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551B1 -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 - Google Patents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551B1
KR101413551B1 KR1020120094745A KR20120094745A KR101413551B1 KR 101413551 B1 KR101413551 B1 KR 101413551B1 KR 1020120094745 A KR1020120094745 A KR 1020120094745A KR 20120094745 A KR20120094745 A KR 20120094745A KR 101413551 B1 KR101413551 B1 KR 101413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fastening
pin hole
wedge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645A (ko
Inventor
정기찬
Original Assignee
정기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찬 filed Critical 정기찬
Priority to KR1020120094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551B1/ko
Publication of KR20140029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층에 매립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쪽 단부에 제1 핀 구멍이 형성된 거푸집 고정용 플랫 타이(flat tie)와 상기 거푸집 내측의 배근 철근의 끝부분을 체결하는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로서, 일측면이 개방되어 상기 배근 철근을 수용하는 철근 수용부 및 상기 제1 핀 구멍이 형성된 상기 플랫 타이의 한쪽 단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나란히 연장되고 상기 제1 핀 구멍과 연통하는 제2 핀 구멍이 형성된 한쌍의 연결부을 포함하는 클립와, 중심부에 제1 체결 구멍이 형성되고, 연통된 상기 제1 및 제2 핀 구멍을 관통하는 제1 웨지핀 및 상기 제1 및 제2 핀 구멍을 관통한 상기 제1 웨지핀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1 체결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웨지핀이 상기 연통된 제1 및 제2 핀 구멍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시켜 상기 플랫 타이와 상기 배근 철근을 체결하는 제2 웨지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CLIP UNIT FOR BUILDING MATERIALS}
본 발명은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건축 및 토목 공사 시공에 널리 사용되는 거푸집 고정용 플랫 타이(FLAT TIE)와 철근 배근을 연결하는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상가, 주택, 빌딩 등 건축물은 위층의 바닥(천정)면과 벽면, 기둥을 형성하기 위한 철근을 배근한 다음, 합판이나 각목 등을 사용하여 배근된 철근을 중심으로 거푸집을 형성하고,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으로 철근콘크리트 골조를 형성하고, 외면을 미장하는 것으로 1개층에 대한 골조공사를 행하고, 이를 반복하여 수개층의 골조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건축물 등과 같은 각종 골조공사는 철근을 배근하는 배근공정, 거푸집을 형성하는 거푸집공정,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공정,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양생공정, 거푸집을 제거하는 해체공정, 외면을 미장하는 미장공정으로 1개 층의 골조공사가 이루어진다.
한편, 거푸집 공정에서는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에서 철근 콘크리트 작업을 시공할 때 성형된 프레임에 판넬인 유로폼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유로폼 시스템(Wall formwork system)을 이용한 거푸집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로폼 시스템을 이용한 거푸집은 표준화, 모듈화로 자재관리가 간편한 장점으로 근래들어 APT, Building, Tunnel, Subway, House, Dam, Pier등 각종 건축 및 토목 공사 시공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 유로폼 시스템은 표준화된 규격의 프레임을 철제 등을 사용하여 제작하고 이곳에 합판 등으로 된 유로폼을 결합하여 거푸집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구조의 내,외측 거푸집을 가설하고, 그 사이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양생시킴으로써 건축물의 벽체 등을 형성한다.
이 경우 내, 외측 거푸집은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해서 팽창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렇게 되면 벽체를 의도한 상태로 형성시킬 수 없게 된다.
이에, 종래에서는 거푸집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주입하기 전에 금속재의 고정구 즉, 거푸집을 구성하는 패널(10)과 패널 사이의 간격에 설치된 플랫 타이(20: Flat Tie)와 배근 공정에서 배근된 철근(30)을 용접방식으로 연결하여 거푸집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용접 방식으로 철근과 플랫 타이를 연결하는 방식은 작업자가 직접 거푸집 내측 공간으로 각종 용접 장비를 가지고 들어가 작업을 해야하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또한 용접 방식에 따른 연결은 그 체결력에 한계가 있으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외측에 지지용 각재들(40)의 설치가 필요한데, 이 경우, 거푸집 해체 공정에서 지지용 각재들(40)이 철거 부자재물로 철거 대상에 해당되어 다수의 철거 작업자가 요구된다.
