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509B1 - 약제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509B1
KR101110509B1 KR1020117007449A KR20117007449A KR101110509B1 KR 101110509 B1 KR101110509 B1 KR 101110509B1 KR 1020117007449 A KR1020117007449 A KR 1020117007449A KR 20117007449 A KR20117007449 A KR 20117007449A KR 101110509 B1 KR101110509 B1 KR 101110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guide
packaging
packaging sheet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7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258A (ko
Inventor
쇼지 유야마
나카지 타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10053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transverse or longitudinal seams in webs or tubes
    • B65B51/28Rollers for producing longitudinal and transverse seams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6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6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otary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65B61/02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for applying, e.g. print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6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 B65B9/067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the web advancing continu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20Reducing volume of filled material
    • B65B1/22Reducing volume of filled material b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04Forming flat bags from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약제 포장 장치에 있어서, 포장시트에 주름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인쇄부로부터 히트 시일부까지의 거리를 단축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장 유닛(4)이 구비하는 포장 시트(61)를 전개하여 개구시키는 전개 가이드(65)가, 포장시트(61)의 접음선을 따라 연장되는 주능선(主稜線; 94)과, 주능선(94)으로부터 넓어지는 볼록형상의 곡면인 한 쌍의 전개 가이드면(95a, 95b)을 구비한다. 주능선(94)에 대해 반송방향(A)의 만곡된 외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95a)의 포장시트(61)와의 접촉 시작 위치(100a)가, 주능선(94)에 대해 만곡된 내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95b)의 포장시트(61)와의 접촉 시작 위치(100b)보다도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A) 상류측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약제 포장 장치{MEDICATION PACKAGING DEVICE}
본 발명은, 캡슐을 포함하는 알약이나 가루약 등의 약제를 포장하는 약제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약이나 가루약 등의 약제를 처방에 근거하여 1회 복용분(1포 분량)씩 포장하여 연속적인 약포(藥包)를 작성하는 약제 포장 장치가 다양하게 제공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미리 길이방향으로 반으로 접힌 가늘고 긴 포장시트가 감겨진 롤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약제 포장 장치의 포장부에서는, 롤로부터 포장시트를 공급하고, 인쇄부에서 필요 정보를 인쇄한 후, 포장시트를 반으로 접은 상태로부터 전개하여 개구시키고, 상기 개구에 삽입된 호퍼의 노즐부를 통해 1포 분량의 약제를 도입한다. 이어서, 히트 시일부에서 약제를 가두도록 포장시트를 시일(열융착)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4 참조).
약제 포장 장치의 최초 기동시나 롤 교환시에는, 롤로부터 풀려나온 포장시트를, 호퍼의 노즐부나 인쇄부를 거쳐 히트 시일부까지 배치한 후에, 약제의 포장 동작을 시작할 필요가 있다. 환언하자면, 롤 교환 등의 경우에는, 인쇄부로부터 히트 시일부까지의 길이(통상은 5~6포 정도에 해당하는 길이)의 포장시트는, 단지 시트의 배치를 위해서만 기능하며, 약제 포장에는 사용하지 않고 폐기할 수밖에 없어, 비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인쇄부로부터 히트 시일부까지의 포장시트의 경로가 길면, 약제 포장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없다. 따라서, 인쇄부로부터 히트 시일부까지의 경로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면, 롤 교환 등에 따른 포장시트의 낭비를 없앨 수 있고, 또한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단지 이렇게 경로를 짧게 하는 것 만으로는, 히트 시일부의 부분에서 포장시트에 발생하는 주름을 방지할 수 없다. 상기 주름의 발생은, 히트 시일부가 한 쌍의 히터 롤러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포장시트를 열융착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경우에 특히 현저하다.
도 46 및 도 47을 참조하자면,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1100)는 전개 가이드(1106)에 의해 V자형으로 벌려진 후, 호퍼의 노즐부(1101)를 거쳐 히트 시일부의 히터 롤러(1102)에 도달된다. 히터 롤러(102)는, 포장시트(1100)의 개구 가장자리를 길이방향으로 시일하는 가로 시일(1103)과, 포장시트(1100)를 가로지르듯이 개구 가장자리부터 접음선까지를 시일하는 세로 시일(1104)을 행하는데, 세로 시일(1104)을 행할 때, 반으로 접힌 시트(1100)의 각각에 작용하는 장력에 불균형이 생기면 반으로 접힌 시트(1100) 중 일방이 타방에 대해 휘게 되고, 이러한 휨으로 인해 가로 시일(1103) 근방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1105)이 발생하기 쉽다. 상기 주름(1105)은, 약제를 도입했을 때 포장시트(1100)가 부풀어오르는 것이나, 포장시트(1100)의 가로 시일(1103)이 형성되는 부분과 세로 시일(1104)이 형성되는 부분 간의 장력 차이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주름(1105)이 발생하면, 시일 불량으로 인해 기밀성이 저하되어, 인접하는 처방과의 사이에서의 약제 혼입(컨타미네이션; contamination)의 원인이 된다.
특허문헌 1 및 2에는, 두께가 일정한 삼각형 판형상의 전개 가이드(1106)와 복수의 평면으로 구성된 대략 삼각뿔형상의 외형을 가지는 전개 가이드(1106)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의 전개 가이드(1106)를 채용할 경우, 인쇄부로부터 히트 시일부까지의 경로의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해 전개 가이드를 인쇄부에 근접되게 배치하면, 포장시트(1100)에 상기한 바와 같은 주름(1105)이 불가피하게 발생하게 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4-189336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4-284663호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4-238026호 [특허문헌 4]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2-19737호
본 발명의 과제는, 약제 포장 장치에 있어서, 포장시트에 주름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인쇄부로부터 히트 시일부까지의 거리를 단축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에 따라 미리 반으로 접혀진 가늘고 긴 포장시트가 감겨 있는 롤로부터 상기 포장시트를 풀어내어 공급하는 시트 공급부와, 상기 시트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포장시트에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부와, 상기 인쇄부를 통과한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을 만곡시키는 만곡 가이드와, 상기 만곡 가이드보다도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를 전개하여 개구시키는 전개 가이드와, 상기 전개 가이드보다도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시트의 개구로부터 약제를 도입하는 약제 도입부와, 상기 약제 도입부보다도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입된 약제를 가두도록 상기 포장시트를 시일하는 히트 시일부를 구비하는 약제 포장 장치로서, 상기 전개 가이드는, 상기 포장시트의 접음선을 따라 연장되는 주능선(主稜線)과, 각각 상기 주능선으로부터 넓어지는 볼록형상의 곡면으로서, 각각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의 일방과 접촉하는 한 쌍의 전개 가이드면을 구비하며, 상기 주능선에 대해 정면으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보면, 상기 주능선에 대해 상기 만곡 가이드에 의한 상기 반송방향의 만곡된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개 가이드면의 상기 포장시트와의 접촉 시작 위치가, 상기 주능선에 대해 상기 만곡 가이드에 의한 상기 반송방향의 상기 만곡된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개 가이드면의 상기 포장시트와의 접촉 시작 위치보다도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약제 포장 장치를 제공한다.
전개 가이드는, 주능선으로부터 넓어지는 볼록형상의 곡면인 한 쌍의 전개 가이드면을 구비한다. 이러한 한 쌍의 전개 가이드면에 의해,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를 안내함으로써, 포장시트를 히트 시일부를 향해 원활하게 이송하면서 완만하게 변형 내지는 전개시키며, 이에 따라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쇄부, 전개 가이드, 및 히트 시일부를 서로 근접하게 배치하더라도, 히트 시일부에서 포장시트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환언하자면, 전개 가이드의 형상에 의해, 포장시트에 주름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인쇄부, 만곡 가이드, 전개 가이드, 약제 도입부, 및 인쇄부를 서로 근접하게 배치하여, 인쇄부로부터 히트 시일부까지의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약제 포장 장치의 최초 기동시나 롤 교환시에 있어서, 시트의 배치에만 사용되고 약제의 포장에는 사용되지 않아 낭비되는 포장시트(인쇄부로부터 히트 시일부까지의 포장시트)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단축시킬 수 있어, 러닝 코스트(running cost)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인쇄부로부터 히트 시일부까지의 거리를 단축시킴으로써,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반송방향의 만곡된 외측의 전개 가이드면과 포장시트의 접촉 시작 위치는, 만곡된 내측의 전개 가이드면과 포장시트의 접촉 시작 위치보다도 반송방향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접촉 시작 위치의 설정에 의해,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의 만곡된 외측 부분과 만곡된 내측 부분이 동시에 전개 가이드면과 접촉을 시작한다. 그 결과,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를 보다 원활하게 전개시켜 개구를 형성할 수 있고, 히트 시일부에서 포장시트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한 쌍의 전개 가이드면은,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에서 보면 상기 주능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호 간격이 넓어지고, 상기 주능선에 대해 정면으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보면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상호 간격이 좁아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개의 상기 전개 가이드면은,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점차 상기 주능선에 근접하며, 상기 주능선의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 하류측 단부에 접속하는 후단 가장자리와, 상기 접촉 시작 위치보다도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 하류측에 간격을 둔 위치와 상기 하류측 단부와의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주능선으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로부터 상기 후단 가장자리에 걸쳐 형성된 제 1 오목부를 구비한다.
전개 가이드의 하류측에서 약제 도입부로부터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의 개구로 약제가 도입되면, 약제의 체적에 따라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가 부풀어오른다(반으로 접힌 포장시트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다). 특히, 도입되는 약제의 체적이 큰 경우, 상기 포장시트는 현저히 부풀어오른다. 전개 가이드면에 제 1 오목부를 형성해두면, 약제의 도입에 따라 포장시트가 부풀어 오르면 포장시트가 전개 가이드면의 제 1 오목부에 대해 밀착접촉되고, 이러한 밀착접촉에 대응하는 양의 포장시트가 전개 가이드보다 하류측인 약제가 도입되어 있는 부분으로 보내진다. 따라서, 전개 가이드면에 제 1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약제의 도입에 따라 부풀어오름이 발생하더라도 포장시트에 과도한 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히트 시일부에서 포장시트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환언하자면, 전개 가이드면에 제 1 오목부를 형성시켜 둠으로써, 약제의 도입에 따라 포장시트가 부풀어오르는 데 대해 어느 정도의 여유를 갖게 한 상태(부풀어오름을 「흡수」할 수 있는 상태)에서 포장시트를 전개하여 개구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히트 시일부에서의 주름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오목부에 의해 포장시트가 부풀어오름에 대해 여유를 가지게 됨으로써, 포장시트는 약제 도입부로부터 도입되는 약제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충격완화에 의해, 약제(특히, 가루약)가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 내에서 날아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개의 상기 전개 가이드면은, 상기 제 1 오목부보다도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 하류측이며 상기 주능선의 상기 하류측 단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된 제 2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능선의 하류측 단부를 포함하는 부분의 전개 가이드면에 제 2 오목부를 형성시켜 두면, 약제의 도입에 따라 포장시트가 부풀어 오르면 포장시트가 제 2 오목부에 대해 밀착접촉되고, 상기 밀착접촉에 대응하는 양의 포장시트가 전개 가이드보다도 하류측인 약제가 도입되어 있는 부분으로 보내진다. 즉, 제 1 오목부에 더하여 제 2 오목부를 형성시켜 둠으로써, 약제의 도입에 따른 포장시트의 부풀어오름에 대한 여유량이 증가되므로, 도입되는 약제의 체적이 큰 경우라도 보다 확실하게 포장시트에 과도한 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히트 시일부에서의 주름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유량의 증가에 의해 약제 도입부로부터 도입되는 약제로부터 받는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 내에서 약제가 날아오르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주능선에 대해 상기 반송방향의 만곡된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개 가이드면의 상기 제 2 오목부의 면적이, 상기 주능선에 대해 상기 반송방향의 만곡된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개 가이드면의 상기 제 2 오목부의 면적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 중 만곡된 외측 부분에는 내측 부분보다 큰 장력이 작용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주능선에 대해 상기 만곡 가이드에 의한 상기 반송방향의 만곡된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개 가이드면의 상기 제 2 오목부의 면적을, 상기 주능선에 대해 상기 만곡 가이드에 의한 상기 반송방향의 만곡된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개 가이드면의 상기 제 2 오목부의 면적보다 크게 설정하면, 만곡된 외측에 있어서의 약제의 도입에 따른 포장시트의 부풀어오름에 대한 여유량이, 만곡된 내측에 있어서의 여유량보다 커지므로, 약제의 도입에 따른 포장시트의 부풀어오름에 기인하여,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 중 만곡된 외측 부분에 과도한 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주능선에 대해 상기 만곡 가이드에 의한 상기 반송방향의 만곡된 외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의 상기 접촉 시작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주능선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상 돌기를 구비해도 좋다.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 중 만곡된 외측 부분에는 내측 부분보다 큰 장력이 작용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만곡된 외측에서는 만곡된 내측보다 포장시트와 전개 가이드면 간의 마찰저항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선형상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 중 만곡된 외측 부분과 전개 가이드면 간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촉면적의 감소에 의해 포장시트와 전개 가이드면 간의 마찰저항이 감소되므로, 포장시트를 히트 시일부를 향해 보다 원활하게 이송하면서 전개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히트 시일부에서의 주름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주능선에 대해 상기 만곡 가이드에 의한 상기 반송방향의 만곡된 내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의 상기 접촉 시작 위치에서의 상기 주능선에 대한 팽출량(evagination degree)이, 상기 주능선에 대해 상기 만곡 가이드에 의한 상기 반송방향의 만곡된 외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의 상기 접촉 시작 위치에서의 상기 주능선에 대한 팽출량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 중 만곡된 내측 부분에 작용하는 장력은, 만곡된 외측 부분에 작용하는 장력보다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전개 가이드면의 접촉 시작 위치에서의 팽출량을 만곡된 내측이 만곡된 외측보다 커지도록 설정함으로써, 포장시트에 대해 균일한 장력을 가하여, 보다 확실하게 주름이 없는 상태로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를 전개할 수 있다.
