RC조의 지하건축물을 건축하기 위하여 바닥판 콘크리트(25) 타설용 거푸집(24)을 지지하는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로 하여금 굴토면의 흙막이벽(10)을 지지하는 버팀부재로 활용함으로써, 가설공사를 최소화하고 신속하면서 안정적인 공사진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은, 거푸집(24)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를 지지하여 상부하중을 내부의 H형강 기둥(12) 내지는 흙막이벽(10)의 엄지말뚝(11)에 전달하는 지지거더(21)와, 각 지지거더(21)의 일체화를 위하여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빔(22) 및, 흙막이벽(10)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테두리에 설치되는 띠장(23)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지지거더(21)와 가로빔(22) 및 띠장(23)은 일체적 구조를 가진다. 아울러 이러한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은 서로 대향하는 흙막이벽(10) 사이에서 단일구조로 설치된다.
흙막이벽의 띠장은 통상적으로 흙막이벽에 직접 설치되는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공사의 진행에 따라 흙막이벽(10)의 전면을 따라 하강할 수 있도록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의 일부로 설치된다.
한편, 통상적인 경우처럼 흙막이벽(10)에 띠장(23)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흙막이벽(10)을 일직선으로 설치하여 띠장(23)과 밀착될 수 있도록 직진성을 유지시키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띠장(23)이 함께 구비된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은 흙막이벽(10)의 전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흙막이벽(10)과 상기 띠장(23) 사이에는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의 하강을 위한 최소한의 간극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흙막이벽(10)과 띠장(23)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흙막이벽(10)의 엄지말뚝(11)과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 사이에 선행하중잭(30)을 설치하여 흙막이벽(10)의 배면 토압이 상기 선행하중잭(30)을 매개로 하여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도 2은 이러한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과 선행하중잭(30)이 설치된 상태를 평면 및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 내지 9는 본 발명에 의해 지하건축물을 건축하는 각 단계를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건축물의 역타공법은 도 3 내지 9에 각 도시된 바와 같이, a) 엄지말뚝(11)의 설치 단계, b)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의 설치 단계, c) 흙막이벽 지지구조의 구축 단계, d) 거푸집(24)의 설치 단계, e) 지상 1층 바닥판 콘크리트(25) 구축 단계, f)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의 하강 및 설치 단계, g) 반복 작업에 의한 최하층 바닥판 콘크리트(25)의 구축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관하여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엄지말뚝(11)의 설치 단계(S1단계, 도 3);
지중에 H형강으로 이루어진 흙막이벽용 엄지말뚝(11)을 설치하여 흙막이벽(10)을 구축한다.
상기 흙막이벽(10)은 CIP말뚝을 연속시켜 연속벽 구조일 수도 있고, H형강의 엄지말뚝(11) 사이에 토류판을 설치하는 구조 또는, 슬러리월 구조일 수도 있다.
그 중 CIP말뚝에 의한 연속벽 구조인 경우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CIP말뚝 내에 상기 엄지말뚝(11)이 매입되는 바, 그 엄지말뚝(11)은 굴토과정을 통해 전면이 노출되어 후속 단계에 의한 지지브라켓(13)이 설치된다.
다만 슬러리월의 연속벽 구조인 경우에는 그 내부에 H형강이 매입되지 않을 수 있으나, 이 경우의 엄지말뚝(11)은 버팀부재에 의한 하중의 지지점이 되는 부분으로 정의된다.
본 단계에서 흙막이벽(10)으로 구획된 건축공간 내부에 본기둥이 되는 H형강 기둥(12)이 더 설치될 수 있다.
b)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의 설치 단계(S2단계, 도 4);
지상 1층 바닥판 콘크리트(25)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지반을 부분 굴토한다. 이에 의해 엄지말뚝(11)의 일부가 노출되는 바, 노출된 엄지말뚝(11)에 지상 1층 바닥판 콘크리트(25)의 거푸집(24) 설치를 위한 지지브라켓(13)을 설치한다. 내부에 H형강 기둥(12)이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H형강 기둥(12)에도 지지브라켓(13)을 설치한다.
지지브라켓(13)의 설치가 완료되면 그 상면에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을 거치시킨다.
상기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거더(21)와 가로빔(22)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형상의 테두리에 띠장(23)이 일체로 부착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엄지말뚝(11)에 설치된 지지브라켓(13)의 상면에는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의 띠장(23)이 흙막이벽(10)과 마주보는 상태로 놓여진다.