만일, 철근과 플랫 타이 간의 간단하고, 강력한 체결력이 보장된다면, 용접 과정에서 소요되는 작업 시간 및 그에 따른 설치 인원을 줄일 수 있고, 지지용 각재들(40)의 설치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거푸집 해체시, 지지용 각재들(40)의 철거 부자재물이 줄어들고, 이에 따른 현장 정리 인원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른 현장 정리 인건비 또한 절감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거푸집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철근과 플랫 타이 간의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체결력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거푸집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배근 철근과 플랫 타이 간의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체결력을 보장할 수 있는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는, 콘크리트층에 매립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쪽 단부에 제1 핀 구멍이 형성된 거푸집 고정용 플랫 타이(flat tie)와; 상기 거푸집 내측의 배근 철근의 끝부분을 체결하는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로서, 일측면이 개방되어 상기 배근 철근을 수용하고 상기 배근 철근과 접하는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철근 수용부와, 상기 제1 핀 구멍이 형성된 상기 플랫 타이의 한쪽 단부를 사이에 두고 개방된 일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철근 수용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나란히 연장되고 상기 제1 핀 구멍과 연통하는 제2 핀 구멍이 형성된 한쌍의 연결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클립; 중심부에 제1 체결 구멍이 형성되고, 연통된 상기 제1 핀 구멍 및 제2 핀 구멍을 관통하는 제1 웨지핀; 상기 제 1웨지핀에 의해 상기 제1 핀 구멍 및 제2 핀 구멍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 체결 구멍에 관통 체결되어, 상기 제1 웨지핀이 상기 클립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시켜 상기 플랫 타이와 상기 배근 철근을 체결하는 제2 웨지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용접 방식 대신 클립 방식으로 배근 철근과 플랫 타이를 체결함으로써,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체결력을 보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거푸집 해체시, 지지용 각재와 같은 철거 부자재물이 없으므로, 이를 정리하기 위한 현장 정리 인원이 줄어들게 되어 현장 정리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용접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이에 따른 작업 시간 및 그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거푸집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배근 철근과 플랫 타이 간의 체결 방식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관통공을 설명하기 위해 클립 펼친 전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300)는 거푸집 고정용 플랫 타이(200: 이하, '플랫 타이'라 함)와 배근 철근(100)의 끝부분을 체결한다.
플랫 타이(200)는 띠 형태를 가지며,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의 양측에 절단홈(220)을 갖는 절단부(230) 및 거푸집을 고정하기 위하여 웨지핀(Wedge Pin) 구멍(240: 이하, '제1 핀 구멍'라 한다.)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플랫 타이(2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300)에 의해 기존의 용접방식과는 달리 클립 방식으로 상기 배근 철근(100)과 체결된다.
상기 플랫 타이(200)를 상기 배근 철근(100)에 클립 방식으로 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300)는 크게 클립(310), 제1 및 제2 웨지 핀(320, 330)을 포함한다.
클립(310)은 상기 배근 철근(100)을 수용하는 구성으로서, 금속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클립(310)은 상기 배근 철근(100)을 수용하는 철근 수용부(310)와 상기 철근 수용부의 일측면이 개방되어 상기 배근 철근(100)이 삽입되는 삽입부(314) 및 한쌍의 연결부(316)를 포함한다. 상기 철근 수용부(312)는 상기 배근 철근을 감싸도록 원통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근 철근(100)이 삽입되도록 상기 원통의 일측면이 개방된 상기 삽입부(314)를 갖는다. 상기 한쌍의 연결부(316)는 상기 삽입부(314)를 형성하는 상기 철근 수용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한쌍의 연결부(316) 사이에는 상기 제1 핀 구멍(240)이 형성된 상기 플랫 타이(200)의 한쪽 절단부(230)가 사이에 배치되고, 그 사이에 상기 플랫 타이(200)의 한쪽 절단부(230)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연결부(316) 중심에는 상기 제1 핀 구멍(240)과 연통하는 제2 핀 구멍(316A)이 형성된다.
