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155B1 -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155B1
KR101954155B1 KR1020180065306A KR20180065306A KR101954155B1 KR 101954155 B1 KR101954155 B1 KR 101954155B1 KR 1020180065306 A KR1020180065306 A KR 1020180065306A KR 20180065306 A KR20180065306 A KR 20180065306A KR 101954155 B1 KR101954155 B1 KR 101954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pull
bridge
barrier
f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신원알피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신원알피씨 filed Critical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5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2차 콘크리트 타설로 인한 추가 공기가 소요되지 않는 풀데크 교량 시공시, 거더 상에 풀데크를 배치하고 유압잭을 사용하여 측방 밀착시킴으로써 풀데크를 용이하게 압착시킬 수 있고, 또한, 방호벽 사이 원형공간에 철근을 바닥판에 매립된 철근사이 또는 강관에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벽체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풀데크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교량 방호벽을 형성함으로써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방호벽을 시공할 수 있는,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BRIDGE WITH FULL-DECK AND PROTECTIV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풀데크 교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2차 콘크리트 타설로 인한 추가 공기가 소요되지 않는 풀데크 교량 시공시, 거더 상에 풀데크를 배치하고 유압잭을 사용하여 측방 밀착시킴으로써 풀데크를 압착시키고, 벽체로 형성되는 방호벽을 풀데크 상면에 결합하는,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시공방식에 의한 교량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슬래브를 타설하기 위해 거더 사이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거푸집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일반적인 교량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상으로 입설되는 다수의 교각(1), 상기 각각 인접된 교각(1)의 상면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거더(2)), 상기 거더(2)의 처짐 보강을 위해 각 인접된 거더(2)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직교방향으로 형성되는 크로스빔(3) 및 상기 거더(2)의 상부에 배치되는 슬래브(4)로 이루어진다.
거더(2)는 철근 또는 여러 가닥의 강선을 내장하여 슬래브(4)의 중량 및 자중 등의 수직압력에 의한 횡력(굽힘응력)에 견딜 수 있도록 제작한 강현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예를 들면, 콘크리트빔일 수 있다.
또한, 강철빔 또는 강판으로 건설되는 교량인 강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판 슬래브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강교의 경우에도 슬래브 형성은 콘크리트 타설 전에 동바리를 먼저 설치하여야 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교량이나 강교의 상부공사에 해당하는 슬래브(4)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더(2) 사이에 거푸집(5)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거푸집(5)은 슬래브(4)를 양생한 후에 모두 해체 및 제거하여야 하는 가설재로서, 종전에는 각재 및 합판을 사용하여 제작하였으나, 최근에는 합성 거더(Girder)를 사용하는 신공법이 행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푸집(5)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소정 형상의 슬래브(4)를 양생하기 위한 틀이므로 시공 후 해체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시공 후의 미관을 고려하거나 콘크리트 구조물 자체에 균열이 발생하였을 때, 육안 식별이 가능하여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반드시 해체 및 제거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교량의 콘크리트 슬래브 및 교각 등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 중 하나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따른 공기의 증가 및 안전사고의 발생이다.