이때, 상기 띠장(23)은 흙막이벽(10)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됨으로써 띠장(23)이 포함된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의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로 인하여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와 엄지말뚝(11)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된다.
c) 흙막이벽 지지구조의 구축 단계(S3단계, 도 5);
본 단계에서는 흙막이벽(10)의 지지구조를 구축함으로써 후속하는 굴토과정 중에 배면토압에 의해 흙막이벽(10)이 붕괴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흙막이벽(10)의 지지구조는 지지브라켓(13)에 거치된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은 흙막이벽(10)에 대한 버팀부재 기능을 함으로써 별도의 지보재의 설치를 요하지 않게 한다.
이를 위하여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와 엄지말뚝(11)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선행하중잭(30)을 설치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선행하중잭(30)은 흙막이벽(10)에 선행하중을 가하면서 이를 가지지(假支持)하는 기능과 최종적으로 상기 흙막이벽(10)의 지지구조를 완성하는 본지지(本支持)의 기능이 함께 구비되면서 이들 가지지와 본지지가 유기적인 관계속에서 교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0 내지 18은 상기한 선행하중잭(30)의 각 실시예 및 그들의 각 작동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선행하중잭(30)은, 유압실린더(31)와, 유압실린더(31)에 의해 작동되는 가압로드(32) 및, 유압실린더(31) 외면을 타고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지지관체(33)로 이루어진다.
유압실린더(31)는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에 고정 설치되어 유압으로 가압로드(32)가 신축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그 자체가 흙막이벽 지지구조의 일부가 된다.
이러한 유압실린더(31)는 후단이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가압로드(32)를 신장시켜 엄지말뚝(11)을 가압하면서 가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그 구조를 제한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유압실린더(31)의 중앙 후방에 가압로드(32)의 신장을 위한 유압실(314)이 위치한 구조의 것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작업의 효율성을 위하여 공중에 설치 고정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314)이 링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지게 하면서 가압로드(32)의 구성을 내부가 빈 관체형상의 단면을 가지게 함으로써 선행하중잭(30)의 자중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링형상 구조의 유압실(314)을 가진 유압실린더(31)는, 후단이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에 접하게 되는 내관(311)과, 상기 내관(311)이 삽입되는 외관(312) 및, 가압로드(32)를 안내하면서 그의 신장을 제한하는 안내관(313)으로 이루어진다.
내관(311)의 외면과 외관(312)의 내면 사이에는 밀폐된 유압실(314)을 형성하여 가압로드(32)의 작동을 위한 유체가 충진될 수 있도록 한다. 가압로드(32)는 상기 유압실(314)의 전면에 위치하여 유압실(314)에서 발생되는 유압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안내관(313)은 내관(311) 선단의 외면과 함께 개구를 형성하여 가압로드(32)의 출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관(312)의 선단 내측에 위치한다.
아울러 안내관(313)의 후방에는 멈춤턱(313a)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가압로드(32)의 후단부에 걸림턱(321)이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로드(32)는 걸림턱(321)이 멈춤턱(313a)에 걸림되는 지점까지만 전방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가압로드(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31)로부터 신장하여 엄지말뚝(11)을 가압하여 선행하중을 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후술하는 지지관체(33)에 의한 본지지가 이루어질 때까지 가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지지관체(33)에 의한 본지지가 이루어지면 가압로드(32)는 후퇴하게 되고, 이에 따라 흙막이벽(10)에 대한 지지기능을 상실하게 되나, 선행하중잭(30)에 의한 흙막이벽 지지구조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 다시 신장하여 흙막이벽(10)을 가압함으로써 지지관체(33)의 후방으로 이동이 쉽게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지지관체(33)의 전후방 이동은 다양한 수단에 의할 수 있으나, 지지관체(33)의 전방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흙막이벽(10)의 배면토압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유압실린더(31)와 지지관체(33)의 사이에 충분한 고정력이 유지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대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나사체결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의 나사체결방식에 의한 경우에는 지지관체(33)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고정되는 거리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띠장(23)과 여러 엄지말뚝(11) 사이의 다양한 틈새(△) 간격에 모두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띠장(23)과 흙막이벽(10) 사이의 연결구조에 대한 시공의 정밀성을 도모할 수 있고, 다수 개의 나사산이 상호 물림되어 있어 유압실린더(31)와 지지관체(33) 사이에 높은 고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지지구조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유압실린더(31)와 지지관체(33) 사이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해머 등의 공구없이 수작업만으로도 쉽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유압실린더(31)의 외면에는 수나사(312a)가 형성되고, 지지관체(33)의 내면에는 암나사(332)가 형성된다.