상기 전개 가이드는, 상기 주능선의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 상류측 단부로부터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 상류측으로 연장되는 부능선(副稜線)과, 상기 부능선으로부터 볼록한 형상으로 넓어지는 곡면으로서, 상기 전개 가이드면과 접속되는 한 쌍의 꼭대기부면을 더 구비한다.
약제 도입부로부터 도입된 약제(특히, 가루약)가 날아오름 등으로 인해 전개 가이드의 꼭대기부면으로 강하하더라도, 꼭대기부면이 곡면이므로 약제는 꼭대기부면에 적체되는 일 없이 포장시트로 낙하한다.
히트 시일부는, 예컨대, 회전가능한 한 쌍의 히터 롤러 사이에 포장시트를 통과시킴으로써 시일을 실시하는 롤러방식이다. 대안으로서, 상기 히트 시일부는, 포장시트를 사이에 끼워 시일을 실시하는 위치와 상기 포장시트로부터 멀어지는 위치 사이를 간헐적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가열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팩(pack)방식이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약제 포장 장치는, 전개 가이드에 진동을 부가하는 제 1 진동 인가 기구를 더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진동 인가 기구는 전개 가이드의 내부에 고정된 제 1 진동발생원을 구비한다.
제 1 진동 인가 기구에 의해 전개 가이드에 진동을 인가함으로써,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 내에서의 약제(특히, 가루약)의 이동 내지는 흐름이 원활해지므로, 약제 도입부(호퍼)에 약제가 부착되어 잔류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약제 도입부는, 약제가 투입되는 투입 개구를 상부에 가지며,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의 개구에 삽입되어 약제를 상기 포장시트 내로 도입하는 노즐부를 하부에 가지는 호퍼를 구비하고, 호퍼에 진동을 부가하는 제 2 진동 인가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 2 진동 인가 기구는, 제 2 진동발생원과, 제 2 진동발생원 및 호퍼를 유지하는 유지구조를 구비한다.
제 2 진동 인가 기구에 의해 호퍼에 진동을 인가함으로써, 호퍼에 약제(특히, 가루약)가 부착되어 잔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호퍼에 있어서의 컨타미네이션을 없앨 수 있다. 호퍼에 타격을 가할 경우에 발생하는 소리와 비교하면, 진동 인가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는 음량이 작아서, 작업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아, 작업자가 고장 발생으로 오인할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에서는, 전개 가이드가 볼록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전개 가이드면을 구비하며, 또한 포장시트의 반송방향의 만곡된 외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과 포장시트와의 접촉 시작 위치를 만곡된 내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과 포장시트와의 접촉 시작 위치보다도 포장시트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설정함으로써, 포장시트에 주름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인쇄부, 만곡 가이드, 전개 가이드, 약제 도입부, 및 인쇄부를 서로 근접하게 배치하여, 인쇄부로부터 히트 시일부까지의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인쇄부로부터 히트 시일부까지의 거리 단축에 따라, 롤 교환 등에 따른 포장시트의 낭비를 없앰으로써 러닝 코스트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개 가이드나 호퍼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 인가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고장발생으로 오인되거나 불쾌감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호퍼 내의 약제 잔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는 셔터가 폐쇄된 상태인 알약 공급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B는 셔터가 개방된 상태인 알약 공급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알약 수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알약 공급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포장 유닛을 측면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포장 유닛을 전면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포장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9는 포장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포장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포장 유닛이 수용위치에 있는 상태의 약제 포장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포장 유닛이 취출(取出)위치에 있는 상태의 약제 포장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개 가이드를 정면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개 가이드를 배면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개 가이드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개 가이드의 배면도이다.
도 17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개 가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개 가이드의 좌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5의 XIX-XIX선에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5의 XX-XX선에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5의 XXI-XXI선에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개 가이드와 만곡 가이드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개 가이드를 정면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개 가이드를 배면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개 가이드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개 가이드의 배면도이다.
도 27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개 가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28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개 가이드의 좌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25의 XXIX-XXIX선에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의 포장 유닛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1은 호퍼를 분리해낸 상태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장 유닛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2는 호퍼를 분리해낸 상태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장 유닛을 나타낸 부분 정면도이다.
도 33은 호퍼측 진동 인가 기구를 나타낸 모식적인 정면도이다.
도 34는 전개 가이드측 진동 인가 기구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5는 전개 가이드측 진동 인가 기구를 나타낸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36은 약포마다에 있어서의 진동 인가 기구의 동작 유무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7은 낭비되는 봉지가 2개인 경우에 있어서의 진동 인가 기구의 동작 유무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8은 낭비되는 봉지가 3개인 경우에 있어서의 진동 인가 기구의 동작 유무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의 포장 유닛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호퍼를 부착시킨 상태)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의 포장 유닛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호퍼를 분리해낸 상태)이다.
도 41은 호퍼를 분리해낸 상태의 포장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2는 호퍼를 분리해낸 상태의 포장 유닛을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43은 도 41의 XLIII-XLIII선에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4는 호퍼측 진동 인가 기구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가 구비하는 포장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도 46은 종래의 약제 포장 장치에 있어서의 전개 가이드 주변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7은 종래의 약제 포장 장치에 있어서의 호퍼의 노즐부 주변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1)를 나타낸 것이다.
(전체적인 구성)
상기 약제 포장 장치(1)는, 알약 공급 유닛(2), 가루약 공급 유닛(3), 포장 유닛(4), 포장이 끝난 약제가 배출되는 약제 배출부(5)를 구비하고 있다. 알약 공급 유닛(2)과 가루약 공급 유닛(3)은 하우징(6)의 상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포장 유닛(4)은 하우징(6) 내의 수용실(7)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6)의 전면 개구는 약제 배출부(5)를 제외하고는 외문형의 개폐가능한 커버(8)로 개폐가능하게 덮여 있다. 상기 커버(8)를 개방하면, 수용실(7) 내의 포장 유닛(4)에 작업자가 액세스할 수 있다. 커버(8)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양문형 등의 다른 형태여도 좋다. 하우징(6)의 상면에는, 컨트롤 패널(9)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알약 공급 유닛(2), 가루약 공급 유닛(3), 및 포장 유닛(4)의 동작은, 컨트롤 패널(9)로부터의 입력, 각종 센서(10A~10D)로부터의 입력,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처방정보에 근거하여, 컨트롤러(11, 12, 13)에 의해 제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알약 공급 유닛(2)은 컨트롤러(11)에 의해 제어되고, 가루약 공급 유닛(3)은 컨트롤러(12)에 의해 제어되며, 포장 유닛(4)은 컨트롤러(13)에 의해 제어된다. 단, 알약 공급 유닛(2), 가루약 공급 유닛(3), 및 포장 유닛(4) 중 2개 이상의 유닛을 공통의 컨트롤러에서 제어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알약 공급 유닛)
이하, 도 3a~도 5를 참조하여 알약 공급 유닛(2)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3a, 도 3b, 및 도 5를 참조하면, 알약 공급 유닛(2)은, 복수의 알약 수용칸(21)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된 알약 수용부(22)(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6)의 상면측 일부를 구성함)와, 개개의 알약 수용칸(21)에 수작업으로 뿌려져 공급된 1포 분량의 알약을 자동적으로 순차로 꺼내어 포장 유닛(4)에 공급하는 알약 공급부(23)를 구비한다.
도 3a, 도 3b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알약 수용부(22)에는, 동일형상의 알약 수용칸(21)이 전후방향(열방향)으로 4열, 가로방향(행방향)으로 7행으로서, 총 28개가 설치되어 있다. 개개의 알약 수용칸(21)은 상하 양단이 개구되어 있다. 상단 개구(21a)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알약 수용칸(21)에 알약을 투입하기 위한 개구로서 기능한다. 하단 개구(21b)는, 알약 수용칸(21) 내에 수용된 알약이 알약 공급부(23)로 보내질 때 통과하는 개구로서 기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알약 수용부(22)는, 대략 시트형상 내지는 판형상인 봉쇄 커버(25)와, 마찬가지로 대략 시트형상 내지는 판형상인 보호 커버(26)를 구비한다. 봉쇄 커버(25)와 보호 커버(26)는 알약 수용부(22)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보호 커버(26)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는, 알약 수용부(22)로부터 퇴피(退避)한 개방위치와, 알약 수용부(22) 상에 재치(載置)되어 가장 후측의 1열을 구성하는 7개의 알약 수용칸(21)의 상단 개구(21a)를 봉쇄하는 폐쇄 위치 중 어느 하나에, 봉쇄 커버(25)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a, 도 3b, 및 도 5를 참조하면, 알약 공급 유닛(2)의 알약 공급부(23)는, 알약 수용부(22)의 하방에 배치된 상측 셔터판(34), 상기 상측 셔터판(34)의 하방에 서로 겹친 상태로 배치된 하측 셔터판(35), 하측 셔터판(35)의 하방에 배치된 가동(可動)의 공급부재(36), 및 공급부재(36)의 하방에 배치된 고정판(37)을 구비한다.
상측 및 하측 셔터판(34, 35)은, 서로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알약 수용칸(21)의 배치의 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측 및 하측 셔터판(34, 35)에는 각각 알약 수용칸(21)과 대응하는 4열 7행으로서 총 28개의 알약 통과 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및 하측 셔터판(34, 35)의 도 3a 및 도 3b에 있어서 좌측의 단부에는 하측을 향해 구부러진 걸림고정부(34a, 35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셔터판(34)은 알약 수용부(22)에 대해 스프링(도시 생략)으로 연결되며, 도 3a 및 도 3b에 있어서 우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하측 셔터판(35)은 상측 셔터판(34)에 대해 스프링(도시 생략)으로 연결되며, 도 3a 및 도 3b에 있어서 우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있다. 상측 및 하측 셔터판(34, 35)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는, 상측 및 하측 셔터판(34, 35)은 도 3b에 나타낸 위치에 있다.