한편, 도 3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합판거푸집을 이용한 교량용 슬래브의 시공단면도이고, 도 3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강재인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교량용 슬래브의 시공사시도이며, 도 1c 및 도 1d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래티스철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용 슬래브의 시공사시도이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거더(20)를 시공한 상태에서 교량용 슬래브(Slab)를 시공하기 위하여 합판거푸집(30)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먼저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거더(20)를 교각(10) 상면에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 시공한 상태에서, 거더 상면 사이에 합판거푸집(30)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합판거푸집(30)을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통상 거더 상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상면지지 플레이트(31)를 이용하여 먼저 다양한 형태의 멍에재(32)를 볼트(33)를 이용하여 거더 상부플랜지 측면 사이에 설치한 후, 상기 멍에재(32)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지지재(34)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재(34)에 지지되도록 합판거푸집(30)을 설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래브 콘크리트(40)를 상기 합판거푸집(30)에 타설 및 양생되도록 함으로써 슬래브를 시공하게 되며, 슬래브 시공 후에는 볼트(33) 하단에 체결된 너트를 풀면서 상기 멍에재(32) 및 지지재(34)와 합판거푸집(30)의 재사용을 위하여 해체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합판거푸집(30)을 설치 및 해체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동바리를 포함한 작업대를 설치하고 다시 해체해야 하므로 공사비 증가의 요인이 될 수밖에 없고, 이러한 합판거푸집은 교각 주변에서 이루어지므로 고소작업이 될 수밖에 없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여지가 매우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교량용 슬래브를 시공함에 있어 합판거푸집 설치 및 해체가 필요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교량용 슬래브 시공방법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 증가된 바 있고,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슬래브 시공방법의 대표적인 예가 데크플레이트(Deck plate)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데크플레이트를 영구 거푸집으로 활용하는 공법으로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이진 굴곡 강판(Corrugated Steel Plate)을 이용하여 데크플레이트(50)를 제작하여, 크레인 또는 작업대차를 이용하여 거더(20) 상면 사이에 다수를 병렬로 설치한 후, 상기 데크플레이트(50)를 영구거푸집으로 하여 슬래브 콘크리트(40)를 타설하여 데크플레이트가 슬래브콘크리트와 합성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거푸집 해체가 필요 없는 시공 상 간편함이 주된 장점이라 할 수 있는 강판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이용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하지만 교량의 원활한 유지 관리를 위하여 최우선으로 요구되는 필수적인 점검 항목 중 하나인 슬래브 균열 조사에 있어서, 강판인 데크플레이트의 경우, 그 확인이 거의 불가능하고, 강판인 데크플레이트 표면에 녹이 발생하여 지속적인 도장이 요구되며, 강성이 현격히 적은 강재를 데크플레이트로 이용하는 경우 슬래브 시공중에 과다 처짐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따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Precast Concrete Panel)을 데크플레이트로 사용하는 방법이 소개된 바 있는데 , 이러한 데크플레이트는 슬래브콘크리트와 완전 합성에 의한 슬래브의 구조적 거동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 강성이 커서 공사 중 안전성 확보가 용이한 점 등을 이유로 국내외에서 관련 규정을 두어 꾸준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은 인장력에 취약하다는 문제점 때문에 이에 대한 보완 방안 등을 위주로 새로운 교량용 데크플레이트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개된 바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데크플레이트(60)는 특히 프리캐스트 영구 거푸집으로서 최대 단점이라 할 수 있는 가설 중 내하력 확보를 위하여, 래티스 철근(Lattice Bar)이라 불리는 삼각형 트러스 형태의 철근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63)에 접목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래티스 철근(Lattice Bar)은 크게 보강근으로서 주철근(64)에 횡방향으로 연속된 파형근 형태로 설치된 한 쌍의 경사근(62)과 상기 경사근 상부에 역시 횡방향으로 연장된 탑바(Top Bar)(61)로 구성되는데, 상기 경사근의 형성 높이를 조절함으로서 래티스 철근이 슬래브 콘크리트의 현장 타설시 배근되는 철근(주철근 및 배력철근)의 위치 고정을 위한 스페이서(Spacer)로 활용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래티스 철근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중 발생하는 총 가설 하중이, 래티스 철근(Lattice Bar)의 상부철근(61, 압축력 발생)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63) 내부에 매립된 철근인 보강근, 예를 들면, 주철근(64) 및 배력철근(65)의 우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저항 모멘트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는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래티스 철근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현장에서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와의 가상 활동면을 따라 발생되는 수평전단응력에 저항하도록 하는 전단연결재의 기능을 갖는다.