도 11은 상기한 구조의 선행하중잭(30)을 이용하여 띠장(23)과 엄지말뚝(11) 사이의 지지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는 작업과정을 각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31)의 후단을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가압로드(32)를 신장하여 엄지말뚝(11)에 선행하중을 가하면서 흙막이벽(10)을 가지지한다(ST1단계). 이에 의해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장(23)과 흙막이벽(10) 사이에는 임시적인 가지지 구조가 이루어진다.
가압로드(32)에 의한 가지지 구조가 이루어지면, 그 상태에서 유압실린더(31)의 외면에 위치한 지지관체(33)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도 11의 (c)에서와 같이 그 선단을 엄지말뚝(11)의 전면에 밀착시킨다(ST2단계). 이러한 지지관체(33)의 전방 이동은 흙막이벽(10)의 배면 토압이 가압로드(3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다른 힘을 가하지 않고서도 쉽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작업자는 손으로 지지관체(33)을 나사체결방식으로 단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지지관체(33)의 선단을 엄지말뚝(11)의 전면에 쉽게 밀착시킬 수 있다.
지지관체(33)의 선단이 엄지말뚝(11)의 전면에 밀착되면, 유압실린더(31)의 유압을 제거하여 가압로드(32)를 후방으로 후퇴시킴으로써, 가압로드(32)에 의한 도 11의 (b)의 가지지 구조가 지지관체(33)에 의한 도 11의 (d)의 본지지 구조로 대체되도록 한다(ST3단계).
이때 지지관체(33)의 선단에는 단면이 증가된 구조의 확장면부(3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장면부(331)는 지지관체(33)와 엄지말뚝(11) 사이에 작용하는 하중을 넓게 분산시켜 안정적인 지지구조가 이루어지게 한다.
아울러 상기 확장면부(331)와 함께, 또는 상기 확장면부(331)를 대신하여 지지관체(33)와 분리된 별도의 확장지지체(4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확장지지체(40)는 지지관체(33)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확장면부(331)와 마찬가지로 지지관체(33) 선단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도 12는 이러한 확장지지체(40)의 각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의 (a)에 도시된 실시예의 확장지지체(40)는 한 쌍의 분할확장편(41)과 이들 분할확장편(41)을 연결하는 조립봉(42)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분할확장편(41)은 결합된 상태에서 하나의 로드관통홀(40a)이 형성되도록 각 분할확장편(41)의 일측면 중앙에는 반원홈부(41a)가 형성되고, 상하에는 양측을 관통하는 체결공(41b)이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조립봉(42)은 한 쌍의 분할확장편(41)에 구비된 각 체결공(41b)을 관통하여 너트(43)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한 쌍의 분할확장편(41)이 일체로 된 하나의 확장지지체(40)가 구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가압로드(32)가 엄지말뚝(11)을 가지지한 상태에서 이들 분할확장편(41)을 조립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너트(43)의 체결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로드관통홀(40a)의 규모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양한 규격의 가압로드(32)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로드관통홀(40a)의 규모를 조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어느 일측에만 체결공(41b)과 조립봉(42)에 의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고, 반대쪽의 타측은 한 쌍의 분할확장편(41)이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분할확장편(41)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도 12의 (b)에 도시된 실시예의 확장지지체(40)는 로드관통홀(40a)의 하부를 개방시키면서 단일체로 이루어져 말굽의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말굽 형상의 확장지지체(40)는 하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엄지말뚝(11)을 가지지하고 있는 가압로드(32)가 로드관통홀(40a)에 쉽게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나 하부가 개방된 상기의 말굽 형상의 확장지지체(40)는 가압로드(32)에 걸쳐진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이탈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로드관통홀(40a)의 상면에 회전방지자석(44)을 구비시켜 확장지지체(40)가 가압로드(32)에 부착되게 하거나,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지지체(40)의 상단부에 회전방지자석(44)을 구비시켜 확장지지체(40)가 엄지말뚝(11)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확장지지체(40)의 회전 및 이탈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분리구조의 확장지지체(40)는 상술한 하중분산의 기능외에도,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와 엄지말뚝(11)의 전면 사이가 지나치게 큰 틈새(△)가 발생하여 지지관체(33)만으로 지지하는 것이 적당하지 않은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관체(33)의 선단을 엄지말뚝(11)에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전방으로의 이동을 크게 해야 하고, 이로 인하여 유압실린더(31)와의 나사체결 길이가 필요한 만큼 충분하지 않게 되는 경우, 그 간격의 일부를 메움하여 지지관체(33)의 전방 이동의 정도를 줄여 상기한 나사체결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게 한다.