공급부재(36)는 피니언 랙 기구 및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장치에 의해 알약 수용칸(21)의 배치의 행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다. 공급부재(36)에는, 알약 수용부(22)의 알약 수용칸(21)에 대응하여 4열 7행으로서 총 28개의 상하 양단이 개구된 알약 공급칸(42)이 설치되어 있다. 개개의 알약 공급칸(42)의 하단측 개구에는, 일단이 핀(44)에 의해 요동가능하며, 또한 개방용 추(45)가 내장된 개폐가능한 바닥판(43)이 배치되어 있다.
고정판(37)의 상면에는 알약 공급칸(42)의 바닥판(43)이 놓여지며, 이에 따라 바닥판(43)이 폐쇄 위치에서 유지된다. 또한, 고정판(37)의 도 3a, 도 3b 및 도 5에 있어서 우측 단부에는, 알약 수용칸(21) 및 알약 공급칸(42)의 열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열)와 동일한 수의 단차(37a~37d)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알약 공급 유닛(2)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수작업으로 뿌림으로써 상단 개구(21a)를 통해 알약을 투입하여 개개의 알약 수용칸(21)에 수용시킨다. 이후, 컨트롤 패널(9)의 시작 버튼을 선택하면, 알약 공급부(23)가 동작하여, 알약 수용부(22)로부터 공급되는 알약이 반송로(도시 생략)를 통해 1포 분량씩 포장 유닛(4)의 호퍼(67)로 보내지고, 포장 유닛(4)에서 분포(分包)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시작 버튼을 선택하기 전(비작동시)에는, 알약 공급부(23)는 도 3a에 나타낸 상태에 있으며, 개개의 알약 수용칸(21)의 하단 개구(21b)는 상측 및 하측 셔터판(34, 35)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시작 버튼이 선택되면, 공급부재(36)가 도 3a에 있어서 좌측방향(행방향)으로 이동한다. 공급부재(36)의 일단이 하측 셔터판(35)의 걸림고정부(35a)에 걸리고, 그 결과 하측 셔터판(35)도 공급부재(36)와 함께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공급부재(36)가 도면에 있어서 좌측방향으로 더욱 이동하면, 하측 셔터판(35)의 걸림고정부(35a)를 통해 공급부재(36)의 일단이 상측 셔터판(34)의 걸림고정부(34a)에 걸려, 상측 셔터판(34)도 공급부재(36)와 함께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 셔터판(34, 35)의 알약 통과 구멍(41, 41)이 개개의 알약 수용칸(21)의 하단 개구(21b)와 각각 마주보는 개방위치가 된다. 또한, 공급부재(36)의 알약 공급칸(42)의 상단측 개구가 각각 개개의 하단 개구(21b)와 마주보는 상태가 된다. 그 결과, 개개의 알약 수용칸(21)에 수용되어 있던 1포 분량의 알약은 하단 개구(21b) 및 알약 통과 구멍(41)을 거쳐 공급부재(36)의 알약 공급칸(42)에 수용된다. 다음으로, 공급부재(36)가 도면에 있어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알약 공급칸(42)의 바닥판(43)이 이동방향 전측의 것부터 순서대로 단차(37a~37d)의 전방에 도달하며, 하방으로부터의 지지가 없어짐으로써 개방된다. 그 결과, 개개의 알약 공급칸(42) 내의 알약이 순차로 호퍼(67) 내로 공급된다.
(가루약 공급 유닛)
가루약 공급 유닛(3)은, 수작업으로 가루약이 공급되고, 상기 가루약을 자동적으로 1포 분량씩 분할하여 순차로 포장 유닛(4)에 공급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루약 공급 유닛(3)은, 하우징(6)의 상면에 개구된 단면이 대략 V자 형상인 가늘고 긴 수납칸(V형 수납부(51))을 구비한다. V형 수납부(51)의 바닥부는 개폐가 가능하다. 또한, V형 수납부(51)의 하측에는 복수의 분할용기(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V형 수납부(51)내로 투입된 가루약은 바닥부가 개방되면 분할용기로 낙하하여 소정량으로 분할된다. 분할용기의 바닥부도 개폐가 가능하다. 분할용기의 바닥부를 순차로 개방함으로써, 개개의 분할용기 내의 가루약이 호퍼(67)로 낙하하여 1포 분량씩 포장 유닛(4)에 공급된다. 또한, V형 수납부(51) 내에는 가루약의 분할수를 조정하기 위한 가동의 칸막이판(52)이 배치되어 있다. 가루약 공급 유닛(3)의 구성은, 가루약을 1포 분량씩 포장 유닛(4)에 공급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가루약 공급 유닛(3)은, 호퍼에 투입된 가루약을 분배 접시의 외주의 환형 홈에 공급하고, 스크레이핑 장치에 의해 외주의 환형 홈으로부터 1포 분량씩 긁어낸 가루약을 순차로 포장 유닛(4)에 공급하는 것이어도 좋다.
(포장 유닛)
이하에서는, 도 6~도 22를 참조하면서 포장 유닛(4)에 대해 설명한다. 포장 유닛(4)은, 시트 공급부(63), 전개 가이드(65), 호퍼(67), 히트 시일부(68), 및 인쇄부(69)를 구비한다. 시트 공급부(63)는, 길이방향에 따라 미리 반으로 접혀진 가늘고 긴 포장시트(61)가 감겨 있는 롤(62)로부터 포장시트(61)를 풀어내어 공급한다. 전개 가이드(65)는, 시트 공급부(63)에 의해 공급되는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를 전개하여 개구시킨다. 호퍼(67)는, 알약 공급 유닛(2) 및 가루약 공급 유닛(3)으로부터 약제가 투입되는 투입 개구(67b)를 상단에 가지며,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의 개구에 약제를 도입하는 도입구로서 기능하는 노즐부(67a)를 하단에 구비한다. 히트 시일부(68)는, 도입된 약제를 가두도록 포장시트(61)를 시일하며, 이에 따라 연속적인 약포가 작성된다. 히트 시일부(68)에 의해 작성된 연속적인 약포는, 컷터 기구(도 37 및 도 38에만 부호 80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냄.)에 의해 절단되어 1처방 마다 분리된다. 분리 후의 약포는 약제 배출부(5)(도 1 참조)로부터 배출된다. 인쇄부(69)는, 포장시트(61)의 경로 중 시트 공급부(63)와 전개 가이드(65)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포장시트(61)에 환자명, 약제명, 용법 등의 정보를 인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포장 유닛(13)의 동작은 컨트롤러(13)에 의해 제어된다.
도 6~도 10을 참조하면, 포장 유닛(4)은 하우징(6)의 수용실(7)에 배치된 유지 프레임(71)에 설치되어 있다. 유지 프레임(71)은, 하우징(6)의 정면측으로 넓어지는 정면측 유지부(71a)와, 상기 정면측 유지부(71a)의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 우측으로부터 배면측으로 연장되는 측면측 유지부(71b)와, 정면측 유지부(71a)의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 좌측의 측단측을 하우징(6)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기구(72)(도 11 및 도 12를 함께 참조)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포장 유닛(4)을 하우징(6) 내에 컴팩트하게 수용하면서, 후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양호한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 유지 프레임(71)의 상단(도 8 참조)의 수직 상부 위치에는 베이스판(도시 생략)이 있으며, 상기 베이스판 상에 알약 공급 유닛(2)이나 가루약 공급 유닛(3)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포장 유닛(4)은, 유지 프레임(71)에 설치됨으로써, 상하방향의 공간이 한정된 하우징(6) 내에 컴팩트하게 수용되어 있다.
유지 프레임(71)의 측면측 유지부(71b)의 하방측 부위에 포장시트(61)의 롤(62)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유지 프레임(71)의 측면측 유지부(71b)에는, 시트 공급부(63)의 일부를 구성하는 2개의 가이드 롤러(73a, 73b)가 설치되어 있다. 롤(62) 및 가이드 롤러(73a, 73b)의 회동 중심은, 측면측 유지부(71b)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정면측 유지부(71a)가 넓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유지 프레임(71)의 측면측 유지부(71b)의 가이드 롤러(73a, 73b)보다 상방에, 인쇄부(69)가 배치되어 있다. 포장시트(61)는 롤(62)로부터 배면측으로 풀려나와, 일방의 가이드 롤러(73a)에 의해 전면측으로 수평방향으로 되접혀지고, 또한 타방의 가이드 롤러(73b)에 의해 상측을 향하도록 방향전환되어, 인쇄부(69)로 인도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73a, 73b)의 선단에 반송 시트(61)의 사행(蛇行)이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형상부를 설치해도 좋다.
인쇄부(69)는, 열전사용 잉크 리본(75)의 권출 롤러와 권취 롤러를 구비한 교환가능한 잉크 카트리지(76), 잉크 리본(75)에 대해 장력을 부가하는 가압롤러(77), 열전사 헤드(78), 및 열전사 헤드(78)의 부분에서 포장시트(61)를 잉크 리본(75)에 밀착접촉시키기 위한 백업 롤러(79)를 구비한다.
유지 프레임(71)의 정면측 유지부(71a)의 상방측이면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단측의 부위에는, 인쇄부(69)를 통과한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을 전개 가이드(65)의 직전에서 만곡시키는 회전가능한 만곡 가이드 롤러(81A, 81B ; 만곡 가이드)가 배치되어 있다(도 22도 함께 참조). 구체적으로는, 만곡 가이드 롤러(81A, 81B)는 측면측 유지부(71b)를 따라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는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을 정면측 유지부(71a)의 전면측으로 만곡시키고, 또한 정면측 유지부(71a)의 전면측에서 보았을 때 좌측으로 비스듬히 하방으로 포장시트(61)를 안내한다. 상기 만곡 가이드 롤러(81A, 81B)는, 정면측 유지부(71a)로부터 정면측 유지부(71a)가 넓어지는 방향이면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6, 도 9, 및 도 22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만곡 가이드 롤러(81A, 81B) 중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 하류측의 만곡 가이드 롤러(81B)의 사이드 가장자리가 연장되는 방향(이점쇄선(C))과, 후술하는 전개 가이드(65)의 주능선(94)이 연장되는 방향을 일치시키고 있다.
유지 프레임(71)의 정면측 유지부(71a)에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만곡 가이드 롤러(81A, 81B)보다도 좌측으로 비스듬히 하방(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 하류측)에 전개 가이드(65)가 배치되어 있다. 전개 가이드(65)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기재한다. 또한, 유지 프레임(71)의 정면측 유지부(71a)에는 호퍼(67)가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67) 하단의 노즐부(67a)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전개 가이드(65)의 좌측으로 비스듬히 하방(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유지 프레임(71)의 정면측 유지부(71a)에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호퍼(67)의 노즐부(67a)보다도 비스듬히 하방의 위치(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 하류측)에 히트 시일부(68)가 배치되어 있다. 히트 시일부(68)보다도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있어서 만곡 가이드 롤러(81A, 81B)에 의해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을 급격히 만곡시킴으로써, 유지 프레임(71)의 측면측 유지부(71b)에 인쇄부(69)를 배치하는 한편, 유지 프레임(71)의 정면측 유지부(71a)에 전개 가이드(65), 호퍼(67)의 노즐부(67a), 및 히트 시일부(68)를 배치함에 따라, 인쇄부(69), 전개 가이드(65), 노즐부(67a), 및 히트 시일부(68)를 비교적 좁은 공간에 서로 근접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히트 시일부(68)는, 모터, 직동(直動) 기어, 간헐 기어 등을 포함하는 구동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구동되는 한 쌍의 이송 롤러(82a, 82b)를 구비한다. 포장시트(61)는 이송 롤러(82a, 82b) 사이에 끼움지지되며, 이송 롤러(82a, 82b)의 간헐적인 회전에 의해 반송된다. 또한, 이송 롤러(82a, 82b)에 대해 포장시트(61)의 이송방향 상류측에는, 한 쌍의 히터 롤러(83a, 83b)를 구비한다. 개개의 히터 롤러(83a, 83b)는, 원판형상의 이송 히트 시일 부재(84)와, 하단에 이송 히트 시일 부재(84)와 동일한 직경의 롤러 부재(85)가 일체로 형성된 얇은 직사각형 판형상의 세로 히트 시일 부재(86)를 구비하고 있다. 이송 히트 시일 부재(84, 84)는, 이송 롤러(82a, 82b)와 공통의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세로 히트 시일 부재(86, 86)는 이송 히트 시일 부재(84, 84)와는 다른 구동 기구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양측 히터 롤러(83a, 83b)의 이송 히트 시일 부재(84, 84) 사이에서 포장시트(61)의 사이드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의 시일(가로 시일)이 형성된다. 양측 히터 롤러(83a, 83b)의 세로 히트 시일 부재(86, 86)에 의해 포장시트(61)를 가로지르는 시일(세로 시일)이 형성된다.