하지만, 이러한 래티스 철근을 구성하는 탑바(61)의 경우,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10)에 설치된 거더(20) 상부플랜지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치될 뿐만 아니라 그 형성 높이 때문에, 슬래브 콘크리트 내부에 배근되는 철근(슬래브용 주철근 및 배력철근) 중 특히 배력철근의 배근작업을 방해하여 시공성을 크게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도 3d에 도시된 공법의 경우, 하프데크(Half Deck) 공법으로서, 2차 콘크리트 타설로 인한 추가적인 공기가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9-4053호(공개일: 2009년 1월 12일), 발명의 명칭: "합성 슬래브용 프리캐스트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21854호(출원일: 2008년 2월 21일), 발명의 명칭: "하프 프리캐스트 합성 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18257호(출원일: 2011년 5월 3일), 발명의 명칭: "콘크리트 슬래브 타설용 데크"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2-0124278호(공개일: 2012년11월13일), 발명의 명칭: "콘크리트 슬래브 타설용 데크"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635137호(출원일:2004년 11월 8일), 발명의 명칭: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래티스바아데크형 피씨플레이트"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403989호(출원일: 2000년 9월 23일), 발명의 명칭: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피씨플레이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2차 콘크리트 타설로 인한 추가 공기가 소요되지 않는 풀데크 교량 시공시, 거더 상에 풀데크를 배치하고 유압잭을 사용하여 측방 밀착시킴으로써 풀데크를 용이하게 압착시킬 수 있는,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방호벽 사이 원형공간에 철근을 바닥판에 매립된 철근사이 또는 강관에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벽체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풀데크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교량 방호벽을 형성할 수 있는,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의 시공방법은, a) 교량 양측에 교대를 선가설하는 단계; b) 교대와 교각 상에 거치된 거더 상에 종방향으로 다수의 풀데크를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풀데크 사이에 형성된 풀데크 연결이음부에서 정착구를 사용하여 상기 풀데크를 연결 이음하는 단계; d) 유압잭을 사용하여 상기 풀데크를 측방 밀착시키는 단계; e) 상기 풀데크 연결부의 노출부에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f) 상기 풀데크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방호벽을 결합하는 단계; 및 g) 상기 풀데크 상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d) 단계에서 풀데크 중앙을 기준으로 유압잭을 사용하여 양 측방으로 밀착시켜 상기 풀데크를 압착시키고, 상기 f) 단계의 방호벽은 상기 풀데크 상면의 일측 돌출부에 수직 삽입되는 벽체이며,
상기 c) 단계의 풀데크 연결부는 상기 풀데크 횡방향 측면에 노출되고, 상기 풀데크 연결부에서 정착구를 이용하여 풀데크를 인접하는 풀데크와 서로 합성하며, 상기 정착구는 풀데크 연결부로 연장된 철근에 끼워진 수직판형태로서 철근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e) 단계에서 풀데크 연결부에서 매립되도록 하며,
상기 c) 단계의 풀데크 연결부는 상기 풀데크 횡방향 측면에 노출되고, 상기 풀데크 연결부에서 복수개의 정착구를 이용하여 풀데크를 인접하는 풀데크와 서로 합성하며, 상기 정착구는 풀데크 연결부로 연장된 철근에 끼워진 수직판형태로서 철근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e) 단계에서 풀데크 연결부에서 매립되며,
상기 f) 단계의 방호벽은 방호벽 사이 원형공간에 철근을 바닥판에 매립된 철근사이 또는 강관에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벽체로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며, 상기 벽체의 길이방향 연결은, 측벽의 일측면에 전단홈을 노출시키고 상기 노출된 전단홈 하부에 루프철근을 노출시키며, 측벽의 타측면에 역시 전단홈이 노출되도록 형성시키고, 이러한 노출된 전단홈 내부에 회전철근을 노출시키고, 회전철근에 힌지 결합된 회전후크를 전단홈 내부에 위치시켜, 먼저 설치된 측벽의 전단홈과 인접한 측벽의 전단홈을 서로 연통시키면서 인접한 측벽에 외부로 연장된 회전철근을 회전시켜 회전후크가 상기 루프철근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방호벽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2차 콘크리트 타설로 인한 추가 공기가 소요되지 않는 풀데크 교량 시공시, 거더 상에 풀데크를 배치하고 유압잭을 사용하여 측방 밀착시킴으로써 풀데크를 용이하게 압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호벽 사이 원형공간에 철근을 바닥판에 매립된 철근사이 또는 강관에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벽체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풀데크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교량 방호벽을 형성함으로써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방호벽을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시공방식에 의한 교량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슬래브를 타설하기 위해 거더 사이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거푸집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합판거푸집을 이용한 교량용 슬래브의 시공단면도이고, 도 3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강재인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교량용 슬래브의 시공사시도이며, 도 1c 및 도 1d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래티스철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용 슬래브의 시공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시공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시공시 거더와 풀데크를 전단연결하는 전단연결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시공시 풀데크를 연결 이음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시공시 유압잭을 이용하여 풀데크를 측방 밀착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시공시 긴장재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프리스트레싱을 가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시공시 방호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방호벽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10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100)은, 교대(110), 풀데크(140a~140e), 방호벽(160) 및 풀데크 연결이음부(170) 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100)에서, 먼저, 교대(110)는 교량 양측에 선가설된다.