도 13은 상기한 확장지지체(40)를 매개로 하여 띠장(23)과 엄지말뚝(11) 사이를 구조적으로 연결시키는 작업과정을 각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압로드(32)가 엄지말뚝(11)를 가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13의 (a)}, 상기 가압로드(32)에 확장지지체(40)를 설치하고{도 13의 (b)}, 지지관체(33)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그 선단을 확장지지체(40)의 후면에 밀착 시킨 후{도 13의 (c)}, 가압로드(32)를 후퇴시켜 지지관체(33)가 확장지지체(40)를 매개로 하여 흙막이벽(10)을 본지지하면서 띠장(23)과 엄지말뚝(11) 사이가 구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흙막이벽(10)의 시공상태에 따라 지중에 설치된 각 엄지말뚝(11)의 사이 간격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엄지말뚝(11)에 지지관체(33)가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작업자는 선행하중잭(30)을 손으로만 파지하여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를 따라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그의 설치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데, 선행하중잭(30)의 무거운 하중은 이를 쉽지 않게 하며, 특히 이러한 작업이 공중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선행하중잭(30)의 낙하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하중잭(30)에는 가고정수단(50)을 구비시킬 수 있다.
상기 가고정수단(50)은 선행하중잭(30)의 자중 일부가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에 의해 지지되면서 가고정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쉽게 좌우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그 예의 하나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31)의 후단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자력을 가진 가고정자석(51)을 구비시킴으로써 자력에 의해 유압실린더(31)가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에 부착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유압실린더(31)의 후단 상부에 ㄱ자형 걸침편(52)을 구비시켜 상기 전면플랜지(231) 상단에 걸쳐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고정자석(51)과 걸침편(52)으로 이루어진 가고정수단(50)은, 작업자가 굳이 선행하중잭(30)을 손으로 꽉잡지 않더라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하중잭(30)을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에 걸침 및 부착된 상태로 좌우로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하므로, 선행하중잭(30)의 설치작업에 대한 편의성 및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엄지말뚝(11)은 시공상태에 따라 그 전면이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에 평행하지 않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1의 (a)에 도시된 ST1단계에는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와 엄지말뚝(11)이 대항하는 면의 비평행상태를 보정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하중잭(30)에는 상기한 엄지말뚝(11) 설치의 시공오차를 보정하여 엄지말뚝(11)과 띠장(23) 사이에 하중전달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각도조정체(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정체(60)는 유압실린더(31)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 상단에 걸쳐지는 걸침부(61)와, 상기 걸침부(61)로부터 하방으로 수직 절곡된 지지부(62)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62)와 유압실린더(31) 후단 사이에 각도조정공간(63)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정공간(63)은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 두께보다 큰 폭을 가짐으로써 상기 전면플랜지(231)가 각도조정공간(63)에 삽입된 상태에서 선행하중잭(30)이 상하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해 선행하중잭(30)이 필요한 각도로 회동 조정되면 각도조정공간(63) 중 적어도 유압실린더(31)의 후단과 전면플랜지(231)의 사이공간에 쐐기편(64)을 삽입시켜 선행하중잭(30)이 조정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비평행상태의 보정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정공간(63) 내에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엄지말뚝(11)의 면과 가압로드(32)의 선단면이 맞접되도록 상기 가압로드(32)를 신장시킨 후, 각도조정공간(63) 중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와 유압실린더(31) 후면 사이의 공간에 쐐기편(64)을 삽입시켜 선행하중잭(30)을 띠장(23)과 엄지말뚝(11) 사이에 고정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가압로드(32)가 엄지말뚝(11)을 가압한 상태에서는 각도조정체(60)의 지지부(62)와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 사이 공간에는 쐐기편(64)을 삽입시키지 않아도 무방하나, 가압로드(32)를 쉽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그 공간에도 쐐기편(64)을 삽입시켜 선행하중잭(30)이 띠장(23)에 설치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관체(33)가 유압실린더(31)의 외면을 타고 나사체결방식으로 전방 이동하여 선단이 흙막이벽(10)에 밀착하게 되면, 유압실린더(31)로부터 신장하여 흙막이벽(10)을 가압하여 이를 가지지하고 있었던 가압로드(32)는 후퇴하면서 그 지지구조는 상기 유압실린더(31)에 고정된 지지관체(33)에 의한 지지구조로 대체되면서, 지지관체(33)로 하여금 흙막이벽(10)을 본 지지하게 한다.