제1 웨지핀(320)는 연통된 상기 제1 핀 구멍(240)과 제2 핀 구멍(316A)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점점 폭이 좁아져 뾰족한 형상의 한쪽 단부와, 상기 제1 웨지 핀(32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걸림턱이 형성된 다른쪽 단부 및 상기 한쪽 단부와 다른쪽 단부를 연결하는 중간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웨지 핀(320)의 중간 부분에는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형으로 관통된 제1 체결구멍(320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웨지핀(330)은 상기 제1 웨지핀(32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핀 구멍(240, 316A)을 관통한 상기 제1 웨지핀(320)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1 체결 구멍(320A)을 관통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제1 웨지핀(320)은 상기 연통된 제1 및 제2 핀 구멍(240, 316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300)를 이용한 플랫 타이와 배근 철근 간의 체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배근 철근(100)을 개방된 삽입부(314)를 통해 클립(312)의 내측면에 삽입한 상태에서 플랫 타이(200)의 한쪽 절단부(230)를 한쌍의 연결부(316) 사이에 삽입한다.
이후, 상기 한쪽 절단부(230)에 형성된 제1 핀 구멍(240)과 상기 한쌍이 연결부(316)에 형성된 제2 핀 구멍(316A)이 연통되도록 맞춘 후, 펜치 플라이어와 같은 도구를 이용해 상기 한쌍의 연결부(316)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밀착 가압한다.
이후, 제1 웨지핀(320)을 연통된 제1 및 제2 핀구멍(240, 316A)에 관통시킨다. 이때, 제1 웨지핀(320)의 걸림턱에 의해 삽입이 저지될 때까지, 망치 공구등을 이용해 제1 웨지핀(320)의 다른쪽 단부(걸림턱이 형성된 머리 부분)를 타격하여 제1 및 제2 핀구멍(240, 316A)에 깊이 삽입시킨다.
이후, 상기 제1 및 제2 핀 구멍(240, 316A)을 관통한 상기 제1 웨지핀(320)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1 체결 구멍(320A)에 제2 웨지핀(330)을 관통시키고,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제1 웨지핀(320)이 상기 연통된 제1 및 제2 핀 구멍(240, 316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어, 상기 플랫 타이(200)와 상기 배근 철근(100)이 고정 체결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도 배근 철근과 플랫 타이는 강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지만, 더욱 강한 체결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배근 철근(100)의 외측면이 철근 수용부(312)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배근 철근의 마디 형상을 수용하는 관통공(312A)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12A)은 철근 수용부(312)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 형성된 경우, 관통공(312A) 간의 이격 거리는 배근 철근(100)의 마디 간격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배근 철근(100)의 마디가 상기 관통공(312A)에 삽입되어, 배근 철근(100)이 철근 수용부(312)의 내측면을 따라 움직이지 않고, 밀착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 부재를 통해 배근 철근(100)과 플랫 타이(200)는 더욱 강하게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통공(312A)는 상기 배근 철근(100)과 접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312A)을 통해 상기 배근 철근(100)과 철근 수용부(312) 사이에 삽입되어 경화됨으로써, 보다 강한 체결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Claims (3)

  1. 콘크리트층에 매립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쪽 단부에 제1 핀 구멍이 형성된 거푸집 고정용 플랫 타이(flat tie)와; 상기 거푸집 내측의 배근 철근의 끝부분을 체결하는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로서,
    일측면이 개방되어 상기 배근 철근을 수용하고 상기 배근 철근과 접하는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철근 수용부와, 상기 제1 핀 구멍이 형성된 상기 플랫 타이의 한쪽 단부를 사이에 두고 개방된 일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철근 수용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나란히 연장되고 상기 제1 핀 구멍과 연통하는 제2 핀 구멍이 형성된 한쌍의 연결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클립;
    중심부에 제1 체결 구멍이 형성되고, 연통된 상기 제1 핀 구멍 및 제2 핀 구멍을 관통하는 제1 웨지핀;
    상기 제 1웨지핀에 의해 상기 제1 핀 구멍 및 제2 핀 구멍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 체결 구멍에 관통 체결되어, 상기 제1 웨지핀이 상기 클립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시켜 상기 플랫 타이와 상기 배근 철근을 체결하는 제2 웨지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
  2. 삭제
  3. 삭제