풀데크(140a~140e)는 거더 상에 종방향으로 다수 배치된다. 이때, 상기 풀데크(140)는 유압잭(210)을 사용하여 측방 밀착시킨다(S140). 즉, 상기 풀데크(140) 중앙을 기준으로 유압잭(210)을 사용하여 양 측방으로 밀착시켜 상기 풀데크(140)를 용이하게 압착시킨다. 또한, 상기 풀데크(140a~140e)는, 도면부호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풀데크 연결부(170)에서 정착구(171)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 이음되어 합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풀데크 연결부(170)의 노출부에 현장에서 콘크리트(200)를 타설된다. 또한, 상기 풀데크(140a~140e)는 거더 상에 종방향으로 배치할 때, 상기 거더 상에 전단연결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거더 양 측단에 풀데크(140)를 거치하고 후속적으로,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합성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방호벽(160)은, 도면부호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풀데크(140)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결합하며, 이때, 상기 방호벽(160)은 상기 풀데크(140) 상면의 일측 돌출부에 수직 삽입되는 벽체일 수 있고, 상기 방호벽(160)은 방호벽 사이 원형공간에 철근을 바닥판에 매립된 철근사이 또는 강관에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벽체로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100)의 경우, 거더 상에 풀데크(140a~140e)를 배치하고 유압잭(210)을 사용하여 측방 밀착시킴으로써 풀데크(140a~140e)를 용이하게 압착시킬 수 있고, 또한, 방호벽 사이 원형공간에 철근을 바닥판에 매립된 철근사이 또는 강관에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벽체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풀데크(140a~140e)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교량 방호벽을 형성함으로써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방호벽을 시공할 수 있다.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의 시공방법]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시공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전술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시공방법은 , 먼저, 교량 양측에 교대(110)를 선가설한다(S110).
다음으로, 교대(110)와 교각(120) 상에 거치된 거더(130) 상에 종방향으로 다수의 풀데크(140)를 배치한다(S120). 여기서, 상기 거더(130) 상에 전단연결재(181)가 형성되어, 상기 거더(130) 양 측단에 풀데크(140)를 거치하고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합성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풀데크(140) 사이에 형성된 풀데크 연결이음부(170)에서 정착구(171)를 사용하여 상기 풀데크(140)를 연결 이음한다(S130). 이때, 상기 풀데크 연결부(170)는 상기 풀데크(140) 횡방향 측면에 노출되고, 상기 풀데크 연결부(170)에서 정착구(171)를 이용하여 상기 풀데크(140)를 인접하는 풀데크(140)와 서로 합성된다.
다음으로, 유압잭(210)을 사용하여 상기 풀데크(140)를 측방 밀착시킨다(S140). 즉, 상기 풀데크(140) 중앙을 기준으로 유압잭(210)을 사용하여 양 측방으로 밀착시켜 상기 풀데크(140)를 압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풀데크 연결부(170)의 노출부에 현장에서 콘크리트(200)를 타설한다(S150).
다음으로, 상기 거더(130) 상에 풀데크(140)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종방향으로 프리스트레싱을 인가한다(S160). 예를 들면, 상기 풀데크(140)를 모두 설치한 후, 긴장재(195)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프리스트레싱을 인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리스트레싱은 시공시 반영해도 되지만 반영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상기 풀데크(140)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방호벽(160)을 결합한다(S170). 이때, 상기 방호벽(160)은 상기 풀데크(140) 상면의 일측 돌출부에 수직 삽입되는 벽체일 수 있고, 상기 방호벽(160)은 방호벽 사이 원형공간에 철근을 바닥판에 매립된 철근사이 또는 강관에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벽체로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풀데크(140) 상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을 완성한다(S180).