다음은, 도 13~도 22를 함께 참조하면서 전개 가이드(65)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전개 가이드(65)는,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를 전개하여 호퍼(67)의 노즐부(67a)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101)를 형성하는 기능을 가지는 가이드 본체(91)와, 상기 가이드 본체(91)를 브래킷(92)(도 6~도 8 참조)을 통해 유지 프레임(71)의 정면측 유지부(71a)에 고정시키기 위한 가늘고 긴 판형상의 부착부(93)를 구비한다. 부착부(93)의 관통구멍(93a, 93b)에 각각 삽입통과시킨 나사(도시 생략)에 의해 전개 가이드(65)가 브래킷(92)에 고정된다.
전개 가이드(65)의 가이드 본체(91)는, 포장시트(61)의 접음선(61a)을 따라 연장되는 주능선(94), 주능선(94)으로부터 넓어진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도 13, 도 18 및 도 22의 화살표 A 참조)으로부터 보았을 때 볼록형상의 곡면인 한 쌍의 전개 가이드면(95a, 95b), 주능선(94)의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A)의 상류측 단부(94a)로부터 주능선(94)과 연속하여 반송방향(A)의 상류측으로 연장되는 부능선(90), 및 부능선(90)으로부터 넓어진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A)의 상류측에서 보았을 때 볼록형상의 곡면인 한 쌍의 꼭대기부면(96a, 96b), 및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A)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점차 주능선(94)에 가까워지다가 주능선(94)의 반송방향(A) 하류측 단부(94b)에 접속되는 후단 가장자리(97a, 97b)를 구비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A)과 직교하는 동시에 주능선(94)에 대해 정면으로 마주보는 화살표 B 방향(정면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가이드 본체(91)는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A) 하류측을 향해 좁아지는(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A) 상류측을 향해 넓어지는) 대략 매끈한 곡면형상이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배면방향에서 바라본 가이드 본체(91)는 오목형상 내지는 중공형상이며, 상기 중공부는 약제(특히, 가루약)가 체류하지 않도록 도 21에만 모식적으로 나타낸 폐쇄판(98)으로 폐쇄되어 있다.
전개 가이드면(95a, 95b)은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A) 상단측에 숄더부(99a, 99b)를 구비하며, 상기 숄더부(99a, 99b)에 의해 전개 가이드면(95a, 95b)이 꼭대기부면(96a, 96b)에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개 가이드면(95a, 95b)의 숄더부(99a, 99b)는 폭이 가느다란 능선형상이다. 이하에서는, 전개 가이드면(95a, 95b)이라 하면,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전개 가이드면(95a, 95b) 중 숄더부(99a, 99b)를 제외한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A)에서 보면, 전개 가이드면(95a, 95b)의 외형은 볼록형상의 곡선이며, 주능선(94)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한 쌍의 전개 가이드면(95a, 95b)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다(도 17, 도 19, 및 도 20 참조). 또한, 포장시트의 반송방향(A)에 대해 직교하는 동시에 주능선(94)에 대해 정면으로 마주보는 방향(도 13, 도 18, 및 도 22의 화살표 B 참조)에서 보면, 전개 가이드면(95a, 95b)의 외형은 대략 직선형상이며,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A)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전개 가이드면(95a, 95b) 사이의 간격이 서서히 좁아져 있다(도 15 참조).
전개 가이드(65)는 이러한 볼록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전개 가이드면(95a, 95b)을 구비하며, 또한 만곡 가이드 롤러(81A, 81B) 중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A) 하류측의 만곡 가이드 롤러(81B)의 사이드 가장자리가 연장되는 방향(도 6, 도 9 및 도 22의 이점쇄선(C))과, 전개 가이드(65)의 주능선(94)이 연장되는 방향을 일치시키고 있다. 환언하자면, 만곡 가이드 롤러(81B)의 사이드 가장자리가 연장되는 방향(이점쇄선(C))과 주능선(94)이 연장되는 방향은, 연직방향으로 넓어지는 동일평면상에 있다. 이러한 전개 가이드면(95a, 95b)과 주능선(94)의 구성에 의해,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를 곡면에 의해 안내하여 완만하게 변형 내지 전개시키고,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의 각각에 균등하게 장력을 작용시키면서, 개구(101)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쇄부(69), 전개 가이드(65), 호퍼(67)의 노즐부(67a), 및 히트 시일부(68)를 서로 근접하게 배치하더라도, 히트 시일부(68)에서 포장시트(61)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환언하자면, 전개 가이드(65)의 형상에 의해, 포장시트(61)에 주름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인쇄부(69)로부터 히트 시일부(68)까지의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약제 포장 장치(1)의 최초 기동시나 롤(62)의 교환시에 있어서, 시트의 배치에만 사용되고 약제의 포장에는 사용되지 않아 낭비되는 포장시트(61)(인쇄부로부터 히트 시일부까지의 포장시트)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단축시킬 수 있어, 러닝 코스트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인쇄부(69)로부터 히트 시일부(68)까지의 거리를 단축시킴으로써,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5의 부호 100a는,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A)에 직교하는 동시에 주능선(94)에 대해 정면으로 마주보는 방향(도 13, 도 18 및 도 22의 화살표 B)에서 보았을 때의, 주능선(94)에 대해 반송방향(A)의 만곡된 외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95a)의 포장시트(61)(도 13에서 접음선(61a)보다도 좌측의 부분(61b))와의 접촉 시작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도 15의 부호 100b는 화살표 B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주능선(94)에 대해 반송방향(A)의 만곡된 내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95b)의 포장시트(61)(도 13에서 접음선(61a)보다도 우측의 부분(61c)과의 접촉 시작 위치를 나타낸다. 접촉 시작 위치(100a, 100b)는 전개 가이드면(95a, 95b) 중 숄더부(99a, 99b)에 위치하고 있다. 도 15에서, 반송방향(A)의 만곡된 외측의 전개 가이드면(95a)의 접촉 시작 위치(100a)는, 반송방향(A)의 만곡된 내측의 전개 가이드면(95b)의 접촉 시작 위치(100b)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반송방향(A)의 만곡된 외측의 접촉 시작 위치(100a)는 만곡된 내측의 접촉 시작 위치(100b)보다 근소하게 반송방향(A)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접촉 시작 위치(100a, 100b)의 설정에 의해,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의 만곡된 외측 부분(61b)과 만곡된 내측 부분(61c)이 동시에 대응하는 전개 가이드면(95a, 95b)과 접촉을 시작한다. 그 결과,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를 보다 원활하게 전개시켜 개구(101)를 형성할 수 있고, 히트 시일부(68)에서 포장시트(61)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개 가이드면(95a, 95b)은 요철이 없는 곡면(기하학적으로 보았을 때 연속된 곡면)이 아니라, 이하에 상세히 기재하는 바와 같이 미세한 요철을 가지고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접촉 시작 위치(100a, 100b)를 포함하는 숄더부(99a, 99b)로부터 반송방향(A) 하류측으로 어느 정도의 간격을 둔 위치까지의 영역(a1)의 전개 가이드면(95a, 95b)(상류측 부분(102a, 102b))에 대해, 영역(a1)에 인접하여 반송방향(A)으로 더욱 하류측(주능선(94)의 하류측 단부(94b))의 어느 정도 범위의 영역(a2)은 근소하게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즉, 영역(a2)에 중간오목부(제 1 오목부)(103a, 103b)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오목부(103a, 103b)는 주능선(94)으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로부터 후단 가장자리(97a, 97b)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자면, 영역(a2)에 포함되는 부분이라도 주능선(94)에 가까운 위치에는 중간오목부(103a, 103b)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이 위치에서는 영역(a2)라 하더라도 영역(a1)(상류측 부분(102a, 102b))과 동일한 정도로 전개 가이드면(95a, 95b)이 볼록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중간오목부(103a, 103b)는 상류측 부분(102a, 102b)에 대해 비교적 급격히 쑥 들어간 형상을 가지고 있어, 상류측 부분(102a, 102b)과 중간오목부(103a, 103b) 사이에는 단차부(104a, 104b)가 형성되어 있다.
전개 가이드(65)의 하류측에서 호퍼(67)의 노즐부(67a)로부터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의 개구(101)로 약제가 도입되면, 약제의 체적에 따라서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가 부풀어 오른다(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의 접음선(61a)을 사이에 둔 두 개의 부분(61b, 61c)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다). 특히, 도입되는 약제의 체적이 큰 경우, 상기 포장시트(61)는 현저히 부풀어오른다. 전개 가이드면(95a, 95b)에 중간오목부(103a, 103b)를 형성시켜 두면, 약제의 도입에 따라 포장시트(61)가 부풀어 오를 때 포장시트(61)의 두 개의 부분(61b, 61c)이 대응하는 전개 가이드면(95a, 95b)의 중간오목부(103a, 103b)에 대해 밀착접촉되고, 이러한 밀착접촉에 대응하는 양의 포장시트(61)가 전개 가이드(65)보다 하류측인 약제가 도입되어 있는 부분으로 보내진다. 따라서, 전개 가이드면(95a, 95b)에 중간오목부(103a, 103b)를 형성시킴으로써, 약제의 도입에 따라 부풀어오름이 발생하더라도 포장시트(61)에 과도한 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히트 시일부(68)에서 포장시트(61)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환언하자면, 전개 가이드면(95a, 95b)에 중간오목부(103a, 103b)를 형성시켜 둠으로써, 약제의 도입에 따른 포장시트(61)의 부풀어오름에 대해 어느 정도의 여유를 갖게 한 상태(부풀어오름을 「흡수」할 수 있는 상태)에서 포장시트(61)를 전개하여 개구(101)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히트 시일부(68)에서의 주름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간오목부(103a, 103b)에 의해 포장시트(61)의 부풀어오름에 대해 여유를 가짐으로써, 포장시트(61)는 호퍼(67)의 노즐부(67a)로부터 도입되는 약제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충격완화에 의해, 약제(특히, 가루약)가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 내에서 날아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일, 전개 가이드면(95a, 95b) 전체를 중간오목부(103a, 103b)와 동일한 형상으로 하였다면, 접촉 시작 위치(100a, 100b) 부근, 즉 상류측 부분(102a, 102b)에서 포장시트(61)의 반으로 접힌 부분(61b, 61c)을 접음선(61a)에 대해 충분히 전개할 수 없어, 호퍼(67)의 노즐부(67a)로부터의 약제 도입에 필요한 사이즈의 개구(101)를 확보할 수 없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개 가이드면(95a, 95b)을, 상류측 부분(102a, 102b)에 대해서는 오목하게 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중간오목부(103a, 103b)를 형성하였으므로, 필요한 사이즈의 개구(101)를 확보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포장시트(61)의 부풀어오름에 대해 어느 정도의 여유를 갖게 한 상태를 실현하고 있다.