그런데 지지관체(33)와 유압실린더(31) 사이에서 하중이 전달되는 과정 중에 응력이 어느 한곳에 집중되지 않고 충분히 분산되어 안정적인 하중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면 유압실린더(31) 외면의 수나사(312a)와 지지관체(33) 내면의 암나사(332)의 체결은 구조계산에 의해 검토된 이상의 충분한 길이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선행하중잭(30)에는 도 18에서 예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지지관체(33) 이동의 상한치를 설정하는 작동범위설정수단(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작동범위설정수단(70)은, 유압실린더(31)의 후단에 설치되는 고정편(71)과, 지지관체(33)의 후단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고정링(72)과, 상기 고정편(7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걸림고정링(72)이 걸림되도록 하여 지지관체(33)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조절수단(7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조절수단(73)은, 선단부에 수나사(731a)가 구비된 조절봉(731)과, 상기 수나사(731a)에 나사체결되도록 관통된 체결홀(732a)의 내면에 암나사(732b)가 구비된 위치고정브라켓(732) 및, 상기 위치고정브라켓(732)과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이동링(733)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걸림이동링(733)은 지지관체(33)를 감싸는 링 형상을 가진 것으로서 상기 지지관체(33)의 외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지지관체(33)가 설정된 만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걸림고정링(72)이 걸림되어 지지관체(33)가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한다.
따라서 지지관체(33)의 전방으로의 최대 이동거리는 상기 걸림이동링(733)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러한 걸림이동링(733)의 위치설정은 조절봉(731) 및 위치고정브라켓(732)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작업자는 조절봉(731)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나사체결방식으로 위치고정브라켓(732)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위치고정브라켓(732)과 일체로 된 걸림이동링(733)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지지관체(33)의 전방이동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조절봉(731)의 후단은 고정편(71)에 구비된 관통공에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헛돌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편(71)은 유압실린더(31)의 후단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걸침편(52) 또는 각도조정체(60)가 설치된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의 상단을 연장시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절봉(731)을 쉽게 회전시키기 위하여 조절봉(731)의 후단에서 연장된 별도의 회전대(미도시)를 구비시킬 수도 있고, 조절봉(731)의 후단면에 공구삽입슬릿(731b)을 구비시킬 수도 있다.
위치조절수단(73)은 걸림이동링(733)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하는 위치에도 설치하는 등 균등 간격으로 복수개를 설치될 수 있으나,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조절수단(73)은 하나만 설치하고 나머지는 걸림이동링(733)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흔들거림을 방지하는 위치안내수단(74)을 설치함으로써 걸림이동링(733)의 위치조정 작업에 대한 신속성을 도모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위치안내수단(74) 역시 위치조절수단(73)에 대응하도록 걸림이동링(733)과 일체로 구성되는 안내브라켓(741)과, 상기 안내브라켓(741)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되는 안내봉(742) 및, 유압실린더(31) 후단에 설치되는 설치편(743)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안내브라켓(741)의 관통공과 안내봉(742)의 선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안내봉(742)도 설치편(74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위치조절수단(73)과 차이가 있다.
도 19는 상기한 작동범위설정수단(70)의 작동관계를 설명한 것으로서, 지지관체(33)의 후단에 구비된 걸림고정링(72)이 걸림이동링(733)에 걸림될 때까지만 지지관체(33)의 전방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지지관체(33)가 지나치게 전방이동하여 선행하중잭(30)의 작동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띠장(23)과 엄지말뚝(11) 사이의 간격이 큰 경우로서 이러한 지지관체(33)의 전방 이동거리 제한에 따라 지지관체(33)가 직접 엄지말뚝(11)을 지지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확장지지체(40)를 그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지지관체(33)의 작동범위설정수단(70)이 구비된 선행하중잭(30) 사용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d) 거푸집(24)의 설치 단계(S4단계, 도 6);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에 의한 흙막이벽 지지구조의 구축이 완료되면, 그 하부를 다시 굴토함과 동시에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의 상면에 지상 1층 구축을 위한 바닥 거푸집과 보 거푸집을 설치한다.