구체적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시공시 거더와 풀데크를 전단연결하는 전단연결재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6의 a)는 b)는 측면도이고, 도 6의 c)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시공시, 교량의 거더(130) 양 측단에 풀데크(140)를 거치하고, 이후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합성능력 증진을 위한 전단연결재(181)를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전단연결재(181)는 거더(130) 상에 용접 고정될 수 있고, 또한,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스터드(182, 18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소형 스터드(182, 183)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거더(130) 상에 풀데크(140)를 보다 확실하게 전단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시공시 풀데크를 연결 이음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의 a)는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평면도이며, 도 7의 c)는 A-A 라인을 절개선으로 하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시공시 풀데크(140a, 140b)는 횡방향 측면에 정착구(171)를 이용하여 서로 합성할 수 있고, 상기 정착구(171)는 풀데크 연결부(170)로 연장된 철근(172)에 끼워진 수직판형태로서 철근(172)을 수용한 상태에서 풀데크 연결이음부(170)에서 매립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시공시 유압잭을 이용하여 풀데크를 측방 밀착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풀데크가 서로 연결 이음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8의 b)는 유압잭을 사용하여 풀데크(140a~140e)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 측방으로 유압잭(210)으로 밀착시켜 풀데크(140a~140e)를 압착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시공시 긴장재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프리스트레싱을 가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시공시 상기 거더(130) 상에 풀데크(140)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종방향으로 프리스트레싱을 인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풀데크(140)를 모두 설치한 후, 긴장재(195)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프리스트레싱을 인가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시공시 방호벽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방호벽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시공시, 상기 풀데크(140)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방호벽(160)을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호벽(160)은 상기 풀데크(140) 상면의 일측 돌출부에 수직 삽입되는 벽체일 수 있고, 상기 방호벽(160)은 방호벽 사이 원형공간에 철근을 바닥판에 매립된 철근사이 또는 강관에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벽체로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호벽(160)은 철근(191, 193, 194)이 매립된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프리캐스트 형성되며, 하부에 홈이 형성되어 풀데크(140)의 돌출부 상면에 삽입되며. 또한, 풀데크(140)의 철근(192)과 조립되어, 상기 방호벽(160) 및 풀데크(140)가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의 길이방향 연결은, 회전후크(163)를 이용하되 전단홈 내부에 수평으로 반원형 등의 형태로 절곡된 루프철근(161)이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루프철근(161)에 회전하면서 걸리도록 하여 연결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벽의 일측면에 전단홈(161)을 노출시키고 상기 노출된 전단홈(161) 하부에 루프철근(162)을 노출시키며, 측벽의 타측면에 역시 전단홈이 노출되도록 형성시키고, 이러한 노출된 전단홈 내부에 회전철근(164)을 노출시키고, 회전철근(164)에 힌지 결합된 회전후크(163)를 전단홈 내부에 위치시켜, 먼저 설치된 측벽의 전단홈과 인접한 측벽의 전단홈을 서로 연통시키면서 인접한 측벽에 외부로 연장된 회전철근(164)을 회전시켜 회전후크(163)가 상기 루프철근(162)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벽체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2차 콘크리트 타설로 인한 추가 공기가 소요되지 않는 풀데크 교량 시공시, 거더 상에 풀데크를 배치하고 유압잭을 사용하여 측방 밀착시킴으로써 풀데크를 용이하게 압착시킬 수 있고, 또한, 방호벽 사이 원형공간에 철근을 바닥판에 매립된 철근사이 또는 강관에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벽체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풀데크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교량 방호벽을 형성함으로써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방호벽을 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교량
110: 교대
120: 교각
130: 거더
140, 140a~140e: 풀데크(Full Deck)
160, 160a, 160b: 방호벽
170: 풀데크 연결이음부
161: 전단홈
162: 루프철근
163: 회전후크
164: 회전철근
171: 정착구
172: 철근
181: 전단연결재
182: 제1 스터드
183: 제2 스터드
191~194: 철근
195: 긴장재
200: 현장 타설콘크리트
210: 유압잭

Claims (9)

  1. a) 교량 양측에 교대(110)를 선가설하는 단계;