도 15 및 도 18을 참조하면, 중간오목부(103a, 103b)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a2)보다도 하류측이면서 주능선(94)의 하류측 단부(94b)를 포함하는 영역(a3)에는, 중간오목부(103a, 103b)보다도 전개 가이드면(95a, 95b)을 더욱 오목하게 한 단부오목부(105a, 105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부오목부(105a, 105b)는, 주능선(94)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삼각형상의 오목부분(106), 역삼각형상의 오목부분(107), 및 사각형상의 오목부분(108)을 나란히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져 있다. 또한, 주능선(94)에 대해 반송방향(A)의 만곡된 외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95a)의 단부오목부(105a)의 면적을, 주능선(94)에 대해 반송방향(A)의 만곡된 내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95b)의 단부오목부(105b)의 면적보다 크게 설정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호퍼(67)의 노즐부(67a)로부터 개구(101)로의 약제 도입에 따라 포장시트(61)가 부풀어 오르면,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의 개개의 부분(61b, 61c)이 대응하는 전개 가이드면(95a, 95b)의 단부오목부(105a, 105b)에 대해 밀착접촉되고, 이러한 밀착접촉에 대응하는 양의 포장시트(61)가 전개 가이드(65)보다 하류측의 약제가 도입되어 있는 부분으로 보내진다. 즉, 중간오목부(103a, 103b)에 더하여 단부오목부(105a, 105b)를 형성시켜 둠으로써, 약제 도입에 따른 포장시트(61)의 부풀어오름에 대한 여유량이 증가하므로, 도입되는 약제의 체적이 큰 경우라도 보다 확실하게 포장시트(61)에 과도한 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히트 시일부(68)에서의 주름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유량의 증가에 따라 호퍼(67)의 노즐부(67a)로부터 도입되는 약제로부터 받는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 내에서 약제가 날아오르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 중 만곡된 외측 부분(61b)에는 내측 부분(61c)보다 큰 장력이 작용하는 경향이 있다. 만곡된 외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95a)의 단부오목부(105a)의 면적을 만곡된 내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95b)의 단부오목부(105b)의 면적보다 크게 설정하면, 만곡된 외측에 있어서의 약제 도입에 따른 포장시트(61)의 부풀어오름에 대한 여유량이, 만곡된 내측에 있어서의 여유량보다 커지므로, 약제 도입에 의한 포장시트(61)의 부풀어오름에 기인하여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 중 만곡된 외측 부분(61b)에 과도한 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8에 가장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전개 가이드(65)의 후단 가장자리(97a, 97b)는, 주능선(94)의 하류측 단부(94b)와의 접속 위치에 있어서의 주능선(94)에 대한 각도(θ1)(예각)가, 주능선(94)의 하류측 단부(94b)와의 접속 위치 이외의 부위에서의 주능선(94)에 대한 각도(θ2)(예각)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각도(θ1)는 70°이고, 각도(θ2)는 35°이다.
이러한 전개 가이드면(95a, 95b)의 후단 가장자리(97a, 97b)의 형상에 의해, 포장시트(61)의 주름 발생 방지와 포장시트의 원활한 반송을 양립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단 가장자리(97a, 97b)와 주능선(94)의 접속 위치 이외에서는 양자의 각도(θ2)를 작게 설정함으로써, 전개 가이드면(95a, 95b)을 포장시트(61)의 주름방지가 가능할 정도로 충분히 넓지만 마찰저항에 의해 포장시트(61)의 반송을 방해하지 않는 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전개 가이드(65)의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A) 상류측의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주능선(94)과 연속되어 연장되는 부능선(90)과, 상기 부능선(90)에 대해 대략 대칭으로 넓어지는 볼록형상의 곡면인 한 쌍의 꼭대기부면(96a, 96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호퍼(67)의 노즐부(67a)로부터 도입된 약제(특히, 가루약)가 날아오름 등으로 인해 전개 가이드의 꼭대기부면(96a, 96b)으로 강하하더라도, 꼭대기부면(96a, 96b)은 곡면이므로 약제는 꼭대기부면(96a, 96b)에 적체되는 일 없이 포장시트(61) 내로 낙하한다.
다음으로, 포장 유닛(4)을 구성하는 각 요소의 배치에 관한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유지 프레임(71)의 측면측 유지부(71b)에 포장시트(61)의 롤(62), 가이드 롤러(73a, 73b), 및 인쇄부(69)가 배치되는 한편, 정면측 유지부(71a)에 백업 롤러(79), 만곡 가이드 롤러(81A, 81B), 전개 가이드(65), 호퍼(67), 및 히트 시일부(68)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시트(61)의 롤(62), 가이드 롤러(73a, 73b), 인쇄부(69), 백업 롤러(79), 만곡 가이드 롤러(81A, 81B), 전개 가이드(65), 호퍼(67), 및 히트 시일부(68)를 컴팩트하게 배치하여 하우징(6)의 수용실(7) 내의 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환언하자면, 약제 포장 장치(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 기구(72)에 의해 유지 프레임(71)을 회동시키면, 포장 유닛(4)의 거의 전체를 하우징(6)으로부터 꺼낸 상태가 되며, 또한 포장시트(61)의 롤(62)이나 인쇄부(69)를 하우징(6)의 정면측으로 이동시켜서 외부로부터 간단히 액세스할 수 있는 동시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롤(62)의 교환, 잉크 리본 카트리지(76)의 교환을 포함한 인쇄부(69)의 보수 등, 각종 작업의 작업성이 용이해진다.
(제 2 실시형태)
도 23 내지 도 29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는, 전개 가이드(65)의 구조만이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도 23, 도 25, 및 도 27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개 가이드면(95a, 95b)의 숄더부(99a, 99b)는 폭이 넓고, 그에 대응하여 꼭대기부면(96a, 96b)의 면적은 좁다. 숄더부(99a, 99b)를 제외한 전개 가이드면(95a, 95b)은 전체적으로 오목부분이 없는 매끈한 곡면이지만, 후단 가장자리(97a, 97b)를 따라 연장되는 가늘고 긴 평탄부(109a, 109b)를 가지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A)에서 보면, 전개 가이드면(95a, 95b)의 평탄부(109a, 109b)를 제외한 외형은 볼록형상의 곡선이며, 주능선(94)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한 쌍의 전개 가이드면(95a, 95b)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다. 또한, 포장시트의 반송방향(A)에 대해 직교하는 동시에 주능선(94)에 대해 정면으로 마주보는 방향(화살표 B)에서 보면, 전개 가이드면(95a, 95b)의 외형은 대략 직선형상이며,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A)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전개 가이드면(95a, 95b) 사이의 간격이 서서히 좁아져 있다.
전개 가이드(65)는 이러한 볼록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전개 가이드면(95a, 95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6, 도 9 및 도 22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만곡 가이드 롤러(81A, 81B) 중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A) 하류측의 만곡 가이드 롤러(81B)의 사이드 가장자리가 연장되는 방향(이점쇄선(C))과, 전개 가이드(65)의 주능선(94)이 연장되는 방향을 일치시키고 있다. 전개 가이드(65)를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를 곡면으로 안내하여 완만하게 변형 내지 전개시켜,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의 각각에 균등하게 장력을 작용시키면서, 개구(101)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인쇄부(69), 전개 가이드(65), 호퍼(67)의 노즐부(67a), 및 히트 시일부(68)를 서로 근접하게 배치하더라도(인쇄부(69)로부터 히트 시일부(68)까지의 거리를 단축시키더라도), 히트 시일부(68)에서 포장시트(61)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전개 가이드면(95a, 95b)의 포장시트(61)와의 접촉 시작 위치(100a, 100b)는 숄더부(99a, 99b)에 포함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반송방향(A)의 만곡된 외측의 전개 가이드면(95a)의 접촉 시작 위치(100a)는, 반송방향(A)의 만곡된 내측의 전개 가이드면(95b)의 접촉 시작 위치(100b)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만곡된 외측의 접촉 시작 위치(100a)는 만곡된 내측의 접촉 시작 위치(100b)보다 근소하게 반송방향(A)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접촉 시작 위치(100a, 100b)의 설정에 의해,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의 만곡된 외측과 내측 부분(61b, 61c)이 동시에 대응하는 전개 가이드면(95a, 95b)과 접촉을 시작한다. 그 결과,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를 보다 원활하게 전개시켜 개구(101)를 형성할 수 있고, 히트 시일부(68)에서의 포장시트(61)의 주름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A)의 만곡된 내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95b)의 숄더부(99b)의 접촉 시작 위치(100b)에서의 주능선(94)에 대한 팽출량(Pin)은, 주능선(94)에 대해 반송방향의 만곡된 외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95a)의 숄더부(99a)의 접촉 시작 위치(100a)에서의 주능선(94)에 대한 팽출량(Pout)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환언하자면, 전개 가이드면(95a, 95b)은 주능선(94)에 대해 비대칭이며,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A)의 만곡된 내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95b)이 만곡된 외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95a)보다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A)의 만곡된 내측 부분(61c)에 작용하는 장력은, 만곡된 외측 부분(61b)에 작용하는 장력보다 약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내측과 외측에서의 장력 불균형으로 인해,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의 만곡된 내측 부분(61c)에 이완이 생기기 쉬우며, 이러한 이완은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의 두 개의 부분(61b, 61c)의 가장자리부(이른바 「귀부분」)이 일치하지 않는 상태(이른바 「귀부분의 어긋남」)의 원인이 된다. 전개 가이드(65) 및 만곡 가이드 롤러(81A, 81B)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인쇄부(69)의 열전사 헤드(78) 등의 접촉 저항도 포장시트(61)의 내측 부분(61c)과 외측 부분(61b) 사이에서 장력의 불균형을 조장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의 전개 가이드(65)는,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A)의 만곡된 내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95b)이 만곡된 외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95a)보다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주능선(94), 양측 숄더부(99a, 99b), 및 양측 전개 가이드면(95a, 95b)으로부터 포장시트(61)에 작용하는 장력이 균형을 이룬다. 그 결과,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의 양측 부분(61b, 61c)에 균일하게 장력이 작용하여, 포장시트(61)는 반으로 접힌 양측 사이드 가장자리가 일치된 상태(이른바 「귀부분이 일치된」 상태)로 전개 가이드(65)에 의해 전개되어, 주름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주능선(94)에 대해 반송방향(A)의 만곡된 외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95a)에는, 포장시트(61)의 접촉 시작 위치(100a)에 인접하는 위치에 주능선(94)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상 돌기(110)가 형성되어 있다. 도 28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선형상 돌기(110)는 일단(도 28에서 좌측 단부)이 전개 가이드면(95a)의 평탄부(109a)와 곡면부분 간의 경계에 위치하며, 타단(도 28에서 우측 단부)은 주능선(94)과 후단 가장자리(97b)의 중간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선형상 돌기(110)의 부분에서의 반송방향(A)의 만곡된 외측의 전개 가이드면(95a)의 주능선(94)에 대한 팽출량도, 만곡된 내측의 전개 가이드면(95b)의 접촉 시작 위치(100b)에 있어서의 주능선(94)에 대한 팽출량(Pin)보다 작다.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 중 만곡된 외측 부분(61b)에는 내측 부분(61c)보다 큰 장력이 작용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만곡된 외측에서는 만곡된 내측보다 포장시트(61)와 전개 가이드면(95a, 95b) 사이의 마찰저항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선형상 돌기(110)를 형성함으로써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 중 만곡된 외측 부분(61b)과 전개 가이드면(95a)은 주로 선형상 돌기(110)의 선단과 주능선(94)의 하류측 단부(94b) 부근의 2군데에서 접촉하므로, 양자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촉면적의 감소에 따라 포장시트(61)와 전개 가이드면(95a) 사이의 마찰저항이 감소하므로, 포장시트(61)를 히트 시일부(68)를 향해 보다 원활히 이송하면서 전개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히트 시일부(68)에서의 주름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형상 돌기(110)를 형성시킴으로써, 선형상 돌기(110)와 주능선(94) 부근 사이의 영역에서는 포장시트(61)의 부분(61b)이 전개 가이드면(95a)에 대해 근소하게 뜬 상태가 된다. 그리고, 호퍼(67)의 노즐부(67a)로부터 개구(101)로의 약제 도입에 따라 포장시트(61)가 부풀어 오르면, 이 영역의 포장시트(61)의 부분(61b)이 전개 가이드면(95a)에 밀착접촉되고, 상기 밀착접촉에 대응하는 양의 포장시트(61)가 전개 가이드(65)보다 하류측인 약제가 도입되어 있는 부분으로 보내진다. 즉, 선형상 돌기(110)를 형성시킴으로써, 약제의 도입에 따른 포장시트(61)의 부풀어오름에 대한 여유량이 증가하므로, 도입되는 약제의 체적이 큰 경우라도 보다 확실하게 포장시트(61)에 과도한 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히트 시일부(68)에서의 주름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기타의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 1 실시형태의 전개 가이드(65)에 대해서도, 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전개 가이드면(95a, 95b)을 비대칭으로 하는 구성, 즉 반송방향(A)의 만곡된 내측의 전개 가이드면(95b)의 접촉 시작 위치(100b)의 주능선(94)에 대한 팽출량을, 만곡된 외측의 전개 가이드면(95a)의 접촉 시작 위치(100a)의 주능선(94)에 대한 팽출량보다 크게 설정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은, 도 30 내지 도 3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약제 포장 장치(1) 중 포장 유닛(4)만이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만곡 가이드 롤러(81A, 81B) 대신에, 고정된 가이드 로드(181)가 배치되어 있다(특히 도 12 참조). 구체적으로, 가이드 로드(181)는 측면측 유지부(71b)를 따라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을 정면측 유지부(71a)의 전면측으로 만곡시키고, 또한 정면측 유지부(71a)의 전면측에서 보았을 때 비스듬히 하측방향으로 포장시트(61)를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 로드(181)는, 정면측 유지부(71a)로부터 정면측 유지부(71a)가 넓어지는 방향이면서 비스듬히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 로드(181) 중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 하류측의 사이드 가장자리가 연장되는 방향과, 전개 가이드(65)의 주능선(94)이 연장되는 방향을 일치시키고 있다(2개의 방향이 동일평면상에 있음). 알약 공급 유닛(2), 가루약 공급 유닛(3), 및 약제 배출부(5)의 구성 및 동작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포장 유닛(4)은, 알약 공급 유닛(2)으로부터 호퍼(67)에 공급되는 알약이나, 가루약 공급 유닛(3)으로부터 호퍼(67)에 공급되는 가루약이, 호퍼(67) 내의 벽면에 부착 등을 일으켜서 포장시트(61)에 공급되지 않고 호퍼(67)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구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의 포장 유닛(4)은, 호퍼(67)에 진동을 인가하는 호퍼측 진동 인가 기구(202)와, 전개 가이드(65)에 진동을 인가하는 전개 가이드측 진동 인가 기구(203)를 구비한다.