본 단계에서의 굴토는 지하 1층, 즉 차하층의 위치에서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을 설치할 수 있을 정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에 의해 흙막이벽 지지구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닥판 콘크리트(25)를 구축하여 흙막이벽(10)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가 아니라도 후속 공정인 굴토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공기가 대폭 단축된다.
e) 지상 1층 바닥판 콘크리트(25) 구축 단계(S5단계, 도 7);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 상면에 대한 거푸집(24)의 설치가 완료되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지상 1층 바닥판 콘크리트(25)의 구축을 완료시킨다.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포함한 거푸집(24)의 하중지지는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과 지지브라켓(13)을 매개로 하여 엄지말뚝(11)과 내부의 H형강 기둥(12)이 지지하게 된다.
f)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의 하강 및 설치 단계(S6단계, 도 8);
양생 완료된 상기 바닥판 콘크리트(25)는 그의 강막작용을 통해 흙막이벽(1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흙막이벽(10)을 지지하고 있었던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은 그 지지구조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단계에서는 지하 1층의 거푸집(24) 설치를 위한 지지브라켓(13)을 엄지말뚝(11)에 설치하고, 앞서 지상 1층의 거푸집(24)을 위해 설치하였던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을 하강시켜, 지하 1층의 지지브라켓(13)에 거치시킨다. 물론 상기 지지브라켓(13)은 선행한 굴토가 완료된 후 곧바로 설치할 수도 있고, 상부의 지지브라켓(13)을 해체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에 의한 지지구조의 해제는 선행하중잭(30)에 의한 띠장(23)과 엄지말뚝(11) 사이의 지지구조를 해제시킴으로써 곧바로 이루어진다.
선행하중잭(30)의 지지구조 해제 역시 가압로드(32)와의 유기적인 관계속에서 지지관체(33)를 후퇴시킴으로써 쉽게 이루어진다. 즉 먼저 유압실린더(31)를 작동시켜 가압로드(32)로 엄지말뚝(11)을 가압하여 지지관체(33)에 의한 지지력이 상실되게 하면, 손으로 지지관체(33)를 쉽게 회전시켜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흙막이벽(10) 지지구조의 해제 작업 역시 매우 용이하다.
상기한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의 하강은 상부에 고정된 현수부재(미도시)를 통해 이루어지나, 상기 현수부재는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만을 현수하기 때문에 그 규격 및 설치개소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g) 반복 작업에 의한 최하층 바닥판 콘크리트(25)의 구축 단계(도 9);
상기 S3 내지 S6의 각 단계, 즉 선행하중잭(30)에 의한 흙막이벽 지지구조의 구축, 굴토와 동시에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 상면에 거푸집(24) 설치, 바닥판 콘크리트(25) 구축,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의 하강 설치에 관한 각 단계를 반복하여 최하층 바닥판까지의 콘크리트 타설을 완료한다.
상기한 각 단계를 통해 각 바닥판 콘크리트(25)의 구축이 완료되면, 최하층의 바닥부터 다시 순타방식으로 외벽을 타설하면서 지하건축물의 건축을 완료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흙막이벽 11; 엄지말뚝
12; H형강 기둥 13; 지지브라켓
20; 일체형 거푸집지지틀 21; 지지거더
22; 가로빔 23; 띠장
231; 전면플랜지 24; 거푸집
25; 바닥판 콘크리트 30; 선행하중잭
31; 유압실린더 311; 내관
312; 외관 312a,731a; 수나사
313; 안내관 313a; 멈춤턱
314; 유압실 32; 가압로드
321; 걸림턱 33; 지지관체
331; 확장면부 332,732b; 암나사
40; 확장지지체 40a; 로드관통홀
41; 분할확장편 41a; 반원홈부
41b; 체결공 42; 조립봉
43; 너트 44; 회전방지자석
50; 가고정수단 51; 가고정자석
52; 걸침편 60; 각도조정체
61; 걸침부 62; 지지부
63; 각도조정공간 64; 쐐기편
70; 작동범위설정수단 71; 고정편
72; 걸림고정링 73; 위치조절수단
731; 조절봉 731b; 공구삽입슬릿
732; 위치고정브라켓 733; 걸림이동링
74; 위치안내수단 741; 안내브라켓
742; 안내봉 743; 설치편

Claims (14)

  1. a) 흙막이벽용 엄지말뚝(11)을 설치하는 단계(S1단계),
    b) 지반을 부분 굴토하여 지상 1층 바닥판의 거푸집(24) 설치를 위한 지지브라켓(13)을 상기 엄지말뚝(11)에 설치한 후, 테두리에 띠장(23)이 일체로 부착된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을 상기 지지브라켓(13)에 거치시시키는 단계(S2단계),
    c) 상기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와 엄지말뚝(11) 사이의 틈새(△)에 선행하중잭(30)을 설치하여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에 의한 흙막이벽(10)의 지지구조를 구축하는 단계(S3단계),
    d)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의 하부를 굴토함과 동시에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의 상면에 거푸집(24)을 설치하는 단계(S4단계),
    e)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지상 1층 바닥판 콘크리트(25)를 구축하는 단계(S5단계),
