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488B1 - 압연장치 - Google Patents

압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488B1
KR101109488B1 KR1020090116491A KR20090116491A KR101109488B1 KR 101109488 B1 KR101109488 B1 KR 101109488B1 KR 1020090116491 A KR1020090116491 A KR 1020090116491A KR 20090116491 A KR20090116491 A KR 20090116491A KR 101109488 B1 KR101109488 B1 KR 101109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dy plate
stand
suppor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0026A (ko
Inventor
김봉규
이주진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6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488B1/ko
Publication of KR20110060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2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02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axes of rolls arranged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3/00Safet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eaker blocks; Devices for freeing jammed rolls for handling cobbles; Overload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워크롤러와, 워크롤러를 지지하는 스탠드와, 스탠드에 설치되고, 워크롤러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절노브를 조작하는 장비를 지지하는 고정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너드릴 등 무거운 장비를 지지하는 고정지그를 구비함으로써 작업 시 장비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압연, 스탠드, 드릴, 지그,

Description

압연장치{ROLLING MILL}
본 발명은 압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너드릴 등 무거운 장비를 지지하는 고정지그를 구비함으로써 작업 시 장비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압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철광석으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 중 앞 단계인 선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철, 제선이라 하고, 선철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강이라 한다.
연주공정은 액체상태인 용선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주조기를 통과시키면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압연장치를 거쳐 빌릿(Billet)으로 변하며 선 재 압연장치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압연장치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압연장치로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압연이란 연속주조 공정에서 생산된 슬래브, 블룸, 빌릿 등을 회전하는 여러 개의 롤러 사이를 통과시켜 연속적인 힘을 가하여 늘리거나 얇게 만드는 과정을 말하여 크게 열간 압연과 냉간 압연으로 나뉜다.
이렇게 고온의 슬래브, 블룸 및 빌릿 등의 작업 대상물이 통과되는 롤러도 고온으로 가열되므로 롤러의 변형이나 변형에 의한 오작동 및 파손을 억제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점검이 필요하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압연장치의 스탠드를 점검하거나 워크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코너드릴 등으로 스탠드에 설치되는 조절노브를 조작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코너드릴은 무거울 뿐만 아니라 작업 시 많은 진동이 발생되므로, 작업 중 안전사고가 종종 일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코너드 릴 등 무거운 장비를 지지하는 고정지그를 구비함으로써 작업 시 장비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압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장치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워크롤러; 상기 워크롤러를 지지하는 스탠드; 및 상기 스탠드에 설치되고, 상기 워크롤러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절노브를 조작하는 장비를 지지하는 고정지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지그는, 본체판; 상기 본체판의 양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면판; 및 상기 본체판에서 타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판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판은 복수의 체결홀부가 형성되는 제1본체판과, 상기 체결홀부를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본체판에 결합되는 제2본체판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판은 상기 제1본체판의 일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측면판과, 상기 제2본체판의 타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측면판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판은 상기 본체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으로부터의 간격 조정이 가능한 제2지지판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지지판에는 지지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판에는 복수의 결합홀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홀부에 체결되 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제2지지판이 간격 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장치에 의하면, 코너드릴 등 무거운 장비를 지지하는 고정지그를 구비함으로써 작업 시 장비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연장치에 의하면, 고정지그에 의해 장비가 지지되므로, 한명의 작업자만으로도 각종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는 워크롤러(10), 스탠드(20) 및 고정지그(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워크롤러(10)는 상부롤러(11)와, 상부롤러(11)의 하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하부롤러(12)를 포함한다. 상부롤러(11)는 슬래브를 누르는 상부워크롤과 상부워크롤을 회전시키는 상부베어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롤러(12) 역시 하부워크롤과 이를 회전시키는 하부베어링으로 이루어진다(도 1 참조).
상부워크롤의 회전축은 상부베어링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결합되고, 상부베어링의 외주면은 스탠드(20), 구체적으로 상부스탠드(21) 장착홀부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이로써, 상부워크롤은 상부스탠드(21)에 지지된 상태로 상부베어링에 의해 회전된다. 하부워크롤의 회전 역시 상부워크롤의 회전 원리와 동일하다.