도 30 및 도 3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서의 호퍼(67)는 상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상인 투입 개구(67b)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투입 개구(67b)로부터 노즐부(67a)를 향해 비스듬히 하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내측 경사벽면(67c, 67d, 67e, 67f)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내측 경사벽면(67c~67f)으로 둘러싸인 공간은, 칸막이판부(67g)에 의해 칸막이가 되어 있다. 도 33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판부(67g)를 기준으로 좌측 공간에는 알약 공급 유닛(2)으로부터 알약이 공급되고, 우측 공간에는 가루약 공급 유닛(3)으로부터 가루약이 공급된다. 투입 개구(67b) 중 가루약 공급 유닛(3)으로부터 가루약이 공급되는 부분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면적을 넓게 확보하기 위해, 4개의 내측 경사벽면(67c~67f) 중, 도 33에 있어서 칸막이판부(67g)의 우측의 내측 경사벽면(67c)은 나머지 3개의 내측 경사벽면(67d~67f)보다 경사각도가 작게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경사벽면(67d~67f)의 경사각도가 75~85°정도로 설정되어 있는 데 반해, 내측 경사벽면(67c)의 경사각도는 35~40°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내측 경사벽면(67e)의 경사각도는 64°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호퍼(67)는, 후술하는 호퍼측 진동 인가 기구(202)의 호퍼 유지부(206)에 유지되는 피유지부(67h)를 구비한다. 상기 피유지부(67h)는 내측 경사벽면(67f)의 외측의 투입 개구(67b)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유지부(67h)는 하단면에 오목부(67i)가 형성된 가늘고 긴 블록형상이며, 일단측(도 33에 있어서 좌측)에 경사진 피유지면(67j)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측에는 돌기(67k)가 형성되어 있다. 피유지부(67h)와 마주보는 내측 경사벽면(67d)의 외측의 투입 개구(67b) 부근에는, 작업자가 호퍼(67)를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부(67m)가 설치되어 있다.
도 30 내지 도 33을 참조하자면, 호퍼측 진동 인가 기구(202)는, 유지 프레임(71)에 대해 브래킷(204)을 통해 고정된 수지제의 유지구조(205)를 구비한다. 유지구조(205)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호퍼 유지부(206)를 구비한다. 호퍼(67)는, 상방에서 보았을 때 투입 개구(67b)의 길이방향(내측 경사벽면(67d, 67f)의 상단 가장자리가 연장되는 방향)이 호퍼 유지부(206)의 길이방향과 일치되는 자세로, 호퍼 유지부(206)에 유지된다. 호퍼(67)의 피유지부(67h)를 탈부착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호퍼 유지부(206)는 도 33에서 우측단보다 약간 중앙 근처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역 L자 형상의 훅부(206a)를 구비하며, 좌측단 부근의 상부에 잠금 기구(206b)를 구비한다. 잠금 기구(206b)는 수평방향의 축선 주위로 회동가능(화살표 D 참조)한 조작 레버(206c)를 구비한다. 또한, 잠금 기구(206b)는, 조작 레버(206c)보다 호퍼 유지부(206)의 중앙측에 배치되며, 마찬가지로 수평방향의 축선 주위로 회동가능(화살표 E 참조)한 잠금 레버(206d)를 구비한다.
호퍼(67)의 피유지부(67h)는 호퍼 유지부(206) 상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퍼(67)가 호퍼 유지부(206)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피유지부(67h)의 돌기(67k)가 호퍼 유지부(206)의 훅부(206a)의 하측으로 끼워져 들어가, 피유지면(67j)이 잠금 레버(206d)의 유지면(206g)에 의해 꽉 눌려져 있다. 잠금 레버(206d)는, 유지면(206g)과 반대측의 피고정부(206e)가 조작 레버(206c)의 고정부(206f)에 걸림고정됨으로써, 회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조작 레버(206c)의 손잡이부(206h)를 조작하여 도 33에 있어서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조작 레버(206c)의 고정부(206f)가 잠금 레버(206d)의 피고정부(206e)로부터 분리된다. 그 결과, 잠금 레버(206d)는 회동이 가능해져 유지면(206g)에 의한 피유지면(67j)의 가압이 해제되므로, 호퍼 유지부(206)에 대해 호퍼(67)의 피유지부(67h)를 탈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호퍼 유지부(206)에 호퍼(67)를 탈부착가능하게 부착시키는 양태는, 어느 정도 강고하게 호퍼(67)를 호퍼 유지부(206)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는 한, 본 실시형태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자석에 의한 고정이나 나사 고정 등에 의해 호퍼(67)를 호퍼 유지부(206)에 탈부착가능하게 부착시켜도 좋다.
호퍼 유지부(206)의 도 33에 있어서의 우측단부의 하측에 진동모터 유지부(207)가 설치되어 있다. 진동모터 유지부(207)는 내부에 진동모터(208)가 유지되는 통형상의 본체(207a)와, 상기 본체(207a)와 호퍼 유지부(206)의 하면을 연결하는 연결부(207b)를 구비한다. 진동모터(208)는 말하자면 호퍼 유지부(206)의 일단의 하면측에 현가(懸架)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진동모터(208)는 적어도 동작의 시작과 정지가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것이라면, 그 형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진동모터(208)는, 직류 모터의 회전축에 분동(分銅)을 고정하여 케이싱 내에 내장시킨 형식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후술하는 진동모터(211)도 진동모터(208)와 동일한 형식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유지구조(205)는, 상단측이 호퍼 유지부(206)에 연결되는 한편, 하단측이 브래킷에 나사로 고정된 2개의 판스프링부(209a, 209b)를 구비한다. 상방에서 보았을 때, 판스프링부(209a, 209b)는, 호퍼 유지부(206)로부터 수직 하방(연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판스프링부(209a, 209b)는, 하단측으로 갈수록 진동모터 유지부(207)(진동모터(208))로부터 멀어지도록, 호퍼 유지부(206)로부터 비스듬히 하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호퍼 유지부(206)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판스프링부(209a, 209b)의 수평방향에 대한 경사각도(θ)는 예컨대 80°전후로 설정된다. 판스프링부(209a, 209b)는 하단측이 고정단이고 상단측이 자유단인 외팔보(cantilever) 양태로 휘며, 이러한 휨에 따라 판스프링부(209a, 209b)의 상단이 변위하면, 그에 따라 호퍼 유지부(206)가 변위된다.
진동모터(208)가 작동하여 발생하는 진동은, 유지구조(205)를 통해 호퍼(67)로 전달된다. 이러한 진동에 따라, 알약 공급 유닛(2)으로부터 공급된 알약이나, 가루약 공급 유닛(3)으로부터 공급된 가루약은, 호퍼(67)의 내측 경사벽면(67c~67f)에 부착됨이 없이, 투입 개구(67b)로부터 노즐부(67a)로 신속히 이동하여 전개 가이드(65)에 의해 전개된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의 개구로 도입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호퍼(67)에 약제(특히, 가루약)가 부착되어 잔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컨타미네이션을 없앨 수 있다. 또한, 호퍼에 솔레노이드 등으로 타격을 가할 경우에 발생하는 소리와 비교하면, 진동 인가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는 음량이 작아, 작업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으며, 작업자가 고장발생으로 오인할 일이 없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지구조(205)는, 도 33에서 화살표(H)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 경사가 완만한 내측 경사벽면(67c) 상을 가루약이 이동하는 이동방향(F)과 중력방향(G)을 포함하는 평면 내(도 33에서는 지면 자체)에서, 상단측일수록 내측 경사벽면(67c)으로부터 멀어지는 타원형 궤도로 상기 호퍼(67)가 진동하도록, 진동모터(208)가 발생시키는 진동을 호퍼(67)에 전달한다. 호퍼(67)가 진동하는 타원형 궤도(H)의 장축(M)은, 판스프링부(209a, 209b)(경사각도(θ))에 대해 직교하며, 내측 경사벽면(67c) 상을 자중(自重)에 의해 가루약이 이동하는 이동방향(F)과 이루는 각도(θH)는 90°에는 미치지 않지만 비교적 큰 각도(45°이상 ~ 90°미만 정도)이다. 이러한 타원형 궤도의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경사가 완만한 내측 경사벽면(67c) 상의 가루약을 투입 개구(67b)로부터 노즐부(67a)를 향해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부착에 의한 잔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진동모터(208)는 내측 경사벽면(67c)의 상단 근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진동모터(208)가 발생시키는 진동이 효율적으로 내측 경사벽면(67c)에 전달되어, 내측 경사벽면(67c) 상의 약제의 이동을 촉진시킨다.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자면, 전개 가이드측 진동 인가 기구(203)는 전개 가이드(65) 내에 내장된 진동모터(제 2 진동원)(211)를 구비한다. 전개 가이드(65)의 내부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2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리브(212)에 의해 진동모터(211)가 전개 가이드(65)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진동모터(211)가 발생시키는 진동은 직접적으로 전개 가이드(65)에 전달된다. 호퍼(67) 뿐만 아니라 전개 가이드(65)에도 전개 가이드측 진동 인가 기구(203)에 의해 진동을 인가함으로써,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61) 내에서의 약제(특히, 가루약)의 이동 내지 흐름이 원활해지므로, 호퍼(67)에 약제가 부착되어 잔류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컨트롤러(11)에 의한 호퍼측 진동 인가 기구(202)와 전개 가이드측 진동 인가 기구(203)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호퍼측 진동 인가 기구(202)와 전개 가이드측 진동 인가 기구(203)는 동기하여 동작하므로, 항상 호퍼측 진동 인가 기구(202)와 전개 가이드측 진동 인가 기구(203)는 동시에 작동하고 동시에 정지한다. 단, 호퍼측 진동 인가 기구(202)와 전개 가이드측 진동 인가 기구(203)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해도 좋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호퍼측 진동 인가 기구(202)와 전개 가이드측 진동 인가 기구(203)를 진동 인가 기구(202, 203)로 총칭한다.