    b) 교대(110)와 교각(120) 상에 거치된 거더(130) 상에 종방향으로 다수의 풀데크(140)를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풀데크(140) 사이에 형성된 풀데크 연결이음부(170)에서 정착구(171)를 사용하여 상기 풀데크(140)를 연결 이음하는 단계;
    d) 유압잭(210)을 사용하여 상기 풀데크(140)를 측방 밀착시키는 단계;
    e) 상기 풀데크 연결부(170)의 노출부에 현장에서 콘크리트(200)를 타설하는 단계;
    f) 상기 풀데크(140)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방호벽(160)을 결합하는 단계; 및
    g) 상기 풀데크(140) 상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d) 단계에서 풀데크(140) 중앙을 기준으로 유압잭(210)을 사용하여 양 측방으로 밀착시켜 상기 풀데크(140)를 압착시키고, 상기 f) 단계의 방호벽(160)은 상기 풀데크(140) 상면의 일측 돌출부에 수직 삽입되는 벽체이며,
    상기 c) 단계의 풀데크 연결부(170)는 상기 풀데크(140) 횡방향 측면에 노출되고, 상기 풀데크 연결부(170)에서 복수개의 정착구(171)를 이용하여 풀데크(140)를 인접하는 풀데크(140)와 서로 합성하며, 상기 정착구(171)는 풀데크 연결부(170)로 연장된 철근(172)에 끼워진 수직판형태로서 철근(172)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e) 단계에서 풀데크 연결부(170)에서 매립되며,
    상기 f) 단계의 방호벽(160)은 방호벽 사이 원형공간에 철근을 바닥판에 매립된 철근사이 또는 강관에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벽체로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며,
    상기 벽체의 길이방향 연결은, 측벽의 일측면에 전단홈(161)을 노출시키고 상기 노출된 전단홈(161) 하부에 루프철근(162)을 노출시키며, 측벽의 타측면에 역시 전단홈이 노출되도록 형성시키고, 이러한 노출된 전단홈 내부에 회전철근(164)을 노출시키고, 회전철근(164)에 힌지 결합된 회전후크(163)를 전단홈 내부에 위치시켜, 먼저 설치된 측벽의 전단홈과 인접한 측벽의 전단홈을 서로 연통시키면서 인접한 측벽에 외부로 연장된 회전철근(164)을 회전시켜 회전후크(163)가 상기 루프철근(162)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방호벽(160)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의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130) 상에 전단연결재(181)가 형성되어, 상기 거더(130) 양 측단에 풀데크(140)를 거치하고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합성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의 시공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거더(130) 상에 풀데크(140)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종방향으로 프리스트레싱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의 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트레싱은 상기 풀데크(140)를 모두 설치한 후, 긴장재(195)를 이용하여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의 시공방법.
  9. 제1항, 제 4항, 제 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교량.
KR1020180065306A 2018-06-07 2018-06-07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954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306A KR101954155B1 (ko) 2018-06-07 2018-06-07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306A KR101954155B1 (ko) 2018-06-07 2018-06-07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155B1 true KR101954155B1 (ko) 2019-03-05

Family

ID=6576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306A KR101954155B1 (ko) 2018-06-07 2018-06-07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1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8816A (zh) * 2020-03-27 2020-07-24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混凝土组合箱梁整体预制墙式护栏施工方法
KR20210017720A (ko) * 2019-08-09 2021-02-17 한국도로공사 교량의 차량보호벽 연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교량의 차량보호벽 시공방법
KR102568976B1 (ko) 2023-03-28 2023-08-23 주식회사 태정엔지니어링 전단면 pc 슬래브용 방호벽 구조체
KR102663345B1 (ko) * 2024-01-03 2024-05-03 (주)효명이씨에스 연결부 보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그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시공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3057Y2 (ja) * 1979-07-31 1985-10-02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於ける燃料タンクカバ−
KR100403989B1 (ko) 2000-09-23 2003-11-01 (주)천일기술단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피씨플레이트
KR100635137B1 (ko) 2004-11-08 2006-10-17 주식회사 효성엘비데크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래티스바아데크형 피씨플레이트
KR100696441B1 (ko) * 2004-11-18 2007-03-19 동양종합건업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철근콘크리트 바닥판, 이를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04053A (ko) 2007-07-06 2009-01-12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합성 슬래브용 프리캐스트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교량시공방법