KR1020120094745A 2012-08-29 2012-08-29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 KR101413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745A KR101413551B1 (ko) 2012-08-29 2012-08-29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745A KR101413551B1 (ko) 2012-08-29 2012-08-29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645A KR20140029645A (ko) 2014-03-11
KR101413551B1 true KR101413551B1 (ko) 2014-07-02

Family

ID=50642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745A KR101413551B1 (ko) 2012-08-29 2012-08-29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5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520B1 (ko) * 2017-08-21 2019-01-02 대림산업 주식회사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시공용 거푸집 시스템 및 합벽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0828A (ja) * 1996-11-13 1998-05-26 Akira Fukushima コンクリート型枠の根止め金具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型枠の根止め方法
KR200402872Y1 (ko) * 2005-07-05 2005-12-08 권미경 자석 웨지핀
JP3179686U (ja) 2012-08-21 2012-11-15 直也 大柿 鉄筋とセパレーターの接続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0828A (ja) * 1996-11-13 1998-05-26 Akira Fukushima コンクリート型枠の根止め金具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型枠の根止め方法
KR200402872Y1 (ko) * 2005-07-05 2005-12-08 권미경 자석 웨지핀
JP3179686U (ja) 2012-08-21 2012-11-15 直也 大柿 鉄筋とセパレーターの接続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520B1 (ko) * 2017-08-21 2019-01-02 대림산업 주식회사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시공용 거푸집 시스템 및 합벽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645A (ko) 201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327B1 (ko) 단면증설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CN107524234B (zh) 钢板混凝土剪力墙连梁拆分结构及制作方法
KR101585942B1 (ko) 콘크리트 타설용 마감부재
EP3383607B1 (en) Formwork for providing a concrete foundation element, in particular a plinth with exposed horizontal reinforcing bars, plinth provided with such formwork, and structure comprising such plinth
KR101674823B1 (ko) 충전형 앵커 소켓을 이용한 보 단면증설 방법
EP1347121A3 (en) Construction method and system
KR20180072968A (ko) 교각 구조물용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KR101617221B1 (ko) 내진 보강형 증축 리모델링 모듈러유닛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KR102269141B1 (ko)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KR102110559B1 (ko) 연결성능이 보강된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10743B1 (ko)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의 설치구조
JP2008266910A (ja) 緊張材の定着部または偏向部の突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413551B1 (ko) 건설자재용 클립 부재
JP6574336B2 (ja) 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柱、及びこれを用いた建物
JP6423202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耐震補強工法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耐震補強構造
JP2008223448A (ja) 楔を使用して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造基礎ブロック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造パネルを接合する方法。
KR102398605B1 (ko) Pc 보강패널을 이용한 내진 보강 시스템의 시공 방법
JP2002213193A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改修方法
JP5329908B2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その工法
EP3486387B1 (en) Connecting kit for prefabricated panels and fastening method using such kit
KR10062632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JP2005248651A (ja) 耐震補強構造
KR20170113862A (ko) 콘크리트 몰탈 타설량을 줄여주는 담장 및 비내력벽 건축용 블럭
KR100370437B1 (ko) 유로폼 거푸집용 스페이서
JP2010203060A (ja) 耐震補強方法、耐震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