우선, 진동 인가 기구(202, 203)는, 히터 롤러(83a, 83b)의 세로 히트 시일부(86, 86)(예컨대, 도 6 및 도 9 참조)의 선단이 서로 밀어 포장시트(61)를 끼우고 있는 상태, 즉 세로 히트 시일부(86, 86)가 세로 시일을 형성하는 위치가 된 후, 소정시간이 지난 후에 작동을 시작한다. 또한, 진동 인가 기구(202, 203)의 작동 계속 시간은 분포(分包) 속도에 따라 설정된다. 이송 롤러(82a, 82b)(예컨대 도 6 및 도 9 참조)에 의한 포장시트(61)의 이송 속도는, 가루약을 분포 중일 때보다 알약을 분포 중일 때가 더 빠르다. 이 때문에, 세로 히트 시일부(86, 86)가 세로 시일을 형성하는 위치가 된 시점으로부터 진동 인가 기구(202, 203)가 작동을 시작하기까지의 시간은, 가루약을 분포 중일 때보다도 알약을 분포 중일 때가 더 짧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가루약을 분포 중일 때와 알약을 분포 중일 때의 어느 경우에 대해서도, 포장시트(61)의 이송 속도가 느릴수록 진동 인가 기구(202, 203)가 작동을 시작하기까지의 시간은 길게 설정된다. 참고로, 하나의 처방 내에 가루약과 알약이 모두 포함되는 경우(알약과 가루약을 동시에 분포하는 경우)의 진동 인가 기구(202, 203)의 작동 타이밍과 작동 계속 시간은, 가루약을 분포 중일 때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하나의 처방 내에서 알약을 분포하는 약포와 가루약을 분포하는 약포가 혼합될 경우(혼합 분포), 컨트롤러(11)는, 가루약을 분포하는 약포에 대해서는 가루약을 분포 중일 때와 동일한 타이밍과 작동 계속 시간으로 진동 인가 기구(202, 203)를 작동시키고, 알약을 분포하는 약포에 대해서는 알약을 분포 중일 때와 동일한 타이밍과 작동 계속 시간으로 진동 인가 기구(202, 203)를 작동시킨다. 호퍼(67)에 부착하여 잔류된 가루약이 알약을 분포하는 약포 내에 혼입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 컨트롤러(11)는 혼합 분포 중에 일단 가루약을 분포하는 약포가 형성된 후, 알약을 분포하는 약포의 작성 중에는 진동 인가 기구(202, 203)를 작동시키지 않고 정지상태로 유지시킨다. 도 36은 혼합 분포 중일 때의 진동 인가 기구(202, 203)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예에서는, 세 번으로 나누어, 「아침」과 「점심」에 알약을 복용하고, 「저녁」에는 가루약을 복용한다. 모식적으로 나타낸 약포(215)의 하측에 표시한 기호 중 「○」가 진동 인가 기구(202, 203)를 동작시키는 것을 나타내고, 「X」가 진동 인가 기구(202, 203)를 정지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1포째 및 2포째의 약포(215)는 알약이지만, 동일처방 내에서 가루약을 한번도 포장하지 않았다. 따라서, 1포째 및 2포째의 약포(215)는 알약이더라도 가루약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진동 인가 기구(202, 203)를 동작시킨다. 3포째의 약포(215)는 동일처방 내에서 최초로 가루약을 분포하는 약봉지(藥袋)로서, 3포째의 약포(215)를 형성하는 중에도 진동 인가 기구(202, 203)를 동작시킨다. 3포째보다 이후에 알약을 분포하는 4, 5, 7, 8포째의 약포(215) 작성시 진동 인가 기구(202, 203)는 정지상태로 유지되며, 가루약을 분포하는 6포째와 9포째의 약봉지(215)의 형성 중에는 진동 인가 기구(202, 203)가 동작한다.
도 37 및 도 38을 참조하면, 연속되는 약포를 처방마다 분리하기 위해 약제를 포장하지 않는 빈 약포(낭비되는 봉지(216))를 마련하고, 상기 낭비되는 봉지(216)를 컷터 기구(80)에 의해 절단한다. 상기 낭비되는 봉지(216)에 약제(특히, 가루약)가 혼입되어 있으면, 컷터 기구(80)에 의해 절단되었을 때 혼입된 약제가 장치 내로 유출되어 컨타미네이션을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11)는 입력된 처방정보에 근거하여 낭비되는 봉지(216)를 작성 중이라고 판단되면, 진동 인가 기구(202, 203)를 정지상태로 유지시킨다. 도 37의 예에서는 1포째의 낭비되는 봉지(216)가, 도 38의 예에서는 2포째의 낭비되는 봉지(216)가 컷터 기구(80)에 의한 절단대상이 되므로, 이러한 낭비되는 봉지(216)의 작성시에는 진동 인가 기구(202, 203)가 정지상태로 유지된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39 내지 도 4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 4 실시형태는, 호퍼(67)의 피유지부(67h)와, 호퍼측 진동 인가 기구(202)의 구조가 제 3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도 4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서의 호퍼(67)의 피유지부(67h)는, 내측 경사벽면(67f)의 외측의 투입 개구(67b) 부근에 설치된 각각 블록형상의 제 1 및 제 2 부분(67n, 67p)으로 구성된다. 제 1 부분(67n)의 일단측(도 44에 있어서 좌측)에는 경사진 피유지면(67q)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측에는 돌기(67r)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부분(67p)의 일단측(도 44에 있어서 우측)에도 돌기(67s)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호퍼 유지 기구(202)가 구비하는 유지구조(205)는, 호퍼 유지부(206)와는 별개의 베이스부(307)를 구비한다. 호퍼 유지부(206)와 베이스부(307)는 상하 양단이 나사고정된 별개의 판스프링(308a, 308b)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방에서 보았을 때, 판스프링(308a, 308b)은, 호퍼 유지부(206)로부터 수직 하방(연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판스프링(308a, 308b)은, 하단측일수록 진동모터 유지부(207)(진동모터(208))에 근접하도록, 호퍼 유지부(206)로부터 비스듬히 하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호퍼 유지부(206)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판스프링(308a, 308b)의 수평방향에 대한 경사각도(θ)는 예컨대 80°전후로 설정된다. 판스프링(308a, 308b)은 하단측이 고정단이고 상단측이 자유단인 외팔보 양태로 휘며, 이러한 휨에 따라 판스프링(308a, 308b)의 상단이 변위하면, 그에 따라 호퍼 유지부(206)가 변위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지구조(205)는, 도 44에서 화살표(H)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 경사가 완만한 내측 경사벽면(67c) 상을 가루약이 이동하는 이동방향(F)과 중력방향(G)을 포함하는 평면 내(도 44에서는 지면 자체)에서, 상단측일수록 내측 경사벽면(67c)으로부터 멀어지는 타원형 궤도로 상기 호퍼(67)가 진동하도록, 진동모터(208)가 발생시키는 진동을 호퍼(67)에 전달한다. 호퍼(67)가 진동하는 타원형 궤도(H)의 장축(M)은, 판스프링(308a, 308b)(경사각도(θ))에 대해 직교하며, 내측 경사벽면(67c) 상을 자중에 의해 가루약이 이동하는 이동방향(F)과 이루는 각도(θH)가 45°보다 충분히 작은 예각(5°~15°정도)이다. 이러한 타원형 궤도의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경사가 완만한 내측 경사벽면(67c) 상의 가루약을 투입 개구(67b)로부터 노즐부(67a)를 향해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부착에 의한 잔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와 같이 각도(θH)가 비교적 둔한 각도인 경우와 비교하면, 각도(θH)를 충분히 작은 예각으로 설정함으로써, 내측 경사벽면(67c) 상의 가루약의 이동속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진동모터(208)는 내측 경사벽면(67c)의 상단 근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진동모터(208)가 발생시키는 진동이 효율적으로 내측 경사벽면(67c)에 전달되어, 내측 경사벽면(67c) 상의 약제의 이동을 촉진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호퍼 유지부(206)는, 상향으로 돌출되는 역 L자 형상의 훅부(306a, 306b)를 구비한다. 또한, 호퍼 유지부(206)에는 잠금 기구(306c)로서 기능하는 회동가능한 레버(306d)를 구비한다. 도 44와 같이, 호퍼(67)가 호퍼 유지부(206)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피유지부(67h)의 돌기(67r, 67s)가 훅부(306a, 306b)에 하측으로 끼워져 들어가, 피유지면(67q)이 레버(306d)의 유지면(306e)에 의해 꽉 눌려진다. 레버(306d)를 도 44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레버(306d)의 유지면(306e)이 피유지면(67q)으로부터 벗어나, 호퍼 유지부(206)에 대해 호퍼(67)를 탈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제 4 실시형태의 기타의 구성 및 작용은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 3 실시형태의 호퍼측 진동 인가 기구(202)와 전개 가이드측 진동 인가 기구(203)를 채용함에 있어서, 포장시트(61)의 공급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포장시트(61)는 반으로 접히지 않은 채 롤(62)에 감긴 상태로 유지되다가, 롤(62)에서 풀린 후에 반으로 접혀도 된다. 또한, 도 39 내지 도 4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개 가이드(65)의 내부에는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전개 가이드측 진동 인가 기구가 수용되어 있다.
(변형예)
도 45에 나타낸 변형예에서는, 2개의 만곡 가이드 롤러(81A, 81B)(제 1 및 제 2 실시형태)나 가이드 로드(181)(제 3 및 제 4 실시형태) 대신에, 3개의 가이드 롤러(401a, 401b, 401c)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가이드 롤러(401a~401c)에 의해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이 전개 가이드(65)의 직전에서 만곡되어 있다. 3개의 가이드 롤러(401a~401c) 중 가장 전개 가이드(65)측의 가이드 롤러(401c)의 선단 상부에는 상향으로 돌출되는 소직경의 원기둥형상인 돌기(4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410)에는 포장시트(61)의 사행(蛇行)이나 탈락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다. 가이드 롤러(401c)의 부분에서 포장시트(61)의 반송방향이 비스듬히 하향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돌기(410)를 형성시킴으로써 포장시트(61)의 사행이나 탈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410)의 소직경의 원기둥형상인 둘레면이 포장시트(61)에 접촉하므로 포장시트(61)에 대한 접촉저항은 매우 작다.