KR101021854B1 (ko) 2008-02-21 2011-03-17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하프 프리캐스트 합성 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18257B1 (ko) 2011-05-03 2012-04-05 주식회사 신원알피씨 콘크리트 슬래브 타설용 데크
KR20120124278A (ko) 2011-05-03 2012-11-13 주식회사 신원알피씨 콘크리트 슬래브 타설용 데크
KR101219788B1 (ko) * 2012-08-13 2013-01-09 (주)대우건설 유압잭을 이용한 압축력 도입이 가능한 교량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시공방법
JP2013036205A (ja) * 2011-08-05 2013-02-21 Dc Co Ltd 橋梁壁高欄の接合工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3057Y2 (ja) * 1979-07-31 1985-10-02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於ける燃料タンクカバ−
KR100403989B1 (ko) 2000-09-23 2003-11-01 (주)천일기술단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피씨플레이트
KR100635137B1 (ko) 2004-11-08 2006-10-17 주식회사 효성엘비데크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래티스바아데크형 피씨플레이트
KR100696441B1 (ko) * 2004-11-18 2007-03-19 동양종합건업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철근콘크리트 바닥판, 이를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04053A (ko) 2007-07-06 2009-01-12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합성 슬래브용 프리캐스트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교량시공방법
KR101021854B1 (ko) 2008-02-21 2011-03-17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하프 프리캐스트 합성 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18257B1 (ko) 2011-05-03 2012-04-05 주식회사 신원알피씨 콘크리트 슬래브 타설용 데크
KR20120124278A (ko) 2011-05-03 2012-11-13 주식회사 신원알피씨 콘크리트 슬래브 타설용 데크
JP2013036205A (ja) * 2011-08-05 2013-02-21 Dc Co Ltd 橋梁壁高欄の接合工法
KR101219788B1 (ko) * 2012-08-13 2013-01-09 (주)대우건설 유압잭을 이용한 압축력 도입이 가능한 교량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720A (ko) * 2019-08-09 2021-02-17 한국도로공사 교량의 차량보호벽 연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교량의 차량보호벽 시공방법
KR102318288B1 (ko) * 2019-08-09 2021-10-27 한국도로공사 교량의 차량보호벽 연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교량의 차량보호벽 시공방법
CN111438816A (zh) * 2020-03-27 2020-07-24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混凝土组合箱梁整体预制墙式护栏施工方法
KR102568976B1 (ko) 2023-03-28 2023-08-23 주식회사 태정엔지니어링 전단면 pc 슬래브용 방호벽 구조체
KR102663345B1 (ko) * 2024-01-03 2024-05-03 (주)효명이씨에스 연결부 보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그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155B1 (ko) 풀데크 및 방호벽을 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921715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그 제작방법 및 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AU2017304226B2 (en) Precast concrete formwork, floor system and a method of construction
KR101693256B1 (ko) 조립식 psc 교량의 시공방법
KR101045929B1 (ko) 친환경 프리스트레스 장경간 경량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CN108104284B (zh) 剪力墙钢臂嵌入楼板的墙板连接结构及装配方法
JP2008266910A (ja) 緊張材の定着部または偏向部の突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7350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용 바닥판
KR20010005431A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CN105239497A (zh) 一种预应力混凝土组合桁架梁
KR20190010357A (ko) 단계별 시공으로 장경간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피에스씨 거더
KR100894650B1 (ko) 프리플렉션 하중이 도입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634344B1 (ko) 합성바닥판 및 그 연결구조
KR100639153B1 (ko) 횡력 지지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이용한 슬래브 구조체
KR101028372B1 (ko) 트러스 합성 데크 플레이트의 연결 구조
JP2008144459A (ja) スラブ型枠、および合成床版の構築方法
KR20200136127A (ko)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KR20130090709A (ko) 교각 또는 교대 위에서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
KR101315365B1 (ko) 복합보 구조
KR102325276B1 (ko) 하프 pc 연속슬래브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010109B1 (ko) 조립형 콘크리트 충전 강합성 복공판
KR100860592B1 (ko) Pc블럭 적층시공용 가설구조
KR100403989B1 (ko)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피씨플레이트
KR101888001B1 (ko) 거더 사이의 거푸집 대용 프리캐스트 간격판 거치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456192B1 (ko) 외력을 받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외벽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