스탠드(20)는 상부롤러(11)가 설치되는 상부스탠드(21)와, 하부롤러(12)가 설치되는 하부스탠드(22)를 포함한다. 상부스탠드(21)의 일측에는 상부롤러(11)와 하부롤러(12)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절노브(K)가 설치된다(도 2 참조).
조절노브(K)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조절노브(K)의 회전에 의해 상부롤러(11)와 하부롤러(12)는 접근되거나 이격된다. 조절노브(K)의 회전 조작은 코너드릴(D)과 같은 장비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코너드릴(D)은 무거울 뿐만 아니라, 작동 시 과도한 진동이 발생된다.
고정지그(1)는 본체판(100)과, 측면판(200) 및 지지판(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스탠드(20),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스탠드(22)에 설치되어 코너드릴(D)을 고정 지지한다(도 3, 4 참조).
본체판(100)은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본체판(100)의 양단부에는 측면판(200)이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한 쌍의 측면판(200) 사이의 거리는 하부스탠드(22)의 폭에 대응된다. 측면 판(200)의 상단부에는 하부스탠드(22)의 상부에 안착되는 날개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날개부에 의해 고정지그(1)는 하부스탠드(22)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판(300)은 본체판(100)의 중앙부에서 측면판(200)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지지판(30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부에 놓이는 코너드릴(D)을 고정 지지한다. 코너드릴(D)이 지지판(300)의 사이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판(300) 사이의 거리는 코너드릴(D)의 폭보다 좁아야 함은 물론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1)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1)는 본체판(100)이 제1본체판(110)과 제2본체판(120)으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측면판(20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판(100)은 복수의 체결홀부(111)가 형성되는 제1본체판(110)과, 홀부(121)가 형성되고 체결부재(A)에 의해 제1본체판(110)에 결합되는 제2본체판(120)을 포함한다. 측면판(200)은 제1본체판(110)의 좌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측면판(210)과, 제2본체판(120)의 우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측면판(220)을 포함한다.
제1본체판(110)에는 복수의 체결홀부(111)가 형성되므로, 체결부재(A)가 관통되는 체결홀부(111)의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측면판(20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체결부재(A)가 제1본체판(110)의 최좌측에 형성되는 체결홀부(111)를 관통된 상태로 제1본체판(110)과 제2본체판(120)이 결합되는 경우, 측면판(200) 사이 의 거리는 가장 가깝게 되고, 반대로 최우측에 형성되는 체결홀부(111)를 관통한 경우 측면판(200) 사이의 거리는 가장 멀게 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고정지그(1)를 다양한 폭을 갖는 하부스탠드(22)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1)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1)는 지지판(300)이 제1지지판(310)과 제2지지판(320)으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지지판(30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판(300)은 본체판(100)에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지지판(310)과, 결합부재(B)에 의해 본체판(100)에 결합되는 제2지지판(320)을 포함한다. 제2지지판(320)에는 결합부재(B)가 관통되는 지지홀부(321)가 형성된다.
본체판(100)에는 복수의 결합홀부(101)가 형성되므로, 지지홀부(321)를 관통한 결합부재(B)가 체결되는 결합홀부(101)의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지지판(30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제2지지판(320)의 지지홀부(321)를 관통한 결합부재(B)가 본체판(100)의 최좌측에 형성되는 결합홀부(101)에 체결되면 지지판(300) 사이의 거리는 가장 가깝게 되고, 반대로 최우측에 형성되는 결합홀부(101)에 체결되면 지지판(300) 사이의 거리는 가장 멀게 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고정지그(1)를 통해서 다양한 폭을 갖는 고정드릴(D) 등의 장비를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압연장치의 점검 또는 상부롤러(11)와 하부롤러(12)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에 앞서 고정지그(1)를 하부스탠드(22)에 설치한다. 이때, 한 쌍의 측면판(200)은 하부스탠드(22)의 폭에 맞게 밀착되며, 측면판(20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날개부에 의해 고정지그(1)는 하측으로 슬라이드되지 않는다. 한편, 하부스탠드(22)의 폭과 측면판(200)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 체결부재(A)를 해체하여 제1본체판(110)의 다른 체결홀부(111)에 체결함으로써, 측면판(20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한다(도 5, 6 참조). 이로써, 하부스탠드(22)의 폭에 맞게 측면판(20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어 고정지그(1)를 하부스탠드(22) 상에 흔들림 없이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 후 지지판(300) 사이에 코너드릴(D)을 거치시킨다. 만약 코너드릴(D)의 폭과 지지판(300) 사이의 거리가 대응되지 않는 경우, 결합부재(B)를 해체하여 본체판(100)의 다른 결합홀부(101)에 체결함으로써, 지지판(30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한다(도 7, 8 참조). 이로써, 코너드릴(D)의 폭에 맞게 지지판(30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코너드릴(D)을 고정지그(1) 상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코너드릴(D)이 고정지그(1) 상에 고정 지지되면, 작업자는 코너드릴(D)을 드는 수고 없이 코너드릴(D)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코너드릴(D)이 고정지그(1)에 견고하게 고정 지지되므로, 코너드릴(D) 작업 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진동 현상 또한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 한, 압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압연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고정지그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의 스탠드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가 스탠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의 결합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지그 10 : 워크롤러
20 : 스탠드 100 : 본체판
200 : 측면판 300 : 지지판