1 : 약제 포장 장치
2 : 알약 공급 유닛
3 : 가루약 공급 유닛
4 : 포장 유닛
5 : 약제 배출부
6 : 하우징
7 : 수용실
8 : 커버
9 : 컨트롤 패널
10A~10D : 센서
11, 12, 13 : 컨트롤러
21 : 알약 수용칸
21a : 상단 개구
21b : 하단 개구
22 : 알약 수용부
23 : 알약 공급부
25 : 봉쇄 커버
26 : 보호 커버
34 : 상측 셔터판
34a : 걸림고정부
35 : 하측 셔터판
35a : 걸림고정부
36 : 공급부재
37 : 고정판
37a~37d : 단차부
41 : 알약 통과 구멍
42 : 알약 공급칸
43 : 바닥판
44 : 핀
45 : 추
51 : V형 수납부
52 : 칸막이판
61 : 포장시트
61a : 접음선
61b, 61c : 부분
62 : 롤
63 : 시트 공급부
65 : 전개 가이드
67 : 호퍼
67a : 노즐부
67b : 투입 개구
68 : 히트 시일부
69 : 인쇄부
71 : 유지 프레임
71a : 정면측 유지부
71b : 측면측 유지부
72 : 힌지기구
73a, 73b : 가이드 롤러
75 : 잉크 리본
76 : 잉크 카트리지
77 : 가압롤러
78 : 열전사 헤드
79 : 백업 롤러
80 : 컷터 기구
81A, 81B : 만곡 가이드 롤러
100a, 100b : 접촉 시작 위치
82a, 82b : 이송 롤러
83a, 83b : 히터 롤러
84 : 이송 히트 시일 부재
85 : 롤러 부재
86 : 세로 히트 시일 부재
90 : 부능선
91 : 가이드 본체
92 : 브래킷
93 : 부착부
93a, 93b : 관통구멍
94 : 주능선
94a : 상류측 단부
94b : 하류측 단부
95a, 95b : 전개 가이드면
96a, 96b : 꼭대기부면
97a, 97b : 후단 가장자리
98 : 폐쇄판
99a, 99b : 숄더부
100a, 100b : 접촉 시작 위치
101 : 개구
102a, 102b : 상류측 부분
103a, 103b : 중간오목부
104a, 104b : 단차부
105a, 105b : 단부오목부
106, 107, 108 : 오목부
109a, 109b : 평탄부
110 : 선형상 돌기
181 : 가이드 로드
202 : 호퍼측 진동 인가 기구
203 : 전개 가이드측 진동 인가 기구
204 : 브래킷
205 : 유지구조
206 : 호퍼 유지부
206a, 306a, 306b : 훅부
206b : 잠금 기구
206c : 조작 레버
206d : 잠금 레버
206e : 피고정부
206f : 고정부
206g : 유지면
206h : 손잡이부
207 : 진동모터 유지부
207a : 본체
207b : 연결부
208 : 진동모터
209a, 209b : 판스프링부
211 : 진동모터
212 : 리브
215 : 약포
216 : 낭비되는 봉지
308a, 308b : 판스프링

Claims (13)

  1. 길이방향에 따라 미리 반으로 접혀진 가늘고 긴 포장시트가 감겨 있는 롤로부터 상기 포장시트를 풀어내어 공급하는 시트 공급부와,
    상기 시트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포장시트에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부와,
    상기 인쇄부를 통과한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을 만곡시키는 만곡 가이드와,
    상기 만곡 가이드보다도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를 전개하여 개구시키는 전개 가이드와,
    상기 전개 가이드보다도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시트의 개구로부터 약제를 도입하는 약제 도입부와,
    상기 약제 도입부보다도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입된 약제를 가두도록 상기 포장시트를 시일하는 히트 시일부를 구비하는 약제 포장 장치로서,
    상기 전개 가이드는,
    상기 포장시트의 접음선을 따라 연장되는 주능선(主稜線)과,
    각각 상기 주능선으로부터 넓어지는 볼록형상의 곡면으로서, 반으로 접힌 포장시트의 양 내측면에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전개 가이드면을 구비하며,
    상기 주능선에 대해 정면으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보면, 상기 주능선에 대해 상기 만곡 가이드에 의한 상기 반송방향의 만곡된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개 가이드면의 상기 포장시트와의 접촉 시작 위치가, 상기 주능선에 대해 상기 만곡 가이드에 의한 상기 반송방향의 상기 만곡된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개 가이드면의 상기 포장시트와의 접촉 시작 위치보다도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약제 포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개 가이드면은,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에서 보면 상기 주능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호 간격이 넓어지고, 상기 주능선에 대해 정면으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보면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상호 간격이 좁아져 있는, 약제 포장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개개의 상기 전개 가이드면은,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점차 상기 주능선에 근접하며, 상기 주능선의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 하류측 단부에 접속하는 후단 가장자리와,
    상기 접촉 시작 위치보다도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 하류측에 간격을 둔 위치와 상기 하류측 단부와의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주능선으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로부터 상기 후단 가장자리에 걸쳐 형성된 제 1 오목부를 구비하는, 약제 포장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개개의 상기 전개 가이드면은, 상기 제 1 오목부보다도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 하류측이며 상기 주능선의 상기 하류측 단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된 제 2 오목부를 구비하는, 약제 포장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능선에 대해 상기 만곡 가이드에 의한 상기 반송방향의 만곡된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개 가이드면의 상기 제 2 오목부의 면적이, 상기 주능선에 대해 상기 만곡 가이드에 의한 상기 반송방향의 만곡된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개 가이드면의 상기 제 2 오목부의 면적보다 큰, 약제 포장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능선에 대해 상기 만곡 가이드에 의한 상기 반송방향의 만곡된 외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의 상기 접촉 시작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주능선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상 돌기를 구비하는, 약제 포장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주능선에 대해 상기 만곡 가이드에 의한 상기 반송방향의 만곡된 내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의 상기 접촉 시작 위치에서의 상기 주능선에 대한 팽출량이, 상기 주능선에 대해 상기 만곡 가이드에 의한 상기 반송방향의 만곡된 외측에 위치하는 전개 가이드면의 상기 접촉 시작 위치에서의 상기 주능선에 대한 팽출량보다 큰, 약제 포장 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가이드는,
    상기 주능선의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 상류측 단부로부터 상기 포장시트의 반송방향 상류측으로 연장되는 부능선(副稜線)과,
    상기 부능선으로부터 볼록한 형상으로 넓어지는 곡면으로서, 상기 전개 가이드면과 접속되는 한 쌍의 꼭대기부면을 더 구비하는, 약제 포장 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시일부는 회전가능한 한 쌍의 히터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가이드에 진동을 부가하는 제 1 진동 인가 기구를 더 구비하는, 약제 포장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인가 기구는 상기 전개 가이드의 내부에 고정된 제 1 진동발생원을 구비하는, 약제 포장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도입부는, 약제가 투입되는 투입 개구를 상부에 가지며, 상기 반으로 접힌 상기 포장시트의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약제를 상기 포장시트 내로 도입하는 노즐부를 하부에 가지는 호퍼를 구비하고,
    상기 호퍼에 진동을 부가하는 제 2 진동 인가 기구를 더 구비하는, 약제 포장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진동 인가 기구는, 제 2 진동발생원과, 상기 제 2 진동발생원 및 상기 호퍼를 유지하는 유지구조를 구비하는, 약제 포장 장치.
KR1020117007449A 2008-10-02 2009-09-18 약제 포장 장치 KR101110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57585A JP4469007B2 (ja) 2008-10-02 2008-10-02 薬剤包装装置
JPJP-P-2008-257585 2008-10-02
PCT/JP2009/004719 WO2010038377A1 (ja) 2008-10-02 2009-09-18 薬剤包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258A KR20110053258A (ko) 2011-05-19
KR101110509B1 true KR101110509B1 (ko) 2012-01-31

Family

ID=4207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449A KR101110509B1 (ko) 2008-10-02 2009-09-18 약제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56692B2 (ko)
EP (1) EP2336032B1 (ko)
JP (1) JP4469007B2 (ko)
KR (1) KR101110509B1 (ko)
CN (1) CN102143891B (ko)
TW (1) TW201021786A (ko)
WO (1) WO20100383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7285B2 (ja) 2011-12-01 2016-02-10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薬剤供給装置
JP6258038B2 (ja) * 2012-01-11 2018-01-10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薬剤供給装置、並びに薬剤供給装置における薬剤鑑査方法
JP6108686B2 (ja) * 2012-05-23 2017-04-05 株式会社タカゾノ 薬剤分包装置
US20140108028A1 (en) 2012-10-12 2014-04-17 Mckesson Automation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in a healthcare facility
US9150119B2 (en) 2013-03-15 2015-10-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using a track based transport system
TWI576286B (zh) * 2014-01-09 2017-04-01 Jung Hua Shao Injection of the packaging mechanism
US20160009436A1 (en) * 2014-07-14 2016-01-14 Victor Basso Machine for packing medical products and printing medical instructions for a nurse in a hospital environment
US10059474B2 (en) * 2015-01-16 2018-08-28 Carefusion Germany 326 Gmbh Packaging device for medications
DK3045397T3 (en) * 2015-01-16 2017-03-20 Becton Dickinson Rowa Germany Gmbh Packaging device for pharmaceuticals
KR102602951B1 (ko) * 2015-06-29 2023-11-16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불출 장치
JP5998346B2 (ja) * 2015-08-24 2016-09-28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薬剤供給装置
JP6236514B2 (ja) * 2016-11-22 2017-11-22 株式会社タカゾノ 薬剤分包装置
US10822128B2 (en) * 2017-05-31 2020-11-03 Nike, Inc. Systems and processes for packing articles of footwear
KR102257372B1 (ko) * 2019-03-13 2021-05-31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약제 자동 포장기
CN113697202B (zh) * 2021-09-17 2022-06-21 无锡锡州机械有限公司 一种避免漏测的装箱系统及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9737A (ja) 2000-07-04 2002-01-23 Takazono Sangyo Kk ヒートシール装置
JP2004189336A (ja) 2002-10-18 2004-07-08 Yuyama Manufacturing Co Ltd 包装装置
JP2004238026A (ja) 2003-02-05 2004-08-26 Takazono Sangyo Co Ltd ヒートシールユニット及び薬剤分包装置
JP2004284663A (ja) 2003-03-24 2004-10-14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包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5848A (en) * 1954-02-25 1959-05-12 Kimberly Clark Co Folding conveyor
DE1024868B (de) * 1955-09-24 1958-02-20 Paul Gerhard Klar Abfuell- und Verpackungsmaschine zur Herstellung von Packungen aus schmiegsamem Verpackungsmaterial fuer Tee u. dgl.
NL281183A (ko) * 1962-07-19
US3748822A (en) * 1970-08-21 1973-07-31 Kraftco Corp Apparatus for packaging individual slices of cheese
FR2483880B1 (fr) * 1980-06-09 1985-10-18 Vittel Eaux Min Unite de conditionnement sous la forme de recipients ou de chapelet de recipients en matiere synthetique souple
GB9201096D0 (en) * 1992-01-20 1992-03-11 Unilever Plc Tube-forming apparatus
FR2748989B1 (fr) * 1996-05-22 1998-08-21 Henaux Claude Procede et dispositif d'ensachage multipoches et sachets ainsi obtenus
CN100503370C (zh) 2002-10-18 2009-06-24 株式会社汤山制作所 包装装置
JP4371686B2 (ja) * 2003-03-25 2009-11-25 高園産業株式会社 薬剤包装装置及び薬剤分包装置
KR101374980B1 (ko) * 2006-09-20 2014-03-14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포장 장치
JP4220568B2 (ja) * 2007-04-02 2009-02-0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包装装置
USD605210S1 (en) * 2007-11-09 2009-12-01 Yuyama Mfg. Co., Ltd. Component for opening package sheets for drug packaging machin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9737A (ja) 2000-07-04 2002-01-23 Takazono Sangyo Kk ヒートシール装置
JP2004189336A (ja) 2002-10-18 2004-07-08 Yuyama Manufacturing Co Ltd 包装装置
JP2004238026A (ja) 2003-02-05 2004-08-26 Takazono Sangyo Co Ltd ヒートシールユニット及び薬剤分包装置
JP2004284663A (ja) 2003-03-24 2004-10-14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包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43891A (zh) 2011-08-03
US9056692B2 (en) 2015-06-16
KR20110053258A (ko) 2011-05-19
WO2010038377A1 (ja) 2010-04-08
TW201021786A (en) 2010-06-16
JP2010083573A (ja) 2010-04-15
TWI330078B (ko) 2010-09-11
CN102143891B (zh) 2013-11-06
EP2336032B1 (en) 2014-08-06
US20110197547A1 (en) 2011-08-18
EP2336032A1 (en) 2011-06-22
EP2336032A4 (en) 2012-04-25
JP4469007B2 (ja)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509B1 (ko) 약제 포장 장치
KR101386186B1 (ko) 약제 포장장치
JP5527461B2 (ja) 薬剤包装装置
TWI403316B (zh) 藥劑包裝裝置
KR100979611B1 (ko) 약제 포장 장치
KR20040057981A (ko) 약제 공급 장치
JP2008272461A (ja) 薬剤包装装置
JP4159349B2 (ja) 薬剤供給装置
JPH10118159A (ja) 固形製剤包装装置
WO2024090097A1 (ja) 薬剤供給装置
JPH04294723A (ja) 薬剤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