    f) 지하 1층의 거푸집(24) 설치를 위한 지지브라켓(13)을 상기 엄지말뚝(11)에 설치하고, 상기 S2단계에서 설치된 일체형 거푸집지지틀(20)을 하강시켜 지하 1층의 지지브라켓(13)에 거치시키는 단계(S6단계),
    g) 상기 S3 내지 S6의 각 단계를 반복하여 최하층 바닥판까지의 콘크리트 타설을 완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선행하중잭(30)은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에 고정 설치되는 유압실린더(31)와, 유압실린더(31)로부터 신장하여 엄지말뚝(11)을 가압하여 선행하중을 가하면서 상기 엄지말뚝(11)을 가지지하는 가압로드(32) 및, 상기 유압실린더(31)의 외면을 타고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로드(32)를 대체하여 엄지말뚝(11)을 본지지하는 지지관체(33)로 이루어지고,
    상기 S3단계는,
    a) 유압실린더(31)의 후단을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가압로드(32)를 신장하여 엄지말뚝(11)에 선행하중을 가하면서 흙막이벽(10)을 가지지하는 단계(ST1단계),
    b) 가압로드(32)가 엄지말뚝(11)을 가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압로드(32)에, 로드관통홀(40a)이 형성되도록 각 일측면 중앙에 반원홈부(41a)가 구비된 한 쌍의 분할확장편(41)과; 이들 분할 확장편(41)의 적어도 어느 일측을 연결하는 조립봉(42);으로 이루어진 확장지지체(40)를 설치한 후, 지지관체(33)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지관체(33)의 선단이 확장지지체(40)를 매개로 엄지말뚝(11)에 밀착되도록 하는 단계(ST2단계),
    c) 가압로드(32)를 후퇴시켜 가압로드(32)에 의한 흙막이벽(10)의 가지지가 지지관체(33)에 의한 본지지로 대체시키는 단계(ST3단계);가 순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건축물의 역타공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31)의 외면에는 수나사(312a)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관체(33)의 내면에는 암나사(332)가 형성되어,
    지지관체(33)의 이동은 나사체결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건축물의 역타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하중잭(30)은 유압실린더(31)에 지지관체(33) 이동의 상한치를 설정하는 작동범위설정수단(70)이 구비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건축물의 역타공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범위설정수단(70)은, 유압실린더(31)의 후단에 설치되는 고정편(71)과, 지지관체(33)의 후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고정링(72)과, 상기 고정편(7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걸림고정링(72)이 걸림되도록 하여 지지관체(33)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조절수단(7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건축물의 역타공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73)은, 선단부의 외면에 수나사(731a)가 형성된 조절봉(731)과, 내면에 암나사(732b)가 형성된 체결홀(732a)이 구비된 위치고정브라켓(732)과, 상기 위치고정브라켓(732)과 일체로 형성된 걸림이동링(733)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건축물의 역타공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하중잭(30)의 유압실린더(31) 후단에는 각도조정공간(63)이 형성된 각도조정체(60)가 설치되고,
    상기 ST1단계에는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와 엄지말뚝(11)이 대향하는 면의 비평행상태를 상기 각도조정체(60)로 보정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건축물의 역타공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ST1단계에서의 비평행상태 보정은, 각도조정공간(63) 내에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엄지말뚝(11)의 면과 가압로드(32)의 선단면이 맞접되도록 상기 가압로드(32)를 신장시킨 후, 각도조정공간(63) 중 띠장(23)의 전면플랜지(231)와 유압실린더(31) 후면 사이의 공간에 쐐기편(64)을 삽입시켜 선행하중잭(30)을 띠장(23)과 엄지말뚝(11) 사이에 고정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건축물의 역타공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분할확장편(41)의 어느 일측은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건축물의 역타공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190168104A 2019-12-16 2019-12-16 선행하중잭을 이용한 rc조 지하건축물의 역타공법 KR102212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104A KR102212671B1 (ko) 2019-12-16 2019-12-16 선행하중잭을 이용한 rc조 지하건축물의 역타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104A KR102212671B1 (ko) 2019-12-16 2019-12-16 선행하중잭을 이용한 rc조 지하건축물의 역타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671B1 true KR102212671B1 (ko) 2021-02-05

Family