Claims (5)

  1.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워크롤러;
    상기 워크롤러를 지지하는 스탠드; 및
    상기 스탠드에 설치되고, 상기 워크롤러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절노브를 조작하는 장비를 지지하는 고정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는, 본체판;
    상기 본체판의 양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면판; 및
    상기 본체판에서 타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판은 복수의 체결홀부가 형성되는 제1본체판과, 상기 체결홀부를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본체판에 결합되는 제2본체판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판은 상기 제1본체판의 일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측면판과, 상기 제2본체판의 타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측면판을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본체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으로부터의 간격 조정이 가능한 제2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판에는 지지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판에는 복수의 결합홀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홀부에 체결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제2지지판이 간격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
KR1020090116491A 2009-11-30 2009-11-30 압연장치 KR101109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491A KR101109488B1 (ko) 2009-11-30 2009-11-30 압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491A KR101109488B1 (ko) 2009-11-30 2009-11-30 압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026A KR20110060026A (ko) 2011-06-08
KR101109488B1 true KR101109488B1 (ko) 2012-01-31

Family

ID=44394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491A KR101109488B1 (ko) 2009-11-30 2009-11-30 압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4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3277B (zh) * 2020-11-04 2023-01-24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清远供电局 一种线缆加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9405A (ja) * 1983-11-04 1985-06-03 Mitsubishi Heavy Ind Ltd サイドフレ−ム付クロスロ−ル圧延機
JPH09267110A (ja) * 1995-12-28 1997-10-14 Nkk Corp 圧延機の振動防止装置
KR20020017904A (ko) * 2000-08-29 2002-03-07 가나이 쓰토무 압연 밀 및 압연 방법
JP2009172670A (ja) * 2008-01-28 2009-08-06 Nippon Steel Corp 熱間圧延機のスピンドル追従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9405A (ja) * 1983-11-04 1985-06-03 Mitsubishi Heavy Ind Ltd サイドフレ−ム付クロスロ−ル圧延機
JPH09267110A (ja) * 1995-12-28 1997-10-14 Nkk Corp 圧延機の振動防止装置
KR20020017904A (ko) * 2000-08-29 2002-03-07 가나이 쓰토무 압연 밀 및 압연 방법
JP2009172670A (ja) * 2008-01-28 2009-08-06 Nippon Steel Corp 熱間圧延機のスピンドル追従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026A (ko)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488B1 (ko) 압연장치
KR20110059444A (ko) 주편 변형 감지 장치
KR101159775B1 (ko) 압연롤러용 지그장치
KR101024587B1 (ko) 열간압연설비
KR101066716B1 (ko) 압연기용 스트리퍼 장착대
KR20110010462A (ko) 냉각기를 구비하는 압연장치
KR101129891B1 (ko) 압연기의 스트리퍼 장착 장치
KR101099682B1 (ko) 고로 출선구용 지지장치
KR101148943B1 (ko)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JP4991485B2 (ja) 条鋼圧延におけるトラフ装置
KR100973906B1 (ko) 후판 유도장치
JP4404759B2 (ja) 連続鋳造用鋳型
KR100954193B1 (ko) 연속주조설비의 가이드롤 간격 조정장치
KR100721922B1 (ko) 연속주조기의 풋롤 설치구조
KR101353772B1 (ko) 주편사행방지장치 및 방법
KR101357227B1 (ko) 압연기용 롤러 지지블록
JP4186661B2 (ja) 鋳片の内部酸化防止装置
KR20110108986A (ko) 압연용 입구 가이드 장치
KR100737102B1 (ko) 사상 압연기의 압연 롤러 구조
JP4392284B2 (ja) アルミニウム用竪型連続鋳造装置
KR101051294B1 (ko) 열간압연설비
KR101017247B1 (ko) 압연장치용 가이드블록
KR20100046862A (ko) 압연설비용 가이드장치
KR101298754B1 (ko) 압연기용 피드롤러 교체장치
KR20040100431A (ko) 얼라인먼트 조정이 용이한 연주기의 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