ID=74559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104A KR102212671B1 (ko) 2019-12-16 2019-12-16 선행하중잭을 이용한 rc조 지하건축물의 역타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6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05108A (zh) * 2024-03-19 2024-04-19 福建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人防建筑工程逆作法遇厚层含水沙层施工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1775B1 (ko) 1997-07-31 2000-07-15 박형국 무지주역타설 거푸집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정착구, 커플러, 커넥터, 거푸집 지지틀 및 유압승강기
KR200344123Y1 (ko) * 2003-12-02 2004-03-09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버팀보 지지용 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팀보 지지구조
KR100775767B1 (ko) * 2006-08-14 2007-11-12 깨뱉시스템주식회사 Src골조의 기둥용 수직철근을 이용한 역타설 축조공법
KR100884289B1 (ko) * 2008-06-23 2009-02-17 가원이엔씨 주식회사 복합형 강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18053A (ko) * 2009-08-17 2011-02-23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 및 이의 설치구조
KR101169462B1 (ko) * 2012-03-08 2012-07-30 (주)엠씨에스에스티기술사사무소 포스트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역타설 시공방법
KR101726836B1 (ko) * 2014-08-22 2017-04-14 이기환 띠장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띠장 보강용 구조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1775B1 (ko) 1997-07-31 2000-07-15 박형국 무지주역타설 거푸집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정착구, 커플러, 커넥터, 거푸집 지지틀 및 유압승강기
KR200344123Y1 (ko) * 2003-12-02 2004-03-09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버팀보 지지용 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팀보 지지구조
KR100775767B1 (ko) * 2006-08-14 2007-11-12 깨뱉시스템주식회사 Src골조의 기둥용 수직철근을 이용한 역타설 축조공법
KR100884289B1 (ko) * 2008-06-23 2009-02-17 가원이엔씨 주식회사 복합형 강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18053A (ko) * 2009-08-17 2011-02-23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 및 이의 설치구조
KR101169462B1 (ko) * 2012-03-08 2012-07-30 (주)엠씨에스에스티기술사사무소 포스트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역타설 시공방법
KR101726836B1 (ko) * 2014-08-22 2017-04-14 이기환 띠장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띠장 보강용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05108A (zh) * 2024-03-19 2024-04-19 福建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人防建筑工程逆作法遇厚层含水沙层施工方法
CN117905108B (zh) * 2024-03-19 2024-05-28 福建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人防建筑工程逆作法遇厚层含水沙层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06939A (zh) 深基坑预应力组合钢支撑及施工方法
KR20210145959A (ko) 지지면 보정기능을 가진 흙막이벽 띠장용 선행하중잭
KR102212671B1 (ko) 선행하중잭을 이용한 rc조 지하건축물의 역타공법
KR101198731B1 (ko) 터널 공사를 위한 수직구 시공방법
CN113216980A (zh) 复杂软弱围岩浅埋偏压隧道及施工方法
KR20140042132A (ko) 지하터널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슬래브용 지지구조체
CN109706987A (zh) 一种框架结构建筑物内部顶升纠倾方法
JP2001520340A (ja) アーチ支持構造
KR102425064B1 (ko) 흙막이 공법
KR20190066754A (ko) 기둥단위 지지구조를 가진 역타공법용 거푸집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329417B1 (ko) 변위제어장치
JP2002097718A (ja) 鋼管柱の建て込み工法
CN210216455U (zh) 围护结构的斜支撑组件
CN214832674U (zh) 一种立柱桩水平定位与垂直度控制调节机构
CN106013779A (zh) 早拆支撑系统的定位方法
KR102431162B1 (ko) 흙막이벽 지지용 선행하중잭
JP7364105B2 (ja) 位置調整装置及び構真柱の位置調整方法
KR20200056827A (ko) 가철탑의 하중 분산장치
KR102613254B1 (ko) 자립 정착형 엄지 말뚝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방법
KR102261824B1 (ko) 철골보 구조를 가진 지하건축물의 역타공법
AT396604B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stranges aus einzelelementen unter wasser
CN219604429U (zh) 一种倾斜桩的纠偏结构
CN212358404U (zh) 一种下穿既有桩基建筑物的隧道支护结构
CN113802722B (zh) 一种可回收的深基坑外墙一体式构造的施工方法
CN115897554A (zh) 一种复杂施工环境下的灌注桩桩头防护系统及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